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125B1 -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 Google Patents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125B1
KR101136125B1 KR1020040093158A KR20040093158A KR101136125B1 KR 101136125 B1 KR101136125 B1 KR 101136125B1 KR 1020040093158 A KR1020040093158 A KR 1020040093158A KR 20040093158 A KR20040093158 A KR 20040093158A KR 101136125 B1 KR101136125 B1 KR 10113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ver
soft
photo
plate
photo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558A (ko
Inventor
조휘택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04009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1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10Files with adhesive strips for mounting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2Covers or strips provided with adhesive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사진이 인화된 사진인화지를 소프트커버 및 소프트커버와 소정영역에서 접착되는 하드커버를 이용하여 직접 제본함으로써 인화된 디지털사진의 보관과 이동 및 분리가 용이한 사진책과 사진책 제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책, 사진인화지, 디지털 사진, 제본

Description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Photo Book and Method for Bin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진책을 펼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에서 인화지묶음과 소프트커버의 접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하드커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사진인화지 정면도.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평면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사진인화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하드커버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 제본방법의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인화지묶음 110 - 사진인화지
120 - 접착천 200 - 소프트커버
300 - 하드커버 310 - 하드커버전판
320 - 하드커버후판 330 - 중앙연결판
본 발명은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사진이 인화된 사진인화지를 소프트커버 및 소프트커버와 소정영역에서 접착되는 하드커버를 이용하여 직접 제본함으로써 인화된 디지털사진의 보관과 이동 및 분리가 용이한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디지털 사진기의 보급이 확대되어 디지털사진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증가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손쉽게 많은 양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사진기는 기존의 아날로그 사진기와는 달리 별도의 필름이 필요치 않으므로 사용자는 사진을 많이 찍는데 거부감이 없게 되었으며, 여행 등 행사시에는 수 십장에서 수 백장씩 사진을 찍게 된다. 또한, 종전과는 달리 사용자들은 일상에서 자신이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하여 수시로 사진을 찍어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가 사진을 찍는 횟수와 수량이 증가되고 사진의 수량이 많아짐에 따라 사진을 보관하는데 불편함이 많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사진기의 사용자는 일단 사진을 찍은 뒤에는 자신의 컴퓨터 또는 CD에 사진을 보관하거나 인화하여 사진으로 보유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자신이 찍은 사진을 일단 컴퓨터에 보관하게 되면 후에 다시 감상하지 않는 경우가 많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찍은 사진을 인화하더라도 사진의 수량이 많은 관계로 사진을 묶어 두거나, 일부 선별하여 앨범 에 보관하게 된다. 사용자가 사진을 묶어 두는 경우에는 후에 사진을 다시 찾아보기 어렵게 되며 관리상 어려움이 있어 소실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앨범에 보관하는 경우에도 많은 앨범이 소요되어 별도로 앨범을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특정 행사에 관련된 사진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전체 앨범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사진을 다른 사람에게 주거나 제출해야 하는 경우 앨범에서 사진을 분리하여야 하는 바, 접착식 앨범의 경우에는 사진을 분리하기 번거로우며 사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사진을 포켓식 앨범에 보관하는 경우는 사진이 빠지거나 하여 분실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제본된 책은 하드커버를 사용한 하드커버 책과 소프트커버를 사용한 소프트커버 책으로 구분되며 책의 페이지 수와 책의 성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책의 내지가 사진인화지와 같이 두꺼운 경우에 하드커버 책의 형식으로 제본하게 되면, 하드커버에 내지가 완전히 접착되어 결합되므로 책을 완전히 펼치기 어려우며, 책의 내지를 분리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책의 내지가 사진인화지와 같이 두꺼운 경우에 소프트커버 책의 형식으로 제본하게 되면, 책의 내지가 접착된 소프트커버의 접착부위가 쉽게 손상되어 책의 내지가 쉽게 분리되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디지털사진이 인화된 사진인화지를 소프트커버 및 소프트커버와 소정영역에서 접착되는 하드커버를 이용하 여 직접 제본함으로써 인화된 디지털사진의 보관과 이동 및 분리가 용이한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진책 제본방법은 소정 수량의 사진인화지가 적층된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사진인화지의 일측단을 서로 접착하는 사진인화지 접착단계와 상기 인화지묶음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면에 소정 크기의 접착천을 접착시키는 접착천 접착단계와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및 중앙면을 구비하여 상기 인화지묶음의 전면과 후면 및 일측면을 감싸는 소프트커버의 상기 중앙면을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접착하는 소프트커버 접착단계와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및 중앙연결판을 구비하여 상기 소프트커버를 감싸는 하드커버의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을 각각 상기 소프트커버의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에 접착하는 하드커버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진인화지 접착단계는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인화지 