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183B1 -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183B1
KR101143183B1 KR1020057025377A KR20057025377A KR101143183B1 KR 101143183 B1 KR101143183 B1 KR 101143183B1 KR 1020057025377 A KR1020057025377 A KR 1020057025377A KR 20057025377 A KR20057025377 A KR 20057025377A KR 101143183 B1 KR101143183 B1 KR 10114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button
communication device
command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914A (ko
Inventor
캐서린 에이. 올드햄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1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접이형 무선 통신 장치(100, 700)는 제2 부분(104, 1104)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 부분(102, 1002)을 포함한다. 제1 부분(102, 1002)은, 제1 부분(102, 1002)이 제2 부분(104, 1104)에 겹쳐지는 제1 위치로부터 제1 부분(102, 1002)이 제2 부분(104, 1104)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쪽 방향으로 펼쳐지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부분(102, 1002)은 하나 이상의 버튼(302, 304, 306, 308, 1010, 1012), 예를 들어, "UP" 및 "DOWN" 제어 버튼(302, 304, 1010, 1012)과 같은 한쌍의 방향 버튼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제1 부분(102, 1002)의 위치에 따라 버튼(302, 304, 306, 308, 1010, 1012)의 기능을 변경하도록 사용된다.
핸드헬드 통신 장치, 힌지, 플립, 위치, 버튼, 기능

Description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핸드헬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갖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하우징부는 제2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두 개의 하우징부 중 하나를 포함하는 플립 및/또는 상부 하우징부가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갖는다.
셀룰러 폰 등의 핸드헬드 전자 장치를 작게 만드는데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그와 같은 장치를 점점 작게 만들어감에 따라 어느 때나 그러한 장치를 더욱 편리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장치의 기능성을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셀룰러 폰의 경우, 증가된 기능성으로는 다중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 그리고 사진 및/또는 비디오 클립의 촬영 및 재생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점점 더 많은 기능성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공간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장치 소형화의 요청과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컴포넌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부피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셀룰러 폰 등과 같은 장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려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조작은 가능한 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 되도록 하려는 지속적 요청이 있다. 장치의 소형화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예컨대, 인간공학,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이슈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증가시키는데, 특히 한정된 수의 사용자 입력 검출 소자를 이용해서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경우(이러한 장치에서는, 각 사용자 입력 검출 소자가 현재의 조작 상태에 의존하여 복수의 서로 다른 기능 중 하나와 각각 연관될 수 있음) 특히 그러하다.
또한, 셀룰러 폰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의 경우, 크기를 줄이게 되면, 사용 중에 안테나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당히 가려져서, 그 안테나로의 수신 혹은 송신 신호가 부분적으로 흡수되어 QoS(Quality of Service)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셀룰러 폰과 같은 장치들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증가된 기능성, 보다 직관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특성, 그리고 충분한 수준의 QoS를 수용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는 요청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에 의해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제1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제1 구성, 예컨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사시도.
도 2는 제1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제2 구성, 예컨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사시도.
도 3은 도 1-2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분해 조립도.
도 4는 도 1-3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4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제1 양상을 도시하는 제1 순서도.
도 6은 도 1-4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제2 양상을 도시하는 제2 순서도.
도 7은 도 1-4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제3 양상을 도시한 제3 순서도.
도 8은 도 1-4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디스플레이로서, 선택 사항들로 이루어진 제1 수직 배열을 나타내는 제1 스크린샷.
도 9는 도 1-4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디스플레이로서, 선택 사항들로 이루어진 제2 수직 배열을 나타내는 제2 스크린샷.
