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280B1 -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280B1
KR102258280B1 KR1020200031927A KR20200031927A KR102258280B1 KR 102258280 B1 KR102258280 B1 KR 102258280B1 KR 1020200031927 A KR1020200031927 A KR 1020200031927A KR 20200031927 A KR20200031927 A KR 20200031927A KR 102258280 B1 KR102258280 B1 KR 10225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wall
reinforcement
reinforcing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280B9 (ko
Inventor
장혁수
김세호
Original Assignee
시지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이엔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지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80B1/ko
Publication of KR10225828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8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2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specially adapted for placing or removing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한 제1,2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설치되는 제1,2,3,4커플러와, 상기 제1,2,3,4커플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벽체 철근망의 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제1,2표시부재와,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 일부와 상기 제1,2표시부재가 함께 제거되면서 노출되는 상기 제1,2,3,4커플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 전면에 연결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 및 상기 연결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제거된 영역과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감싸면서 설치된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Reinforced slurry wall structure connecting discrete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지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하 연속벽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를 결합보강하고 지하 연속벽의 내진성능 및 판넬 조인트 차수보강에 따른 차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을 일정 깊이 이상 굴착하면 붕괴가 되기 때문에 흙막이 벽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흙막이 벽에는 대표적으로 지하 연속벽(slurry wall) 공법이 있다.
지하 연속벽 공법은 안정액을 사용하면서 일정한 폭과 너비로 지반을 수직 굴착한 후, 굴착된 구멍에 연속된 철근 콘크리트 벽을 형성하는 현장 타설 말뚝 공법으로 1950년 초에 이탈리아에서 개발되었으며, 슬러리월공법·다이어프램공법이라고도 하는데, 댐의 기초로 활용되거나 내진벽·방호벽·진동차단벽의 역할,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가설 토류벽 역할 및 본체 벽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지하 연속벽 공법은 소음이나 진동이 적고, 차수성이 높으며, 주변 침하가 적고, 본 구조물 이용이 가능하고, 인접건물과 근접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공사비가 고가이고, 안정액인 벤토나이트의 이수처리가 곤란하며, 공벽붕괴의 우려가 있다는 점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하 연속벽은 시공 특성상, 지하 연속벽의 벽체가 일체화되어 시공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다수개의 단위 벽체가 연결되어 시공됨에 따라 단위 벽체 간의 연결부위는 지속적인 배근이 불가능하게 되어 무근 처리가 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지하 연속벽 설계시부터 양방향 구조설계가 아닌 주 철근이 수직 방향으로만 배근되는 일방향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진다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급격한 기후 변화 및 환경 생태계의 변화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강화된 설계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내진을 고려한 설계가 점차 그 중요도를 더하고 있어, 벽체 간 연결부위에 대한 보강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벽체 간 연결부위에 대한 보강은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주로 지하 연속벽 철근망 근입시 벽체간의 연결부위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H형강, 철판, 앵글 등의 보강재를 구비하여 이웃한 철근망과 최대한 접합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만족스러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공벽 유지를 위한 안정액인 벤토나이트 용액이 존재한 상태에서 자연 흐름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시 각종 보강재 첨가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의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되면서 벤토나이트 용액과 섞여 결국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며, 허니콤과 같은 콘트리트 벽체의 품질 저하 내지 이물질로 인한 연결부위의 부실로 인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59144호(2006.06.0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 작업이 지하 연속벽 시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철근의 조립시 최소한의 철근망과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사용함에 따라 지하 연속벽 시공시 이물질 보강재 첨가를 최소화 하여 기존 지하 연속벽 시공과 같이 콘크리트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지하 연속벽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키고, 지하 연속벽의 시공이 완료된 후, 벽체 간 연결부위의 취약점이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한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은,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에 있어서,
제1,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한 제1,2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설치되는 제1,2,3,4커플러와,
상기 제1,2,3,4커플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벽체 철근망의 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제1,2표시부재와,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 일부와 상기 제1,2표시부재가 함께 제거되면서 노출되는 상기 제1,2,3,4커플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 전면에 연결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 및
상기 연결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제거된 영역과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감싸면서 설치된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은,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에 있어서,
제1,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한 제1,2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2,3,4연장부와,
상기 제1,2,3,4연장부가 구부러진 상태로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벽체 철근망의 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제1,2표시부재와,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 일부와 상기 제1,2표시부재가 함께 제거되면서 노출되는 상기 제1,2,3,4연장부가 바르게 펴진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 전면에 연결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 및
상기 연결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제거된 영역과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감싸면서 설치된 거푸집 내부로 타설되는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벽체 철근망은 상기 제1,2표시부재의 설치 영역 내에서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의 전방 수평철근과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의 전방 수평철근에 겹쳐져 설치되는 제3보조겹이음철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벽체 철근망은 각각의 전방 수평철근에 제1,2겹이음철근이 겹쳐지도록 설치되되, 연결부를 향하는 상기 제1,2겹이음철근의 단부에 상기 제1,2표시부재의 설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제5,6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제5,6커플러에는 상기 제1,2표시부재의 설치 영역 내에서 상기 연결부를 가로지르는 제1,2보조겹이음철근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2표시부재는 스티로폼 또는 목재 또는 철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은,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과 마주하여 이격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과,
상기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과,
상기 제1벽체 철근망과 대응하는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의 제1띠철근에 설치된 제1,2커플러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1띠철근 및
상기 제2벽체 철근망과 대응하는 다른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의 제2띠철근에 설치된 제3,4커플러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2띠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은 상기 구조물 제1,2띠철근에 상하방향으로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가운데 두고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1띠철근이 위치한 쪽의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2띠철근이 위치한 쪽의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에 연결되도록 구조물 제3띠철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은,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과 마주하여 이격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과,
상기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과,