접착단계는 상기 소프트커버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재단하는 재단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드커버 접착단계는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하드커버후판이 상기 중앙면의 양측단으로부터 소정 폭 영역에서 상기 소프트전면 및 소프트후면과 접착되지 않으며,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이 상기 인화지묶음과 90도를 이루도록 사진책을 펼쳤을 때 상기 소프트커버의 소프트전면과 소프트 후면 및 중앙면이 거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진책은 소정 수량의 사진인화지가 적층되고 일측면에 접착제와 접착천이 접착된 인화지묶음과 적어도 상기 사진인화지의 크기로 형성되는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및 상기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사이에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면에 접착되는 중앙면을 구비하는 소프트커버 및 적어도 사진인화지의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에 접착되는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및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을 연결하는 중앙연결판을 구비하는 하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화지묶음은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스크래치가 형성된 후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진인화지는 적어도 일면에 상기 사진인화지의 타측면 쪽으로 치우쳐 디지털사진이 인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인화지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디지털사진이 인화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진인화지의 일측과 디지털사진의 일측과의 거리가 상기 수직중심선과 디지털사진의 타측과의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드커버의 중앙연결판은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보다 얇은 종이에 의하여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상기 하드커버후판의 폭 방향으로 소정부분에 걸쳐서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의 양면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커버의 중앙연결판은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보다 얇은 종이에 의하여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외면 전체 및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의 외측단으로부터 내면의 소정 폭에 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사이에서 상기 중앙연결판에 접착되는 보강판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하드커버후판은 상기 소프트커버의 중앙면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소프트전면 및 소프트후면의 소정 폭 영역에서 상기 소프트전면 및 소프트후면과 접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이 상기 인화지묶음과 90도를 이루도록 사진책을 펼쳤을 때 상기 소프트커버의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및 중앙면이 거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하드커버후판은 상기 소프트전면 또는 소프트후면 폭의 5% 내지 50%의 영역에서 접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과 사진책의 제본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사진책을 펼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에서 인화지묶음과 소프트커버의 접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하드커버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사진인화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평면 확대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사진인화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 른 사진책의 하드커버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 제본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 확대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인화지묶음(100)과 소프트커버(200) 및 하드커버(300)를 포함하며, 소정 수량의 디지털사진이 인화된 사진인화지(110)가 직접 제본되어 사진책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인화지묶음(100)은, 도 3을 참조하면, 사진인화지(110)와 접착천(120)을 포함하며, 소정 크기의 사진인화지(110)가 소정 수량으로 적층되고 사진인화지(110)의 일측면(100a)이 접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는 소정간격으로 스크래치(100b)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접착제가 소정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치(100b)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서 접착제와 사진인화지(110)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사진인화지(110) 간의 접착력이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사진인화지(110)는,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사진(110a)이 직접 인화되는 일반적인 사진용 인화지로서, 일반적인 책 또는 화보집에 사용되는 내지보다 두께가 두껍게 된다. 여기서 디지털사진(110a)은 디지털 사진기에 의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촬영된 사진 또는 사진인화지에 인화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사진인화지(110)는 적어도 일면에 디지털사진(110a)이 인화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사 진(110a)이 상기 스크래치홈(110b)이 형성된 일측단(110c)과 반대 방향인 타측단으로 치우쳐 인화된다. 즉, 상기 사진인화지(110)는 일측단(110c)과 상기 디지털사진(110a)과의 여백이 타측단과 디지털사진(110a)사이의 여백보다 크게 되도록 인화된다. 따라서, 상기 사진인화지(110)가 소정 수량 적층되어 형성된 인화지묶음(100)에서 상기 사진인화지(110)에 인화된 디지털사진(110a)을 보는 것이 더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접착천(120)은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상기 인화지묶음(100)에서 사진인화지(110)간의 접착력 및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천(120)은 바람직하게는 실의 직조과정에 관통홀이 다수 형성되는 일반적인 천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즈가 사용된다. 