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144A -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144A
KR20060059144A KR1020050004569A KR20050004569A KR20060059144A KR 20060059144 A KR20060059144 A KR 20060059144A KR 1020050004569 A KR1020050004569 A KR 1020050004569A KR 20050004569 A KR20050004569 A KR 20050004569A KR 20060059144 A KR20060059144 A KR 2006005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main beam
construction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633B1 (ko
Inventor
박길석
Original Assignee
박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석 filed Critical 박길석
Publication of KR2006005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3/00Land vehicles, waterborne vessels, or aircraft, adapted or modified to travel on air cushions
    • B60V3/06Waterbor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중간위치에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메인 빔이 위치되고, 각 측면 위치에는 빔 플레이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안쪽에 보강 철근이 설치된 구조로 조립 구성된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연결구조체를 단위 판넬간 연결부 위치에 설치한 뒤, 그 측면을 구성하는 빔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이어 빔 플레이트의 제거로 개방되는 연결구조체의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의 시공 공간에 걸쳐 철근망을 설치한 다음,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함으로써, 단위 판넬 및 연결구조체가 철근망 및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가 될 수 있게 시공하는 지하연속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단위 판넬들이 상기 연결구조체를 매개로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는 바, 토압 등 외력작용에 의해 각 단위 판넬이 서로 다르게 거동하는 종래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 후 차단 플레이트가 단위 판넬간 연결부위를 완전 밀폐시키므로 종래와 같은 단위 판넬간 연결부위의 누수문제 및 그로 인한 결로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다.
지하연속벽, 연결구조체, 단위 판넬, 차단 플레이트, 메인 빔, 빔 플레이트

Description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Joint structure for unit pannel of underground new diaphragm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diaphragm wall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지하연속벽의 횡단면도,
도 2a ~ 도 2i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를 사용하여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각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조립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렌치 2 : 트렌치
100 : 단위 판넬 102 : 철근망
110 : 연결구조체 111 : 메인 빔
111c : 관통공 112 : 고무 O-링
113 : 차단 플레이트 113a : 단위 플레이트
114 : 레일부재 115 : 가이드 부재
116 : 빔 플레이트 117 : 보강 철근
118 : 수평인장철근 119 : 수직주철근
121 : 커플러 122 : 스페이서
123 : 방수판 123a : 관통공
124 : 고정철근 130 : 바닥 플레이트
본 발명은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 플레이트 사이의 중간위치에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메인 빔이 위치되고, 각 측면 위치에는 빔 플레이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 안쪽에 보강 철근이 설치된 구조의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와, 이를 이용하여 각 단위 판넬들이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게 시공하는 지하연속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연속벽 등과 같은 구조물은 일정한 폭과 너비로 지반을 수직으로 굴착한 후, 이렇게 조성한 연속 굴착공에 각각의 단위 판넬이 일렬로 연속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벤토나이트(안정액) 속에 철근망을 건입하고, 이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시공한다.
도 1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종래 지하연속벽 구조물의 횡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 예로, 각각의 독립적인 철근망(10)을 갖는 단위 판넬(11)을 일렬로 배치하는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연속벽 구조물의 경우, 각 단위 판넬(11)이 콘트리트 타설을 통해 연속으로 붙어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단위 판넬(11)별로 분리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위 판넬(11)간 연결부위가 무근 콘크리트 타설 형태로 시공되고, 이로 인하여 토압이 작용하게 되면 각 단위 판넬(11)이 서로 다르게 거동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의 철근망(10)도 단위 판넬(11)별로 완전 분리된 구조임을 볼 수 있다.