상기 제1벽체 철근망과 대응하는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의 제1띠철근에 형성된 제1,2연장부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1띠철근 및
상기 제2벽체 철근망과 대응하는 다른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의 제2띠철근에 형성된 제3,4연장부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2띠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은 상기 구조물 제1,2띠철근에 상하방향으로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가운데 두고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1띠철근이 위치한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2띠철근이 위치한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에 연결되도록 구조물 제3띠철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으로,
제1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제1,2커플러가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제1,2커플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의 단부쪽 전방에 제1표시부재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단위 벽체가 만들어지는 단계와,
제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2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제3,4커플러가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제3,4커플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 전방에 제2표시부재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단위 벽체가 만들어지는 단계와,
상기 제1단위 벽체와 상기 제2단위 벽체가 이웃하여 연결부를 이루며, 마주하는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1,2,3,4커플러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 전방에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감싸는 거푸집이 만들어지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부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제거된 영역에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 및
타설된 상기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고, 상기 거푸집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따라 보강용 구조물이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으로,
제1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보호부재가 감싸져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보호부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의 단부쪽 전방에 제1표시부재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단위 벽체가 만들어지는 단계와,
제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2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보호부재가 감싸져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보호부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 전방에 제2표시부재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단위 벽체가 만들어지는 단계와,
상기 제1단위 벽체와 상기 제2단위 벽체가 이웃하여 연결부를 이루며, 마주하는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1띠철근의 전방 끝단과 상기 제2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감싸진 보호부재를 제거한 후, 상기 제1띠철근의 전방 끝단과 상기 제2띠철근의 전반 끝단에 제1,2,3,4커플러의 한쪽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 제1,2,3,4커플러의 다른 한쪽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 전방에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감싸는 거푸집이 만들어지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부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제거된 영역에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와,
타설된 상기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고, 상기 거푸집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따라 보강용 구조물이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벽체 철근망의 전방 수평철근에 제1,2겹이음철근이 겹쳐져 연결되고, 상기 제1,2겹이음철근의 끝단에는 상기 제1,2표시부재가 구비되는 영역 안에 위치되도록 제5,6커플러가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5,6커플러에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가로지르도록 제1,2보조겹이음철근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은,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으로,
제1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제1,2연장부가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1,2연장부가 구부려 접히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부러진 상기 제1,2연장부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의 단부쪽 전방에 제1표시부재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1벽체 철근망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단위 벽체가 만들어지는 단계와,
제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2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제3,4연장부가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3,4연장부가 구부려 접히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부러진 상기 제3,4연장부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의 단부쪽 전방에 제2표시부재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2벽체 철근망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단위 벽체가 만들어지는 단계와,
상기 제1단위 벽체와 상기 제2단위 벽체가 이웃하여 연결부를 이루며, 마주하는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안쪽에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1,2,3,4연장부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 전방에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감싸는 거푸집이 만들어지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부와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단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가 제거된 영역에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와,
타설된 상기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고, 상기 거푸집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따라 보강용 구조물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2표시부재가 제거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의 제3보조겹이음철근을 구비하여 상기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제1,2벽체 철근망의 전방 수평철근에 겹쳐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지하 연속벽을 구성하기 위한 이웃하는 단위 벽체의 철근망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간단하게 연결시킨 후,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이웃하는 단위 벽체의 연결부에 보강용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이웃한 단위 벽체의 결합 강도를 더욱 높이고, 지하 연속벽의 내진 성능의 향상은 물론 단위 벽체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이 벽체 조인트 보강 단계에서 방수 처리도 가능하여 누수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벽체 철근망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 의 (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2벽체 철근망이 수용된 제1,2단위 벽체의 제작 과정을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3a, 3b, 3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이 연결된 후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보강용 구조물이 만들어지는 단계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제1,2벽체 철근망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이 연결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5 의 (a)(b)(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2벽체 철근망이 수용된 제1,2단위 벽체의 제작 과정을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6a, 6c, 6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이 연결된 후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보강용 구조물이 만들어지는 단계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7 의 (a)(b)는 본 발명의 제1,2 철근망에 제3보조겹이음철근이 구비되어 보강 구조물 철근망과 연결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8 의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2벽체 철근망이 수용된 제1,2단위 벽체의 제작 과정을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9 의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이 연결된 후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보강용 구조물이 만들어지는 단계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2단위 벽체의 연결부에 보강용 구조물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과 관련된 지하 연속벽 시공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하 연속벽 시공은 지반의 굴착이 필요한 곳에 가이드월(Guide Wall)을 먼저 설치한 후, 크램쉘(Clamshell)과 유압 회전 굴삭기(Hydromill Cutter)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굴착을 하게 되며, 이때 굴착면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굴착공 내부에는 안정액인 벤토나이트(Bentonite) 용액이 주입되는데, 이러한 벤토나이트 용액은 밀도가 크기 때문에 그 액압으로 굴착면의 붕괴가 방지될 수 있다.
