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963A - 케이블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963A
KR20150029963A KR20130109065A KR20130109065A KR20150029963A KR 20150029963 A KR20150029963 A KR 20150029963A KR 20130109065 A KR20130109065 A KR 20130109065A KR 20130109065 A KR20130109065 A KR 20130109065A KR 20150029963 A KR20150029963 A KR 2015002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tray
mounting frame
roll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5776B1 (ko
Inventor
지창열
박순욱
백승철
송준선
안유진
유정석
이해영
홍순용
고재천
김대영
김재우
박상은
손정희
오태권
이무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7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케이블 이송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는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아이들롤러와의 사이에 이송을 위한 케이블이 위치하도록 아이들롤러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롤러; 케이블 트레이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프레임; 및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이송장치{CABLE FEEDER}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롤러에 인접하도록 장착되어 롤러와 더불어 케이블 이송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에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각종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많은 케이블이 설치된다. 직경이 작은 저전압용 케이블에서부터 직경이 큰 고전압용 케이블까지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설치된다.
케이블을 설치할 때는 케이블이 지나는 경로에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설치하고, 곳곳마다 많은 작업 인력이 분산 배치된 상태에서 트레이 위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작업을 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작업 대부분을 사람 손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윈치나 케이블 이송장치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게 되면서 포설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하고 있다. 또 케이블 포설작업을 수행할 때는 케이블과 케이블 트레이의 마찰을 줄여 케이블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블 트레이 곳곳에 롤러를 설치하기도 한다.
한편, 케이블 포설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케이블 이송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90626호(2011. 08. 10. 공개)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117036호(2007. 12. 12. 공개)에 개시된 예처럼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이동시켜 설치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상하로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간의 공간이 협소한 구간 등에서 이용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90626호(2011. 08. 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117036호(2007. 12. 12.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롤러에 인접하도록 장착되어 롤러와 더불어 케이블 이송을 구현할 수 있는 케이블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볍고 부피가 작아 이동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아이들롤러와의 사이에 이송을 위한 케이블이 위치하도록 상기 아이들롤러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롤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부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에 지지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 하단을 가압하여 결속을 구현하도록 상기 측면지지부 하측에 설치된 조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장치는 상기 측면지지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에 나사결합된 조임나사와, 상기 조임나사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 하단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조임장치의 조임력 조절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블을 가압하는 힘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이송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스플라인 구동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스플라인 구동축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한쪽 측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플라인 구동축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제1장착프레임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다른 쪽 측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스플라인 구동축의 다른 쪽 단부를 지지하는 제2장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는 장착프레임을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부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아이들롤러와 더불어 케이블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는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켜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을 포설하는 작업은 케이블 트레이(10)에 케이블 이송장치(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케이블 이송장치(100)가 케이블(1)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질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0)에는 케이블(1)과 케이블 트레이(10)의 마찰을 줄여 케이블(1)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곳곳에 다수의 아이들롤러(20)가 설치될 수 있다. 아이들롤러(20)는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그 회전축(21) 양단이 케이블 트레이(10)의 측면부(11)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아이들롤러들(20)은 필요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1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케이블 이송장치(100)는 아이들롤러(20)가 설치된 위치의 케이블 트레이(10)에 장착됨으로써 아이들롤러(20)와 더불어 케이블(1)의 견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이송장치(100)는 아이들롤러(20)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롤러(110)와, 케이블 트레이(10)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롤러(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프레임(120)과, 장착프레임(120)에 설치되어 구동롤러(11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30)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10)는 그 축(111)이 아이들롤러(20)의 축(21)과 평행하도록 아이들롤러(2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이송을 위한 케이블(1)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은 하부가 아이들롤러(20)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가 구동롤러(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구동롤러(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보다 중간부분의 외경이 작게 마련된다. 이러한 형태는 케이블(1)의 이송과정에서 케이블(1)을 구동롤러(110)의 중간부분으로 유도함으로써 케이블(1)이 구동롤러(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프레임(120)은 구동모터(130)가 장착되는 모터지지부(121)와, 케이블트레이(10)의 측면부(11)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상측지지부(122),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11)에 지지되는 측면지지부(123), 측면지지부(123)의 하단으로부터 케이블 트레이(10)의 측면부(11)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4), 연장부(124)에 설치된 조임장치(125)를 구비한다.
조임장치(125)는 연장부(124)에 나사결합된 조임나사(125a)와, 조임나사(125a)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11) 하단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재(125b)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프레임(120)은 상측지지부(122)가 케이블 트레이(10)의 측면부(11) 내측에 걸린 상태에서 측면지지부(123)가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11) 외측을 지지하고, 하부의 조임장치(125)가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11) 하단을 걸어서 가압하는 방식으로 결속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장착프레임(10)은 조임장치(125)의 조임나사(125a)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방식으로 구동롤러(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동롤러(110)가 케이블(1) 상부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이송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롤러(110)가 아이들롤러(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프레임(120)을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11)에 장착함으로써 견인 대상 케이블(1)이 아이들롤러(20)와 구동롤러(110) 사이에 물리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구동롤러(110)가 회전하면, 구동롤러(110)의 회전력이 마찰에 의해 케이블(1)에 전달됨으로써 케이블(1)의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또 케이블 이송장치(100)는 장착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10)의 측면부(11)에 장착하거나 케이블 트레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피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켜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에 설치된 다수의 아이들롤러(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케이블(1)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아이들롤러(20)에 각각 케이블 이송장치(100)를 설치하면, 복수의 케이블 이송장치(100)가 협력하여 케이블(1)을 이송시키게 되므로, 보다 원활한 케이블(1)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장치를 나타낸다. 도 4의 케이블 이송장치(200)는 케이블 트레이(10)의 한쪽 측면부(11)에 장착되는 제1장착프레임(220)과, 케이블 트레이(10)의 반대편 측면부(12)에 장착되는 제2장착프레임(240)과, 구동모터(230)와 연결되며 그 외면에 구동롤러(210)가 설치된 스플라인 구동축(211)을 구비한다. 제1장착프레임(220)과 제2장착프레임(240)은 앞서 언급한 예의 장착프레임(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마련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10)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구동모터(230)는 제1장착프레임(2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플라인 구동축(211)은 한쪽 단부가 구동모터(230)와 연결된 상태로 제1장착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쪽 단부가 제2장착프레임(2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스플라인 구동축(211)은 케이블 트레이(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다.
구동롤러(2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플라인 구동축(211) 외면에 스플라인 축이음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2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축방향으로(케이블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4의 예는 구동롤러(210)의 위치를 케이블 트레이(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을 구동롤러(210)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되는 케이블(1)이 케이블 트레이(10)의 양 측면부(11,12) 쪽에 위치하거나 케이블 트레이(1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케이블(1)의 원활한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
1: 케이블, 10: 케이블 트레이,
11: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부, 20: 아이들롤러,
100: 케이블 이송장치, 110: 구동롤러,
120: 장착프레임, 125: 조임장치,
130: 구동모터.

