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848B1 -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 Google Patents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848B1
KR101138848B1 KR1020100020904A KR20100020904A KR101138848B1 KR 101138848 B1 KR101138848 B1 KR 101138848B1 KR 1020100020904 A KR1020100020904 A KR 1020100020904A KR 20100020904 A KR20100020904 A KR 20100020904A KR 101138848 B1 KR101138848 B1 KR 10113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bit
loader
unit
pick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699A (ko
Inventor
강은식
정재원
김영재
강도규
유지영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성우테크론 주식회사
주식회사 관음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테크론 주식회사, 주식회사 관음정밀 filed Critical 성우테크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84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4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of linea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24B3/247Supports for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1/00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in grinding a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인 로테이터의 구성은 원형의 판상에, 로딩언로딩부과 상기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1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측면에서 촬영하여, 드릴비트의 길이와 단면을 검사하는 제 2로더와, 연마부로 상기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3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4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5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수평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 6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기 수평가이드에 대한 높이를 검사하는 제 7로더; 그리고, 상기 드릴비트의 상방의 연마면을 검사하는 제 8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A Rotater and Drill bit Re-Sharpening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판등의 천공구멍을 가공하는 드릴비트의 절삭선단을 자동으로 재연마가공하는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은 각종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동선으로 배선한 후, 보드상에 IC 또는 전자부품들을 배치 고정하고 이들 간의 전기적 배선을 구현하여 절연체로 코팅한 것이다.
상기 전자부품의 발달로 회로도체를 중첩하여 만드는 다층인쇄회로기판이 개발된 이래, 최근에는 다층인쇄회로기판의 고밀도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다층인쇄회로기판을 만드는 과정 중, 특별한 발전 영역 중 하나는 인쇄회로기판과 관련된 천공 공정이다. 회로기판에는 주로 수천의 작은 직경의 천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천공 구멍들은 리드 또는 핀을 수용함으로써, 회로기판에 여러가지 부품을 접속하고, 한 층의 전기 회로도 트레이스를 다른 것에 접속하도록 하여 또한 연속하는 가공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하고, 최종 하우징 내에 완전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에 천공된 구멍의 직경은 매우 작아서, 이를 천공하기 위한 드릴비트는 작은 직경의 절삭선단을 가지며, 이는 주로 텅스텐 카바이드 등의 매우 단단한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드릴비트는 마모에 강하지만, 여러번의 천공작업에 의해 상기 드릴비트의 선단이 마모되어 천공작업의 작업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릴비트를 자동으로 재연마하고 재연마한 드릴비트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 재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로테이터는, 원형의 판상에, 로딩언로딩부과 상기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1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측면에서 촬영하여, 드릴비트의 길이와 단면을 검사하는 제 2로더와, 연마부로 상기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3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4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5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수평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 6로더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기 수평가이드에 대한 높이를 검사하는 제 7로더; 그리고, 상기 드릴비트의 상방의 연마면을 검사하는 제 8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로더에는 상기 드릴비트의 선단을 청소하는 제 1클리닝부와, 상기 드릴비트의 길이와 단면을 측정하는 제 1검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4로더와, 상기 제 5로더에는 상기 드릴비트의 상단을 청소하는 제 2클리닝부와 제 3클리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6로더와 상기 제 7로더에는, 상기 드릴비트의 중앙가이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제 1높이조절부와 제 2높이조절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1높이조절부와 상기 제 2높이조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중앙가이드에 대해 기준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것을 하방으로 조절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중앙가이드에 대해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돌출된 것을 상방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클리닝부, 상기 제 2클리닝부와 상기 제 3클리닝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선단을 청소하도록 고무찰흙재질로 형성되는 클리닝헤드와, 상기 클리닝헤드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클리닝헤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는, 연마할 드릴비트가 적재된 트레이가 직선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로딩언로딩부와, 제 1픽커가 마련되고, 상기 로딩언로딩부의 상부에 직교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기 드릴비트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와, 상기 제 1항으로 구성되는 로테이터와, 양단에 각각 제 2픽커가 구비되고, 중앙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로테이터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테이터의 로더에 안착되는 상기 드릴비트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와, 상기 제 2이송부의 제 2픽커가 회전하면서 위치되는 부분의 하방에 안착홈이 마련되어, 안착되는 상기 드릴비트를 90도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제 3이송부와, 제 3픽커가 마련되고, 상기 제 3이송부의 