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081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081B1
KR101138081B1 KR1020050024127A KR20050024127A KR101138081B1 KR 101138081 B1 KR101138081 B1 KR 101138081B1 KR 1020050024127 A KR1020050024127 A KR 1020050024127A KR 20050024127 A KR20050024127 A KR 20050024127A KR 101138081 B1 KR101138081 B1 KR 10113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melt adhesive
hot melt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633A (ko
Inventor
테츠유키 키가타
마사히토 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non-power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by thermal or cryogenic treatment, excluding heating to facilitate mechanical wor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체 유지성의 흡수층(10) 및 액체 불투과성층(20)을 구비하고, 피부 비접촉면에 어긋남 방지 점착제(30)를 마련하고, 피부 비접촉면(3)은 섬유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는 핫멜트(hot melt) 접착제로 구성되며, 제1층(31)과 제2층(32)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층(31)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제2층(32)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 유동성이 높다.
흡수성 물품, 점착제, 핫멜트 접착제, 생리용 냅킨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뇨 패드, 분비물 시트, 요실금 시트, 혹은 겨드랑이 패드, 목덜미 패드, 모유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속옷 등에 고정하기 위한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마련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마련된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생리용 냅킨이나 모유 패드 등으로 대표되는 속옷이나 팬티 등의 의복에 고정해 사용하는 것, 또한 뇨 패드 등과 같이 일회용 기저귀 내에 고정해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촉감이나 착용시의 거친감(roughness)이나 외관을 개량하기 위해서 피부 비접촉면인 외면을 부직포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2002-355266호 공보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2002-355266호 공보에 따르면, 어긋남 방지용 핫멜트 접착제를 외면에 도포했을 시, 상기 접착제가 섬유 사이에 스며들어, 그 결과 어긋남 방지 점착제로서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이 감소하여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보여지고, 또한 상기 외면을 통기성의 불투액성(不透液性) 이면시트로 구성한 경우, 습기로 인한 수분이 상기 접착제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이 저하하게 되어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서 쉽게 어긋난다고 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2-355266호 공보에 의하면, 고점성의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의 섬유 중에 침투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한 막을 형성하여 점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어긋남 방지층으로서 바인더(binder)와 열 발포성 폴리머 비즈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층과, 유리전이온도 30도 이하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층의 2층 구조인 안티슬립 어긋남 방지층(일본국 공개특허 평1-293869호 공보 참조)이나, 습기 투과성의 피부 비접촉층인 경우에 열가소성 수지의 배리어층(barrier layer)을 통해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일본국 공개특허 2000-140016호 공보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2002-355266호 공보에서는 부직포의 섬유 중에 핫멜트 접착제가 침투되어 있지 않아, 접착제와 부직포의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속옷과 핫멜트 접착제의 접착력이 더 강하므로, 흡수성 물품을 속옷 등에서 떼어낼 시에 접착제가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벗겨져 속옷 등에 붙어 남게 되는(이하, 접착제 잔재라 칭함)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한 접착제 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 피부 비접촉층과의 접촉성을 강화하기 위해 접착력이 큰 접착제를 사용하면, 속옷 등에도 강고하게 접착하게 되어 흡수성 물품을 떼어낼 시에 접착제 내에서 파괴가 발생하여 속옷 측에 접착제가 남아, 결국 접착제 잔재가 해결되지 않거나 또는 속옷 등 접착되는 상대방을 파괴하게 되는 문제도 생기게 된다. 나아가 접착제 내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접착제의 응집력을 강화하면 이번에는 속옷 등에의 접착력이 저하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 평1-293869호 공보에서는, 가로방향의 어긋남에 대해서 안티슬립 효과를 발휘하지만, 어긋남 방지층은 비접착성이어서, 몸이나 의복의 움직임이나 변형에 대해서 용이하게 속옷으로부터 떨어지는(들뜸;lifts)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정된 고정이 불가능하여, 결국 뒤틀림이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발포체의 발포를 위해 특별한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 2000-140016호 공보의 개시의 방법에서는, 배리어층이 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뻣뻣하고 접착력도 작기 때문에, 피부 비접촉층이 섬유층인 경우에는 접착되기 어려워, 접착제가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떨어져 속옷 등에 붙어 남게 되는 접착제 잔재가 보다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은 액체 유지성의 흡수층 및 액체 불투과성층을 구비하고, 피부 비접촉면에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마련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부 비접촉면은 섬유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되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는 피부 비접촉면측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상에 적층된 제2층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제2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 유동성이 높다.