상기 접착천(120)이 상기 인화지묶음(100)에 접착된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천(120)위에 다시 한번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인화지묶음(100)에 접착되는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인화지묶음(100)은 다수의 상기 사진인화지(110)가 접착된 후에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10)을 제외한 3면이 재단되어 각 측면이 균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화지묶음(100)은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10)을 제외한 3면이 재단되어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각 측면이 거의 균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프트커버(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 (200b) 및 중앙면(200c)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 및 중앙면(200c)이 하나의 종이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커버(200)는 소정두께의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인화지묶음(100)을 상기 하드커버(3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소정 강도를 갖도록 적정한 두께의 종이로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재질은 상기 사진인화지(110)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화지 또는 마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은 그 폭이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이 접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의 폭은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사진인화지(110)의 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은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은 각각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상기 인화지묶음(100)보다 너무 작게 형성되면 상기 인화지묶음(100)을 상기 하드커버(300)에 결합시키는 결합력이 작아져 사진책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사진책의 미관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소프트커버(200)는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은 각각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커버(200)는 상기 중앙면(200c)의 내면에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 (100a)이 접착되어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으로부터 전면과 후면을 감싸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면(200c)의 내면은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상기 중앙면(200c)을 기준으로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이 소정각도 절곡될 때 내측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하편,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재단은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상기 인화지묶음(100)에 접착된 후에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드커버(300)는,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 및 중앙연결판(330)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진책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드커버(300)위에 상기 하드커버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비닐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커버와 비닐커버 사이에는 책표지가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표지로는 상기 사진인화지와 동일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은 상기 소프트커버(200)보다 두꺼운 종이로 형성되며, 일반적인 책의 하드커버용으로 사용되는 두꺼운 종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은 그 폭과 높이가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폭과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연결판(330)은 상기 하드커버전판(310)보다 얇은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에 각각 양측이 소정 폭으로 접착되어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을 연결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 하면, 상기 중앙연결판(330)은 일측이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소정 폭 겹치도록 접착되며, 타측이 상기 하드커버후판(320)과 소정 폭 겹치도록 접착된다. 이때, 상기 중앙연결판(33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의 양면에서 소정 폭에 걸쳐 접착되어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사진책의 사용 중 손상되지 않도록 일정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소정 폭은 상기 중앙연결판(330)과 하드커버전판(310) 또는 하드커버후판(320)이 사진책의 사용 중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결합력을 갖도록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폭의 10%이상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중앙연결판(330)은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사이의 폭(a)이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의 폭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을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연결판(330)은 상기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사이에서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의 반대방향으로 호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폭이 두꺼운 경우에는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은 그 내면이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의 외면과 소정 영역에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의 내측단으로부터 소정 폭의 영역에서는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 면(200b)과 결합되지 않도록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의 내측단은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의 양측단 중에서 상기 중앙연결판(330) 방향에 위치하는 각 측단을 의미한다. 