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442B1 -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442B1
KR101368442B1 KR1020050006110A KR20050006110A KR101368442B1 KR 101368442 B1 KR101368442 B1 KR 101368442B1 KR 1020050006110 A KR1020050006110 A KR 1020050006110A KR 20050006110 A KR20050006110 A KR 20050006110A KR 101368442 B1 KR101368442 B1 KR 10136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ssage
query
human network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128A (ko
Inventor
형용준
최광용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442B1/ko
Priority to PCT/KR2005/004561 priority patent/WO2006078094A1/en
Publication of KR2006008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128A/ko
Priority to US11/781,136 priority patent/US915911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소정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의 사항을 받은 자가 자신의 지인에게 계속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답변이 최초에 질의를 작성한 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소지한 자로부터 신뢰성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을 경우 적어도 각 사용자 ID 및 각각의 메시지 ID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레코드를 사용자 별로 할당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지식 공유 방법이며, 제1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제1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1_1 메시지 ID 및 제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1 레코드와, 적어도 제1_2 메시지 ID 및 제2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제n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질의 메시지를 제n 사용자(n≥2)가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제n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n+1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전달된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n_1 메시지 ID 및 제n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1 레코드와, 적어도 제n_2 메시지 ID 및 제n+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제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n+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질의 메시지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추출하고 이를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질의, 지식 공유, 인맥, 휴먼 네트워크, 지인, 전달, 메시지, 레코드

Description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USING RECORDS OF MESSAGE}
도 1은 종래 기술(본 출원인의 특허 제457325호)의 인증된 사용자간의 안전한 메시지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메시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상기 종래 기술의 메시지 레코드의 내용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온라인 상 휴먼 네트워크 형성의 결과 얻어지는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예시한다.
도 8은 질의 메시지의 전달 과정에서 생성된 메시지 레코드를 기초로 하여 질의 메시지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달 경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 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지식 공유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질의 메시지의 형식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답변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데이터베이스 12: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4: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16: 질의 데이터베이스
20: 어플리케이션 서버 30: 질의 관리 서버
100: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
200: 인터넷
310, 320, 330, 340: 사용자 단말기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축된 휴먼 네트워크(human network) 데이터베이스 및 메시지 레코드에 의한 메시지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지식 또는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문의 사항이나 질의 사항이 있는 사용자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활 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답변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미 유무선 인터넷 및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는 대중화된 통신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 구성원들이 정보를 공유하거나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나, 전자 메일(e-mail), 메신저(messenger) 등의 수단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특정 문의 사항에 대한 지식을 얻는 방법으로는 자신의 지인 중에서 해당 분야의 지식을 소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자에게 전자 메일을 보내거나, 메신저 등을 통해 접속하여 문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자신과 직접 지인 관계가 있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그 범위가 넓지 못하였고,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인터넷 상의 동호회, 커뮤니티 또는 포털 사이트의 게시판 등에 질문을 올리고 그 답을 기다리는 방법이 있으나, 이 역시 해당 동호회, 커뮤니티 또는 포털 사이트에 자주 접속하는 사람으로 범위가 한정되고, 답변 여부도 확실히 보장되지 못하며,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게 되므로 답변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on-line human network)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넷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휴먼 네트워크(human network)란 사회생활을 통해서 지인 관계가 된 개개인들을 단위로 하는 가상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지인 관계란 서로 일정 정도의 정보, 경험, 이상, 공동체의 소속 등을 공유하게 된 결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게 된 범위의 타인을 말하며, 이러한 지인 관계는, 선행하는 소정의 지인 관계를 통해서 파생되거나, 혈연, 학연 또는 지연에 의하거나, 특정 단체에 소속되거나 또는 회사나 팀을 통하여 공동 업무 등을 수행하면서 서로에 대하여 알게 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 생활의 모습이다.