이후, 굴착된 굴착공으로 벽체 철근망이 근입되고, 트래미(Tremie)관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기초하부에서부터 벤토나이트 용액과 교체해 가면서 타설하여 하나의 단위 벽체를 완성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소요길이 만큼 단위 벽체를 만든 후 이를 연결시켜 지하 연속벽을 만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하 연속벽 시공을 통해 구성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구조물 및 이러한 보강용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용 구조물의 구성요소는 크게 벽체 철근망에 설치되어 이후 보강 구조물 철근망과 연결되는 커플러와, 벽체 철근망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콘크리트 내부에 위치한 커플러를 노출시키기 위해 벽체 철근망에 미리 설치되는 표시부재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단위 벽체 간의 연결부 전면에 연결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과, 그러한 보강 구조물 철근망에 거푸집을 통해 타설되는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플러(100)는
겹침이음, 가스압접이음, 용접이음과 함께 사용되는 기계식 철근이음의 한 종류이다.
커플러(100)는 제조방식에 따라 주물, 주조, 단조, 밀링, 강관가공 등 여러 금속가공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음방식에 따라 나사식, 쐐기식, 원터치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100)는 다수개의 단위 벽체를 구성하는 벽체 철근망을 후술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에 연결해주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면으로 예시된 커플러의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겹침이음이나 가스압접이음이나 용접이음 또는 기계식 이음으로 그립이음 또는 스퀴즈이음 또는 슬리브충전이음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지하 연속벽(600)을 구성하는 단위 벽체의 벽체 철근망을 도 1 내지 도 3a, 3b, 3c 에서와 같이 제1,2벽체 철근망(510)(520)으로 예를 들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며, 전후방향으로 마주하여 이격되는 후방 수평철근(511)(521)과 전방 수평철근(512)(522)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치되고, 그러한 다수의 후방 수평철근(511)(521)과 전방 수평철근(512)(522)은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후방 수직철근(513)(523)과 다수의 전방 수직철근(514)(524)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후방 수직철근(513)(523)과 전방 수직철근(514)(524)은 수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이는 제1,2띠철근(515)(525)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제1,2띠철근(515)(525)은 후방 수직철근(513)(523)과 전방 수직철근(514)(5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다.
커플러(100)는 이러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쪽 제1,2띠철근(515)(525)의 전방 끝단에 연결되는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2,3,4커플러(110)(120)(130)(140) 일단의 체결공은 제1,2띠철근(515)(525)의 전방 끝단과 체결되고, 제1,2,3,4커플러(110)(120)(130)(140) 타단의 체결공은 후술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는 제1,2벽체 철근망(510)(5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안정제와 함께 굴착공에 근입되고,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제1,2단위 벽체(610)(620)로 만들어지게 되며, 이러한 제1,2단위 벽체(610)(620)들이 연결되어 지하 연속벽(600)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에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를 미리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되는 표시부재(200)를 설치한 다음 안정제와 함께 굴착공에 근입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없는 제1,2단위 벽체(610)(620)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재(200)가 설치된 부위의 콘크리트를 일부 제거하면서 표시부재(200)를 함께 제거하게 되면 제1,2단위 벽체(610)(620)로부터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러한 끝단에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한쪽을 연결시키고,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반대쪽에는 후술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연결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은 표시부재(200)가 설치될 때 테이프 또는 플라스틱 마개(Plastic Cap) 등의 보호부재로 충분하게 감싸주어 안정제나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후 제1,2단위 벽체(610)(620)로부터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을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를 연결시킬 때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에 묻은 이물질로 인해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연결이 어려워지거나 제1,2띠철근(515)(525)의 끝단에 이물질 제거 등의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재(200)는,
도 2의 (a),(b),(c)와 도 3 에서와 같이 제1,2벽체 철근망(510)(520)에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위치한 단부쪽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이 굴착공에 근입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2단위 벽체(610)(620)로 만들어질 때,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에 설치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체결공으로 안정제나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를 외부로 노출시킬 때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위치를 쉽게 확인하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표시부재(200)는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쪽 전면에서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에 설치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위치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쪽 전면에서 함몰되는 형태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두께는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재(200)는 내부에 위치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에 안정제나 콘크리트가 묻지 않도록 예를 들어 스티로폼(Styroform)이나 목재나 철재 및 폴리우레탄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이 결합된 복합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표시부재(200)의 외부 표면에 방수를 위한 방수액 등이 코팅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재(200)는 제1,2벽체 철근망(510)(520)에 설치된 상태에서 굴착공에 근입되고, 이러한 근입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표시부재(200)와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이 내재된 제1,2단위 벽체(610)(620)가 만들어지게 되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내부에는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표시부재(200)에 의해 감싸져 있게 된다.