안착홈의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픽업하여 수평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제 4이송부와, 양단에 각각 제 4픽커가 마련되고, 상기 제 4이송부의 드릴비트를 수평으로 전달받아 180도 회전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드릴비트를 연마시키는 연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재연마할 드릴비트를 트레이에 적재하여 본 장치 내부로 로딩시키면, 입력한 트레이에 연마가공이 완료된 드릴비트가 적재되어 다시 배출되어 드릴비트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드릴비트를 언제든지 재연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재연마장치가 가공할 드릴비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은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로딩언로딩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1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로테이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1클리닝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7은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1검사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8은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1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9는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2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10은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4검사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11은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2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3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4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14는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15는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제 2검사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6은 도 1의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구성하는 연마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드릴비트의 재연마방법을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할 드릴비트(D)가 적재된 트레이(T)가 직선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로딩언로딩부(10)와, 제 1픽커(24)가 마련되고, 상기 로딩언로딩부(10)의 상부에 직교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20)와, 상기 제 1이송부(20)에 의해 픽업되어 이동되는 상기 드릴비트(D)가 안착되는 로더가 다수개 마련되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로테이터(30)와, 양단에 각각 제 2픽커(44)가 구비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로테이터(30)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테이터(30)의 로더에 안착되는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40)와, 상기 제 2이송부(40)의 제 2픽커(44)가 회전하면서 위치되는 부분의 하방에 안착홈(52a)이 마련되어, 안착되는 상기 드릴비트(D)를 90도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제 3이송부(50)와, 제 3픽커(68)가 마련되고, 상기 제 3이송부(50)의 안착홈(52a)의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드릴비트(D)를 수직으로 픽업하여 수평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제 4이송부(60)와, 양단에 각각 제 4픽커(72)가 마련되고, 상기 제 4이송부(60)의 드릴비트(D)를 수평으로 전달받아 180도 회전하는 회전부(70)와, 상기 회전부(7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드릴비트(D)를 연마시키는 연마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에는 로딩언로딩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로딩언로딩부(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T)가 적재되는 적재부(10a)와, 상기 적재부(10a)가 직선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딩언로딩부(10)에는 상기 적재부(10a)와 상기 레일부(10b)가 필요에 따라 여러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3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하나는 재연마를 위한 드릴비트(D)가 적재된 트레이(T)가 이송되는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재연마가 완료된 드릴비트(D) 중 양품으로 판정된 것들이 적재된 트레이(T)가 이송되는 경로이며, 나머지 하나는 재연마가 완료된 드릴비트(D) 중 불량품으로 판정된 것들이 적재된 트레이(T)가 이송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적재부(10a) 중 하나는 재연마를 위한 드릴비트(D)의 트레이(T)가 유입되는 경로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T)에 가공이 완료되어 양품으로 판정된 드릴비트(D)가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딩언로딩부(10) 중 나머지 하나의 트레이(T)에는 가공이 완료된 드릴비트(D) 중 불량품으로 판정된 것들이 적재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드릴비트(D)의 연마작업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트레이(T)에는 드릴비트(D)가 마련된다. 상기 드릴비트(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뾰족하도록 구성되며, 중앙에 중앙가이드(M)가 마련된다. 상기 중앙가이드(M)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드릴비트(D)의 외주면에 끼워져 밀착고정되는 것으로, 드릴비트(D)의 선단이 단부로부터 일정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딩언로딩부(10)의 상방에는 제 1이송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이송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언로딩부(10)의 상방에 직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이송부(20)는 상기 트레이(T)의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T)와 아래에서 설명될 로테이터(30)의 로더 사이에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이송부(20)는, 상기 로딩언로딩부(10)와 직교되도록 구성되는 레일(22)과 상기 레일(22)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1픽커(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픽커(24)는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T)와 로테이터(30)의 로더 사이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인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에는 로테이터(30)가 마련된다. 상기 로테이터(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터(30)의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로더(31, 32, 33, 34, 35, 36, 37, 38)가 마련된다. 