본 발명은 피부 비접촉면이 부직포 등의 섬유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접착제 잔재를 남기지 않고, 접착되는 상대의 파괴나 흡수성 물품의 어긋남이나 벗겨짐이 없는 접착력을 가지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마련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1)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유지성의 흡수층(10) 및 액체 불투과성층(20)을 구비한 긴 형상의 흡수성 물품이다. 생리용 냅킨의 피부 비접촉면(3)에는 속옷에의 고정에 사용되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30)가 마련되어 있다.
흡수층(10)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11)와 액체 유지성의 흡수체(12)로 이루어지고, 액체 불투과성층(20)은 액체 투과성의 샘방지시트(21;leak proof sheet)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샘방지시트(21)가 이면층을 구성하고, 흡수체(12)는 표면시트(11)와 샘방지시트(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시트의 양측부상에는 2개의 측부 커버시트(40)가 각각 접합되어, 흡수체(12)의 측부를 피복하여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되게끔 배치되고, 또한 표면시트(11)는 흡수체의 양끝 가장자리 및 양측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되어 있다. 샘방지시트(21)는 흡수체(12)의 양측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되어, 표면시트(11) 및 2개의 측부 커버시트(40)와, 흡수체(12)의 주위에 있어서, 히트실링(heat sealing)이나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시트(11) 및 측부 커버시트(40)가 생리용 냅킨(1)의 피부 접촉면(2)을, 샘방지시트(21)가 피부 비접촉면(3)을 구성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 커버시트(40)의 안 가장자리 부근에는 표면시트(11)와의 히트실링에 의한 접합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샘방지시트(21)는 수지필름(22)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체(23)의 라미네이트 구조를 가지고, 필름면이 흡수체측에 배치되며, 생리용 냅킨(1)의 피부 비접촉면(3)은 섬유집합체(23)로 구성되어 있다.
수지필름(22)으로서는 평량 20~40g/m2정도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복합물이나 소위 습기 투과 필름(50질량%정도의 무기 분체, 예를 들면 탄산칼슘 등을 분산한 폴리올레핀필름을 1축 또는 2축 연신(延伸)하여 미세 구멍을 무수하게 뚫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집합체(23)는 부직포, 섬유웹(web), 각종 직포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복합섬유로 이루어지는 통기성 부직포(air-through nonwoven),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ed nonwoven), 멜트 블로운 부직포(melt-blown nonwoven) 및 복합 부직포(SM, SMS, SMMS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샘방지시트(21)가 수지필름과 부직포로 구성되는 경우, 본 실시형태와 같이 수지를 용융(溶融)상태로 부직포과 접합하는 라미네이션 외에 접착제를 도공해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샘방지시트(21)는 소수성의 스펀본드 부직포-멜트 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의 조합(SMS)이나 스펀본드 부직포-멜트 블로운 부직포-멜트 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의 조합(SMMS)의 다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필름 대신에 소수성의 개공(開孔) 필름, 입체 개공 필름, 네트(mesh) 재료를 부직포와 조합시킨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섬유집합체(23)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피부 비접촉면의 촉감이나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접착성과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복합섬유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그 평량은 10~100g/m2가 바람직하고, 12~50g/m2가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시트(11)는 부직포나 개공된 수지필름, 또 연속 필라멘트를 기재시트(base sheet)에 접합시킨 복합시트 등, 액체 투과성을 구비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측부 커버시트(40)는 부직포나 수지필름 등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피부로의 감촉 및 액체 샘 방지성의 관점에서, 발수처리된 부직포나 멜트 블로운 부직포를 구비하는 시트, 요철가공된 수지필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흡수체(12)는 액체 유지성이라면 이 종류의 물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장착감의 관점에서 선호되는 박형(薄型) 생리용 냅킨용의 흡수체인 가교 펄프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샌드위치한 구조의 흡수시트를 C-폴드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사용하였으나, 그 용도에 의한 장착상태나 요구 흡수 용량에 따라 두께나 고흡수성 폴리머의 유무를 선택한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는 생리용 냅킨(1)의 피부 비접촉면(3)에 배치되는 제1층(31)과 상기 제1층상에 적층된 제2층(32)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은 피부 비접촉면(3)의 섬유집합체(23)의 내부로 들어간 형태로 층을 구성하고, 그 상면이 피부 비접촉면(3)으로부터 외측으로 존재하고 있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2층(32)은 제1층(31)상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2층(32)이 속옷에 점착되어, 생리용 냅킨(1)의 고정이 행해진다. 제2층(32)의 외측에는 생리용 냅킨(1)의 사용전에 어긋남 방지 점착제(30)를 보호하기 위한 박리시트 또는 박리처리를 가지는 포장시트로 피복되어 있다(도시 생략).
