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868B1 -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868B1
KR101131868B1 KR1020107019057A KR20107019057A KR101131868B1 KR 101131868 B1 KR101131868 B1 KR 101131868B1 KR 1020107019057 A KR1020107019057 A KR 1020107019057A KR 20107019057 A KR20107019057 A KR 20107019057A KR 101131868 B1 KR101131868 B1 KR 10113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mover
ke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142A (ko
Inventor
에이타 가츠
미치아키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원하는 조작키의 조작만을 무효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무효조작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조그다이얼(7)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 모드로 변환되면, 표시제어부(110)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면(2)에 변환된 기능 모드의 화상이 표시된다. 바(6)는, 화상이 표시된 당초,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경계(BL)에 위치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고, 이것에 의하여, 바(6)가 경계(BL)로부터 조작영역(R2)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CPU(100)는,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CPU(100)는, 바(6)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하고, 바(6)와 경계(BL) 사이에 위치하는 조작키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설정을 행한다.

Description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서, 디스플레이면 상에 터치패널을 배치하고, 디스플레이면에 표시한 조작키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펜으로 누름으로써, 여러가지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터치패널은 약한 가압에도 반응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기기가 오작동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부(조작키)의 입력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적절하게 변환 가능한 스위치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조작에 방해가 되는 조작키만을 무효로 할 수 없어, 반드시 사용상 편리성이 좋은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하는 조작키의 조작만을 무효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무효 조작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키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의 조작부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이동자의 정지위치와 상기 제 1 표시영역과의 사이에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부와, 상기 제 1 조작부에 의해 상기 이동자가 이동한 후에 상기 이동자가 정지하였을 때에는, 상기 이동자와 상기 제 1 표시영역의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은,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를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서의 컴퓨터에, 상기 제 2 표시영역에서 상기 이동자가 이동한 후 정지하였을 때, 상기 이동자와 상기 제 1 표시영역의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은,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서의 컴퓨터에, 조작키의 표시영역을 이동자가 이동한 후 정지하였을 때, 상기 이동자와 상기 표시영역의 경계 사이에 있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텔레비전 모드 및 메일 모드의 양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메일 모드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에 사용하는 설정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전화 모드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텔레비전 모드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면은 오로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표시기(600)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부」에 상당하고, 콘텐츠 영역(R1), 조작영역(R2)이, 각각,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표시영역」, 「제 2 표시영역」에 상당하다. 또, 표시 제어부(110)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 제어부」및「영역 구분부」에 상당하고, 메모리(700)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억부」에 상당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능 제어부」는, 메모리(70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CPU(100)에 부여되는 기능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또한, 바(6)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이동자」에 상당하고, 조그다이얼(7)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조작부」,「제 2 조작부」 및 「제 3 조작부」에 상당하다. 또한, 조그다이얼(7)을 회전, 누름 등을 시키는 것이, 상기 제 1, 2, 3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상당하다. 또한, 송신키(K1), 문자 입력키(K2), 통신 개시키(K3), 통신 종료키(K4), 텐키(K5), 채널 피드키(channel feed key)(K6), 채널 번호키(K7) 및 볼륨키(K8)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조작키」에 상당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 도 1(c)는 각각,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캐비닛(1)을 구비한다. 캐비닛(1)은, 정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캐비닛(1)의 정면에는, 대략 전면(全面)에 걸쳐 디스플레이면(2)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면(2)은, 캐비닛(1)과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면(2)은, 액정 패널(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3)의 앞쪽에는, 터치패널(4)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패널(4)은, 사용자에게 눌려진 디스플레이면(2) 상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따른 신호(위치신호)를 출력한다. 