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776B1 -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776B1
KR101236776B1 KR1020107019277A KR20107019277A KR101236776B1 KR 101236776 B1 KR101236776 B1 KR 101236776B1 KR 1020107019277 A KR1020107019277 A KR 1020107019277A KR 20107019277 A KR20107019277 A KR 20107019277A KR 101236776 B1 KR101236776 B1 KR 101236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screen
area
display area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515A (ko
Inventor
미치아키 고이즈미
마사시 산다이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자메일 기능에서의 화면 천이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메일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경우,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메일 타이틀을 선택하고, 조그다이얼(7)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킨다.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면, 정보 표시영역(R1)에 메일 상세영역(R3)을 추가하고, 이 영역에 메일 내용을 표시시킨다. 그후,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면, 표시영역을 재구성하고, 정보 표시영역(R1)에 수신 화면영역(R4)과 회신 화면영역(R5)을 할당한다. 그리고, 수신 화면영역(R4)에 수신 메일의 텍스트를 표시시킴과 함꼐, 회신 화면영역(R5)에 회신 메일용 텍스트를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DEVICE WITH ELECTRONIC MAIL FUNCTION}
본 발명은,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는, 전자메일(이하, 간단히「메일」이라 한다)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수신한 메일의 일람을 열람하고,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메일을 선택하여, 그 내용을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 회신메일을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종류의 휴대 단말장치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휴대 단말장치에서는, 수신메일 일람 화면 상에서 원하는 수신메일로 커서(포커스)를 이동시켜, 조작버튼인 사이드 컨트롤러를 짧게 눌러 조작하면, 커서가 위치하는 원하는 수신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화면으로 이행한다. 또, 수신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화면에서, 사이드 컨트롤러를 길게 눌러 조작하면, 이 표시되어 있는 수신메일에 대한 메일 회신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62645호 공보
이와 같은 종류의 휴대 단말장치에서는, 기기 본체를 하나의 박스체로 하고, 그 앞면을 모두 디스플레이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버튼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면 상에 터치패널로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디스플레이면은, 메일 화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과, 조작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분되어, 조작버튼의 표시영역에 터치패널이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기기 본체 전면(前面)은 전(全) 영역에서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메일 화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과, 조작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은 반드시 그 범위가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절하게, 각 영역의 크기를 바꿀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을 크게 하면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증가하고, 예를 들면, 수신메일을 읽을 때 등에 편리하다. 또, 조작을 주로 행하는 경우는, 조작버튼의 표시영역을 크게 함으로써, 조작성이 향상한다.
이와 같이 각 영역의 크기를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조그다이얼 등의 조작부를 기기 본체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의해, 영역의 크기 변경 뿐만 아니라, 메일 화면의 내용이나, 메일모드(일람/수신/송신 등)의 변경을 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메일 화면영역이 확장되면, 그 속에,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메일 화면의 영역 확장 조작에 따라 메일 화면의 내용을 변화시키면,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메일 화면의 영역 변경조작에 따라 메일 화면의 내용을 변화시키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는, 표시 유닛과, 상기 표시 유닛 상에 메일 화면과 조작 화면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의 크기를 외부 조작에 따라 메일 화면과 조작 화면의 배열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영역 변경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 상에 표시된 메일 리스트 중 하나의 메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을 확장하는 확장 조작이 상기 영역 변경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에 따라, 상기 메일 화면 상에 메일 내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킨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 의하면, 메일 화면을 확장하는 조작에 연동하여 메일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메일 내용을 표시시킬 때의 조작을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영역의 확장에 따라 메일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메일 화면 상에 메일 내용의 표시영역을 원활하게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 상에 표시된 메일 리스트 중 하나의 메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 조작이 이루어지면, 당해 선택된 메일의 바로 밑에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설정하고, 당해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상기 메일 내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리스트 중 선택된 메일의 바로 밑에 메일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일 내용을 읽으면서, 그 송신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리스트 중 상기 선택된 메일과 그 밑의 메일 사이에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끼워 넣도록(slot)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리스트 중 선택된 메일과 그 밑의 메일 사이에 메일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일 내용을 읽으면서, 그 송신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내용이 표시된 메일 이외의 메일 리스트도 동시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예를 들면 내용표시 중의 메일에 관련되는 다른 메일(동일 송신자로부터의 개봉이 끝난 메일/미개봉 메일 등)의 유무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메일 리스트」란, 수신메일의 일람뿐만 아니라, 송신메일의 일람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메일 리스트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수신메일의 일람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확장 조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화면의 확장에 따라 메일 내용 표시영역이 확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많은 메일 내용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있다. 