KR101143536B1 - 방사방법 - Google Patents

방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536B1
KR101143536B1 KR1020057000221A KR20057000221A KR101143536B1 KR 101143536 B1 KR101143536 B1 KR 101143536B1 KR 1020057000221 A KR1020057000221 A KR 1020057000221A KR 20057000221 A KR20057000221 A KR 20057000221A KR 101143536 B1 KR101143536 B1 KR 10114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cooling
filament bundle
spinning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493A (ko
Inventor
헨드릭 미델얀스
에릭 호이벨링
바스티안 크린스
요한네스 프레데릭 보에르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폴리머 이노베이션즈 엠멘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폴리머 이노베이션즈 엠멘 비.브이.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폴리머 이노베이션즈 엠멘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9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01D5/092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in shafts or chimney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다수의 방사구금 홀을 갖는 방사구금을 통해 압출시켜 다수의 필라멘트를 갖는 필라멘트 번들을 형성하고, 당해 재료가 일단 고형화되면 사로서 코일화되는,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멀티필라멘트 트레드를 방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필라멘트 번들은 방사노즐 아래에서 냉각되며, 당해 방법은 2단계로 냉각을 수행하고, 필라멘트 번들이 제1 냉각 영역에서 기상 냉매를 사용하여 취입되어, 당해 기상 냉매가 필라멘트 번들을 가로질러 유동하여 유입측과 실질적으로 완전히 반대편에서 필라멘트 번들을 떠나고, 제1 냉각 영역 아래의 제2 냉각 영역에서, 당해 필라멘트 번들이 필수적으로 당해 필라멘트 번들 둘레의 기상 냉매의 자체 흡인을 통해 추가로 냉각됨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필라멘트 트레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 필라멘트 번들, 코드, 냉매.