최근 인터넷 등 네트워크의 발달 및 보급에 의해, 온라인 상에서도 이러한 지인 관계가 형성되게 되었는데, 온라인 상에서 이러한 휴먼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구축된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 필요한 사람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종 다양한 서비스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상의 휴먼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기술에서는, 불특정 다수가 접근 가능하다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의 특성상 무엇보다도 상호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넓은 범위의 휴먼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고, 번거로운 절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해당 분야의 주요한 기술 개발 목표가 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의 특허 제457325호로 등록된 메시지 송수신 및 게시 시스템, 송수신 및 게시 방법에서는, 인증된 사용자간의 안전한 메시지 송수신 및 게시가 가능하도록 하고,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가 게시된 글에 대한 관리 권한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의 사용자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발신 메시지를 기초로 제1 레코드와 제2 레코드를 생성하여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종래 기술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의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4)으로부터 발신 메시지를 전송 받은 때, 발신 메시지를 기초로 발신자를 위한 제1 레코드 및 수신자를 위한 제2 레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는 서비스 사용자 ID, 메시지 ID, 그 대응 메시지 ID, 메시지가 속하는 관련 메시지 묶음, 그 묶음 속에서 메시지 위상, 발신자 ID, 수신자 ID, 메시지 타이틀 및 메시지 내용 중 하나 이상의 레코드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레코드의 메시지 ID는 제2 레코드에서의 대응 메시지 ID이고, 제1 레코드에서의 대응 메시지 ID는 제2 레코드의 메시지 ID이다. 따라서, 제1 레코드와 제2 레코드는 메시지 ID 및 대응 메시지 ID 필드를 통해 논리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0)에 의해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가 저장된다. 이 때,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는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의 사용자 별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에 대한 권한은 발신자 및 수신자 각자에게 주어지고, 발신자 및 수신자 각자에 의해 관리된다.
도 2는 각 메시지의 레코드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코드는 서비스 사용자 ID(nOwnerUID), 메시지 ID(nArticleID), 그 대응 메시지 ID(nPairArticleID), 메시지가 속하는 관련 메시지 묶음(nThread), 그 묶음 속에서 메시지 위상(RepOrder), 발신자 ID(nWriterID), 수신자 ID(nReceiverID), 메시지 타이틀(nStrTitle) 및 메시지 내용(nStrContent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코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OwnerUID는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가 각각 전달될 사용자 ID를 가리킨다. nArticleID는 제1 레코드가 발신자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메시지 중 몇번째 메시지인지 그 저장주소를 알린다. 그리고 nPairArticleID는 제1 레코드에 대응 생성된 제2 레코드가 수신자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메시지 중 몇번째에 해당 되는지 그 저장주소를 표시한다.
또한, nThread은 전송된 메시지가 속하는 메시지 묶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송된 메시지가 어떤 원래의 글(Original Message, 특정 메시지에 대한 답 글이 아닌 최초의 글)로부터 파생된 것인가를 나타내며, 원래의 글의 nArticleID를 따른다. 즉, 전송된 메시지가 원래의 글인 경우, nThread는 nArticleID를 따른다. 그리고, 전송된 메시지가 그 원래의 글에 대한 답 글인 경우, nThread는 원래의 글의 nThread를 따르며 원래의 글의 nThread는 원래의 글의 nArticle이므로, 특정 메시지에 대한 답 글의 nThread는 원래의 글의 nArticleID가 된다.
또한, RepOrder는 전송된 메시지의 소속 메시지 묶음 속에서의 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시지 묶음 속에서, 글의 계층적 표현을 위해 글이 표현되는 순서와 글의 들어감 표시를 나타낸다.