도 10은 제1 구성, 예컨대 닫힌 상태인 제2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점선으로 도시된 두 개의 중간 상태에 대응하는 기타 다른 구성들과 함께, 제2 구성, 예컨대 열린 상태인 제2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정면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여기에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 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특정 구성과 기능의 세부사항은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단순히 청구항의 기초를 이루며 본 발명을 사실상 임의로 적절하게 구성된 구조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용하도록 당업자에게 지침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준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여기 사용된 용어와 문구는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발명을 이해 가능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하나"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의미로 정의한다. 여기 사용된 "복수"라는 용어는 "둘 이상"의 의미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다른 하나"라는 용어는 "적어도 두 번째 또는 그 이상"의 의미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및/또는"을 가지는 용어는 "포함하는"(즉, 개방 언어)의 의미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연결된"의 의미로 정의되며, 다만 반드시 직접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핸드헬드 통신 장치, 특히 폴더형 무선 통신 장치(clamshel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100)의 제1 구성을 보여주는 제1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의 제2 구성을 보여주는 제2 사시도이다. 장치(100)는 플립이라고도 알려진 상부(102)와 하부(104)를 포함한다. 플립(102)과 하부(104)는 회전 결합(rotational coupling), 특히 힌지(106)에 의해 연결된다. 장치(100)는 비교적 얇아서, 말하자면, 그 두께 D의 치수는 폭 W나 길이 L의 치수에 비하여 작다. 힌지(106)의 축(108)은 장치(100)의 폭 치수 전체에 걸쳐 정렬되어 있다. 플립(102)은 제1 내부 표면(110)과 제1 외부 표면(202)을 포함한다. 하부(104)는 제2 내부 표면(112)과 제2 외부 표면(도 1 및 2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데, 그 제2 외부 표면은 관측자로부터 반대쪽을 향하고 있다. 힌지(106)는, 플립(102)이 하부(104)로부터 멀어지는 위쪽 방향으로 펼쳐지는 제1 구성, 즉 열린 상태로부터 회전하여 플립(102)이 하부(104)와 겹쳐지는 제2 구성, 즉 닫힌 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장치(100)의 주 디스플레이(114)는 플립(102)의 내부 표면(110)에 위치한다. 보조 디스플레이(204)는 플립(102)의 외부 표면(202)에 위치한다. 주 디스플레이(114)와 보조 디스플레이(204)는, 수신 통화 목록, 발신 통화 목록, 전화번호부 내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와 웹 주소, 그리고 선택 가능한 기능들의 목록 등과 같은 통화 관련 정보 및 메뉴를 포함하는 제어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유용하다.
플립(102)은 제1 버튼(302, 도 3), 제2 버튼(304, 도 3), 제3 버튼(306, 도 3), 제4 버튼(308, 도 3)을 포함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버튼들(302-308)을 도 1-2에서 직접 볼 수는 없다. 제1 내지 제3 버튼(302-306)은 플립(102)의 제1 옆면 에지(116)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제4 버튼(308)은 플립(102)의 제2 옆면 에지(118)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4개의 버튼(302-308)은 제1 버튼 커버(120), 제2 버튼 커버(122) 및 제3 버튼 커버(310)로 이루어진 세 개의 버튼 커버로 덮인다. 제1 버튼(302)과 제2 버튼(304)은 제1 버튼 커버(120)를 공유하고, 제3 버튼(306)은 제2 버튼 커버(122)로 덮이고, 제4 버튼(308)은 제3 버튼 커버(310) 로 덮인다. 4개의 버튼(302-308)은 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장치(100) 동작 모드에서, 제1 버튼(302)과 제2 버튼(304)은, 장치(100)의 소프트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예컨대 "위(UP)" 및 "아래(DOWN)" 명령 등의 입력에 대한 방향지시자(directional to inputs)로서 사용된다. 키패드(124)는 하부(112)의 내부 표면에 위치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102)은, 나사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하나 이상의 기타 주지의 소자들 및/또는 방법들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된 플립 외측 하우징부(312)와 플립 내측 하우징부(314)를 포함한다. 