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228B1 -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228B1
KR101139228B1 KR1020050006108A KR20050006108A KR101139228B1 KR 101139228 B1 KR101139228 B1 KR 101139228B1 KR 1020050006108 A KR1020050006108 A KR 1020050006108A KR 20050006108 A KR20050006108 A KR 20050006108A KR 101139228 B1 KR101139228 B1 KR 10113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query
message
human network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126A (ko
Inventor
형용준
최광용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5000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228B1/ko
Priority to PCT/KR2005/004561 priority patent/WO2006078094A1/en
Publication of KR2006008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126A/ko
Priority to US11/781,136 priority patent/US915911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소정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의 사항을 받은 자가 자신의 지인에게 계속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답변이 최초에 질의를 작성한 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소지한 자로부터 신뢰성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지식 공유 방법이며, 제1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하는 단계;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질의 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질의 ID에 제1 사용자의 ID를 대응시키는 단계; 제1 사용자와 지인 관계인 제2 사용자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의 ID를 질의 ID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질의, 지식 공유, 인맥, 휴먼 네트워크, 지인, 전달, 메시지

Description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 내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은 온라인 상 휴먼 네트워크 형성의 결과 얻어지는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의 질의 데이터베이스(16)내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식 공유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질의 메시지의 형식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9는 답변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데이터베이스 12: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4: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16: 질의 데이터베이스
20: 어플리케이션 서버
100: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
200: 인터넷
310, 320, 330, 340: 사용자 단말기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축된 휴먼 네트워크(human network)를 활용하여 지식 또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문의 사항이나 질의 사항이 있는 사용자가 이미 구축된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답변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미 유무선 인터넷 및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는 대중화된 통신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 구성원들이 정보를 공유하거나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나, 전자 메일(e-mail), 메신저(messenger) 등의 수단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특정 문의 사항에 대한 지식을 얻는 방법으로는 자신의 지인 중에서 해당 분야의 지식을 소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자에게 전자 메일을 보내거나, 메신저 등을 통해 접속하여 문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자신과 직접 지인 관계가 있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그 범위가 넓지 못하였고,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인터넷 상의 동호회, 커뮤니티 또는 포털 사이트의 게시판 등에 질문을 올리고 그 답을 기다리는 방법이 있으나, 이 역시 해당 동호회, 커뮤니티 또는 포털 사이트에 자주 접속하는 사람으로 범위가 한정되고, 답변 여부도 확실히 보장되지 못하며,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게 되므로 답변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on-line human network)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넷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휴먼 네트워크(human network)란 사회생활을 통해서 지인 관계가 된 개개인들을 단위로 하는 가상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지인 관계란 서로 일정 정도의 정보, 경험, 이상, 공동체의 소속 등을 공유하게 된 결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게 된 범위의 타인을 말하며, 이러한 지인 관계는, 선행하는 소정의 지인 관계를 통해서 파생되거나, 혈연, 학연 또는 지연에 의하거나, 특정 단체에 소속되거나 또는 회사나 팀을 통하여 공동 업무 등을 수행하면서 서로에 대하여 알게 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 생활의 모습이다.