상기 로더는 상기 제 1이송부(20)의 제 1픽커(24)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드릴비트(D)가 수직으로 안착되도록 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더는 상기 로테이터(30)에 다수개가 마련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30)는 한번에 45도씩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더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이송부(20)와 상기 드릴비트(D)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1로더(31)와, 상기 드릴비트(D)를 측면에서 촬영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길이와 단면을 검사하는 제 2로더(32)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이송부(20)와 상기 드릴비트(D)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3로더(33)와, 상기 드릴비트(D)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4로더(34)와, 상기 드릴비트(D)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5로더(35)와, 상기 드릴비트(D)의 중앙가이드(M)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 6로더(36)와, 상기 드릴비트(D)의 상기 중앙가이드(M)에 대한 높이를 검사하는 제 7로더(37)와, 상기 드릴비트(D)의 상방의 연마면을 검사하는 제 8로더(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로더는 각각의 로더에 안착되는 드릴비트(D)를 가공 및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제 1로더(31)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이송부(20)의 제 1픽커(24)의 이동경로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로더(31)는 상기 제 1이송부(20)로부터 또는 상기 제 1이송부(20)로 상기 드릴비트(D)가 운반될 수 있도록 상기 드릴비트(D)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로더(31)의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한 지점에는 제 2로더(3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로더(32)에는 제 1클리닝부(100)와 검사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클리닝부(100)는 상기 드릴비트(D)의 연마가공할 상단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클리닝부(1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을 청소하는 클리닝헤드(102)와, 상기 클리닝헤드(102)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04)와, 상기 클리닝헤드(10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헤드(102)에는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에 잔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무찰흙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로더(32)에는 제 1검사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검사부(110)는 상기 드릴비트(D)의 길이와 단면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검사부(110)는 상기 드릴비트(D)의 길이와 단면을 검사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검사부(110)는, 상기 드릴비트(D)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12)와, 상기 조명부(112)의 반대측에서 상기 드릴비트(D)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센싱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부(112)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기 드릴비트(D)가 받아 생성되는 그림자의 크기를 상기 센싱부(114)가 측정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길이와 두께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검사부(110)에는 볼지지대(116)가 마련된다. 상기 볼지지대(1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검사부(110)에 안착되는 드릴비트(D)가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로더(32)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면 제 3로더(33)가 마련된다. 상기 제 3로더(33)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이송부(40)로 또는 상기 제 2이송부(40)에서 상기 드릴비트(D)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로더(33)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면 제 4로더(34)가 마련된다. 상기 제 4로더(34)에는 제 2클리닝부(1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클리닝부(120)는 상술한 제 1클리닝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4로더(34)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면 제 5로더(35)가 마련된다. 상기 제 5로더(35)에는 제 3클리닝부(1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클리닝부(130)는 상술한 제 1클리닝부(100)와 상기 제 2클리닝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클리닝부(120)와 상기 제 3클리닝부(130)는 상기 드릴비트(D) 선단의 청소를 위해, 상기 제 1클리닝부(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을 청소하는 클리닝헤드(미도시)와, 상기 클리닝헤드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미도시)와, 상기 클리닝헤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5로더(35)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면, 제 6로더(36)가 마련된다. 상기 제 6로더(36)에는 제 1높이조절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높이조절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가이드(M)에 대해 상기 드릴비트(D)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높이조절부(14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높이조절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42)와, 상기 프레임부(142)의 상방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과 상기 중앙가이드(M)가 삽입되는 홈(146)이 형성되는 상부헤드(144)와, 상기 상부헤드(144)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높이조절부(140)는, 제 6로더(36)에 위치하는 상기 드릴비트(D)에서 상기 드릴비트(D)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수평가이드(M)에서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수평가이드(M)에 대해 기준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된 것을 하방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6로더(36)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면, 제 7로더(37)가 마련된다. 