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28B1 - 케이블 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428B1
KR101142428B1 KR1020120016796A KR20120016796A KR101142428B1 KR 101142428 B1 KR101142428 B1 KR 101142428B1 KR 1020120016796 A KR1020120016796 A KR 1020120016796A KR 20120016796 A KR20120016796 A KR 20120016796A KR 101142428 B1 KR101142428 B1 KR 10114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hole
roller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익
양희석
Original Assignee
(주) 노브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노브컴 filed Critical (주) 노브컴
Priority to KR102012001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2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fluid, e.g. ai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for facilitating insertion by fluid drag in ducts or capillar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5Installing in protective tubing by fluid drag during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과 접촉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로부터 이송된 케이블이 중앙의 통공을 통하여 통과되는 제1가이드유닛; 상기 케이블이 포설될 튜브가 착탈가능하게 일단에서 결합되며, 중앙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2가이드유닛; 상기 제1가이드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홀, 상기 제2가이드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체결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체결홀과,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이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전달유닛; 및 상기 제1가이드유닛을 통과한 케이블이 상기 제2가이드 유닛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 개 관통홀과,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상기 복수 개 관통홀 각각에 전달하는 복수 개 전송홀을 구비하며, 상기 전달유닛의 장착공간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는 매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직경 변화에 따라 간단한 구조 내지 조작만으로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더욱 효율성 높은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더욱 향상된 포설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 장치{DEVICE FOR INSTALLING A CABLE BY AIR BLOWING}
본 발명은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직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통하여 케이블 포설의 작업 능률과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포설 장치 내지 공법은 광섬유 등이 포설될 튜브를 건물 내지 장소 등에 미리 설치한 후, 광섬유 유닛과 같은 포설 객체를 물리적인 힘으로 이송시키면서 기체 압력을 가하여 튜브 내부로 진행시켜 설치하는 장치 내지 방식을 의미한다.
ABF(Air Brown Fiber)로 칭해지는 광섬유 내지 광섬유 객체가 이와 같은 포설 장치에 의하여 포설되는 주요 대상이었으나, 광섬유의 회선이 많아지고 중장거리를 포설할 필요성이 많아짐에 따라 근래에는 광섬유 다발 등으로 이루어진 광케이블 등을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포설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물리적 지지력이 약한 광섬유와 대비하여 케이블은 강성의 재질로 주로 제작되므로 포설 시의 직진 이동성이 높으며 또한, 습기, 먼지, 튜브의 굴곡 등과 같은 포설 장애 사유 등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작게 받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은 광섬유를 비롯하여 전선 다발체 등을 외피 안에 내장하고 있으므로 내장된 광섬유의 개수, 전선의 종류, 전선 가닥의 수, 케이블 내부 구조, 외피의 재질 등에 따라 그 직경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는 적응 구조 내지 구성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장치에 설치된 부품 등을 전면적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다른 스펙(Spec.)을 가지는 장치로 기존 장치 자체를 대체하여야하므로 작업이 빈번히 중단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추가적으로 장치를 준비하거나 구비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경제성에서도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공기압 포설 방식은 압축 공기가 누설되는 경우 포설 효율이 현저히 저감되며, 케이블과 롤러 사이에 최적화된 회전 마찰력이 형성되지 않으면 케이블의 포설 효율에 문제가 발생하는데, 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따라 포설 장치가 최적화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공기 누출 및 롤러의 회전 마찰력 등에 의한 문제는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 문제점 내지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 조작 내지 변화만으로 케이블 직경에 대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케이블 포설 작업에 대한 더욱 높은 적응성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과 접촉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로부터 이송된 케이블이 중앙의 통공을 통하여 통과되는 제1가이드유닛; 상기 케이블이 포설될 튜브가 착탈가능하게 일단에서 결합되며, 중앙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2가이드유닛; 상기 제1가이드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홀, 상기 제2가이드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체결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체결홀과,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이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전달유닛; 및 상기 제1가이드유닛을 통과한 케이블이 상기 제2가이드 유닛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 개 관통홀과,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상기 복수 개 관통홀에 전달하는 전송홀을 구비하며, 상기 전달유닛의 장착공간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는 매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매개유닛은 다각 기둥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몸체 각 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전송홀은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상기 복수 개 관통홀 각각에 전달하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전송홀은 상기 유입홀과 관통홀을 상기 케이블의 포설 진행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롤러는 상기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롤러 각각이 설치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이 바깥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진 경사 내면을 가지는 제1 및 제2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 상기 경사 내면과 대면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나사축에 나사 결합하는 결합부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끼움체; 및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상기 제1가이드유닛은 동일한 외경과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어 케이블 직경 차이에 따른 공기 유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포설용 케이블의 이송과 튜브 등과의 결합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어 포설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케이블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 발생되는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케이블 변경에 따라 작업이 중단되는 빈도와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해당 부품의 전면적인 교체를 수반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어 비용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포설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롤러의 물리적 지지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써 케이블 직경이 변경되더라도 이에 최적화된 마찰력과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어 항상 케이블을 강하게 밀착하여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개선된 포설 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설 장치의 내부 구조 내지 구성 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설 장치의 세부 구성과 그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매개 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1가이드 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설 장치의 내부 구조 내지 구성 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 장치(100)(이하 포설 장치로 지칭한다)는 롤러 구동유닛(110), 전달유닛(120), 매개유닛(130), 제1가이드유닛(140) 및 제2가이드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설 객체를 포설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설 대상 내지 객체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내부에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전선과 그 구조체 등을 내부에 포함하는 일반 케이블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포설 대상 내지 객체를 케이블로 통칭하도록 한다.