최근 인터넷 등 네트워크의 발달 및 보급에 의해, 온라인 상에서도 이러한 지인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는데,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간에 이러한 휴먼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구축된 휴먼 네트워크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이를 기초로 원하는 능력, 경력 등을 보유한 사람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새로운 지인과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고 그 관계를 기초로 자신의 휴먼 네트워크를 더욱 확장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파일이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종 다양한 서비스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상의 휴먼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기술에서는, 불특정 다수가 접근 가능하다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의 특성상 무엇보다도 상호 인적관계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넓은 범위의 휴먼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고,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필요한 번거로운 절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해당 분야의 주요한 기술 개발 목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소정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의 사항을 받은 자가 자신의 지인에게 계속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답변이 최초에 질의를 작성한 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소지한 자로부터 신뢰성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질의 사항 전달 및 답변을 통하여 새로운 온라인상 지인 관계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간단히 질의 사항을 작성하고, 답변 또는 전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 휴먼네트워크를 통한 질의 사항의 전달 경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답변 여부에 대한 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답변 작성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지식 공유를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한,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지식 공유 방법이며, 제1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질의 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질의 ID에 상기 제1 사용자의 ID를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 관계인 제2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ID를 상기 질의 ID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질의 메시지를 제n-1 사용자(n≥3)가 그와 지인 관계인 제n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사용자의 ID를 상기 질의 ID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제n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n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답변 경로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을 경유하여 이를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n 사용자의 ID, 상기 제n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 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n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 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질의 메시지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에게 지인에게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질의 메시지가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에서 전달될 때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 전달 경로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에 답변한 상기 제n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의 설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할 제2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사용자들의 관심분야, 이전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횟수 또는 중계 횟수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한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 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을 경우 적어도 각 사용자 ID 및 메시지 ID를 저장하기 위한 레코드 필드가 사용자 별로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지식 공유 방법이며, 제1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지인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메시지 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질의 메시지를 제n-1 사용자(n≥3)가 그와 지인 관계인 제n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메시지 ID를 상기 제n-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제n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한 경우, 상기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를 추적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답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한 기록매체는 상술한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한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 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1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작성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질의 ID를 생성하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 상기 제2 사용자가 선택한 제3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질의 ID에 상기 제1 사용자의 ID, 상기 제2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3 사용자의 ID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질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한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을 경우 적어도 각 사용자 ID 및 메시지 ID를 저장하기 위한 레코드 필드가 사용자 별로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1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작성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메시지 ID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며, 이후 순차적으로 상기 질의 메시지를 제n-1 사용자(n≥3)가 그와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 선택한 제n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ID를 상기 제n-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며.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추적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답변 또는 전달 여부를 집계하고 상기 사용자들의 성향 파악을 위해 상기 사용자들의 ID에 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먼 네트워크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10) 내에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 및 질의 데이터베이스(1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은 유/무선 인터넷,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10, 320, 330, 340)와 접속한다. 편의 상 사용자 단말기는 4개 만을 도시하였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랩톱, 데스크톱, PDA, PCS 등 다종 다양한 고정 또는 이동식(mobile)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들은 그 단말기(310, 320, 330, 340)를 통하여,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에 등록하며, 이러한 등록 과정에서는 각 사용자의 ID, 패스워드 및 신상 정보(직업, 성별, 나이, 거주지, 직장 주소, 회사명, 출신 학교, 취미 등)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사용자의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각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또는 등록 시,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프로그램을 각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은,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 간에 형성되어 있는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인 관계를 기초로 하며, 이러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인 관계는 지인 관계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인 관계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별개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4-82761호에서 설명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예시를 위한 지인 관계 형성 과정을 요약하면, 사용자 간에 온라인 상의 1차 지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1 사용자가 그 단말기(310)를 통하여 초대 메시지를 제2 사용자의 단말기(330)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가 그 단말기(330)에서 이를 확인하여, 승낙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D)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초대 메시지 및 승낙 메시지는 전자 우편, 문자 메시지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에서는 이러한 초대 및 승낙 과정이 이루어짐을 인식하여, 두 사용자 간에 1차 지인 관계가 형성되었음을 지인 정보 데이터 베이스(14)에 소정 데이터 구조로 기록한다. 이때, 제2 사용자는 아직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초대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승낙 메시지 발송 시에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시스템에 사용자로 등록하도록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초대 및 승낙 및 그에 준하는 절차 없이,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특정 포털 사이트의 회원, 소정 커뮤니티의 회원 또는 소정 동호회에 가입된 회원의 자격을 기초로 형성된 온라인 상의 지인 관계일 수도 있다.
도 2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된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 내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는, 서로 1차 지인 관계가 형성된 각 사용자의 ID를 1: 1로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이러한 데이터 구조를 '관계형 데이터 구조'라 정의한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초대 및 승낙 과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전체 데이터 구조의 변경 없이 각각의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 사용자의 ID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므로, 데이터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온라인 상 휴먼 네트워크 형성의 결과 얻어지는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여기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4개의 노드(0, 1, 2, 3)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낸 관계형 데이터 구조를 통하여, 도 3과 같은 그래프 데이터 구조가 얻어진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전체 휴먼 네 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에서 각 노드(0, 1, 2, 3)는 각 사용자의 ID에 대응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각 노드(0, 1, 2, 3)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link)는 각 사용자 간에 이루어진 직접적 지인 관계(1차 지인 관계, 또는 1촌이라 정의함)를 나타낸다. 여기서 노드 0인 사용자와 노드 1 및 3의 사용자는 각각 1차 지인 관계(1촌)에 있으며, 노드 0인 사용자와 노드 2인 사용자는 2차 지인 관계(2촌)에 있다.