다수의 컴포넌트가 플립 외측 하우징부(312)와 플립 내측 하우징부(314) 사이의 플립(102) 내에 위치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에는, 주 디스플레이(114) 및 보조 디스플레이(204)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16), 이어피스 스피커(320), 플렉서블 회로(322) 및 자석(325)이 포함된다. 카메라(318)가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의 부품으로서 힌지(106)가 차지하는 공간 안에 결합된다. 장치(100) 조립시, 디스플레이 모듈(316) 상에 플렉서블 회로(322)가 배치된다. 플립 내측 하우징부(314)는, 디스플레이 모듈(316)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진 통합 몰딩된 사각형 프레임(324)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316)은 그 프레임(324) 내에 들어맞는다. 플렉서블 회로(322)는, 프레임(324) 위로 접어 겹쳐지는 세 개의 주변 탭 부분(326)을 포함한다. 버튼들(302-308)이 디스플레이 모듈(316)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주변 탭 부분들(326) 위에 탑재된다. 복수의 탄성 폼블록 (resilient foam blocks; 328)이 버튼 커버들(120, 122, 310)과 프레임(324)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폼블록들(328)은 버튼들(302-308)의 촉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석(325)은 플립 내측 하우징부(314) 내의 힌지(106) 근처에 탑재되는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중 하부(104)와 연관된,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와 상호작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하부(104)는, 한 쌍의 탄성 걸쇠(334) 및 나사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결합된 하부 내측 하우징부(330)(이는 하부 외측 하우징부(332)에 대해 전체적으로 몰딩됨) 및 하부 외측 하우징부(332)를 포함한다. 상부와 마찬가지로, 당업자라면 하부 내측 하우징부(330)를 하부 외측 하우징부(332)에 지탱시키기 위해 기타 다른 요소들 및/또는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배터리 구획(336)은 하부 외측 하우징부(332)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터리 구획 커버(338)와 하부 내측 하우징부(330) 사이에 정의된다. 배터리 구획(336)은 하부(104)의 최상단(340) 근처에 배치된다. 배터리(342)는 실질적으로 배터리 구획(336) 내에 배치된다. 안테나(344)는 하부(104)의 최하단(346) 근처에 배치된다. 장치(100)의 통신 및 제어 회로들을 포함하는 고밀도 인쇄 회로 기판(populated printed circuit board; 348)은 최하단(346)과 배터리 구획(336) 사이에 위치된다. 배터리(342)와 고밀도 인쇄 회로 보드(348)는 길이 L 방향을 따라 공통 면 내에 배치되며, 깊이 D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깊이 D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구성은 하부(104)의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전체 장치(100)의 두께를 감소시켜서 그러한 장치(100)의 휴대를 보다 편안하게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또한 배터리의 세로 방향 크기를 제한시킨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배터리 용량을 늘려서 배터리 재충전이 요구되기 전에 그 장치(100)로 수행할 수 있는 통신의 양 및 대기 지속 시간을 늘리려는 관심에서, 배터리(342)의 폭이 증가된다.  4개의 버튼(302-308)을, 종래의 실시에 따르면 그것들이 위치할 하부(104)의 최상단(340) 근처와는 대조적으로, 플립(102)에 배치하는 것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터리(342) 폭에 대응하는 장치(100)의 폭 증가를 피하게 함으로써 그러한 장치(100)를 보다 작고 휴대하기 편하게 한다. 또한, 플립(102)에 버튼(302-308)을 배치하는 것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더 쉽게 버튼(302-308)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손을 플립(102) 또는 상부에 좀 더 가까이 위치시키는 경향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손은, 하부(104)의 최하단(346) 근처에 위치한 안테나(344)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므로, 안테나(344)로부터 방출되거나 그에 의하여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에너지를 보다 덜 흡수할 것이고, 따라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의 개선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24)는, 플렉서블한 재료의 판으로 이루어진 커버(349)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350)은 하부(104)의 최하단(346) 근처의 고밀도 인쇄 회로 기판(348) 상에 탑재된다.