나아가서, nWriterID는 메시지를 작성한 사용자의 ID를, nReceiverID는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의 ID를 각각 가리키며, nStrTitle 및 nStrContents는 메시지의 제목과 메시지 내용을 각각 가리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사용자 A의 메시지를 기초로 사용자 A를 위한 제1 레코드 및 사용자 B를 위한 제2 레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 제1 레코드는 사용자 A를 위한 레코드이므로, 제1 레코드의 nOwnerID는 A가 되며, nWriterUID 및 nReceiverUID는 각각 A 및 B가 된다. 이 때, nThread 및 nRepOrder인 300 및 21은, 본 메시지가 원래의 글의 ArticleID가 300인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묶음 속에서, 원래의 글의 두번째 답 글에 대한 첫번째 답 글임을 나타낸다. 또한, nPairArticleID 400은 제2 레코드가 사용자 B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메시지 중 몇 번째에 해당되는지 그 저장 주소를 나타내어,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를 논리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제2 레코드는 사용자 B를 위한 레코드이므로 제2 레코드의 nOwnerID는 B가 되며, nWriterUID 및 nReceiverUID는 각각 A 및 B가 된다. 이 때, nThread 및 nRepOrder인 400 및 21은, 본 메시지가 원래의 글의 ArticleID가 400인 메시지 묶음속에서, 원래의 글의 두 번째 답 글에 대한 첫 번째 답 글임을 나타낸다. 또한, nPairArticleID 300은 제1 레코드가 사용자 A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메시지 중 몇 번째에 해당되는지 그 저장 주소를 나타내어,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를 논리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사용자 A의 경우, 상기 메시지는 원래의 글의 ArticleID가 300인 메시지 묶음 속에 위치한다. 그리고 답 글의 타이틀이 원래의 글의 타이틀로부터 n간 격 떨어져 표현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타이틀은 원래의 글의 타이틀의 시작열로부터 2n 간격 떨어져 표현된다. 또한, 사용자 B의 경우, 상기 메시지는 원래의 글의 ArticleID가 400인 메시지 묶음 속에 위치하고, 메시지의 타이틀은 원래의 글의 타이틀의 시작열로부터 2n 간격 떨어져 표현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가 각각 사용자 A를 위해 마련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 및 사용자 B를 위해 마련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각각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A 및 사용자 B는 제1 레코드 및 제2 레코드에 대한 권한을 각자 갖게 되며, 각 레코드를 각자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통하여, 인증된 두 사용자 간의 안전한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나아가서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내에서 인증된 사용자들 간에 질의를 주고받고, 질의 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소지한 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다 발전된 솔루션의 제공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메시지 레코드 및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소정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의 사항을 받은 자가 자신의 지인에게 계속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답변이 최초에 질의를 작성한 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소지한 자로부터 신뢰성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질의 사항 전달 및 답변을 통하여 새로운 온라인상 지인 관계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간단히 질의 사항을 작성하고, 답변 또는 전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 휴먼네트워크를 통한 질의 사항의 전달 경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답변 여부에 대한 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답변 작성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지식 공유를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한,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을 경우 적어도 각 사용자 ID 및 각각의 메시지 ID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레코드를 사용자 별로 할당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지식 공유 방법이며, 제1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1_1 메시지 ID 및 제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1 레코드와, 적어도 제1_2 메시지 ID 및 제2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제n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n 사용자(n≥2)가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n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n+1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전달된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n_1 메시지 ID 및 제n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1 레코드와, 적어도 제n_2 메시지 ID 및 제n+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n+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제n+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한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답 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제n+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을 검색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을 경유하여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답변을 작성한 제n+1 사용자의 ID, 상기 제n+1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 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에서는,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n+1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질의 메시지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에게 지인에게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지인의 리스트를 제공하거나 메시지를 송신하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질의 메시지가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에서 전달될 때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 전달 경로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에 답변한 상기 제n+1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의 설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버튼이나 툴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질의 메시지를 전달 받을 대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답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사용자들의 관심분야, 이전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횟수 또는 중계 횟수를 조회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한 기록매체는, 상술한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한,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 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을 경우 적어도 각 사용자 ID 및 각각의 메시지 ID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레코드를 사용자 별로 할당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제1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작성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1_1 메시지 ID 및 제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1 레코드와, 적어도 제1_2 메시지 ID 및 제2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한 제n 사용자(n≥2)가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n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n+1 사용자에게 이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 이를 전송하고, 상기 전달된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n_1 메시지 ID 및 제n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1 레코드와, 적어도 제n_2 메시지 ID 및 제n+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n+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질의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는, 상기 질의 메시지가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에서 전달될 때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 용자의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질의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 전달 경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 사용자가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 자신의 질의 전달 상황을 한눈에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먼 네트워크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0), 질의 관리 서버(3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10) 내에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 및 질의 데이터베이스(1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은 유/무선 인터넷,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10, 320, 330, 340)와 접속한다. 