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849B1 -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849B1
KR101132849B1 KR1020110105003A KR20110105003A KR101132849B1 KR 101132849 B1 KR101132849 B1 KR 101132849B1 KR 1020110105003 A KR1020110105003 A KR 1020110105003A KR 20110105003 A KR20110105003 A KR 20110105003A KR 101132849 B1 KR101132849 B1 KR 10113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rail
control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Priority to KR102011010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이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상에서 상, 하, 좌, 우 및 주행할 수 있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송신하고 카메라의 이동 및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카메라의 이동경로 상에서 송신된 영상을 수신하여 주요시설이나 생산 시설 내의 장비나 시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가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설치장소가 아닌 구역을 감시할 경우 추가로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 카메라를 상, 하, 좌, 우 및 감시와 이동이 가능하며, 설치가 편리하고 원격에서 컴퓨터를 통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형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주행이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일부(2)와 구동부(3)로 이동하는 카메라(1)와 영상부(10)와 카메라 위치 구동 및 제어부(20, 30)와 유/무선 인터페이스(40)와 원격제어 및 감시할 수 있는 원격제어 감시부(50)로 구성하여 본원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Image Surveillance System that is enabled to move on rail type}
본 발명은 주행이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상에서 상, 하, 좌, 우 및 주행할 수 있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된 영상을 송신하고 카메라의 이동 및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카메라의 이동경로 상에서 송신된 영상을 수신하여 주요시설이나 생산 시설 내의 장비나 시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가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주요시설이나 생산 시설 내의 장비나 시설은 고정식 또는 수동식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감시시스템이 구현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비디오 카메라는 소정의 구역 내에서 상황 및 정보 등을 감시하고 녹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녹화 정보는 사고 발생, 범죄 발생 또는 소정의 요구사항이 발생할 경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메라는 일정 구역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구역의 상황만을 인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카메라의 설치장소가 아닌 구역을 감시할 경우 추가로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감시목적의 CCTV는 구동 점이 하나로 원근 및 360° 감시기능을 가지고 주행 촬영이 불가능하고 화면왜곡 현상이 발생하여, 정밀 촬영이 요구되는 스포츠 중계, 경마 및 경륜장, 자동차 시험소, 정밀 생산 계측 산업현장 등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영상감시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카메라의 설치장소가 아닌 구역을 감시할 경우 추가로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 카메라를 상, 하, 좌, 우 및 감시와 이동이 가능하며, 설치가 편리하고 원격에서 컴퓨터를 통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형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의 이동경로 상에서 주행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영상을 송신하여 주요시설이나 생산 시설 내의 장비나 시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가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주행이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일부(2)와 구동부(3)로 이동하는 카메라(1)와 영상부(10)와 카메라 위치 구동 및 제어부(20, 30)와 유/무선 인터페이스(40)와 원격제어 및 감시할 수 있는 원격제어 감시부(50)로 구성하여 본원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설치장소가 아닌 구역을 감시할 경우 추가로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 카메라를 상, 하, 좌, 우 및 감시와 이동이 가능하며, 설치가 편리하고 원격에서 컴퓨터를 통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조종이 가능토록 한 이동형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카메라의 이동경로 상에서 주행 촬영이 가능하고 정밀하게 촬영된 영상을 송신하여 주요시설이나 생산 시설 내의 장비나 시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의 동작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감시 부의 동작 순서도.
본 발명은 주행이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상에서 상, 하, 좌, 우 및 주행할 수 있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된 영상을 송신하고 카메라의 이동 및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카메라의 이동경로 상에서 송신된 영상을 수신하여 주요시설이나 생산 시설 내의 장비나 시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가 가능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레일부(2)와 구동부(3)로 이동하는 카메라(1)와 영상부(10)와 카메라 위치 구동 및 제어부(20, 30)와 유/무선 인터페이스(40)와 원격제어 및 감시할 수 있는 원격제어감시부(50)로 구성된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직선 축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카메라(1)는 다열구조인 접속자방식의 경량 레일부(2)로 구성하고, 완충장치로 구성된 구동부(3)와 상/하 수직 제어용 케이블 구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영상부(10)는 카메라(1)에서 촬영된 신호를 DSP(11)에 입력되고, 상기 DSP(11)에서 출력된 신호는 촬영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encoder(12)로 입력되고, 상기 encoder(12)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40)의 송/수신부(41)에 입력되고, 상기 송/수신부(41)에서 출력된 신호는 원격제어 및 감시부(50)에 입력된다.