터치패널(4)의 앞쪽에는, 보호 패널(5)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 패널(5)은, 터치패널(4)이 상처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보호 패널(5)의 표면에는, 그 하부 영역에, 세로홈(5a) 및 가로홈(5b)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5a, 5b)으로 둘러싸인 사각영역(S)에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면, 이 사각영역(S)이, 여러가지 조작을 행하기 위한 하나의 조작키(소프트 키)가 된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영역(R2)이 사각영역(S)이 없는 영역으로까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각영역(S)이 없는 영역에서는, 예를 들면, 기능의 문자를 네모난 선으로 둘러싸는 등, 인접하는 기능과의 경계를 알 수 있는 조작키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면(2)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6)가 표시된다. 바(6)는 디스플레이면(2)의 표시영역을 상하 2개의 화면영역으로 구분한다. 바(6)보다 위의 영역이 콘텐츠영역(R1)이 되고, 아래 영역이 조작영역(R2)이 된다. 콘텐츠영역(R1)에는, 텔레비전 영상이나 사진, 텍스트 등의 각종 콘텐츠가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R2)에는, 여러가지 조작키가 표시된다. 바(6)는, 조그다이얼(7)의 조작에 의해, 표시영역 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그다이얼(7)은, 캐비닛(1) 배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조그다이얼(7)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조그다이얼(7)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 조그다이얼(7)은, 전후방향으로도 움직이고, 푸시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조그다이얼(7)의 좌우에는, 각각, R 버튼(8)과 L 버튼(9)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R 버튼(8) 및 L 버튼(9)에 의하여, 일정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캐비닛(1)의 내부에는, 그 상부에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10)의 촬상 렌즈(10a)와 플래시부(10b)가 캐비닛(1)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고 있다.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바(6)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각종 기능 모드(전화 모드, 메일 모드, 텔레비전 모드, 뮤직 모드, 인터넷 모드, 카메라 모드 등)의 화상으로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면(2)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고정위치(예를 들면, L1~L6)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그다이얼(7)을 조작하여, 바(6)를 고정 위치(L5)로 이동시키고, 바(6)가 고정 위치(L5)에 있는 상태에서 조그다이얼(7)을 짧은 시간 누르면(짧게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바(6)를 고정 위치(L6)로 이동시켜 조그다이얼(7)을 짧게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의 화상으로부터 메일 모드의 화상으로 변환된다. 이들 기능 모드의 화상에서, 변환 당초의 바(6)의 위치가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경계(BL)가 된다.
도 2(a)는, 텔레비전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다. 또, 도 2(b)는, 메일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다. 텔레비전 모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콘텐츠가 콘텐츠영역(R1)에 표시되고, 영상표시에 관련되는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키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또, 메일 모드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된 문자 등이 콘텐츠영역(R1)에 표시되고, 메일의 입력이나 송수신을 위한 조작키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도 1에 의해 설명한 구성부품 외에, CPU(100), TV 모듈(200), 마이크(300), 패널 스피커(400), 통신처리부(500), 액정 표시기(600), 메모리(700), 배터리(800), 전원부(900)를 구비한다.
TV 모듈(200)은, TV 튜너 등을 포함하고, 안테나(210)를 거쳐 수신한 지상 디지털 방송파, 지상 아날로그 방송파 등의 전파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에 보낸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촬상 렌즈(10a) 및 플래시부(10b) 외에, 촬상 소자(10c)를 포함한다. 촬상 렌즈(10a)는, 피사체의 상을 촬상 소자(10c) 상에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10c)는, 예를 들면 CCD로 이루어지고, 도입한 화상에 따른 촬상신호를 생성하여, CPU(100)로 보낸다.
마이크(300)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패널 스피커(4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통신처리부(5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을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510)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함과 동시에, 안테나(510)를 거쳐 수신한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액정 표시기(600)는, 상기 액정 패널(3)과, 액정 패널(3)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CPU(100)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액정 패널(3) 상에 화상을 표시한다.
메모리(700)는, ROM(Read Only Memory)와 RAM(Random Access Memory)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ROM에는, CPU(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당해제어 프로그램에서 참조하는 테이블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테이블정보로서, 상기 바(6)의 고정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은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ROM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 1 설정 테이블 및 제 2 설정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또, RAM에는, 카메라 모듈(10)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처리부(500)를 거쳐 외부로부터 도입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보존된다. 이 밖에, RAM에는, TV 모듈(200)이나 통신처리부(50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취득한 영상 콘텐츠(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등)가 보존된다.
배터리(800)는, CPU(100)나 CPU(100) 이외의 휴대 전화기의 각 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배터리(800)는, 전원부(900)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900)는, 배터리(800)의 전압을 상기 각 구성부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또, 전원부(900)는, 외부 전원의 입력부(도시 생략)를 거쳐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800)에 공급하여, 배터리(800)를 충전한다. 전원부(900)에는, 전압 검출부(910)가 설치되어 있다. 전압 검출부(910)는, 배터리(800)의 전압을 검출하여, CPU(100)로 보낸다.