어긋남 방지 점착제(30)는, 제1층(31)에 의해 섬유집합체(23)로 이루어지는 피부 비접촉면(3)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어긋남 방지 점착제(30)가 생리용 냅킨(1)으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고 접착제 잔재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2층(32)에 의해 속옷 등에 적절한 접착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과 제2층(32)은 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고,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제2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핫멜트 접착제의 적어도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 유동성이 높다. 연화점 온도 근방이라함은, 바람직하게는 연화점 온도 이하 -20도~연화점 온도 이상 +50도를 나타낸다. 연화점 온도는, 통상 고분자 재료가 가열에 의해 부드럽게 되어 변형을 시작하는 온도를 나타내고, 이 경우의 연화점 온도라함은,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 가능케 하기 위해 가열 용융했을 시의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가능 최저온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연화점 온도 근방이라함은, 즉 도포 가능 온도이다. 통상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는, 연화점 온도는 90도~110도이고, 연화점 온도 근방은 대략 70도~160도이다. 또한 유동성이 높다는 것은, 상세하게는 B형 회전점도계(JIS K 6862)에 의해 측정된 제1층과 제2층 각각의 온도-점도곡선을 비교한 경우, 제1층 쪽이 제2층보다 온도 저하에 따른 점도상승의 비율이 작음을 나타낸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이 제2층(32)보다도 유동성이 높은 것에 의해, 제1층(31)은 제2층(32)보다도 피부 비접촉면(3)의 섬유집합체(23)에 대한 함침성이 높아지게 된다. 함침성이 크다는 것은, 용융상태 또는 상온(常溫)시에서의 점도나 경도가 제2층(32)에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작은 것을 나타낸다. 함침성이 큼으로써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은 섬유집합체(23)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되며, 접착제 잔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으로서 바람직한 핫멜트 접착제를 설명한다. 유동성이 높은 핫멜트 접착제로서,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또한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의 온도 저하, 바람직하게는 연화점 온도에서의 온도 저하에 따른 점도상승 기울기가 제2층(32)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에 비해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저하에 따른 점도상승이라 함은, 핫멜트 접착제가 대상 기재에 도공된 후 서서히 상온까지 온도가 저하할 시의 온도에 대한 점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제1층의 점도상승 기울기가 제2층보다 작다는 것은, 가로축에 온도, 세로축에 점도를 취했을 시의 온도-점도곡선이 동일 온도에서 비교했을 때, 제1층의 점도곡선이 제2층의 점도곡선에 대하여 저점도측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온도-점도곡선에 대해서는 B형 회전점도계(JIS K 6862)에 의해 측정된 대략 100도~200도의 범위의 점도에 의해 평가된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에, 제2층(32)의 핫멜트 접착제에 비해서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의 온도저하에 따른 점도상승 기울기가 작은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제1층(31)의 핫멜트 접착제는 도포 후, 천천히 단단해져 섬유집합체(23)에 쉽게 함침(含浸;스며듬)하여, 어긋남 방지 점착제(30) 전체가 섬유집합체(23)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 강도를 발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접착제 잔재가 생기지 않는다.
제1층(31)에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120도~180도로 변화할 시의 점도의 변화가 10000~500cps가 바람직하고, 8000~1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층(31)의 피부 비접촉면(3)과의 접착강도는, 도포 직후(20도로 냉각한 시점에서 측정)에 비해 도포 1일 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층(31)은 통상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에 비해 섬유집합체(23)로의 함침성이나 침투성이 높기 때문에, 도포 직후부터 섬유집합체와의 접착력이 얻어지는데, 도포 후에도 한층 섬유집합체(23)로의 함침이 진행됨으로써 강고한 접착력이 얻어지게 된다. 제1층(31)과 피부 비접촉면(3)의 접착강도는 JIS Z 0237에 준거한 점착력 시험법에 따라 측정 가능하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베이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응집력을 높여, 섬유집합체(23)와의 접합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베이스폴리머를 30~65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50질량% 포함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베이스폴리머는 비결정질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비결정질 프로필렌-부텐계 공중합체,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베이스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으로서 다른 바람직한 핫멜트 접착제를 설명한다.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 유동성이 높은 핫멜트 접착제로서,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31)은 제2층(32)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가압하에서 접착력의 증가율이 큰 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층(31)은 피부 비접촉면(3)의 섬유집합체(23)에 도포 후, 생리용 냅킨 등의 물품이 완성 후에 개별 포장이나 포장되어 밀착해 놓여졌을 때에, 시간과 함께 서서히 제1층(31)이 유동해서 변형해 섬유집합체(23)에 함침되어 가므로 접착력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제1층(31)은 섬유집합체(23)와 확실하게 접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가압하에서의 접착력의 변화는 초기 접착력에 대한 가압 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접착력의 변화이고, (시간경과 접착력)/(초기 접착력)×100으로 증가율이 구해진다. 초기 접착력 및 시간경과 접착력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초기 접착력의 측정>
우선 소정의 조성, 평량, 패턴의 핫멜트 접착제를 생리용 냅킨 본체 또는 피부 비접촉면을 구성하는 시트에 도공한 시험편을 준비한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의 크기, 패턴, 평량은 임의이고, 제1층(31)과 제2층(32)의 핫멜트 접착제는 각각 따로 도공한 시험편을 준비하면 되고, 동일한 패턴이나 크기 등으로 준비할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폭 3cm×길이 15cm, 평량 30g/m2의 직사각형상의 도공(전체 도포)하고, 제1층(31)과 제2층(32)은 마찬가지로 따로 도공한 시험편을 준비한다.