상기 촬영제어부(13)는 카메라의 축 및 회전, 줌인/아웃, 주행과 촬영된 영상신호를 유/무선 인터페이스(4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위치 구동부(30)는 정확한 위치계측을 하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구성된 축/회전 센서(32), 상기 스테핑모터(31)는 정지?시동?역전 등의 동작을 반복하므로, 방열효과를 좋게 하고, 동작의 변화가 빨라지도록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부(20)의 제어신호를 받아 이것을 증폭하여 상기 스테핑모터(31)를 구동하는 서보부(34)로 구성한다.
상기 스테핑모터(31)는 전자(電磁)브레이크(33)를 모터 케이스 안에 내장하여, 모터 전기가 오프(off)인 때는 브레이크가 작용하고, 온(on)인 때는 브레이크가 풀리도록 구성한다.
상기 카메라위치제어부(20)는 카메라위치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21),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카메라위치구동부(30)의 축/회전센서(32)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보정알고리즘(23)과 자동보정부(22)로 위치 및 동작을 보정 한다. 상기 보정알고리즘(23)과 자동보정부(22)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위치제어부(20)의 제어부(21)는 상기 데이터를 유/무선 인터페이스(40)의 제어부(42)로 전달하고, 전달된 데이터는 유/무선 인터페이스(40)의 송/수신부(41)를 이용하여 원격제어 감시부(50)에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제어 및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원격제어 감시부(50)의 감시부(51)의 모니터와 원격제어부(52)를 사용하여 감시부화면 출력을 통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환경으로 유/무선 인터페이스(40)로 접속하고,
원격제어부(52)에서 보낸 제어명령을 유/무선 인터페이스(40)로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부(20)와 카메라위치구동부(30)에 위치구동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는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부(20)와 카메라위치구동부(30)에서 위치구동 및 제어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부(20)와 카메라위치구동부(30)는 위치구동 및 제어신호를 구동부(3)와 레일부(2)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부(10)의 촬영제어부(13)는 영상부 송신, 카메라 축 및 회전, 카메라 줌인/아웃, 카메라 주행 기능을 제어하고, 원격 제어 감시부(50)의 제어명령에 따라 촬영제어부(13) 분기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감시부(51)는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수개의 모니터나 멀티비젼으로 구성하고, 원격제어부는 제어 및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1. CCD 카메라 2. 레일부
3. 구동부 10. 영상부
11.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2. Encoder
13. 촬영제어부 20.카메라위치제어부
21. 제어부 22. 자동보정부
23. 보정알고리즘 30. 카메라위치구동부
31. 스테핑모터 32. 축/회전센서
33. 전자브레이크 34. 서보부
40. 유/무선 인터페이스 41. 송/수신부
42. 제어부 50. 원격제어감시부
51. 감시부 52. 원격제어부

Claims (15)

  1. 삭제
  2.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직선 축을 따라 주행하는 카메라(1)는 다열구조인 접속자방식의 경량 레일부(2)로 구성하고, 완충장치로 구성된 구동부(3)와 상/하 수직 제어용 케이블 드럼식 구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영상부(10)는 상기 카메라(1)에서 촬영된 신호를 DSP(11)에 입력되고, 상기 DSP(11)에서 출력된 신호는 촬영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encoder(12)로 입력되고, 상기 encoder(12)에서 출력된 신호는 유/무선 인터페이스(40)의 송/수신부(41)에 입력되고, 상기 송/수신부(41)에서 출력된 신호는 원격제어 및 감시부(50)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부(13)는 카메라의 축 및 회전, 줌인/아웃, 주행과 촬영된 영상신호를 유/무선 인터페이스(4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카메라 위치 구동부(30)는 정확한 위치계측을 하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로 구성된 축/회전 센서(32), 스테핑모터(31)는 정지?시동?역전 등의 동작을 반복하므로, 방열효과를 좋게 하고, 동작의 변화가 빨라지도록 카메라 위치제어부(20)의 제어신호를 받아 이것을 증폭하여 상기 스테핑모터(31)를 구동하는 서보부(3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모터(31)는 전자(電磁)브레이크(33)를 모터 케이스 안에 내장하여, 모터 전기가 오프(off)인 때는 브레이크가 작용하고, 온(on)인 때는 브레이크가 풀리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위치제어부(20)는 카메라위치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21),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카메라위치구동부(30)의 축/회전센서(32)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보정알고리즘(23)과 자동보정부(22)로 위치 및 동작을 보정 한다. 