하부(104)에 배치된 홀 효과 센서(352)를 보여주기 위하여 하부 내측 하우징부(330)의 일부가 절단되어 도시된다. 홀 효과 센서(352)는 자석(325)과 함께 동작하여, 플립(10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104)를 덮는 거의 닫힌 상태에 있는지,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104)로부터 멀어지도록 펼쳐지는 열린 상태에 있는지를 감지한다. 플렉서블 회로 피드쓰루(flexible circuit feedthrough; 354)는 하부(104)의 회로들을 플립(102)의 회로들에 연결한다. 조립된 장치(100)에서, 플렉서블 회로 피드쓰루(354)는 힌지(106)를 통과한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시스템 버스(420)를 통해 서로 연결된 송수신기(402), 프로세서(40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 406), 플립 위치 센서(352), 카메라 인터페이스(408),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410), 디스플레이 드라이버(412), 버튼 인터페이스 디코더(414), 프로그램 메모리(416) 및 작업공간 메모리(418)를 포함한다.
송수신기(402)는 안테나(344)에 연결된다. 인코딩된 데이터(예를 들어, 디지털화된 음성 오디오, 텍스트 메시지, 사진 등)로 변조되는 라디오 주파수 및/또는 마이크로파 신호는 송수신기(402)와 안테나(344) 사이를 통과한다.
프로세서(404)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신 인코딩 및 디코딩 태스크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0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메모리(416)에 저장된다. 프로세서(404)는 실행 프로그램 내의 작업공간 메모리(418)를 이용한다. 프로세서(404)는, 바람직하게는, 고도로 집적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집적 회로의 일부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신호 버스(420)를 통해 함께 연결된,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기타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402), 프로세서(404),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기타 다른 블록들이 고밀도 인쇄 회로 기판(348)의 회로로 구현된다.
마이크로폰(350)은 제1 증폭기(422)를 통하여 A/D(406)에 연결된다. A/D(406)은 사용자가 말한 단어들을 디지털화하는 데에 사용되고, 디지털화된 단어들은 이어서 프로세서의 음성 인코더(보코더) 컴포넌트에 의하여 인코딩된다.
카메라(318)는 카메라 인터페이스(408)를 통하여 프로세서(404)로 인터페이스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408)는 카메라(318)로부터 화소 데이터를 판독 및 디지털화하고, 추가적인 처리, 예를 들어 화상/영상 압축 인코딩 등을 위하여 그러한 데이터가 프로세서(404)에 대해 이용 가능하게 한다.
버튼 입력 디코더(414)는, 플립(102)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버튼(302-308)과 키패드(124)의 각 키로 연결된다. 버튼 입력 디코더(414)는, 키패드(124) 및 버튼(302-308)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인코딩된 작동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눌러진 키 또는 버튼(302-308)을 프로세서(404)에게 식별시킨다. 버튼 입력 디코더를 포함하는 하우징부(일반적으로 버튼 입력 디코더는 하부 하우징부(104)에 포함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포함됨)에 대하여, 대향하는 하우징부(이 경우는 플립(102))에 버튼(302-308)을 배치함으로써, 적어도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114, 204) 사이를 오가는 신호에 더하여 전기적으로 인코딩된 작동 신호가 또한 힌지(106)를 통하여 라우팅된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412)가 주 디스플레이(114)와 보조 디스플레이(204)를 구동한다. D/A(410)는 제2 증폭기(424)를 통하여 이어피스 스피커(320)를 구동한다.
도 5 내지 7은 장치(100)의 동작의 태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 도에 따라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메모리(416)에 저장되고 프로세서(404)에 의해 실행된다.
도 5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제1 동작 태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블록(502)에서, 플립(102)이 도 1에 도시된 실질적으로 열린 상태인지 아니면 도 2에 도시된 실질적으로 닫힌 상태인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플립 위치 센서(352)가 판독된다. 블록(504)은 판정 블록으로서, 그 결과는 플립(102)이 실질적으로 열려 있는지,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104)로부터 멀어지도록 펼쳐지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만일 그렇다면, 제1 흐름도는 판정 블록(506)으로 계속되고, 판정 블록(506)의 결과는, 제1 버튼(302)이 눌러졌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블록(506)에서 제1 버튼(302)이 눌려졌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블록(508)으로 계속되고, 그 블록(508)에서 제1 및 제2 버튼(302, 304)으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으로 "UP" 명령과 일치하는 지시가 보내진다. 블록(508) 이후, 제1 흐름도는 다시 블록(502)으로 돌아간다. 한편 블록(506)에서 상기 제1 버튼(302)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블록(510)으로 계속된다. 판정 블록(510)의 결과는 제2 버튼(304)이 눌러졌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판정 블록(510)에서 상기 제2 버튼(304)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블록(512)으로 분기하는데 그 블록(512)에서는 "DOWN" 명령에 일치하는 지시가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으로 보내진다. 블록(512) 이후, 제1 흐름도는 블록(502)으로 귀환한다. 블록(510)에서 상기 제2 버튼(304)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마찬가지로 블록(502)으로 귀환한다.