준비한 시험편을 30분 이상 측정환경(24~26도, 50~60%RH)에 방치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을 피착체(被着體; 옥양목 1호)에 부착하고, 폭 6.5cm, 직경 약 6cm로 2kg의 롤러(roller)로 1회 왕복 가압해 샘플을 작성한다. 이 샘플에 대해서 텐실론(Tensilon tester)으로 T-박리접착력을 측정한다.
<가압 시간경과 접착력 측정>
초기 접착력과 마찬가지로 샘플을 작성한다. 이 샘플에 폭 3cm×길이 11cm로 약 150g의 스텐테인리스판을 얹고, 또한 1kg의 추를 올려 40도 80% RH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靜置)한다. 샘플을 꺼내고, 그 후 3분~7분 사이에 텐실론으로 T-박리 접착력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초기 접착력과 가압 시간경과 접착력에 대하여 텐실론에서의 측정환경은 24~26도, 50~60% RH이고, 측정속도는 300mm/min으로 행한다.
핫멜트 접착제의 가압하에서의 접착력의 증가율에 대하여,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은, 섬유집합체로의 함침성의 관점에서 300%이상이 바람직하고, 350%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2층(32)은 속옷 등과의 박리성의 관점에서 300%이내가 바람직하고, 250%이내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가압하에서 접착력의 증가가 큰 핫멜트 접착제로서, 제1층(31)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등에서 선택되는 베이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제1층(31)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피부 비접촉면(3)의 섬유집합체(23)와 쉽게 융합되고 가압하에서 상기 섬유집합체(23)에 스며들어 점착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베이스폴리머를 30~70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60질량% 포함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특히 섬유집합체와의 융합성이나 접착력 증가의 관점에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폴리머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제1층(31)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의 가소성이 높아져 섬유집합체로 이행이 쉬워지는 관점에서, 제2층(32)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가소제 또는 점착 부여제의 함유비율이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제1층(31)의 핫멜트 접착제는, 가소제와 점착부여제의 합계가 30질량%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70질량% 함유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2층(32)으로서는, 제1층(31)과 전술한 것과 같은 관계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속옷 등의 의류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접착 상대에 대한 적정한 접착력에 따라 그 종류나 양이 선택된다. 제1층(31)과의 접착성과의 관점에서, 제2층(32)은 예를 들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티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등의 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층(31)과 제2층(32)의 선정에 있어서는, 그 층간에서 핫멜트 접착제의 박리가 발생하면 문제가 되므로, 제1층(31)과 제2층(32)의 상용성이 비교적 좋은 조합을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SP값이 가까울수록 상용성이 좋다고 알려지는데, 제1층(31)과 제2층(32)의 각층에 같은 종류의 고무성분을 첨가하는 것으로 달성 가능하다.
피부 비접촉면(3)의 섬유집합체(23)는 제1층(31)의 도공시의 유입성, 쉽게 박리되지 않는 관점에서 그 평량은 15~50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20~35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속옷과의 접착성 및 어긋남 방지 효과의 관점에서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점착력(점성력;tack)은 100cN~1500cN이 바람직하고, 300cN~600cN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점성력의 측정방법>
점성력은 프로우브 택(probe tack) 시험장치를 사용해 측정한다. 가중 147cN/cm2, 접촉시간 5초, 이동속도 5mm/초의 조건으로 소정의 SUS 프로우브를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제2층(32))에 접촉시켜 벗겨냈을 시의 강도(cN)로 나타낸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도공방법은 전체 도포 도공이어도 되고, 패턴 도공이어도 된다. 패턴 도공의 패턴의 예로서는, 스트라이프 패턴, 격자 패턴, 체크모양의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제1층(31)과 제2층(32)은 제1층(31)을 속옷측 등에 노출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제2층(32)이 제1층(31)보다 큰 크기이면서 같은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긋남 방지 점착제(30)의 형상 유지의 관점에서 같은 부분 및 같은 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31)이 가압하에서 제2층보다도 변형 속도가 큰 경우, 제1층(31)에 사용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상온시의 섬유소재로의 함침성이 높기 때문에 제2층(32)이 제1층(31)을 완전하게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크기 관계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30)를 보호하기 위한 박리시트에 제1층(31)과 제2층(32)의 2층을 동시에 도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제2층(32)의 제(劑)의 응집력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제1층의 면적이 제2층보다 작은 것도 가능하고, 제2층의 제의 응집력이 작은 경우에는 양측이 같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1)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표면시트(11)의 양측부에 측부 커버시트(40)를 접합하고, 표면시트(11)가 측부 커버시트(40)와의 접합면과는 반대의 면에, 별도 공정으로 작성된 긴 흡수체(12)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편면(片面)에 섬유집합체를 가지고 또 다른 한쪽의 면이 수지필름면인 샘방지시트(21)를 수지필름면이 흡수체(12)측이 되게끔 배치한다. 흡수체(12)의 주위에 있어서 연장되는 부분에서, 상기 표면시트(11) 및 측부 커버시트(40) 및 샘방지시트(21)를 히트실링 등에 의해 접합하여 생리용 냅킨 본체를 제조해 둔다.
