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760B1 - 평행 와이어 케이블 계류방법 - Google Patents

평행 와이어 케이블 계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760B1
KR101135760B1 KR1020057022994A KR20057022994A KR101135760B1 KR 101135760 B1 KR101135760 B1 KR 101135760B1 KR 1020057022994 A KR1020057022994 A KR 1020057022994A KR 20057022994 A KR20057022994 A KR 20057022994A KR 101135760 B1 KR101135760 B1 KR 10113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suspension
anchor block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768A (ko
Inventor
제로미 스트블레
마이크 맥클레나한
이비까 지바노빅
Original Assignee
프레이씨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이씨네 filed Critical 프레이씨네
Publication of KR2006005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이나 버팀줄 케이블과 같이 계류되는 구조 케이블(2)은 평행한 금속 와이어의 콤팩트한 다발로 제작된다. 케이블 와이어는 앵커 블록(13)에 인접한 케이블부에서 7-와이어 유닛(18)으로 분배되며, 그 7-와이어 유닛은 각각 앵커 블록에 계류된다.
현수교, 서스펜션 케이블, 계류장치, 버팀 케이블, 교량

Description

평행 와이어 케이블 계류방법{METHOD FOR ANCHORING PARALLEL WIRE CABLES}
본 발명은 교량과 같은 건설 공사에서 구조 케이블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수교와 케이블 지지 교량에 관한 것이다.
현수교에서, 데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에 부착되어 있는 행거를 통하여 지지된다. 각 서스펜션 케이블은 양단에 계류되며, 교량 길이를 따라 직립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 상에서 편차진다. 케이블 지지 교량에 있어서, 데크는 데크상에 설치된 탑과 계류장치 사이에 각각 쳐지는 소위, 버팀줄이라고 하는 케이블 세트에 의해 지지된다.
대부분의 현수교에 있어서,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은 통상 콤팩트한 형태로 나란하게 배열된 평행한 금속 와이어 다발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중심 와이어 주위에 6개 주변 와이어가 꼬여 있는 7-와이어 가닥으로 메인 서스펜션 와이어를 제작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EP-A-0 950 762 참조). 이와 같은 가닥은 그리스나 왁스와 같이 내식성물을 보다 많이 함유하는 플라스틱 피복에 의해 유효하게 감싸진다. 이러한 가닥류는 콘크리트에 보강용 케이블을 넣는데 이용하거나 또는 케이블 지지 건설에서 버팀줄을 형성하기 위해 빈번하게 이용된다(EP-A-0 323 285 참조).
케이블이 받는 견인력은 금속 와이어 자체에 의해 받게 된다. 케이블의 주어 진 하중 용량으로 인하여, 7-와이어 가닥의 사용은 전부 횡단면을 가지는 케이블이 평행 와이어의 콤팩트한 다발로 이루어진 케이블 보다 매우 크지게 한다. 기하학적으로, 꼬인 와이어 가닥은 평행 와이어들의 콤팩트한 다발보다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각각의 가닥 피복 또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한다.
메인 케이블이 보통 수천개의 와이어를 가지는 대형 현수교에서와 같이 케이블이 다수의 금속 와이어을 포함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너무 큰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평행 와이어들이 선호된다. 그것 역시 공지의 기술이다.
케이블 버팀 장치에 있어서, 하중은 소량의 와이어(통상 100 내지 1,000 와이어)를 각각 가지는 대량의 버팀줄 사이에 분배되며, 그것은 조립식 가닥의 사용을 더욱 실용적이게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특히 공기역학적인 이유로 인하여 버팀줄의 직경 최소화를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평행 와이어는 때때로 케이블 버팀 공사에 잘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평행 와이어 케이블의 단점은 그 계류장치의 크기이다. 통상, 다수의 스틸 와이어로 제작되는 대부분의 현수교상의 메인 케이블은 케이블 라인을 따르는 좁은 통로상에 배치되며, 앵커 블록에 결합되는 일련의 반원형 케이블 슈즈 주위에 고리걸림으로 계류된다. 각 케이블 슈즈는 통상 백개 이상의 와이어를 수용한다. 계류장치에서, 케이블 슈즈는 넓은 면적에 걸쳐 분포되며, 육중한 구조로 자체 계류된다. 더욱이, 계류장치에서 케이블 와이어의 부채꼴 분배는 케이블 긴장상태의 편차로부터의 큰 횡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지니는 대형 편차 새들 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 계류영역은 지상의 큰 기초 토대위에 놓여진다.
어떤 현수교는 "자체 계류"형으로서,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의 일단 또는 양단이 교량 데크상에 설치된 계류장치 수단에 의해 계류된다.