블록(504)에서 플립(102)이 열려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판정 블록(514)으로 분기한다. 판정 블록(514)의 결과는 상기 제1 버튼(302)이 눌러졌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판정 블록(514)에서 상기 제1 버튼(302)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상술한 블록(512)으로 분기된다. 한편 판정 블록(514)에서 상기 제1 버튼(302)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판정 블록(516)으로 분기한다. 판정 블록(516)의 결과는 상기 제2 버튼(304)이 눌러졌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판정 블록(516)에서 상기 제2 버튼(306)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면, 제1 흐름도는 앞서 서술한 블록(508)으로 분기한다.
도 5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서 적절히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임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능한 하드웨어 솔루션은 2-입력 XOR 게이트(exclusive-or gate)(입력 중 하나는,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에 상응하는, 회전 결합된 하우징 소자들 각각의 상태와 연관된 상응하는 논리 레벨을 택일하여 나타내기 위하여 홀 효과 센서(352)에 연결됨)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회전 상태에 있어서 상태의 변화는 전기적으로 인코딩된 작동 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또한, 동작 시퀀스는 전달하려는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도시된 것과 달리 변화할 수 있다. 구현은 하드웨어,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및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에 의존하는 정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플립 위치 센서(352)의 상태는 버튼 조작에 의해 트리거되는 프로세서 인터럽트에 응답해서만 판독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변형도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는, 소정의 장치(100) 동작 모드에서 쌍을 이루어 "UP" 및 "DOWN"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제1 및 제2 버튼(302, 304)이 더 직관적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플립(102)이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에 따라 제1 버튼(302) 및 제2 버튼(304) 중 위에 있는 특정 버튼이 자리를 바꾸기는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제1 흐름도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사용은 플립(102)이 열려있는지 또는 닫혀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어느 것이든 위에 있는 버튼이 "UP"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도록 하고 어느 것이든 아래에 있는 버튼이 "DOWN"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도록 한다. 즉, 버튼들은 플립(102)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100) 사용의 편의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상술한 성능 속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도 1-4에 도시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제2 동작 태양을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제1 및 제2 버튼(302, 304)을 사용하여 장치(100)에 의한 오디오 출력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조합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제2 흐름도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하드웨어는 오디오가 출력되는 장치의 동작 상태에서 활성이다. 오디오는, D/A(410), 증폭기(424) 및 이어피스 스피커(320)를 포함하고, 아울러 특수 오디오 음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는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다. 또한, 오디오 출력을 위해 확성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블록(602)은, 예를 들어 이어피스 스피커(320)를 통한 오디오 출력을 나타낸다. 오디오는, 바람직하게, 프로세서(404)의 제어 하에서 출력된다. 블록(604)은 판정 블록이고, 그 결과는 "UP"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UP"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2 흐름도는 장치(100)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볼륨이 증가되는 블록(606)으로 분기하고, 그런 다음 흐름도는 증가된 볼륨으로 오디오 출력을 계속하기 위해 블록(602)으로 귀환한다. 판정 블록(604)에서 "UP" 명령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2 흐름도는 블록(608)으로 계속되고, 블록(608)의 결과는 "DOWN"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판정 블록(608)에서 "DOWN"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정되면, 제2 흐름도는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이 감소되는 블록(610)으로 분기되고, 그런 다음 감소된 볼륨으로이기는 하지만 오디오의 출력을 계속하기 위해 블록(602)으로 귀환한다. 한편, 블록(608)에서 "DOWN"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제2 흐름도는 블록(602)으로 되돌아가고, 볼륨 레벨에 대해 사용자 제어에 기초한 어떠한 변화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2 흐름도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1-4에 도시한 핸드헬드 통신 장치의 제3 동작 양상을 도시한 제3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용자로 하여금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조합을 나타낸다.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 다이얼링한 전화 번호를 갖는 사람들의 이름 목록이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메뉴 옵션의 목록 등과 같은 목록일 수 있다.