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579B1 -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579B1
KR101470579B1 KR1020130108342A KR20130108342A KR101470579B1 KR 101470579 B1 KR101470579 B1 KR 101470579B1 KR 1020130108342 A KR1020130108342 A KR 1020130108342A KR 20130108342 A KR20130108342 A KR 20130108342A KR 101470579 B1 KR101470579 B1 KR 101470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ee
mentor
reply
question
men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의 회원 관리부는 입사 지원자를 멘티(Mentee)로서 회원 관리하고, 현업 담당자인 복수의 멘토(Mentor) 중에서 상기 멘티에 의해 선택되는 한명의 멘토를 상기 멘티에 대응되어 관리한다. 작성부는 유무선 단말을 통한 멘티의 요청에 따라 멘티의 질문 작성을 지원하고, 멘토의 요청에 따라 멘티의 질문에 대한 멘토의 답장 작성을 지원한다. 전송부는 상기 작성부를 통해 멘티의 질문이 작성되는 경우 질문 접수 안내를 멘토에게 전송하고,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는 경우 답장 접수 안내를 상기 멘티에게 전송한다.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회원 관리부를 통한 멘티 및 멘토의 회원 관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작성부를 통한 멘티의 질문 작성과 멘토의 답장 작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전송부를 통한 상기 질문 접수 안내 및 답장 접수 안내의 전송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Mentoring system for reinforcing employment brand and securing pool of talented person and mentoring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최적의 인재를 채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취업자들은 안정적이면서도 만족스러운 기업을 지원하려는 경향이 있다.
최근의 채용 환경은 넘쳐나는 구직자들로 인한 취업난으로 스펙 쌓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반면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신입 사원에 대한 만족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많은 구직자 중에서 차별화된 창의적 인재를 적은 비용으로 선별해내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신입사원의 빈번한 이직에 따른 채용 실패율을 낮추는 방안 또한 강구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일환으로 기업에서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조직 내외부 인력들로부터 인식되는 고용 관계의 총체적인 이미지인 고용 브랜드를 강화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의 스마트 채용 경향에 따라 차별화된 기업의 고용 브랜드를 통해 유인되는 우수 인재를 발굴하여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방안이 시험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학교 리쿠르팅, 소셜 리쿠르팅, 수시 채용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인재 발굴 방식은 비용 대비 채용 실패율이 높고 비관련 부서의 주도로 선발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어 적절한 인재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별화된 고용 브랜드를 강화하여 우수한 인재 풀을 확보함과 동시에 기업에 적합한 우수 인력을 조기 발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0902878호(2009.06.08. 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별화된 고용 브랜드를 강화하여 우수한 인재 풀을 확보함과 동시에 기업에 적합한 우수 인력을 조기 발굴할 수 있는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은,
입사 지원자를 멘티(Mentee)로서 회원 관리하고, 현업 담당자인 복수의 멘토(Mentor) 중에서 상기 멘티에 의해 선택되는 한명의 멘토를 상기 멘티에 대응되어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유무선 단말을 통한 멘티의 요청에 따라 멘티의 질문 작성을 지원하고, 멘토의 요청에 따라 멘티의 질문에 대한 멘토의 답장 작성을 지원하는 작성부; 상기 작성부를 통해 멘티의 질문이 작성되는 경우 질문 접수 안내를 멘토에게 전송하고,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는 경우 답장 접수 안내를 상기 멘티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회원 관리부를 통한 멘티 및 멘토의 회원 관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작성부를 통한 멘티의 질문 작성과 멘토의 답장 작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전송부를 통한 상기 질문 접수 안내 및 답장 접수 안내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멘토가 자신에게 등록된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관리하는 평가 관리부; 및 멘토링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멘토와 멘티의 정보,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 및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 각 멘티에 대해 수행된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멘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멘티 데이터베이스; 멘토의 정보를 저장하는 멘토 데이터베이스;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과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을 대응하여 저장하는 게시글 데이터베이스; 및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가 관리부는, 멘토로부터 멘티에 대한 평가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멘티에 대한 평가 항목을 멘토에게 표시하는 평가 항목 표시부; 멘토에게 표시된 평가 항목에 대해 멘토로부터 평가가 수행되는 경우 그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평가 결과 수신부; 상기 평가 결과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평가 결과 저장부; 및 멘티별 또는 멘티 전체에 대한 평가 결과 표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멘티별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멘티별 또는 멘티 전체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평가 결과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입사 지원자가 멘티로서 회원 가입하는 경우 멘티의 정보로써 자기소개서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멘티에 의해 질문이 작성되는 경우 해당 멘티에 대해 선택되어 있는 멘토에게 상기 질문이 접수되었음을 알리는 질문 접수 안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질문 접수 안내는 단문 메시지(SMS)나 이메일을 통해 멘토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질문 접수 안내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 내에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포함시켜 멘토가 상기 콜백 URL을 통해 직접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백 URL을 통해 멘토가 접속하는 경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의 답장을 작성할 수 있도록 멘티의 질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멘토에 의해 작성된 질문에 대해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는 경우 해당 멘티에게 상기 질문에 대한 답장이 작성되었음을 알리는 답장 접수 안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답장 접수 안내는 단문 메시지(SMS)나 이메일을 통해 멘티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답장 접수 안내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 내에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포함시켜 멘티가 상기 콜백 URL을 통해 직접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백 URL을 통해 멘티가 접속하는 경우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멘토의 답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멘토에 의해 제공되는 멘티별 경력에 적합한 과제 수행을 멘티에게 요청하고, 멘티에 의해 제공되는 과제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과제 수행 내역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는 멘티가 신입 또는 경력인지의 여부에 따라 그 수준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멘티에 대한 평가는 멘티의 자기소개서, 멘티의 질문 작성을 통한 멘토링 진행 과정, 멘티에 의해 수행된 과제 수행 내역 및 멘티에 대한 오프라인 면접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는 멘티의 취업시 가점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은,
