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273B1 -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273B1
KR101134273B1 KR1020070034071A KR20070034071A KR101134273B1 KR 101134273 B1 KR101134273 B1 KR 101134273B1 KR 1020070034071 A KR1020070034071 A KR 1020070034071A KR 20070034071 A KR20070034071 A KR 20070034071A KR 101134273 B1 KR101134273 B1 KR 10113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fluorine
ether
hard coating
pyrrolidin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779A (ko
Inventor
김지선
임성현
이영은
홍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3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27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9D1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크릴레이트 중합반응을 거쳐 형성된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시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를 줄여 가교가 쉽고, 가교율 또한 높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내오염성, 특히 내마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드 코팅액, 내오염성, 내마모성,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

Description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COATING COMPOSITION HAVING GOOD ANTI-CONTAMINATING}
본 발명은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경화시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를 줄여 가교가 쉽고, 가교율 또한 높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내오염성, 특히 내마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용 CRT, TV용 CPT와 같은 브라운관, TFT-LCD 편광판, PDP 필터, RPTS 필터, 휴대폰 액정, 시계, 사진, 액자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들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가 자연광 등의 빛에 노출되는 경우 반사광에 의하여 눈의 피로나 두통을 유발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눈에 선명하게 맺히지 못하여 컨트라스트(contrast)의 저하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멸간섭을 유도하여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저반사 코팅층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평9-208898호 및 평8- 122501호는 규산화합물과 마그네슘 플로라이드(MgF2, magnesium fluoride) 금속산화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굴절률 1.28~1.38의 저반사층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유럽특허출원 제96118471호는 불소계 실란과 불소계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저반사 기능 및 표면에너지 저하에 따른 내오염 기능을 갖는 코팅액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염원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표면에너지가 적어 지문 등이 쉽게 묻지 않고, 표면의 전하가 상쇄되거나 머무르지 않고 흐르게 되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먼지가 붙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표면에 전하를 띠지 않게 하여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이 보고된 바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94-65529호는 인듐이 도핑된 산화 주석(Indium doped Tin Oxide ITO),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 주석(Antimony doped Tin Oxide, ATO),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 아연 (Antimony doped Zinc Oxide, AZO) 등의 도전성 산화금속 필러를 이용하는 방법을, 일본공개특허공보 제93-295353호 및 제94-32997호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제를 이용하는 방법을, 그리고 일본공개특허공보 제93-339336호는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도전성 산화금속이나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법들은 굴절률을 낮게 제어할 수 없어 저반사 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사용한 계면활성제가 시간에 따라 코팅막 표면으로 이탈되어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3916호, 제2004-0085484호, 및 미국특허 제6,207,777호는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코팅액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들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인하여 반응성이 낮아 중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를 포함하여 우수한 반응성으로 중합이 잘 이루어지며, 자외선 경화시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를 줄여 가교가 쉽고, 가교율 또한 우수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내오염성, 특히 내마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는
a)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를 중합반응시켜 제조되는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및 b)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제조시 사용되는 불소계 모노머는 1H,1H-퍼플루오로-n-옥틸아크릴레이트(1H,1H-perfluoro-n-octylacrylate), 1H,1H, 5H-옥타플루오로펜틸 아크릴레이트(1H,1H,5H-octafluoropentyl acrylate), 1H,1H,9H-헥사데카플루오로노닐 아크릴레이트(1H, 1H, 9H-hexadecafluorononyl acrylate),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but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헥실)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hex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데실)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decyl)ethyl acryl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는 50:50:1 내지 50:50:5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아크릴레이트와 잘 혼합되지 못하여 상분리가 일어나 폴리올 합성 반응성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합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이드록 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경우 스스로 polymerization이 될 수 있으므로 젤화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은 1: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은 용매 하에서 교반시킨 후, 여기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반응시켜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톨루엔, n-부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중합개시제는 V-65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 제조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HMDI (methylene bis-(4-cychlohexylisocynate), TMHMDI (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TDI (toluene-2,4-diisocyanate), MDI (methylene diphenyl-4,4'-diisocyan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은 1:1의 몰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경우 이소시아네이트의 한 쪽에만 선택적으로 반응을 보내고자 하는 것으로, 이소시아네이트가 녹아 있는 용매에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당량을 맞추어 천천히 떨어뜨리면서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여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n-헥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은 용매하에서 혼합, 교반하고 반응시켜 최종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은 1:1 내지 1:0.5의 평균비율(equivalent ratio)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일 경우에는 적절한 교차결합 밀도(cross linking density)를 나타내는바 더욱 좋다.