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은 주 디스플레이(114) 또는 보조 디스플레이(20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702)에서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이 디스플레이(114, 204) 중 하나에 디스플레 이된다. 블록(702)으로부터 진행한 블록(704)은 판정 블록이며, 그 출력은 "UP" 명령이 수신되었는지에 의존한다. 블록(704)에서 "UP"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정되면, 제3 흐름도는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에 있어서의 위치 상승(move up)이 수행되는 블록(706)으로 분기한다. 위치 상승은,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 중 한 위치에 대한 하이라이팅을 위로 이동시키거나,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의 맨 위에 새로운 선택사항을 추가하거나,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의 맨 아래에서 선택사항을 제거하거나, 그리고/또는 또 다른 선택사항들을 한 칸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블록(706) 이후, 제3 흐름도는 블록(702)으로 귀환하여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한다.
한편, 블록(704)에서 "UP"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제3 흐름도는 판정 블록(708)으로 분기한다. 판정 블록(708)의 결과는 "DOWN" 명령이 수신되었는지에 의존한다. "DOWN" 명령이 수신된 경우라면, 제3 흐름도는 블록(710)으로 분기하고, 블록(710)에서는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에 있어서의 위치 하강(move down)이 수행된다.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에 있어서의 위치 하강은 상술한 위치 상승의 반대이다. 블록(710) 이후, 제3 흐름도는 블록(702)으로 귀환하여 수직 배열된 선택사항들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한다.
도 6 및 7은 본 명세서의 초점을 넘어선 기타 다른 소프트웨어 동작들과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세스를 추상적으로 도시한 것임에 주의해야 한다.
도 10은 제2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0)를 제1 구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닫힌 상태로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제2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0)를 점선으로 도시한 중간 구성들과 함께 제2 구성 및/또는 실질적으로 열린 상태로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2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0)는 제1 부분(1002)과, 그 제1 부분(1002)과 회전 결합하는 제2 부분(1102)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한 제1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와 달리, 제2 장치(1000)에 있어서는 제2 부분(1102)에 대한 제1 부분(1002)의 회전축은 장치(1000)의 두께 및/또는 깊이 D에 평행, 즉 장치(1000)의 정면(1004)에 수직하다. 도 10-11의 견지에서, 제2 부분(1102)에 대한 제1 부분(1002)의 회전축은 지면(drawing sheet)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2 부분(1102)은 키패드(1104) 및 디스플레이(1006)를 포함한다. 제1 부분(1002)은 디스플레이(1006)의 둥근 홈(round bezel)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부분(1002)은 제1 측면 배치 버튼(first side mounted button; 1010) 및 그 제1 측면 배치 버튼(1010)에 수직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측면 배치 버튼(second side mounted button)을 포함한다. 제1 부분(1002)을 도 10에 도시된 구성에서 도 11에 도시된 구성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2개의 측면 배치 버튼(1010, 1012)은 상대적 수직 위치가 역전되며, 전기적 상태의 변화를 가져온다. 도 4-9와 관련하여 상술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장치(1000)가 보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 플립 상에 2개의 버튼 만을 포함한다는 점(다만 선택적으로 더 많이 구비할 수도 있음), 그리고 본 상세한 설명의 핵심을 벗어나는 도 4에 도시된 소정의 하드웨어 소자, 예컨대 카메라 인터페이스(408) 및 카메라(318) 등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 핸드헬드 통신 장치(1000)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제2 부분(1102)에 포함되므로, 그 디스플레이 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를 움직일 때 회전하는 제1 부분(1002)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는 제1 부분(10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명백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많은 수정, 변경, 변형, 대체 및 균등물을 당업자라면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핸드헬드 통신 장치에 있어서,
    하부;
    상기 하부에 연결된 힌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하부에 연결된 플립 - 상기 플립은, 상기 플립이 상기 하부에 겹쳐지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플립이 상기 하부로부터 멀어지는 위쪽 방향으로 펼쳐지는 제2 위치로, 상기 힌지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플립은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함 - ;