Claims (6)

  1.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아이들롤러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롤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부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에 지지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 하단을 가압하여 결속을 구현하도록 상기 측면지지부 하측에 설치된 조임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는
    상기 측면지지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에 나사결합된 조임나사와,
    상기 조임나사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부 하단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송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조임장치의 조임력 조절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블을 가압하는 힘이 조절되는 케이블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스플라인 구동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스플라인 구동축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한쪽 측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스플라인 구동축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제1장착프레임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다른 쪽 측면부에 장착되며 상기 스플라인 구동축의 다른 쪽 단부를 지지하는 제2장착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이송장치.
KR1020130109065A 2013-09-11 2013-09-11 케이블 이송장치 KR101525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065A KR101525776B1 (ko) 2013-09-11 2013-09-11 케이블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065A KR101525776B1 (ko) 2013-09-11 2013-09-11 케이블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63A true KR20150029963A (ko) 2015-03-19
KR101525776B1 KR101525776B1 (ko) 2015-06-04

Family

ID=5302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065A KR101525776B1 (ko) 2013-09-11 2013-09-11 케이블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7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68B1 (ko) * 2015-04-24 2015-12-2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벽체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200493049Y1 (ko) * 2020-05-11 2021-01-21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KR102274799B1 (ko) * 2021-01-18 2021-07-07 이승민 철도용 전력케이블 3열을 동시에 포설 가능한 포설장비
KR102499254B1 (ko) * 2022-06-29 2023-02-14 정성일 케이블 전선 이송장치
KR102580510B1 (ko) * 2022-11-23 2023-09-21 (주)모던텍 전기차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241B1 (ko) 2021-05-03 2021-09-06 주식회사 금명 태선 케이블 이동 및 권취 장비 어셈블리
KR102298244B1 (ko) 2021-05-03 2021-09-06 주식회사 금명 중선 케이블 이동 및 권취 장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596A (ko) * 2007-05-31 2008-12-04 (주)동양인더스트리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이송구
KR200455845Y1 (ko) * 2009-11-06 2011-09-27 허광학 케이블 포설기
KR101122272B1 (ko) * 2010-03-23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KR101087044B1 (ko) * 2011-10-25 2011-11-2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포설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68B1 (ko) * 2015-04-24 2015-12-28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벽체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200493049Y1 (ko) * 2020-05-11 2021-01-21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KR102274799B1 (ko) * 2021-01-18 2021-07-07 이승민 철도용 전력케이블 3열을 동시에 포설 가능한 포설장비
KR102499254B1 (ko) * 2022-06-29 2023-02-14 정성일 케이블 전선 이송장치
KR102580510B1 (ko) * 2022-11-23 2023-09-21 (주)모던텍 전기차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776B1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776B1 (ko) 케이블 이송장치
KR101291493B1 (ko)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KR101086748B1 (ko) 케이블 피더
CN104078892B (zh) 电力电缆小型敷设装置
KR102035449B1 (ko) 내마모성 모듈형 이동식 케이블 풀링 시스템
KR101530974B1 (ko) 케이블트레이 상부에서 주행하는 전선포설로봇
CN107214260A (zh) 一种可有效防止机械损伤的进料装置
US20220170582A1 (en) CIPP Liner Feed Roller
KR20120063059A (ko) 전자세 배관 tig 및 co2 겸용 용접 장치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CN209306661U (zh) 一种分切机用输送辊调节装置
KR101495490B1 (ko) 케이블 풀링장치
KR20150029906A (ko) 케이블 트레이용 롤러장치
KR20150101772A (ko) 케이블 공급용 피딩장치
KR20150077223A (ko) 전선 포설 장치
CN204549206U (zh) 一种改进型皮带输送装置
KR102170956B1 (ko) 휴대용 전선 풀링기
KR101505805B1 (ko) 다단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101756055B1 (ko) 다용도 케이블 텐션 유지 및 포설장치
CN204135788U (zh) 宽度可调的多工位定截距下料道
KR101744639B1 (ko) 경량화 고속 구조의 세선포설 장치
KR20080026962A (ko) 호스 권취장치
KR101452815B1 (ko) 기능성 케이블 자동이송장치
KR20150001437U (ko) 케이블 포설 장치
CN204198147U (zh) 一种送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