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082B1 - 가물막이 구조 - Google Patents

가물막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082B1
KR101135082B1 KR1020100035589A KR20100035589A KR101135082B1 KR 101135082 B1 KR101135082 B1 KR 101135082B1 KR 1020100035589 A KR1020100035589 A KR 1020100035589A KR 20100035589 A KR20100035589 A KR 20100035589A KR 101135082 B1 KR101135082 B1 KR 10113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wall
block
temporary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262A (ko
Inventor
민동구
Original Assignee
민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동구 filed Critical 민동구
Priority to KR102010003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8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02D19/04Restraining of open water by coffer-dams, e.g. made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수중구조물의 시공공간을 확보해 주기 위한 가물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 바닥에 충진파일(12)(14)을 통하여 나란히 형성되는 내,외측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 맞물림을 위한 강빔(20)(22)을 이용하여 블럭(24)(26)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내,외측 벽체(28)(30)를 구성하되, 내측 벽체(28)는 수팽창지수제(32)에 의해 수밀되게 하고, 외측 벽체(30)는 하천수 유입을 위한 유입구(26e)가 형성되게 하고, 내,외측 벽체(28)(30)는 연결블럭(34) 및 강봉(36)(38)으로 일체감있게 연결되게 하며, 외측 벽체(30)의 하부전방에는 보강블럭(40)이 형성되게 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하면서 시공시 벽체의 붕괴 등에 의한 안전사고방지를 방지하고 또 수밀에 의한 누수방지로 수중보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물막이 구조{TEMPORARY LEVEE STRUCTURE}
본 발명은 수중보 등과 같은 각종 수중구조물들의 시공공간을 확보해 주기 위한 가물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하천을 횡단하는 수중보를 설치하여 하천수의 수위를 조절하고 또 하천수의 유속을 감소시켜서 하천 바닥면의 세굴을 방지해 주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하천의 수중보는 시공시 하천수의 흐름을 보장해 주어야 하므로 통상 하천폭을 임의로 반분하여 어느 한 하천변으로부터 가물막이를 형성하여 가물막이 내에서 일부구간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타측 하천변으로부터 가물막이를 형성하여 가물막이 내에서 나머지구간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껏 이용되고 있는 수중보 시공용 가물막이는 주위에서 채취한 골재를 이용하여 내,외측 제방을 나란히 조성하여 내,외측 제방 사이에 마련된 공간 내에 내,외측 시트파일을 나란히 설치하여 내,외측 시트파일을 여러개의 띠장과 버팀대로 연결고정한 다음 내,외측 시트파일 사이로 유입되는 하천수는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서 내측시트파일 내에 갖는 공간부에서 수중보 시공을 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수의 흐름하에서 주위의 골재를 이용하여 내,외측 제방을 쌓아주기란 여간 힘들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고 또 골재로 조성된 제방은 하천수의 흐름에 의해 점차 유실되어 쉽게 붕괴되므로 제방을 수시로 보강해 주어야 하며, 여기에 더하여 골재 제방의 조성후 내,외측 시트파일을 설치하여 띠장과 버팀대로 연결고정해 주기까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시공기간이 길어 시공비용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내,외측 제방의 조성후 작업자들을 동원하여 그 내측에 시트 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과정에서 제방의 유실에 의해 하천수가 유입될 경우 중량체의 시트파일이 쓰러져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므로 시공작업이 여간 힘들고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내,외측 골재제방은 물론 내,외측 시트파일은 수밀을 기대할 수가 없어 수중보의 시공중 시트파일 사이에 고인 물은 계속적으로 펌핑하여 배출시켜 주어야 하므로 여러대의 펌프를 운용하는데 따른 추가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펌프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발생으로 작업환경을 저해하게 된다.
