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653B1 -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653B1
KR101140653B1 KR1020110103676A KR20110103676A KR101140653B1 KR 101140653 B1 KR101140653 B1 KR 101140653B1 KR 1020110103676 A KR1020110103676 A KR 1020110103676A KR 20110103676 A KR20110103676 A KR 20110103676A KR 101140653 B1 KR101140653 B1 KR 10114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nit weight
support member
weigh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조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민 filed Critical 조성민
Priority to KR102011010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단위 웨이트를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프론트로딩 방식에 의해 설치가 매우 간편한 것은 물론, 중량 조절이 원활하고 단위 웨이트간 접촉면의 평탄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소음이 없고 제품의 정밀도 및 완성도가 높아 초고층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상하방향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를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 한 쌍의 이격된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를 받는 복수의 승강 지지부재와;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상부에 복수개가 적층되되, 좌우 폭이 상기 수직부 한 쌍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에 전면으로부터 적층이 가능한 판형의 단위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Counter weight apparatus with front loading type unit weight and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단위 웨이트를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프론트로딩 방식에 의해 설치가 매우 간편한 것은 물론, 중량 조절이 원활하고 단위 웨이트간 접촉면의 평탄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소음이 없고 제품의 정밀도 및 완성도가 높아 초고층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중력에 의하여 일정 힘으로 위 또는 아래쪽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같은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처럼 필요한 중량을 마련하기 위해 단위 웨이트(12)가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권상모터(30)의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20)(Elevator Cage)와 탑승자 중량을 고려하여 도르래(40)와 케이블(41)을 통해 엘리베이터 케이지(20) 반대편에 매달아 사용하게 된다.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10)에 의하면 적층되는 단위 웨이트(12)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 중량이 많이 나가는 한편, 상기 단위 웨이트(12)를 프레임(11)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본체부(12a)의 좌측 및 우측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부(12b)를 프레임(11)의 상단부까지 들어 올린 후 끼워 삽입시켜야 하는 번거롭고 난해한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더욱이 상기 단위 웨이트(12)의 중량이 작업자가 들지 못할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지게차와 같은 장비에 의존해야만 하며, 단위 웨이트(12)를 프레임(11)의 상단까지 들어 올렸다가 다시 내려서 적층시키는 작업동선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 장치(10)를 조립 혹은 세팅하는 작업이 어려워지고 작업시간도 낭비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 장치(10)에서 단위 웨이트(12)는 주로 주조방식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주물사로 만들고자하는 단위 웨이트(12) 모양의 공간을 갖는 주형을 만들고, 그 주형에 주철 등의 금속을 녹여서 만든 쇳물을 주입하여 식힌 후 주형에서 이탈시키는 공정을 따르게 된다.
이처럼 단위 웨이트(12)를 주조방식에 의해 만드는 경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쇳물 주입과정에서 주물사로 만들어진 형틀이 부서지거나 기포가 배출되면서 고품질의 표면 평탄도를 얻을 수 없다. 이는 단위 웨이트(12)의 적층시 단위 웨이트(12)간 접촉이 불안정해지는 원인이 되어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고 제품의 정밀도 및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같은 문제는 초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고속 엘리베이터에는 대한 적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주조로 단위 웨이트(12)를 만드는 경우, 주조시 용해된 쇳물의 비중이나 주물사로 만들어진 형틀의 내부용적에 따라 전체 무게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중량의 제품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그 외에, 주철과 같은 금속재료로만 만들어지므로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도 있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최근에는 콘크리트(50b)를 이용하여 케이스(50a) 내부를 채워 넣는 형태의 단위 웨이트(50)가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같은 단위 웨이트(50)를 사용하는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을지라도 콘크리트(50b)를 양생하는 과정이나 제작 완료 후 운반 중 또는 설치조립 중 약간의 충격에 의하여도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 큰 문제점으로는 상기 콘크리트(50b)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관계로 중량의 변화가 생긴다는 점에 있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10)의 전체 중량이 과도하게 줄어들게 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20)를 일정한 중량으로 당겨주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엘리베이터의 고장 및 사고로까지 이어져 자칫하면 인명 피해까지 발생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치명적인 상황이 야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단위 웨이트를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상하방향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를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 한 쌍의 이격된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를 받는 복수의 승강 지지부재와;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상부에 복수개가 적층되되, 좌우 폭이 상기 수직부 한 쌍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에 전면으로부터 적층이 가능한 판형의 단위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지지부재 및 단위 웨이트에는 수직으로 일치하게 천공된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와 적층된 단위 웨이트를 하나로 체결하는 체결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웨이트는 강판을 프레스 절단하여 제작된 사각의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웨이트는 강판을 프레스 절단하여 제작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금속판이 조합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웨이트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제1금속판과, 상기 제1금속판의 일변에 접하고 제1금속판의 전후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제2금속판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수직부 전면에는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가이드홈으로 전면에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수직부를 따라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지지부재는 