즉,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은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면(200b)의 소정 폭에서는 접착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이 접착되지 않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프트전면(200a) 또는 소프트후면(200b) 폭의 5% 내지 50%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의 접착되지 않는 영역이 상기 소프트전면(200a) 폭의 5%보다 작게 되면 사진책을 펼쳤을 때 사진책이 원활하게 펼쳐지지 않거나 상기 소프트커버(200)를 거의 수평으로 만드는 것이 어렵게 되며, 상기 소프트전면(200a) 폭의 50%보다 크게 되면 소프트커버(200)와 하드커버(300)의 접착면적이 작아져 접착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중앙연결판(330)의 내면은 상기 중앙면(200c)의 외면과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하드커버(300)와 소프트커버(200)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은 사진책을 완전히 펼쳤을 때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을 중심으로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면(200b)이 거의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소프트커버(200)와 결합된다. 즉,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이 상기 인화지묶음(100)과 90도를 이루도록 사진책을 펼쳤을 때,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 및 중앙면(200c)은 거의 평면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내면은 상기 하드커버(300)와 소프트커버(200)가 인화지묶음(100)과 결합하여 사진책으로 형성되었을 때 상기 인화지묶음(100)방향으로 위치되는 면을 의미하며, 외면은 그 반대 면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인화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인화지(150)는, 도 7을 참조하면, 사진인화지(150)의 수직중심선(X)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디지털사진(150a)이 인화되어 형성된다. 이때도 상기 사진인화지(150)의 일측(150c)과 디지털사진(150a)의 일측과의 거리가 상기 수직중심선(X)과 디지털사진(150a)의 타측과의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디지털사진(150a)이 상기 사진인화지(150)에 인화된다. 따라서, 상기 사진인화지(150)는 수직중심선(X)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혀져서 상기 인화지묶음(100)에 사용되며, 사진책은 내지의 양면에 디지털사진이 존재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진인화지를 한번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나, 다수 회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드커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하드커버(300a)는, 도 8을 참조하면, 하드커버전판(310a)과 하드커버후판(320a)과 중앙연결판(330a) 및 보강판(340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중앙연결판(330a)은 상기 하드커버전판(310a)과 하드커버후판(320a)의 외면과 전체적으로 접착되며, 내면에서는 상기 하드커버전판(310a)과 하드커버후판(320a)의 각 외측단으로부터 소정 폭으로 접착된다. 여기서, 외측단은 상기 하드커버전판(310a)과 하드커버후판(320a)이 상기 중앙연결판(330a)과 접착되었을 때 하드커버(300a)의 외곽테두리를 구성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중앙연결판(330a)이 상기 하드커버전판(310a)과 하드커버후판(320a)의 내면과 접착되는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드커버전판(310a)과 하드커버후판(320a)은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에 상응하는 폭으로 떨어져 접착된다. 또한, 상기 중앙연결판(330a)은,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하드커버전판(310a)과 하드커버후판(320a) 사이에서는 두께가 얇아 사진책의 형성시 외관 형상의 유지가 어렵고 강도가 약하게 되므로 별도의 보강판(340a)을 접착하여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판(340a)의 폭은 적어도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의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연결판(330a)과 접착되며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과는 접착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책의 제본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책의 제본방법은, 도 9를 참조하면, 사진인화지 접착단계(S10)와 접착천 접착단계(S20)와 소프트커버 접착단계(S30)와 하드커버 접착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책 제본방법의 상기 소프트커버 접착단계(S30)는 재단단계(S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진인화지 접착단계(S10)는 소정 수량의 상기 사진인화지(110)가 적층된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사진인화지(110)의 일측단(110c)을 접착하는 단계이다. 이때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을 면 방향에서 압착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사진인화지(110)의 면 쪽으로 접착제가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사진인화지 접착단계(S10)에서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 수평방향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하여 접착제와 사진인화지(110)의 일측단(110c)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인화지묶음(100)의 사진인화지(110)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천 접착단계(S20)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면(100a)에 소정 크기의 접착천(120)을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사진인화지(110)는 상기 접착천(120)에 의하여 보다 강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착천(120) 위에는 다시 한번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소프트커버 접착단계(S30)는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을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 접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중앙면(200c)과 상기 일측면(100a)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 따라서, 상기 소프트커버(200)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전면과 후면 및 일측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 상기 접착천(120)이 도포되고 그 위에 다시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상기 접착천(120)위에 접착하게 된다.