그리고 수중보의 시공후에는 골재제방을 제거해 주어야 하고 또 시트파일은 해체시 변형이나 휨 등으로 인하여 재활용율은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자원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단기간에 누수없이 견고히 시공해 줄 수가 있고 또 사용후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가물막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가물막이 구조는 하천 바닥의 암반층에 나란히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 상에 요홈과 돌부 및 강빔 등에 의해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블럭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내,외측 벽체를 형성하되 내,외측 벽체는 연결블럭과 강봉에 의해 일체감있게 연결되게 하고 또 내측 벽체의 상하좌우 블럭 간에 갖는 틈은 수팽창지수제에 의해 밀폐되게 하며, 사용후에는 블럭을 해체하여 수중보 전후방에 세굴방지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반층(10)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 블럭(24)(26)과 연결블럭(34)을 조립하여 가물막이(46)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서, 시공기간단축으로 시공비용절감을 가져올 수가 있고 또 블럭(24)(26)의 조립이 안정감있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공시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내,외측 벽체(28)(30) 사이에 주위의 골재를 충진시켜 주거나 또는 외측 벽체(30)가 갖는 유입구(26c)을 통하여 하천수가 유입되게 할 경우 하천수의 강한 수압에도 가물막이(46)로서의 기능을 만족할 수가 있고 또 내측벽체(28)는 수팽창지수제(32)에 의한 수밀로 누수가 방지되므로 누수로 인한 추가비용부담을 없애줄 수가 있게 됨은 물론 수중보(44) 시공시 소음이 없는 쾌적한 작업환경을 마련해 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후 보강블럭(40)은 수중보(44)의 상류측에 형성하여 쇄굴방지 및 수중보(44)에 가해지는 수압을 분산시키는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또 블럭(24)(26) 및 연결블럭(34)등은 수중보(44)의 하류측에 형성하여 쇄굴방지용으로 재활용하면 되므로 자원낭비를 방지해 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 일실시예의 내측 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 일실시예의 외측 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연결블럭의 사시도
도 5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측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타실시예의 내측 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7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외측 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 평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하천의 수중보 시공을 위한 것이자, 하천의 원활한 흐름하에서 수중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천의 폭을 반분하여 좌우별도로 시공되는바, 좌우 어느 한 가물막이를 기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하천 바닥의 암반층(10)에 충진파일(12)(14)을 통하여 내,외측 기초콘크리트층(16)(18)이 나란히 형성되게 하고, 내,외측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는 각각 맞물림을 위한 강빔(20)(22)을 사이에 두고 블럭(24)(26)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내,외측 벽체(28)(30)가 형성되게 하고, 내측벽체(28)의 기초콘크리트층(16)과 각 블럭(24)들 사이사이에는 수팽창지수제(32)가 형성되게 하고, 내,외측벽체(28)(30)의 최상부블럭은 연결블럭(34)으로 연결되게 하고, 연결블럭(34) 상부로부터는 각기 블럭(24)(26)과 기초콘크리트층(16)(18)을 관통하는 강봉(36)(38)이 결합되게 하며, 외측벽체(30)의 하부외측에는 보강블럭(40)이 결합되게 하여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내측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외측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로서, 기초콘크리트층(16)(18)을 암반층(10)에 고정하는 충진파일(12)(14)은 여러개가 암반층(10)으로부터 일부돌출하도록 나란히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강도가 보강된다.
또한 암반층(10)에 충진파일(12)(14)을 통하여 형성되는 내,외측 기초콘크리트층(16)(18)은 각각 어느 한 하천변(42)을 시작과 끝지점으로 나란히 형성되게 하여 내측 기초콘크리트층(16) 내에 수중보(44) 시공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 주게 되는데, 내,외측 기초콘크리트층(16)(18)의 상면 중앙부에는 공히 강빔(20)(22)을 결합하는 결합홈(16a)(18a) 및 강봉(36)(38)이 삽입되는 통공(16b)(18b)이 형성되고, 내측 기초콘크리트층(16)에는 수팽창지수제(32)가 삽입되는 삽입홈(16c)이 형성된다.
또한 내,외측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 블럭(24)(26)은 공히 상,하면 중앙부에 강빔(20)(22)을 결합하는 결합홈(24a)(26a)이 형성되고 또 상하로는 강봉(36)(38)이 삽입되는 통공(24b)(26b)이 관통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서로간의 맞물림을 위한 요홈(24c)(26c)과 돌부(24d)(26d)가 형성되며, 이외에 내측벽체(24)의 상하 및 양측면에는 수팽창지수제(32)를 삽입하는 삽입홈(24e)이 형성되고, 외측블럭(26)에는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유입구(26e)가 형성된다.