상기 제 7로더(37)에는 상기 제 6로더(36)와 마찬가지로, 제 2높이조절부(1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높이조절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가이드(M)에 대해 상기 드릴비트(D)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제 2높이조절부(150)는, 상기 제 1높이조절부(140)와 달리 상기 드릴비트(D)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평가이드(M)에 대해 상기 드릴비트(D)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높이조절부(15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높이조절부(150)는,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52)와, 상기 중앙가이드가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상기 로테이터의 상방에 상기 중앙가이드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고정부(153)와, 상기 프레임부(152)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상기 드릴비트(D)의 하단에 접촉되는 하부헤드(154)와, 상기 하부헤드(154)를 승하강시키는 스크류(1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높이조절부(150)는, 상기 제 7로더(37)에 위치하는 상기 드릴비트(D)에서 상기 드릴비트(D)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눌러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수평가이드(M)에서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수평가이드(M)에 대해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돌출된 것을 상방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7로더(37)에는 제 3검사부(1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검사부(160)는, 상기 제 6로더(36)와 상기 제 7로더(37)에서 상기 수평가이드(M)에 대해 상기 드릴비트(D)의 높이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상기 드릴비트(D)의 상승높이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검사부(16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검사부(160)는, 상기 드릴비트(D)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62)와, 상기 조명부(162)의 반대측에서 상기 드릴비트(D)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센싱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부(162)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기 드릴비트(D)가 받아 생성되는 그림자의 크기를 상기 센싱부(164)가 측정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길이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7로더(37)에서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면, 제 8로더(38)가 마련된다. 상기 제 8로더(38)에는 제 4검사부(170)가 마련된다. 상기 제 4검사부(170)는,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의 연마면이 정확하게 연마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4검사부(17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검사부(170)는, 상기 드릴비트(D)의 상방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72)와, 상기 조명부(172)의 상방 상기 드릴비트의 연마면에 의해 반사되는 그림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센싱부(17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같은 방향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부(172)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기 드릴비트(D)의 연마면이 받아 반사되는 정보를 상기 센싱부(174)가 측정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연마면이 정확하게 연마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에는 제 2이송부(40)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3로더(33)의 위치의 상방에 상기 제 2이송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이송부(40)는, 상기 제 3로더(33)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 3이송부(50) 사이에서 상기 드릴비트(D)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이송부(4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이송부(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일정한 길이의 바(42)와, 상기 바(42)의 양단에 각각 상기 드릴비트(D)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제 2픽커(44)와, 상기 바(4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이송부(40)는, 상기 제 2픽커(44)가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상기 모터(46)가 회전하여, 상기 바(42)를 회전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제 3이송부(50)의 안착홈(52a)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42)는 180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이송부(40)의 일측에는 제 3이송부(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이송부(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판부(52)와, 상기 판부(52)를 회전시키는 모터(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52)의 상면에는 상기 드릴비트(D)가 적재될 수 있는 안착홈(52a)이 마련된다. 상기 판부(52)는 상기 모터(54)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90도로 회전함이 타당하다. 즉, 상기 제 2이송부(40)의 제 2픽커(44)에서 상기 드릴비트(D)를 전달받아 아래에서 설명될 제 4이송부(60)의 제 3픽커(68)가 픽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3이송부(50)의 일측에는 제 4이송부(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4이송부(60)는, 상기 제 3이송부(50)의 안착홈(52a)과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부(70) 사이에 상기 드릴비트(D)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 4이송부(60)는, 상기 제 3이송부(50)의 안착홈(52a)에 수직으로 적재된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수평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검사부(180)와 연마부(80)에서 상기 드릴비트(D)를 수평으로 안착시켜 검사와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4이송부(60)에는 상기 제 3픽커(62)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픽커(6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이송부(60)에서 상기 드릴비트(D)를 한 번에 두개를 픽업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제 3이송부(50)에서 이송되는 재연마를 위한 드릴비트(D)와, 회전부(70)에서 연마가 완료된 드릴비트(D)를 동시에 교체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기능을 위해, 상기 제 4이송부(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회전축(62)과, 상기 회전축(6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64)와, 상기 회전축(62)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66)와, 상기 회전축(62)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62)과 동축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제 3픽커(6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이송부(60)의 일측에는 회전부(7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70)는, 상기 제 4이송부(60)의 상기 드릴비트(D)를 아래에서 설명될 연마부(80)로, 연마부(80)의 