멘토링 시스템이 유무선 단말을 통해 접속되는 멘티에 대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멘티로부터 멘토-여기서 멘토는 상기 멘티의 회원 가입시 현업 부서 담당자들로 구성된 멘토들 중에서 선택된 한 명의 멘토임-에 대한 질문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멘티에게 질문 작성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멘티에 의해 질문이 작성되면 질문 접수 안내를 상기 멘토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질문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입사 지원자로부터 상기 멘티로의 회원 가입 요청을 받는 단계; 회원 가입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사 지원자로부터 회원 가입 정보가 접수되는 경우 현업 부서의 담당자들로 구성된 멘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되는 멘토 정보를 통해 상기 입사 지원자로부터 한 명의 멘토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입사 지원자를 멘티로 회원 가입 처리하고, 상기 멘티에 의해 선택되는 한 명의 멘토를 상기 멘티와 대응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질문 접수 안내를 상기 멘토에게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질문 접수 안내를 확인한 상기 멘토로부터 상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에 대한 답장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멘토에게 답장 작성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면 답장 접수 안내를 상기 멘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답장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단문 메지시 형태로 상기 멘토에게 전송된 질문 접수 안내에 포함된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통한 상기 멘토의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의 접속이 상기 답장 작성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답장 작성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과 함께 상기 질문에 대해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답장 접수 안내를 상기 멘티에게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답장 접수 안내를 확인한 상기 멘티로부터 상기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에 대한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멘티에게 답장 확인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답장에 대한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단문 메지시 형태로 상기 멘티에게 전송된 답장 접수 안내에 포함된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통한 상기 멘티의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의 접속이 상기 답장에 대한 확인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답장 확인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과 상기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답장 확인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멘토로부터 멘티에 대한 평가 수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멘토에게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통한 상기 멘토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멘티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멘티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멘토가 관리하는 멘티 전체 또는 특정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멘토가 관리하는 멘티 전체 또는 특정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을 탈피한 현업 담당자와 입사 지원자간의 온라인을 통한 멘토링 실시에 의해 기업 측면에서 비용 효과적으로 고용 브랜드를 강화하여 인재 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은 현업 부서에 적합한 인재의 사전 발굴이 가능하다.
또한, 입사 지원자의 경우에는 사전 취업률 및 적응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멘토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가 관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 따라 멘티로 회원 가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멘토링 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멘토링 시스템에서 입사 지원자의 회원 가입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티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멘토링 시스템에서의 게시판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멘토링 시스템에서 멘티가 질문을 작성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멘토링 시스템에서 멘티가 이동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질문을 작성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멘토링 시스템에서 멘토가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의 다른 예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서 멘티가 멘토의 답장을 확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서 멘토의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멘토링 시스템에서 멘토가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은 회사와 같은 조직 내부의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 네트워크인 인트라넷(200)을 통해 접속되는 회사 내부의 데스크탑 컴퓨터(510), 노트북 컴퓨터(520) 등과, 인터넷(300)을 통해 개인적으로 접속되는 데스크탑 컴퓨터(610), 노트북 컴퓨터(620) 등과, 이동 통신망(400)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되는 이동 단말(710, 720) 등을 통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멘토링 시스템(100)은 각종의 단말(610, 620, 710, 720)을 통해 입사 지원자(이하 '멘티(memtee)'라고 함)가 접속하여 현업 부서의 멘토(montor)를 선정받고, 선정받은 멘토에게 질문을 작성하여 송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각종의 단말(510, 520, 610, 620, 710, 720)을 통해 멘토가 접속하여 멘티로부터 수신되는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하여 해당 멘티에게 송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멘티의 경력에 따라 적합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그 후 멘토가 멘티와의 멘토링 수행 내용에 기초하여 해당 멘티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평가 결과를 관리한다. 이 때 관리되는 멘토별 멘티의 평가 결과는 추후 취업시 가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710, 720)을 이용하여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 단말(710, 720) 상에서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거나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의 오픈 마켓을 통해 접속 앱을 다운받아서 설치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멘토링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토링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DB)(110), 웹 서비스부(120), 회원 관리부(130), 작성부(140), 전송부(150), 평가 관리부(160) 및 서비스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멘토링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멘토와 멘티 정보, 멘티 및 멘토에 의해 작성된 질문 및 답장, 멘티별 과제 수행 내역, 멘티에 대해 수행된 오프라인 면접 결과, 각 멘티에 대해 수행된 평가 결과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10)는 멘티 정보를 저장하는 멘티 DB(111), 멘토 정보를 저장하는 멘토 DB(113),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 글과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 글을 저장하는 게시글 DB(115) 및 멘티별 과제 수행 내역, 멘티에 대해 수행된 오프라인 면접 결과,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평가 DB(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게시글 DB(115)는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 글과 해당 질문 글에 대해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 글을 별도로 저장하는 2개의 DB로 구성될 수 있으나,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 글과 해당 질문 글에 대해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 글을 서로 연결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하나의 DB로 구성된다.
