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897B1 -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897B1
KR101134897B1 KR1020050012013A KR20050012013A KR101134897B1 KR 101134897 B1 KR101134897 B1 KR 101134897B1 KR 1020050012013 A KR1020050012013 A KR 1020050012013A KR 20050012013 A KR20050012013 A KR 20050012013A KR 101134897 B1 KR101134897 B1 KR 10113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ide pad
substrate
pa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144A (ko
Inventor
조일제
박동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8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4Overflow devices for 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은 측면 모서리에 제공되어 외부의 버튼이 직접 접하는 측면패드; 상기 측면패드의 내면에 형성되는 전도층이 포함되는 측면패드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기판에 채용되는 기기의 제조경비 및 가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고, 그 구조가 단순해지고, 동작상의 신뢰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로기판 , 측면패드

Description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Printed circuit board with side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회로기판이 적용되는 휴대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판에 접하는 측면버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버튼과 기판의 접촉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패드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우에 접촉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패드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경우에 접촉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측면버튼 31 : 측면패드 32 : 전도층
본 발명은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회로기판에는 먼저 스위칭 동작이 수행된 신호가 회로기판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하여 회로기판과 함께 별도의 스위칭 도구와, 상기 스위칭 도구와 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연질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더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폰과 같은 장비에서는 더욱 자주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휴대폰에는 휴대폰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음량을 높이거나 줄이는 측면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버튼의 안쪽에는 스위칭 도구가 더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의 누르면 상기 스위칭 도구에 의해서 소정의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발생된 제어신호는 상기 FPCB를 통하여 휴대폰 내부의 기판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되는 구조는 제품이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면버튼과 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회로기판에 패드를 만들고, 상기 FPCB가 열압착으로 연결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기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FPCB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기기의 가격이 높아지고, FPCB와 기판의 패턴과의 간섭에 의해서 잡음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 그리고, FPCB와 기판의 연결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불량의 우려가 높고 조립시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기판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나아가서 기판이 채용되는 기기의 구조도 단순해질 수 있는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로기판의 제조시에 회로기판의 측면부에 자체적으로 패드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제조시간 및 제조경비가 줄어드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 회로기판이 채용되는 기기의 동작상의 신뢰성이 개선되는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은 측면 모서리에 제공되어 외부의 버튼이 직접 접하는 측면패드; 상기 측면패드의 내면에 형성되는 전도층이 포함되는 측면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은 패턴층이 다수 층으로 적층되어 소정 두께의 대면적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대면적 기판에 관통홀과 측면패드 홀이 동시에 가공되는 단계; 상기 측면패드 내면에 전도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대면적 기판이 적어도 상기 측면패드를 통과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기판에 채용되는 기기의 제조경비 및 제조가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고, 그 구조가 단순해지고, 동작상의 신뢰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로기판이 적용되는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1)의 본체 측면부에는 측면버튼(2)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폴더를 열지 않고도 휴대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측면버튼(2)은 음량을 줄이거나, 폴더의 디스플레이상태를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측면버튼(2)의 내부에는 측면버튼(2) 내측면의 돌기와 접촉되는 회로기판이 있고, 상기 회로기판의 측면부에는 측면패드(도 2의 31참조)가 더 제공되는데, 상기 측면패드(31)가 더 제공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특징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3)과, 상기 기판(3)에서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배선(34)과, 상기 기판(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일명, 비아홀(via hole))(33)과, 상기 기판(3)의 측면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는 측면패드(31)와, 상기 측면패드(31)의 내면에 형성되는 전도층(3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측면패드(31)는 베어보드상태의 기판에서 관통홀(33)이 드릴링 또는 펀칭등의 가공 공정에 의해서 뚫릴 때 함께 뚫려서 형성된다. 그리고, 구멍이 뚫린 뒤에, 도전성의 금속이 도금의 공정에 의해서 더 입혀지는 공정에 의해서 상기 전도층(32)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패드(31)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어느 한쌍 또는 그 이상의 측면패드(31)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측면패드(31)에 의한 신호연결 스위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측면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대 면적의 기판은 다수층의 라미네이팅층과 패터닝층이 계속해서 적층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터닝층에는 신호전달을 위한 다수의 배선(34)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원하는 층수로 기판이 형성된 다음에는 적층된 기판간의 상호 연결을 위하여 관통홀(33)이 드릴링 또는 펀칭등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3)이 형성되는 중에 측면패드(31)가 되도록 하기 위한 홀도 함께 형성된다. 화학 동 도금 및 전해 동 도금으로 패드의 강도를 보강한 다음에, 금 도금을 수행하여 상기 전도층(3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에 적정의 크기로 대면적의 기판을 절단하여 원하는 기판(3)이 제작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상기 측면패드(31)가 기판의 절단선 상에 놓이게 됨으로써, 측면패드(31)가 기판(3)의 측단부 모서리면에 드러나게 되어 버튼이 접촉되는 측면패드(31)로 사용된다.
도 3은 회로기판의 측면패드에 접하는 측면버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측면버튼과 기판의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버튼(2)에는 외부로 드러나서 사용자가 조작을 수행하는 버튼 몸체(21)와, 상기 버튼 몸체(21)의 후방에 돌출되는 돌기(22)가 포 함된다. 상기 돌기(22)가 상기 측면패드(도 2의 31참조)에 닫을 때에는 돌기를 통하여 측면패드(도 2의 31참조) 간에 통전이 됨으로써, 스위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기(22)는 도전성의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도전성 물질에 의해서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외부 케이스(37)에 측면버튼(2)이 놓이고, 상기 측면버튼(2)의 안쪽에는 기판(3)이 놓여있다.
상세하게, 상기 측면버튼(2)과 케이스(37)의 사이에는 스프링(35)이 개입되어, 측면버튼(2)이 눌러지고 난 다음에는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패드(31)의 내면에는 도전성의 금속에 의한 전도층(32)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눌러진 측의 돌기(22)에 의해서 한 쌍의 측면패드(31)가 통전이 되는 과정에 의해서 측면버튼(2)에 의한 스위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측면버튼(2)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면 가운데 부분에 비교적 깊게 연장되는 돌기에 의해서 측면버튼(2)이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측면버튼(2)에 의한 스위칭 동작만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운데 부분의 돌기는 측면버튼(2)에 대한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양측에 놓여있는 돌기에 의한 스위칭 동작이 신뢰성있게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제시되는 바와 같은 돌기가 제공되는 측면버튼(2)과 함몰되는 측면패드(31)의 상호작용은 일 예에 지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 다. 본 발명의 사상은 기판의 측면에 전도성의 측면패드가 형성됨으로써, 기판의 자체적인 측면에서도 스위칭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에 그 일 특징이 있으며, 그와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 사상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측면패드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5에는 측면패드의 단면 형상이 원 실시예와 같은 원형이 아니라, 사각형으로서 사각형 측면패드(36)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측면패드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으로 제공되는 삼각형 측면패드(37)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면패드의 단면 형상이 달리 제공되는 것은 접촉의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 및 회로기판의 사양등이 달라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회로기판의 자체적인 구조 및 전자기기의 구조가 단순해지면서도, 다양한 방식의 동작이 안정되게 수행가능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측면패드에 의한 자체적인 스위칭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전자기기의 제조시간 및 제조경비가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도구와 회로기판과의 연결선로상에 접촉부가 제거됨으로써, 스위칭 도구의 동작에 대한 기기의 동작상의 신뢰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회로기판의 측면 모서리에 제공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가운데 돌기 및 통전을 위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스위치 버튼이 접하기 위한 측면패드; 및
    상기 측면패드의 내면에 형성되는 전도층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드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서 기판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동 도금이 수행된 뒤에 금도금이 수행되는 과정을 거치는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드는 다수개가 제공되어 한 쌍의 측면패드가 선택적으로 통전됨으로써,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0012013A 2005-02-14 2005-02-14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13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13A KR101134897B1 (ko) 2005-02-14 2005-02-14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13A KR101134897B1 (ko) 2005-02-14 2005-02-14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44A KR20060091144A (ko) 2006-08-18
KR101134897B1 true KR101134897B1 (ko) 2012-04-13