CPU(100)는, 메모리(700)(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블 정보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100)는, 터치패널(4), 조그다이얼(7), R 버튼(8), L 버튼(9), 마이크(300), 촬상 소자(10c) 등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패널 스피커(400), 액정 표시기(600) 등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하여, 각종 기능 모드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CPU(100)는, 전압 검출부(910)로부터의 전압신호에 의거하여, 배터리(800)의 잔량을 판단한다. 또한, CPU(100)는, 각종 기능 모드에서, 액정 표시기(600)에 여러가지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CPU(100)에 부여되는 제어 처리 기능 중, 액정 표시기(600)에 대한 처리기능(표시 처리기능)을, 특히, "표시 제어부(110)"라 부르고, 편의상, 도 3의 CPU(100) 내에 나타내기로 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CPU(100) 내에 준비된 작업 영역이 되는 메모리(도시 생략) 내에서, 액정 표시기(600)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RGB 신호)를 액정 표시기(600)에 출력한다. 또, 표시 제어부(110)는, 촬상 소자(10c)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 메모리(700) 내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 TV 모듈(200)이나 통신처리부(500)를 거쳐 수신한 화상 데이터(영상 콘텐츠) 등을 도입한다. 그리고, 도입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신호(RGB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600)에 출력한다. 액정 표시기(600)의 액정 패널(3), 즉 디스플레이면(2)에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7)이 조작된 경우에는, CPU(100) 내에서, 그 조작량이 판단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부(110)로부터 화상신호가 보내짐으로써, 디스플레이면(2)에 표시된 바(6)가, 그 조작량분만큼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주로, 조작영역(R2)에 배치된 터치패널식의 조작키에 의해, 각종 조작이 행하여진다. 터치패널(4)은, 약한 가압에도 반응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문자 입력키로 메일 문장을 입력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문자입력키에 인접하는 다른 조작키에 닿아, 다른 처리가 행하여질 염려가 있다. 또, 휴대 전화기를 포켓이나 가방에 넣고 있을 때에, 무엇인가가 조작키에 닿아, 오작동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화하는 키 조작 무효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5는, 메일 모드에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7)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 모드로 변환되면, 표시 제어부(110)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면(2)에 변환된 기능 모드의 화상이 표시된다(S1). 예를 들면, 메일 모드의 경우, 먼저 나타난 도 2(b)에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된다. 바(6)는, 화상이 표시된 당초,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경계 (BL)에 위치한다[도 2(b) 참조].
사용자에 의해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고, 이에 의해, 바(6)가 경계(BL)로부터 조작영역(R2)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CPU(100)는,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S2 : YES). 그리고, CPU(100)는, 바(6)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하고, 바(6)와 경계(BL)의 사이(키 무효영역)에 위치하는 조작키에 대한 조작을 무효화하는 설정을 행한다(S3).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송신키(K1)와 문자 입력키(K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송신키(K1) 등, 문자 입력키(K2)보다 위의 조작키는 무효가 되고, 문자 입력키(K2)는 유효가 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문자 입력키(K2)에 의해 메일 문서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문자 입력 시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あ」의 문자 입력키(K2)를 누르려고 하여, 잘못하여 그 위의 송신키(K1)에 닿더라도, 잘못하여 메일이 송신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까지 이동하였을 때에는, 조작영역(R2) 전체가 키 무효영역이 되어, 모든 조작키가 무효가 된다. 여기서, 바(6)가 16개인 문자 입력키(K2)의 배치영역의 도중에 위치할 때에는, 키 무효영역에 있는 문자 입력키(K2)만이 무효가 된다. 그러나, 문자 입력키(K2)의 일부를 무효로 하여도 그다지 의미가 없다. 따라서, 문자 입력키(K2)의 일부가 키 무효영역이 된 경우에는, 모든 문자 입력키(K2)가 무효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는, 모든 문자 입력키(K2)가 키 무효영역이 된 것에 따라, 모든 문자 입력키(K2)가 무효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동일한 기능의 조작키가 그룹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룹으로 무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CPU(100)는,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 사용자는, 예를 들면, 조그다이얼(7)을 긴 시간 누름으로써(길게 누름으로써), 이와 같은 이동금지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CPU(100)는, 바(6)의 이동금지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S4 : YES), 조그다이얼(7)의 조작에 의한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설정을 행한다(S5). 이 설정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어도, 표시영역 내에서 바(6)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방이나 포켓 등에 휴대 전화기를 넣을 때, 모든 조작키를 무효로 한 상태에서,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조작을 행하면, 가방이나 포켓 등의 안에서 조그다이얼(7)이 부주의하게 움직여도 조작키의 무효 범위가 바뀌지 않아, 기기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다음에, 바(6)의 이동 금지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S4 : NO), 상기와 같이 조그다이얼(7)의 짧게 누름에 의한 모드 변환조작이 이루어지면(S6 : YES), CPU(100)는, 이 때의 바(6)의 위치에 따른 기능 모드로 화상을 변환하는 설정을 행한다(S7). 