웹 서비스부(120)는 웹사이트를 통해 각종의 단말(510, 520, 610, 620, 710, 720)에게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비스를 한다.
회원 관리부(130)는 데이터베이스(110)의 멘티 DB(111) 및 멘토 DB(113)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며, 웹 서비스부(120)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들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멘토 및 멘티 정보를 사용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하고, 비회원의 경우 웹 서비스부(120)를 통한 멘토 또는 멘티로의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작성부(140)는 웹 서비스부(120)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가 멘티인 경우 멘토에게 문의하는 질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질문 작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접속된 사용자가 멘토인 경우 멘티로부터의 질문에 답장을 작성할 수 있도록 답장 작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부(150)는 멘티에 의해 작성부(140)를 통해 질문이 작성되었음 알리는 질문 접수 안내를 해당 멘티의 멘토에게 전송하고, 또한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었음을 알리는 답장 접수 안내를 해당 멘티에게 전송한다. 이 때, 전송부(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질문 접수 안내 및 답장 접수 안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SMS)나 이메일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문 메시지의 경우 안내를 수신한 멘토나 멘티가 자신의 이동 단말(710, 720)을 통해 수신된 안내의 단문 메시지를 통해 바로 답장을 작성하거나 또는 답장을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콜백 UR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메일의 경우에는 이메일 내에 멘토링 시스템(100)의 URL을 링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 관리부(160)는 멘토가 자신의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평가 DB(117)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평가 관리부(160)는 필요에 따라 평가 DB(117)에 저장되어 있는 멘티별 평가 결과 또는 전체 멘티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170)는 인트라넷(200) 및 인터넷(300)과의 통신을 제어함과 아울러, 웹 서비스부(120), 회원 관리부(130), 작성부(140), 전송부(150) 및 평가 관리부(160)를 제어하여 각종의 단말(510, 520, 610, 620, 710, 720)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에 대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어부(170)는 웹 서비스부(120)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고, 회원 관리부(130)를 통한 회원 관리를 제어하며, 작성부(140)를 통해 멘티 또는 멘토가 질문 또는 답장을 작성하도록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질문 및 답장이 작성되는 경우 전송부(150)를 통해 질문 접수 안내 및 답장 접수 안내를 멘토 또는 멘티에게 전송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며, 또한, 멘토에 의해 멘티가 수행해야 하는 과제를 제공하고 멘티에 의해 수행된 과제 결과를 포함하는 과제 수행 내역을 관리하며, 평가 관리부(160)를 통해 멘토에 의한 멘티의 평가 및 평가 결과에 대한 관리의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가 관리부(16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 관리부(160)는 평가 항목 표시부(161), 평가 결과 수신부(163), 평가 결과 저장부(165) 및 평가 결과 표시부(167)를 포함한다.
평가 항목 표시부(161)는 서비스 제어부(170)로부터 멘티에 대한 평가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멘티에 대한 평가 항목을 멘토에게 표시한다.
평가 결과 수신부(163)는 멘토에게 표시된 평가 항목에 대해 멘토가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수신한다.