또한, 방수재(water stop)를 넣지 않는 방식이거나, 지하연속벽 구조물 시공시에 방수재를 삽입하는 방식이 수중 트렌치(trench) 속에서 시공되는 방식, 즉 육안으로 볼 수 없는 트렌치 내에서 시공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확한 시공을 수행할 수 없고, 이에 지하연속벽 시공 후 특히 판넬 연결부위의 누수문제 및 그로 인한 심한 결로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추가로 벽체 내벽 방수시공은 물론 내부 조적 벽돌쌓기를 해야 하는 등 경제적인 측면이나 공간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단위 판넬의 각 연결부 위치에 시공되어 단위 판넬들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토압 등 외력작용에 의해 단위 판넬들이 서로 다르게 거동하는 종래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시공 후 단위 판넬간 연결부위를 밀폐시켜 연결부위의 누수문제 및 그로 인한 결로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는, 그 일 실시예로서,
I 형강 또는 H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하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 플레이트와 하기 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메인 빔과;
상기 메인 빔의 양 측면부쪽에 설치되고, 메인 빔을 사이에 두고 평행 배치되어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형태의 전면벽과 후면벽을 형성하는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I 형강으로 구비되어 상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함께 좌우 양 측면 위치에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측면 위치에서 각 측면부가 가이드 부재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된 빔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여 상기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양측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보강 철근;
을 포함하여 조립 구성되고, 단위 판넬간 각 연결부 위치에 수직 시공되어, 상기 빔 플레이트의 제거로 측면 개방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과 양측 단위 판넬 공간에 걸쳐 시공된 철근망 및 콘크리트에 의해 단위 판넬과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철근이, 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 빔 중앙부에서 양 측면부쪽 인근의 양측 위치에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형성된 각 관통공에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철근이, 그 다른 실시예로서,
직사각형 구조로 구비되어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에서 각각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설치되고, 각 내부공간에서 양측 차단 플레이트 내측면에 인접되게 횡방향 배치되어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메인 빔과 가이드 부재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 안쪽에서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 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철근이, 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된 'ㄷ'자 구조로 구비되어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에서 각각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설치되고, 각 내부공간에서 양측 차단 플레이트 내측면에 인접되게 횡방향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차단 플레이트 내측면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용접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메인 빔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빔 측면부에 횡방향 설치된 소정 간격의 레일부재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단위 플레이트들로 조립 구성되고, 상기 각 레일부재의 양 단부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메인 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레일부재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용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는, 그 다른 실시예로서,
요철구조의 단면구조를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하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 플레이트와 하기 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을 사이에 두고 평행 배치되어 방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형태의 전면벽과 후면벽을 형성하는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I 형강으로 구비되어 상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함께 좌우 양 측면 위치에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측면 위치에서 각 측면부가 가이드 부재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된 빔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여 상기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양측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방수판 고정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보강 철근;
을 포함하여 조립 구성되고, 단위 판넬간 각 연결부 위치에 수직 시공되어, 상기 빔 플레이트의 제거로 측면 개방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과 양측 단위 판넬 공간에 걸쳐 시공된 철근망 및 콘크리트에 의해 단위 판넬과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철근이,
상기 방수판에서 상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 인근 위치에 방수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형성된 각 관통공에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과;
상기 양측 차단 플레이트쪽으로 설치된 두 수평인장철근을 횡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방수판 양쪽면으로 설치되어 방수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위치 고정시 키는 고정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방수판 길이방향 소정 간격으로 횡방향 배치된 레일부재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단위 플레이트들로 조립 구성되고, 상기 각 레일부재의 양 단부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메인 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레일부재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용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시공시의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빔, 차단 플레이트,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각각의 단위 판넬을 일렬로 연속된 구조가 되도록 시공하는 지하연속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단위 판넬간 각 연결부 위치에 지반을 수직 굴착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 안정액을 투입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트렌치 내에 연결구조체를 수직으로 건입하고, 각 트랜치 내에서 상기 연결구조체 주변의 공간에 안정액 회수와 더불어 충전재를 채우는 단계와;
(c) 이웃 시공된 연결구조체 사이에 지반을 수직 굴착하여 단위 판넬이 시공될 공간인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d) 각 연결구조체에서 단위 판넬이 시공되는 쪽의 빔 플레이트 주변에 채워진 충전재를 제거하고, 단위 판넬 시공 공간의 트렌치 내에 안정액을 투입하는 단 계와;
(e) 각 연결구조체에서 단위 판넬이 시공되는 쪽의 빔 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f) 각 연결구조체에서 빔 플레이트 제거로 측면 개방된 차단 플레이트 안쪽의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 시공 공간의 트렌치에 걸쳐 철근망을 건입하고, 상기 각 공간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일체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하연속벽의 시공시에 일렬로 연속된 구조가 되도록 시공되는 단위 판넬간의 각 연결부 위치에 설치되는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지하연속벽을 시공할 경우 상기 연결구조체를 각 연결부 위치에 우선 설치한 후 이를 연결부위로 하여 각 단위 판넬 시공을 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조체를 이용하여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각 연결구조체 설치 후 그 측면을 구성하는 빔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이 빔 플레이트의 제거로 개방되는 연결구조체의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의 시공 공간에 걸쳐 철근망을 설치한 후,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함으로써, 단위 판넬 및 연결구조체가 철근망 및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가 되도록 하여 시공하는 것에 그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
도 2a ~ 도 2j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를 사용하여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각 공정시 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지하연속벽은 각각의 단위 판넬(100)이 일렬로 연속된 구조가 되도록 하여 시공되는데, 지하연속벽을 구성하는 각 단위 판넬의 시공에 앞서 단위 판넬간 연결부 위치에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110)를 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110)를 시공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렬로 연속되게 시공되는 단위 판넬(100)간의 연결부 위치에 일정한 폭과 너비로 지반을 수직으로 굴착하여 상기 연결구조체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공간인 트렌치(1)를 형성시킨다.