이에 의하여, 표시 제어부(110)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새로운 기능 모드의 화상이 디스플레이면(2)에 표시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 사이의 경계(BL)와, 바(6)에 의하여, 조작키의 무효영역이 규정되고, 무효영역 내의 조작키의 조작만이 무효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때의 조작에 불필요한 조작키를 무효로 하고, 필요한 조작키에 대해서는 유효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필요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바(6)의 이동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조작키의 무효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키의 무효화 조작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6)의 이동을 금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바(6)가 이동하는 조작이 이루어져도, 바(6)가 이동하지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모든 키를 무효화한 상태에서, 포켓이나 가방 내에서 원치않게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어도, 키가 유효한 상태로 복귀하는 일은 없어, 원치않는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원활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동자가, 기능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표식으로서 공용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어, 기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조작키가 복수 기능의 실행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그 조작키가 무효 조작되어도, 일부 기능에 대해서는 그 조작키에의한 조작이 유효가 되는(조작에 의거하는 일부 기능이 실행되는) 구성이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는, 조작키의 무효조작을 해제하지 않아도, 그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 조작키의 무효조작이 행하여지면, 그 조작키에 관련지어진 기능의 설정이 변경되는 구성이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어느 키를 무효화함으로써 동시에 관련되는 기능 등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편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6은,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7은,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에 사용하는 설정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전화 모드에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면(2)에 소정의 기능 모드의 화상이 표시되면(S11), CPU(100)는,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S12 : YES), CPU(100)는, 바(6)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하여, 바(6)와 경계(BL)의 사이에 위치하는 조작키의 무효조작을, 메모리(700) 내에 저장된 제 1 설정 테이블에 따라 실행한다(S13).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화 모드에서, 바(6)가 통화 개시키(K3)와 텐키(K5)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통화 개시키(K3)나 통화 종료키(K4) 등, 텐키(K5)보다 위의 조작키가 무효화 후보가 된다.
제 1 설정 테이블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 모드마다, 조작키가 무효화 후보가 되었을 때에, 조작키에 할당된 기능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조작키에 하나의 기능만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기능이 무효가 된다. 한편, 하나의 조작키에 2개 이상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능에 따라서는 유효로 설정되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전화 모드에서, 통화 개시키(K3)가 무효화 후보가 된 경우, 통화 개시키(K3)의 조작에 대하여, 전화를 거는 발호 기능은 무효가 되고, 전화를 받는 착호 기능은 유효가 된다.
CPU(100)는, 또, 메모리(700)에 저장된 제 2 설정 테이블에 따라, 소정 기능의 설정을 변경한다(S14). 즉, 제 2 설정 테이블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키가 무효화 후보가 되었을 때에, 그것에 따라 소정 기능의 설정을 어떻게 변경할지가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통화 개시키(K3)가 무효화 후보가 되면, 에니 앤서(any answer) 기능을 무효로 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 통화 개시키(K3) 이외에 의한 발호 기능을 무효로 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에니 앤서키 기능이란, 상대로부터의 착신이 있었을 때에 어느 조작키를 누르더라도 통화가 개시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이 하여,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무효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 개시키(K3)를 조작하여도 전화를 걸 수 없게 된다. 한편, 전화가 걸려 왔을 때에는, 통화 개시키(K3)의 조작에 의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통화 개시키(K3)의 조작이 무효로 되어 있어도, 착신 시에, 무효 해제의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또, 미리 에니 앤서 기능이 설정되어 있어도, 이 기능이 무효가 되기 때문에, 통화 개시키(K3) 이외의 조작키[예를 들면, 조작이 유효한 텐키(K5)]를 조작하여도 전화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하여, 휴대 전화기가 가방 등에 넣어져 있어도, 착신 시에, 충격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통화 개시 조작이 되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잘못하여 통화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화 개시키(K3) 이외에 의한 발호 기능도 무효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 개시키(K3)와 다른 조작키(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기능)로도, 전화를 걸 수 없게 된다.
