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322A -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322A
KR20170060322A KR1020150164616A KR20150164616A KR20170060322A KR 20170060322 A KR20170060322 A KR 20170060322A KR 1020150164616 A KR1020150164616 A KR 1020150164616A KR 20150164616 A KR20150164616 A KR 20150164616A KR 20170060322 A KR20170060322 A KR 20170060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discharge
main body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843B1 (ko
Inventor
배준형
강상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8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6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순환효율이 향상된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토출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하는 장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한 후 상기 공기토출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AIR CIRCULAT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풍량의 공기를 멀리까지 송풍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청정기, 제습기 및 가습기 등의 가전제품은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제습유닛 또는 가습유닛의 저항으로 인해 장치 가동시 토출되는 풍량의 압력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압력손실로 인해 풍량이 저감되는 경우에는 실내 공기의 순환효율이 낮아서 정화, 제습 및 가습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풍량을 늘리기 위해 송풍팬의 회전수를 높일 수 있으나, 송풍팬의 회전수를 높이는 경우에는 송풍팬의 작동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 제습기 및 가습기에 구비되는 공기토출구의 구조적 특징 및 하나의 송풍팬을 사용하는 점으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 제습기 및 가습기는 토출공기의 풍량과 도달거리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실내 공기의 순환효율이 향상된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토출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하는 장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한 후 상기 공기토출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기순환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가 공기조화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토출구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는 공기조화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토출구에 장착되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토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슬릿은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공부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계단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부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송풍팬은 횡류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는 상기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장착부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공기 순환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 제습기 및 가습기 등의 공기조화장치에 장착되어 공기조화장치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풍량 및 도달거리를 증대시킨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의 본체와 공기순환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순환장치가 공기조화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하우징(110), 중공부(120), 공기흡입부(130), 공기토출부(140), 장착부(150), 송풍팬(160) 및 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후술할 송풍팬(160)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20)는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부(120)를 통해 하우징(110)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다각형 링 또는 원형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중공부(120)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공부(12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외형이 육면체 박스형태로 구성된 경우, 중공부(120)는 단면이 사각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30)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고, 공기흡입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 및 양측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상단 및 양측면 중에서 한 곳 또는 두 곳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부(130)에는 이물질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릴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토출부(140)는 하우징(110)에서 중공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120)가 단면이 사각형인 형태로 형성된 경우, 공기토출부(140)는 중공부(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토출부(140a), 중공부(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토출부(140b), 중공부(120)의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토출부(140c) 및 중공부(120)의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토출부(140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하측 토출부(140a), 상측 토출부(140b), 좌측 토출부(140c) 및 우측 토출부(140d)는 양단이 서로 이웃하는 공기토출부(140)에 연속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토출부(140)는 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토출부(14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는 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토출부(140)는 하우징(110)의 전단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토출슬릿(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슬릿(142)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토출슬릿(142)은 하우징(110)의 전단으로 갈수록 중공부(120)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계단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앞쪽에 배치되는 토출슬릿(142)은 하우징(110)의 뒤쪽에 배치되는 토출슬릿(142) 보다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으로 수직 이동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토출슬릿(142)이 모두 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토출부(140)의 구조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부(120)는 하우징(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장착부(15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150)는 일반적인 공기청정기, 제습기 및 가습기 등으로 구현되는 공기조화장치(200)의 본체(210)에 구비된 토출구(214)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150)는 공기조화장치(200)의 본체(210)에 구비된 토출구(214)에 장착되면 공기조화장치(200)의 본체(210)에 구비된 토출구(21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조화장치(200) 본체(210)의 토출구(2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장치(200) 