상기 재단단계(S35)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재단하는 균일하게 재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접착되기 전 또는 접착된 후에 실시된다. 상기 재단단계(S35)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접착되기 전에 실시된다. 상기 재단단계(S35)에서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각 측면이 균일하게 재단되어 거의 평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재단단계(S35)가 상기 소프트커버(200)가 부착된 후에 실시되면 상기 인화지묶음(100)과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해당 면의 끝단을 일정하게 재단하여 균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사진인화지 접착단계(S10)에서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사진인화지(110)가 각 끝단이 서로 일치하기 않거나, 상기 인화지묶음(100)과 소프트커버(200)의 끝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단을 통하여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드커버 접착단계(S40)는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을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면(200b)과 각각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은 그 내면이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의 외면에 각각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앙연결판(330)은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과 접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의 내측단으로부터 소정 폭의 영역에서는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면(200b)과 접착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은 상기 소프트커버의 상기 중앙면(200c)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면(200b)의 소정 폭에서는 접착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이 접착되지 않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프트전면(200a) 또는 소프트후면(200b) 폭의 5% 내지 50%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과 하드커버후판(320)이 상기 인화지묶음(100)과 90도를 이루도록 사진책을 펼쳤을 때,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과 소프트후면(200b) 및 중앙면(200c)은 거의 같은 평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하드커버(100)가 접착된 사진책의 외부에는 상기 하드커버(100)를 포함하는 사진책을 보호하고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서 별도의 비닐커버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커버와 비닐커버 사이에는 장식을 위한 표지가 끼워질 수 있으며, 이때는 상기 표지로는 상기 사진인화지와 동일한 재질 또는 사진인화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책은, 도 10을 참조하면, 소정 수량의 사진인 화지(110)가 적층되어 접착된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에 접착제와 접착천(120)이 접착되고, 그 위에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이 접착된다. 또한,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면(200b)에는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이 각각 접착된다.
상기 사진책은 상기 하드커버(300)의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이 상기 하드커버전판(310) 및 하드커버후판(320)의 내측단으로부터 소정 영역에서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소프트전면(200a) 및 소프트후면(200b)과 접착되지 않으므로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사진인화지(110)를 펼칠 때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과 상기 소프트커버(200)의 중앙면(200c)이 부드럽게 굴곡되며 사진인화지(110)의 일측단(110c)까지 완전히 펼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진인화지(110)는 소정 두께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접착천(120)을 통하여 상기 소프트커버(200)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화지묶음(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사진인화지(110)는 상기 인화지묶음(100)의 일측면(100a), 즉 상기 중앙면(200c)에 대하여 거의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접착천(120) 및 소프트커버(200)에 접착되므로 상기 사진인화지(110)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한 장씩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 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책에 의하면 사진이 인화된 사진인화지를 직접 책으로 형성함으로써 많은 사진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책의 내지가 사진인화지와 같이 두꺼운 종이로 구성됨에도 사진책을 완전히 펼쳐서 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사진인화지를 손상시키지 않고 한 장씩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인화지의 타측으로 사진을 치우치게 인화함으로써 사진인화지를 사진책으로 형성할 때 디지털사진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소정 수량의 사진인화지가 적층된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사진인화지의 일측단을 서로 접착하는 사진인화지 접착단계;
    상기 인화지묶음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면에 소정 크기의 접착천을 접착시키는 접착천 접착단계;
    적어도 상기 사진인화지의 크기로 형성되는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및 상기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사이에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중앙면을 구비하여 상기 인화지묶음의 전면과 후면 및 일측면을 감싸는 소프트커버의 상기 중앙면을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접착하는 소프트커버 접착단계; 및
    적어도 상기 사진인화지의 크기로 형성되는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및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을 연결하는 중앙연결판을 구비하여 상기 소프트커버를 감싸는 하드커버의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을 각각 상기 소프트커버의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에 접착하는 하드커버 접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드커버 접착단계는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하드커버후판이 상기 중앙면의 양측단으로부터 소정 폭 영역에서 상기 소프트전면 및 소프트후면과 접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화지 묶음의 상기 사진인화지를 펼칠 때 상기 사진인화지의 일측단까지 펼쳐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제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인화지 접착단계는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제본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커버 접착단계는
    상기 소프트커버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재단하는 재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제본방법.