이밖에, 이 상태에서는, 통화 종료키(K5) 등, 키 무효영역에 있는 조작키에 대한 조작이,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조작키에 의거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까지 이동되고, 조작영역(R2) 전체가 키 무효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텐키(K4)의 조작도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조작키의 무효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바(6)의 이동 금지조작이 이루어지면(S15 : YES), CPU(100)는,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설정을 행한다(S16). 또, 모드 변환조작이 이루어지면(S17 : YES), CPU(100)는, 바(6)의 위치에 의거하는 새로운 기능 모드의 화상으로 변환된다(S18).
도 9는, 텔레비전 모드에서 키 조작을 무효화하는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텔레비전 모드로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영역(R1)이 작아서, 텔레비전 영상이 세로로 작게 표시되는 노멀모드와,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영역(R1)이 커서, 텔레비전 영상이 가로로 크게 표시되는 와이드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노멀 모드의 화상에서는, 예를 들면, 조작영역(R2)에, 채널 선택 기능을 가지는 2종류의 조작키가 표시되어 있다. 하나는, 채널 피드키(K6)이고, 번호를 크게 하여 가는 피드키와, 작게 하여 가는 피드키이다. 이 채널 피드키(K6)를 조작함으로써, 채널이 차례로 보내져 간다. 또 하나는, 채널 번호키(K7)로서, 대표적인 채널에 대응하는 6개의 번호키이다. 채널 번호키(K7)를 누름으로써, 직접, 그 번호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노멀 모드의 화상에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채널 피드키(K6)의 밑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채널 피드키(K6)에 대한 조작이 무효가 된다. 이 때, 상기한 제 2 설정 테이블에, 채널 피드키(K6)가 무효화 후보가 되면, 채널 번호키(K7)에 의한 채널 선택 기능이 무효가 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으면, 이와 같이 바(6)가 채널 피드키(K6)의 밑으로 이동됨으로써, 채널 번호키(K7)의 조작도 무효가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채널 번호키(K7)의 아래까지 바(6)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채널 선택을 행할 수 없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a)와 같이, 채널 피드키(K6)와 채널 번호 키(K7)가 떨어져 배치되어 있어, 이들 조작키의 사이에 다른 조작키, 여기서는 볼륨키(K8)가 배치되어 있어도 , 이 조작키의 조작이 무효가 되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도 9(b)에 나타내는 와이드 모드의 화상에서, 볼륨키(K8)가 키 무효영역으로 들어 간 경우, 볼륨키(K8)의 조작이 무효가 된다. 이때, 제 2 설정 테이블에, 볼륨키(K8)가 무효화 후보가 되면, 음성 출력기능이 무효가 되는, 즉 음성이 제거되는 설정이 되어 있으면, 이와 같이 바(6)를 이동시킴으로써, 음성 출력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음량은 원래의 상태로 유지한 채로,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9(a)의 예에서는, 채널 피드키(K6)의 조작이 무효가 되면 채널 번호키(K7)의 조작이 무효가 되도록 하였으나, 이들 조작키가 상하 반대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널 번호키(K7)의 조작이 무효가 되면 채널 피드키(K6)의 조작이 무효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볼륨키(K8)의 조작이 무효가 되었을 때에는, 미리 정한 일정한 음량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그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6)를 조그다이얼(7)에 의해 조작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터치패널(4)의 조작에 의해 바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바(6)의 위치에 손가락으로 대고, 그 상태에서 손가락을 상하시킴으로써, 바(6)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6)가 조작키의 위를 이동할 때에는, 조작키가 손가락으로 눌려진 상태가 된다. 그래서, 바(6)가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조작키가 잘못하여 받아들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그다이얼(7)을 짧게 누르거나 또는 길게 누름으로써, 모드의 변환과 바(6)의 이동금지를 설정할 수 있게 하였으나, 조그다이얼(7)의 가압시간에 관계없이, 단지 바(6)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모드의 변환과 바(6)의 이동금지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바(7)의 이동이 금지되고,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위치)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모드의 변환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된다.