또한, 메일 내용을 볼 때에는, 통상, 많은 키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되는 조작키는 적어도 된다. 본 구성에서는, 메일 화면의 확장에 따라 조작 화면이 축소되게 되지만, 이와 같이 조작 화면이 축소되어도, 조작성에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소정 크기가 된 후, 상기 확장 조작이 추가로 이루어지면, 상기 메일 화면에 메일 회신용 화면영역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화면의 확장 조작에 연동하여 메일 회신용 화면이 더 표시되기 때문에, 일련의 조작에 의해 메일 내용의 확인으로부터 메일 회신으로 이행할 수 있어, 기기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에 메일 회신용 화면영역 외에,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설정하고, 당해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메일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회신 화면과 동시에 메일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신메일 작성 시에, 수신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회신메일의 작성을 원활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확장 조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상기 소정 크기가 되기 전에 상기 메일 내용에 관한 모든 정보가 표시되면, 그 후, 상기 확장 조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에 메일 회신용 화면을 표시시키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소정의 크기가 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메일 회신 화면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기기의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상기 소정 크기가 되기 전에,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축소되는 축소 조작이 상기 영역 변경부에 의해 이루어지면,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에 메일 회신용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적절하게, 메일 내용의 표시로부터 메일 회신 화면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는,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스크롤시키는 이송 조작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송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 내의 정보를 스크롤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내용의 모두를 한번에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적절하게, 이송 조작에 의해 메일 내용을 스크롤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일 내용을 제일 마지막까지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메일 본문과, 당해 메일에 첨부된 첨부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 본문뿐만 아니라, 첨부 화상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일의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메일 본문과, 당해 메일의 송신자에게 관련되는 소정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메일의 내용뿐만 아니라, 어드레스 정보나 메일 송수신 이력 등, 메일 송신자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신 메일을 작성함에 있어서, 이들 정보를 적절하게 참조할 수 있어, 회신 메일 작성 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일 화면의 영역 변경 조작에 따라 메일 화면의 내용을 변화시키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조금도 제한받지 않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텔레비전 모드 및 메일 모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메일 모드에서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회신 화면에 이르는 일련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4에 계속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변형예 1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변형예 2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변형예 3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10에 계속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변형예 3의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로서, 어드레스 정보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변형예 3의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로서, 어드레스 정보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변형예 3의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로서, 메일 송수신 이력을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변형예 3의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로서, 메일 송수신 이력을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면은 무엇보다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 도 1(c)는 각각,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캐비닛(1)을 구비한다. 캐비닛(1)은, 정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캐비닛(1)의 정면에는, 대략 전면(全面)에 걸쳐 디스플레이면(2)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면(2)은, 캐비닛(1)과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면(2)은, 액정 패널(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3)의 앞쪽에는, 터치패널(4)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패널(4)은, 사용자에게 눌러진 디스플레이면(2) 상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따른 신호(위치신호)를 출력한다. 