Family

ID=3759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013A KR101134897B1 (ko) 2005-02-14 2005-02-14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0966B2 (en) 2019-10-23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982A (ja) * 1992-11-25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040045768A (ko) * 2002-11-25 2004-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세라믹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982A (ja) * 1992-11-25 199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040045768A (ko) * 2002-11-25 2004-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세라믹 다층기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0966B2 (en) 2019-10-23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62601B2 (en) 2019-10-23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44A (ko) 200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201A (ko) 전자 부품용 메탈돔 스위치
US9672998B2 (en) Push switch
WO2009154335A1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of electronic device
KR101942960B1 (ko) 돔 시트 및 돔 스위치 제조방법
KR10083789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101134897B1 (ko)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010051179A (ko) 버튼 스위치
JP4799274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モジュール
US20210125799A1 (en) Push switch
JP4314576B2 (ja) 機能部品の製造方法
JP3090653B2 (ja)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KR101264047B1 (ko) 메탈 돔 스위치가 장착된 전자부품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296835B1 (ko) Pcb 돔스위치 및 pcb 돔스위치 대량 제조방법
CN103917044A (zh) 一种柔性电路板及其制造方法
KR10060704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200368751Y1 (ko) 이동통신기기용 돔 스위치 조립체
KR102194714B1 (ko)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8160A (ko) 메탈 돔 스위치 키패드
KR100618268B1 (ko) 이물 처리를 위한 키이 도옴 접점부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JP3141062B2 (ja)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の製造方法
KR20060007824A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JP2005166503A (ja) キーシートモジュールのスイッチ構造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TW201124008A (en) Push switch with metal dome
WO2013146282A1 (ja) 押圧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