상기 단위 웨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좌단과 우단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위 웨이트를 좌편과 우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수직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지지부재 지지부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적층되는 단위 웨이트간 이격을 메워주는 방음방진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방진 패널은 내부가 자석, 대리석을 소재로 하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고감쇠 고무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수직부 한 쌍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한 쌍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를 구비하여 사각의 틀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전술된 웨이트 장치와; 상기 웨이트 장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탑승용 케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는 중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단위 웨이트를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마련하고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프론트로딩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직접 단위 웨이트를 운반하여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웨이트가 주물이 아닌 강판을 프레스 절단함으로써 마련하기 때문에 그 두께가 얇고 표면의 평탄도가 뛰어나다. 따라서, 정밀한 중량 조절이 가능하고, 단위 웨이트간 접촉이 양호하여 소음이 없고 제품의 정밀도 및 완성도가 높아 초고층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웨이트와 승강 지지부재 모두 강판을 사각의 형태로 프레스 절단하고 필요에 따라 절곡하는 정도로만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제거되어 낭비되는 부분이 거의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자원절약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일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달리 수분 증발로 인한 중량의 변화가 없으므로 고품질의 정밀한 엘리베이터 설비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고장이나 사고의 염려가 없고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웨이트를 마련하기 위한 소재로 사용되는 강판의 두께를 변화시켜 다양한 두께 및 중량을 갖는 표준화된 단위 웨이트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하는 방식에 의해 작업 현장 필요에 맞는 다양한 중량의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감쇠 고무, 대리석 및 자석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방음방진 패널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방진 패널이 자력에 의해 단위 웨이트에 쉽게 부착되고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웨이트가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통해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간섭회피 공간을 쉽게 마련할 수 있으므로 다른 장치 및 부품들의 간섭에 대해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단위 웨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프론트로딩에 의한 단위 웨이트 및 방음방진 패널의 탑재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II-II에 따른 단면도를 재구성한 일련의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터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중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단위 웨이트를 얇은 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에 더해 프론트로딩 방식에 의해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직접 단위 웨이트를 적층시켜 전체 카운터 웨이트 장치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단위 웨이트가 종래의 주물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강판을 프레스 절단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단위 웨이트간 접촉면의 평탄도가 뛰어나서 소음이 없고 제품의 정밀도 및 완성도가 높아 초고층 건물의 고속 엘리베이터에도 원활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조립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프론트로딩에 의한 단위 웨이트 및 방음방진 패널의 탑재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II-II에 따른 단면도를 재구성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는 지지 프레임(110)과, 복수의 승강 지지부재(120), 복수의 단위 웨이트(130), 방음방진 패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 단위 웨이트(130) 및 방음방진 패널(140)을 컴팩트하게 일정 공간 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110a,110b)와, 상기 수직부(110a,110b) 한 쌍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110c) 및 상기 수직부(110a,110b) 한 쌍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110d)를 구비하여 사각의 틀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110a,110b)에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11)은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의 양단부에 구비된 수평 연장부(123)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110a,110b)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의 수평 연장부(123)를 상기 가이드홈(111)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113)가 상하로 복수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를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상단부까지 들어 올릴 필요 없이 프론트로딩 방식으로 간단히 전면에서 밀어 넣어 탑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도록 탑재되며 상기 단위 웨이트(130)를 적층된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는 상기 단위 웨이트(13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121)와. 상기 지지부(121)의 좌단과 우단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위 웨이트(130)를 좌편과 우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측면 지지하는 수직 연장부(122)와, 상기 수직 연장부(12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10) 수직부(110a,110b)의 가이드홈(111)에 삽입되는 수평 연장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는 그 수평 연장부(123)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절개부(113)를 통해 가이드홈(111)에 인입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탑재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는 강판을 사각의 형태로 프레스 절단한 후 간단히 절곡하여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제거되어 낭비되는 부분이 없어서 경제적이며, 자원절약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웨이트(130)는 본 발명의 카운트 웨이트 장치에서 중량의 발생을 담당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형태를 완전히 탈피하여 얇은 사각의 금속판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상기 단위 웨이트(130)는 좌우 폭이 상기 수직부(110a,110b) 한 쌍의 이격된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만 단위 웨이트(130)를 지지 프레임(110)의 상단부까지 들어 올리지 않고 프론트 로딩 방식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바로바로 승강 지지부재(120)에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이같이 프론트로딩에 의한 상기 단위 웨이트(130)의 적층 및 탑재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웨이트(130)에는 승강 지지부재(120)에 천공된 핀홀(121a)과 일치하게 수직으로 천공된 핀홀(131a)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단위 웨이트(130)가 승강 지지부재(120)에 적층된 후 체결핀(135)에 의해 승강 지지부재(120)와 적층된 단위 웨이트(130)를 안정되게 하나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체결핀(135)에 의한 체결만으로는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와 적층된 단위 웨이트(13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는데 불충분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추가적인 용접작업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주목할 점으로, 상기 단위 웨이트(130)는 주물에 의해 제작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강판을 프레스 절단해서 제작한다는 점이다. 