터치패널(4)의 앞쪽에는, 보호 패널(5)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 패널(5)은, 터치패널(4)이 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보호 패널(5)의 표면에는, 그 하부영역에, 세로홈(5a) 및 가로홈(5b)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5a, 5b)으로 둘러싸인 사각영역(S)에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면, 이 사각영역(S)이, 여러가지 조작을 행하기 위한 하나의 조작키(소프트 키)가 된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영역(R2)이 사각영역(S)이 없는 영역으로까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각영역(S)이 없는 영역에서는, 예를 들면, 기능 문자를 사각선으로 둘러싸는 등, 인접하는 기능과의 경계를 알 수 있도록 조작키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면(2)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6)가 표시된다. 바(6)는 디스플레이면(2)의 표시영역을 상하 2개의 화면영역으로 구분한다. 바(6)보다 윗 영역이 정보표시영역(R1)이 되고, 아랫 영역이 조작영역(R2)이 된다. 정보표시영역(R1)에는, 텔레비전 영상이나 사진, 텍스트 등의 각종 콘텐츠가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R2)에는, 여러가지 조작키가 표시된다. 바(6)는, 조그다이얼(7)의 조작에 의하여 표시영역 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그다이얼(7)(본 발명의 이송 조작부에 상당한다)은, 캐비닛(1) 배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조그다이얼(7)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조그다이얼(7)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 조그다이얼(7)은, 전후방향으로도 움직이고, 푸시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조그다이얼(7)의 좌우에는, 각각, R버튼(8)과 L버튼(9)이 배치되고 있다. 이들 R버튼(8) 및 L버튼(9)에 의하여 일정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캐비닛(1)의 내부에는, 그 상부에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10)의 촬상렌즈(10a)와 플래시부(10b)가 캐비닛(1)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고 있다.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바(6)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각종 기능 모드(전화 모드, 메일모드, 텔레비전 모드, 뮤직 모드, 인터넷 모드, 카메라 모드 등)의 화면으로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면(2)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고정위치(예를 들면, L1∼L6)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그다이얼(7)을 조작하여, 바(6)를 고정위치(L5)로 이동시켜, 바(6)가 고정위치(L5)에 있는 상태에서 조그다이얼(7)을 짧은 시간 누르면(짧게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바(6)를 고정위치(L6)로 이동시켜, 조그다이얼(7)을 짧게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 화면으로부터 메일 모드 화면으로 변환된다. 이들 기능 모드의 화면에서, 변환 당초의 바(6)의 위치가 정보표시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경계(BL)가 된다.
도 2(a)는, 텔레비전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다. 또, 도 2(b)는, 메일모드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다. 텔레비전 모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콘텐츠가 정보표시영역(R1)에 표시되고, 영상표시에 관련되는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키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또, 메일모드에서는, 초기화면으로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 메뉴 등이 정보표시영역(R1)에 표시되고, 메일의 입력이나 송수신 등을 위한 조작키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도 1에 의해 설명한 구성부품 외, CPU(100), TV 모듈(200), 마이크(300), 패널 스피커(400), 통신 처리부(500), 액정 표시기(600), 메모리(700), 배터리(800), 전원부(900)를 구비한다.
TV 모듈(200)은, TV 튜너 등을 포함하고, 안테나(210)를 거쳐 수신한 지상 디지털 방송파, 지상 아날로그 방송파 등의 전파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에 보낸다.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촬상 렌즈(10a) 및 플래시부(10b) 외에, 촬상 소자(10c)를 포함한다. 촬상 렌즈(10a)는, 피사체의 상을 촬상 소자(10c) 상에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10c)는, 예를 들면 CCD로 이루어지고, 도입된 화상에 따른 촬상신호를 생성하여, CPU(100)로 보낸다.
마이크(300)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패널 스피커(4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통신 처리부(5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을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510)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함과 동시에, 안테나(510)를 거쳐 수신한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액정 표시기(600)(본 발명의 표시 유닛에 상당한다)는, 상기 액정패널(3)과, 액정패널(3)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CPU(100)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액정패널(3) 상에 화상을 표시한다.
메모리(700)에는, 카메라 모듈(10)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 처리부(500)를 거쳐 외부로부터 도입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보존된다. 또, 메모리(700)에는, TV 모듈(200)이나 통신 처리부(500)에 의해 외부로부터 취득한 영상 콘텐츠(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등)가 보존된다. 또한, 메모리(700)에는, 상기한 바(6)의 고정위치와 기능모드의 관련지음을 나타내는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배터리(800)는, CPU(100)나 CPU(100) 이외의 휴대 전화기의 각 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배터리(800)는, 전원부(900)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900)는, 배터리(800)의 전압을 상기 각 구성부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또, 전원부(900)는, 외부 전원의 입력부(도시 생략)를 거쳐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800)에 공급하여, 배터리(800)를 충전한다. 전원부(900)에는, 전압 검출부(910)가 설치되어 있다. 전압 검출부(910)는, 배터리(800)의 전압을 검출하여, CPU(100)로 보낸다.
