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896B1 -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9896B1 KR100609896B1 KR1020040085241A KR20040085241A KR100609896B1 KR 100609896 B1 KR100609896 B1 KR 100609896B1 KR 1020040085241 A KR1020040085241 A KR 1020040085241A KR 20040085241 A KR20040085241 A KR 20040085241A KR 100609896 B1 KR100609896 B1 KR 100609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display unit
- folded
- image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된 본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가 폴딩된 경우 화상이 형성되는 개방표시부와, 언폴딩된 경우 화상이 형성되는 폐쇄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체가 폴딩된 경우에는 개방표시부를 통해 화상을 볼 수 있고, 언폴딩된 경우에는 폐쇄표시부를 이용하여 화상을 볼 수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가 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10 : 디스플레이부
12 : 개방표시부 13 : 폐쇄표시부
20 : 본체 21 : 음악실행부
22 : 방송실행부 30 : 힌지부
40 : 제어부 50 : 감지센서
본 발명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가 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일영역이 개방될 수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는 음성통신 또는 화상통신이 가능하고 이동성 및 휴대성이 좋으며, 휴대전화(Cellular Phone), 피디에이(PDA), 휴대용컴퓨터(Portable Computer) 등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환경이 보편화됨에 따라 각종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들이 출현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각종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를 휴대하면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중 휴대전화 및 피디에이는 전화기능은 물론 무선인터넷, MP3, 디지털 카메라, 방송수신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 제1999-0030466호에 개시된 종래의 폴더 타입의 휴대전화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한다.
본체는 본체의 상단에 안테나장치가 설치되고, 안테나장치의 하측으로 다수개의 기능키나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및 마이크장치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는 상단에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피스(ear piece)를 포함하고, 이어피스 하측으로 엘씨디(LCD)가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본체에 대해 개폐됨에 따라 통화대기모드 및 통화모드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상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방송 또는 음악파일 등이 실행되는 경우 그 실행 상황을 보기 위해서 사용자가 항상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해야 하 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가 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일영역이 개방될 수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폴딩될 때 개방되는 개방표시부와, 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폴딩될 때 폐쇄되는 폐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폴딩된 경우 상기 개방표시부에 화상이 형성되고, 언폴딩된 경우 상기 개방표시부 및 상기 폐쇄표시부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위성방송 및 음악파일 실행 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폴딩된 경우 음악파일을 실행시키는 음악실행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언폴딩된 경우 위성방송을 실행시키는 방송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악실행부는 상기 본체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 되고, 상기 방송실행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가 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1)는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디스플레이부(10)와 결합된 본체(20)와, 본체(20)를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상이 형성되는 표시부(11)와, 표시부(1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4)을 포함한다.
표시부(11)는 일영역에 마련되어 본체(20)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폴딩될 때 개방되는 개방표시부(12)와, 타영역에 마련되어 본체(20)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폴딩될 때 폐쇄되는 폐쇄표시부(13)를 포함한다. 이에, 본체(20)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폴딩될 때 개방표시부(12)는 개방되고 폐쇄표시부(13)는 본체(20)에 의해 폐쇄된다. 일반적으로 개방표시부(12) 및 폐쇄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1)는 본체(20)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폴딩된 경우 개방표시부(12)에 화상이 형성되고, 언폴딩된 경우 폐쇄표시부(13)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본체(20)가 폴딩된 경우에는 개방표시부(12)를 통해 화상을 볼 수 있고, 언폴 딩된 경우에는 폐쇄표시부(13)를 이용하여 화상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본체(20)가 폴딩된 경우 개방표시부(12)에만 화상이 형성되고, 언폴딩된 경우 개방표시부(12) 및 폐쇄표시부(13) 전체화면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체(20)가 언폴딩된 경우 표시부(11) 전체를 통해 화상을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감성이 향상된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20)는 위성방송 및 음악파일 실행 가능하며, 본체(20)에 마련되고 본체(20)가 폴딩된 경우 음악파일을 실행시키는 음악실행부(21)와, 본체(20)가 언폴딩된 경우 위성방송을 실행시키는 방송실행부(22)를 포함한다.