따라서, 제1,2단위 벽체(610)(620)외 외부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를 노출시켜야 하는 경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으로부터 표시부재(200)가 위치한 영역과 대응하는 콘크리트 일부를 제거한 후, 표시부재(200)를 함께 제거하게 되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에 표시부재(200)의 외형과 두께와 상응하여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이웃하여 서로 연결되는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 연결부(630)에 형성되어 제1,2단위 벽체(610)(620)를 구조적으로 연결시켜주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시공중 판넬 조인트 방수 공사도 병행 시행하여 누수방지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그 실시 예로, 도 1 과 도 3a, 3b, 3c 에서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며, 전후방향으로 마주하여 이격되는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치되고, 그러한 다수의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은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다수의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다수의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은 수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이는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은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제1,2벽체 철근망(510)(520)에 연결되며, 이때 제1,2벽체 철근망(510)(520)에 구비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즉,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1띠철근(321)의 후방 끝단은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1,2커플러(110)(120)와 연결되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2띠철근(322)의 후방 끝단은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3,4커플러(130)(140)와 연결된다.
아울러,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에는 구조적인 강성의 보강하기 위하여 구조물 제3띠철근(32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구조물 제3띠철근(323)은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운데 두고 한쪽은 구조물 제1띠철근(321)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구조물 제2띠철근(322)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과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이 연결되는 다른 실시 예로는,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1띠철근(321)의 후방 끝단은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1커플러(110) 및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3커플러(130)와 연결되고,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2띠철근(322)의 후방 끝단은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4커플러(140) 및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2커플러(120)와 연결되면서 연결부(6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에 구조물 제3띠철근(32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구조물 제3띠철근(323)은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운데 두고 한쪽은 구조물 제1띠철근(321)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구조물 제2띠철근(322)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5의 (a),(b),(c) 와 도 6a, 6b, 6c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강용 구조물의 구조적인 강성 보강을 위하여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제1,2겹이음철근(531)(532)을 연결시키되, 연결부(630)를 향하는 제1,2겹이음철근(531)(532)의 마주하는 끝단에 제5커플러(150)와 제6커플러(160)를 각각 설치하고, 이러한 제5,6커플러(150)(160)는 전술한 표시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으로부터 표시부재(200)가 위치한 영역의 콘크리트 일부가 제거되면서 표시부재(200)가 함께 제거되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에 표시부재(200)의 외형과 두께와 상응한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공간으로 전술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 및 제5.6커플러(150)(160)가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를 이용하여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소정 길이의 제1보조겹이음철근(331)을 준비하여 일단은 제5커플러(150)에 연결시키고 그 타단은 연결부(630)를 가로질러 표시부재(200)가 제거된 영역 내에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맞대어 연결시키고, 소정 길이의 제2보조겹이음철근(332) 또한 준비하여 일단은 제6커플러(160)와 연결시키며 그 타단은 연결부(630)를 가로질러 표시부재(200)가 제거된 영역 내에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맞대어 연결시키거나, 제1보조겹이음철근(331)에 맞대어 연결시키거나,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과 제1보조겹이음철근(331)에 함께 맞대어 연결시켜주면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과 제1,2보조겹이음철근망(331)(332)을 통해 만들어지는 보강용 구조물의 강성이 더욱 견고해지고, 보강용 구조물과 제1,2단위 벽체(610)(620)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제1,2단위 벽체(610)(620)간의 구조적인 연결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보조겹이음철근(331)과 제2보조겹이음철근(332)은 상하방향으로 일치 또는 불일치되면서 서로 접면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후방향으로 일치 또는 불일치되면서 서로 접면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6a, 6c, 6c 에서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1띠철근(321)의 후방 끝단은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1,2커플러(110)(120)와 연결되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2띠철근(322)의 후방 끝단은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3,4커플러(130)(140)와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도면으로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1띠철근(321)의 후방 끝단은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1커플러(110) 및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3커플러(130)와 연결되고,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한 구조물 제2띠철근(322)의 후방 끝단은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4커플러(140) 및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2커플러(120)와 연결되면서 연결부(6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2벽체 철근망(510)(520)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결합은 다른 실시 예로, 도 7 의 (a),(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2겹이음철근(531)(532)이나 제5,6커플러(150)(16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표시부재(120)가 제거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의 제3보조겹이음철근(333)을 구비하여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로지르면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1)(521)에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재료의 절감 및 보강용 구조물의 철근망 시공을 간단하게 하고, 보강용 구조물과 제1,2단위 벽체(610)(620) 사이의 연결 강도 및 제1,2단위 벽체(610)(620)간의 구조적인 연결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과 연결되는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8의 (a),(b) 와 도 9의 (a),(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2벽체 철근망(510)(20)의 제1,2띠철근(515)(525) 전방 끝단에 제1,2,3,4연장부(516)(517)(526)(527)를 연장 형성한 후. 이러한 제1,2,3,4연장부(516)(517)(526)(527)를 제1,2띠철근(515)(525)의 길이방향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대략 90도 구부려 접어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표시부재(200)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 다음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제1,2단위 벽체(610)(62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으로부터 표시부재(200)가 위치한 영역과 대응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을 제거한 다음 표시부재(200)를 함께 제거하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에 표시부재(200)의 외형과 두께와 상응하여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그러한 공간에 접힌 상태의 제1,2,3,4연장부(516)(517)(526)(527)가 노출된다.