편의 상 사용자 단말기는 4개 만을 도시하였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랩톱, 데스크톱, PDA, PCS 등 다종 다양한 고정 또는 이동식(mobile)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들은 그 단말기(310, 320, 330, 340)를 통하여,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에 등록하며, 이러한 등록 과정에서는 각 사용자의 ID, 패스워드 및 신상 정보(직업, 성별, 나이, 거주지, 직장 주소, 회사명, 출신 학교, 취미 등)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사용자의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각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또는 등록 시,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검색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동하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능을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프로그램을 각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은,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 간에 형성되어 있는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인 관계를 기초로 하며, 이러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인 관계는 지인 관계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인 관계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별개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4-82761호에서 설명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하여 예시를 위한 지인 관계 형성 과정을 요약하면, 사용자 간에 온라인 상의 1차 지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1 사용자가 그 단말기(310)를 통하여 초대 메시지를 제2 사용자의 단말기(330)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가 그 단말기(330)에서 이를 확인하여, 승낙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D)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초대 메시지 및 승낙 메시지는 전자 우편, 문자 메시지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에서는 두 사용자간에 이러한 초대 및 승낙 과정이 이루어짐을 인식하여, 두 사용자 간에 1차 지인 관계가 형성되었음을 지인 정보 데이터 베이스(14)에 소정 데이터 구조로 기록한다. 이때, 제2 사용자는 아직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초대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승낙 메시지 발송 시에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1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시스템에 사용자로 등록하도록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지인 관계는 이러한 초대 및 승낙 및 그에 준하는 절차 없이,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특정 포털 사이트의 회원, 소정 커뮤니티의 회원 또는 소정 동호회에 가입된 회원의 자격을 기초로 형성된 온라인 상의 지인 관계일 수도 있다.
도 4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된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 내의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4)는, 서로 1차 지인 관계가 형성된 각 사용자의 ID를 1: 1로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이러한 데이터 구조를 '관계형 데이터 구조'라 정의한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초대 및 승낙 과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전체 데이터 구조의 변경 없이 각각의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 사용자의 ID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므로, 데이터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온라인 상 휴먼 네트워크 형성의 결과 얻어지는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여기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4개의 노드(0, 1, 2, 3)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4에서 나타낸 관계형 데이터 구조를 통하여, 도 5와 같은 그래프 데이터 구조가 얻어진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전체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에서 각 노드(0, 1, 2, 3)는 각 사용자의 ID에 대응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으며, 각 노드(0, 1, 2, 3)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link)는 각 사용자 간에 이루어진 직접적 지인 관계(1차 지인 관계, 또는 1촌이라 정의함)를 나타낸다. 여기서 노드 0인 사용자와 노드 1 및 3의 사용자는 각각 1차 지인 관계(1촌)에 있으며, 노드 0인 사용자와 노드 2인 사용자는 2차 지인 관계(2촌)에 있다.
우측에 예시된 지인 관계 데이터베이스(14)내의 데이터 구조는, 좌측의 그래프 다이어그램으로 표시된 휴먼 네트워크를 반영한 데이터 구조이다. 좌측에서, 노드 0은 노드 1 및 3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측의 데이터 구조에서는 데이터 0에 데이터 1 및 3이 대응되어 있다. 또한, 좌측에서, 노드 1은 노드 0, 2 및 3예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구조 상에서는 데이터 1에 데이터 0, 2 및 3이 대응되어 있다. 이하,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유추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예시한 내용 이외에도, 지인 관계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여 온라인상 지인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a)에 질의 사항이 발생한 경우, 제1 사용자(a)는 이를 자신과 1차 지인 관계인 사용자 중 제2 사용자(b)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자 메일, 메신저, 쪽지 등 메시지의 형식에는 구애 받지 않는다. 이때, 제2 사용자(b)가 그 질의 내용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제3 사용자(e)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사용자도 해당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제4 사용자(j) 및 제5 사용자(p)에게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제 5 사용자(p)가 해당 질의 내용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 경우에, 제5 사용자(p)는 답변을 작성하여 제1 사용자(a)에게 직접 전송(R1) 한다. 또는, 제5 사용자(p)의 답변 메시지가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의 역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p-j-e-b-a) 질의 작성자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 과정을 통하여, 제1 사용자(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자신의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답변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예시한다. 제1 사용자(a)에 의하여 질의 메시지가 작성되면(1),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질의 메시지를 전달할 상대방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2). 상대방으로 제2 사용자(b)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메시지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때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1 메시지 레코드와 제2 메시지 레코드에 대응되는, 제1_1 메시지 레코드와 제1_2 메시지 레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10)내에 구비된 제1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4, 5).