평가 결과 저장부(165)는 평가 결과 수신부(163)를 통해 수신되는 평가 결과를 해당 멘티의 평가 결과로써 평가 DB(117)에 저장한다.k
평가 결과 표시부(167)는 서비스 제어부(170)로부터 멘티별 또는 멘티 전체에 대한 평가 결과 표시 요청을 받아서 평가 DB(117)에 저장된 멘티별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멘티별 또는 멘티 전체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회사에 입사를 지원하는 입사 지원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멘티가 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 따라 멘티로 회원 가입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말1은 입사 지원자의 단말로서 단말(610, 620, 710, 720) 중 하나이며, 입사 지원자는 멘토링 시스템(100)에 멘티로서 회원 가입이 안되어 있는 입사 지원자인 것을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멘토는 직원을 채용하는 현업 부서별 담당자로서 구성되며, 이러한 멘토의 정보는 미리 입력되어 이미 멘토 DB(113)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멘토 정보는 멘토들이 직접 단말(510, 520, 610, 620, 710, 720)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멘토링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현업 부서의 각 담당자들의 멘토 정보를 전달받아서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멘토링 시스템(100)을 운용하는 회사에 입사하고자 하는 입사 지원자, 즉 단말1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한다(S100).
이와 같이, 단말1의 접속에 따라 멘토링 시스템(100)의 서비스 제어부(170)는 웹 서비스부(120)를 통해 멘토링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메인 화면을 단말1로 표시한다(S110). 이러한 메인 화면의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메인 화면은 단말1의 접속에 대응하여 회사 소개 등의 몇 단계의 화면을 표시한 후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 단말1의 입사 지원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멘티로서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S120). 이러한 회원 가입 요청은 도 5의 메인 화면에서 "가입하기" 단추를 클릭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어부(170)는 회원 관리부(130)를 통해 회원 가입 화면을 단말1로 표시한다(S130). 이러한 회원 가입 화면의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면은 메인 화면 위에 팝업 창으로 표시하여 단말1의 입사 지원자로부터 간단하게 회원 가입을 위한 입력이 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사 지원자의 회원 가입시에는 회사로의 입사라는 특수성에 의거하여 자기소개서를 작성하여 첨부할 수 있도록 하고, 자기소개서 양식을 또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단말1의 입사 지원자가 회원 가입 신청서를 작성하고 또한 자기소개서를 첨부한 후(S140), 멘토링 시스템(100)으로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S150).
계속해서, 회원 관리부(130)는 회원 가입을 요청하여 멘티가 되고자 하는 단말1의 입사 지원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멘토를 선정할 수 있도록 멘토 DB(113)에 저장되어 있는 멘토 정보를 표시하면서 멘토를 선정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S160). 이러한 멘토 정보로는 멘토의 현업 부서 정보도 함께 표시됨으로써 입사 지원자가 입사 후에 근무하고자 하는 부서의 현업 담당자를 직접 멘토로써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단말1의 입사 지원자가 멘토 선정 화면을 통해 자신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멘토를 선정하면(S170), 회원 관리부(130)는 단말1의 입사 지원자가 선정한 멘토 정보와 함께 단말1의 입사 지원자가 작성한 회원 가입 정보를 멘티 DB(111)에 저장한다(S180).
이와 같이, 단말1의 입사 지원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하고 멘토를 선정함에 따라 단말1의 입사 지원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의 멘티로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에 회원으로 가입한 멘티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티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말1은 멘티의 단말로서 단말(610, 620, 710, 720) 중 하나이고, 단말2는 멘토의 단말로서 단말(510, 520, 610, 620, 710, 720) 중 하나이다. 또한, 단말1의 멘티는 상기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에 회원 가입한 입사 지원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1의 멘티가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한다(S200).
단말1의 접속에 따라 멘토링 시스템(100)의 서비스 제어부(170)는 웹 서비스부(120)를 통해 상기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화면을 단말1로 표시한다(S210).
다음, 단말1의 멘티는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의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므로, 메인 화면을 통한 로그인을 수행하여 회원으로써의 접속을 수행한다(S220). 이러한 로그인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화면에서 "로그인" 단추를 클릭하는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단말1의 멘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를 요청한다(S230). 이러한 멘토링 서비스의 요청은 도 5의 메인 화면에서 "멘토링"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말1의 멘티로부터 멘토링 서비스를 요청받은 서비스 제어부(170)는 작성부(140)를 통해 단말1에게 멘토에 대한 질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시판 형식으로 게시글 화면을 표시한다(S240). 이러한 화면의 예로는 도 8이 있다.
단말1의 멘티가 멘토에 대한 질문을 작성하기 위한 글쓰기를 요청하면(S250), 작성부(140)는 단말1의 멘티가 멘토에 대한 질문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단말1에게 표시한다(S260). 이러한 글쓰기의 요청은 도 8에서 "글쓰기" 단추를 클릭하는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의 예로는 단말1이 데스크탑(610, 620)인 경우의 도 9와 이동 단말(710, 720)의 경우의 도 10이 있다.
따라서, 단말1의 멘티는 상기 단계(S260)에서 제공되는 글쓰기 화면을 통해 멘토에 대한 질문을 작성한다(S270).
