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215B1 - 터널누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터널누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215B1
KR101133215B1 KR1020090082691A KR20090082691A KR101133215B1 KR 101133215 B1 KR101133215 B1 KR 101133215B1 KR 1020090082691 A KR1020090082691 A KR 1020090082691A KR 20090082691 A KR20090082691 A KR 20090082691A KR 101133215 B1 KR101133215 B1 KR 10113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tunnel
leakage
reinforcing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620A (ko
Inventor
정재형
이성원
신휴성
이규필
황재홍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2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현장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누수보강공의 길이 조절을 자유롭게 한 터널누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지보재를 따라 형성되는 공극에 의한 누수로를 폐색시키기 위하여 누수로를 따라 누수보강공을 설치하되, 상기 누수보강공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부재들을 다수의 관형 연결구를 통하여 다수 연결하여 연장된 것이고, 상기 누수보강공의 일단에는 캡이 장착되어 밀봉되며, 타단에는 상기 누수보강공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콘넥터를 통하여 연결되어 숏-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누수보강공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주입하므로써 누수방지재가 누수로를 충전시켜 폐색시키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의 단면 크기에 따라서, 또는 시공현장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원하는 설치 부위에 누수보강공의 길이를 조절하여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강지보재 주위의 누수로에 경제적으로 주입하여 누수로를 폐색시키고 터널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누수보강공, 터널누수 제어장치, 강지보재, 누수로, 숏-크리트

Description

터널누수 제어장치{TUNNEL LEAKAGE CONT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터널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발파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막장의 굴착 내측면에 H 형강을 포함하는 강지보재를 설치하고, 상기 강지보재가 굴착 내측면과 일체화되도록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키는 터널시공 공법에서 시공현장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누수보강공의 길이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강지보재를 따라 형성되는 공극에 의한 누수로에 누수보강공을 통해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주입하여 폐색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된 터널누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숏-크리트 및 강지보재에 의해서 시공된 터널의 단면도 및 그 A-A 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1)의 시공순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발파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터널 진행방향으로 막장(1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막장(10)은 인위적으로 형성시킨 것이기 때문에, 막장(10)의 이완에 따른 붕괴의 위험성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막장(10)의 내측 굴착면(12)에는 1차 숏-크리트(Shot-Crete)(31)를 타설하여 내측 굴착면(10)의 붕괴가 방지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는 상기 1차 숏-크리트(31)를 지지하도록 H 형강과 같은 강지보재(2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지보재(20)는 통상 H 형강을 이용하여 내측 굴착면(12)에 다수를 연결시켜 가면서 설치하게 되며, 막장(10)이 형성될 때마다 시공되도록 한다. 이러한 강지보재(20)는 결국 이완되려고 하는 막장(10)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강지보재(20)는 막장(10) 내부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하지 않고, 다시 추가적인 2차 숏-크리트(32)를 타설하여 매립되도록 하는데, 통상 이러한 숏-크리트(30)는 고압으로 뿜어치기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리바운드율이 상당히 높게 마련이고, 특히 강지보재(20)는 강재이기 때문에 숏-크리트(30) 타설시, 내측 굴착면(12) 보다 리바운드율이 커질 수 있어 숏-크리트(30)가 강지보재(20)에 충분히 밀착되어 형성되도록 품질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이와 같은 숏-크리트는 1회 시공에 의하여 전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여건 등에 따라 그 회수 및 시기를 달리하여 반복하고, 다수 횟수에 의해서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숏-크리트(30)의 타설 작업이 최종 완료되면, 마지막 숏-크리트(33)의 완성면에 부직포(40)를 포설하게 되며, 이러한 최종 부직포(40)에 콘크리트 라이닝(50)을 추가 형성시킴으로써 최종 터널 내측 굴착면(12)의 이완에 의한 보강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히 2차 숏-크리트(32)를 타설하는 경 우, 강지보재(20)에 대한 리바운드율이 커지는 등 그 시공관리 및 품질관리는 완벽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강지보재(20)의 주위에는 숏-크리트(30)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음에 따라 다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극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 내측 굴착면(12)으로부터의 유수가 침투되는 누수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누수현상이 지속되다 보면, 터널(1) 내측면에는 상당량의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되며, 라이닝(50) 배면에 수압이 작용하여 터널(1)의 라이닝(50) 파손 또는 변형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동절기에는 이러한 누수로 인해 터널(1) 내부의 도로에 결빙, 고드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되 커지게 된다. 