따라서, 접힌 제1,2,3,4연장부(516)(517)(526)(527)를 제1,2띠철근(515)(525)의 길이방향과 동일하도록 바르게 펴준 다음, 이러한 제1,2,3,4연장부(516)(517)(526)(527)에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을 설치하고,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 및 제1,2,3,4연장부(516)(517)(526)(527)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다수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다수의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을 설치한 후,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을 수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다수개의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으로 연결시켜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구성한 후, 제1,2벽체 철근망(510)(520)과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2띠철근(515)(525)은 제1,2,3,4연장부(516)(517)(526)(527)가 시작되는 지점이 구부러지고 펴짐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마일드 철근이 될 수 있고, 제1,2띠철근(515)(525)을 일반적인 철근으로 구성하면서 제1,2,3,4연장부(516)(517)(526)(527)가 시작되는 지점에 변형에 따른 내구성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보조부재가 부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는,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제1,2벽체 철근망(510)(520)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외부를 감싸는 거푸집(M)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거푸집(M) 내부 및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에서 일부 콘크리트와 함께 표시부재(200)가 제거되면서 형성된 영역에 타설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타설된 후, 양생 과정을 거치게 되면 제1,2단위 벽체(610)(620)가 제1,2벽체 철근망(510)(520)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도 10 과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용 구조물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용 구조물의 시공되는 중요한 단계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이러한 다수개의 단위 벽체가 연결되어 지하 연속벽을 구성하는 시공방법으로, 먼저 벽체 철근망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띠철근의 전방 끝단에 커플러가 설치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도 1 과 같이 다수의 후방 수평철근(511)(521)과 다수의 전방 수평철근(512)(522)과 다수의 후방 수직철근(513)(523)과 다수의 전방 수직철근(514)(524) 및 다수의 제1,2띠철근(515)(525)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이 제작될 때,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띠철근(515) 전방 끝단으로 제1,2커플러(110)(120)가 설치되고,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2띠철근(525) 전방 끝단으로 제3,4커플러(130)(14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이후, 도 2의 (a)와 같이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쪽 전방에 제1,2표시부재(210)(220)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그러한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도 2 의 (b)와 같이 굴착공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제1,2단위 벽체(610)(620)가 순차적으로 만들어지고, 이를 서로 연결시킨 다음, 도 2 의 (c)와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을 제거하면서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에 얇게 매입된 제1,2표시부재(210)(220)를 함께 제거하면 제1,2표시부재(210)(220)에 감싸져 있던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후 이러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연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도 1 및 도 3a와 같이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다수의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다수의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과 다수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다수의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다수의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 및 다수의 구조물 제1,2,3띠철근(321)(322)(323)을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구조물 제1띠철근(321) 후방 끝단은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1,2커플러(110)(120)와 연결되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구조물 제2띠철근(322)의 후방 끝단은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3,4커플러(130)(140)와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사이에 두고 한쪽은 구조물 제1띠철근(321)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구조물 제2띠철근(322)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단계이다.