다음으로 박리처리된 포장시트에, 한 곳의 노즐에 2개의 도포구를 가지는 코터(coater)에 의해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제2층(32)이 포장재 시트측이 되게끔 제2층(32) 및 제1층(31)을 동시에 도공하여 적층 점착부를 형성한다. 상기 생리용 냅킨 본체의 피부 비접촉면(3)인 샘방지시트(21)상에 적층 점착부를 가지는 포장시트를 배치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1)(포장시트는 생략)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가 용융상태일 때에 샘방지시트(21)상에 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어긋남 방지 점착제(30)는 제2층(32)을 포장시트에 도포한 후, 그 위에 제1층(31)을 도포해도 된다. 또한 박리처리한 포장시트상이 아닌, 생리용 냅킨의 피부 비접촉면(3)상에 직접 도포해도 되고, 제1층(31)을 피부 비접촉면(3)에 도포하여, 제2층(32)을 포장시트상에 도포한 후에 제1층(31) 및 제2층(32)을 적층해도 된다.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의 실시형태는 생리용 냅킨의 두께방향에 흡수층이 존재하는 피부 비접촉면에 마련되는 부분에 적층구조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면, 속옷 고정용으로 양측부에 마련되는 생리용 냅킨의 날개부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적층구조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로 해도 된다.
또한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피부 비접촉면은 샘방지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부직포 등의 표면시트를 샘방지시트의 아래까지 피복하는 형태로 하여 피부 비접촉면이 표면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적어도 2층 구조로 하였으나, 제1층과 제2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그 사이에 제3층의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도 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피부 비접촉면이 섬유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하지 않고, 또한 반대로 흡수성 물품이 고정되는 의복이나 별도의 흡수성 물품측에 점착제가 이행하지 않는 소위 접착제 잔재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어긋남 방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피부 비접촉면이 섬유집합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느낌이나 감촉, 또한 외관이 뛰어난 흡수성 물품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앞서 생리용 냅킨의 제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의 제작>
(1)샘방지시트
탄산칼슘 50질량%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필름을 길이방향으로 연신해 미세하게 개공한 평량 25g/m2의 습기 투과 필름과, 평량 20g/m2의 섬유집합체를 준비하고, 습기 투과 필름측에 핫멜트 접착제(후술의 조성 D)를 5g/m2로 스파이럴 스프레이 도공하여 즉시 섬유집합체를 맞붙여 샘방지시트를 제작하였다. 섬유집합체는 다음의 A~C의 3종류를 사용하였다.
A: 통기성 부직포(2.2dtex의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의 심초형(Sheath-Core Type) 복합섬유, 평량 20g/m2)
B: 스펀본드 부직포(폴리프로필렌섬유 1.7dtex, 평량 20g/m2)
C: 스펀본드-멜트 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평량 15g/m2, 1.7dtex의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평량 6.5g/m2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평량 2g/m2의 멜트 블로운, 1.7dtex의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평량 6.5g/m2의 스펀본드 부직포)
(2)표면시트
2.2dtex의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카드 적섬(積纖;fiber integration)해서 평량 20g/m2로 조정하고, 열풍결합해 얻어진 통기성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3)흡수체
펄프 250g/m2를 16g/m2의 티슈 페이퍼상에 적섬하여 절단하고, 이것을 또한 길이 140mm, 폭 100mm, 평량 16g/m2의 티슈 페이퍼로 감싸 길이 140mm, 폭 60mm의 직사각형으로 성형하였다.