이때, 굴착된 트렌치(1)의 폭과 너비는 현장 조건에 따라 설계되며, 수직 삽입되는 연결구조체(110)의 주변으로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이 존재할 수 있도록 약간 넓게 굴착한다.
또한, 이때 사용하는 굴착장비는 통상의 지반 굴착시와 마찬가지로 트렌치 커터 시스템(trench cutter system) 등과 같은 범용장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반을 굴착하면서 형성된 트렌치가 붕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굴착 후에는 안정액, 즉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청수에 혼합하여 투입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단위 판넬간 연결부 위치에 시공한 트렌치(1) 내에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110)를 수직으로 건입하고(도 2b 참조), 트렌치(1) 내에서 연결구조체(110) 주변의 공간에는 벤토나이트 회수와 더불어 적정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만든 충전재를 채운다(도 2c 참조).
여기서, 충전재는 물:벤토나이트:슬라임(slime) 또는 모래를 1:0.1:0.1의 배 합비로 하여 혼합한 것을 사용하거나, 시멘트를 추가로 사용할 경우 배합비를 조정하여 물:벤토나이트:슬라임 또는 모래:시멘트를 1:0.1:0.02:0.2의 배합비로 하여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슬라임 또는 모래의 비율을 상기 배합비보다 낮게 할 경우 연결구조체의 구속이 안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에서도 시멘트의 비율을 상기 배합비보다 높게 할 경우 추후 빔 플레이트의 제거가 어렵고, 너무 낮출 경우 연결구조체의 구속이 안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조체(110)의 시공시 단위 판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대쪽 연결부 위치에도 앞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으로 또 다른 연결구조체를 동시 또는 순차 시공한다.
이하, 다음의 공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에 대하여 다음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그 이후의 공정은 연결구조체를 설명한 후 도 2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각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조립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a와 도 3b는 도 4a에 예시한 보강 철근(17) 구조를 가지는 연결 구조체(110)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 내지 도 4f의 각 실시예에 대한 분리사시도 및 조립사시도는 제시한 횡단면 구조를 통해 도 3a와 도 3b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110)는 지하연속벽을 구성하는 단위 판넬(100)간 각 연결부 위치에 선시공되는 것으로, 특히 두 단위 판넬(100)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의 단위 판넬(100)과 철근망(102) 및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바, 단위 판넬과 함께 지하연속벽을 구성하면서 양측의 두 단위 판넬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두 단위 판넬(100)간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 플레이트(113)를 통해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도 4f 참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110)는 단위 판넬 시공시 제거하게 되는 빔 플레이트(116)를 제외하고는 지하연속벽 내에 매입되는 영구 구조체가 된다.
그 구성을 보면, 상기 연결구조체(110)는 I 형강 또는 H 형강으로 실시되고 후술하는 차단 플레이트(113) 및 빔 플레이트(116)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중간위치에서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게 되는 메인 빔(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빔(111)의 양 측면부(111b)에는 연결구조체(110)에서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형태의 전면벽과 후면벽을 형성(도 4a 내지 도 4f의 횡단면 구조에서 상부벽과 하부벽을 형성)하는 차단 플레이트(113)가 메인 빔(1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두 차단 플레이트(1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두 단위 판넬(100)간 연결부위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며, 중간위치의 메인 빔(111)에 의해 고정 되어, 좌우 양 측면 위치에 설치되는 빔 플레이트(116)와 함께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차단 플레이트(113)는 상하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위 플레이트(113a)가 조립된 구조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메인 빔(111)의 양 측면부(111b)에 설치된 레일부재(114)에 의해 단위 플레이트(113a)들이 조립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빔(111)의 양 측면부(111b)에는 단위 플레이트(113a)가 측방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된 플레이트 설치용 레일부재(114)가 메인 빔(1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용접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114)는 단위 플레이트(113a)가 측방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114)들은 각 단위 플레이트(113a)의 상하 각 테두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상하 간격을 두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114)로는 각 단위 플레이트(113a)의 테두리 부분이 끼워져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ㄷ'자 단면구조를 가지는 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연결구조체(110)의 맨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레일부재는 한쪽방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 단위 플레이트(113a)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는 레일부재의 경우 상하 양쪽으로 단위 플레이트(113a)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 즉 두 개의 'ㄷ'자 형강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용접 결합된 구조이거나 '
Figure 112005002750069-PAT00001