일반적으로, 바(6)의 이동이 금지되는 것은,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모든 조작키가 무효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는,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그 이동을 금지하면, 목적이 달성된다고 생각된다. 한편, 최하부는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고정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바(6)가 최하부에 있을 때는 모드의 변환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드의 변환은,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위치)에 있을 때에 행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바(6)의 이동금지는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또, 모드 변환은,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바(7)의 이동이 금지되고,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모드의 변환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대부분의 경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조그다이얼(7)의 가압시간에 따라 처리를 변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사용자도, 낱낱이, 조그다이얼(7)의 가압 시간을 신경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메일 모드에서, 수신 메일의 일람으로 이행하기 위한 조작키가 무효가 된 상태에서, 신규 메일이 보내져 왔을 때에는, 그 조작키를 받아들이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신규 메일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6)의 이동조작, 바(6)의 이동 금지조작, 모드 변환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모두 조그다이얼(7)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다른 조작부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R 버튼(8)을 모드 변환 조작의 조작부로 하고, L 버튼(9)을 바(6)의 이동 금지조작의 조작부로 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자를, 디스플레이면(2)의 가로 폭 전체로 연장하는 바(6)의 화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가로방향 화살표의 화상 등, 다른 화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키 무효화 처리(도 6)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이것에 사용하는 테이블 정보(도 7)가, 휴대 전화기 내의 메모리(700)(ROM)에 프리인스톨되어 있었으나, 이들 제어 프로그램과 테이블 정보를, 통신처리부(500)를 거쳐, 웹 사이트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메모리(700)에 저장하도록 하여도 되고, 또는, 이들 제어 프로그램과 테이블 정보를 유지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를 휴대 전화기에 장착함으로써, 이들 제어 프로그램과 테이블 정보를 휴대 전화기에 도입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700)(ROM)에, 바(6)의 고정 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은 테이블이 기억되고, 모드 변환 조작 시에 바(6)의 고정 위치가 변경되면, 이 테이블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기능 모드의 화상으로 표시화면이 변환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바(6)의 고정 위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면(2)의 전체 표시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의 비율과 기능 모드를 관련지은 테이블을 메모리(700)에 저장하고, 모드 변환 조작 시에는, 이 테이블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기능 모드의 화상으로 표시화면이 변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즉, 청구범위에 기재된 「이동자의 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이란, 이동자의 위치와 기능 모드를 직접 관련지어 기억하는 형태 외에, 이동자에 의해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의 비율과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등, 이동자의 위치에 간접적으로 관련지어 기능 모드를 기억하는 형태도 널리 포함하는 것이다.
이밖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3)

  1.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키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부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이동자의 정지 위치와 상기 제 1 표시영역 사이에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금지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2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기능 모드를 변환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3 조작부와,
    상기 이동자의 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3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자에 의해상기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에,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 모드에 따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기능 모드를 변환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3 조작부와,
    상기 이동자에 의해 상기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의 비율과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3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자에 의해 상기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에, 상기 비율에 대응하는 기능 모드에 따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된 상태에서, 당해 조작키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되었을 때에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상기 조작키에 대응시킨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이동자의 이동에 의해 무효가 된 상기 키에 대응 지어져 있는 기능을 상기 테이블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7.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부와,
    상기 제 1 조작부에 의해 상기 이동자가 이동한 후에 상기 이동자가 정지하였을 때에는, 상기 이동자와 상기 제 1 표시영역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금지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2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된 상태에서, 당해 조작키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되었을 때에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상기 조작키에 대응지은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이동자의 이동에 의해 무효가 된 상기 키에 대응 지어져 있는 기능을 상기 테이블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이동자의 정지 위치와 상기 제 1 표시영역 사이에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107019057A 2008-01-29 2009-01-23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31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8363 2008-01-29
JP2008018363A JP5383053B2 (ja) 2008-01-29 2008-01-29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PCT/JP2009/051083 WO2009096334A1 (ja) 2008-01-29 2009-01-23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142A KR20100113142A (ko) 2010-10-20
KR101131868B1 true KR101131868B1 (ko) 2012-04-03

Family

ID=4091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057A KR101131868B1 (ko) 2008-01-29 2009-01-23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8432369B2 (ko)