CPU(100)는, 터치패널(4), 조그다이얼(7), R버튼(8), L버튼(9), 마이크(300), 촬상 소자(10c) 등의 각 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패널 스피커(400), 액정 표시기(600) 등의 각 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종 기능 모드에서의 처리를 행한다. 또, CPU(100)는, 전압 검출부(910)로부터의 전압신호에 의거하여, 배터리(800)의 잔량을 판단한다.
CPU(100)는, 표시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CPU(100) 내에 준비된 작업 영역이 되는 메모리(도시 생략) 중에서, 액정 표시기(600)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RGB 신호)를 액정 표시기(600)에 출력한다. 또, 표시 제어부(110)는, 촬상 소자(10c)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 메모리(700) 내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 TV 모듈(200)이나 통신 처리부(500)를 거쳐 수신한 화상 데이터(영상 콘텐츠) 등을 도입한다. 그리고, 도입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신호(RGB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600)에 출력한다. 액정 표시기(600)의 액정 패널(3), 즉 디스플레이면(2)에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7)이 조작된 경우에는, CPU(1O0) 내에서, 그 조작량이 판단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부(110)로부터 화상신호가 보내짐으로써, 디스플레이면(2)에 표시된 바(6)가, 그 조작량만큼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메일모드에서, 사용자가 수신메일의 일람을 열람한 후, 원하는 메일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 메일에 대하여 회신을 행할 때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회신 화면에 이르는 일련의 화면 천이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원활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이하, 이 화면 천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동작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7)과 표시 제어부(11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영역 변경부가 실현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메일모드에서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회신 화면에 이르는 일련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6 및 도 7은,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b)에 나타낸 메일 모드의 초기화면으로부터, 「수신 BOX」의 메뉴가 실행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정보표시영역(R1)에 수신메일의 일람을 표시시킨다[S1 : 도 6의 (A)를 참조].
사용자는, 메일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경우,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메일 타이틀을 선택하고, 조그다이얼(7)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킨다.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면(S2 : YES), 이하의 단계 S3으로부터 단계 S10의 동작에 의하여 조그다이얼(7)의 회전에 따라, 메일 내용을 정보표시영역(R1)에 표시시키는 제 1 공정을 실행한다. 여기서는, 메일 내용은, 메일 본문과, 메일 본문에 첨부된 첨부 화상(사진 화상 등)으로 구성된다.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먼저, 선택된 메일 타이틀의 하단에 메일 상세영역(R3)을 추가한다(S3). 그리고, 바(6)를 아래 쪽으로 이동시키고, 이 바(6)의 이동에 따라 메일 상세영역(R3)을 확장시킨다(S4). 이 때, 메일 상세영역(R3)을 확장한 만큼, 조작영역(R2)을 축소시킨다. 또한, 메일 상세영역(R3)은, 본 발명의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상당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본문의 표시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여 (S5), 메일 본문의 표시가 완료되어 있지 있으면(S5 : NO), 메일 상세영역(R3)에, 선택된 수신메일의 메일 본문을 표시한다(S6). 또한, 축소된 조작영역(R2)의 크기에 맞추어 조작키의 배치를 변경한다[S7 : 도 6의 (B)를 참조].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이 미리 정해진 최대의 크기까지 확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 그리고, 최대의 크기까지 확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S8 : NO), 단계 S4로부터 단계 S8의 동작을 반복한다. 그 사이에, 메일 본문의 표시가 완료되고, 단계 S5에서 이것이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에, 메일 본문에 계속하여 첨부 화상을 표시한다(S9).
이와 같이 하여, 바(6)의 아래쪽 이동에 따라 메일 상세영역(R3)의 확장이 진행되고, 단계 S8에서,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 크기까지 확장되었다고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계속해서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도, 일단, 바(6)를 정지시킨다[S10 : 도 6의 (C)를 참조].
사용자는, 바(6)가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메일 내용이 최대한으로 표시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에 메일 내용이 모두 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5 참조 : S11). 그리고, 모두 표시되어 있으면, 선택된 수신메일의 스테이터스를 아직 읽지않음으로부터 이미 읽음으로 변경하고, 이것에 따라, 화면 상의 스테이터스 마크를 "아직 읽지않음"으로부터 "이미 읽음"으로 변경한다(S12).