또한,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 제조시 사용되는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methyl ethyl keto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중합시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DBTDL, dibutyl tin dilaurat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테르 등으로 분자량이 최대 1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는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오염성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오염성이 개선되지 못하거나 저하되며, 하드코팅 수지의 가교결 합 밀도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경도가 나빠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 이외에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UV 경화용 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dipentaerythritol hexa acrylate),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좋으며, 막이 깨질 위험이 없고, 헤이즈가 없다는 점에 있어 더욱 좋다.
삭제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5 내지 22.4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내마모성과 막의 유연성에 있어 더욱 좋다.
상기 UV 경화용 개시제는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또는 벤조인 부틸 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V 경화용 개시제는 하드 코팅액 수지에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매는 벤젠, 톨루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알콜, 프로필 알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N-메틸 피롤리딘온, N-비닐 피롤리딘온, N-아세틸 피롤리딘온, N-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온, N-부틸 피롤리딘온, N-에틸 피롤리딘온, N-(N-옥틸)피롤리딘온, N-(N-도데실)피롤리딘온, 2-메톡시에틸 에테르, 자일렌, 사이클로헥세인, 3-메틸 사이클로헥산온,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탄올, 아밀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폼아마이드, 에틸렌 글리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의 디알킬 에테르, 또는 이들의 유도체(cellosolv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하드 코팅액 조성물에 55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를 포함하여 우수한 반응성으로 중합이 잘 이루어지며, 자외선 경화시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를 줄여 가교가 쉽고, 가교율 또한 우수하다.  또한, 내오염성, 특히 내마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 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4.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 제조
실시예 1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제조)
톨루엔과 n-부틸아세테이트를 각각 9.8 중량%로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미리 반응기에 첨가한 후, 질소를 주입하고 내용물에 열을 가하였다.  상기 내용물의 용매가 80 ℃일 때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1H,1H-퍼플루오로-n-옥틸아크릴레이트를 50:50:1의 비율로 혼합한 모노머 혼합물 95.96 중량% 및 열중합개시제 V-65 1.39 중량%를 n-부틸아세테이트 13.06 중량%에 희석시킨 후 2 시간 가량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후 1 시간 정도 더 교반한 후 반응시켜 폴리올을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 제조)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IPDI-HEMA(1:1) adduct를 제조하였다.
[반응식 1]
Figure 112007026653902-pat00001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제조)
상기 제조한 폴리올(19.93 g, 30.48 중량%, -OH value 398.6)과 상기 제조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13.22g, 20.21 중량%)을 4:3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를 시클로헥사논(32.00 g, 48.94 중량%)에 DBTDL(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 대비 1 mol%)과 함께 넣어 8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우레탄 중합을 실시하여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에 1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제조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1H,1H-퍼플루오로-n-옥틸아크릴레이트를 50:50:0.1의 비율로 혼합한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에 1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제조시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1H,1H-퍼플루오로-n-옥틸아크릴레이트를 50:50:1의 비율로 혼합한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에 1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제조시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1H,1H-퍼플루오로-n-옥틸아크릴레이트를 50:50:0.1의 비율로 혼합한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10 및 비교예 1. 하드 코팅액 제조
하기 표 1의 물질을 쟈켓 반응기에 순서대로 첨가하여 코팅액이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 후, 0.45 ㎛ 크기의 필터로 필터링하여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5 6 7 8 9 10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9 9 9 9 9 9 9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1.6 1.6 1.6 1.6 1.6 1.6 1.6