더 나아가 내,외측 벽체(28)(30)를 구성하는 각 블럭(24)(26)은 평면상 양접촉면이 갖는 각도를 달리하여 기초콘크리트층(16)(18)이 갖는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에 대응하여 서로간에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초콘크리트층(16)(18)과 블럭(24)(26) 사이 및 상하블럭 사이의 결합홈(16a)(18a)(24a)(26a)에 결합되어 상하좌우블럭(24)(26)간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강빔(20)(22)은 상하블럭간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또한 내측벽체(28)의 기초콘크리트층(16)과 블럭(24)들 사이의 삽입홈(16c)(24c)에 삽입되는 수팽창지수제(32)는 수분에 의해 팽창하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시공후 하천수 등에 의한 수분침투로 팽창하여 기초콘크리트층(16)과 블럭(24)들 사이사이에 갖는 틈을 없애주어 수밀이 유지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결블럭의 사시도로서, 내,외측 벽체(28)(30)의 최상층 블럭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블럭(34)은 내,외측 저면에 갖는 돌출부의 중앙부에 결합홈(34a)이 형성되게 하여 내,외측 벽체(28)(30)와의 사이에도 맞물림을 위한 강빔(20)(22)이 결합되게 하고, 돌출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통공(34b)이 형성되게 하여 강봉(36)(38)이 결합되게 하고, 내측 돌출부의 저면과 측면에는 삽입홈(34c)이 형성되게 하여 서로간에는 물론 내,외측 벽체(28)(30)와의 사이에 수팽창지수제(32)가 삽입되게 하여 수밀이 유지되게 하며, 외측면에는 공기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구(34d)가 형성되게 한다.
또한 강봉(36)(38)은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 하천수가 갖는 수위에 따라 각각 여러개의 블럭(24)(26)을 다단으로 적층하고 또 최상부블럭 사이에 연결블럭(34)을 결합한 다음 기초콘크리트층(16)(18)과 블럭(24)(26) 및 연결블럭(34)에 관통형성되는 통공(16b)(18b)(24b)(26b)에 삽입하여 기초콘크리트층(16)(18)과 블럭(24)(26) 및 연결블럭(34)을 일체감있게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외측벽체(3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되는 보강블럭(40)은 암반층(10)으로부터 기초콘크리트층(18) 및 최하부블럭(26)과의 결합을 위한 요철이 형성되고 또 그 외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경사면(40a)이 형성되게 하여 쇄굴방지 및 외측벽체(30)에 가해지는 수압을 분산시켜 주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타실시예의 측단면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타실시예의 내측 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타실시예의 외측벽체의 일부분해사시도로서, 기초콘크리트(16)(18)의 상면에 돌기(16d)(18d)를 돌출형성하고, 내,외측벽체(28)(30)의 각 블럭(24)(26)은 상하에 요홈(24f)(26f)과 돌부(24g)(26g)를 형성하여 요홈(24f)(26f)과 돌부(24g)(26g)에 의해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강빔(20)(22)을 없애주는데 따른 시공비용절감을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천바닥의 암반층(10)에 충진파일(12)(14)을 통하여 견고히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 블럭(24)(26)과 연결블럭(34)을 결합하여 가물막이(46)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서,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또 시공과정에서 하천수가 유입되더라도 블럭(24)(26)의 붕괴우려가 없어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시공후에는 내,외측 벽체(28)(30)를 구성하는 블럭(24)(26)들이 요홈(24c)(26c)과 돌부(24d)(26d) 및 강빔(20)(22)에 의해 결합되고 또 내,외측 벽체(28)(30)는 연결블럭(34)으로 연결되며, 더 나아가 암반층(10)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16)(18)과 블럭(24)(26) 및 연결블럭(34)은 이들을 관통하는 강봉(36)(38)에 의해 일체감있게 연결되므로 하천수에 의해 강한 수압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붕괴우려가 없게 된다.