본체(210)의 토출구(21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장착부(150)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 하측 토출부(140a), 상측 토출부(140b), 좌측 토출부(140c) 및 우측 토출부(140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150)는 하우징(11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6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공기흡입부(130)로 흡입한 후 공기토출부(140)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6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심팬, 사류팬 및 축류팬 등 다양한 형태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160)은 공기흡입부(130)와 공기토출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흡입부(130)에서 공기토출부(140)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60)이 횡류팬으로 구성된 경우, 송풍팬(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류팬의 원주방향으로 흡입한 공기를 공기토출부(14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케이싱(162)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상측 토출부(140b), 좌측 토출부(140c) 및 우측 토출부(140d)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높은 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 토출부(140b), 좌측 토출부(140c) 및 우측 토출부(140d)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하우징(110)의 상측 및 좌우측 각각에 배치되는 3개의 송풍팬(160)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하우징(110)의 전단에 구비되며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연장되어 중공부(120)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12)는 하우징(110)의 몸체 중에서 하우징(110)의 가장 앞쪽에 배치된 토출슬릿(142)의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토출슬릿(14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된 후 곧바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직선기류 형태로 유동하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12)는 공기토출부(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도달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12)는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별도의 판상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복수의 토출슬릿(142)이 계단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내측에 배치된 토출슬릿(14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외측에 배치된 토출슬릿(14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외측으로 확산이 제한되어 높은 직진성을 가지고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중공부(120)의 테두리에 형성된 링 형태의 공기토출부(140)를 통해 링 형태로 공기를 토출시키므로, 토출공기가 방사상으로 확산되려는 유동특성보다 상대적으로 링 형태의 중앙 방향으로 집중되려는 유동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되어, 도달거리가 현저하게 증대되고 좁은범위에 고풍량으로 송풍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공기토출부(14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중공부(120)에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켜 중공부(120)에 있는 공기가 토출공기에 합류하게 되므로 토출공기의 풍량이 증가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특성은 공기토출부(140)에서 공기가 빠른 유속으로 토출되는 경우에 토출부위의 기압이 낮아지게 되어 하우징(110)의 후방에 있는 공기가 중공부(120)를 통해 기압이 낮은 하우징(110)의 전방 측으로 유동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장착부(150)를 통해, 필요에 따라 기존의 공기조화장치(200)의 토출구(214)에 장착되어 공기조화장치(200)에서 처리된 공기를 공기토출부(14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합류시켜 고풍량으로 멀리까지 송풍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장치(200)의 토출공기의 유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00)는 본체(210) 및 공기순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2)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14)를 구비하며, 흡입구(212)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하여 토출구(214)로 토출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210)의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구(212)로 흡입시키고 토출구(214)로 토출시키는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공기정화,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처리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토출구(214)는 본체(2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본체(210)는 후술할 공기순환장치(10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장치(100)는 본체(210)에 장착되어 본체(210)의 토출구(21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도달거리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순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공기순환장치(100)는 장착부(150)를 매개로 본체(21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순환장치(100)는 장착부(150)가 저면에 구비되고, 이러한 장착부(150)가 본체(210)의 상단에 구비된 토출구(214)에 연결되도록 본체(210)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00)가 본체(210)의 토출구(214)에 장착된 경우, 본체(210)에서 정화,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된 공기는 토출구(214)로 토출되어 장착부(150)를 통해 공기순환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순환장치(100)의 공기토출부(14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150)로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장착부(150)에서 가장 가깝게 배치된 하측 토출부(140a)를 통해 토출될 수 있으며, 이때, 하측 토출부(140a)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측 토출부(140b), 좌측 토출부(140c) 및 우측 토출부(140d)에서 토출되는 빠른 유속의 고풍량 공기에 합류되어 실내에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순환장치(100)는 실내 공기 순환효율을 향상시켜 빠른 속도로 실내 공기가 조화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00)의 공기정화성능, 제습성능 및 가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순환장치(100)는 별도의 전원단자를 구비하고 본체(21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송풍기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공기순환장치(100)는 본체(210)에 장착되는 경우 본체(2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송풍팬(160)의 작동전원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장착부(150)에 전원단자(미도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체(210)에는 공기순환장치(100)의 전원단자에 연결되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순환장치(100) 및 본체(210) 각각이 별도의 전원플러그(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 및 공기조화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가 공기조화장치(200)의 본체(21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원통형태의 공기조화장치(200)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지면에 