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379B1 - 에너지 저장 모듈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379B1
KR101141379B1 KR1020100064915A KR20100064915A KR101141379B1 KR 101141379 B1 KR101141379 B1 KR 101141379B1 KR 1020100064915 A KR1020100064915 A KR 1020100064915A KR 20100064915 A KR20100064915 A KR 20100064915A KR 101141379 B1 KR101141379 B1 KR 10114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ergy storage
terminal
storage modu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189A (ko
Inventor
김용욱
김배균
정영학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379B1/ko
Priority to JP2010279223A priority patent/JP5301522B2/ja
Priority to US12/929,024 priority patent/US20120009461A1/en
Publication of KR2012000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외부 충격이나 부식에 강한 단자 연결 부재와,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에너지 저장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에너지 저장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은 도전성의 편평한 막대 형상으로 양 단에 단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 플레이트는 하부면에 절연층이 형성된 단자 연결 부재 및 단자 연결 부재의 단자 삽입홀에 삽입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 연결 부재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에너지 저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모듈{ENERGY STORAGE MODULE}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이나 부식에 강한 단자 연결 부재와,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에너지 저장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에너지 저장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체는 전기 에너지를 내부에 저장하여 필요 시 외부로 공급하는 소자나 장치를 의미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에너지 저장체로 2차 전지나 전기 2중층 콘덴서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체는 에너지가 저장되는 저장 몸체와, 저장 몸체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저장 몸체에 구비된 양, 음극판의 집전체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한편 에너지 저장체를 대전력이 필요한 기기(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를 위해, 복수개의 에너지 저장체를 직렬(또는 병렬) 연결하여 형성한 대용량의 에너지 저장 모듈이 이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모듈은 각각의 에너지 저장체들의 단자를 병렬 또는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대용량의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각 단자들은 별도의 단자 연결 부재(예컨대 버스 바; bus bar)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단자 연결 부재 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양 측에 단자를 체결하기 위한 단자 삽입 홀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 연결 부재가 한 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거나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 쉽게 끊어져 버리며, 이로 인해 에너지 저장 모듈에 내에 단선 및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충격이나 부식에 강한 단자 연결 부재와,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에너지 저장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에너지 저장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은 도전성의 편평한 막대 형상으로 양 단에 단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 플레이트는 하부면에 절연층이 형성된 단자 연결 부재 및 단자 연결 부재의 단자 삽입홀에 삽입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 연결 부재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에너지 저장체를 포함하며, 단자 연결 부재는 측면에서 돌기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며,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도전성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연층은 단자 삽입홀의 둘레 부분을 제외한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연층은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절연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연층은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단자 삽입홀 사이의 중심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층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중심 부분을 함께 감싸며 형성되는 절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구비하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어 체결부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또는 제3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자 연결 부재를 단자에 고정 체결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의 단자 연결 부재는 한 장이 아닌, 여러 장의 플레이트가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으며, 부식 등으로 인해 단자 연결 부재가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는 에너지 저장체와 접하는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절연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체의 저장 몸체와 단자 연결 부재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 모듈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는 여러 장의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체결부를 이용한다. 따라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도전성 와이어의 끝단에 와이어 체결부를 삽입한 후, 도전성 와이어의 끝단을 압착함으로써 도전성 와이어를 와이어 체결부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도전성 와이어의 체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자 연결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의 단자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의 단자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의 단자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자 연결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에 다른 단자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1)은 복수의 에너지 저장체(10), 단자 연결 부재(20), 및 고정 부재(30)를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체(10)는 에너지가 저장되는 저장 몸체(12)와, 저장 몸체(12)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저장 몸체(12) 내부에 구비된 양, 음극판의 집전체(도시되지 않음)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14, 예컨대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체(10)는 단자(14)의 내부에 원통형의 체결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 홈의 내주연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체(10)는 후술되는 단자 연결 부재(20)에 의해 적어도 두 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용량의 에너지 저장 모듈(1)을 형성하게 된다.