JP (1) JP5383053B2 (ko)
KR (1) KR101131868B1 (ko)
WO (1) WO2009096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3053B2 (ja) 2008-01-29 2014-01-08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2011030081A (ja) * 2009-07-28 2011-02-10 Sony Corp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07182B2 (ja) * 2010-01-06 2014-10-1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ソフトボタンを条件付きで使用可能または使用不可に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621380B2 (en) 2010-01-06 2013-12-3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enabling or disabling soft buttons
KR101855250B1 (ko) * 2010-11-03 2018-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659562B2 (en) 2010-11-05 2014-02-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KR101725550B1 (ko) * 2010-12-16 201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US8766936B2 (en) * 2011-03-25 2014-07-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stable touches
US8812994B2 (en) * 2011-12-29 2014-08-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restricted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US9094534B2 (en) 2011-12-29 2015-07-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with a user interface
US9292195B2 (en) 2011-12-29 2016-03-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for applications
US9213822B2 (en) 2012-01-20 2015-12-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US9733707B2 (en) 2012-03-22 2017-08-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display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interface utility on the same employing a rules-based masking system
US9423871B2 (en) 2012-08-07 2016-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s of inadvertent touch on a touch screen controller
US9128580B2 (en) 2012-12-07 2015-09-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touch screen interface utilizing an intelligent stencil mask
JP6215534B2 (ja) * 2013-01-07 2017-10-18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8593427B1 (en) * 2013-05-10 2013-11-26 Jinrong Ya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play power consumption
KR20160037841A (ko) * 2013-05-10 2016-04-06 진롱 양 디스플레이 전력 소모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075612B2 (en) 2013-05-10 2015-07-07 Jinrong Ya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play power consumption
US10139940B2 (en) 2014-09-11 2018-11-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3405S1 (en) * 2015-11-18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078111A (zh) * 2019-12-27 2020-04-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960615B2 (en) 2021-06-06 2024-04-16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user profile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128B2 (ja) * 1987-11-11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JP2007318423A (ja) * 2006-05-25 2007-12-06 Toshiba Corp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932A (en) * 1987-04-30 1990-08-2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input apparatus
JPH076013A (ja) 1993-06-21 1995-01-10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装置
JPH0876925A (ja) 1994-09-02 1996-03-22 Kokusai Electric Co Ltd 入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SE519537C2 (sv) 2000-01-21 2003-03-11 Richard Granberg Elektronisk anordning med tryckkänslig bildskärm och förskjutbart tangentborg
US20040036680A1 (en) * 2002-08-26 2004-02-26 Mark Davis User-interface features for computers with contact-sensitive displays
KR100522940B1 (ko) * 2003-07-25 2005-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활성영역을 설정 가능한 터치스크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JP4370535B2 (ja) * 2007-06-28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383053B2 (ja) * 2008-01-29 2014-01-08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128B2 (ja) * 1987-11-11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JP2007318423A (ja) * 2006-05-25 2007-12-06 Toshiba Corp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81244A (ja) 2009-08-13
US20130215062A1 (en) 2013-08-22
US20140320416A1 (en) 2014-10-30
US9013439B2 (en) 2015-04-21
US20100315371A1 (en) 2010-12-16
US8432369B2 (en) 2013-04-30
JP5383053B2 (ja) 2014-01-08
WO2009096334A1 (ja) 2009-08-06
US8797270B2 (en) 2014-08-05
KR20100113142A (ko) 2010-10-20
US9477338B2 (en) 2016-10-25
US20150193067A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868B1 (ko)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215502B2 (ja) 入力装置
JP2006311224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20080079191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116280B1 (ko) 영상 표시 기능이 있는 단말장치
KR20100121550A (ko) 화상 표시장치
KR100661584B1 (ko) 네비게이션키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EP2259555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function of communic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of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JP2008305294A (ja) フルキーボードを搭載した携帯型端末装置及びフルキーボード表示方法
JP595171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KR101236776B1 (ko)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JP2012175486A (ja) 携帯端末装置
KR20100038693A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방법
JP5625133B1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JP5781172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5545786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558386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
KR10148211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4227511A (ja) 電子機器の文字入力方法
KR2010002819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