드릴비트(D)를 상기 제 4이송부(6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부(70)는,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회전하면서, 연마부(80)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을 가공할 때, 상기 드릴비트(D)를 지지하고 또한 제 2검사부(180)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을 검사할 때, 드릴비트(D)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기능을 위해, 상기 회전부(7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 4픽커(72)와, 상기 제 4픽커(72)를 상기 몸체(7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실린더(73)와, 상기 제 4픽커(72)의 X, Y, Z축을 조절하는 미세조절부(74)와, 상기 제 4픽커(72)의 상기 드릴비트(D)의 하단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방지지부(75)와, 상기 제 4픽커(72)의 상기 드릴비트(D)의 상단을 상방에서 지지하는 상방지지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전부(70)에는 몸체(71)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7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70)의 골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71)에는 양단에 각각 제 4픽커(72)가 마련된다. 상기 제 4픽커(7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비트(D)를 수평으로 픽업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4픽커(72)는 상기 드릴비트(D)가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픽업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회전부(70)에는 실린더(73)가 마련된다. 상기 실린더(73)는 상기 각각의 제 4픽커(72)에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제 4픽커(72)가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 4픽커(72)에는 미세조절부(미도시가 더 마련된다.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제 4픽커(72)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제 4픽커(72)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 2검사부(180)와 상기 연마부(80)에 정확하게 상기 드릴비트(D)가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4픽커(72)에는 하방지지부(75)와 상방지지부(76)가 마련된다. 상기 하방지지부(75)와 상기 상방지지부(76)는, 상기 연마부(8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 4픽커(72)에 안착되는 상기 드릴비트(D)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드릴비트(D)가 연마될 때, 상기 드릴비트(D)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4픽커(72)의 일측에는 제 2검사부(18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검사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픽커(68)에서 상기 제 4픽커(72)로 상기 드릴비트(D)를 전달받을 부분의 인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제 2검사부(180)는, 상기 제 4픽커(72)의 드릴비트(D)의 선단을 검사하여, 상기 드릴비트(D)에서 연마할 선단을 아래에서 설명될 연마부(80)에서 어느정도 연마할 지 여부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검사부(18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82)와, 상기 광이 드릴비트(D)의 선단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집하는 센싱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182)와 상기 센싱부(184)는 상기 드릴비트(D)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70)의 일측에는 연마부(80)가 마련된다. 상기 연마부(80)는,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면을 연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마부(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날(82)이 두개가 마련된다. 이는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이 두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로딩언로딩부(10)와 상기 로테이터(30) 사이에는 반전부(9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전부(90)는 상기 로테이터(30)의 드릴비트(D)의 상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로딩언로딩부(10)의 트레이(T)에 연마를 위한 드릴비트(D)와 가공이 완료된 드릴비트(D)가 서로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반전부(90)에는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기 위한 반전픽커(92)와, 상기 반전픽커(9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를 이용하여 드릴비트를 재연마하는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재연마될 드릴비트(D)가 적재된 트레이(T)가 로딩언로딩부(10)의 적재부(10a)에 안착되어 레일부(10b)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제 1이송부(20)의 제 1픽커(24)가 상기 제 1이송부(20)의 레일부(2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트레이(T)의 드릴비트(D)를 픽업한다(S1).
상기 제 1픽커(24)는 상기 제 1이송부(20)의 레일부(22)를 따라 이동하여, 로테이터(30)의 제 1로더(31)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픽커(24)는 하강하여 상기 제 1로더(31)에 상기 드릴비트(D)를 안착시킨다(S2).
상기 로테이터(30)는 4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로더(32)의 위치에서 제 1클리닝부(100)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상면을 청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로더(32)에서 상기 실린더(104)가 구동하면서 모터(106)가 회전하여 클리닝헤드(102)가 하강하고,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을 청소하게 된다(S3).
상기 제 1검사부(110)는, 조명부(112)의 광이 상기 드릴비트(D)에 조사되어 상기 드릴비트(D)의 측면에 발생되는 그림자를 통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길이와 상기 드릴비트(D)의 굵기를 센싱부(114)가 검사하게 된다(S4).
상기 센싱부(114)에서 측정된 정보는 본 발명인 재연마장치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연마부(80) 및 제 2검사부(180)로 전송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로더(32)에서의 클리닝공정과 검사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로테이터(30)가 회전하여, 제 3로더(33)의 위치에 상기 드릴비트(D)가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제 2이송부(40)의 제 2픽커(44)가 상기 드릴비트(D)를 수직으로 픽업한다(S5).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한 상기 제 2이송부(40)는 180도 회전하여, 제 3이송부(50)의 안착홈(52a) 상방에 상기 드릴비트(D)를 위치시키고, 상기 안착홈(52a)에 상기 드릴비트(D)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3이송부(50)는 90도 회전하여, 제 4이송부(60)의 제 3픽커(68)의 하방에 상기 드릴비트(D)를 위치시킨다(S6). 상기 제 3픽커(68)는 상기 드릴비트(D)를 수직으로 픽업하여 90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를 수평으로 위치시킨다(S7).