포설 대상이 되는 케이블(A)은 본 발명의 포설 장치(100)를 거쳐 튜브(B) 내부로 포설되는데, 케이블 유입유닛(30)으로 입력된 케이블(A)은 롤러 구동유닛(110)에 구비된 롤러의 회전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되어 롤러 구동유닛(110)의 후방에 구비된 전달유닛(120)으로 유입된다.
전달유닛(120)으로는 컴프레셔(미도시) 등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 공기가 에어관(도 2의 70)을 통하여 공급되는데 이 압축 공기의 힘에 의해 전달유닛(120)으로 유입된 케이블(A)이 본 발명의 제2가이드유닛(150)에 끼움 결합된 튜브(B) 내부로 포설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은 케이블(A)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고 포설용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달유닛(120)에 마련된 장착공간(125)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는 매개유닛(130)을 포함한다. 이 매개유닛(130) 및 매개 유닛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포설 장치(100)의 본체(10)에는 장치 조작과 포설 모니터링 등을 위한 다양한 조작 키 또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스타트 스위치(71), 압력표시부(72), 롤러 전후진 설정부(73), 진행 거리 표시부(74), 롤러속도 조절부(75), 상태 표시부(76), 포설 거리 세팅부(77), 비상 스위치(78) 롤러 속도 표시부(79) 및 파워 스위치(81)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상태 계기판(76)에는 세팅된 포설 거리 정보의 출력은 물론, 후술되는 롤러(115, 117)의 회전 속도, 외경, 단위 시간당 회전수(RPM 등) 등을 연산하여 현재 케이블(A)의 실제 진행된 작업 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세팅된 포설 예정 거리와 현재 포설 속도 등을 연산하여 작업 종료 예정 시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내부 제어모듈의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세팅된 포설 예정 거리까지 케이블(A) 포설이 이루어지면 포설 장치(100)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중 포설 장애 사유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시각 또는 청각적 매체를 이용한 알람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블(A)이 본 발명의 포설 장치(100)에서 이동되는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상세 구성 및 이들에 대한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포설 대상이 되는 케이블(A)은 케이블 유입유닛(30)을 통하여 본 발명의 포설 장치(100)로 유입되는데 케이블 유입유닛(30)은 후술되는 제1가이드유닛(140)과 같이 외경은 동일하되 내경이 서로 다른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된 케이블(A)은 케이블과 접촉하며 회전 운동을 하는 롤러(115)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된다. 롤러는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케이블(A) 이송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대면하는 쌍(pair)의 형태로 2개 내지 짝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쌍으로 구현되는 롤러 모두에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측 롤러에만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롤러의 회전 속도 등을 센싱하고 롤러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보조 롤러(117)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케이블의 포설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롤러가, 후방에 보조 롤러(117)가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이와는 달리 케이블을 기준으로 일측에 구비된 롤러 2개에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타측에 위치한 롤러를 가이드를 위한 보조 롤러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롤러(115)를 포함하는 롤러 구동유닛(110)은, 롤러에 회전력을 가하는 모터등의 구동수단, 힘의 전달을 위한 기어구조, 회전력 제어를 위한 전기전자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롤러 구동유닛(110)의 커버(111)에는 투명창(1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 구동유닛(110)의 커버(111)는 고장 상황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장치의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커버(111) 하면에는 자성체(15)를 구비하여 본체(10) 상면에 구비된 자성체(16)와의 자기력을 통해 커버가 닫힌 경우 외부 진동 등에 의하여 커버(111)가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115)의 물리적 회전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된 케이블(A)은 다음 차순으로 본 발명의 전달유닛(120)으로 입력된다. 전달유닛(120)은 앞서 설명된 롤러 구동유닛(110)과 같이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하며, 커버 아래면에는 자성체(35)가 구비되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본체의 자성체(36)와의 자기력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달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4 등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홀(121), 제2체결홀(123) 및 장착공간(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홀(121)은 제1가이드유닛(140)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제2체결홀(123)은 제1체결홀(121)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제2가이드유닛(150)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결합의 결속력을 높이고 해제가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가이드유닛(140, 150)은 제1 및 제2체결홀(121, 123) 각각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유닛(120)의 장착공간(125)은 본 발명의 매개유닛(130)이 밀착되도록 끼움 결합 내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그 하면에는 에어관(70)과 연결되어 압축 공기 가 유입되는 유입홀(127)이 구비되며,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2체결홀(121, 123)이 측면에서 노출되는 형태로 제1체결홀(121) 및 제2체결홀(123) 사이에 위치한다.