이에 터널 시공 완성 이후에 추후 누수방지를 위한 보수시공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보수시공은 터널(1)의 통행을 일정시간 막아야 하는 등의 시간적, 경제적 문제점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아, 미리 이러한 터널(1)의 누수로를 폐색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청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터널시공 공법에서 굴착 내측면에 강지보재를 설치함에 따른 누수로를 폐색시킴으로써 강지보재의 설치에 따른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누수에 의한 터널 내측면의 오염, 동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터널누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널의 단면 크기에 따라서, 또는 시공현장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원하는 설치 부위에 그 길이를 조절하여 쉽게 장착하고, 누수방지재를 강지보재 주위의 누수로에 주입하여 효과적으로 누수로를 폐색시킬 수 있도록 된 터널누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H 형강을 포함하는 강지보재가 굴착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강지보재가 타설된 숏-크리트에 의해서 매설되어 굴착 내측면에 일체화 시공되는 터널의 터널누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지보재를 따라 형성되는 공극에 의한 누수로를 폐색시키기 위하여 누수로를 따라 누수보강공을 설치하되, 상기 누수보강공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부재들을 다수의 관형 연결구를 통하여 다수 연결하여 연장된 것이고, 상기 누수보강공의 일단에는 캡이 장착되어 밀봉되며, 타단에는 상기 누수보강공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콘넥터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숏-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누수보강공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주입하므로써 누수방지재가 누수로를 충전시켜 폐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널의 단면 크기에 따라서, 또는 시공현장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원하는 설치 부위에 그 길이를 조절하여 쉽게 장착하고, 누수방지재를 강지보재 주위의 누수로에 주입하여 효과적으로 누수로를 폐색시켜 누수에 의한 터널 내측면의 오염 또는 동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부재는 각각의 길이가 1m 내지 3m이고, 상기 누수보강공은 강지보재의 일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공극을 따라서 강지보재의 일부분에 시공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수보강공의 길이 조절과 적절한 위치 선정을 통하여 누수방지재를 강지보재 주위의 누수로에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주입하여 누수로를 폐색시키고 터널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넥터는 입측 포트가 누수방지재 주입장치의 배관에 연결되고, 타측 포트는 상기 누수보강공의 일단에 결합되어 주입장치로부터 누수보강공으로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주입하는 "ㄱ"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수보강공의 일단으로 누수방지재를 주입하여 누수로를 폐색시키고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넥터는 입측 포트가 누수방지재 주입장치의 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의 양측 포트는 누수보강공의 중간에 각각 결합되어 주입장치로부터 누수보강공으로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주입하는 "T"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수보강공의 중간에서 양측으로 각각 누수방 지재를 주입하여 누수로를 폐색시키고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에 의하면 누수보강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가 강지보재를 설치함에 따라 형성된 누수로를 폐색시킴으로써 터널내의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누수에 의한 터널 내측면의 오염, 동결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보강공이 다수의 1m 내지 3m 길이의 관부재들을 다수의 관형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하여 연장된 것이어서 터널의 단면 크기에 따라서, 또는 시공현장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원하는 설치 부위에 그 길이를 조절하여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경화성 누수방지재를 강지보재 주위의 누수로에 효과적으로 주입하여 누수로를 폐색시키고 터널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100)가 전체적으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100)는 터널(200)의 강지보재(140)를 따라 형성되는 공극에 의한 누수로를 따라서 설치되는 누수보강공(11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누수보강공(110)은 다수의 관통공(122)이 형성된 관부재(120)들을 다수의 관형 연결구(130)를 통하여 다수 연결하여 연장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누수보강공(110)은 그 각각의 관부재(120) 길이가 1m 내지 3m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가공이나 휨이 용이한 동파이프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관부재(120)들의 배치 숫자와 이들을 연결시키는 관형 연결구(130)들의 배치 숫자의 조절을 통하여 터널(200)의 단면형상 및 시공현장에서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그 전체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것이다.
