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708B1 -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708B1
KR101140708B1 KR1020040118086A KR20040118086A KR101140708B1 KR 101140708 B1 KR101140708 B1 KR 101140708B1 KR 1020040118086 A KR1020040118086 A KR 1020040118086A KR 20040118086 A KR20040118086 A KR 20040118086A KR 101140708 B1 KR101140708 B1 KR 10114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flow
air
flow fan
cas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765A (ko
Inventor
김영재
최원석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08B1/ko
Priority to JP2005095470A priority patent/JP3943111B2/ja
Priority to CNB2005100588387A priority patent/CN100545536C/zh
Publication of KR2006007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공기가 송풍량은 증대되고 유동소음은 저감된 상태로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가 개시된다.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부와 후면 케이스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횡류팬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케이스의 양 측면에는 토출구가 마련된다. 횡류팬의 상부에는 각각 전면 파티션과 후면 파티션이 설치되어 횡류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각 토출구로 양분하여 유동하게 한다. 후면 파티션의 하부에는 횡류팬의 각 지지판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한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가 돌출된다. 전면 파티션의 하부에는 횡류팬이 토출부와 흡입부로 구획되도록 횡류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경사져서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Blow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케이스 11: 흡입구
12,13: 토출구 20: 전면 케이스부
22: 스태빌라이저 30: 후면 케이스부
32,33: 혼합방지 가이드 40: 횡류팬
50: 전면 파티션 60: 후면 파티션
본 발명은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가 송풍량은 증대되고 유동소음은 저감된 상태로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기능만을 수행하는 구조로만 이루어 지거나 냉방과 난방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냉방 그리고/또는 난방기능과 함께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통해 순환되도록 한다. 물론, 공기청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공기청정기에도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송풍장치는 실내공간을 적정온도로 유지하고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청정기(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로 통칭함)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조화되게 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종래의 송풍장치는 일반적으로 횡류팬과 이 횡류팬이 내장되는 팬 케이싱을 구비하여 횡류팬의 작동에 의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게 되는데, 횡류팬은 송풍장치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송풍장치는 일반적으로 흡입구가 팬 케이싱의 하부에 마련되고 토출구가 상부에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이러한 송풍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서 조화된 공기가 상부 전면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토출구가 상부에 마련된 종래의 송풍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를 횡류팬의 상부에서 횡류팬의 축방향 또는 양측면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없게 되어 다양한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를 구현할 수 없게 된다.
즉, 토출구를 송풍장치의 양 측면에 배치하게 되면 횡류팬의 유동 특성상 횡류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송풍장치의 전면과 상면에 부딪치게 되어 비정상적인 와류가 발생되거나 공기가 유동하지 않고 정체되게 되어서 풍량이 급감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동소음이 크게 증대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송풍장치는 토출구가 양 측면에 마련된 구조를 가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케이스의 양 측면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가 송풍량은 증대되고 유동소음은 저감된 상태로 토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횡류팬, 상기 횡류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횡류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은 상기 케이스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횡류팬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는 상기 횡류팬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류팬의 상부에는 상기 횡류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각 토출구로 안내하는 안내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횡류팬과 상기 안내유로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와, 상기 안내유로의 대략 중간지점에 마련된 파티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부와 후면 케이스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후면 케이스부의 하부의 양측에는 상기 횡류팬이 안치되도록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안내유로를 양측으로 구획하도록 전면 파티션과 후면 파티션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횡류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각 토출구로 양분하여 유동하게 한다.