' 단면구조의 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 플레이트(113)를 구성하는 각 단위 플레이트(113a)로는 철판이나 합판, 적정 강도의 플라스틱 판이나 스티로폼, 압착판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레일부재(114)의 양 단부 안쪽면에는 역시 레일구조로 된 가이드 부재(115)가 용접 설치되는데, 상기 각 가이드 부재(115)가 메인 빔(1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레일부재(114)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각 레일부재들에 용접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15)는 I 형강으로 실시되는 빔 플레이트(116)가 연결구조체(110)의 좌우 양 측면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빔 플레이트(116)는 레일부재(114)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5)에 양 측면부(116a)가 삽입된 상태로 하여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5)는 레일부재(114) 내측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나란히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 부재(115) 쌍이 메인 빔(111)을 중심으로 하여 레일부재(114) 양 단부쪽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빔 플레이트(116)는 메인 빔(111)과 같이 연결구조체(110)의 상하 높이방향(메인 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연결구조체의 측면을 구성하게 되는 부재로서, 연결구조체(110)의 상단쪽에서 각 측면부(116a)를 측면 위치에 설치된 각 가이드 부재(115) 쌍에 끼운 뒤 밀어 넣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빔 플레이트(116)는 두 차단 플레이트(113)간에 설치되어 측면을 구성하게 되며, 또한 가이드 부재(115)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빼내는 경우 간단히 제 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결국, 상기 차단 플레이트(113)와 양 측면 위치의 빔 플레이트(116)는 조립상태에서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폐단면구조를 이루게 되고, 상기 내부공간 중앙에는 메임 빔(111)이 공간을 구획하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조체(110)의 내부공간에는 보강을 위한 철근(17)이 소정 배치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구조체 구조에서, 상기 메인 빔(111)은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113)와 양 측면 위치의 빔 플레이트(116)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빔 플레이트(116)가 제거된 상태에서 메인 빔(111)을 중심으로 구획된 각 내부공간과 해당 단위 판넬 시공 공간에 걸쳐 철근망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되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110)는 양측의 두 단위 판넬과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조체(110)에서 시공시의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단에는, 트렌치 내에서 수직으로 건입된 연결구조체 주변의 공간에 충전재를 채우는 과정에서 메인 빔(111), 차단 플레이트(113), 빔 플레이트(116) 등 연결구조체(110) 구성의 최하단을 통해 충전재가 연결구조체(110)의 내부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재 차단 역할을 하는 바닥 플레이트(13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130)는 연결구조체의 최하단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충전재 채움시에 충전재가 최하단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연결구조체 (110)의 최하단을 밀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130)는 연결구조체(110)의 최하단에서 메인 빔(111), 차단 플레이트(113), 빔 플레이트(116)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상하 높이방향에 대해 횡으로 설치되며, 최하단 위치에서 대응부위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트랜치 내에 건입된 연결구조체(110)의 최하단에서 내부공간으로의 충전재 침투방향은 상방향이고, 충전재가 미는 힘은 바닥 플레이트(130)를 상방으로 미는 힘이기 때문에, 상기 바닥 플레이트(130)의 용접점은 많을 필요는 없으나, 바닥 플레이트(130)를 최하측 차단 플레이트(113)가 끼워지는 하측 레일부재(114), 가이드 부재(115) 하단 끝면, 메인 빔(111) 하단 끝면 등에 적절히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f는 내부의 철근 설치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차단 플레이트(113), 보다 명확히는 단위 플레이트(113a)로 철판이 사용된 경우에 철근이 설치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빔(111)의 중앙부(111a)에서 각 측면부(111b)쪽 인근의 양측 위치에 메인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공(111c)을 형성하고, 각 관통공(111c)에 수평인장철근(118)을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한 것으로, 특히 관통공(111c)에 고무 O-링(112)을 끼운 후 이 고무 O-링에 수평인장철근(118)을 삽입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무 O-링(112)은 메인 빔(111)의 관통공(111c)과 수평인장철 근(118)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이는 관통공 차단재 역할을 하는 바, 수평인장철근(118)이 끼워진 상태로 메인 빔(111)에 의해 구획된 도면상의 좌우 양측 공간 사이에서 반대쪽 공간으로 물이나 벤토나이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수평인장철근(118)은 양 단부를 적절히 절곡하여 차단 플레이트(단위 플레이트)(113) 내측면에 용접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118)이 등간격으로 나란히 반복 설치된 상태에서 양측 수평인장철근(118)의 내부공간으로는 각각 연결구조체(110)의 상하 높이방향(메인 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직주철근(119)이 설치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각 차단 플레이트(113)와 각 수평인장철근(118)이 형성하는 공간 안쪽으로 다수개의 수직주철근(119)이 수평인장철근(118)과 횡방향으로 설치됨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b는 철근 연결 커플러(121)가 사용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바, 이는 플레이트(113)상의 용접을 위하여 각 수평인장철근(118)의 양 단부가 크게 절곡되어 메인 빔(111)의 관통공(111c)에 끼우기가 곤란할 경우 실시 가능한 예로서, 각 수평인장철근(118)을 두 부분으로 분리 구성하여 한쪽의 철근을 관통공(111c)에 삽입한 후 양쪽의 두 철근을 커플러(121)로 연결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수평인장철근(118)과 관통공(111c) 사이에는 역시 차단재 역할의 고무 O-링(112)이 개재되고, 커플러(121)로 연결시킨 양쪽 철근의 각 단부가 각 차단 플레이트(113)의 내측면에 용접되며, 수평인장철근(118)의 안쪽으로 수직주철근 (119)이 설치되는 것은 도 4a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도 4c는 메인 빔(111)에 관통공을 설치하지 않고 수평인장철근(118)을 직접 용접 설치한 구조로서, 메인 빔(111)에 의해 구획된 양쪽 내부공간에 도면상의 좌우, 상하 대칭된 구조로 하여 직사각형 구조의 수평인장철근(118)이 배치되어 용접 설치된다.
