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236B1 -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236B1
KR101135236B1 KR1020040102618A KR20040102618A KR101135236B1 KR 101135236 B1 KR101135236 B1 KR 101135236B1 KR 1020040102618 A KR1020040102618 A KR 1020040102618A KR 20040102618 A KR20040102618 A KR 20040102618A KR 101135236 B1 KR101135236 B1 KR 10113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ut
voltage
unit
cut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442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2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79Control of mechanic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83Control of vehicle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원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트랜스미션 컷 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그 압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압력센서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을 설정하는 컷 오프 전압 설정부; 상기 압력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상기 컷 오프 전압 설정부에서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트랜스미션을 컷 오프 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를 제어하는 트랜스미션 제어부; 및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트랜스미션 컷오프 선택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컷오프 선택 스위치부는 온(ON)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 스위치부가 온 되어 있을 경우에만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가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 설정부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트랜스미션 컷 오프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 방지 및 제동기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트랜스미션, 컷 오프, 노우즈 다이브(Nose Dive)

Description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aratus to control cut-off of transmission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의 일 예.
도 2는 종래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의 또 다른 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페달 11 : 트랜스미션
12 : 트랜스미션 제어부 13 : 압력스위치
14 : 트랜스미션 컷 오프 스위치 15 : 중앙처리장치
16 : 차속센서 17 : 비교부
18 : 압력센서부 19 : 컷 오프 전압 설정부
20 :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차량의 조건이나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중장비중 휠 로더(WHEEL LOADER)의 경우에 대해 그 작업내용을 살펴보면, 주행하면서 붐(BOOM)시켜 모래나 자갈 등의 작업물을 버켓에 담는 작업과 작업물을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 작업과 작업물을 덤프 트럭으로 상차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상의 작업에서는 서행하다가 정지하는 동작이 주종을 이루면서 이와 같은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데, 이 때 트랜스미션(11)을 컷 오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동이 이루어지면 액셀등의 동력전달부 전 부위에 충격이 가해진다. 따라서 차량 전체에 대해서도 브레이크 페달(10)을 밟는 순간 차량의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려 앞은 숙여지고 뒷부분은 들려지는 현상인 노우즈 다이브(Nose Dive)현상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되어 버켓에 담긴 작업물이 유출 또는 낙하되는 등 안전 사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동기능도 저하된다.
따라서, 휠 로더 등의 중장비의 작업시에는 트랜스미션(11)이 컷 오프된 상태로 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가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작동되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스위치(14)에 의해 트 랜스 미션 컷 오프 제어가 수행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를 정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버켓에 작업물을 담아서 상차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서행과 제동이 반복되기 쉬우므로 주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스위치(14)를 닫아서 트랜스미션(11)을 컷 오프 시킨 상태로 작업해야 하지만, 일반 도로 주행시나 작업물의 원거리 전송을 위한 이동시에는 고속 주행이므로 제동시에 엔진으로부터 감속력을 얻는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스위치(14)를 열어서 트랜스미션(11)이 동력전달부로 연결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는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수시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스위치(14)를 전환해야만 하며, 만일 트랜스미션 컷 오프 스위치(14)의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작업자가 이를 망각하여 전환하지 않는다면 제동기능이 저하되게 되거나 그로 인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997-011605(1997.7.12)에 의하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트랜스미션(11)의 컷 오프 제어를 할 필요 없이 차속센서(16)에 의한 차속신호 및 브레이크 페달(10) 조작에 의한 압력스위치(13)로부터의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5)에서 자체 판단하여, 작업 상황에 맞게 자동적으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그 작동 방법을 살펴본다.
차량 주행중 작업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아 압력스위치(13)가 닫히게 되면 중앙처리장치(15)에서는 차속센서(1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계속적으로 처리하 여 미리 설정해둔 기준 한계속도값과 입력된 차속값을 비교하게 되는데 이 때 입력된 차속값이 미리 설정해둔 기준 한계속도값 이하이면 트랜스미션(11)을 컷 오프 하도록 하는 명령신호를 보내어 트랜스미션(11)을 컷 오프하게 된다. 그리고 그외의 모든 상황에 대해서는 트랜스미션(11)이 엔진 및 동력전달부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에 의하면 작업 상황에 맞춰 자동적으로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가 제어되므로 조작이 간편해진다. 즉, 버켓에 작업물을 담는 작업의 경우 서행하다가 정지하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때에는 트랜스미션(11)이 컷 오프된 상태에서 제동되므로 제동시 액셀등의 동력전달부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 방지 효과 및 제동기능 상승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는 일정 압력에 해당하는 한 POINT의 압력을 받아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가 동작되는데, 차량이나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컷 오프 시점을 달리 할 필요가 있으므로 운전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서 컷 오프가 동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차량의 조건이나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 시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그 압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압력센서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을 설정하는 컷 오프 전압 설정부; 상기 압력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상기 컷 오프 전압 설정부에서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트랜스미션을 컷 오프 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를 제어하는 트랜스미션 제어부; 및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트랜스미션 컷오프 선택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컷오프 선택 스위치부는 온(ON)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 스위치부가 온 되어 있을 경우에만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가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을 설정하는 제1단계;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 스위치부가 온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가 온 되어 있을 경우에만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그 압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출력된 전압이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 이상인 경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를 제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브레이크 페달(10)을 밟는 경우 압력이 증대되며 압력센서부(18)에서는 페달을 밟는 압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 때 페달을 밟는 각도에 따라 압력이 달라지며 또한 전압도 달라지게 된다. 즉, 압력센서부(18)에서는 브레이크 압력에 따른 각각의 값을 센싱(sensing)하여 비교부(17)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운전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서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가 작동되도록 컷 오프 전압 설정부(19)에 의해 컷 오프 전압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이 때 컷 오프 전압 설정부(19)는 포텐셔미터형의 다이얼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실시 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포텐셔미터형의 다이얼을 이용하여 미리 셋팅(setting)해 놓음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비교부(17)에서는 압력센서부(18)로부터 출력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컷 오프 전압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트랜스미션 제어부(12)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압력센서부(18)에서 출력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컷 오프 전압이 일치할 경우 비교부(17)는 플러스(+) 전압 또는 마이너스(-)전압을 출력하여 트랜스미션(11)을 컷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압력센서부(18)에서 출력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컷 오프 전압이 일치하는 경우 트랜스미션(11)은 컷 오프되어 중립상태가 되며 또한 압력센서부(18)에서 출력된 전압이 미리 설정된 컷 오프 전압 보다 높을 경우에는 계속 중립상태를 유지한다.
트랜스미션 제어부(12)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20)를 더 포함하여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20)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작업물을 덤프 트럭으로 상차하는 작업의 경우 뿐만 아니라 작업물을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 경우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20)를 온(ON)시킴으로서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를 제어할수 있으며, 도로 주행시와 같은 고속 주행의 경우는 제동시에 엔진으 로부터 감속력을 얻는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기 위해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20)를 오프(OFF)시킴으로써 트랜스미션(11)이 동력전달부로 연결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운전자는 자신이 원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트랜스미션 컷 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을 설정한다(단계 S1).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20)가 온(ON)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20)가 온(ON)되어 있는 경우에만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10)을 밟는 경우 페달을 밟는 압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한다(단계 S3). 출력된 전압과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정해진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된 전압이 컷 오프 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트랜스미션(11)을 컷 오프시키며 또한 출력된 전압이 컷 오프 전압보다 큰 경우 트랜스미션(11)은 컷 오프 상태가 유지된다(단계 S4).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자신이 원하는 브레이크 페달 위치에서 트랜스미션 컷 오프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 방지 및 제동기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그 압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압력센서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을 설정하는 컷 오프 전압 설정부;
    상기 압력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상기 컷 오프 전압 설정부에서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트랜스미션을 컷 오프 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를 제어하는 트랜스미션 제어부; 및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트랜스미션 컷오프 선택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컷오프 선택 스위치부는 온(ON)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 스위치부가 온 되어 있을 경우에만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가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 오프 전압 설정부는 포텐셔미터형의 다이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4.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을 설정하는 제1단계;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 스위치부가 온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선택스위치부가 온 되어 있을 경우에만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그 압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출력된 전압이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된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전압 이상인 경우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스미션의 컷 오프를 제어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방법.
  5. 삭제
KR1020040102618A 2004-12-07 2004-12-07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13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618A KR101135236B1 (ko) 2004-12-07 2004-12-07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618A KR101135236B1 (ko) 2004-12-07 2004-12-07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442A KR20060063442A (ko) 2006-06-12
KR101135236B1 true KR101135236B1 (ko) 2012-04-12