    상기 플립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에, 그리고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의 출력을 판독하고, 상기 센서의 출력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은, 제1 버튼과, 상기 핸드헬드 통신 장치가 직립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플립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버튼 위에 위치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한 쌍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의 출력이 상기 플립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의 제1 구동 신호를 "DOWN" 명령으로 해석하고, 상기 제2 버튼으로부터의 제2 구동 신호를 "UP" 명령으로 해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의 출력이 상기 플립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의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UP" 명령으로 해석하고, 상기 제2 버튼으로부터의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DOWN" 명령으로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시스템 - 상기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의한 오디오 출력의 볼륨을 조정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가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UP" 명령 및 상기 "DOWN" 명령을 오디오 볼륨 제어 명령으로 해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의한 오디오 출력의 볼륨을 상기 "UP" 명령 및 "DOWN" 명령에 각각 응답하여 높게 및 낮게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플립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직립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핸드헬드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중 위에 있는 것이 볼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중 아래에 있는 것이 볼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하부를 향하는 상기 플립의 제1 표면 상의 제1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플립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사항들의 제1 수직 배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택사항들의 제1 수직 배열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UP" 명령 및 상기 "DOWN" 명령을 상기 선택사항들의 제1 수직 배열에 있어서의 선택을 위해 현재 하이라이팅된 요소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수직 네비게이션 명령들로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사항들의 제1 수직 배열은 컨트롤 메뉴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배열은 목록을 포함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의 반대편의 상기 플립의 제2 표면상에 위치하는 제2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사항들의 제2 수직 배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사항들의 제2 수직 배열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UP" 명령 및 상기 "DOWN" 명령을 상기 선택사항들의 제2 수직 배열에 있어서의 선택을 위해 현재 하이라이팅된 요소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수직 네비게이션 명령들로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7.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회전 결합에 의해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 대한 상기 제1 부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부분에 대한 상기 제1 부분의 위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한 상기 제1 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중 제1 및 제2 버튼의 기능을 반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에 응답하여 오디오의 볼륨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선택사항들의 수직 배열에 있어서의 선택을 위해 현재 하이라이팅된 요소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 통신 장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57025377A 2004-06-21 2005-05-26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통신 장치 KR101143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74,063 2004-06-21
US10/874,063 US7274954B2 (en) 2004-06-21 2004-06-21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PCT/US2005/018707 WO2006007215A1 (en) 2004-06-21 2005-05-26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914A KR20070016914A (ko) 2007-02-08
KR101143183B1 true KR101143183B1 (ko) 2012-05-08

Family

ID=3497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377A KR101143183B1 (ko) 2004-06-21 2005-05-26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274954B2 (ko)
EP (1) EP1762084B1 (ko)
KR (1) KR101143183B1 (ko)
CN (1) CN100542185C (ko)
BR (1) BRPI0502231A (ko)
CA (1) CA2570509C (ko)
MX (1) MXPA06015064A (ko)
RU (1) RU2338479C2 (ko)
TW (1) TWI411282B (ko)
WO (1) WO2006007215A1 (ko)
ZA (1) ZA200610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7148A1 (en) * 2005-03-23 2006-09-28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phone with large sensor
JP4693548B2 (ja) * 2005-08-25 2011-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JP4796397B2 (ja) * 2006-01-27 2011-10-19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US7787618B2 (en) 2006-03-29 2010-08-3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756553B2 (en) 2007-01-05 2010-07-13 Apple Inc. Folded flex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TWI337518B (en) * 2007-11-07 2011-02-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US8508480B2 (en) * 2009-01-09 2013-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non-flush general navigation buttons for a clamshell handheld device
CN103144656B (zh) * 2011-05-16 2015-07-01 北京和利时系统工程有限公司 列控系统车载设备及解调轨道电路信号的方法