상기 제 4이송부(60)는 상기 제 3픽커(68)를 회전부(70)의 제 4픽커(72)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 4픽커(72)는 상기 드릴비트(D)를 수평으로 픽업하면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이 외측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 4픽커(72)는 실린더(73)가 동작하여, 상기 제 4픽커(72)를 제 2검사부(180)로 이동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이 상기 제 2검사부(180)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 2검사부(180)에서 조명부(182)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드릴비트(D)의 상면에 반사된 후 상기 반사된 광을 수집하는 센싱부(184)에 의해, 상기 드릴비트(D)의 상면이 어느정도 연마해야 되는지 여부가 측정되어 그 정보가 제어부로 전달된다(S8).
그리고, 상기 실린더(73)는 다시 반대로 동작하여,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제 2검사부(180)에서 이격된 후, 상기 회전부(70)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70)가 180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가 연마부(80)에 위치한다.
상기 제 4픽커(72)의 실린더(73)가 다시 동작하여,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연마부(80)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하방지지부(75)와 상방지지부(76)에 의해 상기 드릴비트(D)가 연마시 유동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드릴비트(D)를 상기 연마부(80)가 자동으로 연마하게 되는 것은, 상기 제 1검사부(110)와 상기 제 2검사부(180)에서 상기 드릴비트(D)가 중앙가이드(M)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와,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의 형상을 측정한 정보를 토대로 가능하게 된다(S9).
상기 연마부(80)에서 연마가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73)가 반대로 동작하여, 상기 제 4픽커(72)가 상기 연마부(80)에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70)가 회전하여 상기 제 4이송부(60)의 제 3픽커(68)가 상기 제 4픽커(7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S10).
상기 제 3픽커(68)는 상기 제 4픽커(72)의 상기 드릴비트(D)를 수평으로 픽업한 후, 상기 제 4픽커(72)가 90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를 수직으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4픽커(72)는 하강하여, 상기 제 3이송부(50)의 안착홈(52a)에 상기 드릴비트(D)를 안착시킨다(S11).
상기 제 3이송부(50)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 2이송부(40)의 제 2픽커(44) 하방에 위치시키면, 상기 제 2픽커(44)는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한다(S12). 그리고, 상기 제 2이송부(40)는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기 로테이터(30)의 제 3로더(33)의 상방에 상기 드릴비트(D)를 위치시킨다(S13).
상기 제 2픽커(44)는 상기 드릴비트(D)를 상기 제 3로더(33)에 안착시킨 후, 상기 로테이터(30)는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제 4로더(34)에 상기 드릴비트(D)가 위치된다. 제 2클리닝부(130)에서 실린더가 구동하여 클리닝헤드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상단을 청소한다(S14).
또한, 상기 로테이터(30)는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30)가 제 5로더(35)에 위치한다(S15). 상기 제 5로더(35)에서도 제 3클리닝부(140)의 실린더가 구동하여 클리닝헤드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상단을 청소한다. 즉, 상기 제 2클리닝부(120)와 상기 제 3클리닝부(130)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상단을 깨끗하게 청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는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가 제 6로더(36)에 위치한다. 상기 제 6로더(36)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중앙가이드(M)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제 6로더(36)에 마련되는 제 1높이조절부(140)에서, 실린더(148)가 구동하여, 상부헤드(144)가 하강한다. 그러면, 상기 상부헤드(144)가 하강하면서, 상기 드릴비트(D)를 하방으로 눌러 기준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된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수평가이드(M)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하게 된다(S16).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는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가 제 7로더(37)에 위치한다. 상기 제 7로더(37)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중앙가이드(M)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제 7로더(37)에 마련되는 제 2높이조절부(150)에서, 스크류(156)가 구동하여, 하부헤드(154)를 상승한다. 그러면, 상기 하부헤드(154)가 상승하면서, 상기 드릴비트(D)를 상방으로 눌러 기준보다 하방으로 낮게 돌출된 상기 드릴비트(D)가 상기 수평가이드(M)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절하게 된다(S17).
특히, 상기 제 1높이조절부(140)에서는 모든 상기 드릴비트(D)를 상기 중앙가이드(M)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 2높이조절부(150)에서 모든 상기 드릴비트(D)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중앙가이드(M)에 대해 정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7로더(37)에는 제 3검사부(1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검사부(160)는, 상기 제 1높이조절부(140)와 상기 제 2높이조절부(150)가 상기 중앙가이드(M)에 대해 상기 드릴비트(D)의 높이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18).