다음, 단말1의 멘티에 의해 멘토에 대한 질문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질문의 전송이 요청되고(S280), 서비스 제어부(170)는 작성된 질문을 게시글 DB(115)에 저장하고(S290), 단말1의 멘티에 대해 선정되어 있는 멘토의 단말2로 전송부(150)를 통해 멘티로부터의 질문이 접수되었다는 취지의 안내를 전송한다(S300). 상기한 바와 같은 질문 접수 안내의 전송은 단문 메시지나 이메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안내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시지일 수도 있다. 특히, 단말2가 이동 단말(710, 720)이고 질문 접수 안내의 전송이 단문 메시지일 경우 전송부(150)는 질문 접수 안내 내에 콜백 URL을 포함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의 콜백 URL은 멘토링 시스템(100)에 직접 접속 할 수 있는 URL이다.
한편, 단말1의 멘티가 작성한 질문의 접수 안내를 수신하는 단말2의 멘토는 적어도 두 가지 방법에 의해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하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신된 질문 접수 안내에 포함되어 있는 콜백 URL을 통해 접속하여 답장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먼저, 질문 접수 안내를 수신한 단말2의 멘토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직접 접속하여 답장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2의 멘토가 멘티로부터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한다(S400). 여기서의 접속은 로그인 화면을 단말2의 멘토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한 후의 접속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100)에서 멘토는 회사의 현업 부서의 담당자이므로 상기한 아이디는 사번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단말2의 접속에 따라 멘토링 시스템(100)의 서비스 제어부(170)는 웹 서비스부(120)를 통해 메인 화면을 단말2로 표시한다(S410).
그 후, 단말2의 멘토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를 요청한다(S420).
단말2의 멘토로부터 멘토링 서비스를 요청받은 서비스 제어부(170)는 작성부(140)를 통해 단말2에게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게시판 형식으로 멘토에게 접수된 질문의 목록을 표시한다(S430).
단말2의 멘토가 답장을 작성할 질문을 선택하면(S440), 작성부(140)는 선택된 질문의 내용과 함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단말2에게 표시한다(S450). 이러한 화면의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2의 멘토는 상기 단계(S450)에서 제공되는 답장 작성 화면을 통해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한다(S460).
다음, 단말2의 멘토에 의해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답장의 전송이 요청되고(S470), 서비스 제어부(170)는 작성된 답장을 게시글 DB(115)에 저장하고(S480), 멘티의 단말1로 전송부(150)를 통해 멘토로부터의 답장이 접수되었다는 취지의 안내를 전송한다(S490).
한편, 멘티의 질문 접수 안내를 수신한 단말2의 멘토가 이동 단말(710, 720)의 사용자이고 질문 접수 안내가 멘토링 시스템(100)의 콜백 URL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경우, 단말2의 멘토가 콜백 URL을 통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의 다른 예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2의 멘토가 단말1의 멘티로부터 작성된 질문의 접수 안내를 확인한 후(S500), 질문 접수 안내 내에 포함된 콜백 URL을 통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한다(S510).
콜백 URL을 통한 단말2의 접속에 따라 멘토링 시스템(100)의 서비스 제어부(170)는 바로 작성부(140)를 통해 멘토에게 접수된 질문의 목록을 표시한다(S520).
단말2의 멘토가 답장을 작성할 질문을 선택하면(S530), 작성부(140)는 선택된 질문의 내용과 함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단말2에게 표시한다(S540).
따라서, 단말2의 멘토는 상기 단계(S540)에서 제공되는 답장 작성 화면을 통해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작성한다(S550).
다음, 단말2의 멘토에 의해 멘티의 질문에 대한 답장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답장의 전송이 요청되고(S560), 서비스 제어부(170)는 작성된 답장을 게시글 DB(115)에 저장하고(S570), 멘티의 단말1로 전송부(150)를 통해 멘토로부터의 답장이 접수되었다는 취지의 안내를 전송한다(S580).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답장 접수 안내의 전송도 질문 접수 안내와 마찬가지로, 단문 메시지, 이메일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1이 이동 단말(710, 720)이고 답장 접수 안내의 전송이 단문 메시지일 경우 전송부(150)는 답장 접수 안내 내에 콜백 URL을 포함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의 콜백 URL은 멘토링 시스템(100)에 직접 접속 할 수 있는 URL이다.
다음, 단말2의 멘토가 작성한 답장의 접수 안내를 수신하는 단말1의 멘티도 적어도 두 가지 방법에 의해 멘토의 답장을 확인할 수 있다. 하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멘토의 질문에 대한 답장을 확인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신된 답장 접수 안내에 포함되어 있는 콜백 URL을 통해 접속하여 답장을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한 두 가지 방법과 유사하게 상기에서 질문 접수 안내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번째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서 멘티가 멘토의 답장을 확인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1의 멘티는 단말2의 멘토로부터 작성된 질문에 대한 답장의 접수 안내를 확인한 후(S600), 답장 접수 안내 내에 포함된 콜백 URL을 통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한다(S610).