우측에 예시된 지인 관계 데이터베이스(14)내의 데이터 구조는, 좌측의 그래프 다이어그램으로 표시된 휴먼 네트워크를 반영한 데이터 구조이다. 좌측에서, 노드 0은 노드 1 및 3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측의 데이터 구조에서는 데이터 0에 데이터 1 및 3이 대응되어 있다. 또한, 좌측에서, 노드 1은 노드 0, 2 및 3예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구조 상에서는 데이터 1에 데이터 0, 2 및 3이 대응되어 있다. 이하,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유추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예시한 내용 이외에도, 지인 관계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여 온라인상 지인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a)에 질의 사항이 발생한 경우, 제1 사용자(a)는 이를 자신과 1차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 제2 사용자(b)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 전자 메일, 메신저, 쪽지 등 메시지의 형식에는 구애 받지 않는다. 이때, 제2 사용자(b)가 그 질의 내용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제3 사용자(e)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사용자도 해당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제4 사용자(j) 및 제5 사용자(p)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제 5 사용자(p)가 해당 질의 내용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 경우에, 제5 사용자(p)는 답변을 작성하여 제1 사용자(a)에게 직접 전송(R1) 한다. 또는, 제5 사용자(p)의 답변 메시지가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의 역 경로 상의 사용자들을 각각 거쳐 순차적으로(p-j-e-b-a) 질의 작성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 과정을 통하여, 제1 사용자(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자신의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답변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서버(20)는 온라인 상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질의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답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질의 메시지를 전송할 대상을 선택함에 있어서 질의의 카테고리에 따라 관심 분야를 공유하는 지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서버(20)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에 지인 관계가 설정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 분야나 신상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0)를 참조하여 설정된 지인 관계의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지인 중 해당 질의에 정확히 답변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인을 선택하여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버(20)는, 질의에 대한 답변 횟수나 중계 횟수 등이 가장 높은 사용자를 선택하여 질의 메시 지를 작성하는 사용자에게 이들의 ID를 제공하거나 또는 서버(20)의 중계에 의해 이들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20)는 질의를 작성한 사용자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 질의가 전달되는 경로 수를 제한할 수 있도록(예를 들어 질의 작성자와 3촌 이내 등)하는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의 질의 데이터베이스(16)내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하며, 도 6은 그 데이터 처리 과정을 예시한다. 제1 사용자(a)에 의하여 질의 메시지가 작성되면(1),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발생된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질의 ID를 생성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10)내에 구비된 질의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2).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제1 사용자(a)가 그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에서 선택한 제2 사용자(b)의 ID를 질의 ID에 대응시켜 저장하고(3), 질의 메시지를 제2 사용자(b)에게 전달한다(4). 제2 사용자(b)는 자신이 해당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자신의 지인 중에서 선택한 제3 사용자(e)에게 전달 요청을 한다(5).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제3 사용자(e)의 ID를 질의 ID에 대응시켜 저장하고(6), 제3 사용자(e)에게 질의 메시지를 전달한다(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질의 ID(Question id1)와 각 사용자의 ID는 도 5에서 도시된 예와 같이 대응되는 데이터 구조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질의 메시지의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나타내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질의 메시지가 1:1로 전달되는 경우만을 예시하였지만, 유사한 과정을 거쳐 한 사용자로부 터 다수의 사용자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과 같은 형태로 자신의 지인에게 모두 질의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식 공유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질의 메시지의 형식을 예시한다. 회원 가입 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소정 포맷의 질의 메시지 작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를 지정하고, 질의 내용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자의 지정을 위해, 상기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내에서의 자신의 지인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한 목록의 제공이 가능하다. 제1 사용자가 질의 메시지(A)를 작성하면, 지인 중 지정된 제2 사용자(b)에게 전달되어, 발신자와 질의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B). 이와 같이 전달된 메시지에는, 수신자의 답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버튼들이 수반될 수 있다. 긍정(410), 부정(420) 또는 자신의 지인에게 전달(430) 등 다양한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선다형 등의 설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질의 메시지의 포맷을 질의 작성자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질의 작성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각종 도구(tool)을 제공할 수도 있다. 메시지를 전달 받은 제2 사용자(b)가 자신의 지인에게 전달(430) 버튼을 클릭하면, 자신의 지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리스트가 제공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를 인식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우선,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지인 정보 데이 터베이스의 구축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S100). 사용자의 가입에 의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S10), 위에서 예시된 사용자 간의 초대/응낙 과정에 의해 1차 지인 관계가 형성되며(S15), 서버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간의 1차 지인 관계 정보를 적절한 데이터 구조로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S2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가 구축된다.