즉 관부재(120)들의 배치 숫자와 이들을 연결시키는 관형 연결구(130)들의 배치 숫자를 늘리면 상대적으로 누수보강공(110)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고, 배치 숫자들을 각각 줄이면 누수보강공(110)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누수보강공(110)은 다수의 관부재(120)들과 관형 연결구(130)들을 통하여 길이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강지보재(140)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그 길이가 연장되거나, 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짧게 조절되어 강지보재(140)에 의해서 형성된 공극을 따라서 강지보재(140)의 일부분에 걸쳐서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관부재(120)들을 연결시키는 관형 연결구(130)들은 그 양단부(132)가 관부재(120)의 단부에 각각 삽입되며, 관형 연결구(130)의 양단부에 접착제(미 도시)를 도포하여 관부재(120)와의 본딩접합을 이루거나, 나사결합을 이루거나 또는 관형 연결구(130)의 양단부에 관부재(120)를 끼운 다음, 관부재(120) 둘레에 별도의 패스너(Fastener)(미 도시)를 체결하여 패스너에 의한 조임 결합으로 그 결합부위에서 밀봉상태로 관부재(120)들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정길이로 연장된 누수보강공(110)은 그 일단에 캡(Cap)(150)이 장착되어 밀봉되는데, 이와 같은 캡(150)도 상기 관형 연결구(130)와 유사하게 그 일단부가 관부재(120)의 단부에 삽입되며, 캡(150)의 일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관부재(120)와의 본딩접합을 이루거나, 나사결합을 이루거나 또는 캡(150)을 관부재(120)에 끼운다음 그 둘레에 별도의 패스너(Fastener)(미 도시)를 체결하여 패스너에 의한 조임 결합으로 관부재(120)의 일측단부를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일정길이로 연장된 누수보강공(110)은 그 타단에 상기 누수보강공(110)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장치(160)에 콘넥터(170)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콘넥터(17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콘넥터(170)는 그 입측 포트(172)가 누수방지재 주입장치(160)의 배관(162)에 연결되고, 타측 포트(174)는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일단에 본딩 결합되거나, 나사결합을 이루거나 또는 패스너(미 도시)를 통한 조임 결합되어 상기 주입장치(160)로부터 누수보강공(110)으로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주입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콘넥터(17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콘넥터(170)는 그 입측 포트(172)가 누수방지재 주입장치(160)의 배관(162)에 연결되고, 타측의 양측 포트(176)는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중간에 각각 삽입되어 본딩 결합되거나, 나사결합을 이루거나 또는 패스너(미 도시)를 통한 조임 결합되어 상기 주입장치(160)로 부터 양측방향의 누수보강공(110)으로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주입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100)는 터널(200)의 구축 공정에서 숏-크리트가 경화된 후, 강지보재(140)를 따라서 형성된 공극에 배치된 누수보강공(110)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주입하므로써 누수방지재(P)가 누수로를 충전시켜 폐색시키게 된다.
미 설명 부호(180)는 주입장치(160)의 누수방지재 믹싱장치(180)이고, (190)는 컴프레셔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터널(200) 내부의 누수를 차단시키는 공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터널(2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100)는 터널(200)을 시공하기 위한 막장(210)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막장(210)은 발파 등에 의해서 내측 굴착면(2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내측 굴착면(212)은 화약 장약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굴착기 또는 쉴드 선단부에 의한 굴착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측 굴착면(212)에 1차 숏-크리트(221)가 타설되며, 이는 내측 굴착면(212)이 형성되자 마자 타설되어 내측 굴착면(212)의 이완에 따른 붕괴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차 숏-크리트(221)가 타설된 이후에는 도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강과 같은 강지보재(140)를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강지보재(140)는 내측 굴착면(212)에 형성된 1차 숏-크리트(221)를 따라서 반원형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강지보재(140)는 H 형강을 가공하여 다수의 세그멘트 강지보재(140)를 먼저 제작한 다음, 막장(210)에 운반하고, 막장(210)에서 내측 굴착면(212)에 형성된 1차 숏-크리트(221)를 따라서 일체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서 설치된다.