(4)생리용 냅킨의 조립
표면시트의 이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4g/m2 도공하였다. 또한 샘방지시트의 수지필름측에 핫멜트 접착제를 7g/m2 도공하였다. 양시트간에 흡수체를 개재시켜 흡수체의 주위를 감싸도록 표면시트와 샘방지시트를 히트실링으로 봉지한다. 실(seal)부의 외측을 절단하여 길이 170mm, 폭 70mm의 생리용 냅킨을 구성하였다. 샘방지시트는 수지필름을 흡수체측을 향해 적층시켰다. 또한 조립에 사용한 핫멜트 접착제는 후술의 조성 D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범용의 핫멜트 코터를 사용해 180도로 가열한 핫멜트 접착제(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를 박리지(剝離紙)에 도포하고, 그 직후, 이 핫멜트 접착제를 제작한 생리용 냅킨의 샘방지시트상에 전사(轉寫)하였다. 다음으로 180도로 가열한 핫멜트 접착제(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2층)를 박리지에 도포하고, 그 직후, 상온이 된 상기 핫멜트 접착제(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상에 전사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적층구조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가지는 생리용 냅킨을 얻었다. 제1층 및 제2층은 박막 도공되어 있고, 도포량은 각각 25g/m2가 되도록 조정된다. 도포 사이즈는, 생리용 냅킨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길이 120mm, 폭 50mm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어긋남 방지 점착제에 대해서 각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제1층과 제2층의 조합을 표 2에 나타낸다.
조성 A 조성 B 조성 C 조성 D 조성 E
베이스폴리머 ①SBS블록
코폴리머
15 0 16 0 11
②SEBS블록
코폴리머
0 15 0 30 60
가소제
파라핀 오일 30 30 14 10 20
파라핀 왁스 0 0 25 0 9
점착부여제 수소첨가
섬유수지
55 55 45 60 0
삭제
①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②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조성 베이스
폴리머
배합비
(wt%)
연화점
(도)
점도
(cps/연화점)
점도
(cps/150도)
실시예 1
제1층 C SBS 16 90 25000 1100
제2층 A SBS 15 100 90000 3000
실시예 2
제1층 E SBS 11 88 4000 200
제2층 A SBS 15 100 90000 3000
실시예 3
제1층 D SEBS 30 95 200000 5500
제2층 B SEBS 15 105 40000 7000
비교예 1
제1층 A SBS 15 100 90000 3000
제2층 E SBS 11 88 4000 200
비교예 2
제1층 A SBS 15 100 90000 3000
제2층 A SBS 15 100 90000 3000
비교예 3
제1층 C SBS 16 90 25000 1100
제2층 C SBS 16 90 25000 1100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냅킨에 대해서 이하의 방법으로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접착제 잔재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접착제 잔재 평가>
롤러가압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앞에서 기술한 가압 시간경과 접착력과 마찬가지로 샘플을 준비하고, 동일한 가압방법(스테인리스판+1kg하중, 40도 80% RH 환경하 24시간)으로 가압을 행하였다. 40도 80% RH 환경하에서 샘플을 피착체(옥양목 1호)에서 약 500mm/min의 속도로 벗겨내었을 때, 점착제의 탈락이나 샘방지시트의 손상이 없는지, 육안 및 손의 감촉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마다 각 3회 실시하였다. 판정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피착제에 이행하지 않으면서 샘방지시트 및 피착체의 손상이 없다.
×: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섬유집합체로부터 전부 또는 일부가 벗겨져 피착체로 이행하였다. 또는 샘방지시트나 피착체가 손상되었다.
n=3
섬유집합체 A 섬유집합체 B 섬유집합체 C 종합평가
실시예 1 ○○○ ○○○ ○○○ OK
실시예 2 ○○○ ○○○ ○○○ OK
실시예 3 ○○○ ○○○ ○○○ OK
비교예 1 ××× ××× ××× NG
비교예 2 ○○○ ××× ××× NG
비교예 3 ××× ××× ××× NG
표 3의 측정결과에서 명백하듯이, 실시예 1~3은 샘방지시트의 섬유집합체를 여러가지로 변경한 어느 경우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에서는 모든 섬유집합체로부터 일부 또는 모든 점착제가 벗겨져 피착제에 이행하여 접착제 잔재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섬유집합체 A는 양호하였으나, 섬유집합체 B 및 C에서 접착제 잔재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3에서는 점착제는 층상태로 섬유집합체에 밀착되어 있었지만 층 내에서 벗겨져 피착체에 이행해 접착제 잔재가 발생하였다.