Description

방사방법{Spinning method}
본 발명은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다수의 방사구금 홀을 갖는 방사구금을 통해 압출시켜 다수의 필라멘트를 갖는 필라멘트 번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방사구금 아래에서 필라멘트 번들을 고화, 냉각시킨 후, 필라멘트를 트레드로서 권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멀티필라멘트 트레드를 방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 및 당해 필라멘트 사를 함유하는 코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EP-A-1 079 008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새로 압출된 필라멘트의 이동은 방사 과정을 수행하면서 공기 스트림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냉각은 필수적으로 트레드에 평행하게 유동하는 냉각제 스트림을 통해 수행된다. 우수한 결과는 통상 이러한 유형의 냉각을 사용하여, 특히 고속 연신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멀티필라멘트 트레드를 방사하기 위한 2단계 냉각방법은 JP 11061550에 기재되어 있다. 제1 냉각 영역에서, 공기가 필라멘트에 한쪽으로부터 또는 원주방향으로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공기가 유동하며, 제2 영역에서, 압축된 공기는 냉각 영역의 상부로 취입하여, 필라멘트에 평행하게 공기가 아래쪽으로 유동한다. 이의 목적은, 물리적 특성이 가능한 한 균일한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냉각 거동은 분명히 복잡하고 일련의 파라미터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냉각 공정 동안, 필라멘트 표면이 필라멘트 내부, 즉, 필라멘트 코어보다 빨리 냉각하기 때문에 필라멘트 단면에 복굴절의 차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공정은 또한 필라멘트의 결정화 거동의 차이를 야기한다. 따라서, 냉각은 필라멘트 중의 중합체의 결정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이는 필라멘트의 추후 사용시, 예를 들면, 연신시 두드러질 수 있다. 급속한 결정화가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압출 후 가능한 빨리 고도의 냉각을 달성하는 것이 일련의 용도에서 바람직하다.
선행 기술의 냉각 공정은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라멘트를 심지어 비교적 낮은 권사 속도에서도 우수하게 결정화시키도록, 압출된 필라멘트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앞부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냉각이 2단계로 수행되고, 필라멘트 번들이 제1 냉각 영역에서 기상 냉매를 사용하여 취입되어, 당해 기상 냉매가 필라멘트 번들을 가로질러 유동하여 유입측과 실질적으로 완전히 반대편에서 필라멘트 번들을 떠나고, 제1 냉각 영역 아래의 제2 냉각 영역에서, 당해 필라멘트 번들이 필수적으로 당해 필라멘트 번들 둘레의 기상 냉매의 자체 흡인을 통해 추가로 냉각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단계 냉각 과정을 다룬다. 제2 단계에서, 기상 냉매는 필라멘트 번들을 통해 유동한다. 냉각제가 유입측과 실질적으로 완전히 반대편에서 필라멘트 번들을 떠난다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냉각 공정의 이러한 단계에서, 냉매는 가능한 한 필라멘트를 따라 배출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제1 냉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기상 냉매가 필라멘트 번들이 이동하는 방향을 가로질러 필라멘트 번들을 통해 유동하여, 소위 횡단 공기 유동이 제공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동은, 트레드 번들을 통과한 후 흡인 장치를 사용하여 기상 냉매를 흡인 여과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방향이 잘 잡힌 냉각 스트림이 달성되며, 냉각제가 필라멘트 번들을 정량적으로 떠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필라멘트 번들이 취입 장치와 흡인 장치 사이에서 가이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필라멘트 유동을 분할(splitting)하는 것과, 예를 들면, 특정 간격의 2개의 필라멘트 유동들 사이에서 필라멘트 유동에 평행하게 런닝(running)하는 천공된 튜브를 통과하는 2개의 필라멘트 유동들 사이의 중간 지점에 취입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어서, 기상 냉매를 필라멘트 번들의 중심으로부터 필라멘트 번들을 통해 외부로 취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냉매가 번들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떠나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필라멘트 스트림들의 중심을 통해 런닝하는 튜브가 흡인 장치로서 작용하여 취입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른 방향으로 공기 유동과 흡입을 생성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기상 냉매의 유동 속도는 0.1 내지 1m/s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속도에서, 결정화를 수행하는 동안, 표면/코어의 차이가 나타나거나 혼합되지 않으면서 거의 균일한 냉각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냉각 영역의 길이가 0.2 내지 1.2m이면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길이에 걸쳐 상술한 조건하에서 취입하면, 제1 영역 또는 단계에서의 바람직한 정도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제2 냉각 단계가 소위 "자체 흡인 사 냉각"을 사용하여 수행되는데, 이때 필라멘트 번들은 기상 냉매 주변, 예를 들면, 주변 공기를 끌어 당기며, 이로써 추가로 냉각된다. 이 경우, 기상 냉매는 필라멘트 번들이 이동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유동한다. 기상 냉매는 둘 이상의 방향으로부터 필라멘트 번들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체 흡인 유니트는 필라멘트 번들에 평행하게 런닝하는 2개의 천공된 패널, 소위 양면 패널들을 사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길이는 10cm 이상이며, 수미터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자체 흡인 거리는 통상 30 내지 150cm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제2 냉각 단계가 천공된 재료들(예: 천공된 패널들) 사이로 필라멘트를 인도함으로써, 기상 냉매가, 자체 흡인되는 동안, 양쪽으로부터 필라멘트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냉각 영역에서 필라멘트 번들을 천공된 튜브 속으로 인도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자체 흡인 튜브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혼합(intermingling)을 거의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필라멘트 번들 속으로 기상 냉매를 끌어 당길 수 있게 한다.