이러한 경우, 서스펜션 케이블에 의해 발휘되는 힘은 데크의 압력 및/또는 결속부재에 의해 데크에 연결되어 아래에 세워진 교각에 의해 소모된다. 이와 같은 적용에 있어서, 서스펜션 케이블용 계류장치의 크기가 많은 문제를 가지므로, 데크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곤란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데크와의 연결부에서 데크 하부에 루프를 형성하는 단일 케이블에 의해 1쌍의 서스펜션 케이블을 대체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루프장치는 다른 문제점들을 발생시킨다. 특히, 실현 가능하다면, 데크의 상부와 하부에 선택적으로 수백 미터의 경로를 따라 수천 와이어 각각을 서로 평행하게 두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더욱이, 후자의 어려움을 극복한다고 가정한다면, 케이블 루프가 데크의 하부와 주위를 지탱하기 위한 곡선 영역에 매우 커다란 마찰력이 유도된다. 그러한 마찰력은 행거의 부착과 신장 등으로 서스펜션 케이블에 작용하는 하중을 발생시킨다. 그것은 케이블 및/또는 데크에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데크의 하부와 상부 케이블에 의한 견인력 변화와 동일화하기 위해 데크의 저면에 추가적인 텐션 시스템이 요구되며, 이는 그 구조와 시공을 더욱 복잡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평행한 다발 배열의 다중 와이어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위하여 비교적 콤팩트한 계류장치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한 금속 와이어의 콤팩트한 다발을 포함하는 케이블 일단의 계류방법은 앵커 블록에 인접한 케이블부에 7-와이어 유닛의 케이블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분배하는 단계와, 앵커 블록에 7-와이어 유닛을 각각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7-와이어 그룹이 각각 계류되도록 형성되는 계류영역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은 버팀 케이블 또는 철선 보강 케이블 고정용으로 유효한 입증된 기술로 사용 가능하다. 7-와이어 유닛은 이후에 응용되는 것과 같이 꼬임줄이 아니며, 이후에 언급될 여러 특징은 유닛의 견고한 계류장치를 제공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앵커 블록은 일반적으로 지지 구조체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케이블 축에 정렬된다. 따라서 케이블은 축 편차와 7-와이어 유닛의 부채꼴 전개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계류장치에 근접하여 작게 유지될 수가 있다. 그 결과에 따른 계류장치는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7-와이어 유닛은 개별적으로 동일하게 계류되기 때문에, 전체 케이블 계류장치의 성능은 개별 유닛 고정장치의 성능과 비슷하다. 그러므로, 대형 현수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매우 대형의 평행 와이어용 계류장치에 이러한 유형의 게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방법은 또한 버팀 케이블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계류장치는 7-와이어 꼬임줄(예외적으로, 7-와이어 유닛은 꼬임줄이 아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버팀줄의 횡단면을 대폭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건설시공을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구조체에 매달리는 현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과, 지지 구조체에 연결된 케이블의 적어도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수단은 지지 구조체에 대향되게 지지되는 앵커 블록을 포함한다. 케이블은 평행한 금속 와이어의 콤팩트한 다발을 포함한다. 케이블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앵커 블록에 인접한 케이블부에서 7-와이어 유닛으로 분기된다. 상기 7-와이어 유닛은 앵커 블록에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수교에 관한 것으로서, 현수부를 형성하는 데크와, 적어도 하나의 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탑에서 편차지게 벗어나며 서스펜션 시스템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 케이블과, 데크와 서스펜션 케이블에 각각 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케이블 지주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현수부를 형성하는 데크와, 적어도 하나의 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탑과 데크 사이에 걸쳐지고 서스펜션 시스템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측면도와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수교의 III-III선을 따라 절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의 종단면도,
도 5는 7개 와이어 유닛 고정부 끝단을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절제하여 도시해 보인 고정 유닛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3에 따른 교량의 데크 고정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건설된 케이블 지지 교량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교량은 단일 탑(3)을 가지는 자체 고정형의 현수교로 건설된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면에서, 데크(1)는 데크의 중앙부에 위치한 수직면(P)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2)에 의해 지지된다(도 2). 각 서스펜션 케이블(2)은 탑(3)의 상부에 설치된 안장(4)에서 편차지게 벗어난다. 양끝단은 각각의 계류장치(5)에 의해 데크(1)에 고정된다. 탑(3)과 각 계류장치(5)의 사이에는, 행거 세트(6)가 상단에서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2)에 연결되며, 하단에서 데크(1)에 연결되어 있다. 행거(6)는 데크(1)의 하중을 메인 케이블(2)에 전달한다.
