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714B1 -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714B1
KR102194714B1 KR1020140061806A KR20140061806A KR102194714B1 KR 102194714 B1 KR102194714 B1 KR 102194714B1 KR 1020140061806 A KR1020140061806 A KR 1020140061806A KR 20140061806 A KR20140061806 A KR 20140061806A KR 102194714 B1 KR102194714 B1 KR 102194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mobile device
electrode pad
circuit board
conductiv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07A (ko
Inventor
김창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14B1/ko
Priority to US14/621,061 priority patent/US9730316B2/en
Publication of KR2015013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78Rigid circuit boards or rigid supports of circuit boards locally made bendable, e.g. by removal or replacement of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9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having cavities, e.g. for mounting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4Components including terminals inserted in holes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ed to printed contacts on the walls of the holes or at the edges thereof or protruding over or into the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28Switch site location perpendicular to base of key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복수의 회로 패턴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가 형성되는 다층회로기판, 캐비티 내에 적층되어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 및 다층회로기판 중 캐비티의 외곽부에 전극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전극패드와 접촉 가능한 도전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로기판을 활용한 각종 전자 장치의 경우 스위칭 동작이 수행된 신호가 회로기판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로기판과 함께 별도의 스위칭 도구 및 스위칭 도구와 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연질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추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회로기판과 스위칭 도구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더욱 자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에는 휴대폰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음량을 높이거나 줄이는 측면버튼이 형성되고, 측면버튼의 안쪽에는 스위칭 도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측면버튼을 누르면 스위칭 도구에 의해서 소정의 제어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제어신호는 연질회로기판 등을 통하여 휴대폰 내부의 기판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모바일 기기가 대형화될 수 있다는 제약이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버튼과 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회로기판에 별도의 패드를 만들고, 연질회로기판이 열압착으로 연결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연질회로기판은 상대적으로 고가라는 특성상, 이를 사용한 모바일 기기의 가격이 높아지고, 연질회로기판과 기판의 패턴과의 간섭에 의해서 잡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연질회로기판과 기판의 연결 시 불량의 우려가 높고 조립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단점이 있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3236호 (2009. 04. 01.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회로 패턴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가 형성되는 다층회로기판, 캐비티 내에 적층되어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 및 다층회로기판 중 캐비티의 외곽부에 전극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전극패드와 접촉 가능한 도전스위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전스위치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캐비티 내부로 만곡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패드는 캐비티 내에 복수로 적층되고, 도전스위치는 복수의 전극패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회로 패턴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다층회로기판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를 형성하는 단계,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를 캐비티 내에 적층하는 단계 및 다층회로기판 중 캐비티의 외곽부에 전극패드와 이격되고 외력에 의해 전극패드와 접촉 가능한 도전스위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회로기판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를 형성하고, 캐비티에 전극패드 및 도전스위치를 형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다층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다층회로기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다층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다층회로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0)는 다층회로기판(100), 전극패드(200) 및 도전스위치(300)를 포함한다.
다층회로기판(100)은 복수의 회로 패턴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110)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가 회로 패턴층을 통해 모바일 기기(10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층회로기판(100)은 각 회로 패턴층의 연결을 위한 비아(via)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회로기판(10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서, CNC 드릴이나 금형을 이용한 펀칭 공법 또는 레이저 드릴(CO2 또는 YAG)을 이용한 방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패드(200)는 캐비티(110) 내에 적층되어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측면버튼(20)을 눌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패드(200)와 후술할 도전스위치(300)가 접촉됨에 따라 회로 패턴층으로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패드(20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캐비티(110) 내에서 도금 공정 등을 통해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패드(200) 별도의 절연층 등으로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전스위치(300)는 다층회로기판(100) 중 캐비티(110)의 외곽부에 전극패드(200)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전극패드(200)와 접촉 가능한 부분으로, 전극패드(200)와 접촉 시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신호가 회로 패턴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력이라 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측면버튼(20)을 눌러 캐비티(110)의 내측 방향으로 도전스위치(300)를 가압하는 압력을 일컫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측면버튼(20)을 통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0)는 다층회로기판(10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110)를 형성하고, 캐비티(110)에 전극패드(200) 및 도전스위치(300)를 형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0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다층회로기판(100)의 측면을 활용하여 신호 입력 구성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다층회로기판(100) 상의 부품 배치면에서 공간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모바일 기기(1000)의 높이 및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000)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0)에서, 도전스위치(300)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캐비티(110) 내부로 만곡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스위치(30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전극패드(200) 방향으로 휘어지며 일부분이 전극패드(200)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도전스위치(300)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면서, 전극패드(200)와 도전스위치(300)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0)는, 탄성 재질의 도전스위치(300)가 형상 변화하며 전극패드(200)와의 접촉 및 이격이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0)에서, 전극패드(200)는 캐비티(110) 내에 복수로 적층되고, 도전스위치(300)는 복수의 전극패드(200)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0)에서 측면버튼(20)이 볼륨의 증감이라는 두가지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전극패드(200)를 캐비티(110) 내에 두개로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스위치는(300) 두개의 전극패드(200)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볼륨의 증감이라는 두가지 신호가 회로 패턴층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0)는 신호의 입력을 위한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많은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에 표현된 각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회로 패턴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회로기판(100)을 준비하는 단계(S100)로부터 시작된다.
다음으로, 다층회로기판(10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110)를 형성할 수 있다(S200). 이 경우, 캐비티(110)는 다층회로기판(10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서, CNC 드릴이나 금형을 이용한 펀칭 공법 또는 레이저 드릴(CO2 또는 YAG)을 이용한 방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200)를 캐비티(110) 내에 적층할 수 있다(S300). 이 경우, 전극패드(20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캐비티(110) 내에서 도금 공정 등을 통해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적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층회로기판(100) 중 캐비티(110)의 외곽부에 전극패드(200)와 이격되고 외력에 의해 전극패드(200)와 접촉 가능한 도전스위치(300)를 형성할 수 있다(S400).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전스위치(300)는 전극패드(20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소정의 신호가 회로 패턴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은, 다층회로기판(10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110)를 형성하고, 캐비티(110)에 전극패드(200) 및 도전스위치(300)를 형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0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에서, 도전스위치(300)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캐비티(110) 내부로 만곡 가능할 수 있다. 즉, 도전스위치(30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전극패드(200) 방향으로 휘어지며 일부분이 전극패드(200)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도전스위치(300)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면서, 전극패드(200)와 도전스위치(300)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은, 탄성 재질의 도전스위치(300)가 형상 변화하며 전극패드(200)와의 접촉 및 이격이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에서, 전극패드(200)는 캐비티(110) 내에 복수로 적층되고, 도전스위치(300)는 복수의 전극패드(200)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많은 신호를 입력하도록 모바일 기기(1000)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과 관련된 각 구성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
20: 측면버튼
100: 다층회로기판
110: 캐비티
200: 전극패드
300: 도전스위치
1000: 모바일 기기