사용자는, 메일 내용을 확인한 후에, 이 메일에 대하여 회신하는 경우, 메일 내용이 표시된 상태로부터, 다시, 조그다이얼(7)을 아래쪽으로 회전시킨다.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면(S13 : YES), 이하의 단계 S14로부터 단계 S16의 동작에 의하여, 메일 회신용 화면을 정보표시영역(R1)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 2 공정을 실행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먼저, 표시영역을 재편성한다(S14). 즉, 표시영역에 정보표시영역(R1)과 조작영역(R2)을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할당한다. 또한, 정보표시영역(R1)에 수신 화면영역(R4)과 회신 화면영역(R5)을 할당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10)는, 수신 화면영역(R4)에 수신 메일의 메일 본문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회신 화면영역(R5)에 메일 회신용 화면을 표시시킨다(S15).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조작영역(R2)에 메일 회신 조작을 위해 사용하는 조작키를 표시시킨다[S16 : 도 6의 (D)를 참조]. 또한, 수신 화면영역(R4)은 본 발명의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상당하고, 회신 화면영역(R5)은 본 발명의 메일 회신용 화면영역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수신메일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회신용 메일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신 화면영역(R4)과 회신 화면영역(R5)에 표시된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그 화면영역을 터치하면서 그 손가락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하로 보낸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수신 메일의 내용, 회신 메일의 내용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메일 본문이 긴 등 메일 내용이 많은 경우는, 도 6(C)의 상태에서, 메일 상세영역(R3)에 모든 메일 내용을 표시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단계 S11에서, 메일 내용이 모두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그렇게 하면,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에 스크롤바(M1)를 표시시킨다[S17 : 도 7(E)를 참조].
사용자는, 스크롤바(M1)가 나타남으로써, 메일에 계속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메일의 이어짐이 보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조그다이얼(7)을 누르고, 그 후, 조그다이얼(7)을 회전시켜 스크롤 조작을 행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눌러졌다고 판단되면(S18 : YES), 그 후는, 조그다이얼(7)의 회전에 따라 메일 내용을 스크롤한다(S19). 그리고, 표시 제어부(110)는, 제일 마지막까지 스크롤되고, 메일 내용이 한 차례 표시되었다고 판단되면(S20 : YES), 선택된 수신메일의 스테이터스를 아직 읽지않음으로부터 이미 읽음으로 변경하고, 이것에 따라, 화면 상의 스테이터스 마크를 "아직 읽지않음"으로부터 "이미 읽음"으로 변경한다(S21).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메일 내용을 제일 마지막까지 확인할 수 있다[도 7(F)를 참조].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더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S22), 눌러졌다고 판단되면(S22 : YES), 스크롤 조작의 모드를 해제한다. 그리고,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23), 아래쪽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면(S23 : YES), 상기한 단계 S14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 S3으로부터 단계 S10의 동작 사이에, 사용자에 의해 조그다이얼(7)이 위쪽으로 회전된 경우에는, 회전에 따라 메일 상세영역(R3)이 축소되고, 바(6)가 제일 처음의 위치에 되돌아가면, 제일 처음의 수신 메일의 일람으로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6의 (D)에 나타내는 메일 회신용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그다이얼(7)이 위쪽으로 회전되는 등, 소정의 리턴 조작이 이루어지면, 도 6의 (A)에 나타내는 수신메일의 일람으로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그다이얼(7)에 의한 정보표시영역(R1)(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의 확장 조작(하방향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정보표시영역(R1)에 메일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활하고 또한 간편한 조작에 의해 메일 내용을 볼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메일 내용을 표시한 후, 이것에 계속되는, 정보표시영역(R1)의 변이조작(하방향의 회전조작)에 따라, 또한, 정보표시영역(R1)에 메일 회신용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일을 본 후, 간편한 조작으로, 메일 회신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메일의 내용을 확인하여 회신을 행할 때에, 조그다이얼(7)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메일 일람 화면으로부터 메일 회신용 화면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화면 천이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일 회신용 화면이 표시될 때에, 동시에 메일 본문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일 본문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회신 메일을 작성할 수 있어, 메일의 주고 받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일 회신용 