필라멘트 번들 속으로 흡인되는 냉매의 온도를, 예를 들면, 열 교환기를 사용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당해 양태는 주변 온도에 무관하게 공정 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낮/밤 또는 하절기/동절기의 상이한 조건에서 공정의 안정성이 지속되어 유리하다.
방사구금 또는 노즐 판과 제1 냉각 영역의 도입부 사이에 통상 "가열 튜브"라고 불리우는 것이 배치된다. 필라멘트의 유형에 따라, 당해 부재의 길이는 10 내지 40cm이며, 이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제1 냉각 영역과 제2 냉각 영역 사이에, 번들 형성 단계가 자체 공지된 형태로, 예를 들면, 소위 에어무버 또는 에어나이프를 사용하여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당해 번들 형성 단계는 제2 냉각 영역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필라멘트가 냉각된 후, 그리고 권사되기 전에,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당해 필라멘트를 연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연신"이라는 용어는 필라멘트를 연신시키기 위한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포함한다. 이는 단일 롤 또는 이중 롤이나 이와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연신은 연신비가 1 미만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신비가 1을 초과하는 경우도 명시적으로 언급되어야 한다. 연신비가 1 미만인 경우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이게 "이완"이라는 용어로 공지되어 있다. 연신비가 1을 초과하는 경우와 1 미만인 경우가 하나의 공정에서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전체 연신비는 통상 연신 속도의 비로부터 계산되거나, 이완이 수행되는 경우, 공정 말기에서의 권사 속도 및 필라멘트의 방사 속도, 즉, 필라멘트 번들이 냉각 영역을 통과하는 속도로부터 계산된다. 전형적인 조합은, 예를 들면, 방사 속도 2,760m/min, 연신 6,000m/min, 연신 후 추가 이완 0.5%, 즉, 권사 속도 5,970m/min이다. 이 경우, 총 연신비는 2.16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권사 속도는 2,000m/min 이상이다. 원칙적으로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이기만 하다면 공정에 대한 최고 속도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최고 권사 속도는 6,000m/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총 연신비가 1.5 내지 3인 경우, 방사 속도는 약 500 내지 약 4,000m/min,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500m/min의 범위이다.
추가로, 급냉실이 연신장치의 업스트림에, 그리고 냉각 영역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당해 부재 역시 자체 공지되어 있다.
기상 냉매의 경우,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원칙적으로 중합체의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라멘트로 압출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중합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중합체가 열가소성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재료가 필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공업적 용도에 특히 적합한, 특히 타이어 코드에 사용하기 위한 필라멘트가 생산되도록 한다. 더욱이, 당해 방법은 공업용 사의 제조에 적합하다. 공업용 사를 방사하는 데 필요한 설계, 특히 노즐과 가열 튜브 길이의 선정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필라멘트 사, 특히 폴리에스테르 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mN/tex 단위인 파단 인성 T와 % 단위인 파단 신도 E의 세제곱근을 곱한 값, T * E1/3이 1,600mN%1/3/tex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에 관한 것이다. 당해 값은 1600 내지 1,800mN%1/3/tex이 바람직하다.
파라미터 T * E1/3를 결정하기 위한 파단 인성 T와 파단 신도 E의 측정은 ASTM 885에 따라 수행되며, 이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410mN/tex의 특정한 하중을 적용한 후의 신도 EAST(특정 장력하의 신도)(%)와 180℃에서의 열풍 수축률 HAS(%)의 합인 EAST + HAS가 11% 미만, 바람직하게는 10.5%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에 관한 것이다.
EAST의 측정은 ASTM 885에 따라 수행하며, HAS는 180℃, 5mN/tex에서 2분 동안 수행되는 조건하에 역시 ASTM 885에 따라 측정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를 함유하며 보유 용량 Rt(%)을 갖는 타이어 코드로서, 품질 인자 Qf, 즉,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의 T * E1/3와 코드의 Rt를 곱한 값이 1,350mN%1/3/tex를 초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드에 관한 것이다.
보유 용량은 침지시킨 후 코드의 파단 인성과 트레드의 파단 인성의 지수로 서 이해된다.
품질 인자가 1,375mN%1/3/tex를 초과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1,800mN%1/3/tex 이하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의 도움으로 추가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대 점도가 2.0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과립을 방사하고 표 1에 열거된 조건하에 냉각시킨다[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과립의 상대 점도는 2,4,6-트리클로로페놀과 페놀의 혼합물(TCF/F, 7:10 m/m) 125g 중의 중합체 1g의 용액을 사용하여 우벨로드 점도계로 25℃에서 측정한다(DIN 51562)]. 당해 연신 속도는 6,000m/min이다. 추가의 이완 0.5%가 설정되며, 권사 속도는 5,970m/min이다.
사 번수[dtex] 1440
필라멘트 선밀도[dtex] 4.35
방사구금 331개의 홀; 홀 각각의 직경 800㎛
가열 튜브 길이[mm] 150
가열 튜브 내의 온도 [℃] 200
제1 냉각 영역의 길이[mm] 700
공기 유동 용적[m3/h] 400
제2 냉각 영역의 길이[mm], 양면 패널 700
냉각 공기의 온도[℃] 50
번들 형성 에어무버