Claims (6)

  1. 복수의 회로 패턴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가 형성되는 다층회로기판;
    상기 캐비티 내에 적층되어 상기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 및
    상기 캐비티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 내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고, 상기 전극패드와 이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전극패드와 접촉 가능한 도전스위치;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스위치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로 만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는 상기 캐비티 내에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도전스위치는 복수의 상기 전극패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 복수의 회로 패턴층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다층회로기판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캐비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회로 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를 상기 캐비티 내에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캐비티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 내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며, 상기 전극패드와 이격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전극패드와 접촉 가능한 도전스위치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스위치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로 만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는 상기 캐비티 내에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도전스위치는 복수의 상기 전극패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제조 방법.
KR1020140061806A 2014-05-22 2014-05-22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06A KR102194714B1 (ko) 2014-05-22 2014-05-22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US14/621,061 US9730316B2 (en) 2014-05-22 2015-02-12 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06A KR102194714B1 (ko) 2014-05-22 2014-05-22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07A KR20150134707A (ko) 2015-12-02
KR102194714B1 true KR102194714B1 (ko) 2020-12-23

Family

ID=5455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806A KR102194714B1 (ko) 2014-05-22 2014-05-22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30316B2 (ko)
KR (1) KR1021947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111A (ja) * 2006-01-31 2007-09-13 Sony Corp プリント配線板集合体及びプリント配線板集合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776B2 (en) 2006-06-19 2012-0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ide switch for a contact exposed on an edge of a circuit board and method
US9250613B2 (en) * 2013-03-15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control interface button flex antenna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111A (ja) * 2006-01-31 2007-09-13 Sony Corp プリント配線板集合体及びプリント配線板集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2035A1 (en) 2015-11-26
KR20150134707A (ko) 2015-12-02
US9730316B2 (en)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0896B2 (ja) 移動端末機、キー入力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4503424B2 (ja) 多段スイッチ装置
US8186233B2 (en) Pressure sensing device
KR20150024201A (ko) 전자 부품용 메탈돔 스위치
KR20110126604A (ko) 정전 용량형 입력 스위치
US1011324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asing of electronic device
JP2017073803A (ja) 電子機器
KR101942960B1 (ko) 돔 시트 및 돔 스위치 제조방법
KR102194714B1 (ko)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조 방법
JP6672563B2 (ja) 電子素子内蔵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137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058506B1 (ko) 키패드 어셈블리
JP2007179921A (ja) 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装置
TWI578361B (zh) 按鍵結構及輸入裝置
CN103249244A (zh) 柔性印刷电路板
KR20110108160A (ko) 메탈 돔 스위치 키패드
KR101134897B1 (ko) 측면패드가 제공되는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WO2017006614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
KR101296835B1 (ko) Pcb 돔스위치 및 pcb 돔스위치 대량 제조방법
JP2007179923A (ja) メタルドーム押さえシート及び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
KR101170769B1 (ko) 클릭감이 개선된 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68751Y1 (ko) 이동통신기기용 돔 스위치 조립체
KR101264047B1 (ko) 메탈 돔 스위치가 장착된 전자부품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208147B1 (ko) 돔 스위치 장착 메인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0660604B (zh) 防鬼键的薄膜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