그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터널누수 제어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터널누수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누수보강공(110)은 미리 소정의 길이로 제작되어 강지보재(1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누수보강공(110)은 다수의 관부재(120)들과 관형 연결구(130)들을 통하여 길이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지보재(140)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그 길이가 연장되거나, 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짧게 조절되어 강지보재(140)에 의해서 형성된 공극을 따라서 강지보재(140)의 일부분에 걸쳐서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누수보강공(110)은 관부재(120)들이 누수방지재(P)의 원활한 방출을 위하여 다수의 관통공(12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도 5를 기준으로 보면 강지보재(140)의 플랜지(142a)와 복부(142b)의 연결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2개소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수보강공(110)은 상기 플랜 지(142a)와 복부(142b)에 클램프(미 도시)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일단에는 누수방지재(P)의 주입을 위한 주입장치(160)가 콘넥터(170)를 통해서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주입장치(160)는 주입밸브(164) 및 주입 배관(162)을 포함하는 주입구(166)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주입밸브(164)가 연결된 주입 배관(162)에는 누수방지재(P)를 누수보강공(110)에 압송하기 위한 컴프레셔(190) 및 누수방지재 믹싱장치(18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널누수 제어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2차 숏-크리트(222)를 타설함으로써 강지보재(140)와 누수보강공(110)이 매립되도록 하고, 상기 2차 숏-크리트(222)의 형성 두께에 따라 3차 숏-크리트(223)를 더 타설하여 전체 숏-크리트(22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3차 숏-크리트(223)에 부직포(240)를 더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라이닝(250)을 타설하고 양생시킴으로써 최종 터널 내측 굴착면(212)의 보강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공정 후에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100)를 통해서 누수보강공(110)에 누수방지재(P)가 투입되는데, 이는 컴프레셔(190)의 작동으로 주입 배관(162) 및 주입밸브(164)의 개방 조작에 의해서 누수보강공(110)에 압송되는 방식으로 주입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콘넥터(170)가 "ㄱ"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구조에서는 누수보강공(110)의 일단으로 누수방지재(P)가 주입되고, 콘넥터(170)가 "T"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구조에서는 누수보강공(110)의 중간에서 양측으로 각각 누수방지 재(P)가 주입된다.
이와 같은 누수방지재(P)의 압송으로 인해서 누수방지재(P)는 강지보재(140)의 플랜지(142a)와 복부(142b) 사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어 누수로의 폐색이 가능하게 되고, 경화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수보강공(110)을 통하여 공급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P)가 강지보재(140)를 설치함에 따라서 형성된 누수로를 폐색시킴으로써 터널(200)내의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누수에 의한 터널(200) 내측면의 오염, 동결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보강공(110)이 다수의 1m 내지 3m 길이의 관부재(120)들을 다수의 관형 연결구(130)를 통하여 연결하여 연장된 것이어서 터널(200)의 단면 크기에 따라서, 또는 시공현장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원하는 설치 부위에 그 길이를 조절하여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지보재(140)에 있어 가장 리바운드율이 높은 시공부위에 집중하여 설치함으로써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강지보재(140) 의 주위 누수로에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주입하여 누수로를 폐색시키고 터널(200) 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 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강지보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누수보강공이 길게 시공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강지보재의 일부 구간에 걸쳐서 누수보강공이 짧게 시공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가 터널의 강지보재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0..... 터널 10,210..... 막장
12,212.... 내측 굴착면 20,140.... 강지보재
30,220.... 숏-크리트 31,221.... 1차 숏-크리트
32,222.... 2차 숏-크리트 33,223.... 3차 숏-크리트
40,240.... 부직포 50,250.... 콘크리트 라이닝
100.... 본 발명에 따른 터널누수 제어장치
110.... 누수보강공 120..... 관부재
122.... 관통공 130..... 관형 연결구
132.... 관형 연결구 양단부 142a... 플랜지
142b.... 복부 150.... 캡(Cap)
160.... 누수방지재 주입장치 162.... 배관
164.... 주입밸브 166.... 주입구
170.... 콘넥터 172.... 입측 포트
174.... 타측 포트 176.... 양측 포트
180.... 누수방지재 믹싱장치 190.... 컴프레셔
P..... 누수방지재

Claims (4)

