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807B1 -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 Google Patents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807B1
KR101137807B1 KR1020100053516A KR20100053516A KR101137807B1 KR 101137807 B1 KR101137807 B1 KR 101137807B1 KR 1020100053516 A KR1020100053516 A KR 1020100053516A KR 20100053516 A KR20100053516 A KR 20100053516A KR 101137807 B1 KR101137807 B1 KR 10113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outer ring
driving performance
fram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871A (ko
Inventor
목동엽
이학명
유철승
허성욱
Original Assignee
(주)자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이로 filed Critical (주)자이로
Priority to KR102010005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8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3Wheel h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의 외측에 타이어가 결합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이 끼워지는 내부링이 다수의 연결편에 의해 외부링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은 비스듬한 각도로 상기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을 연결시키게 되고 이웃하는 상기 연결편들은 상호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을 이루게 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충격흡수가 뛰어나고 주행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Inline-skate wheel for improvement driv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익스트림 스포츠로 각광을 받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바퀴에 관한 기술이다.
노면이 고른 도로, 운동장, 공원 산책로, 전용트랙뿐 아니라 실내 체육관 등에서도 탈 수 있기 때문에 인라인 스케이트는 짧은 기간에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으며 누구라도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고 안전장구를 갖추면 큰 위험도 없는 바 더욱 대중화되고 있다.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형 신발에 다수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상당히 고속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바퀴가 직접 지면과 접촉되면서 빠르게 구름 동작되기 때문에 바퀴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부위가 된다. 그리고 인라인 스케이트에는 특별한 충격 완충장치가 없기 때문에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은 주로 바퀴에 의해 완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를 이루는 타이어는 내마모성이 좋으면서도 완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게 된다.
이하, 기존에 알려진 종래기술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첨부되는 도 1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56800호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의 바퀴살구조"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개비 구조와 같은 바퀴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바퀴살들이 바퀴통(10)과 바퀴테(20)를 동일한 위치로 연결되되 단지 측면 형상이 기울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충분한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56800호(2004년 7월 9일)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579149호(2006년 5월 4일)
본 발명에서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로 전달하는 충격이 보다 확실하게 완화될 수 있으며, 바람에 의한 주행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를 이루는 타이어가 프레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퀴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더라도 접지력이 감소되지 않아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특한 프레임 구조로 반발탄성을 높여 힘 전달이 보다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고속주행에 적합하도록 하는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내부링이 다수의 연결편에 의해 외부링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상기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을 연결시키게 되고 이웃하는 상기 연결편들은 상호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을 이루게 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내부링의 외면과 상기 외부링의 내면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편은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내부링의 외면 일측 단부와 상기 외부링의 내면 타측 단부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링은 그 외주면에 좌우로 관통되는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외부링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액상 재료가 상기 연결홀을 채우면서 상기 타이어의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외부링의 외주면 중심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면서 상기 연결홀을 통해 좌우 연결되게 상기 외부링 외주면에 형성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감싸면서 상기 외부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는 충격흡수 기능이 우수하여 주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행시 바람에 의한 주행저항이 감소되어 고속주행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반발탄성이 좋아 힘의 전달이 원활하게 되며 접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56800호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의 바퀴살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의 사시도.
도 3은 프레임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프레임에 대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프레임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는 크게 프레임(100)과 타이어(20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은 다시 내부링(110)과 외부링(120)이 다수의 연결편(130)을 통해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내부링(110)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상기 외부링(120)의 외주면에 타이어(200)가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편(130)들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각도로 상기 내부링(110)과 외부링(120)을 연결시키게 되며, 이웃하는 연결편(130)들은 상호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을 형성하면서 프레임(100)을 이루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편(130)들은 서로 이격거리를 두면서 엑스자 형태로 교차되어 상기 내부링(110)과 외부링(120)에 결합이 되며, 상기 연결편(130)들은 판상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한다. 물론 상기 프레임(100) 자체는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편(130)들은 상기 내부링(110)의 외면과 외부링(120)의 내면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며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부채꼴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30)들은 내부링(110)의 외면 일측 단부와 외부링(120)의 내면 타측 단부를 연결시키게 됨으로써 이웃하는 연결편(130)들은 서로 엇갈린 형태가 된다.