EB 600* 16 16 16 16 16 16 16
EB 294/25 HD* 0.48 0.48 0.48 0.48 0.48 0.48 0.48
EB 9260* 6 6 6 6 6 6 6
실시예 1의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0.1 1 2 - - - -
실시예 2의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 - - 0.1 - - -
실시예 3의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 - - - 0.1 - -
실시예 4의 불소계 함유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 - - - - 0.1 -
Daracur 1173** 0.65 0.65 0.65 0.65 0.65 0.65 0.65
Irgacure 184** 0.65 0.65 0.65 0.65 0.65 0.65 0.65
Irgacure 907** 0.65 0.65 0.65 0.65 0.65 0.65 0.65
에틸 셀룰솔브 25 25 25 25 25 25 25
에탄올 8.33 8.33 8.33 8.33 8.33 8.33 8.33
에틸 아세테이트 5 5 5 5 5 5 5
n-부탄올 16.75 16.75 16.75 16.75 16.75 16.75 16.75
Tego 270 0.1 0.1 0.1 0.1 0.1 0.1 0.1
Tego 410 0.07 0.07 0.07 0.07 0.07 0.07 0.07
[주] *: SK-UCB사 multi acrylate
     **: Ciba사 UV initiator
상기 실시예 5 내지 10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코팅액 조성물을 광학기재에 롤 코팅 공정으로 코팅하고, 60~90 ℃에서 3~10 분 동안 건조하여 막을 형성한 다음, UV(300~2,000 mJ)를 조사하고 경화시켜 내오염성 코팅막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5 내지 10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코팅막들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및 막의 부착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내오염성 - 상기 실시예 5 내지 10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코팅막 표면을 각각 검은색 유성펜으로 더럽히고 10 초 후에 킴와이프스로 닦아내었다.  이 조작을 반복하여 펜의 흔적이 남기까지의 횟수로 내오염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는 10 회 이상 펜을 닦아 낼 수 있으면 ○, 5~10 회만큼 펜을 닦아 낼 수 있으면 △, 1~5 회만큼 펜을 닦아 낼 수 있으면 ×로 하였다.
2. 내스크레치성 - 강철솜 #0000을 설치한 마모자에 1 ㎏의 하중을 걸어 스크래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3. 막의 부착성 - 상기 실시예 5 내지 10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코팅막에 1 ㎜의 간격으로 종횡 10 개의 바둑판 무늬의 절삭부를 넣고, 셀로판 테이프(니치반(주))를 강하게 부착한 후, 테이프의 한 끝을 갖고 표면에서 90 도 방향으로 힘차게 잡아당겨 하드 코팅층이 박리되지 않는 것을 OK, 박리되는 것을 NG로 표시하였다.
구분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막의 부착성
실시예 5 양호 OK
실시예 6 양호 OK
실시예 7 양호 OK
실시예 8 양호 OK
실시예 9 양호 OK
실시예 10 양호 OK
비교예 1 × 양호 OK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내지 10의 코팅막은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및 막의 부착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내오염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를 포함하여 우수한 반응성으로 중합이 잘 이루어지며, 자외선 경 화시 반응에 참여하는 관능기를 줄여 가교가 쉽고, 가교율 또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액 조성물은 내오염성, 특히 내마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Claims (9)

  1.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 0.05 내지 2 중량%;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내지 15 중량%;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 내지 22.48 중량%; UV 경화용 개시제 1 내지 5 중량%; 및 용매 55 내지 70 중량%;를 총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는, a)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를 중합반응시켜 제조되는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폴리올; 및 b)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 고분자는, 분자량이 최대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용 개시제가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벤조인 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벤젠, 톨루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알콜, 프로필 알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N-메틸 피롤리딘온, N-비닐 피롤리딘온, N-아세틸 피롤리딘온, N-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온, N-부틸 피롤리딘온, N-에틸 피롤리딘온, N-(N-옥틸)피롤리딘온, N-(N-도데실)피롤리딘온, 2-메톡시에틸 에테르, 자일렌, 사이클로헥세인, 3-메틸 사이클로헥산온,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탄올, 아밀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폼아마이드, 에틸렌 글리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에틸렌 글리콜의 모노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의 디알킬 에테르, 및 이들의 유도체(cellosolv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KR1020070034071A 2007-04-06 2007-04-06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KR10113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71A KR101134273B1 (ko) 2007-04-06 2007-04-06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71A KR101134273B1 (ko) 2007-04-06 2007-04-06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779A KR20080090779A (ko) 2008-10-09