음악실행부(21)는 본체(20)가 폴딩될 때 본체(20)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일반적으로 음악실행을 위한 온/오프(on/off), 플레이(play), 감기(forward, rewind)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는 본체(20)가 폴딩된 경우 본체(20)의 상부면에 마련된 음악실행부(21)를 조작하여 음악을 청취할 수 있으며, 곡명 또는 가사 등을 개방표시부(12)를 통해 볼 수 있다.
방송실행부(22)는 본체(20)가 폴딩될 때 본체(20)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일반적으로 방송실행을 위한 파워(power), 메뉴(menu), 모드(mode)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는 본체(20)가 언폴딩된 경우 본체(20)의 내측면에 마련된 방송실행부(22)를 조작하여 방송을 실행할 수 있다.
힌지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 및 본체(20)의 상부에 연결되어 본체(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므로, 개방표시부(12)는 표시부(11)의 상측에 배치되 고 폐쇄표시부(13)는 표시부(11)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20)가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해 회동하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감지센서(50)는 본체(20)의 폴딩 및 언폴딩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신호를 송신하면, 제어부(40)는 폴딩된 경우에는 개방표시부(12)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언폴딩된 경우에는 폐쇄표시부(13)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악실행부 및 방송실행부가 본체에 마련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힌지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부의 측부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개방표시부 및 폐쇄표시부는 표시부의 좌우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가 폴딩된 경우에는 개방표시부를 통해 화상을 볼 수 있고, 언폴딩된 경우에는 폐쇄표시부를 이용하여 화상을 볼 수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된 본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가 폴딩된 경우 화상이 형성되는 개방표시부와, 언폴딩된 경우 화상이 형성되는 폐쇄표시부를 포함하며,상기 본체는 위성방송 및 음악파일 실행 가능하며,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가 폴딩된 경우 음악파일을 실행시키는 음악실행부와;상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가 언폴딩된 경우 위성방송을 실행시키는 방송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음악실행부는 상기 본체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방송실행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5241A KR100609896B1 (ko) | 2004-10-25 | 2004-10-25 |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5241A KR100609896B1 (ko) | 2004-10-25 | 2004-10-25 |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6195A KR20060036195A (ko) | 2006-04-28 |
KR100609896B1 true KR100609896B1 (ko) | 2006-08-09 |
Family
ID=3714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5241A KR100609896B1 (ko) | 2004-10-25 | 2004-10-25 |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9896B1 (ko) |
-
2004
- 2004-10-25 KR KR1020040085241A patent/KR1006098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6195A (ko) | 2006-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02027B2 (ja) | 情報通信端末 | |
JP5187192B2 (ja) | 携帯端末 | |
TWI411282B (zh) | 在上外殼部分包括一或多個電控制鈕之通信裝置及操作其之方法 | |
FI118621B (fi) |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 |
KR101324422B1 (ko) |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 |
JP2007179525A (ja) | 携帯型電子機器 | |
JP5206670B2 (ja) | 携帯端末装置、その機能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3428564B2 (ja) |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 |
JP2010252370A (ja) | 携帯通信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の制御方法 | |
KR100879537B1 (ko) | 소리 자동 조절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
JP2007049562A (ja) |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040198476A1 (en) | Cell phone | |
JP2014168271A (ja) | 携帯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入力操作画面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 |
JP2002344592A (ja) | 携帯端末装置 | |
JP4859796B2 (ja) | 開閉式通信端末装置 | |
KR100609896B1 (ko) |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
JP4286428B2 (ja) | 携帯無線機 | |
JP2005142626A (ja) |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 |
JP2004312631A (ja) | 折畳式携帯電話装置 | |
KR20040070973A (ko) | 다중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JP2010199693A (ja) | 電子機器 | |
KR100598401B1 (ko) |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 |
JP2004357117A (ja) | 携帯情報端末 | |
JP2004215020A (ja) |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 |
KR101113871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