예를 들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연결편(130)은 내부링(110)의 외주면 우측단부와 외부링(120)의 내주면 좌측단부를 연결시키도록 기울어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연결편(130)과 이웃하는 다른 연결편(130)은 반대로 내부링(110)의 외주면 좌측단부와 외부링(120)의 내주면 우측단부를 연결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면, 연결편들(130)은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은 그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의 회전시 제1연결편 하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2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제1연결편의 하부를 지나며, 프레임(100)의 회전시 제1연결편 상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2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제1연결편의 상부를 지나며, 프레임(100)의 회전시 제2연결편 하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1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제2연결편의 하부를 지나며, 프레임(100)의 회전시 제2연결편 상부에 위치한 공기는 제1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제2연결편의 상부를 지나도록 제1연결편 및 제2연결편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는 내부링(110)과 외부링(120)을 연결하는 연결편(130)들이 상호 엑스자 형태로 교차되면서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링(110)과 외부링(120) 사이에 넓은 빈 공간을 가지게 되어 연결편(130)의 상하부 각각에 위치한 공기들은 프레임(100)의 회전시에도 거의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어 주행저항을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100)의 독특한 구조로 인해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연결편(130)들이 고르게 하중을 분담하면서 변형되었다가 복원이 되기 때문에 충격흡수가 보다 원활해질 수 있고 반발탄성이 좋아 주행시 발로 미는 동작시의 힘의 전달이 향상되어 고속주행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을 이루는 외부링(120)의 외주면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다수의 연결홀(125)들이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링(120)의 외주면은 중심부의 평탄부(121)와 상기 평탄부(121)를 기준으로 좌우로 형성되는 슬로프면(1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와 어느 일측 슬로프면(122)과의 경계부에는 보다 높게 돌출된 돌출턱(12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123)은 후술할 코어의 설치시 위치를 잡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100)의 최외곽부인 상기 외부링(120)의 외주면에 타이어(200)가 결합되는데 상기 타이어(200)는 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링(1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연결홀(125)을 통해 타이어(200)가 좌우로 연결되도록 성형되기 때문에 결합강도가 향상되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통상 상기 타이어(200)를 프레임(100)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프레임(100)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액상의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하여 일체가 되게 성형하게 된다. 타이어(200)를 이루는 합성수지로는 대표적으로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액상의 우레탄을 금형에 주입하게 되면 우레탄이 연결홀(125)을 채우면서 프레임(100)의 외곽부를 감싸게 된다.
본 발명의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어(200)는 코어(210), 중간층(220), 표면층(230)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210), 중간층(220) 및 표면층(230)은 각기 그 재질을 달리하는 것으로 하여 반발탄성과 충격흡수가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코어(210)는 외부링(120)의 외주면 중심부를 감싸는 링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외부링(120) 외주면에 마련되는 돌출턱(123)에 맞닿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간층(220)은 코어(210)를 감싸면서 연결홀(125)을 통해 좌우 연결되게 외부링(120)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층(220)은 상기 연결홀(125)을 통해 좌우측이 서로 구속되기 때문에 상기 코어(210)를 확고히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기 중간층(220)을 감싸면서 타이어(200)의 외곽부를 이루는 표면층(230)은 지면과 직접 접촉되는 특성상 내마모성이 뛰어난 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210)는 다소 경도가 높은 소재로 제작하며 상기 중간층(220)은 탄성이 좋은 소재로 함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의 타이어(200)는 필요에 따라 여러 겹 형태로 상이한 재질을 갖는 소재로 구성할 수 있고 중간층(220)은 상기 연결홀(125)을 통해 좌우 연결되면서 결합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는 프레임(100) 자체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충격흡수나 주행성능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점이 많고 더불어 타이어(200)의 결합방식 및 다층 구조로 인해 더 나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바퀴로 제공될 수 있다.