KR101134273B1 true KR101134273B1 (ko) 2012-04-12

Family

ID=4015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071A KR101134273B1 (ko) 2007-04-06 2007-04-06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2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75B1 (ko) 2015-08-31 2017-08-29 희성전자 주식회사 방오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오성 시트
KR101793901B1 (ko) * 2014-11-28 2017-11-07 희성전자 주식회사 방오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코팅층의 형성 방법 및 하드 코팅층을 갖는 하드 코팅 시트
US10442952B2 (en) 2015-04-30 2019-10-15 The Chemours Company Fc, Llc Durable architectural coatings containing crosslinkable polymeric additi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5500B (zh) * 2010-07-14 2016-06-01 Lg化学株式会社 防眩涂料组合物和具有优异的耐磨性和耐沾污性的防眩涂膜
CN102490354B (zh) * 2011-12-04 2013-10-02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第五研究院第五一〇研究所 一种机械制冷机聚四氟材料耐磨套的成形工艺
KR101401959B1 (ko) * 2012-08-06 2014-05-30 건설화학공업 주식회사 내오염성, 내구성, 차열 성능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
CN105273585B (zh) * 2015-10-20 2017-11-21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一种uv隔断防污涂覆组合物、硬化膜及制备方法
CN106497170A (zh) * 2016-11-09 2017-03-15 广州慧谷工程材料有限公司 用于车载触摸屏防爆膜硬化涂层的uv光固化涂料及制备
KR102443252B1 (ko) * 2020-12-15 2022-09-14 희성폴리머 주식회사 차열성과 내구성이 강화되고 경량화된 건축용 막구조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165A (en) * 1988-04-15 1992-01-14 Daikin Industries, Ltd.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fluorinated (meth)acrylates
KR100569754B1 (ko) 2003-03-25 2006-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165A (en) * 1988-04-15 1992-01-14 Daikin Industries, Ltd.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fluorinated (meth)acrylates
KR100569754B1 (ko) 2003-03-25 2006-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901B1 (ko) * 2014-11-28 2017-11-07 희성전자 주식회사 방오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코팅층의 형성 방법 및 하드 코팅층을 갖는 하드 코팅 시트
US10442952B2 (en) 2015-04-30 2019-10-15 The Chemours Company Fc, Llc Durable architectural coatings containing crosslinkable polymeric additives
KR101772275B1 (ko) 2015-08-31 2017-08-29 희성전자 주식회사 방오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오성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779A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273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하드 코팅액 조성물
KR101129258B1 (ko) Uv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TWI462937B (zh) 含氟自由基聚合性共聚物、使用它之活性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含氟自由基聚合性共聚物之製法
US9523795B2 (en) Antistatic antireflection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static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511522B2 (en) High performance photocurable optically clear adhesive
US20080241554A1 (en) Hard coat film
CN101506298A (zh) 光学用树脂组合物和使用它的光学用树脂材料、用于图像显示用装置的光学滤光器以及图像显示用装置
EP2412773A1 (en) Adhesive protective film, screen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KR102624940B1 (ko) 함불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물품
JP2008063433A (ja) ディスプレイ貼着用透明フィルム
EP1245968B1 (en) Laminate comprising a needle-like antimony-containing tin oxide and antireflection film comprising the same
TW201837145A (zh) 高性能光可固化光學清透黏著劑
US11208576B2 (en) High performance photocurable optically clear adhesive
KR100973128B1 (ko) 접착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코팅액 조성물
WO2014092095A1 (ja) 光学フィルム形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偏光板
CN102791756A (zh) 活性能量线固化性组合物、带有固化膜的聚碳酸酯树脂成型体及其制造方法
CN103163570A (zh) 光学膜、包括其的背光单元和包括其的光学显示设备
JP6057542B2 (ja) 低屈折率層形成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並びに表示装置
JP2013095817A (ja) アルコキシシラン縮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
CN101104704B (zh) 光化射线可固化的组合物及其用途
JP2007084685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90035642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60015216A (ko) 중합성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물품
KR2008006267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용충격흡수층 조성물
KR100596492B1 (ko) 광섬유 인라인 코팅용 광경화형 고분자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