이로써 제작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대량생산에 훨씬 유리하며, 주물품과 달리 단위 웨이트(130)간 접촉면의 평탄도가 뛰어나서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이 거의 없고 제품의 정밀도 및 완성도가 높아져 초고층 건물의 고속 엘리베이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 웨이트(130) 하나의 중량은 20 내지 60kg 정도에 달하는데 소재가 되는 강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단위 웨이트(130)의 두께와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로 다른 두께 및 중량을 갖는 단위 웨이트(130)를 표준화하여 마련하고 있다가 작업 현장의 필요에 맞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웨이트(130)는 주물품과는 달리 단위 웨이트(130)를 상당히 얇은 두께로까지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단위 웨이트(130)를 운반하여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장점은 단위 웨이트(130)를 프론트 로딩에 의해 적층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조적인 장점과 더해지면서 종래기술에 비해 작업자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카운터 웨이트 장치를 조립 혹은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웨이트(130)는 강판을 사각의 형태로 프레스 절단하여 마련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제거되어 낭비되는 부분이 없어서 경제적이며, 자원절약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단위 웨이트의 경우에는 그 형태로 인해 주물에 의하지 않고 강판을 프레스 절단하여 마련한다고 가정하더라도 프레스에 끼워 연결하기 위한 끼움부를 형성하기 위해 그 전후측의 모서리 부위를 절단하여 제거해야 해야만 한다(도 2의 종래기술에 의한 단위 웨이트의 형태 참조).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은 기본적으로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의 지지부(121)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의 지지부(121)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적층되는 단위 웨이트(130)간 이격을 메워주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은 단순히 스페이서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 및 단위 웨이트(130)를 통해 발생하거나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중간에서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은 내부가 자석(141), 대리석(142,143)을 소재로 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외부는 고감쇠 고무(144)(High Damping Rubber)로 피복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141)은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이 쉽게 이탈되지 않고 금속성인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와 단위 웨이트(130)에 대하여 밀접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도 8c에는 단위 웨이트(130) 상면에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이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단위 웨이트(130) 상측에 승강 지지부재(12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실제 조립시에는 단위 웨이트(130) 상측에 승강 지지부재(120)가 설치된 후, 그 전후에 상기 방음장진 패널(140)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한편, 상기 대리석(142,143)은 주로 소음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감쇠 고무(144)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자면, 소음 차단을 위해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에 채택된 대리석(142,143)은 소음, 특히 중저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어 스피커를 받치는 받침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진동 및 충격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방음방진 패널(140)에 채택된 고감쇠 고무(144)는 충격 및 진동에너지를 스스로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력이 높기 때문에 천연고무에 비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시 웨이트 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참고로 고감쇠 고무란 조성물의 배합비를 변화시켜 진동에너지 및 충격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특화된 제품을 일컫는다. 예컨대, 고무 조성물에 카본 미립자를 다량 포함시키게 되면 진동을 열로 치환하여 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보다 나은 능력을 갖게 될 수 있으며, 가황제의 함량을 변화시켜 진동주기를 늘리는 방법으로 진동에너지의 영향을 감쇄할 수 있기도 하다. 이같은 고감쇠 고무에 대해서는 기출원된 '고감쇠고무 조성물(PCT/JP1997/02309)'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것으로 채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전술된 웨이트 장치(100-1)와 탑승용 케이지(20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건물 내 설치공간(3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 장치(100-1)와 탑승용 케이지(200)를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 됨) 및 도르래(미도시 됨), 상기 탑승용 케이지(200)에 구동력을 부여하여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기 위한 권상모터(미도시 됨), 건물 내 층마다 설치되는 자동 도어(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은 엘리베이터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는 관계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조립과정에 대해 도 10a 내지 10e를 비롯하여 다른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터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조립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도 10a와 같이 지지 프레임(110)을 지면이나 기구를 사용하여 세워놓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승강 지지부재(120) 하나를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탑재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의 수평 연장부(123)를 지지 프레임(110)의 수직부(110a,110b)에 형성된 복수의 절개부(113) 중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절개부(113)를 통해 인입시켜주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가 수직부(110a,110b) 한 쌍의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내측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승강 지지부재(120)를 하강시켜 지지 프레임(110)의 하부 수평부(110d)에 내려놓는다.