제1 사용자가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S30),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메시지 ID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며, 그에 질의 작성자인 제1 사용자의 ID를 대응시킨다(S35).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1 사용자의 지인 중 선택된 제2 사용자에게 이를 전달하고, 제2 사용자의 ID를 메시지 ID에 대응시킨다(S40). 메시지를 받은 제2 사용자가 해당 질의에 답변할 수 있는 지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S50), 답변을 작성하며(S7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사용자의 지인 중 선택된 제3 사용자에게 전달한다(S55).
이러한 전달 과정은 상술한 온라인 휴먼네트워크 상에서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으며, 질의 메시지를 전달 받은 제k 사용자(k는 2 이상의 정수)가 자신의 지인 중 제k+1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k 사용자 자신이 답변을 하고, 그와 동시에 자신의 지인에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답변을 하거나 전달할 의사가 없을 경우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답변은 질의 ID에 대응되어 있는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상의 사용자 ID를 참조하여 질의 작성자에게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답변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한다. 예시된 답변 메시지(P)는, 질의 내용과 답변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답변 작성자(E-1)(예를 들어, 사용자 p)와 함께 답변 작성자와 질의 작성자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관계(예를 들어, 4촌), 전달 경로(예를 들어, a-b-e-j-p)를 표시하여 질의 작성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답변 작성자와 1차 지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여(E-2)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갖고 있는 사람과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구축을 촉진할 수 있다.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식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서 경로 상의 사용자들에게는 사이버 머니, 마일리지(mileage) 등 소정 인센티브를 지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질의 작성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질의 메시지가 온라인 휴먼네트워크 상에서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각 전달 시마다 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감지하여 질의 작성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 4와 같은 그래프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단지 현재 메시지를 전달 받은 사용자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촌수 등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온라인 휴먼네트워크 상에서 질의 메시지의 전달 및 답변 경로를 분석하여, 중계허브 및 지식허브 등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석 과정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에서, 질의를 전달 받은 사용자들의 단말기(310, 320, 330, 340)로부터 서버(20)에 인식된 각 사용자들의 반응(답변 또는 전달)을 서버(20)가 사용자 별로 집계하고, 답변을 많이 한 사용자를 지식허브로 간주하고 전달을 많이 한 사용자를 중계허브로 간주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답변의 내용에 대한 질의 작성자의 평가(예를 들어, A, B, C 등 만족도 별로 등급 입력이 가능)를 기초로 하여, 답변 작성자의 공헌도를 개별적으로 정량화하는 방법을 통하여 지식허브를 선출하여 소정 인센티브를 줄 수 있도록 하거나, 답변 작성자와의 관계를 재설정(예를 들어 후디 관계로 설정하는 등)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을 기록한 기록매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여,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소정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의 사항을 받은 자가 자신의 지인에게 계속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답변이 최초에 질의를 작성한 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소지한 자로부터 신뢰성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의하여, 질의 사항 전달 및 답변을 통하여 새로운 온라 인상 지인 관계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의 활성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온라인상 휴먼네트워크를 통한 질의 사항의 전달 경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답변 여부에 대한 확실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경우에 따라 답변 작성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식 공유를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6)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지식 공유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1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질의 ID를 생성하여 질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질의 ID에 상기 제1 사용자의 ID를 대응시켜 상기 질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 관계인 제2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ID를 상기 질의 ID에 대응시켜 상기 질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질의 메시지를 제n-1 사용자(n≥3)가 그와 지인 관계인 제n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제n 사용자의 ID를 상기 질의 ID에 대응시켜 상기 질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답변 경로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을 경유하여 이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n 사용자의 ID, 상기 제n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 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n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 이 상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에게 지인에게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을 제공하며,