상기 제 3검사부(160)의 조명부(162)가 상기 드릴비트(D)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조명부(16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센싱부(164)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그림자에 의한 정보를 취득하여 길이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가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가 제 8로더(38)에 위치한다. 상기 제 8로더(38)에 마련되는 제 4검사부(170)에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의 연마면이 정확하게 연마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19).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8로더(38)에 마련되는 제 4검사부(170)에서, 조명부(172)가 상기 드릴비트(D)의 상방에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드릴비트(D)의 연마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의 정보를 센싱부(174)가 취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30)가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가 제 1로더(31)에 위치한다. 상기 제 1로더(31)에 위치되면, 제 1이송부(20)의 제 1픽커(24)가 상기 제 1로더(31)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가 완료된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토대로 상기 드릴비트(D)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픽커(24)에 상기 드릴비트(D)가 불량인지 양품인지 여부의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제 1픽커(24)가 상기 드릴비트(D)의 양품트레이 또는 불량품트레이에 적재하게 된다(S20).
이때, 처음에 연마가공 할 드릴비트(D)가 적재된 트레이(T)에 상기 양품으로 판정된 상기 드릴비트(D)를 적재한다. 그리고, 빈트레이에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드릴비트(D)를 적재하게 된다.
또한, 제 1로더(31)에 안착되는 드릴비트(D)를 상기 반전부(90)의 반전픽커(92)가 픽업하여, 회전하여 상기 드릴비트(D)의 상하가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연마가 완료된 상기 드릴비트(D)의 선단이 하방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 1이송부(20)의 제 1픽커(24)가 상기 드릴비트(D)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T)에 안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상기 트레이(T)에서 연마가공을 위한 드릴비트(D)와 연마가공이 완료되어 양품으로 판정된 드릴비트(D)가 구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로딩언로딩부 20: 제 1이송부
22: 레일부 24: 제 1픽커
30: 로테이터 31: 제 1로더
32: 제 2로더 33: 제 3로더
34: 제 4로더 35: 제 5로더
36: 제 6로더 37: 제 7로더
38: 제 8로더 40: 제 2이송부
42: 바 44: 제 2픽커
50: 제 3이송부 52: 판부
52a: 안착홈 60: 제 4이송부
62: 회전축 64: 모터
66: 실린더 68: 제 3픽커
70: 회전부 71: 몸테
72: 제 4픽커 73: 실린더
74: 미세조절부 80: 연마부
90: 반전부 92: 반전픽커
94: 모터 100: 제 1클리닝부
102: 클리닝헤드 104: 실린더
106: 모터 110: 제 1검사부
112: 조명부 114: 센싱부
120: 제 2클리닝부 130: 제 3클리닝부
140: 제 1높이조절부 142: 프레임부
144: 상부헤드 146: 홈
148: 실린더 150: 제 2높이조절부
152: 프레임부 153: 고정부
154: 하부헤드 156: 실린더
160: 제 3검사부 162: 조명부
164: 센싱부 170: 제 4검사부
172: 조명부 174: 센싱부
180: 제 2검사부 182: 조명부
184: 센싱부

Claims (6)

  1. 원형의 판상에
    로딩언로딩부과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1로더;
    상기 드릴비트의 측면에서 촬영하여, 드릴비트의 길이와 단면을 검사하는 제 2로더;
    연마부로 상기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이송하는 제 3로더;
    상기 드릴비트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4로더;
    상기 드릴비트의 상면을 세척하는 제 5로더;
    상기 드릴비트의 수평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 6로더;
    상기 드릴비트의 상기 수평가이드에 대한 높이를 검사하는 제 7로더; 그리고,
    상기 드릴비트의 상방의 연마면을 검사하는 제 8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테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로더에는 상기 드릴비트의 상단을 청소하는 제 1클리닝부와, 상기 드릴비트의 길이와 단면을 측정하는 제 1검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테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로더와, 상기 제 5로더에는 상기 드릴비트의 상단을 청소하는 제 2클리닝부와 제 3클리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테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로더와 상기 제 7로더에는,
    상기 드릴비트의 중앙가이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제 1높이조절부와 제 2높이조절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1높이조절부와 상기 제 2높이조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중앙가이드에 대해 기준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것을 하방으로 조절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중앙가이드에 대해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돌출된 것을 상방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테이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리닝부, 상기 제 2클리닝부와 상기 제 3클리닝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선단을 청소하도록 고무찰흙재질로 형성되는 클리닝헤드;
    상기 클리닝헤드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클리닝헤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테이터.