이후, 도 3b에서와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제1,2벽체 철근망(510)(520)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면에 위치한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외부가 거푸집(M)에 의해 감싸지는 단계와, 이러한 거푸집(M) 내부와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에서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되면서 제거된 영역으로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타설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러한 단계가 수행되어 타설된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양생되면 도 3c 및 도 10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연결부(630)에 상하방향으로 보강용 구조물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제1,2겹이음철근(531)(532)을 겹쳐 연결하고, 연결부(530)를 향하게 되는 제1,2겹이음철근(531)(532)의 끝단에 제1,2표시부재(210)(220)가 구비되는 영역으로 제5,6커플러(150)(160)를 설치하여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을 제작한 후, 도 5 의 (a)와 같이 안정제(도면중 미도시)와 함께 굴착공으로 근입되고, 이후 도 5 의 (b)와 같이 굴착공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다음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제1,2벽체 철근망(510)(520)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 5 의 (c)와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의 일부분을 제거하면서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에 얇게 매입된 제1,2표시부재(210)(220)를 함께 제거하게 되면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제1,2띠철근(515)(525)에 구비된 제1,2,3,4커플러(110)(120)(130)(140) 및 제1,2겹이음철근(531)(532)에 구비된 제5,6커플러(150)(160)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을 연결시키면서 제1,2보조겹이음철근(331)(332)을 제5,6커플러(150)(160)에 연결시키고, 도 6b와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제1,2벽체 철근망(510)(520)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과 제1,2보조겹이음철근(331)(332)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면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외부를 감싸는 거푸집(M)이 만들어지며, 그러한 거푸집(M) 내부와 제1,2단위 벽체(610)(610)의 전면에서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되면서 제거된 영역에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타설되어 양생되면 도 6c와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연결부(630)에 상하방향으로 보강용 구조물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과 제1,2보조겹이음철근망(331)(332)을 통해 만들어지는 보강용 구조물의 강성이 더욱 견고해지고, 보강용 구조물과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강도 및 제1,2단위 벽체(610)(620)간의 구조적인 연결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강용 구조물의 시공되는 중요한 단계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이러한 다수개의 단위 벽체가 연결되어 지하 연속벽을 구성하는 시공방법으로, 먼저 다수의 후방 수평철근(511)(521)과 다수의 전방 수평철근(512)(522)과 다수의 후방 수직철근(513)(523)과 다수의 전방 수직철근(514)(524) 및 다수의 제1,2띠철근(515)(525)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이 제작될 때,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띠철근(515) 전방 끝단으로 소정 길이의 제1,2연장부(516)(517)가 형성되고,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2띠철근(525) 전방 끝단으로 소정 길이의 제3,4연장부(526)(527)가 형성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1,2띠철근(515)(525)의 제1,2,3,4연장부(516)(517)(526)(527)는 도 8 의 (a)와 같이 안쪽으로 구부려 접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2,3,4연장부(516)(517)(526)(527)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쪽 전방에 제1,2표시부재(210)(220)가 설치된 다음 안정제(도면중 미도시)와 함께 굴착공으로 근입된 후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도 8의 (b)과 같이 굴착공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제1,2단위 벽체(610)(620)가 순차적으로 만들어지고, 이를 서로 연결시킨 다음 도 9 의 (a)와 같이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을 제거하게 되면 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에 얇게 매입된 제1,2표시부재(210)(220)가 함께 제거되고, 제1,2표시부재(210)(220)에 감싸져 있던 제1,2띠철근(515)(525)의 제1,2,3,4연장부(516)(517)(526)(527)가 노출되며, 이러한 제1,2,3,4연장부(516)(517)(526)(527)를 다시 도 9의 (a)와 같이 원상태로 편 다음 제1,2,3,4연장부(516)(517)(526)(527)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연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도 9의 (b)에서와 같이 제1,2띠철근(515)(525)의 제1,2,3,4연장부(516)(517)(526)(527)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다수의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이 연결되고, 이러한 제1,2,3,4연장부(516)(517)(526)(527)와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 및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의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다수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다수의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이 연결된다.
여기서,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은 대향되는 양쪽이 각각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을 통해 감싸져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사이에 두고 한쪽은 구조물 제1띠철근(321)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구조물 제2띠철근(322)이 위치한 쪽의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단계이다.
이후,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제1,2벽체 철근망(510)(520)과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면에서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의 외부를 감싸는 거푸집(M)이 만들어지는 단계가 수행되고, 그러한 거푸집(M) 내부와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전면에서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되면서 제거된 영역으로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타설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러한 단계가 수행되어 타설된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양생되면 제1,2단위 벽체(610)(6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연결부(630)에 상하방향으로 보강용 구조물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제1,2띠철근(515)(525)에 형성되는 제1,2,3,4연장부(516)(517)(526)(527)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의 제3보조겹이음철근(333)을 구비하여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로지르면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제1,2단위 벽체(610)(620)의 구조적인 연결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커플러 110 : 제1커플러
120 : 제2커플러 130 : 제3커플러
140 : 제4커플러 150 : 제5커플러
160 : 제6커플러 200 : 표시부재
210 : 제1표시부재 220 : 제2표시부재
300 : 보강 구조물 철근망 311 :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
312 :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 313 :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
314 :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 315 :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
321 : 구조물 제1띠철근 322 : 구조물 제2띠철근
323 : 구조물 제3띠철근 331 : 제1보조겹이음철근
332 : 제2보조겹이음철근 333 : 제3보조겹이음철근
400 :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 510 : 제1벽체 철근망
511,521 : 후방 수평철근 512,522 : 전방 수평철근
513,523 : 후방 수직철근 514,524 : 전방 수직철근
515 : 제1띠철근 516 : 제1연장부
517 : 제2연장부 520 : 제2벽체 철근망
525 : 제2띠철근 526 : 제3연장부
527 : 제4연장부 531 : 제1겹이음철근
532 : 제2겹이음철근 600 : 지하 연속벽
610 : 제1단위 벽체 620 : 제2단위 벽체
630 : 연결부 M : 거푸집

Claims (16)

  1.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에 있어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쪽에 위치한 제1,2띠철근(515)(525)의 전방 끝단에 설치되는 제1,2,3,4커플러(110)(120)(130)(140);