  4. 삭제
  5. 소정 수량의 사진인화지가 적층되고 일측면에 접착제와 접착천이 접착된 인화지묶음;
    적어도 상기 사진인화지의 크기로 형성되는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및 상기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 사이에 적어도 상기 인화지묶음의 일측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면에 접착되는 중앙면을 구비하는 소프트커버; 및
    적어도 사진인화지의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소프트전면과 소프트후면에 접착되는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및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을 연결하는 중앙연결판을 구비하는 하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하드커버후판는 상기 소프트커버의 중앙면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소프트전면 및 소프트후면의 소정 폭 영역에서 상기 소프트전면 및 소프트후면과 접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화지 묶음의 상기 사진인화지를 펼칠 때 상기 사진인화지의 일측단까지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지묶음은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스크래치가 형성된 후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인화지는 적어도 일면에 상기 사진인화지의 타측면 쪽으로 치우쳐 디지털사진이 인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인화지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디지털사진이 인화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진인화지의 일측과 디지털사진의 일측과의 거리가 상기 수직중심선과 디지털사진의 타측과의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커버의 중앙연결판은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보다 얇은 종이에 의하여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상기 하드커버후판의 폭 방향으로 소정부분에 걸쳐서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의 양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커버의 중앙연결판은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보다 얇은 종이에 의하여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외면 전체 및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의 외측단으로부터 내면의 소정 폭에 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드커버전판과 하드커버후판 사이에서 상기 중앙연결판에 접착되는 보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11. 삭제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커버전판 및 하드커버후판은 상기 소프트전면 또는 소프트후면 폭의 5% 내지 50%의 영역에서 접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책.
KR1020040093158A 2004-11-15 2004-11-15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KR10113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58A KR101136125B1 (ko) 2004-11-15 2004-11-15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58A KR101136125B1 (ko) 2004-11-15 2004-11-15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281U Division KR200374357Y1 (ko) 2004-11-15 2004-11-15 사진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58A KR20060054558A (ko) 2006-05-23
KR101136125B1 true KR101136125B1 (ko) 2012-05-22

Family

ID=3715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158A KR101136125B1 (ko) 2004-11-15 2004-11-15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4Y1 (ko) 2013-10-16 2015-04-07 이주현 앨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365A (ko) * 1991-12-30 1993-07-20 박상부 초음파 용착장치를 이용한 앨범대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960020760U (ko) * 1994-12-30 1996-07-18 서석홍 측면접착부와 두께보강부가 접착된 양장앨범
JPH08282149A (ja) * 1995-04-17 1996-10-29 Toppan Printing Co Ltd
JP2003170675A (ja) * 2001-12-04 2003-06-17 Aoba Insatsu Kk 製本キ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365A (ko) * 1991-12-30 1993-07-20 박상부 초음파 용착장치를 이용한 앨범대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960020760U (ko) * 1994-12-30 1996-07-18 서석홍 측면접착부와 두께보강부가 접착된 양장앨범
JPH08282149A (ja) * 1995-04-17 1996-10-29 Toppan Printing Co Ltd
JP2003170675A (ja) * 2001-12-04 2003-06-17 Aoba Insatsu Kk 製本キ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4Y1 (ko) 2013-10-16 2015-04-07 이주현 앨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58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6750A1 (en) Method of creating booklet cover and booklet cover kit
JP4532538B2 (ja) 表紙部材作製用の表紙芯材体及び表紙部材作製用キット
JP2006315376A (ja) 写真アルバム及びその製作方法
JP2006315376A5 (ko)
KR101136125B1 (ko) 사진책 및 사진책 제본방법
KR200382723Y1 (ko) 스프링 사진책
KR200374357Y1 (ko) 사진책
KR101184225B1 (ko) 사진책
JP2006043967A (ja) アルバム
US4253258A (en) Photo album for instant photos
KR200391227Y1 (ko) 사진 부착을 위한 앨범 쉬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책자형앨범
JP3104521U (ja) 紙葉片収容冊子
KR200367771Y1 (ko) 사진 앨범
JP2011104944A (ja) フォトブックの製作方法及びフォトブック
JP3214125U (ja) スペーサを備えた冊子
JP2769402B2 (ja) 写真集の製造方法
IL188445A (en) Loose leaf pages suitable for binding, method for producing them, and articles containing them
JP3145840U (ja) アルバム
JPS6011396A (ja) アルバム台紙
KR200436267Y1 (ko) 앨범,명함집,다이어리에 사용되는 점착 시트
JP3123620U (ja) オリジナル写真集作製用の製本キット
JP2705859B2 (ja) ブック型アルバム及びこれに用いる接合テープ
JP2005199685A (ja) オリジナル本作製用の製本キット
JP2899562B2 (ja) アルバム
JPS59220399A (ja) アルバ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