롤러(115, 117)에서 이송된 케이블(A)은 제1체결홀(121)에 체결된 제1가이드유닛(140)의 중앙 통공(141)을 통과하며, 후술되는 매개유닛(130)을 거쳐 제2체결홀(123)에 체결된 제2가이드유닛(150)의 통공(151)을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제2가이드유닛(150)의 일단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튜브(B)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일련의 포설 진행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유닛(120)의 장착공간(125)에 끼움 결합되는 본 발명의 매개유닛(130)은 몸체(131), 플렌지(133), 관통홀(136) 및 전송홀(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매개유닛(130)의 관통홀(136)은 상기 제1가이드유닛(140)을 통과한 케이블(A)이 상기 제2가이드유닛(150)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통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유닛(130) 몸체(131)의 각 측면에 서로 다른 직경(A, B, C)을 가지는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된다.
도면에는 매개유닛(130)의 몸체(131)을 6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대면하는 3개의 면을 기준으로 3개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136)을 도시하고 있으나, 더 많은 면수를 가지는 다각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131)는 물론, 더 많은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136)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개유닛(130)의 전송홀(137)은 전달유닛(120)의 장착 공간(125) 하면에 형성된 유입홀(127)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를 상기 복수 개 관통홀(136)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입된 압축 공기가 각각의 관통홀(136)에 집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홀(137)은 관통홀(136)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홀(137)을 몸체(131) 중앙 부위에 형성하여 복수 개 관통홀(136)에 공통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압축 공기가 케이블(A)에 압축 공기가 집중되는 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포설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압축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포설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전송홀(137)은 상기 유입홀(127)과 각각의 관통홀(136)을 상기 케이블(A)의 포설 진행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유닛(130)의 몸체(131) 상측에 상기 전달유닛(120)의 상면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133)를 형성하고 플랜지(133)에 구비된 결합 통공(135)와 전달유닛(120) 상면에 형성된 결합 통공(126)을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전달유닛(120)과 매개유닛(130)의 밀착 결합력을 높여 압축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유닛(130)이 전달유닛(120)에 끼움 결합될 때, 결합 면에서 압축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체 등의 기밀 수단(138)이 개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매개유닛(130)의 전송홀(137) 하면과 장착공간의 유입홀(127) 사이에도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기밀 수단이 개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유닛(120)의 제1체결홀(121) 및 제2체결홀(123)의 높이는 상기 매개유닛(130)의 관통홀(136)의 높이와 대응되며, 장착공간(125)의 깊이(h2)는 매개유닛(130)의 몸체(131)의 높이와 대응된다. 장착공간(125)의 너비와 매개유닛(130)의 너비가 서로 대응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전달유닛(120)에 매개유닛(130)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매개유닛(130) 또한, 직경마다 서로 다른 관통홀(136)이 구비되므로, 작업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직경이 다른 케이블(A)을 포설해야 하는 경우, 전달유닛(120)의 장착공간(125)에 장착된 매개유닛(130)의 끼움 결합을 해제하고, 매개유닛(130)의 방향을 변경하여 다시 결합하는 상당히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이러한 작업 환경의 변화에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포설을 위하여 유입된 압축 공기는 가능한 한 정방향 즉, 케이블(A)이 포설되는 방향으로 강한 스트림(stream)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포설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관점에서 가능한 한 압축 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본 발명의 포설 장치(100)의 관점에서 살펴볼 때, 케이블(A)이 진입하는 제1가이드유닛(140)에서 역방향으로 압축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내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제1가이드 유닛(140)이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유닛(140)은 상기 전달유닛(120)에 형성된 제1체결홀(121)에 체결되는 구성이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유닛(140)의 외경(d1)은 모두 동일하되, 내경 즉, 케이블(A)이 통과되는 중공(141)의 직경(d2, d3, d4 등)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제1가이드유닛(14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A)의 직경이 변경되면,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매개유닛(130)의 방향을 바꾸고, 이와 함께 적절한 내경을 가지는 제1가이드유닛(140)으로 기 체결된 제1가이드유닛(140)을 교체함으로써 포설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롤러(115) 사이의 간격을 케이블(A) 직경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본 발명의 구성을 상술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5) 사이의 간격 조정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플레이트(201), 제2플레이트(203), 탄성체(207), 끼움체(210), 나사축(220) 및 회전부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롤러(115)은 서로 마주보는 쌍(pair)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설명의 효율성을 위하여 쌍으로 구비된 롤러를 제1 및 2롤러로 명칭상 구분한다. 앞서 롤러(115) 및 보조롤러(117)를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는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롤러이거나 또는 케이블의 직진성을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롤러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플레이트(201) 및 제2플레이트(203)에는 각각 제1롤러 및 제2롤러, 이를 구동하는 모터, 기어박스, 전자제어소자 등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진 경사 내면을 포함한다.