이후, 도 10b와 같이 단위 웨이트(130)를 지지 프레임(110)에 탑재된 상태로 있는 승강 지지부재(120)의 지지부(121)에 적층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단위 웨이트(130)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운반하여 내려놓기만 하면 된다. 이때 단위 웨이트(130)를 지지 프레임(110)의 수직부(110a,110b) 상단까지 올리지 않고서도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가 위치한 높이에서 전면으로부터 수직부(110a,110b) 한 쌍의 이격된 사이로 그대로 밀어 삽입한 후 내려놓기만 하면 된다.
한편, 작업자가 단위 웨이트(130)를 직접 운반하지 않고 기계 장비를 이용한다면 여러 장의 단위 웨이트(130)를 한꺼번에 운반하여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의 지지부(121)에 탑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하나의 승강 지지부재(120)에 대한 단위 웨이트(130) 복수의 적층작업이 완료되었다면 도 10c와 같이 적층된 단위 웨이트(130) 및 승강 지지부재(120)에 형성된 핀홀(121a,131a)에 체결핀(135)을 끼워 넣는다. 그러면 승강 지지부재(120) 및 그 위로 적층된 복수의 단위 웨이트(130)가 하나로 체결된다.
이후, 도 10d와 같이 또 하나의 승강 지지부재(120)를 지지 프레임(110)의 수직부(110a,110b)를 따라 탑재시킨다. 이같은 승강 지지부재(120)의 탑재는 전술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진행된다.
이후, 도 10e와 같이 두 개의 방음방진 패널(140)을 가져다가 승강 지지부재(120)의 지지부(121) 전측과 후측에 밀착시켜 준다. 그러면 내부에 자석(141)을 갖는 방음방진 패널(140)이 자력에 의해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의 지지부(121) 및 바로 아래에 적층된 단위 웨이트(130)의 상면에 밀착되어 부착된다.
이후, 전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단위 웨이트(130)를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탑재된 상태로 있는 승강 지지부재(120)의 지지부(121)에 적층시키는 작업과 이를 체결핀(135)에 의해 하나로 체결하는 작업이 다시 한 번 진행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작업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는 승강 지지부재(120)를 비롯하여 중량을 발생시키는 단위 웨이트(130)를 프론트로딩 방식으로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터 장치는 단위 웨이트(130)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금속판이 조합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단위 웨이트(13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제1금속판(130a)과, 상기 제1금속판(130a)의 일변(좌측변이나 우측변)에 접하고 전후폭이 제1금속판(130a)의 전후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된 제2금속판(130b)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따르면 상기 제2금속판(130b)을 마련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금속판에서 전측부를 경사지게 절단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같은 변형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금속판(130a)과 제2금속판(130b) 모두에 각각 체결핀(135)을 끼워 채울 수 있는 핀홀(131a)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승강 지지부재(120)에 형성되는 핀홀(121a)의 경우도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방음방진 패널(140)의 형태도 상기 단위 웨이트(1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야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2금속판(130b)의 경사진 전측변(136) 앞이나 후측변 뒤에 다른 장치 혹은 부속품들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간섭회피 공간(190)을 마련할 수 있다(도면에서는 전측변(136) 앞에 간섭회피 공간(190)이 마련됨).