교각(7)은 메인 케이블의 계류장치(5)의 영역에서 데크(1)의 아래에 직립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케이블 또는 바아(8)는 각 교각(7)과 데크(1)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재(8)는 데크의 메인 케이블(2)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수직 분력을 받아 들이도록 설계된다.
데크(1)는 예컨대, 도 3에서 파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대들보 형태의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계류영역에서, 데크는 콘크리트 또는 스틸로 제작된 두개의 측면 확장부(10)를 구비하며, 각각 케이블 끝단의 계류장치(5)를 지지하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스틸 튜브(11)는 계류영역에서 메인 케이블(2)을 받아 들이기 위해 콘크리트 확장부(10)를 관통한다. 가이드 튜브(11)는 지지 구조체(10)의 콘크리트 몰딩시에 배치된다.
계류장치의 배면(도 3-4)에는, 가이드 튜브(11)가 앵커 블록(13)에 대향되게 베어링 플레이트(12)에 연결된다. 상기 블록(13)과 상기 플레이트(12)는 케이블의 하중을 상기 지지 구조체(10)에 전달한다.
메인 케이블(2)은 도 4의 좌측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한 금속 와이어(15)의 콤팩트한 다발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튜브(11)의 입구 근처에는, 콤팩트 칼라(16)가 케이블의 인출부에서 와이어를 통합시키도록 결속된다.
와이어(15)를 고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앵커 블록(13)은 케이블 인출부를 형성하는 콤팩트한 다발보다 큰 횡단면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 칼라(16)의 출구에서, 상기 와이어(15)는 7-와이어 유닛에 의해 그룹지워지며, 각 유닛은 상기 블록(13)에 구비된 각각의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오 리피스(19)는 상기 블록(13)의 내부에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오리피스는 7-와이어 유닛(18)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일반적인 원통형상을 가진다. 상기 블록의 배면에는, 상기 오리피스가 원추형 턱(20)의 외형과 들어맞는 원추형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테이퍼진다.
상기 턱(20)을 수용하는 앵커 블록(13)의 배면부에 서로 나란하게 도달하도록 7-와이어 유닛(18)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이격기(22)가 가이드 튜브(11)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이격기는 앵커 블록(13)의 오리피스(19)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통공을 구비한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통공은 앵커 블록(13)에서 불필요한 벤딩 모멘트를 피하기 위하여, 고정 오리피스(19)의 방향으로 정렬되어 7-와이어 유닛을 수용한다. 상기 이격기(22)의 통공은 7-와이어 유닛(18)을 스무드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케이블 인출부 끝단면에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앵커 블록(13)은 와이어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튜브의 전방에 적절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격기가 상기 블록의 전방부에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보다 두껍게 제작된다.
상기 콤팩트 칼라(16)와 이격기(22) 사이에서의 와이어 산개(散開)는 비교적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가 상기 이격기(22)와 앵커 블록(13)의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쳐지는 케이블부는 케이블(2)의 인출부로 형성되는 콤팩트 다발의 3배 미만의 가로 치수를 가진다.
대형 현수교에서, 메인 케이블(2)은 15,000 내지 20,000개 사이의 와이어 가 닥과 0.5m 내지 1m 사이의 전체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형 교량에 있어서, 앵커 블록(13)의 직경이 2m 이하로 작아질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2-3배 크기의 가로 치수를 가지며 케이블(2)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설계되지 않은 통상적인 계류장치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콤팩트한 것이다. 그와 같은 종류의 공사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10)는 통상적으로 가이드 튜브(11)가 상기 콤팩트 칼라(16)와 이격기(22)의 사이에서 7-와이어 유닛(18)의 굴절각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20m의 두께를 가진다.