더 나아가 내,외측 벽체(28)(30) 사이에 갖는 공간부에 외측 벽체(30)의 각 블럭(26)이 갖는 유입구(26e)를 통하여 하천수가 유입되게 하거나 또는 시공과정에서 공간부 내에 주위의 골재를 채워줄 경우 공간부 내의 하천수나 또는 골재로 인하여 외측 벽체(26)의 강도가 보강되고 또 외측 벽체(26)의 하부 외측에 갖는 보강블럭(40)은 그 경사면(40a)을 통하여 외측 벽체(30)에 가해지는 수압을 분산시켜 주게 되므로 하천수의 수압에 의한 붕괴우려를 더더욱 없애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내측 벽체(28)를 구성하는 기초콘크리트층(16)과 블럭(24) 사이에 갖는 틈과 블럭 간에 갖는 틈은 수팽창지수제(32)가 밀폐하여 수밀을 유지시켜 주게 되므로 누수를 방지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 블럭(24)(26)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내,외측 벽체(28)(30)를 구성함에 있어, 기초콘크리트층(16)(18)과 블럭(28)(30)간에는 물론 상하블럭(28)(30)들 간에는 돌기(16d)(18d)(24g)(26g)와 요홈(24f)(26f)에 의해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블럭(28)(30)과 연결블럭(34)간에는 돌기(24g)(26g)와 결합홈(34a)에 의해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강빔을 없애주는데 따른 시공비용절감을 가져올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물막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초콘크리트층(16)(18)을 형성하기 위한 충진파일(12)(14)은 반드시 암반층에 형성해 주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수중보를 시공해 주고자 하는 하천의 여건에 따라 바닥면에 견고히 형성해 주는 것으로 만족할 수가 있고 또 내,외측 벽체(28)(30) 사이에 갖는 공간부에 하천수가 유입되게 하거나 주위의 골재를 채워줄 수도 있는바, 특허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균등한 범위의 모든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 미친다 할 것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암반층 (12)(14)--충진파일
(16)(18)--기초콘크리트층 (16a)(18a)--결합홈
(16b)(18b)--통공 (16c)--삽입홈
(16d)(18d)--돌기 (20)(22)--강빔
(24)(26)--블럭 (24a)(26a)--결합홈
(24b)(26b)--통공 (24c)(26c)(24f)(26f)--요홈
(24d)(26d)(24g)(26g)--돌부 (24e)--삽입홈
(26e)--유입구 (28)(30)--벽체
(32)--수팽창지수제 (34)--연결블럭
(34a)--결합홈 (34b)--통공
(34c)--삽입홈 (34d)--공기배출구
(36)(38)--강봉 (40)--보강블럭
(40a)--경사면 (42)--하천변
(44)--수중보 (46)--가물막이

Claims (7)

  1. 하천의 바닥에 충진파일(12)(14)을 통하여 나란히 형성되는 내,외측 기초콘크리트(16)(18)과;
    각각 기초콘크리트층(16)(18) 상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내,외측 벽체(28)(30)를 형성하는 블럭(24)(26)과;
    내,외측 벽체(28)(30)의 최상층 블럭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블럭(34) 및
    연결블럭(34) 상부로부터 블럭(24)(26)과 기초콘크리트층(16)(18)을 관통하여 내,외측 벽체(28)(30)를 연결하는 강봉(36)(38)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벽체(28)의 기초콘크리트층(16)과 블럭(24)들 사이에 수밀을 위한 수팽창지수제(32)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벽체(30)의 각 블럭(26)에 내외측으로 관통되는 유입구(26e)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벽체(26)의 외측 하부에 보강블럭(40)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콘크리트층(16)(18)과 블럭(24)(26) 및 연결블럭(34)은 각기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6a)(18a)(24a)(26a)(34a) 사이에 강빔(20)(22)이 결합되게 하여 상하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콘크리트층(16)(18)과 블럭(24)(26) 및 상하블럭(24)(26) 간에는 요홈(24f)(26f)과 돌부(16d)(18d)(24g)(26g)에 의해 상하로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블럭(24)(26)과 연결블럭(34)간에는 돌부(24g)(26g)와 결합홈(34a)에 의해 상하로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24)(26)은 요홈(24c)(26c)과 돌부(24d)(26d)에 의해 좌우로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구조.