CN202261417U (zh) * 2011-08-22 2012-05-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壳及应用该外壳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30076654A1 (en) 2011-09-27 2013-03-28 Imerj LLC Handset states and state diagrams: open, closed transitional and easel
JP2014032997A (ja) * 2012-08-01 2014-02-20 Sharp Corp 携帯端末
CN104442598A (zh) * 2014-11-21 2015-03-25 黄荣丰 一种车载视频显示装置
US10779066B1 (en) * 2019-03-29 2020-09-15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radio with button over spea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6309A1 (en) * 1982-06-04 1983-12-2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Process for evaporative stripping
KR100369652B1 (ko) 2001-02-16 2003-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제어 최적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3011A (en) * 1976-07-26 1978-04-04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holder and connector for a radio receiver or the like
US5422656A (en) * 1993-11-01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improved contrast control for a liquid crystal, touch sensitive display
JP2658935B2 (ja) 1994-12-30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ヒンジ構造を有する電子装置
US5716230A (en) 1995-06-02 1998-02-10 Molex Incorporated Surface engageable electrical connector
SE9801379L (sv) * 1998-04-21 1999-10-22 Ericsson Telefon Ab L M Inmatningsenhet och metod för att mata in data i en elektronisk apparat
FI109731B (fi) 1998-06-02 2002-09-30 Nokia Corp Elektroniikkalaite ja ohjauselin
US6215474B1 (en) * 1998-07-27 2001-04-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mode change softkeys
US6359984B1 (en) * 1998-07-28 2002-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ip-up type or folder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which enables user to answer call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KR2001006880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US7054440B2 (en) * 2001-05-23 2006-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keypad represen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483144B2 (ja)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3258944A (ja) * 2002-02-28 2003-09-1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および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FI113130B (fi) * 2002-04-17 2004-02-27 Nokia Corp Kannettava,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joka on varustettu puhelintoiminnoilla ja kameratoiminnoilla
US7257430B2 (en) 2002-05-11 2007-08-14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039443B2 (en) * 2002-10-11 2006-05-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a communic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4135177A (ja)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6309A1 (en) * 1982-06-04 1983-12-2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Process for evaporative stripping
KR100369652B1 (ko) 2001-02-16 2003-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제어 최적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2084B1 (en) 2014-10-22
US7274954B2 (en) 2007-09-25
ZA200610790B (en) 2008-08-27
CA2570509A1 (en) 2006-01-19
MXPA06015064A (es) 2007-03-21
WO2006007215A1 (en) 2006-01-19
CN1973522A (zh) 2007-05-30
TW200614777A (en) 2006-05-01
RU2338479C2 (ru) 2008-11-20
TWI411282B (zh) 2013-10-01
RU2007102057A (ru) 2008-08-10
US20050282594A1 (en) 2005-12-22
CN100542185C (zh) 2009-09-16
CA2570509C (en) 2014-05-20
BRPI0502231A (pt) 2006-02-07
KR20070016914A (ko) 2007-02-08
EP1762084A1 (en)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183B1 (ko)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통신 장치
KR101324422B1 (ko)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EP1762085B1 (en) Mechanical layout and component placement for thin clamshell phone
US6865400B2 (en) User interfacing device for PDA/wireless terminal
KR20040101455A (ko) 전화 기능부들 및 카메라 기능부들을 구비한 접이식휴대용 전자 장치
JP4552463B2 (ja) 携帯端末
JP2006067532A (ja) 携帯端末装置
JP2004112392A (ja) 携帯通信端末並びにそのキーの機能割り当て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4668932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017889A (ko) 얇은 폴더형 전화기를 위한 기계적 레이아웃 및 컴포넌트배치
JP2004357117A (ja) 携帯情報端末
KR100609896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JPH0832659A (ja) 携帯無線機
JP2005294897A (ja) 携帯電話機
JP2008172730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