단, 전술된 변형실시예에서는 단위 웨이트(130)가 사각의 제1금속판(130a)과 사다리꼴의 제2금속판(130b)이 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프레스 절단에 의해 절단된 다양한 형태의 금속판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를 구비한 엘릴베이터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 장치(100-2)를 구비한 엘릴베이터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건물 내 설치공간(320)에서 탑승용 케이지(200)의 모서리로 인해 상기 카운트 웨이트 장치(100-2)가 간섭받는 상황을 대비하여 그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웨이트(130)가 제1금속판(130a) 및 제2금속판(130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프레임 110a,110b : 수직부
110c : 상부 수평부 110d : 하부 수평부
120 : 승강 지지부재 121 : 지지부
122 : 수직 연장부 123 : 수평 연장부
130 : 단위 웨이트 135 : 체결핀
140 : 방음방진 패널 141 : 자석
142,143 : 대리석 144 : 고감쇠 고무

Claims (12)

  1.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상하방향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를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 한 쌍의 이격된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를 받는 복수의 승강 지지부재와;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상부에 복수개가 적층되되, 좌우 폭이 상기 수직부 한 쌍이 이격된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에 전면으로부터 적층이 가능한 판형의 단위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 지지부재는 상기 단위 웨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좌단과 우단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위 웨이트를 좌편과 우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수직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지부재 및 단위 웨이트에는 수직으로 일치하게 천공된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와 적층된 단위 웨이트를 하나로 체결하는 체결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웨이트는 강판을 프레스 절단하여 제작된 사각의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웨이트는 강판을 프레스 절단하여 제작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금속판이 조합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웨이트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제1금속판과, 상기 제1금속판의 일변에 접하고 제1금속판의 전후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 제2금속판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수직부 전면에는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가이드홈으로 전면에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수직부를 따라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지부재는, 강판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프레스 절단한 후 절곡하여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지부재 지지부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 지지부재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적층되는 단위 웨이트간 이격을 메워주는 방음방진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방진 패널은 내부가 자석, 대리석을 소재로 하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고무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12.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웨이트 장치와;
    상기 웨이트 장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탑승용 케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KR1020110103676A 2011-10-11 2011-10-11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 KR10114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676A KR101140653B1 (ko) 2011-10-11 2011-10-11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676A KR101140653B1 (ko) 2011-10-11 2011-10-11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653B1 true KR101140653B1 (ko) 2012-05-07

Family

ID=4627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676A KR101140653B1 (ko) 2011-10-11 2011-10-11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1010A (zh) * 2012-10-16 2012-12-26 江南大学 一体型激光杨氏模量测定仪防晃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3347A (ja) * 1974-11-01 1976-05-11 Hitachi Ltd Erebeetatsuriaiomoryoeito
JPH09110339A (ja) * 1995-10-19 1997-04-2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3347A (ja) * 1974-11-01 1976-05-11 Hitachi Ltd Erebeetatsuriaiomoryoeito
JPH09110339A (ja) * 1995-10-19 1997-04-2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1010A (zh) * 2012-10-16 2012-12-26 江南大学 一体型激光杨氏模量测定仪防晃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6346B (zh) 制造电梯的方法
CN104773630A (zh) 一种转角门客梯
JP4351471B2 (ja) せり上げ式エレベータ
CN101896417B (zh) 升降机框架
KR101140653B1 (ko) 프론트 로딩 타입 단위 웨이트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 장치 및 엘리베이터
EP1767485B1 (en) Elevator
CN111805711A (zh) 一种预制层叠式电梯井的专用模具
JP6600259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2953666U (zh) 无机房电梯联体轿架轿厢
CN104773633A (zh) 一种转角门家用电梯
EP2821193A1 (en) Method for adjusting sidewall unit and sidewall unit
CN107826931A (zh) 一种双夹层多级减震缓冲升降电梯
CN105517939A (zh) 电梯轿厢
JP5656085B2 (ja) エレベータ
JP3700412B2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CN101966954A (zh) 一种电梯轿架
JP64041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6144844A (zh) 一种紧凑型无机房电梯
EP1882667A1 (en) Elevator device
KR20170050377A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 방진 구조
JP2012071939A (ja) かごガイドレ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
CN112203967B (zh) 电梯的对重框组装辅助装置和电梯的对重框组装方法
WO2023112138A1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
CN110683445A (zh) 无机房后对重承重结构
JPWO20050827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