    상기 제1,2,3,4커플러(110)(120)(130)(14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제1,2표시부재(210)(220);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 일부와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함께 제거되면서 노출되는 상기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에 연결되어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면에 연결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 및
    상기 연결부(630)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된 영역과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감싸면서 설치된 거푸집(M) 내부로 타설되는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
    가 포함되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2.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에 있어서,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쪽에 위치한 제1,2띠철근(515)(525)의 전방 끝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1,2,3,4연장부(516)(517)(526)(527);
    상기 제1,2,3,4연장부(516)(517)(526)(527)가 구부러진 상태로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제1,2표시부재(210)(220);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 일부와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함께 제거되면서 노출되는 상기 제1,2,3,4연장부(516)(517)(526)(527)가 바르게 펴진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면에 연결되는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 및
    상기 연결부(630)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된 영역과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감싸면서 설치된 거푸집(M) 내부로 타설되는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
    가 포함되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은,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의 설치 영역 내에서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전방 수평철근(512)과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전방 수평철근(522)에 겹쳐져 설치되는 제3보조겹이음철근(333)이 더 포함되는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은,
    각각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제1,2겹이음철근(531)(532)이 겹쳐지도록 설치되되, 연결부(630)를 향하는 상기 제1,2겹이음철근(531)(532)의 단부에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의 설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제5,6커플러(150)(160)가 설치되고, 상기 제5,6커플러(150)(160)에는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의 설치 영역 내에서 상기 연결부(630)를 가로지르는 제1,2보조겹이음철근(331)(332)이 각각 설치되는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는,
    스티로폼 또는 목재 또는 철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마주하여 이격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
    상기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과 대응하는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설치된 제1,2커플러(110)(120)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1띠철근(321); 및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과 대응하는 다른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설치된 제3,4커플러(130)(140)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2띠철근(322);
    이 포함되는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상기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에 상하방향으로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이 더 구비되는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운데 두고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1띠철근(321)이 위치한 쪽의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2띠철근(322)이 위치한 쪽의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에 연결되도록 구조물 제3띠철근(323)이 더 구비된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과 마주하여 이격되는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
    상기 구조물 후방 수평철근(311)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
    상기 구조물 전방 수평철근(312)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과 대응하는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의 제1띠철근(515)에 형성된 제1,2연장부(516)(517)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1띠철근(321); 및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과 대응하는 다른 한쪽에서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과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둘러싸면서 연결되며, 끝단이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의 제2띠철근(525)에 형성된 제3,4연장부(526)(527)와 연결되는 구조물 제2띠철근(322);
    이 포함되는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상기 구조물 제1,2띠철근(321)(322)에 상하방향으로 구조물 측방 수직철근(315)이 더 구비되는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은,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운데 두고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1띠철근(321)이 위치한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구조물 제2띠철근(322)이 위치한 상기 구조물 후방 수직철근(313)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구조물 전방 수직철근(314)에 연결되도록 구조물 제3띠철근(323)이 더 구비된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12.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으로,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띠철근(515)의 전방 끝단에 제1,2커플러(110)(120)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제1,2커플러(110)(12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쪽 전방에 제1표시부재(210)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단위 벽체(610)가 만들어지는 단계;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2띠철근(525)의 전방 끝단에 제3,4커플러(130)(140)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제3,4커플러(130)(14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쪽 전방에 제2표시부재(220)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단위 벽체(620)가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제1단위 벽체(610)와 상기 제2단위 벽체(620)가 이웃하여 연결부(630)를 이루며, 마주하는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방에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감싸는 거푸집(M)이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거푸집(M) 내부와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된 영역에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타설되는 단계; 및
    타설된 상기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의 양생이 완료되고, 상기 거푸집(M)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따라 보강용 구조물이 형성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
  13.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으로,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띠철근(515)의 전방 끝단에 보호부재가 감싸져 설치되는 단계;
    상기 보호부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쪽 전방에 제1표시부재(210)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단위 벽체(610)가 만들어지는 단계;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2띠철근(525)의 전방 끝단에 보호부재가 감싸져 설치되는 단계;