도 5 및 6은 앵커 블록(13)내의 7-와이어 유닛(18)을 조여주는 원추형 턱(20)의 형상을 도시해 보인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턱은 일반적인 원추형상의 120ㅀ영역으로 각각 구분되는 3개의 쐐기편(21)으로 이루어진다. 3개의 쐐기편은 상기 턱의 넓은 끝단부 근처에 구비된 수평 그루브(23)에 삽입되는 금속링(22)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속된다. 턱은 상기 7-와이어 유닛(18)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 관통공(24)을 가진다. 주지된 바와 같이, 쐐기편(21)의 내면은 축공(24)에서 금속 와이어를 견고하게 결속하기 위하여 횡방향 주름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턱(20)은 보강 케이블 또는 버팀줄의 앵커 꼬임줄을 사용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 와이어(15)는 꼬임줄과 같은 나선형 피치는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 이유는 와이어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7-와이어 유닛(18)의 양호한 계류장치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턱(20)은 상기 7-와이어 유닛의 외주에 위치하는 각 와이어가 상기 쐐기편(21)의 어느 하나와 접촉하도록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은 분리된 두개의 인접한 쐐기편(21)의 틈새 간격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부재(25)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위치결정부재(25)는 각각 3개의 인접한 쐐기편(21) 사이의 틈새 간격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25)는 인접한 두 와이어(15) 사이의 통로에 수용되도록 축공(24)의 내부에 돌출되는 소형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안정되게 관통 수용되는 뾰족한 형상을 가지고, 두 인접한 쐐기편 사이의 틈새 간격은 상기 와이어의 어느 하나와도 접촉되지 않으므로, 각 와이어가 상기 쐐기편(21)의 어느 하나와만 접촉하도록 요구되는 특성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25)는 연성 플라스틱과 같은 압축재로 제작되며, 상기 쐐기편(21)을 결속하도록 앵커 오리피스(19)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유형의 위치결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단지 하나의 판상 위치결정부재(25)의 제공도 충분할 것이다. 또한, 앵커 블록의 오리피스 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부재를 배제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가령 쐐기 잭을 통하여 와이어 그룹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오리피스 입구에 끌어서 들어 맞는 잭으로 각 유닛(18)을 끌어당김으로써, 후자가 앵커 턱의 쐐기편(21)에 정렬된다.
더욱이, 각각의 앵커수단은 여러 다른 형태가 7-와이어 유닛(18)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2개, 3개, 4개...쐐기편을 가지는 턱, 버튼 헤드, 등).
7-와이어 그룹이 관통공에 클램핑될때, 그룹의 6개 외주 와이어가 중심 와이 어에 클램핑 작용의 전달이 없이 서로 대응하여 지지하게 된다(아치형 효과). 계류장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앵커 턱(20) 내에 보다 큰 횡단면의 중심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도 5와 6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상기 턱에 의해 조이는 상기 유닛(18)의 일부 및 그 건너편에서 중심 와이어의 주위에 슬리브(27)를 배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따라서 와이어는 유사한 조임 턱을 가지는 잭 수단에 의해 인장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7)는 와이어 직경의 약 10%의 벽두께를 가지는 금속재일 수 있다. 상기 슬리브(27)는 외곽 와이어에 가하는 횡방향 결속력에 의해 쐐기로 작용하는 동안의 자체 압력에 의해 주변 와이어의 휨을 방지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중심 와이어를 결속한다.
선택적으로, 메인 케이블(2)을 구성하기 위하여 두가지 유형의 와이어(15) 사용이 가능한데; 첫 번째 유형의 와이어는 예컨대 5.0mm 직경을 가지며, 두 번째 유형의 와이어는, 6배 더 작은 비율로, 예를 들어 5.1mm 직경을 가진다. 계류용 7-와이어 유닛(18)의 형성시, 중심 와이어는 두 번째 유형의 와이어로 선택되며, 6개의 주변 와이어는 첫 번째 유형의 와이어로 선택된다.
제안된 앵커방법의 또 다른 장점은 부식으로부터 금속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제습 시스템 제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케이블의 와이어(15)를 포함하는 단위 볼륨은 밀봉되며, 스틸 와이어와 빗물 또는 응축수간의 접촉을 방지하고 케이블 내부의 어떠한 습기라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볼륨의 내부에 건조한 공기가 들어가 순환된다.
상기 케이블 인출부의 씰링은 통상 기밀 포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와이어의 콤팩트한 다발 주위에 나선상으로 탄성중합체 스트립(29; 예, 네오프렌)을 랩핑(wrapping)하여 수행한다. 네오프렌(neoprene)의 랩핑전에, 어떤 물체가 케이블에 충돌할 때 와이어(15)를 기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에 가까운 금속 와이어가 케이블의 주위에 감겨질 수 있다. 계류장치 근방의 가이드 튜브(11)를 가지는 전이부에는, 네오프렌과 같은 탄성중합체 재질로 이루어진 씰링 고정구(30)가 케이블 주위에 구비되며, 네오프렌 랩핑(29)과 가이드 튜브(11)의 외벽에 밀봉적으로 연결된다. 앵커 블록(13)의 배면부에는, 기밀 덮개(31)가 상기 블록(13) 또는 베어링 플레이트(12)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31)는 금속와이어(15)가 수요된 케이블의 볼륨 내부에 건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3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건조 공기 제습 시스템은 와이어의 큰 부채꼴 전개와 편차 안장이 요구되는 기존 고정장치의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임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2)의 양끝단을 위한 계류시스템(5)의 지지 구조체(10)는 데크(1)에 속하는 가로 빔(35)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결속부재(8)는 상기 빔(35)과 교각(7)에 설치된다.