제2 사용자(b)는 자신이 해당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자신의 지인 중에서 소정 사용자를 선택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지인 리스트를 제공 받는다(6). 자신의 지인 중 선택한 제3 사용자(e)에게 전달 요청을 하면(7), 어플리케이션 서버(20)는 질의 메시지를 제3 사용자(e)에게 전달하고, 제2_1 메시지 레코드 및 제2_2 메시지 레코드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한다.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질의 메시지는 한 사용자에게서 다른 사용자로 휴먼 네트워크 상의 소정 경로를 따라 전달되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 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 레코드들이 각각 저장된다. 저장된 각각의 메시지 레코드들의 탐색을 통하여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질의 메시지 전달경로를 추적하고 이를 표시 및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질의 메시지가 1:1로 전달되는 경우만을 예시하였지만, 유사한 과정을 거쳐 한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사용자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과 같은 형태로 자신의 지인에게 모두 질의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질의 메시지의 전달 과정에서 생성된 메시지 레코드를 기초로 하여 질의 메시지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달 경로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는 등록한 사용자들의 영역이 할당되어 있고, 각각의 사용자 영역에는,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메시지 레코드들이 저장된다. 각각의 메시지 레코드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레코드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메시지 ID(nArticleID), 그 대응 메시지 ID(nPairArticleID), 그 메시지가 속하는 관련 메시지 묶음(nThread), 발신자 ID(nWriterID) 및 수신자 ID(nReceiverID)만을 도시하였다.
질의 관리 서버(3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메시지 레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질의 메시지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전달 경로를 탐색한다. 예시된 질의 메시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 가 최초 작성한 것이며, 사용자 b로 전송되었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의 사용자 a의 영역과 사용자 b의 영역에는 각각 대응되는 제1_1 메시지 레코드와 제1_2 메시지 레코드가 저장된다. 제1_1 메시지 레코드에는 메시지 ID('200')가 저장되어 있고, 그에 대응되는 제1_2 메시지 레코드의 메시지 ID('250')가 함께 저장된다. 질의 관리 서버(30)는 제1_1 메시지 레코드로부터 사용자 a로부터 사용자 b로 메시지가 발송되었음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되는 메시지 ID가 '250'임을 확인한다. 따라서, 질의 관리 서버(30)는 사용자 b의 데이터베이스 영역을 탐색하여 메시지 ID가 '250'인 메시지 레코드 1_2를 조사하고, 이 메시지 레코드가 사용자 a의 영역에 존재하였던 메시지 ID '200'인 메시지에 대응되는 것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질의 관리 서버(30)는 사용자 b의 메시지 레코드 1_2가 관련 메시지를 갖고 있는지를 사용자 b영역의 관련 메시지 묶음(nThread)을 참조하여 파악한다. 예시된 메시지 레코드들에서는, 관련 메시지 묶음이 '250'인 다른 메시지 레코드 2_1이 존재함이 확인된다. 질의 관리 서버(30)는 이 메시지 레코드 2_1의 수신자 ID를 참조하여 사용자 b가 사용자 a에게 답변을 하였는지,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였는지를 파악한다. 예시된 메시지 레코드 2_1에는 수신자 ID가 사용자 e로 기재되어 있고, 대응되는 메시지 ID가 '350'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질의 관리 서버(30)는 사용자 e 영역의 메시지 레코드들을 탐색하여, 그에 대응되는 메시지 ID를 갖는 메시지 레코드 2_2를 참조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질의 관리 서버(3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메시지 레코드들을 참조하여, 질의 메시지의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파악의 결과, 질의 관리 서버(30)는, 질의 데이터베이스(16)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먼 네트워크 상에서의 질의 메시지의 전달 경로를 표시하는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질의 데이터베이스(16) 상에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질의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질의의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상황 및 그 경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지식 공유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질의 메시지의 형식을 예시한다. 회원 가입 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소정 포맷의 질의 메시지 작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를 지정하고, 질의 내용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자의 지정을 위해, 상기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내에서의 자신의 지인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한 목록의 제공이 가능하다. 제1 사용자가 질의 메시지(A)를 작성하면, 지인 중 지정된 제2 사용자(b)에게 전달되어, 발신자와 질의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B). 이와 같이 전달된 메시지에는, 수신자의 답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버튼들이 수반될 수 있다. 긍정(410), 부정(420) 또는 자신의 지인에게 전달(430) 등 다양한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선다형 등의 설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질의 메시지의 포맷을 질의 작성자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질의 작성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각종 도구(tool)을 제공할 수도 있다. 메시지를 전달 받은 제2 사용자(b)가 자신의 지인에게 전달(430) 버튼을 클릭하면, 자신의 지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리스트가 제공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를 인식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기반 지식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우선,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S100). 사용자의 가입에 의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S10), 위에서 예시된 사용자 간의 초대/응낙 과정에 의해 1차 지인 관계가 형성되며(S15), 서버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간의 1차 지인 관계 정보를 적절한 데이터 구조로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S2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가 구축된다.