여기서, 메인 빔(111)의 중앙부(111a)에서 측면부(111b) 인근 위치의 양쪽 면에 도면상의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양측 수평인장철근(118)의 일측부를 직접 구조 용접하여 고정한다.
또한, 중앙의 메인 빔(111)에 의해 구획된 동일 공간 내에서 각 수평인장철근(118)은 도면상의 상하로 위치된 양측 차단 플레이트(113)의 내측면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상하 대칭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각 수평인장철근(118)의 타측부가 가이드 부재(115)에 용접된다.
상기 수평인장철근(118)은 도 4c의 횡단면 배치구조로 하여 메인 빔(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반복 설치되며, 각 수평인장철근(118)의 안쪽으로는 역시 수직주철근(119)이 횡방향, 즉 연결구조체(110)의 상하 높이방향(메인 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 설치된다.
도 4c의 실시예는 철판은 물론 용접이 불가능한 기타 재질의 차단 플레이트가 사용된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도 4d의 실시예는 도 4a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수평인장철근(118)의 단부가 용접 설치되는 부분이 차단 플레이트(113)가 아닌 빔 플레이트(116)가 끼워 지는 가이드 부재(115)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이며, 이 역시 철판은 물론 용접이 불가능한 기타 재질의 차단 플레이트가 사용된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도 4e의 실시예는 도 4c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직사각형 구조가 아닌 전체적으로 볼 때 'ㄷ'자 형태가 되게 절곡시켜 구비한 수평인장철근(118)을 사용한 실시예로서, 각 수평인장철근(118)이 도 4c의 실시예와 동일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나, 수평인장철근(118)의 일단부를 가이드 부재(115)에 용접하는 동시에 타단부를 메인 빔(111)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특히 수평인장철근(118)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수직주철근(119)에 스페이서(122)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인장철근(118)은 도 4e의 횡단면 배치구조로 하여 메인 빔(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반복 설치되며, 각 수평인장철근(118)의 안쪽으로는 역시 수직주철근(119)이 횡방향으로 길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122)는 각 차단 플레이트(113)의 내측면에서 끝단부가 수직주철근(119)에 결합되어 해당 수직주철근을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도 4c의 실시예를 제외한 각 실시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스페이서(122)는 수직주철근(119)의 길이상에서 수평인장철근(118)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같은 횡단면상의 모든 수직주철근(119)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소정 갯수의 수평인장철근(118) 만큼 걸러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e의 횡단면에서는 도면상 상측의 수직주철근(119)들 중 우측에서 두번째와 하측의 수직주철근(119)들 중 좌측에서 첫번째 수직주철근에 스페이서(122)가 설치되고 있으나, 그 바로 아래쪽 수평인장철근 위치에서는 상측의 수직주철근들 중 우측에서 세번째와 하측의 수직주철근들 중 좌측에서 두번째 수직주철근에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각 수평인장철근 위치마다 상이한 위치의 수직주철근에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e의 실시예는 철판은 물론 용접이 불가능한 기타 재질의 차단 플레이트가 사용된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한 구조이며, 차단 플레이트로서 철판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수평인장철근의 일단부는 철판에 용접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e의 실시예는 도 4c의 실시예와 더불어 수평인장철근(118)이 메인 빔(111)을 관통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좌우측 두 내부공간이 완전 밀폐되는 구조인 바, 양측 두 내부공간 사이에서 한쪽 내부공간으로 반대쪽 내부공간의 물 또는 벤토나이트가 유입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f의 실시예는 메인 빔을 대체하여 같은 위치에 방수판(123)이 설치된 구조로서, 메인 빔이 삭제되기 때문에 각 단위 플레이트(113a)가 끼워지는 레일부재(114)와 빔 플레이트(116)가 끼워지는 가이드 부재(115)가 단순히 격자 형태로 용접 조립되고, 메인 빔의 위치에 방수판(123)이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방수판(123)은 요철구조의 단면구조를 가지면서 메인 빔과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서, 적정 강도의 벤토나이트 판넬 또는 PVC 판넬, 우레탄 판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면구조상 양측의 두 차단 플레이트(113) 사이에 횡 방향 배치되고, 연결구조체(110)의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수판(123)에서 양측 차단 플레이트(113) 인근 위치에 방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공(123a)이 형성되고, 각 관통공(123a)에는 수평인장철근(118)이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또한, 도 4a 또는 도 4d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각 수평인장철근(118)은 양 단부를 적절히 절곡하여 차단 플레이트(단위 플레이트)(113)가 철판인 경우 그 내측면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철판이 아닌 경우 가이드 부재(115)에 용접하여 고정한다.