100 : 프레임 110 : 내부링
120 : 외부링 121 : 평탄부
122 : 슬로프면 123 : 돌출턱
125 : 연결홀 130 : 연결편
200 : 타이어 210 : 코어
220 : 중간층 230 : 표면층

Claims (6)

  1. 프레임의 외측에 타이어가 결합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에 있어서,
    회전축이 끼워지는 내부링이 다수의 연결편에 의해 외부링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상기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을 연결시키게 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편들은 상호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이격되면서 엇갈리는 방향을 이루게 되며,
    상기 연결편들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으로 구분되며,
    상기 프레임의 회전시 상기 제1연결편 하부에 위치한 공기는 상기 제2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상기 제1연결편의 하부를 지나며, 상기 프레임의 회전시 상기 제1연결편 상부에 위치한 공기는 상기 제2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상기 제1연결편의 상부를 지나며, 상기 프레임의 회전시 상기 제2연결편 하부에 위치한 공기는 상기 제1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상기 제2연결편의 하부를 지나며, 상기 프레임의 회전시 상기 제2연결편 상부에 위치한 공기는 상기 제1연결편의 상부 및 하부를 지난 후 상기 제2연결편의 상부를 지나도록 상기 제1연결편 및 상기 제2연결편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내부링의 외면과 상기 외부링의 내면을 연결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내부링의 외면 일측 단부와 상기 외부링의 내면 타측 단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링은,
    그 외주면에 좌우로 관통되는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외부링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액상 재료가 상기 연결홀을 채우면서 상기 타이어의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외부링의 외주면 중심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면서 상기 연결홀을 통해 좌우 연결되게 상기 외부링 외주면에 형성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감싸면서 상기 외부링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KR1020100053516A 2010-06-07 2010-06-07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KR101137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16A KR101137807B1 (ko) 2010-06-07 2010-06-07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16A KR101137807B1 (ko) 2010-06-07 2010-06-07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871A KR20110133871A (ko) 2011-12-14
KR101137807B1 true KR101137807B1 (ko) 2012-06-22

Family

ID=4550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16A KR101137807B1 (ko) 2010-06-07 2010-06-07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799B1 (ko) * 2013-08-09 2015-05-04 서진영 이종 재질이 삽입된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99U (ko) 2016-10-20 2018-04-30 (주)자이로 탄성용 링이 적용된 슬라럼 및 fsk용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083A (ja) * 1997-12-30 2002-01-08 デザイン・サイエンス・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スケートボード
KR200336023Y1 (ko) * 2003-09-04 2003-12-11 강명도 다중층 휠
KR200337934Y1 (ko) * 2003-08-11 2004-01-13 조승필 프로펠러형 인라인 휠
KR200367441Y1 (ko) * 2004-05-28 2004-11-10 송종규 인라인 스케이트의 완충 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083A (ja) * 1997-12-30 2002-01-08 デザイン・サイエンス・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スケートボード
KR200337934Y1 (ko) * 2003-08-11 2004-01-13 조승필 프로펠러형 인라인 휠
KR200336023Y1 (ko) * 2003-09-04 2003-12-11 강명도 다중층 휠
KR200367441Y1 (ko) * 2004-05-28 2004-11-10 송종규 인라인 스케이트의 완충 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799B1 (ko) * 2013-08-09 2015-05-04 서진영 이종 재질이 삽입된 휠
CN105555371A (zh) * 2013-08-09 2016-05-04 徐真英 插入了异质材料的轮子
CN105555371B (zh) * 2013-08-09 2018-04-24 徐真英 插入了异质材料的轮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871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807B1 (ko)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FI111689B (fi) Hockeymaila
JP2003062123A (ja)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6076354B2 (ja) タクローボール用側方帯材及びタクローボール
RU2472558C1 (ru) Ракетка для настольного тенниса
US6866344B2 (en) Wheel for in-line skates
CA2278980C (en) In line/street hockey puck and method of assembly
CN102817301A (zh) 高弹性人造草坪
KR20130115720A (ko)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CN203748746U (zh) 一种运动鞋
KR20190012332A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CN206933511U (zh) 一种防滑鞋底
KR20060028452A (ko) 스케이트 보드
JP2010234865A (ja) ソリッドタイヤ
ATE512701T1 (de) Ballschläger
CN108497620B (zh) 一种多功能仿生足球鞋底
WO2013141087A1 (ja) ゴムクローラ
CN220257119U (zh) 一种超耐磨高速发球机击球轮胎
KR200378763Y1 (ko) 인라인 롤러 스케이트용 휠
KR20140142932A (ko) 슬라럼용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
US20180028875A1 (en) Tennis Racket Side Frame Stings or Diamond Shape Frame, for More Ball Spins and for Reduce Errors.
KR20180001199U (ko) 탄성용 링이 적용된 슬라럼 및 fsk용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
KR200414590Y1 (ko) 인라인 스케이팅용 바퀴
KR200378765Y1 (ko) 인라인 롤러 스케이트용 휠
CN102151402B (zh) 一种旱冰鞋滑轮轮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