  6. 연마할 드릴비트가 적재된 트레이가 직선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로딩언로딩부;
    제 1픽커가 마련되고, 상기 로딩언로딩부의 상부에 직교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기 드릴비트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
    상기 제 1항으로 구성되는 로테이터;
    양단에 각각 제 2픽커가 구비되고, 중앙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로테이터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로테이터의 로더에 안착되는 상기 드릴비트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
    상기 제 2이송부의 제 2픽커가 회전하면서 위치되는 부분의 하방에 안착홈이 마련되어, 안착되는 상기 드릴비트를 90도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제 3이송부;
    제 3픽커가 마련되고, 상기 제 3이송부의 안착홈의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드릴비트를 수직으로 픽업하여 수평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제 4이송부;
    양단에 각각 제 4픽커가 마련되고, 상기 제 4이송부의 드릴비트를 수평으로 전달받아 180도 회전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드릴비트를 연마시키는 연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KR1020100020904A 2010-03-09 2010-03-09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KR10113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04A KR101138848B1 (ko) 2010-03-09 2010-03-09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04A KR101138848B1 (ko) 2010-03-09 2010-03-09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699A KR20110101699A (ko) 2011-09-16
KR101138848B1 true KR101138848B1 (ko) 2012-05-17

Family

ID=4495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904A KR101138848B1 (ko) 2010-03-09 2010-03-09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62Y1 (ko) * 2011-07-29 2013-01-11 그리 윈 오토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동식 마이크로드릴 연마장치
KR101402811B1 (ko) * 2011-11-03 2014-06-11 주식회사 타임텍 드릴비트용 세정장치
CN104369056A (zh) * 2014-08-29 2015-02-25 昆山仁特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钻针研磨设备
KR101972943B1 (ko) 2018-08-20 2019-08-23 방유환 드릴 비트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972944B1 (ko) 2019-02-25 2019-08-26 방유환 가공 중 진동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드릴 비트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릴 비트의 가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706A (ja) * 1992-10-26 1994-06-21 Toyota Motor Corp 工具研削装置
KR20010082552A (ko) * 1998-05-21 2001-08-30 추후제출 드릴 비트 자동 재연마 장치 및 검증 장치
KR20090067845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보림 측면데이터검출에 의한 드릴비트 자동재연마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재연마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706A (ja) * 1992-10-26 1994-06-21 Toyota Motor Corp 工具研削装置
KR20010082552A (ko) * 1998-05-21 2001-08-30 추후제출 드릴 비트 자동 재연마 장치 및 검증 장치
KR20090067845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보림 측면데이터검출에 의한 드릴비트 자동재연마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재연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699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847B1 (ko)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방법
KR101185065B1 (ko) 회전유닛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KR101138848B1 (ko) 로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드릴비트의 재연마장치
CN104023911A (zh) 钻头的自动重磨装置
CN104029090B (zh) 研磨机
KR100745665B1 (ko) 드릴비트의 자동재연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재연마방법
JP2006021264A (ja) 研削装置
CN107919310A (zh) 加工装置
CN109382920B (zh) 切削装置和晶片的加工方法
JP5896188B2 (ja) モジュール型インラインマイクロドリルビット再研磨装置
CN202763651U (zh) 钻针自动研磨装置
KR101079764B1 (ko) 드릴비트의 재연마 방법 및 시스템
CN105269416A (zh) 微型钻头重磨装置
KR101391258B1 (ko) 플립퍼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쏘잉 앤 플레이스먼트 장비
KR20140099391A (ko) 드릴비트 연마방법
KR101778708B1 (ko) 인쇄회로기판 단자부 면취장치
KR20130048936A (ko) 드릴비트의 자동 재연마장치
KR20130048932A (ko) 드릴비트의 위치결정링 셋팅장치
JP2007320001A (ja) ウエーハの外周部に形成される環状補強部の確認方法および確認装置
KR200452846Y1 (ko) 인쇄회로기판 비전검사장치
KR101938379B1 (ko)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 하이픽스 기판의 홈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픽스 기판의 홈 가공방법
KR101302635B1 (ko) 드릴비트 재연마장치용 드릴비트 위치조절장치
JP5261125B2 (ja) チャックテーブルの原点高さ位置検出方法
CN107743430A (zh) 加工单元
JP5654782B2 (ja) 研削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