도 4f는 각 수평인장철근(118)의 양 단부가 가이드 부재(115)에 용접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각 수평인장철근(118)은 도 4b의 실시예와 같이 두 부분으로 분리 구성할 수 있는 바, 마찬가지로 방수판(123)의 관통공(123a)에 삽입한 후 분리된 두 부분을 커플러(도 4b의 도면부호 121임)로 연결 조립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118)이 등간격으로 나란히 반복 설치된 상태에서 양측 수평인장철근(118)의 안쪽으로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구조체(110)의 상하 높이방향(방수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직주철근(119)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수판(12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방수판(123) 양쪽면으로는 방수판을 지지하면서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철근(124)이 설치되며, 이는 양측 차단 플레이트(113)쪽의 두 수평인장철근(118)을 횡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각 실시예의 연결구조체(110)에서, 내부의 각 수평인장철근(118)이 차단 플레이트(단위 플레이트)(113)에 직접 용접되지 않는 구조의 경우, 내부의 각 철근(수평인장철근 및 수직주철근)을 설치한 뒤, 각 단위 플레이트(113)를 레일부재(114)에 끼우고, 이어 맨 마지막으로 빔 플레이트(116)를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각 수평인장철근(118)이 차단 플레이트(단위 플레이트)(113)에 직접 용접되는 구조의 경우, 하나의 단위 플레이트(113a)를 설치한 뒤 그 안쪽의 각 수평인장철근(118)들을 용접하고, 이어 그 상측 또는 하측의 단위 플레이트(113a)를 설치한 뒤 그 안쪽의 각 수평인장철근(118)들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한 후 맨 마지막으로 빔 플레이트(116)를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물론, 조립순서는 여건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며,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 2c의 공정까지 설명하였는 바, 그 이후의 공정, 즉 각 단위 판넬의 양측 연결부 위치에 연결구조체를 시공한 이후부터 이루어지는 각 공정을 도 2d ~ 도 2j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c와 같이 연결구조체(110)의 시공이 완료되면, 두 연결구조체(110) 사이에서 일정한 폭과 너비로 지반을 수직으로 굴착하여 단위 판넬이 시공될 공간인 트렌치(2)를 형성시킨다(도 2d 참조).
이후, 좌우 양측의 각 연결구조체(110)에서 단위 판넬이 시공되는 쪽의 빔 플레이트(116) 주변에 채워진 충전재를 제거하며(도 2e 참조), 또한 지반을 굴착하면서 형성된 트렌치(2)가 붕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트렌치 내에 안정액, 즉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청수에 혼합하여 투입한다(도 2f 참조).
상기 충전재 제거시에는 와이어 브러쉬 및 에어컴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물청소로 잔여 충전재를 완전히 제거한다
이어, 각 연결구조체(110)에서 단위 판넬이 시공되는 쪽의 빔 플레이트(116)를 위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잡아 빼내어 제거하며, 이후 단위 판넬의 시공 공간이 되는 트렌치(2) 내에 트레미관(tremie pipe)(104) 시공 및 철근망(102)을 건입한다(도 2g).
여기서, 상기 철근망(102)은 양측 두 연결구조체(110)에서 빔 플레이트(116)의 제거로 측면 개방되는 차단 플레이트(113) 안쪽의 일측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의 시공 공간인 트렌치(2)에 걸쳐 설치한다.
즉, 도 2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철근망(102)의 양 측부가 측면이 개방된 두 연결구조체(1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철근망(102)이 설치된 공간, 즉 양측 두 연결구조체(110)의 일측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 시공을 위한 트렌치(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도 2h 참조).
이후, 상기 각 연결구조체(110)의 반대쪽 내부공간과 이웃 시공된 또 다른 연결구조체의 일측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단위 판넬 시공과정을 지하연속벽 전체 구간에 걸쳐 반복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지하연속벽 구조에서는 상기 각 연결구조체(110)의 빔 플레이트(11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지하연속벽 내부에서 각 단위 판넬(100)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체로서 영구 매입된다.