콜백 URL을 통한 단말1의 접속에 따라 멘토링 시스템(100)의 서비스 제어부(170)는 바로 작성부(140)를 통해 멘티의 질문 목록과 함께 답장이 접수된 질문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S620).
따라서, 단말1의 멘티는 상기 단계(S620)에서 표시되는 답장이 접수된 질문을 선택하면(S630), 작성부(140)는 선택된 질문의 내용과 함께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의 내용을 표시한다(S640).
따라서, 단말1의 멘티는 상기 단계(S640)에서 표시되는 답장을 통해 자신의 질문에 대한 멘토로부터의 답장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S650).
한편, 상기한 과정의 질문 및 답변을 통해서 멘티들에 대해 회사의 고용 브랜드 강화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용 브랜드 강화는 물론 회사에 적합한 인재의 조기 풀(pool) 확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질문 및 답변을 통해 회사에 관심이 있는 멘티와 또한 입사를 원하는 멘티들에 대해 멘티들의 경력에 따른 과제 수행을 요청하고, 이러한 요청에 따른 멘티들의 과제 수행 결과를 멘티별로 평가 DB(117)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멘티에 대한 과제 수행은 기본적으로 멘티에게 등록된 멘토에 의해 제공되고, 멘티가 신입인지 경력인지에 따라 구분되어 그 수준에 맞는 과제 수행이 요청된다. 특히, 경력의 경우 해당 부서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구축 과제 수행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서에 적합한 과제 수행을 통한 결과는 멘티의 취업 진행시에 가점으로 부여될 수 있으며, 또한 멘티의 업무 적합성 및 스킬(skill) 파악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사를 원하는 멘티의 경우 회사 초빙 등을 통해 오프라인(off-line)으로 면접을 진행하여 멘티에 대한 면접 결과, 예를 들어 멘티의 마인드(mind)와 태도(attitude)의 판단 결과를 평가 DB(117)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의 멘토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멘티별로 자기소개서와 질문 등을 진행한 내역, 과제 수행 내역, 면접 결과를 참조하여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멘토링 서비스 방법에서 멘토의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2의 멘토가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멘토링 시스템(100)에 접속한다(S700).
단말2의 접속에 따라 멘토링 시스템(100)의 서비스 제어부(170)는 웹 서비스부(120)를 통해 메인 화면을 단말2로 표시한다(S710).
그 후, 단말2의 멘토는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멘토링 서비스를 요청한다(S720).
단말2의 멘토로부터 멘토링 서비스를 요청받은 서비스 제어부(170)는 평가 관리부(160)를 통해 단말2의 멘토에게 등록된 멘티의 관리 목록을 표시한다(S730). 이러한 표시 화면의 예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 단말2의 멘토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평가 항목을 선택한다(S740). 도 15의 화면 예를 들면 "평가"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이러한 선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6에서 “월간 보고” 항목은 멘티와 멘토 사이의 질문 및 답변을 정리한 자료를 볼 수 있는 항목이고, 이에는 또한 입사를 원하는 멘티의 경우 오프라인을 통한 면접 결과를 볼 수 있는 항목을 나타낸다.
따라서, 평가 관리부(160)는 멘티별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화면을 표시하고(S750), 단말2의 멘토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멘티에 대해 멘티의 자기소개서, 질문 및 답장 등의 멘토링 진행 과정, 멘티가 수행한 과제 수행 내역 및 면접 결과 등을 참고하여 멘티별 평가를 수행한다(S760).