단자 연결 부재(20)는 하나의 에너지 저장체(10)에 구비된 양극 단자(14)나 음극 단자(14)를 근접한 다른 에너지 저장체(10)의 양극 단자(14) 또는 음극 단자(14)와 연결한다. 즉, 단자 연결 부재(20)는 에너지 저장체(10)의 단자(14)에 체결되며 다수의 에너지 저장체(10)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다수의 금속판이 포개지며 적층되어 형성되고, 양 단에 단자 삽입홀(28)이 형성되는 도전층과, 이러한 도전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절연층(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22), 제1 플레이트(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22)는 도전성의 편평한 막대 형상으로, 양 단에 단자 삽입홀(2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22)는 하부면이 에너지 저장체(10)와 직접 접촉하며 에너지 저장체(10)에 체결된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체(10)와의 절연을 위해 하부면에는 절연층(23)이 형성된다.
절연층(23)은 단자 삽입홀(28)의 둘레 부분을 제외한 제1 플레이트(22)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다. 단자 삽입홀(28)의 둘레 부분에 절연층(23)을 제거하는 이유는 단자(14)의 상단면과 제1 플레이트(22)의 하부면이 접촉하년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단자(14)와 단자 연결 부재(20)와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단자(14)의 일부분이 상부면이 제1 플레이트(22)의 하부면에 접하지 않고, 단자(14) 전체가 모두 단자 삽입홀(28)로 삽입되도록 에너지 저장체(10)의 단자(14)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 삽입홀(28)의 둘레 부분에 절연층(23)을 제거할 필요 없이 하부면 전체에 걸쳐 절연층(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층(23)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23)은 제1 플레이트(22)의 하부면에 절연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자 삽입홀(28)의 둘레 부분은 마스킹 테이프(masking tape) 등을 이용하여 절연층(23)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23)은 제1 플레이트(22)의 하부면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절연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4)는 제1 플레이트(22)와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며, 제1 플레이트(22)의 상부에 적층된다. 즉 제2 플레이트(24)는 도전성의 편평한 막대 형상으로, 양 단에 단자 삽입홀(28)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24)는 제1 플레이트(22)나 후술되는 제3 플레이트(26)와 서로 포개지며 적층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24)의 단자 삽입홀(28)은 제1 플레이트(2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적층 시 제2 플레이트(24)의 단자 삽입홀(28)과 제1 플레이트(22)의 단자 삽입홀(28)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3 플레이트(26)는 제2 플레이트(24)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돌기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는 와이어 체결부(27)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를 갖는다.
와이어 체결부(27)는 필요 시 도전성 와이어가 연결된다. 여기서 도전성 와이어는 에너지 저장체(10)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도시되지 않음)과 단자 연결 부재(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제3 플레이트(26)의 측면에 형성된 와이어 체결부(27)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전성 와이어(50)는 끝단에 원통 형상인 도전성의 접속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접속부(52)는 내부에 와이어 체결부(27)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도전성 와이어(50)와 와이어 체결부(27)는 접속부(52)에 와이어 체결부(27)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접속부(52)가 압착됨에 따라 고정 체결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체결부(27)가 제3 플레이트(26)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체결부(27)는 도전층인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또는 제3 플레이트(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의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는 단자 삽입홀(28) 사이의 중심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단자 연결 부재(20)가 에너지 저장체(10)의 저장 몸체(12)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저장 몸체(12)와 단자 연결 부재(20)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도전층인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가 모두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의 재질로는 도전성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 전도도가 높은 구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가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22)와 제3 플레이트(26)는 구리를 이용하고, 제2 플레이트(24)는 니켈이나 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를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하는 경우, 재질에 따라 각각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강도가 높은 플레이트(예컨대, 니켈 재질의 제2 플레이트(24))를 강도가 낮은 플레이트(예컨대 구리 재질의 제1 플레이트(22), 제3 플레이트(26))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가 접착되지 않고 적층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플레이트들(22, 24, 26) 간의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각의 플레이트들 사이에 도전성의 접착제를 개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의 외부면에 도금층을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은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로 구성되는 단자 연결 부재(20)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22) 상에 제2 플레이트(24)를 적층하고, 최상부에 제3 플레이트(26)를 적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22), 제2 플레이트(24), 및 제3 플레이트(26)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제1 플레이트(22)와 제2 플레이트(24, 또는 제3 플레이트)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하여 세 장 이상의 제2 플레이트(24, 또는 제3 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22) 상에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30)는 단자 연결 부재(20)를 에너지 저장체(10)의 단자(14)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30)는 단자 연결 부재(20)의 단자 삽입홀(28)을 관통하며 에너지 저장체(10)의 단자(14)에 형성된 체결 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단자(14)와 나사 결합된다. 