도 2i는 양측의 단위 판넬(100a,100b)과 그 사이의 연결구조체(110)가 철근망(102) 및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빔 플레이트의 제거로 개방되는 연결구조체(110)의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의 시공 공간에 걸쳐 철근망(102)을 설치한 후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함으로써, 선행 판넬(100a) 및 후행 판넬(100b),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된 연결구조체(110)가 철근망(102) 및 콘크리트에 의해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게 시공할 수 있는 바, 결국 토압 등 외력작용에 의해 각 단위 판넬이 서로 다르게 거동하는 종래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구조체에 따르면, 시공 후 차단 플레이트(113)가 단위 판넬(100)간 연결부위를 완전 밀폐시키므로 종래와 같은 연결부위의 누수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빔 플레이트의 제거로 개방되는 연결구조체의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의 시공 공간에 걸쳐 철근망을 설치한 후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함으로써, 선행 판넬 및 후행 판넬,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된 연결구조체가 철근망 및 콘크리트에 의해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게 시공할 수 있는 바, 결국 토압 등 외력작용에 의해 각 단위 판넬이 서로 다르게 거동하는 종래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 후 차단 플레이트가 단위 판넬간 연결부위를 완전 밀폐시키므로 종래와 같은 단위 판넬간 연결부위의 누수문제 및 그로 인한 결로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결국 벽체 내벽 방수시공은 물론 내부 조적 벽돌쌓기 등이 삭제 가능하여 경제적 측면이나 공간적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23)

  1. I 형강 또는 H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하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 플레이트와 하기 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메인 빔과;
    상기 메인 빔의 양 측면부쪽에 설치되고, 메인 빔을 사이에 두고 평행 배치되어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형태의 전면벽과 후면벽을 형성하는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I 형강으로 구비되어 상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함께 좌우 양 측면 위치에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측면 위치에서 각 측면부가 가이드 부재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된 빔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여 상기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양측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보강 철근;
    을 포함하여 조립 구성되고, 단위 판넬간 각 연결부 위치에 수직 시공되어, 상기 빔 플레이트 제거시 측면 개방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과 양측 단위 판넬 공간에 걸쳐 시공된 철근망 및 콘크리트에 의해 단위 판넬과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이,
    상기 메인 빔 중앙부에서 양 측면부쪽 인근의 양측 위치에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형성된 각 관통공에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차단재 역할을 하는 고무 O-링이 상기 수평인장철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수평인장철근이 분리 구성되어 분리된 부분이 커플러에 의해 연결 조립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의 수직주철근에는 차단 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끝단부가 수직주철근에 결합되어 해당 수직주철근을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의 각 수평인장철근이,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의 각 수평인장철근이,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이,
    직사각형 구조로 구비되어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에서 각각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설치되고, 각 내부공간에서 양측 차단 플레이트 내측면에 인접되게 횡방향 배치되어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메인 빔과 가이드 부재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 안쪽에서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이,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된 'ㄷ'자 구조로 구비되어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에서 각각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설치되고, 각 내부공간에서 양측 차단 플레이트 내측면에 인접되게 횡방향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차단 플레이트 내측면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용접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메인 빔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의 수직주철근에는 차단 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끝단부가 수직주철근에 결합되어 해당 수직주철근을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빔 측면부에 횡방향 설치된 소정 간격의 레일부재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단위 플레이트들로 조립 구성되고, 상기 각 레일부재의 양 단부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메인 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레일부재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용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공시의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빔, 차단 플레이트,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3. 요철구조의 단면구조를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하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 플레이트와 하기 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을 사이에 두고 평행 배치되어 방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형태의 전면벽과 후면벽을 형성하는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I 형강으로 구비되어 상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와 함께 좌우 양 측면 위치에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측면 위치에서 각 측면부가 가이드 부재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된 빔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여 상기 메인 빔에 의해 구획된 양측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방수판 고정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보강 철근;
    을 포함하여 조립 구성되고, 단위 판넬간 각 연결부 위치에 수직 시공되어, 상기 빔 플레이트 제거시 측면 개방된 상기 양측 내부공간과 양측 단위 판넬 공간에 걸쳐 시공된 철근망 및 콘크리트에 의해 단위 판넬과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이,
    상기 방수판에서 상기 양측의 차단 플레이트 인근 위치에 방수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형성된 각 관통공에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인장철근과;
    이 수평인장철근에 대하여 횡방향 배치되어 상기 메인 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주철근과;