제1 사용자가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S30),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1 사용자의 지인 중 선택된 제2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1_1 레코드 및 제1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저장한다(S40). 메시지를 받은 제2 사용자가 해당 질의에 답변할 수 있는 지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S50), 답변을 작성하며(S7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사용자의 지인 중 선택된 제3 사용자에게 전달한다(S55).
이러한 전달 과정은 상술한 온라인 휴먼네트워크 상에서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으며, 질의 메시지를 전달 받은 제k 사용자(k는 2 이상의 정수)는 자신의 지인 중 제k+1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S55). 이때, 질의 메시지 의 전송에 따라 제k_1 메시지 레코드 및 제k_2 메시지 레코드가 생성되어 각각 제k 사용자와 제k+1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60).
경우에 따라서는 제k 사용자 자신이 답변을 하고, 그와 동시에 자신의 지인에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답변을 하거나 전달할 의사가 없을 경우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질의 관리 서버(30)는 상술한 도 8에 예시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의 메시지 레코드들을 탐색하여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를 수시로 또는 최종적으로 파악하고, 질의에 대한 답변과 함께 또는 질의 전달 과정 중에 수시로 질의 작성자를 포함하는 질의 전달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S75).
도 11은 답변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한다. 예시된 답변 메시지(P)는, 질의 내용과 답변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답변 작성자(E-1)(예를 들어, 사용자 p)와 함께 답변 작성자와 질의 작성자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관계(예를 들어, 4촌), 전달 경로(예를 들어, a-b-e-j-p)를 표시하여 질의 작성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답변 작성자와 1차 지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여(E-2)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갖고 있는 사람과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구축을 촉진할 수 있다.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의 지식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서 경로 상의 사용자들에게는 사이버 머니, 마일리지 등 소정 인센티브를 지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질의 작성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질의 메시지가 온라인 휴먼네트워크 상에서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각 전달 시마다 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감지하여 질의 작성자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 6과 같은 그래프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단지 현재 메시지를 전달 받은 사용자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촌수 등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을 기록한 기록매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여, 메시지 레코드 및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소정 질의 사항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의 사항을 받은 자가 자신의 지인에게 계속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답변이 최초에 질의를 작성한 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소지한 자로부터 신뢰성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의하여, 질의 사항 전달 및 답변을 통하여 새로운 온라인상 지인 관계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의 활성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온라인상 휴먼네트워크를 통한 질의 사항의 전달 경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답변 여부에 대한 확실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경우에 따라 답변 작성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식 공유를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을 경우 적어도 각 사용자 ID 및 각각의 메시지 ID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레코드를 사용자 별로 할당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한 지식 공유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제1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질의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상기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1_1 메시지 ID 및 제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1 레코드와, 적어도 제1_2 메시지 ID 및 제2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제n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n 사용자(n≥2)가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n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n+1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상기 전달된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n_1 메시지 ID 및 제n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1 레코드와, 적어도 제n_2 메시지 ID 및 제n+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n+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단계; 및
    질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제n+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한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답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제n+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들을 검색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를 작성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을 경유하여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답변을 작성한 제n+1 사용자의 ID, 상기 제n+1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 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질의 메시지 전달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답변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n+1 사용자와 상기 제1 사용자 사이의 상기 휴먼 네트워크상 경로에 존재하는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에게 지인에게 전달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을 제공하며,