이를 통해 고정 부재(30)는 단자 연결 부재(20)를 에너지 저장체(10)에 고정 체결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1)의 단자 연결 부재(20)는 한 장이 아닌, 여러 장의 플레이트가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으며, 부식 등으로 인해 단자 연결 부재(20)가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에너지 저장체(10)와 접하는 제1 플레이트(22)의 하부면에 절연층(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체(10)의 저장 몸체(12)와 단자 연결 부재(20)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 모듈(1)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정 부재(30)에 도전성 와이어(50)를 체결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전성 와이어(50)를 단자 연결 부재(20)에 체결하기 위해 고정 부재(30)를 분리하고 다시 체결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는 여러 장의 플레이트들(22, 24, 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체결부(27)를 이용한다. 따라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접속부(52)에 와이어 체결부(27)를 삽입한 후, 접속부(52)를 압착함으로써 도전성 와이어(50)가 와이어 체결부(27)에 고정 체결하게 된다. 이에 도전성 와이어(50)의 체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1)의 단자 연결 부재(20)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의 단자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120)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자 연결 부재(도 1의 2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외부에 절연 커버(4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절연 커버(40)는 단자 연결 부재(120)의 중심 부분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된다. 절연 커버(40)는 절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커버(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물이나 수지 등 단자 연결 부재(120)를 외부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절연 커버(40)가 단자 연결 부재(120)에 구비되는 경우, 단자 연결 부재(120)와 에너지 저장체(도 1의 10)의 저장 몸체(도 1의 12)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의 단자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20)는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중심 부분이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지 않고 편평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320)는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2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중심 부분이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지 않고 사다리꼴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 부재는 에너지 저장체의 저장 몸체와 단자 연결 부재와의 절연이 확보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모듈에 구비되는 단자 연결 부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모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에너지 저장 모듈
10.....에너지 저장체 12.....저장 몸체
14.....단자
20, 120, 220.....단자 연결 부재
22.....제1 플레이트 23.....절연층
24.....제2 플레이트 26.....제3 플레이트
27.....와이어 체결부 28.....단자 삽입 홀
30.....고정 부재
40.....절연 커버

Claims (10)

  1. 도전성의 편평한 막대 형상으로, 양 단에 단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하부면에 절연층이 형성된 단자 연결 부재; 및
    상기 단자 연결 부재의 상기 단자 삽입홀에 삽입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 연결 부재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에너지 저장체;
    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연결 부재는 측면에서 돌기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며,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도전성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단자 삽입홀의 둘레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절연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 삽입홀 사이의 중심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적층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심 부분을 함께 감싸며 형성되는 절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체결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3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 부재를 상기 단자에 고정 체결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KR1020100064915A 2010-07-06 2010-07-06 에너지 저장 모듈 KR101141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15A KR101141379B1 (ko) 2010-07-06 2010-07-06 에너지 저장 모듈
JP2010279223A JP5301522B2 (ja) 2010-07-06 2010-12-15 エネルギー貯蔵モジュール
US12/929,024 US20120009461A1 (en) 2010-07-06 2010-12-22 Energy storag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15A KR101141379B1 (ko) 2010-07-06 2010-07-06 에너지 저장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89A KR20120004189A (ko) 2012-01-12
KR101141379B1 true KR101141379B1 (ko) 2012-05-03

Family

ID=4543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915A KR101141379B1 (ko) 2010-07-06 2010-07-06 에너지 저장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09461A1 (ko)
JP (1) JP5301522B2 (ko)
KR (1) KR101141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3405B2 (ja) * 2011-08-10 2015-11-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カバー、及びカバー付きバスバー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DE102012205021A1 (de) *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Zellverbinder für ein Batteriesystem oder für eine Batteriezelle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Batterie und Kraftfahrzeug
WO2013152841A1 (de) * 2012-04-11 2013-10-17 Bender & Wirth Gmbh & Co. Stromleitender 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inders
DE102013213527A1 (de) * 2013-07-10 2015-01-15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Zellverbinder für ein Batteriemodul
WO2015012187A1 (ja) * 2013-07-22 2015-01-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FR3009440B1 (fr) * 2013-08-02 2018-01-19 Renault Sas Systeme renforce de decharge d'un module de batterie electrique.