  1. H 형강을 포함하는 강지보재가 굴착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강지보재가 타설된 숏-크리트에 의해서 매설되어 굴착 내측면에 일체화 시공되는 터널의 터널누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지보재(140)를 따라 형성되는 공극에 의한 누수로를 폐색시키기 위하여 누수로를 따라 누수보강공(110)을 설치하되, 상기 누수보강공(110)은 다수의 관통공(122)이 형성된 관부재(120)들을 다수의 관형 연결구(130)를 통하여 다수 연결하여 연장된 것이고,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일단에는 캡(150)이 장착되어 밀봉되며, 타단에는 상기 누수보강공(110)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장치(160)에 콘넥터(17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숏-크리트(220)가 경화된 후, 상기 누수보강공(110)에 그라우팅용 밀크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주입하므로써 누수방지재(P)가 누수로를 충전시켜 폐색시키며,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중간에 콘넥터(170)가 더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중간에 설치되는 콘넥터(170)는 입측 포트(172)가 누수방지재 주입장치(160)의 배관(162)에 연결되고, 타측의 양측 포트(176)는 누수보강공(110)의 중간에 각각 결합되어 주입장치(160)로부터 누수보강공(110)으로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주입하는 "T"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누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120)는 각각의 길이가 1m 내지 3m이고, 상기 누수보강공(110)은 강지보재(140)의 일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공극을 따라서 강지보재(140)의 일부분에 시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누수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타단에 설치되는 콘넥터는 입측 포트(172)가 누수방지재 주입장치(160)의 배관(162)에 연결되고, 타측 포트(174)는 상기 누수보강공(1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주입장치(160)로부터 누수보강공(110)으로 경화성 누수방지재(P)를 주입하는 "ㄱ"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누수 제어장치.
  4. 삭제
KR1020090082691A 2009-09-02 2009-09-02 터널누수 제어장치 KR10113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91A KR101133215B1 (ko) 2009-09-02 2009-09-02 터널누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91A KR101133215B1 (ko) 2009-09-02 2009-09-02 터널누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20A KR20110024620A (ko) 2011-03-09
KR101133215B1 true KR101133215B1 (ko) 2012-04-05

Family

ID=4393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691A KR101133215B1 (ko) 2009-09-02 2009-09-02 터널누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9511A (zh) * 2022-01-28 2022-05-06 青岛市西海岸轨道交通有限公司 一种对运营隧道渗漏水注浆治理的加固装置及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195A (ja) * 1993-09-24 1995-04-04 Takenaka Komuten Co Ltd トンネルの漏水防止工法とその処理装置
JP2004060216A (ja) 2002-07-26 2004-02-26 Takenaka Doboku Co Ltd 注入管付防水シート工法
KR20090023832A (ko) * 2007-09-03 2009-03-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누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195A (ja) * 1993-09-24 1995-04-04 Takenaka Komuten Co Ltd トンネルの漏水防止工法とその処理装置
JP2004060216A (ja) 2002-07-26 2004-02-26 Takenaka Doboku Co Ltd 注入管付防水シート工法
KR20090023832A (ko) * 2007-09-03 2009-03-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누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20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84037A1 (fr) Materiau de reparation de canalisation, structure de reparation, et procede de reparation
JP3415802B2 (ja) 止水遮断装置
CN108442412A (zh) 变形缝渗漏防水施工方法
CN100370171C (zh) 地下管道和检查井的非开挖整体修复方法
KR101415106B1 (ko) 터널의 공동 채움 시공 장치
KR20120063257A (ko) 프리스트레스 강선을 이용한 실드터널 세그먼트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실드터널 세그먼트 라이닝 체결시스템
JP2001311387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100937237B1 (ko) 복합 쏘일네일링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쏘일네일링공법
KR101133214B1 (ko) 터널 누수보강공 장착장치
CN111425208A (zh) 一种基于盾构管片的抗悬浮装置、系统及方法
KR100901804B1 (ko) 터널누수 제어방법
KR101133215B1 (ko) 터널누수 제어장치
US6033149A (en) Material and method for lining pipes
JP4277038B2 (ja) 漏水補修方法、漏水補修構造
CN110778333A (zh) 一种隧道渗漏修复方法
JP2017193869A (ja) コンクリート面の漏水対策工法
US7828496B1 (en) Watertight joint seal for concrete structures
JP4012063B2 (ja) 枠付き鉄骨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及び補強工法
KR102053112B1 (ko) 보강 섬유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KR2001000125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JP200630753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止水工法
KR100379187B1 (ko) 지하구조물의 늦체결이음공법
JP3598080B2 (ja) マンホールの鞘管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