보강용 케이블은 상기 가로 빔(35)의 내부에 놓인다. 상기 보강 케이블은 데크의 횡방향, 빔(35)의 길이방향으로 걸쳐진다. 상기 보강 케이블은 데크 양측의 메인 케이블(2)과 결속부재(8)의 접속점 사이의 거리에 따른 지레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빔(35)에 의한 벤딩 모멘트의 변화를 보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안된 계류장치의 비교적 콤팩트한 배치구조는 결속부재(8)의 결합이 실질적으로 계류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한 모멘트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강 필요성이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가로 빔(35)에 구비된 보강용 케이블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치(5)의 시설 보강에 적절한 배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케이블은 데크(1)에 연결되는 자체 안정성을 위해 상기 빔(35)을 향하여 계류지지 구조체(10)를 가압한다. 상기 보강용 케이블은 또한 가이드 튜브(11)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영역을 보강한다. 도 7의 예에서, 일련의 보강용 케이블은 상기 빔(35)의 길이 방향으로 걸쳐지기 이전에 지지 구조체(10)에 주형된 가이드 튜브(11)를 둘러싸는 경로(37)를 따라 간다. 다른 보강용 케이블은 가이드 튜브(11)를 우회하는 경로(38)를 따라 간다. 보강용 케이블은 데크(1)의 상면에 위치하는 패드(39)에 견인 및 계류될 수 있다. 다른 보강용 배열도 물론 이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계류방법은 다양한 형태의 건설 시공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 버팀 교량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 버팀 교량에 있어서, 데크(1)는 교각(3)의 양측에 분배된 버팀 케이블(2)에 의해 지지된다. 각 버팀 케이블(2)은 앞서 참조한 바와 같이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 보다 아주 작은 직경을 가진다. 대형 버팀줄은 통상 수백개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단 버팀 케이블의 다수의 케이블이 놓이게 되면, 평행 와이어의 콤팩트한 형태가 버팀줄의 최소 횡단면을 확보하므로, 풍향 민감도가 작아진다. 상기 버팀줄 의 계류장치(40)(단순화를 위해, 단지 한쌍의 계류장치가 도 8에 도시됨)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하게 실행된다(비록 메인 서스펜션의 경우보다 더 작은 치수를 가짐).
따라서, 케이블 버팀줄 교량의 데크를 따라 분배되는 다수의 계류장치(40)는 비교적 콤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데크의 구조와 교량의 심미감을 단순화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자체 계류형이 아닌 육상의 단층지괴에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이 결합되는 종래 서스펜션 교량에도 역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건설 시공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데크가 교각의 양측에 분배된 버팀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버팀 교량에 있어서, 각 버팀 케이블과, 대형 버팀줄에 적용되어 평행 와이어의 콤팩트한 형태가 버팀줄의 최소 횡단면을 확보하므로, 풍향 민감도가 작아진다. 케이블 버팀줄 교량의 데크를 따라 분배되는 다수의 계류장치는 비교적 콤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데크의 구조와 교량의 심미감을 단순화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 계류형이 아닌 육상의 단층지괴에 메인 서스펜션 케이블이 결합되는 종래 서스펜션 교량에도 역시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데크(1)와 적어도 하나의 탑(3)과,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탑의 상부에 설치된 안장에서 편차지게 벗어나면서 지지되는 적어도 두개의 서스펜션 케이블(2), 상기 데크와 각 서스펜션 케이블에 각각 결합되는 행거(6) 및 상기 데크에 서스펜션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앵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수단은 2개의 서스펜션 케이블의 각 끝단을 계류하기 위하여 데크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2개의 앵커 시스템(5)과, 상기 2개의 앵커 시스템 사이에 걸쳐진 영역에서 데크상에 횡단 철선 보강을 위한 보강수단(37-39)을 포함하고, 상기 각 앵커 시스템은 지지 구조체(10)에 대응하여 지지되는 앵커 블록(13)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는 서스펜션 케이블은 평행한 금속 와이어(15)의 콤팩트한 다발로 이루어지고, 케이블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앵커 블록에 인접한 상기 서스펜션 케이블의 일부에서 7-와이어 유닛(18)으로 분배되며, 상기 7-와이어 유닛는 각각 상기 앵커 블록에 고정되는 현수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7-와이어 유닛(18)은 원추형 쐐기 작용에 의해 계류되는 현수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의 와이어들(15)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앵커 블록에서 원추형 턱(20)에 의해 조여지는 유니트부에서 7-와이어 유닛(18)의 중심 와이어 주위에 슬리브(27)가 배치되는 현수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5) 다발은 균등한 직경의 제1형 와이어와 그 제1형 와이어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형 