이와 같이, 멘티별 평가가 완료되면 평가 결과가 단말2로부터 평가 관리부(160)로 전달되고(S770), 평가 관리부(160)는 멘티별 평가 결과를 평가 DB(117)에 저장한다(S780).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멘토에 의해 해당 멘토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멘티별로 평가가 수행되면, 현업 담당자인 멘토 또는 회사의 인사 담당자는 평가 관리부(160)를 통해 전체 멘티의 평가 결과 또는 특정 멘티별로 평가 결과를 볼 수 있어서 향후 취업시 멘티별 평가 결과에 따른 가점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사 지원자가 외부에 떠도는 불명확한 정보보다는 희망하고자 하는 기업의 현업 담당자와 쉽게 온라인 상에서 멘토링을 진행함으로써 희망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적응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을 탈피한 현업 담당자와 입사 지원자간의 온라인을 통한 멘토링 실시에 의해 기업 측면에서는 비용 효과적으로 고용 브랜드를 강화하여 인재 풀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현업 부서에 적합한 인재의 사전 발굴이 가능하며, 입사 지원자의 경우에는 사전 취업률 및 적응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6)

  1. 입사 지원자를 멘티(Mentee)로서 회원 관리하고, 현업 담당자인 복수의 멘토(Mentor) 중에서 상기 멘티에 의해 선택되는 한명의 멘토를 상기 멘티에 대응되어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유무선 단말을 통한 멘티의 요청에 따라 멘티의 질문 작성을 지원하고, 멘토의 요청에 따라 멘티의 질문에 대한 멘토의 답장 작성을 지원하는 작성부;
    상기 작성부를 통해 멘티의 질문이 작성되는 경우 질문 접수 안내를 멘토에게 전송하고,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는 경우 답장 접수 안내를 상기 멘티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회원 관리부를 통한 멘티 및 멘토의 회원 관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작성부를 통한 멘티의 질문 작성과 멘토의 답장 작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전송부를 통한 상기 질문 접수 안내 및 답장 접수 안내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원 관리부는 멘티로부터 멘토링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멘토의 현업 부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멘토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멘토 정보를 통해 상기 멘티로부터 멘토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멘토를 상기 멘티의 멘토로 대응하여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멘티에 의해 선택된 현업 부서의 멘토에 의해 과제 수행을 멘티에게 요청하되, 멘토의 현업 부서에 해당되는 과제 수행을 멘티에게 요청하고, 멘티별 경력에 해당되는 과제 수행을 멘티에게 요청하며, 멘티에 의해 제공되는 과제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과제 수행 내역을 관리하며,
    멘티에게 수행 요청되는 과제는 멘티가 신입 또는 경력인지의 여부에 따라 그 수준이 달라지고, 멘티가 경력인 경우 멘토의 현업 부서에 해당되는 포트폴리오 구축 과제 수행이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멘토가 자신에게 등록된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관리하는 평가 관리부; 및
    멘토링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멘토와 멘티의 정보,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 및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 각 멘티에 대해 수행된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멘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멘티 데이터베이스;
    멘토의 정보를 저장하는 멘토 데이터베이스;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과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을 대응하여 저장하는 게시글 데이터베이스; 및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평가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멘토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관리부는,
    멘토로부터 멘티에 대한 평가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멘티에 대한 평가 항목을 멘토에게 표시하는 평가 항목 표시부;
    멘토에게 표시된 평가 항목에 대해 멘토로부터 평가가 수행되는 경우 그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평가 결과 수신부;
    상기 평가 결과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평가 결과 저장부; 및
    멘티별 또는 멘티 전체에 대한 평가 결과 표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멘티별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멘티별 또는 멘티 전체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시하는 평가 결과 표시부
    를 포함하는 멘토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입사 지원자가 멘티로서 회원 가입하는 경우 멘티의 정보로써 자기소개서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멘티에 의해 질문이 작성되는 경우 해당 멘티에 대해 선택되어 있는 멘토에게 상기 질문이 접수되었음을 알리는 질문 접수 안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접수 안내는 단문 메시지(SMS)나 이메일을 통해 멘토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접수 안내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 내에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포함시켜 멘토가 상기 콜백 URL을 통해 직접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URL을 통해 멘토가 접속하는 경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의 답장을 작성할 수 있도록 멘티의 질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멘토에 의해 작성된 질문에 대해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는 경우 해당 멘티에게 상기 질문에 대한 답장이 작성되었음을 알리는 답장 접수 안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접수 안내는 단문 메시지(SMS)나 이메일을 통해 멘티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접수 안내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 내에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포함시켜 멘티가 상기 콜백 URL을 통해 직접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URL을 통해 멘티가 접속하는 경우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멘토의 답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멘티에 대한 평가는 멘티의 자기소개서, 멘티의 질문 작성을 통한 멘토링 진행 과정, 멘티에 의해 수행된 과제 수행 내역 및 멘티에 대한 오프라인 면접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는 멘티의 취업시 가점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시스템.