상기 전면 파티션과 후면 파티션은 각각 대략 상기 횡류팬의 중간부분을 향해 돌출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각 전면 케이스부와 후면 케이스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 파티션의 한 쌍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대략 120-140도의 범위로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 파티션은 상기 횡류팬과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대략 80-90도의 범위로 되고,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대략 130-140도의 범위로 되어서 이단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는 상기 후면 파티션의 하부에서 상기 횡류팬의 토출부를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횡류팬은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판과, 상기 각 지지판 사이 에 배치된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방지 가이드는 상기 각 지지판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각 날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각 혼합방지 가이드에 의해 서로 혼합되지 않게 안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 중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혼합방지 가이드는 나머지 혼합방지 가이드들에 비해 상기 횡류팬의 토출부에 더 가깝게 되도록 연장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파티션의 하부와 상기 횡류팬 사이에는 상기 횡류팬이 토출부와 흡입부로 구획되도록 상기 횡류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경사져서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되어서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대향하는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경사면에 대해 대략 5-10도의 범위에서 벌어지게 경사져서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이하에서는 '송풍장치'로 칭함)는 전면 케이스부(20)와 후면 케이스부(30)가 결합되어 형성된 케이스(10)와, 케이스 (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횡류팬(40)과,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된 전후면 파티션(50)(60)과 혼합방지 가이드(32)(33)로 이루어진 안내유닛을 구비한다.
전면 케이스부(20)와 후면 케이스부(30)의 하부는 개방되어 흡입구(11)를 형성하게 되며, 전면 케이스부(20)와 후면 케이스부(30)의 상부의 양 측면도 개방되어 한 쌍의 토출구(12)(13)를 형성하게 된다.
전면 케이스부(20)와 후면 케이스부(30)의 하부에는 각각 횡류팬(40)을 안치하기 위해 흡입구(11)와 연통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용부(21)(31)가 마련되며, 각 수용부(21)(31)의 상부에는 횡류팬(40)을 통과한 공기를 한 쌍의 토출구(12)(13)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로(14)가 형성된다.
또한, 흡입구(11)에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걸르기 위한 한 쌍의 필터(15)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케이스(10)의 내부에 횡류팬(40)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흡입구(11)가 케이스(10)의 하부에 마련되며, 한 쌍의 토출구(12)(13)가 케이스(10)의 상부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횡류팬(40)에 의해 케이스(10)의 하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안내유로(14)를 통해 케이스(10)의 양 측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공기가 상향에서 양 측면으로 유동하는 유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공기가 횡류팬(40)에서 토출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거나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와류와 공기의 정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공기가 각 토출구(12)(13)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하기 위해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전후면 파티션(50)(60)과 혼합방지 가이드(32)(33)로 이루어진 안내유닛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안내유로(14)에는 전면 케이스부(20)에서 돌출한 전면 파티션(50)과 후면 케이스부(30)에서 돌출한 후면 파티션(60)이 마련되어서 횡류팬(4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케이스(10)의 양 측면에 마련된 토출구(12)(13)로 양분되어 유동되도록 한다. 이 전면 파티션(50)과 후면 파티션(60)에 의해 횡류팬(40)의 상부에 마련된 안내유로(14)는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횡류팬(4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양분되어 각 토출구(12)(13)를 향해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전면 파티션(50)은 횡류팬(40)의 상부에서 횡류팬(40)의 중간부분을 향해 돌출한 선단부(51)와, 이 선단부(51)와 전면 케이스부(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경사면(52)으로 이루어져서 대략 쐐기형상을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후면 파티션(60)은 횡류팬(40)의 상부에서 횡류팬(40)의 중간부분을 향해 돌출한 선단부(61)와, 이 선단부(61)와 후면 케이스부(3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경사면(62)으로 이루어져서 대략 쐐기형상을 이루게 된다.
횡류팬(40)에서 통과하는 공기가 각 토출구(12)(13)로 원활하게 양분되어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전면 파티션(50)의 한 쌍의 경사면(52) 사이의 각도(?1)는 대략 120-140도의 범위로 되도록 하며, 후면 파티션(60)은 횡류팬(40)과 인접한 부분에서는 한 쌍의 경사면(62) 사이의 각도(?2)가 대략 80-90도의 범위로 되고, 후면 케이스부(30)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한 쌍의 경사면(62) 사이의 각도(? 3)가 대략 130-140도의 범위로 되어서 이단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횡류팬(40)의 횡방향 길이에 걸쳐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상부의 안내유로(14)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후면 파티션(60)의 하부에는 횡류팬(40)의 토출부(횡류팬의 상부부분)를 향해 연장한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32)(33)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 혼합방지 가이드(32)(33)는 횡류팬(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되며, 후면 케이스부(30)에서 이 혼합방지 가이드(32)(33)가 형성된 부분은 경사면(34)으로 형성된다.