와이어를 포함하며, 각각의 7-와이어 유닛(18)은 하나의 제2형 와이어의 주위에 배열된 6개의 제1형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현수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수단은 7-와이어 유닛(18)을 각각 계류하기 위하여 원추형의 턱(20)을 포함하며, 각 턱은 중심에 원통공(24)을 가지고, 원추형의 각진 부분을 가지는 쐐기편(21)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턱은 원통공으로 7-와이어 유닛이 관통하는 앵커 블록(13)의 상보적인 오리피스에 삽입되고, 상기 턱은 각 와이어(15)가 단일 쐐기편과 접촉하는 7와이어 유닛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놓이는 현수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턱(20)은 쐐기편(21)의 분리된 두 간격 사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부재(25)에 의해 위치 결정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7-와이어 유닛(18)의 외표면에서 두 와이어(15)의 사이로 통과하여 관통공(24) 내에 수용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현수교.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블록에 인접한 상기 케이블의 일부는 7-와이어 유닛(18)이 콤팩트한 다발 배열에서 이격수단(22)에 이르기까지 펼쳐지는 제1섹션부와, 7-와이어 유닛(18)이 이격수단에서 앵커 블록(13)에 이르기까지 각각 평행하게 펼쳐지는 제2섹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현수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일부의 제2섹션부는 상기 콤팩트한 다발의 3배 미만의 횡방향 치수를 가지는 현수교.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블록에 인접한 상기 케이블의 일부는 지지 구조체(10)에 설치된 튜브(11)를 관통하며, 앵커 블록(13)에 대응되게 설치된 베어링 플레이트(12)에 연결되는 현수교.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의 금속 와이어(15)를 포함하는 단위 볼륨을 씰링하기 위한 씰링수단(29-31)과, 상기 와이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륨의 내부로 건조한 공기를 들어오게 하는 공기순환수단(3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현수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블록에 인접한 상기 케이블의 일부는 지지 구조체(10)에 설치된 튜브(11)를 관통하며, 앵커 블록(13)에 대응되게 설치된 베어링 플레이트(12)에 연결되고, 상기 씰링수단은 와이어 다발 주위를 감싸는 기밀 포장(29)과, 감싸진 포장과 상기 튜브 사이에 부착되는 씰링 고정구(30) 및 앵커 블록에 설치되는 기밀 덮개(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수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수단은 상기 기밀 덮개(31)에 배열된 공기유입수단(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현수교.
KR1020057022994A 2003-06-02 2003-06-02 평행 와이어 케이블 계류방법 KR101135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3/006464 WO2004106635A1 (en) 2003-06-02 2003-06-02 Method for anchoring parallel wire c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768A KR20060058768A (ko) 2006-05-30
KR101135760B1 true KR101135760B1 (ko) 2012-04-24

Family

ID=3346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994A KR101135760B1 (ko) 2003-06-02 2003-06-02 평행 와이어 케이블 계류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10824B2 (ko)
EP (1) EP1629154B9 (ko)
JP (1) JP2006526716A (ko)
KR (1) KR101135760B1 (ko)
CN (1) CN100554589C (ko)
AT (1) ATE386846T1 (ko)
AU (1) AU2003237959A1 (ko)
DE (1) DE60319282T2 (ko)
DK (1) DK1629154T5 (ko)
ES (1) ES2301805T3 (ko)
NO (1) NO337786B1 (ko)
PT (1) PT1629154E (ko)
WO (1) WO2004106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5149U1 (de) * 2002-04-03 2002-07-04 Dywidag Systems Int Gmbh Korrosionsgeschütztes Zugglied, insbesondere Schrägseil für eine Schrägseilbrücke
AU2003241952A1 (en) * 2002-05-30 2003-12-19 Anderson Technology Corporation Stress end por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body and method of forming the stress end portion
FR2883376B1 (fr) * 2005-03-17 2007-06-15 Fressinet Internat Stup Procede de detection de rupture au sein d'une structure et system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KR100655143B1 (ko) *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FR2918689B1 (fr) * 2007-07-09 2012-06-01 Freyssinet Procede de renforcement d'un ouvrage de construction, et ouvrage ainsi renforce.