  17. 멘토링 시스템이 유무선 단말을 통해 접속되는 멘티에 대해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멘티로부터 멘토링 서비스 요청 있는 경우 멘토의 현업 부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멘토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멘토 정보를 통해 상기 멘티로부터 멘토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멘토를 상기 멘티의 멘토로 대응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멘티로부터 상기 멘토에 대한 질문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멘티에게 질문 작성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멘티에 의해 질문이 작성되면 질문 접수 안내를 상기 멘토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멘토링 시스템은 멘티에 의해 선택된 현업 부서의 멘토에 의해 과제 수행을 멘티에게 요청하되, 멘토의 현업 부서에 해당되는 과제 수행을 멘티에게 요청하고, 멘티별 경력에 해당되는 과제 수행을 멘티에게 요청하며, 멘티에 의해 제공되는 과제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과제 수행 내역을 관리하고,
    멘티에게 수행 요청되는 과제는 멘티가 신입 또는 경력인지의 여부에 따라 그 수준이 달라지고, 멘티가 경력인 경우 멘토의 현업 부서에 해당되는 포트폴리오 구축 과제 수행이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입사 지원자로부터 상기 멘티로의 회원 가입 요청을 받는 단계;
    회원 가입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사 지원자로부터 회원 가입 정보가 접수되는 경우 현업 부서의 담당자들로 구성된 멘토 정보를 대응되는 현업 부서의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표시되는 멘토 정보를 통해 상기 입사 지원자로부터 한 명의 멘토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입사 지원자를 멘티로 회원 가입 처리하고, 상기 멘티에 의해 선택되는 한 명의 멘토를 상기 멘티와 대응하여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접수 안내를 상기 멘토에게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질문 접수 안내를 확인한 상기 멘토로부터 상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에 대한 답장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멘토에게 답장 작성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멘토에 의해 답장이 작성되면 답장 접수 안내를 상기 멘티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단문 메지시 형태로 상기 멘토에게 전송된 질문 접수 안내에 포함된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통한 상기 멘토의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의 접속이 상기 답장 작성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작성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과 함께 상기 질문에 대해 답장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접수 안내를 상기 멘티에게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답장 접수 안내를 확인한 상기 멘티로부터 상기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에 대한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멘티에게 답장 확인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에 대한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단문 메지시 형태로 상기 멘티에게 전송된 답장 접수 안내에 포함된 상기 멘토링 시스템의 콜백 URL을 통한 상기 멘티의 상기 멘토링 시스템에의 접속이 상기 답장에 대한 확인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확인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멘티에 의해 작성된 질문과 상기 멘토에 의해 작성된 답장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답장 확인이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멘토로부터 멘티에 대한 평가 수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멘토에게 멘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통한 상기 멘토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멘티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멘티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멘토가 관리하는 멘티 전체 또는 특정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멘토가 관리하는 멘티 전체 또는 특정 멘티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멘토링 서비스 방법.
KR1020130108342A 2013-09-10 2013-09-10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KR101470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342A KR101470579B1 (ko) 2013-09-10 2013-09-10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342A KR101470579B1 (ko) 2013-09-10 2013-09-10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79B1 true KR101470579B1 (ko) 2014-12-09

Family

ID=5267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342A KR101470579B1 (ko) 2013-09-10 2013-09-10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33B1 (ko) 2018-12-10 2019-07-10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멘토링 시스템
KR20200109787A (ko) 2019-03-14 2020-09-23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 플랫폼
KR20210058162A (ko)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20210132533A (ko)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540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컨버스넷 실시간 voc 확인과 응답 서비스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73072B1 (ko) * 2008-06-19 2010-07-29 주식회사마우스닷컴 온라인상에서의 인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7179A (ko) * 2009-03-25 2010-10-05 유비벨록스(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트링 서버
KR20130089843A (ko) * 2012-01-06 2013-08-13 주식회사 케이티 멘토 멘티 관계에 기초하여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540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컨버스넷 실시간 voc 확인과 응답 서비스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73072B1 (ko) * 2008-06-19 2010-07-29 주식회사마우스닷컴 온라인상에서의 인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7179A (ko) * 2009-03-25 2010-10-05 유비벨록스(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트링 서버
KR20130089843A (ko) * 2012-01-06 2013-08-13 주식회사 케이티 멘토 멘티 관계에 기초하여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33B1 (ko) 2018-12-10 2019-07-10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멘토링 시스템
KR20200109787A (ko) 2019-03-14 2020-09-23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 플랫폼
KR20210058162A (ko)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20210132533A (ko)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ry et al. Working with connective flow: how smartphone use is evolving in practice
US85435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recruiting
KR101803799B1 (ko) 구인 및 구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US201602415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ocial recruiting network
Gammelgaard Knowledge retrieval through virtual communities of practice
US20120278462A1 (en)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login, terminal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unified communication tool, and communication method in terminal
WO2011041878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job search, recruitment and placement
JP2013246453A (ja) 求人・求職活動支援システム及び求人・求職活動支援プログラム
US2014018094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ossible Associations and Monitoring Impacts of Actual Associations Between Synergistic Persons, Opportunities and Organizations
KR20130026718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인재 채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470579B1 (ko)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KR20120115101A (ko) 온라인 인적 네트워킹뱅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20170004450A1 (en) Recruiting for a job position using social network information
US20170147982A1 (en) Dynamic system for human resource networking
Martínez Sánchez et al. The Implementation of new technologies in internal communication: A study of the main platforms and applications
US20170012927A1 (en) Social network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793053B1 (ko) 인턴 육성 통합관리시스템
KR20170112288A (ko) 구인 및 구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200363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ployee driven mobility
KR20160086679A (ko) 위치 기반 데이팅 서비스 방법
KR101139228B1 (ko)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20180060821A1 (en) Employee referral system
JP7026961B6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204838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281287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ocial recruiting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