<실시예 4>
생리용 냅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하였다. 핫멜트 접착제(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2층)를 150도로 가열하고, 실시예 1의 코터에 의해 길이 13cm, 폭 5cm, 평량 30g/m2가 되도록 박리지의 위에 박막 도공하였다. 1분 이상 경과한 후, 160도로 가열한 핫멜트 접착제(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를 동일 형상, 동일 평량으로 제2층위에 박막 도공하여 적층구조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형성하였다. 1분 이상 경과한 후, 이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제1층이 샘방지시트측이 되도록 전사하여, 적층구조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가지는 생리용 냅킨을 얻었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에 있어서의 각 핫멜트 점착제의 조성을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제1층과 제2층의 조합을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핫멜트 접착제(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2층)를 160도로 가열하고, 길이 13cm, 폭 5cm, 평량 30g/m2가 되도록 박리지 위에 박막 도공하였다. 다음으로 150도로 가열한 핫멜트 접착제(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를 제2층과 동일 형상, 동일 평량으로 생리용 냅킨의 샘방지시트상에 박막 도공하였다. 1분 이상 경과하여 핫멜트 접착제(제1층)가 거의 상온이 된 후, 제1층상에 박리지에 도공한 제2층을 전사하여, 적층구조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가지는 생리용 냅킨을 얻었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에 있어서의 각 핫멜트 점착제의 조성을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제1층과 제2층의 조합을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표 5에 나타내는 조합으로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품의 생리용 냅킨을 얻었다. 또한 제1층의 핫멜트 접착제는 160도, 제2층의 핫멜트 접착제는 150도로 가열해서 도포하였다.
<비교예 5 및 6>
표 5에 나타내는 핫멜트 접착제를 150도로 가열하고,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코터에 의해 길이 13cm, 폭 5cm, 평량 30g/m2가 되도록 박리지 위에 박막 도공하였다. 1분 이상 경과한 후, 생리용 냅킨의 샘방지시트상에 전사하여, 단층의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가지는 생리용 냅킨을 얻었다.
조성 A 조성 F 조성 G
베이스폴리머

①SBS 블록 코폴리머 15 0 0
②SEBS 블록 코폴리머 0 50 0
③SIS 블록 코폴리머 0 0 60
가소제 파라핀 오일 30 20 20
파라핀 왁스 0 0 0
점착 부여제 수소첨가
석유수지
55 30 20
①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②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③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조성 베이스
폴리머
배합비
(wt%)
연화점
(도)
점도
(cps/연화점)
점도
(cps/150도)
실시예 4
제1층 F SEBS 50 80 4500 700
제2층 A SBS 15 100 90000 3000
실시예 5
제1층 G SIS 60 86 4200 450
제2층 A SBS 15 100 90000 3000
비교예 4
제1층 A SBS 15 100 90000 3000
제2층 F SEBS 50 80 4500 700
비교예 5 제1층 F SEBS 50 80 4500 700
비교예 6 제1층 A SBS 15 100 90000 3000
실시예 4와 5 및 비교예 4~6에서 사용한 핫멜트 접착제에 대해서 접착력의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접착력의 증가율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핫멜트 접착제를 폭 3cm×길이 15cm, 평량 30g/m2의 직사각형상으로 박막 도공(전체 도포)하였다. 앞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초기 접착력 및 시간경과 접착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으로부터 접착력의 증가율을 산출하였다.
초기 접착력
(cN)
가압 접착력
(cN)
증가율
(%)
실시예 4
제1층 220 890 405
제2층 180 320 178
실시예 5
제1층 205 760 371
제2층 180 320 178
비교예 4
제1층 180 320 178
제2층 220 890 405
비교예 5 제1층 220 890 405
비교예 6 제1층 180 320 178
실시예 4와 5 및 비교예 4~6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접착제 잔재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n=3
섬유집합체 A 섬유집합체 B 섬유집합체 C 종합평가
실시예 4 ○○○ ○○○ ○○○ OK
실시예 5 ○○○ ○○○ ○○○ OK
비교예 4 ××× ××× ××× NG
비교예 5 ××× ××× ××× NG
비교예 6 ××× ××× ○×× NG
삭제
표 7의 측정결과에서 명백하듯이, 실시예 4 및 5는 샘방지시트의 섬유집합체를 여러가지로 변경한 어느 경우에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해 비교예 4~6은 모든 섬유집합체에서 불량이었다. 비교예 4 및 5에서는, 피착체에 밀착된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피착체에 스며들어 박리가 어려워져, 억지로 벗기면 샘방지시트가 파손되어 접착제 잔재가 생겼다. 비교예 6에서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샘방지시트의 부직포에 스며들지 않아 어긋남 방지 점착제가 피착체측으로 이행하였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피부 비접촉면이 섬유집합체로 구성된 경우에도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하지 않고, 또한 반대로 흡수성 물품이 고정되는 의복이나 별도의 흡수성 물품측에 점착제가 이행하지 않는 소위 접착제 잔재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어긋남 방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부 비접촉면이 섬유집합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느낌이나 감촉, 또한 외관이 뛰어난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액체 유지성의 흡수층 및 액체 불투과성층을 구비하고, 피부 비접촉면에 어긋남 방지 점착제를 마련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피부 비접촉면은 섬유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되는 어긋남 방지 점착제는, 피부 비접촉면측의 제1층과 상기 제1층상에 적층된 제2층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제2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 유동성이 65000cps~86000cps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의 온도 저하에 따른 점도상승 기울기가 제2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올레핀을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베이스폴리머를 30~65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제2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가압하의 접착력의 증가율이 높으며,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증가율이 300~405%이고, 제2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증가율이 178%~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비접촉면은 상기 액체 불투과성층으로 구성되고, 액체 불투과성층은 부직포와 수지필름의 라미네이트시트(laminate sheet)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과 제2층의 접합면은 상기 피부 비접촉면보다도 외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 점착제의 제1층과 제2층은 같은 부분 및 같은 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50024127A 2004-03-23 2005-03-23 흡수성 물품 KR10113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5776 2004-03-23