US8016326B1 (en) * 2007-09-25 2011-09-13 Sorkin Felix L Mandrel system for fixing an orientation of a duct in concrete segmental construction
US9423059B1 (en) * 2009-02-17 2016-08-23 Felix L. Sorkin Duct coupler for segmental construction
KR100912768B1 (ko) * 2009-04-28 2009-08-18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와이어 인장기
CN102002911B (zh) * 2010-11-10 2012-07-11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碳纤维索股内套管锥形粘结型锚具
US20120260590A1 (en) * 2011-04-12 2012-10-18 Lambert Walter L Parallel Wire Cable
US8474219B2 (en) 2011-07-13 2013-07-02 Ultimate Strength Cable, LLC Stay cable for structures
WO2013150329A1 (en) * 2012-04-05 2013-10-10 Soletanche Freyssinet Seal for cable anchor device of a cable construction
DE102013215136A1 (de) * 2013-08-01 2015-02-05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Korrosionsgeschütztes Zugglied und plastisch verformbare Scheibe aus Korrosionsschutzmaterial für ein derartiges Zugglied
CN104612051B (zh) * 2013-12-05 2017-02-22 深圳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吊杆锚固结构
CN104746429A (zh) * 2015-04-17 2015-07-01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景观桥用拉索及其制作方法
CN104894972A (zh) * 2015-06-30 2015-09-09 柳州市劲新科技有限责任公司 楔形密封件
RU2618307C2 (ru) * 2015-07-01 2017-05-0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ледящие тест-системы" Ванта моста
CN104963288B (zh) * 2015-07-14 2017-01-04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超弹性装饰拉索及其制作安装方法
CN106918220A (zh) * 2017-04-19 2017-07-04 扬州北晟桥梁科技有限公司 集装箱式主缆除湿机组
CN108316145A (zh) * 2018-03-06 2018-07-24 江苏法尔胜缆索有限公司 一种可感知并降低吊索索体内湿度的智能化吊索
US20210363711A1 (en) * 2020-05-22 2021-11-25 Yidong He Jacking Force Transfer System for Bridges with Prefabricated Deck Units
CN114075808A (zh) * 2020-08-17 2022-02-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斜拉桥结构
CN112647429B (zh) * 2020-12-23 2022-07-26 蒋友富 一种带有锚固装置的箱梁及箱梁桥
CN114892521B (zh) * 2022-04-26 2023-06-16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平行钢丝斜拉索旧索长度确定方法
CN114908667B (zh) * 2022-05-16 2023-04-25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悬索桥主缆除湿系统及除湿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012A (ja) * 1994-12-20 1996-07-09 Honsyu Shikoku Renrakukiyou Kodan ケーブルの防錆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104C (de) 1900-07-17 1904-01-07 H. Prinzhorn Brückenträger
FR62434E (fr) 1952-02-04 1955-06-14 Procédé et dispositifs pour la mise sous tension et l'ancrage des câbles à fils parallèles des constructions en béton précontraint
DE2020514A1 (de) 1970-04-27 1971-11-11 Hoffmann Guenter Kisten-Stapel-Maschine
US3864776A (en) 1973-11-15 1975-02-11 Parson Brinckerhoff Quade & Do Prestressed post tension suspension bridge cable anchorage
FR2346517A2 (fr) 1976-03-31 1977-10-28 Stup Procedes Freyssinet Tirants libres formes d'armatures d'acier tendues
GB2092210A (en) 1981-01-29 1982-08-11 Redpath Dorman Long Ltd Suspension bridges
US4427718A (en) 1982-05-27 1984-01-24 Patrick Heron Wedge encapsulation method
JPS59173712U (ja) * 1983-05-09 1984-11-20 株式会社 春本鐵工所 橋梁ケ−ブルのアンカ−ソケツト
DE3538014A1 (de) 1984-06-29 1987-06-11 Borelly Wolfgang Dipl Ing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s korrosionsschutzes auf paralleldrahtbuendel
DE3437350A1 (de) * 1984-08-30 1986-03-13 Ulrich Dr.Ing. e.h. Dr.Ing. 8000 München Finsterwalder Kabel fuer bauwerke, insbesondere schraegkabelbrueck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3437107A1 (de) * 1984-10-10 1986-04-1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Zugglied, insbesondere schraegseil fuer eine schraegseilbruecke
CN85102881B (zh) * 1985-04-15 1988-09-28 布亚格斯特 混凝土索
US5173982A (en) * 1991-07-25 1992-12-29 Greiner Inc, Southern Corrosion protection system
US5390386A (en) 1993-06-01 1995-02-21 The D. S. Brown Company, Inc. Suspension bridge cable wrap and application method
DE19621832A1 (de) 1996-05-31 1997-12-04 Preussag Noell Gmbh Verfahren zum Spreizen von Seilbündeln
GB2337541B (en) 1997-03-07 2001-04-25 Kvaerner Oilfield Prod As Termination of a tension member for use as a tendon for a tension leg platform
DE19733822A1 (de) 1997-08-05 1999-02-11 Dyckerhoff & Widmann Ag Verfahren zum Einbauen und Spannen eines freigespannten Zugglieds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DE19833332C1 (de) 1998-07-24 1999-12-16 Dyckerhoff & Widmann Ag Korrosionsgeschütztes Stahlzugglied
EP1013830A1 (fr) * 1998-12-24 2000-06-28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Dispositif et procédé de fixation entre un element de construction et un cable de structure, et pont suspendu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FR2795755B1 (fr) 1999-07-01 2001-08-24 Gtm Construction Cable de suspension pour pont suspendu
FR2798408B1 (fr) * 1999-09-15 2002-01-18 Freyssinet Int Stup Cable a fils paralleles pour structure d'ouvrage de construction, ancrage d'un tel cable, et procede d'ancrage
FR2798410B1 (fr) * 1999-09-15 2001-11-23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ancrage pour fixer un cable de structure a un element de construction
NO321272B1 (no) * 2000-05-31 2006-04-10 Aker Kvaerner Subsea As Strekklegeme
NO317009B1 (no) * 2000-12-22 2004-07-19 Deep Water Composites As Endeterminering av strekkstag
ES2307580T3 (es) * 2001-01-29 2008-12-01 Vsl International Ag Dispositivo y metodo para anclaje de un extremo de un tirante a una base.