    상기 지식 공유 방법은, 상기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질의 메시지가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에서 전달될 때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 전달 경로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에 답변한 상기 제n+1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의 설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할 제2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사용자들의 관심분야, 이전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횟수 또는 중계 횟수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2.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에 가입한 복수 사용자의 ID와, 상기 각 사용자 간의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인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각 사용자 ID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있을 경우 적어도 각 사용자 ID 및 각각의 메시지 ID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레코드를 사용자 별로 할당하여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제1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가능한 형태로 작성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1_1 메시지 ID 및 제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1 레코드와, 적어도 제1_2 메시지 ID 및 제2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1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한 제n 사용자(n≥2)가 상기 지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n 사용자와 대응되는 지인 관계에 있는 사용자 중 제n+1 사용자에게 이 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 이를 전송하고, 상기 전달된 질의 메시지를 기초로 적어도 제n_1 메시지 ID 및 제n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1 레코드와, 적어도 제n_2 메시지 ID 및 제n+1 사용자의 ID를 포함하는 제n_2 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제n+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ID간의 대응관계를 기초로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 경로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질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는, 상기 질의 메시지가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에서 전달될 때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전달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질의 메시지의 상기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상 전달 경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공유 시스템.
KR1020050006110A 2005-01-22 2005-01-22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36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10A KR101368442B1 (ko) 2005-01-22 2005-01-22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PCT/KR2005/004561 WO2006078094A1 (en) 2005-01-22 2005-12-27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US11/781,136 US9159110B2 (en) 2005-01-22 2007-07-20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inquiries and answers thereto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110A KR101368442B1 (ko) 2005-01-22 2005-01-22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579A Division KR20120037429A (ko) 2012-02-21 2012-02-21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128A KR20060085128A (ko) 2006-07-26
KR101368442B1 true KR101368442B1 (ko) 2014-03-03

Family

ID=3717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110A KR101368442B1 (ko) 2005-01-22 2005-01-22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720A (ko) * 2005-09-15 2007-03-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개인화 정보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8054A (en) * 1996-02-27 1999-09-07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human users i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KR20010028733A (ko) * 1999-09-22 2001-04-06 최태영 질의응답 시스템
US6571234B1 (en) * 1999-05-11 2003-05-27 Prophet Financi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message 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8054A (en) * 1996-02-27 1999-09-07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human users i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US6571234B1 (en) * 1999-05-11 2003-05-27 Prophet Financi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message board
KR20010028733A (ko) * 1999-09-22 2001-04-06 최태영 질의응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128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2821B2 (en) Access point object depositable on a web page and useful for initiating communication between depositing user and buddy
US91591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inquiries and answers thereto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US20220215057A1 (en) Integration of news into direct social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US200800193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Internet communication
JP4968041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の連携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69804B2 (ja) 情報共有制御システム
US8615550B2 (en) Client-side data scraping for open overlay for social networks and online services
US200401815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interaction
JP2008507749A (ja) 移動通信端末機を通じたモブログ基盤の地域コミュニティー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004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relationship management intelligence
KR20080046310A (ko) 채팅 서버 및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8507750A (ja) 移動通信端末機を通じたモブログ基盤の地域コミュニティーシステムでのオフ会提案方法
US20180211259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ustomer Service and Social Media Method
Maybury et al. Awareness of organizational expertise
KR101139228B1 (ko)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368442B1 (ko)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2006330798A (ja) ユーザ間承認による情報コミュニティ形成方法
KR20000058321A (ko) 인터넷에서의 중매 서비스방법
KR20070005743A (ko) 온라인상 휴먼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공유 방법 및시스템
JP2002041522A (ja) 個人情報開示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配信システム
Weinrib et al. IRTF Research Group Guidelines and Procedures
KR100789336B1 (ko) 인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TW201931273A (zh) 社群入口目錄生成系統及其方法
KR20120037429A (ko) 메시지 레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휴먼 네트워크 상 지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0493262B1 (ko) 신용도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7

Effective date: 201306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