직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형이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150)는 하우징(110)의 양측면 중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원통형태 공기조화장치(200)의 만곡진 토출구(214)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출구(214)의 공기를 누출시키지 않고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20)의 둘레를 따라 공기토출부(140)를 구비하되, 장착부(150)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횡류팬으로 구성된 하나의 송풍팬(16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토출슬릿(142)의 길이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토출슬릿(142)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짧으므로, 하우징(110)의 상측, 하측 및 측면 3방향 각각에 송풍팬(160)이 구비되는 구조와 하우징(110)의 측면에만 송풍팬(160)이 구비되는 구조가 토출공기의 풍량이 크게 차이 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측면에 하나의 송풍팬(160)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구(212)는 상기 하나의 송풍팬(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의 토출공기의 유동특성 및 공기조화장치(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도달거리를 강화하는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100)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공기순환장치 110: 하우징
112: 가이드부 120: 중공부
130: 공기흡입부 140: 공기토출부
140a: 하측 토출부 140b: 상측 토출부
140c: 좌측 토출부 140d: 우측 토출부
142: 토출슬릿 150: 장착부
160: 송풍팬 162: 가이드케이싱
200: 공기조화장치 210: 본체
212: 흡입구 214: 토출구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토출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하는 장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한 후 상기 공기토출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는 공기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공기조화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토출구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순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공기조화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토출구에 장착되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는 공기순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향해 형성된 공기순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토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슬릿은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공부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계단식으로 배열되는 공기순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부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공기순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횡류팬으로 구성된 공기순환장치.
  8.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 제습 및 가습 중 적어도 하나로 처리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본체; 및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흡입부와,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토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토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하는 장착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한 후 상기 공기토출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공기순환장치;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장착부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공기조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토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슬릿은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공부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계단식으로 배열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50164616A 2015-11-24 2015-11-24 공기조화장치 KR10255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616A KR102552843B1 (ko) 2015-11-24 2015-11-24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616A KR102552843B1 (ko) 2015-11-24 2015-11-24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322A true KR20170060322A (ko) 2017-06-01
KR102552843B1 KR102552843B1 (ko) 2023-07-07

Family

ID=5922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616A KR102552843B1 (ko) 2015-11-24 2015-11-24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285A (ko) 2020-07-21 2022-01-28 (주)대한솔루션 에어컨용 서큘레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054A (ja) * 2002-09-02 2004-03-25 Kyoritsu Air Tech Inc 空調用吹出口
KR20050014521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804306B1 (ko) * 2007-05-04 2008-02-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및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1234065B1 (ko) * 2011-12-2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054A (ja) * 2002-09-02 2004-03-25 Kyoritsu Air Tech Inc 空調用吹出口
KR20050014521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804306B1 (ko) * 2007-05-04 2008-02-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및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1234065B1 (ko) * 2011-12-2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285A (ko) 2020-07-21 2022-01-28 (주)대한솔루션 에어컨용 서큘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843B1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550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1777233B1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20140105972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JP6272489B2 (ja) 除湿機
KR102412277B1 (ko) 원심 송풍기
JP2008019850A (ja) 除湿機と除湿機用遠心送風機
KR102023563B1 (ko) 공기청정기용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2396592B1 (ko)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TW201638533A (zh) 氣流交換裝置及其室內盒
CN109882434B (zh) 风机结构、新风装置和空调室内机
KR20160000486A (ko) 토출방향 가변형 제습장치
US20210123611A1 (en) Diffuser, diffuser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2009018221A (ja) 空気清浄機
KR20170060322A (ko)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1628002B1 (ko) 공기조화기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2267526B1 (ko) 가습청정기
JP4971246B2 (ja) 空気調和機
CN111637549B (zh) 室内空气处理装置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KR200211988Y1 (ko) 천장형 항온 항습기
KR100382522B1 (ko) 공기조화기의 컨버터블형 실내기
CN216744605U (zh) 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