DE102013217815A1 (de) * 2013-09-06 2015-03-12 Robert Bosch Gmbh Flexibler Zellverbind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exiblen Zellverbinders zum elektrischen Verbinden von Zellen eines Energiespeichers
CN107251270B (zh) * 2015-03-31 2021-01-26 三洋电机株式会社 蓄电池系统
KR20170135062A (ko) 2016-05-30 2017-1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6090523B1 (ja) * 2016-08-10 2017-03-08 富士電機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DE102016118977B4 (de) 2016-10-06 2022-01-20 Clarios Advanced Solutions Gmbh Energiespeichermodul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JP6782830B2 (ja) * 2017-02-27 2020-11-11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8181780A (ja) * 2017-04-21 2018-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積層バスバ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102436424B1 (ko) * 2017-06-27 2022-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0651342A (zh) * 2017-06-30 2020-01-03 阿维科斯公司 用于超级电容器模块的互连条
JP7006051B2 (ja) * 2017-09-08 2022-02-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導電部材および保護部材
CN111052451A (zh) * 2017-12-19 2020-04-2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汇流条以及电池层叠体
KR102383415B1 (ko) * 2018-03-20 2022-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2021265B2 (en) 2018-03-28 2024-06-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us bar and cell stack
JP7407424B2 (ja) * 2018-11-20 2024-0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DE102019216740A1 (de) * 2019-10-30 2021-05-06 Siemens Mobility GmbH Anordnung mit Stromleiter und Kühlbereich
JP2021111524A (ja) * 2020-01-10 2021-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電気接続箱
KR20210141095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JP7393396B2 (ja) * 2021-08-06 2023-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
JP2023106220A (ja) * 2022-01-20 2023-08-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極端子間接続部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50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배터리용 도체 브라켓트
JP2002142317A (ja) 2000-11-02 200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可撓性接続導体
JP2002151045A (ja) 2000-11-10 2002-05-24 Honda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用バスバー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20080023092A (ko) * 2006-09-07 2008-03-12 히다치 비클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2993A (en) * 1945-03-21 1949-03-01 Titefiex Inc Electric conductor
JPS6048667U (ja) * 1983-09-10 1985-04-05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用の接続導体
JPH0353420Y2 (ko) * 1985-04-10 1991-11-21
JPH06140020A (ja) * 1992-10-22 1994-05-20 Yazaki Corp バッテリー接続端子
JP4578147B2 (ja) * 2004-04-30 2010-11-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4902204B2 (ja) * 2006-01-13 2012-03-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ボルト式端子付き密閉型二次電池とこれを用いた組電池
JP5063897B2 (ja) * 2006-01-18 2012-10-31 三桜工業株式会社 組電池の接続板
JP2010225449A (ja) * 2009-03-24 2010-10-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接続ユニット
JP5634691B2 (ja) * 2009-08-18 2014-12-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50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배터리용 도체 브라켓트
JP2002142317A (ja) 2000-11-02 200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可撓性接続導体
JP2002151045A (ja) 2000-11-10 2002-05-24 Honda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用バスバー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20080023092A (ko) * 2006-09-07 2008-03-12 히다치 비클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01522B2 (ja) 2013-09-25
KR20120004189A (ko) 2012-01-12
JP2012018904A (ja) 2012-01-26
US20120009461A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379B1 (ko) 에너지 저장 모듈
JP5606851B2 (ja) 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CN102064333B (zh) 电池
JP5539910B2 (ja) 二次電池
US8974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US20120082887A1 (en) Electrical storage unit
US20130149919A1 (en)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energy storage module
JP5804037B2 (ja) 電流遮断装置を備えた蓄電装置
JP6180848B2 (ja) 組電池のブスバおよび組電池
CN110311082B (zh) 电池组
US9345146B2 (en) Circuit board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circuit board
KR101491550B1 (ko)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US20110305936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stacks
JP201322545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取付構造
US9647248B2 (en) Secondary battery
US10103375B2 (en) Fastening structure
JP6483239B2 (ja) 放熱特性が向上したエネルギー貯蔵装置
JP2015026424A (ja) 蓄電モジュール
JP2020532059A (ja) バッテリー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120136542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단자 연결 구조
JP6142888B2 (ja) 電流遮断装置を備えた蓄電装置
JP2008204981A (ja) キャパシタユニット
JP6041008B2 (ja) 電流遮断装置を備えた蓄電装置
JP7273784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WO2014038203A1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