횡류팬(40)은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판(41)과, 각 지지판(4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날개부(42)를 구비하고, 횡류팬(4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43)가 결합되며, 혼합방지 가이드(32)(33)는 각 지지판(41)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횡류팬(40)의 각 날개부(4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각각의 혼합방지 가이드(32)(33) 사이를 따라 상향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각 날개부(4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게 안내되게 된다.
한편,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32)(33) 중에서 구동모터(43)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한 혼합방지 가이드(32)는 나머지 혼합방지 가이드(33)들에 비해 횡류팬(40)의 토출부에 더 가깝게 되도록 연장하여 구동모터(43)에 가장 가까운 날개부(42a)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다른 날개부(42)들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비해 확산이 작게 이루어진 상태로 안내유로(14)로 유동하도록 한다.
이는 구동모터(43)에 가까운 쪽에서는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다른 쪽에 비해 서 적게 되고, 공기의 교란현상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 이를 위해 구동모터(43)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한 지지판(41a)과 횡류팬(40)의 일단 사이의 간격(L1)은 다른 곳에 위치한 각 지지판(41) 사이의 간격(L2)의 반이 되게 하여 공기의 교란에 따른 소음발생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전면 파티션(50)의 하부와 횡류팬(40) 사이에는 횡류팬(40)이 토출부와 흡입부(횡류팬의 하부부분)로 구획되도록 횡류팬(4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경사져서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22)가 설치된다.
횡류팬(40)은 이 스태빌라이저(22)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과 토출되는 부분이 분리되어 횡류팬(4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횡류팬(40)으로 흡입되지 않게 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이 안정화되게 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22)는 이 스태빌라이저(22)와 대향하는 후면 케이스부(30)의 경사면(34)에 대해 대략 5-10도의 범위의 각도(?4)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서 횡류팬(4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안내유로(14)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횡류팬(40)이 작동하게 되면 케이스(10)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어 횡류팬(40)에서 각각의 지지판(41)(41a) 사이에 배치된 각 날개부(42)(42a)를 통과하게 된다.
각 날개부(42)(42a)를 통과한 공기는 혼합방지 가이드(32)(33) 사이에서 상향으로 안내되어 서로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안내유로(14)로 유동하게 되며, 안내 유로(14)에서는 전면 파티션(50)과 후면 파티션(60)에 의해 케이스(10)의 양측면에 마련된 각 토출구(12)(13)로 양분되어 유동하게 되어 케이스(10)의 외부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혼합방지 가이드(32)(33)와 전후면 파티션(50)(60)에 의해 효과적으로 안내되어 횡류팬(40)의 축방향을 따라 유동하게 됨으로써 송풍량은 증대되는 반면에 유동소음은 저감된 상태로 케이스(10)의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전면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부 양 측면에 공기 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게 되면 공기조화기의 공기 유입구와 송풍장치의 흡입구(11)를 거쳐서 횡류팬(40)을 통과한 공기가 횡류팬(4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송풍장치의 각 토출구(12)(13)로 배출된 후 공기조화기의 양 측면에 마련된 공기 유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는 횡류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송풍량이 감소되거나 유동소음이 증대되지 않도록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케이스의 양 측면에 마련된 토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고,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양 측면에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흡입구와 양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들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류팬;
    상기 횡류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횡류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각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로;
    상기 횡류팬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횡류팬의 상부 부분을 향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유로의 중간 지점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내유로를 양측으로 구획하도록 하여 상기 혼합방지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각각의 토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티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부와 후면 케이스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후면 케이스부의 하부의 양측에는 상기 횡류팬이 안치되도록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안내유로를 양측으로 구획하도록 전면 파티션과 후면 파티션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횡류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각 토출구로 양분하여 유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파티션과 후면 파티션은 각각 대략 상기 횡류팬의 중간부분을 향해 돌출한 선단부와, 상기 각 선단부와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후면 케이스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파티션의 한 쌍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대략 120-140도의 범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파티션은 상기 횡류팬과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대략 80-90도의 범위로 되고,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대략 130-140도의 범위로 되어서 이단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는 상기 후면 파티션의 하부에서 상기 횡류팬의 토출부를 향해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은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판과, 상기 각 지지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방지 가이드는 상기 각 지지판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각 날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각 혼합방지 가이드에 의해 서로 혼합되지 않게 안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혼합방지 가이드 중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혼합방지 가이드는 나머지 혼합방지 가이드들에 비해 상기 횡류팬의 토출부에 더 가깝게 되도록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파티션의 하부와 상기 횡류팬 사이에는 상기 횡류팬이 토출부와 흡입부로 구획되도록 상기 횡류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경사져서 배치되는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되어서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와 대향하는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경사면에 대해 대략 5-10도의 범위에서 벌어지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13. 