상기 보정알고리즘(23)과 자동보정부(22)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위치제어부(20)의 제어부(21)는 상기 데이터를 유/무선 인터페이스(40)의 제어부(42)로 전달하고, 전달된 데이터는 유/무선 인터페이스(40)의 송/수신부(41)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감시부(50)에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제어 및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감시부(50)의 감시부(51)의 모니터와 원격제어부(52)를 사용하여 감시부화면 출력을 통하여 GUI환경으로 유/무선 인터페이스(40)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52)에서 보낸 제어명령을 유/무선 인터페이스(40)로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카메라 위치제어부(20)와 카메라위치구동부(30)에 위치구동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는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부(20)와 카메라위치구동부(30)에서 위치구동 및 제어신호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부(20)와 카메라위치구동부(30)는 위치구동 및 제어신호를 구동부(3)와 레일부(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10)의 촬영제어부(13)는 영상부 송신, 카메라 축 및 회전, 카메라 줌인/아웃, 카메라 주행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감시부(50)의 제어명령에 따라 촬영제어부(13) 분기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51)는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수개의 모니터나 멀티비젼으로 구성하고, 원격제어부는 제어 및 영상과 수치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감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KR1020110105003A 2011-10-14 2011-10-14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132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03A KR101132849B1 (ko) 2011-10-14 2011-10-14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03A KR101132849B1 (ko) 2011-10-14 2011-10-14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849B1 true KR101132849B1 (ko) 2012-04-02

Family

ID=4614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003A KR101132849B1 (ko) 2011-10-14 2011-10-14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70B1 (ko) * 2013-01-08 2014-09-26 (주)아이엔아이 무인 이동식 감시 시스템
KR20170011755A (ko)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비콘 기반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577A (ko) * 2005-03-21 2006-09-26 블루마린시스템(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KR20070032971A (ko) * 2007-02-13 2007-03-23 이영우 주차장 감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100718694B1 (ko) 2006-03-28 2007-05-15 주식회사 에스컨자인 레일상에서 이동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주차 관제 시스템
KR20090080399A (ko) * 2008-01-21 2009-07-24 박가람 실내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577A (ko) * 2005-03-21 2006-09-26 블루마린시스템(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KR100718694B1 (ko) 2006-03-28 2007-05-15 주식회사 에스컨자인 레일상에서 이동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주차 관제 시스템
KR20070032971A (ko) * 2007-02-13 2007-03-23 이영우 주차장 감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20090080399A (ko) * 2008-01-21 2009-07-24 박가람 실내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감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70B1 (ko) * 2013-01-08 2014-09-26 (주)아이엔아이 무인 이동식 감시 시스템
KR20170011755A (ko)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비콘 기반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975B1 (ko) 돌발검지 시스템
WO2014069812A1 (ko) 카메라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카메라 제어 장치
KR101851539B1 (ko) 드론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JP5026067B2 (ja) エレベータリモート点検システム
CN108141533B (zh) 摄像系统、视角调整方法及非暂时有形存储介质
DE602005005879D1 (de) Zielsteuerungssystem und -Verfahren auf Bewegenbasis
US20110211084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On-Board Camera in a Mobile Station
KR20120096808A (ko) 보안 관제 장치, 궤도 보안 장치, 관제 로봇 장치, 보안 관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2849B1 (ko) 레일형 이동 영상 감시 시스템
CN104504905B (zh) 一种对车辆轨迹与速度进行识别的方法
JP2011109630A (ja) カメラ装置用雲台
JP2013106267A (ja) 自動追尾カメラシステム
KR20180099098A (ko) 촬영 대상의 움직임 추적 기능을 가진 융합형 영상 감시 시스템
US9981387B2 (en) Robot control system
JP2009301175A (ja) 監視方法
WO2012057392A1 (ko)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1755A (ko) 비콘 기반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JPH09115088A (ja) トンネル内監視システム
JP2018192844A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140111079A (ko)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30386B1 (ko) 이동 매니퓰레이터 작업 자동감지 비젼 로봇
JP4824790B2 (ja) 位置別受信感度のデータの収集及び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842380B1 (ko) 주차장 감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102284612B1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2356B1 (ko) 레일형 이동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