    상기 양측 차단 플레이트쪽으로 설치된 두 수평인장철근을 횡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방수판 양쪽면으로 설치되어 방수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철근;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각 수평인장철근이 분리 구성되어 분리된 부분이 커플러에 의해 연결 조립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 조체.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의 수직주철근에는 차단 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끝단부가 수직주철근에 결합되어 해당 수직주철근을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7. 청구항 13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의 각 수평인장철근이,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8. 청구항 13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철근의 각 수평인장철근이,
    양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방수판 길이방향 소정 간격으로 횡방향 배치된 레일부재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단위 플레이트들로 조립 구성되고, 상기 각 레일부재의 양 단부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메인 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레일부재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용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시공시의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최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빔, 차단 플레이트, 빔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21. 각각의 단위 판넬을 일렬로 연속된 구조가 되도록 시공하는 지하연속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단위 판넬간 각 연결부 위치에 지반을 수직 굴착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 안정액을 투입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트렌치 내에 연결구조체를 수직으로 건입하고, 각 트랜치 내에서 상기 연결구조체 주변의 공간에 안정액 회수와 더불어 충전재를 채우는 단계와;
    (c) 이웃 시공된 연결구조체 사이에 지반을 수직 굴착하여 단위 판넬이 시공될 공간인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d) 각 연결구조체에서 단위 판넬이 시공되는 쪽의 빔 플레이트 주변에 채워진 충전재를 제거하고, 단위 판넬 시공 공간의 트렌치 내에 안정액을 투입하는 단계와;
    (e) 각 연결구조체에서 단위 판넬이 시공되는 쪽의 빔 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f) 각 연결구조체에서 빔 플레이트 제거로 측면 개방된 차단 플레이트 안쪽의 내부공간과 단위 판넬 시공 공간의 트렌치에 걸쳐 철근망을 건입하고, 상기 각 공간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일체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 물:벤토나이트:슬라임 또는 모래를 1:0.1:0.1의 배합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서 물:벤토나이트:슬라임 또는 모래:시멘트를 1:0.1:0.02:0.2의 배합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20050004569A 2004-11-26 2005-01-18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0694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748 2004-11-26
KR1020040097748 2004-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144A true KR20060059144A (ko) 2006-06-01
KR100694633B1 KR100694633B1 (ko) 2007-03-13

Family

ID=3715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569A KR100694633B1 (ko) 2004-11-26 2005-01-18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6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8090A (zh) * 2010-06-23 2010-10-13 天津深基工程有限公司 地下连续墙刚性接头软连接的施工方法
KR101037774B1 (ko) * 2008-09-16 2011-05-27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N103233459A (zh) * 2013-04-02 2013-08-0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二合一双钢板混凝土组合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KR102153902B1 (ko) * 2020-03-25 2020-09-09 이주희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2240488B1 (ko) * 2020-08-10 2021-04-16 우창래 지중연속벽용 연결박스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KR102258280B1 (ko) 2020-03-16 2021-06-01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5467373A (zh) * 2022-09-14 2022-12-13 湖北省电力勘测设计院有限公司 地连墙和主体结构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65B1 (ko) 2009-04-17 2011-07-26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74B1 (ko) * 2008-09-16 2011-05-27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N101858090A (zh) * 2010-06-23 2010-10-13 天津深基工程有限公司 地下连续墙刚性接头软连接的施工方法
CN103233459A (zh) * 2013-04-02 2013-08-0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二合一双钢板混凝土组合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KR102258280B1 (ko) 2020-03-16 2021-06-01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지하 연속벽 판넬간 연결부위 결합보강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53902B1 (ko) * 2020-03-25 2020-09-09 이주희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2240488B1 (ko) * 2020-08-10 2021-04-16 우창래 지중연속벽용 연결박스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CN115467373A (zh) * 2022-09-14 2022-12-13 湖北省电力勘测设计院有限公司 地连墙和主体结构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633B1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774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0694633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640795B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패널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215390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1676814B1 (ko) Cft말뚝을 이용한 cip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101710045B1 (ko) 조립 구조를 가지는 저심도 박스형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12525A (ko)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0758504B1 (ko)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KR200376613Y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US5871307A (en) Pre-cast concrete panel wall
KR102617795B1 (ko)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JP2005023576A (ja) コンクリート杭及びアンダーパスの施工方法
KR20220065461A (ko) 지하 연속벽체 겹이음을 위한 철근구조물,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1913630B1 (ko) 역t형 철골합성외벽용 엄지철골수직재와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영구외벽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240488B1 (ko) 지중연속벽용 연결박스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JPH11190024A (ja) 土留め工法
EP1964981A1 (en) Reinforcement elements for in-situ cast walls and method to excavate in situ cast walls
KR102510481B1 (ko) 슬러리월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KR102341511B1 (ko) 박스형 엄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연속벽체의 시공방법
KR102439239B1 (ko) 유출방지구를 구비한 지중연속벽용 연결박스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방법
KR102078794B1 (ko)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52429B1 (ko)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