하부 전면에 공기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부 양 측면에 공기 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흡입구와 양 측면에 배치되는 토출구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횡류팬,
    상기 횡류팬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횡류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횡류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각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로,
    상기 횡류팬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횡류팬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횡류팬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각 토출구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마련된 상기 공기 유출구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KR1020040118086A 2004-12-31 2004-12-31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KR10114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086A KR101140708B1 (ko) 2004-12-31 2004-12-31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JP2005095470A JP3943111B2 (ja) 2004-12-31 2005-03-29 空気調和機用送風装置
CNB2005100588387A CN100545536C (zh) 2004-12-31 2005-03-30 空调机排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086A KR101140708B1 (ko) 2004-12-31 2004-12-31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765A KR20060078765A (ko) 2006-07-05
KR101140708B1 true KR101140708B1 (ko) 2012-07-02

Family

ID=3679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086A KR101140708B1 (ko) 2004-12-31 2004-12-31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43111B2 (ko)
KR (1) KR101140708B1 (ko)
CN (1) CN10054553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19A1 (ko) * 2014-09-03 2016-03-10 코웨이 주식회사 원심 송풍기
US10598190B2 (en) 2014-09-03 2020-03-24 Coway Co., Ltd. Centrifugal bl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47B1 (ko) * 2009-01-15 2015-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644968A (zh) * 2012-05-02 2012-08-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KR20160010665A (ko) * 2014-07-17 2016-01-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터보차저의 압축기 에어필터
CN108916077A (zh) * 2018-07-16 2018-11-30 大连碧蓝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压气式贯流风机
CN109058130B (zh) * 2018-08-03 2020-07-03 绍兴市慧融臻合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空气分流降低噪音的排气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1734A (ja) 1987-04-08 1988-10-19 Matsushita Seiko Co Ltd 壁掛形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3323U (ja) * 1984-02-16 1985-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612421Y2 (ja) * 1988-08-31 1994-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8178338A (ja) * 1994-12-27 1996-07-12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2340357A (ja) *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4599771B2 (ja) * 2001-07-11 2010-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1734A (ja) 1987-04-08 1988-10-19 Matsushita Seiko Co Ltd 壁掛形室内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19A1 (ko) * 2014-09-03 2016-03-10 코웨이 주식회사 원심 송풍기
US10598190B2 (en) 2014-09-03 2020-03-24 Coway Co., Ltd. Centrifugal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43111B2 (ja) 2007-07-11
KR20060078765A (ko) 2006-07-05
CN1796895A (zh) 2006-07-05
JP2006189235A (ja) 2006-07-20
CN100545536C (zh)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233B1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10237903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3943111B2 (ja) 空気調和機用送風装置
KR102412277B1 (ko) 원심 송풍기
KR102023563B1 (ko) 공기청정기용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150028171A (ko) 제습기
KR20080088615A (ko) 공기 조화 장치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127843B1 (ko) 풍향조절장치
JP2009174790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CN111279129B (zh) 空调的室内机
CN116608509A (zh) 立式空调室内机
KR100669021B1 (ko) 공기조화기용 환기유닛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JPH05223306A (ja) 熱交換器付き換気装置
KR100504024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31715A (ko) 공기조화기용 환기유닛
KR101899659B1 (ko) 공기조화기
KR102346983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156814B1 (ko) 송풍기 케이스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KR100484934B1 (ko) 공기조화기
KR101094841B1 (ko) 자동차 공조 장치용 송풍기
KR20170060322A (ko)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02009631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