    상기 보호부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쪽 전방에 제2표시부재(220)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단위 벽체(620)가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제1단위 벽체(610)와 상기 제2단위 벽체(620)가 이웃하여 연결부(630)를 이루며, 마주하는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1띠철근(515)의 전방 끝단과 상기 제2띠철근(525)의 전방 끝단에 감싸진 보호부재를 제거한 후, 상기 제1띠철근(515)의 전방 끝단과 상기 제2띠철근(525)의 전반 끝단에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한쪽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 제1,2,3,4커플러(110)(120)(130)(140)의 다른 한쪽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방에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감싸는 거푸집(M)이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거푸집(M) 내부와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된 영역에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타설되는 단계; 및
    타설된 상기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의 양생이 완료되고, 상기 거푸집(M)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따라 보강용 구조물이 형성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제1,2겹이음철근(531)(532)이 겹쳐져 연결되고, 상기 제1,2겹이음철근(531)(532)의 끝단에는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구비되는 영역 안에 위치되도록 제5,6커플러(150)(160)가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5,6커플러(150)(160)에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로지르도록 제1,2보조겹이음철근(331)(32)이 연결되는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
  15. 벽체 철근망이 지반의 굴착공에 근입된 상태에서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단위 벽체가 만들어지고, 상기 단위 벽체가 복수개로 만들어져 서로 연결되는 지하 연속벽의 연결부위 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으로,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띠철근(515)의 전방 끝단에 제1,2연장부(516)(517)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1,2연장부(516)(517)가 구부려 접히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부러진 상기 제1,2연장부(516)(517)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의 단부쪽 전방에 제1표시부재(210)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1벽체 철근망(510)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단위 벽체(610)가 만들어지는 단계;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제2띠철근(525)의 전방 끝단에 제3,4연장부(526)(527)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3,4연장부(526)(527)가 구부려 접히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부러진 상기 제3,4연장부(526)(527)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의 단부쪽 전방에 제2표시부재(220)가 설치된 후, 안정제와 함께 상기 제2벽체 철근망(520)이 상기 굴착공으로 근입된 다음 상기 굴착공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2단위 벽체(620)가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제1단위 벽체(610)와 상기 제2단위 벽체(620)가 이웃하여 연결부(630)를 이루며, 마주하는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쪽 콘크리트 일부분이 제거되면서 안쪽에 얇게 매입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함께 제거되고, 이에 노출되는 상기 제1,2,3,4연장부(516)(517)(526)(527)에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 전방에 상기 보강 구조물 철근망(300)을 감싸는 거푸집(M)이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거푸집(M) 내부와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단부 전면에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된 영역에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가 타설되는 단계; 및
    타설된 상기 보강 구조물 콘크리트(400)의 양생이 완료되고, 상기 거푸집(M)이 제거되면서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따라 보강용 구조물이 형성되는 단계;
    가 포함되는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표시부재(210)(220)가 제거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의 제3보조겹이음철근(333)을 구비하여 상기 제1,2단위 벽체(610)(620)의 연결부(630)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제1,2벽체 철근망(510)(520)의 전방 수평철근(512)(522)에 겹쳐지도록 연결된 것인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00031927A 2020-03-16 2020-03-16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5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27A KR102258280B1 (ko) 2020-03-16 2020-03-16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27A KR102258280B1 (ko) 2020-03-16 2020-03-16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280B1 true KR102258280B1 (ko) 2021-06-01
KR102258280B9 KR102258280B9 (ko) 2022-09-20

Family

ID=7637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27A KR102258280B1 (ko) 2020-03-16 2020-03-16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674A (ko) * 2021-12-23 2023-06-30 조정혜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KR102586998B1 (ko) 2022-09-02 2023-10-10 장혁수 연결부위가 보강된 지하 연속벽 판넬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779A (ja) * 2004-08-26 2006-03-09 Takeshige Shimonohara 構造材とその接合構造物
KR20060059144A (ko) 2004-11-26 2006-06-01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100031815A (ko) * 2008-09-16 2010-03-25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356724B1 (ko) * 2013-07-26 2014-02-03 김규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779A (ja) * 2004-08-26 2006-03-09 Takeshige Shimonohara 構造材とその接合構造物
KR20060059144A (ko) 2004-11-26 2006-06-01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100031815A (ko) * 2008-09-16 2010-03-25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356724B1 (ko) * 2013-07-26 2014-02-03 김규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674A (ko) * 2021-12-23 2023-06-30 조정혜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KR102568888B1 (ko) * 2021-12-23 2023-08-21 조정혜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KR102586998B1 (ko) 2022-09-02 2023-10-10 장혁수 연결부위가 보강된 지하 연속벽 판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280B9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9975B2 (ja) 擁壁の施工方法
KR102258280B1 (ko)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90101A (ko) 타설 막음장치 및 연장 철근을 이용한 연속구조형 슬러리월 시공구조와 방법, 및 그 시공 장치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JP5351676B2 (ja) 大断面トンネル
KR100758504B1 (ko)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KR102586998B1 (ko) 연결부위가 보강된 지하 연속벽 판넬 및 그 시공방법
JP2012031678A (ja) 構造物用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342137B1 (ko) 내진보강 슈퍼 프레임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0733718B1 (ko)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KR102316011B1 (ko)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JP2018009388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20220065461A (ko) 지하 연속벽체 겹이음을 위한 철근구조물,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20170052317A (ko)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KR200293048Y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지하벽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
JP3668194B2 (ja) 地下連続壁構築方法
KR20200101636A (ko) 수직ㆍ수평 이음이 용이한 벽체용 콘크리트 복합파일
CN220378272U (zh) 接收井及顶管工程体
KR102151496B1 (ko) 콘크리트 강재 합성 지하 연속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0286397Y1 (ko) 삼각형상의 앵커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KR102240488B1 (ko) 지중연속벽용 연결박스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JP6925091B1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
KR102623877B1 (ko) 매설차단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연속벽체 시공방법
JPH10195866A (ja) 地中連続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