Family

ID=3715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618A KR101135236B1 (ko) 2004-12-07 2004-12-07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327A (ko) * 2016-03-23 2017-10-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86B1 (ko) * 2008-12-23 2015-04-0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 조작 레버의 안전 조작 제어방법
KR20120069788A (ko) 2010-12-21 2012-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459514B1 (ko) * 2017-03-31 2022-10-27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장치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40U (ja) * 1992-09-25 1994-04-22 豊生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ュオサーボ型ドラムブレーキ
KR970011605B1 (ko) * 1994-04-30 1997-07-12 현대중장비산업 주식회사 트랜스 밋션 클러치의 컷 오프 제어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9980063236A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휠로다용 자동브레이크 시스템
JP2000310320A (ja) 1999-04-16 2000-11-07 Luk Lamellen & Kupplungsbau Gmbh 自動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40U (ja) * 1992-09-25 1994-04-22 豊生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ュオサーボ型ドラムブレーキ
KR970011605B1 (ko) * 1994-04-30 1997-07-12 현대중장비산업 주식회사 트랜스 밋션 클러치의 컷 오프 제어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9980063236A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휠로다용 자동브레이크 시스템
JP2000310320A (ja) 1999-04-16 2000-11-07 Luk Lamellen & Kupplungsbau Gmbh 自動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327A (ko) * 2016-03-23 2017-10-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97075B1 (ko) * 2016-03-23 2023-11-01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트랜스미션 컷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442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8742B1 (en) Vehicle with vehicle control unit
US7067999B2 (en) Rotation control device of working machine
EP2112407B1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mounted with the same
US832111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mounted with the device
EP1975115A1 (en) Forklift truck and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turning of forklift truck
KR101896585B1 (ko) 휠식 작업기의 유압 구동 장치
KR101970855B1 (ko)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KR20070068945A (ko)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4473200B2 (ja) 作業車両の原動機制御装置
EP1580466B1 (en) Hydraulically driven vehicle
KR102149306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1135236B1 (ko)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491942B1 (ko)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EP2055992B1 (en) Travel control device for hydraulically driven vehicle
JP4416063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クラッチカットオフ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51652A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4432832B2 (ja) 産業車両の速度制御装置、産業車両、及び産業車両の速度制御方法
JP4589649B2 (ja) ホイールローダのクラッチ制御装置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
KR970011605B1 (ko) 트랜스 밋션 클러치의 컷 오프 제어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H11123956A (ja) 作業車両の車速制御装置
US20220042281A1 (en) Operator presence system
JP2007071328A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1261295A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リフトシリンダの制御装置
US2003000607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tarding a work machine
JP2008106546A (ja) 作業機干渉防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