JP2004085776 200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33A KR20060044633A (ko) 2006-05-16
KR101138081B1 true KR101138081B1 (ko) 2012-04-24

Family

ID=3504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127A KR101138081B1 (ko) 2004-03-23 2005-03-2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38081B1 (ko)
CN (1) CN100508930C (ko)
TW (1) TWI34718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595B1 (ko) 2018-08-06 2020-01-21 고세윤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체온 감응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00016092A (ko) 2018-08-06 2020-02-14 고세윤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피부 무자극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00020114A (ko) 2018-08-16 2020-02-26 고세윤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00109076A (ko) 2019-03-12 2020-09-22 고세윤 체온 감응형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3067A (zh) * 2015-05-13 2017-01-04 叶正瑜 一种安全乳垫
WO2019107238A1 (ja) * 2017-11-28 2019-06-06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6692954B2 (ja) * 2018-06-01 2020-05-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72830B2 (ja) * 2019-03-11 2023-05-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折り畳まれた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個包装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660A (ja) 1996-04-12 1998-03-17 Natl Starch & Chem Investment Holding Corp 使い捨て製品
JP2831663B2 (ja) * 1988-09-22 1998-12-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0140016A (ja) 1998-11-12 2000-05-23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2355266A (ja) 2001-06-04 2002-12-10 Daio Paper Corp 挿入式使い捨て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2529B1 (en) * 1997-11-12 2002-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tegrated long absorbent article having stepped panty fastening adhesive
EP0923921A1 (en) * 1997-12-20 1999-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onstruction adhesives applied at differing adhesive zones
JP3851737B2 (ja) * 1999-01-21 2006-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2002078733A (ja) * 2000-06-28 2002-03-19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1663B2 (ja) * 1988-09-22 1998-12-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H1071660A (ja) 1996-04-12 1998-03-17 Natl Starch & Chem Investment Holding Corp 使い捨て製品
JP2000140016A (ja) 1998-11-12 2000-05-23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2355266A (ja) 2001-06-04 2002-12-10 Daio Paper Corp 挿入式使い捨て吸収性物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595B1 (ko) 2018-08-06 2020-01-21 고세윤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체온 감응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00016092A (ko) 2018-08-06 2020-02-14 고세윤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피부 무자극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00020114A (ko) 2018-08-16 2020-02-26 고세윤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00109076A (ko) 2019-03-12 2020-09-22 고세윤 체온 감응형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7181B (en) 2011-08-21
TW200608942A (en) 2006-03-16
CN100508930C (zh) 2009-07-08
CN1672670A (zh) 2005-09-28
KR20060044633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081B1 (ko) 흡수성 물품
EP0621082B1 (en) Application of adhesive to a non-planar surface
FI97274B (fi) Imukykyinen rakenneyksikkö
US4059114A (en) Garment shield
AU2016256710B2 (en) Disposable absorbent pad
JP6222886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65037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533653B2 (ja) 吸収性物品
JP4990003B2 (ja) 吸収性物品
KR101730193B1 (ko) 피포장 흡수성 물품
KR100657831B1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JP4619159B2 (ja) 吸収性物品
TWM269875U (en) Lining of underpants
ES2464144T3 (es) Artículo absorbente estampado
KR101108909B1 (ko) 흡수성 물품
JP4925812B2 (ja) 吸収性物品
JP4986544B2 (ja) 吸収性物品
US6797365B2 (en) Laminate having differential bond strengths and absorbent article made therefrom
EP4129254A1 (en)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JP7090542B2 (ja) 吸収性物品
JP2878700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