한편,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탄성체(207)는 제1 및 제2플레이트 각각에 안쪽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201, 203)는 그 대면하는 중심 방향의 힘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이 탄성체(207)는 소정의 물리적 지지체(205)에 의해 물리적으로 지지되는데, 이 지지체(205)는 본 발명의 장치 본체(10) 그 자체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의 탄성력을 지지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 형상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201, 203) 사이에는 나사축(220)과 끼움체(210)가 위치한다. 상기 끼움체(210)는 나사축(220)을 따라 왕복 이동 즉,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201, 203) 사이 중심 방향으로 진입하거나 퇴거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및 제2플레이트(201, 203)의 경사 내면과 대면하는 경사면을 가지는데 이 경사면의 경사와 방향은 상기 경사 내면과 각각 대응된다.
끼움체의 왕복 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체(210) 내부에는 나사축(220)에 형성된 나사 산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나사축(220)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213)가 구비된다.
나사축(220)의 끝 부분 또는 기어 등의 배치에 따라 나사축(220)과 이격된 위치에는 나사축(22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30)가 구비되는데, 이 회전부재(230)는 소정의 물리적 구조에 의하여 회전은 가능하나 그 외의 물리적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등이 이 회전부재(230)를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나사축(220)이 회전한다. 끼움체(210)는 제1플레이트(201) 및 제2플레이트(203)과 대면하고 있어 면접촉에 의한 물리적 지지를 받고 있으므로 회전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며, 끼움체(210) 내부에 구비된 결합부(213)는 회전하는 나사축(220)과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축(220)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산을 따라 결합부(213) 즉, 결합부(213)가 구비된 끼움체(210)는 진퇴 운동을 하게 된다.
끼움체(210) 자체가 회전하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 구성이 끼움체(210) 주위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사축(220) 즉, 회전부재(2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끼움체(210)가 중심방향으로 진입한다. 나사산의 구조 및 나사 결합 방향 등을 이용하여 상기 끼움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방향으로 끼움체(210)가 진입하면, 제1 및 제2플레이트(201, 203)의 경사 내면에 힘이 가해지고, 가해진 힘에 의하여 제1 및 제2플레이트(201, 203)는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각 플레이트(201, 203)에 구비된 롤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반대로, 나사축(2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끼움체(210)가 퇴거하게 되고 탄성체(207)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제1플레이트(201)와 제2플레이트(203)는 다시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각 플레이트(201, 203)의 이동에 의하여 각각의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1 및 제2롤러의 간격은 다시 좁아지게 된다.