    상기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가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에서 전달될 때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 전달 경로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에 답변한 상기 제n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의 설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할 제2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사용자들의 관심분야, 이전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횟수 또는 중계 횟수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1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작성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질의 ID를 생성하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 상기 제2 사용자가 선택한 제3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질의 ID에 상기 제1 사용자의 ID, 상기 제2 사용자의 ID 및 상기 제3 사용자의 ID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질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질의 메시지를 제n-1 사용자(n≥3)가 그와 지인 관계인 제n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n 사용자의 ID를 상기 질의 ID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n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답변 또는 전달 여부를 집계하고 상기 사용자들의 성향 파악을 위해 상기 사용자들의 ID에 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
KR1020050006108A 2005-01-22 2005-01-22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13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08A KR101139228B1 (ko) 2005-01-22 2005-01-22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PCT/KR2005/004561 WO2006078094A1 (en) 2005-01-22 2005-12-27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US11/781,136 US9159110B2 (en) 2005-01-22 2007-07-20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inquiries and answers thereto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08A KR101139228B1 (ko) 2005-01-22 2005-01-22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126A KR20060085126A (ko) 2006-07-26
KR101139228B1 true KR101139228B1 (ko) 2012-04-20

Family

ID=3717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108A KR101139228B1 (ko) 2005-01-22 2005-01-22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154A (ko) 2018-04-25 2019-11-04 서승건 사용자 관계 확장 플랫폼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15B1 (ko) * 2007-10-01 2008-05-02 (주) 아이워리어 온라인 소셜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US8612469B2 (en) 2008-02-21 2013-12-17 Globalenglish Corporation Network-accessible collaborative annotation tool
WO2009105735A2 (en) * 2008-02-21 2009-08-27 Globalenglish Corporation Web-based tool for collaborative, social lear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971A (ja) * 2000-10-17 2002-07-12 Mekiki:Kk 人脈関係登録システム、人脈関係登録方法とサーバ、人脈関係登録プログラムと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30040273A (ko) * 2003-04-09 2003-05-22 엔에이치엔(주) 질문자 답변자 매칭 방법 및 시스템
US6571234B1 (en) * 1999-05-11 2003-05-27 Prophet Financi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message 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1234B1 (en) * 1999-05-11 2003-05-27 Prophet Financi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message board
JP2002196971A (ja) * 2000-10-17 2002-07-12 Mekiki:Kk 人脈関係登録システム、人脈関係登録方法とサーバ、人脈関係登録プログラムと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30040273A (ko) * 2003-04-09 2003-05-22 엔에이치엔(주) 질문자 답변자 매칭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154A (ko) 2018-04-25 2019-11-04 서승건 사용자 관계 확장 플랫폼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126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3562A1 (en) Method of facilitating contact between mutually interested people
US7957510B2 (en) Notifying network contacts of inquiries
JP4968041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の連携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10071843A1 (en) Occurrence marketing tool
US20060218111A1 (en) Filtered search results
WO20060780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US20090006622A1 (en) Ultimate client development system
US200800137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sumer opinions to companies
JP2008507749A (ja) 移動通信端末機を通じたモブログ基盤の地域コミュニティー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140174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20045861A (ko)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제공 방법
US20180211259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ustomer Service and Social Media Method
Hughes et al. eReferrals: Why are we still faxing?
KR101139228B1 (ko)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Liao et al. The influence of media capabilities on knowledge contribution in online communities
RU2378987C1 (ru) Способ знакомства в сети интернет посредством психологического теста
KR101470579B1 (ko)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JP2002230137A (ja) コミュニティ形成支援装置、コミュニティ形成支援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70005743A (ko)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시스템
US202202154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ustomer referral and endorsement of entities and individuals
JP2013105185A (ja) 情報収集サーバ、情報収集方法および情報収集プログラム
JP5896261B1 (ja) メール配信用サーバ
KR2000005459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문답 시스템 및 방법
KR101368442B1 (ko)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2008293345A (ja) 営業活動支援システム及び営業活動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