3가지 샘플에 대해 사 특성을 측정한 다음, 표 2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003 실시예 004 실시예 005
방사 속도 [m/min] 2791 2759 2727
파단 인성 T[mN/tex] 688 703 712
파단 신도 E [%] 13.9 13.7 12.9
신도 5%에서의 강도
TASE 5 [mN/tex]
388 341 348
T * E1/3 [mN%1/3/tex] 1654 1682 1670

최종적으로, 침지 후 코드 특성을 측정한 다음, 표 3에 요약하였다.
품질 인자 Qf는 T * E1/3와 보유 용량을 곱한 값으로서 계산된다.
실시예 003 실시예 004 실시예 005
파단 인성 T [mN/tex] 589 595 604
신도 5%에서의 강도
TASE 5 [mN/tex]
227 223 222
T * E1/3 [mN%1/3/tex] 1654 1682 1670
보유 용량 Rt[%] 85.6 84.6 84.8
품질 인자 [mN%1/3/tex] 1416 1424 1417
410mN/tex의 특정 장력하의 신도
EAST [%]
5.9 5.8 5.7
열풍 수축률 HAS[%] 4.2 4.5 4.3
EAST + HAS [%] 10.1 10.3 10.0

Claims (15)

  1.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다수의 방사구금 홀을 갖는 방사구금을 통해 압출시켜 다수의 필라멘트를 갖는 필라멘트 번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방사구금 아래에서 필라멘트 번들을 고화시키고, 2단계로 냉각시킨 후, 필라멘트를 트레드로서 권사하는 단계로서, 제1 냉각 영역에서 기상 냉매는 필라멘트 번들을 가로질러 유동하는 방식으로 유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멀티필라멘트 트레드를 방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냉매는 유입측과 완전히 반대편에서 필라멘트 번들을 떠나고, 제1 냉각 영역 아래의 제2 냉각 영역에서, 필라멘트 번들이 필수적으로 당해 필라멘트 번들 둘레의 기상 냉매의 자체 흡인을 통해 추가로 냉각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냉매가 트레드 번들을 통해 유동한 후에 흡인 장치로 흡인 여과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냉매의 유동 속도가 0.1 내지 1m/s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영역의 길이가 0.2 내지 1.2m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단계는, 자체 흡인 동안에 기상 냉매가 양쪽으로부터 필라멘트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필라멘트를 천공된 재료 사이로 유도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단계는 필라멘트 번들을 천공된 튜브를 통해 유도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냉각된 후 권사되기 전에, 연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사가 2,000m/min 이상의 속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냉매가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재료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재료가 필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필라멘트 트레드의 방사방법.
  12. 제1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고; mN/tex 단위인 파단 인성 T와 % 단위인 파단 신도 E의 세제곱근(cubic root)을 곱한 값, T * E1/3이 1,600 내지 1,800 mN%1/3/tex이고; 결정화를 수행하는 동안, 표면/코어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
  13. 제12항에 있어서, 410mN/tex의 특정한 하중을 적용한 후의 신도 EAST(특정 장력하의 신도)(%)와 180℃에서의 열풍 수축률 HAS(%)의 합인 EAST + HAS가 11%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
  14. 제12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를 포함하며 침지 후의 보유 용량 Rt(%)을 갖는 코드로서, 품질 인자 Qf, 즉,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의 T * E1/3와 코드의 Rt를 곱한 값이 1,350mN%1/3/tex를 초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15. 삭제
KR1020057000221A 2002-07-05 2003-06-26 방사방법 KR101143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15058 2002-07-05
EP02015058.7 2002-07-05
PCT/EP2003/006786 WO2004005594A1 (de) 2002-07-05 2003-06-26 Spinn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493A KR20050099493A (ko) 2005-10-13
KR101143536B1 true KR101143536B1 (ko) 2012-05-09