케이블은 자체의 강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롤러 사이로 케이블이 진입하는 경우 그 유격이 클 필요는 없으므로 강성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가 바람직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적은 힘을 가해도 상기 끼움체(210)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230)의 반경을 크게 하거나 기어의 조합 구조를 채용하여 힘의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에 복수 개의 광섬유가 구비된 광케이블의 경우,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표면에 스크류(screw)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케이블(A)에 대접하는 롤러의 표면에 상기 스크류 요철 구조에 대응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요철 구조 부합을 통한 더욱 강한 회전 마찰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사용된 제1, 제2 또는 상부, 하부 등과 같은 용어는 각 구성과 위치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절대적인 기준에서 각각의 구성을 구분하거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A : 케이블 B : 튜브
100 : 본 발명의 포설 장치 110 : 롤러 구동유닛
115, 117 : 롤러 120 : 전달유닛
121 : 제1체결홀 123 : 제2체결홀
125 : 장착공간 127 : 유입홀
130 : 매개유닛 131 : 몸체
133 : 플렌지 136 : 관통홀
137 : 전송홀 140 : 제1가이드유닛
150 : 제2가이드유닛 201, 203 : 제1 및 제2플레이트
207 : 탄성체 210 : 끼움체
220 : 나사축 230 : 회전부재

Claims (6)

  1. 케이블과 접촉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로부터 이송된 케이블이 중앙의 통공을 통하여 통과되는 제1가이드유닛;
    상기 케이블이 포설될 튜브가 착탈가능하게 일단에서 결합되며, 중앙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2가이드유닛;
    상기 제1가이드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홀, 상기 제2가이드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체결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체결홀과,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이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전달유닛; 및
    상기 제1가이드유닛을 통과한 케이블이 상기 제2가이드 유닛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 개 관통홀과,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상기 복수 개 관통홀에 전달하는 전송홀을 구비하며, 상기 전달유닛의 장착공간에 밀착되어 끼움 결합되는 매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유닛은,
    다각 기둥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몸체 각 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유닛의 전송홀은,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상기 복수 개 관통홀 각각에 전달하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유닛의 전송홀은,
    상기 유입홀과 관통홀을 상기 케이블의 포설 진행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롤러 각각이 설치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이 바깥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진 경사 내면을 가지는 제1 및 제2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
    상기 경사 내면과 대면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나사축에 나사 결합하는 결합부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끼움체; 및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유닛은,
    동일한 외경과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0120016796A 2012-02-20 2012-02-20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14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96A KR101142428B1 (ko) 2012-02-20 2012-02-20 케이블 포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96A KR101142428B1 (ko) 2012-02-20 2012-02-20 케이블 포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428B1 true KR101142428B1 (ko) 2012-05-08

Family

ID=4627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796A KR101142428B1 (ko) 2012-02-20 2012-02-20 케이블 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4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785A (ko) * 1995-07-24 1999-05-25 쁠뤼메따 에스. 아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82026B1 (ko) 2002-05-09 2007-12-04 주식회사 케이티 다공관조립체
KR20070116873A (ko) * 2005-03-31 2007-12-11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광파이버 설치 장치 및 방법
KR20080103087A (ko) * 2006-03-10 2008-11-26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케이블 설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785A (ko) * 1995-07-24 1999-05-25 쁠뤼메따 에스. 아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82026B1 (ko) 2002-05-09 2007-12-04 주식회사 케이티 다공관조립체
KR20070116873A (ko) * 2005-03-31 2007-12-11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광파이버 설치 장치 및 방법
KR20080103087A (ko) * 2006-03-10 2008-11-26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케이블 설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968B2 (en) Cable laying device
JP2017185597A (ja) ロボットの線条体処理構造
KR20090068367A (ko) 광 파이버 설치 장치
US20100046895A1 (en) Blown cable installation
CN111810764A (zh) 一种非开挖石油管道破损修复装置
JP2006090121A (ja) 滑ることの可能な分割要素用駆動装置、駆動組立製品及び分割要素
KR101142428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JP2011016189A (ja) 研磨装置
KR20150029963A (ko) 케이블 이송장치
KR101195976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권취장치
CN105459107A (zh) 一种喷涂大直径管道内壁的机械臂
CN116544861A (zh) 一种用于机电安装的管线设备
KR200479829Y1 (ko) 공기 조화기용 이중 댐퍼 조립체 및 이중 댐퍼 조립체를 이용한 서버룸 냉각 시스템
KR100856801B1 (ko) 조향장치를 갖는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로봇
KR101469016B1 (ko) 가변센터링모듈 및 가변지지모듈을 동시에 구비하여 이중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노후관로 갱생용 주행로봇
KR102017523B1 (ko) 케이블 포드의 장력 유지장치
WO2009107439A1 (ja) 段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搬送方法
IT9067246A1 (it) Apparecchio per la perforazione di rocce
KR20220018527A (ko) 도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위한 로터리 조인트
ATE308061T1 (de) Signalübertragungskabel
KR20120020237A (ko) 케이블을 이용한 이송장치용 윈치
US7963188B2 (en) Industrial robot having a suspended unit
JP2017103939A (ja) 自走式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ープ巻付け方法
KR20180007851A (ko)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KR20160017409A (ko) 용접장치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