KR1020100035589A 2010-04-19 2010-04-19 가물막이 구조 KR10113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89A KR101135082B1 (ko) 2010-04-19 2010-04-19 가물막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89A KR101135082B1 (ko) 2010-04-19 2010-04-19 가물막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262A KR20110116262A (ko) 2011-10-26
KR101135082B1 true KR101135082B1 (ko) 2012-04-13

Family

ID=4503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589A KR101135082B1 (ko) 2010-04-19 2010-04-19 가물막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980B1 (ko) * 2018-08-28 2018-12-10 주식회사 에코해양건설 단일 구조의 조립식 강재 가물막이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 시공방법
KR102353849B1 (ko) * 2021-07-08 2022-01-20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6891A (zh) * 2012-08-03 2012-11-14 天津二十冶建设有限公司 软土内有块石层地基地下支护结构漏水处理方法
KR101672712B1 (ko) 2016-06-29 2016-11-07 이신원 Pcc 구조의 가물막이 장치
KR102333872B1 (ko) * 2021-02-25 2021-12-01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92821B1 (ko) * 2021-02-26 2021-08-24 김상기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CA3209931A1 (en) * 2021-02-26 2022-09-01 Sangki Kim Floatable concrete block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310126B1 (ko) * 2021-06-01 2021-10-08 (주)유주웨이브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389280B1 (ko) * 2021-08-17 2022-04-21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401212B1 (ko) * 2021-11-29 2022-05-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23Y1 (ko) 2001-09-10 2001-12-13 (주)내경엔지니어링 조립식 가물막이 구조
KR100554946B1 (ko) 2003-10-31 2006-04-05 홍건영 보강토 옹벽
JP4013170B2 (ja) 1997-12-12 2007-11-28 隆昭 遠藤 大型暗渠の構築方法
KR20100019299A (ko) * 2008-08-07 2010-02-18 전봉호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3170B2 (ja) 1997-12-12 2007-11-28 隆昭 遠藤 大型暗渠の構築方法
KR200255723Y1 (ko) 2001-09-10 2001-12-13 (주)내경엔지니어링 조립식 가물막이 구조
KR100554946B1 (ko) 2003-10-31 2006-04-05 홍건영 보강토 옹벽
KR20100019299A (ko) * 2008-08-07 2010-02-18 전봉호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980B1 (ko) * 2018-08-28 2018-12-10 주식회사 에코해양건설 단일 구조의 조립식 강재 가물막이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 시공방법
KR102353849B1 (ko) * 2021-07-08 2022-01-20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3282498A1 (ko) * 2021-07-08 2023-01-12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262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082B1 (ko) 가물막이 구조
KR10215390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1331261B1 (ko)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11321B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CN106759461B (zh) 抗隆支护结构
KR200452946Y1 (ko) 용접 h형 강널말뚝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합성 차수벽체
KR20220012525A (ko)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JP6370295B2 (ja) 盛土の補強構造とその築造方法
KR101145393B1 (ko)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468194B1 (ko) 해안블록 및 해안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JP2006214145A (ja) 堤防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102258280B1 (ko)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67688B1 (ko) 프리캐스트 마감패널을 이용한 호안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315282B1 (ko)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JP2015031093A (ja) 護岸補修用防波壁体及び護岸の補修方法
KR20090084571A (ko) 토목 벽제 건설용 블록구조물 시공 방법
KR101733560B1 (ko) 조립식 팽창형 옹벽블럭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0227536B1 (ko) 벨 타입 강각(鋼殼) 케이슨 공법
JP2571426B2 (ja) 山止め壁の構築方法
KR102586998B1 (ko) 연결부위가 보강된 지하 연속벽 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2240488B1 (ko) 지중연속벽용 연결박스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KR102366158B1 (ko)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KR102411418B1 (ko) 옹벽 시스템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