Family

ID=3001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221A KR101143536B1 (ko) 2002-07-05 2003-06-26 방사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7731876B2 (ko)
EP (1) EP1521869B1 (ko)
JP (1) JP4523409B2 (ko)
KR (1) KR101143536B1 (ko)
CN (1) CN100390334C (ko)
AT (1) ATE527402T1 (ko)
AU (1) AU2003249886A1 (ko)
BR (1) BR0312457B1 (ko)
CA (1) CA2491647C (ko)
CZ (1) CZ20056A3 (ko)
ES (1) ES2373379T3 (ko)
MX (1) MXPA05000325A (ko)
PT (1) PT1521869E (ko)
RU (1) RU2318930C2 (ko)
SI (1) SI1521869T1 (ko)
UA (1) UA77098C2 (ko)
WO (1) WO2004005594A1 (ko)
ZA (1) ZA2005000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4435A1 (de) * 2004-08-27 2006-03-09 Diolen Industrial Fibers B.V. Spinn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durchführung
CZ302223B6 (cs) * 2005-07-08 2010-12-29 GUMOTEX, akciová spolecnost Prímé osvetlení zrcátka slunecní clony pro motorová vozidla
EP2084322B1 (en) 2006-11-18 2011-03-30 Diolen Industrial Fibers B.V.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filament yarn
JP5455902B2 (ja) * 2007-07-21 2014-03-26 ディオレン インドゥストリアル ファイバース ベスローテン フェノートシャップ 紡糸法
EP2524981A1 (en) 2011-05-18 2012-11-21 Api Institute Dimensionally stable polyester yarn and preparation thereof
CN102912464B (zh) * 2012-11-13 2016-08-24 广州市新辉联无纺布有限公司 一种热塑性材料纺丝设备
KR101979353B1 (ko) * 2017-11-01 2019-05-17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와 이를 이용한 레이디얼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7303A (ja) 1982-05-13 1983-11-17 Teijin Ltd 溶融紡糸方法
EP0334604A2 (en) * 1988-03-24 1989-09-27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molten filaments in spinning apparatus
JPH08325868A (ja) * 1996-03-21 1996-12-10 Akzo Nv 工業用ポリエステルヤーン及びそれから作られたコード
EP0826802A1 (de) * 1996-08-28 1998-03-04 B a r m a g AG Verfahren zum Spinnen eines multifilen Fade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8019Y1 (ko) * 1970-03-12 1973-08-21
JPS491005B1 (ko) * 1970-11-28 1974-01-11
JPS51209U (ko) * 1974-06-20 1976-01-05
JPS5244927B2 (ko) * 1975-01-25 1977-11-11
DE2618406B2 (de) * 1976-04-23 1979-07-26 Karl Fischer Apparate- & Rohrleitungsbau, 1000 Berlin Verfahren zum Herstellen vororientierter Füamentgarne aus thermoplastischen Polymeren
IN167096B (ko) * 1985-04-04 1990-09-01 Akzo Nv
US5173310A (en) * 1988-03-24 1992-12-2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Device for cooling molten filaments in spinning apparatus
JPH05195309A (ja) 1992-01-17 1993-08-03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繊維の溶融紡糸冷却装置
DE4320593A1 (de) * 1993-06-22 1995-01-05 Akzo Nobel Nv Multifilament-Garn aus Polyäthylennaphthala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A2208035C (en) * 1994-12-23 2006-04-18 Akzo Nobel Nv Process for manufacturing continuous polyester filament yarn
JP3880143B2 (ja) 1997-08-13 2007-02-14 ユニチカ株式会社 溶融紡糸繊維の冷却方法
TW476818B (en) * 1998-02-21 2002-02-21 Barmag Barmer Maschf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a multifilament yarn
KR100574180B1 (ko) * 1998-07-23 2006-04-27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합성 사를 방사하는 방사 장치 및 방법
TW538150B (en) * 1998-11-09 2003-06-21 Barmag Barmer Maschf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highly oriented yarn
EP1079008A1 (de) 1999-08-26 2001-02-28 B a r m a 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innen eines multifilen Fad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7303A (ja) 1982-05-13 1983-11-17 Teijin Ltd 溶融紡糸方法
EP0334604A2 (en) * 1988-03-24 1989-09-27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molten filaments in spinning apparatus
JPH08325868A (ja) * 1996-03-21 1996-12-10 Akzo Nv 工業用ポリエステルヤーン及びそれから作られたコード
EP0826802A1 (de) * 1996-08-28 1998-03-04 B a r m a g AG Verfahren zum Spinnen eines multifilen Fad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9886A1 (en) 2004-01-23
US7731876B2 (en) 2010-06-08
ZA200500069B (en) 2006-07-26
CA2491647C (en) 2011-09-27
ES2373379T3 (es) 2012-02-02
SI1521869T1 (sl) 2012-03-30
CZ20056A3 (cs) 2005-05-18
UA77098C2 (en) 2006-10-16
JP2005535793A (ja) 2005-11-24
CA2491647A1 (en) 2004-01-15
EP1521869B1 (de) 2011-10-05
MXPA05000325A (es) 2005-08-19
RU2318930C2 (ru) 2008-03-10
CN1665970A (zh) 2005-09-07
BR0312457A (pt) 2005-04-19
PT1521869E (pt) 2012-01-03
US8182915B2 (en) 2012-05-22
US20050147814A1 (en) 2005-07-07
KR20050099493A (ko) 2005-10-13
BR0312457B1 (pt) 2013-03-19
US20100175361A1 (en) 2010-07-15
JP4523409B2 (ja) 2010-08-11
EP1521869A1 (de) 2005-04-13
RU2005101741A (ru) 2006-01-20
ATE527402T1 (de) 2011-10-15
CN100390334C (zh) 2008-05-28
WO2004005594A1 (de)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0274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フィラメントヤーンの製造方法
US8182915B2 (en) Spinning method
JP5455902B2 (ja) 紡糸法
US6818683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made of semi-crystalline polymer
AU643641B2 (en) A spinning process for producing high strength, high modulus, low shrinkage synthetic yarns
KR20090072050A (ko) 고강력-저수축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 방법
JPH0246688B2 (ko)
JPS6147817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S61194215A (ja) ポリアミドモノフイラメントの製造方法
KR0166479B1 (ko) 저수축 폴리에스터 산업용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EP0456495A2 (en) A drawn polyester yarn having a high tenacity, a high initial modulus and a low shrinkage
JP3347377B2 (ja) マルチ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H062209A (ja) ゴム補強用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H04300320A (ja) 高強度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法
JPH03269112A (ja) 高強度ポリアミド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