CN2510533Y (zh) * 2001-09-12 2002-09-11 柳州市建筑机械总厂 双索股预应力锚碇锚固系统
JP3875877B2 (ja) * 2001-11-14 2007-01-31 極東鋼弦コンクリート振興株式会社 緊張材の定着具
JP3701250B2 (ja) * 2002-03-06 2005-09-28 黒沢建設株式会社 斜張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DE20205149U1 (de) * 2002-04-03 2002-07-04 Dywidag Systems Int Gmbh Korrosionsgeschütztes Zugglied, insbesondere Schrägseil für eine Schrägseilbrüc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012A (ja) * 1994-12-20 1996-07-09 Honsyu Shikoku Renrakukiyou Kodan ケーブルの防錆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54589C (zh) 2009-10-28
EP1629154B9 (en) 2008-10-08
DE60319282D1 (de) 2008-04-03
US20040237222A1 (en) 2004-12-02
NO337786B1 (no) 2016-06-20
DK1629154T3 (da) 2008-06-16
AU2003237959A1 (en) 2005-01-21
US7010824B2 (en) 2006-03-14
DE60319282T2 (de) 2009-03-05
DK1629154T5 (da) 2008-10-27
ATE386846T1 (de) 2008-03-15
EP1629154A1 (en) 2006-03-01
JP2006526716A (ja) 2006-11-24
EP1629154B1 (en) 2008-02-20
NO20056017L (no) 2005-12-16
KR20060058768A (ko) 2006-05-30
PT1629154E (pt) 2008-05-23
CN1798894A (zh) 2006-07-05
ES2301805T3 (es) 2008-07-01
WO2004106635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760B1 (ko) 평행 와이어 케이블 계류방법
US6578329B1 (en) Anchoring device for fixing a structural cable to a building element
US4848052A (en) Spacer for tension member
CA1179859A (en) Tension member, particularly for use as a diagonal cable in a stayed girder bridge
US63017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a load-transmitting element to a cable, and suspension bridge comprising such devices
US4442646A (en) Device for anchoring tensioning elements
US4837885A (en) Prestressed stay cable for use in cable-stayed bridges
DK178310B1 (en) Method of erecting a stay
KR20140121945A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JPH0221755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127939B1 (ko) 복수 유닛 구조의 주케이블을 갖는 현수교
KR101166567B1 (ko) 회전바를 구비한 스트랜드 콤팩터 및 이를 이용한 스트랜드 형성 방법
JP2001200509A (ja) ケーブル用のサドル部における架設方法と架設構造、及びそのケーブルと橋梁
US6385928B1 (en) Tension member
JP2002250005A (ja) 外ケーブルトラスpc橋梁の外ケーブル張設方法と装置
GB2157339A (en) Cable anchorages
EP4118360B1 (en)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a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with a cable, an anchorage, a compacting clamp unit and a recess pipe
KR200222329Y1 (ko)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CN115748454A (zh) 一种基于均匀施加斜拉索索力的锚具及其索力方法
KR910000324B1 (ko) 동력학적으로 응력을 받는 구조물 부재의 자유진동하는 강철재 인장요소 정착장치
CN113235391A (zh) 一种多塔自锚式悬索桥
CN117569196A (zh) 一种适用于主缆分散的鞍座
KR20000063485A (ko)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WO1999032727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uspension bridges
KR20000063495A (ko) 교량의 재긴장용 강선 및 이를 이용한 강선 재긴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