화면이 표시될 때에는, 메일 본문만이 표시되고, 첨부 화상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메일 회신용 화면이나 조작키를 위한 화면영역을 크게 할 수 있어, 회신메일의 작성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에는, 많은 조작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키는 적어도 되고, 조작영역(R2)은 작아도 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그다이얼(7)에 의한 확장 조작에 따라 정보표시영역(R1)이 확장되면, 그것에 따라 조작영역(R2)이 축소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영역(R2)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메일 내용을 표시하는 데 가능한 한 큰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가 메일 내용을 확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일 상세영역(R3)에, 메일 본문뿐만 아니라, 첨부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메일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일 내용이 메일 상세영역(R3)에 1회로 다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크롤 조작에 의해 메일 내용을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일 내용을 제일 마지막까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사용자는, 그때까지 조작하고 있던 조그다이얼(7)을 누름 조작하면 되고, 따로, 다른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메일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변형예 1)
도 8은, 변형예 1에서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예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대하여, 단계 S24부터 단계 S26의 동작을 추가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단계 S9에서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이 시점에서, 즉,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되기 전에, 메일 내용이 모두 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 그리고, 모두 표시되었다고 판단되면(S24 : YES), 바(6)를 정지시킨다(S25).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수신메일의 스테이터스를 아직 읽지 않음으로부터 이미 읽음으로 변경하고(S26), 그 후, 단계 S13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메일 내용이 모두 표시되면, 즉시 메일 회신용 화면으로의 이행조작을 할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이 좋아진다.
(변형예 2)
도 9는, 변형예 2에서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예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대하여, 단계 S27의 동작을 추가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단계 S9에서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되었다고 판단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조그다이얼(7)이 위쪽으로 회전되고, 표시 제어부(110)가 이것을 판단하면(S27 : YES), 즉시 단계 S14로 이행하여, 메일 회신용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 2 공정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 메일 내용의 확인을 도중에 중지시키고, 재빠르게 메일 회신용 화면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한다.
(변형예 3)
도 10 및 도 11은, 변형예 3에서의 화면 천이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12 및 도 13은, 변형예 3에서의 화면 천이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메일 본문과 함께, 이 수신 메일에 관련되는 정보의 화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메일 송신자의 어드레스 정보가 표시된다.
먼저,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신 메일의 일람이 표시된 상태(S101)로부터,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면(S102 : YES), 표시 제어부(110)는, 제 1 공정으로서, 단계 S103부터 단계 S107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메일 타이틀의 하단에 메일 상세영역(R3)을 추가한다(S103). 그리고, 바(6)를 아래 쪽으로 이동시키고, 이 바(6)의 이동에 따라 메일 상세영역(R3)을 확장시킨다(S104). 이때, 메일 상세영역(R3)을 확장한 만큼, 조작영역(R2)을 축소시킨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에, 선택된 수신 메일의 메일 본문을 표시한다(S105). 또한, 축소된 조작영역(R2)의 크기에 맞추어 조작키의 배치를 변경한다[S106 : 도 12의 (B)를 참조].
단계 S107에서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S104부터 단계 S107의 동작이 반복된다. 단계 S107에서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제 1 공정으로서, 단계 S108부터 단계 S112의 동작을 더 실행한다. 즉, 메일 상세영역(R3)의 하단에 관련 정보영역(R6)을 추가하고(S108), 바(6)의 이동에 따라 관련 정보영역(R6)을 확장시킨다(S109). 이 때, 관련 정보영역(R6)을 확장한 만큼, 조작영역(R2)을 더 축소시킨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10)는, 관련 정보영역(R6)에, 송신자의 어드레스 정보를 표시한다(S110). 또한, 축소된 조작영역(R2)의 크기에 맞추어 조작키의 배치를 변경한다[S1l1 : 도 12의 (C)를 참조].
단계 S112에서 관련 정보영역(R6)이 최대가 되었다고 판단되기까지 단계 S109부터 단계 S112의 동작이 반복된다. 단계 S112에서 관련 정보영역(R6)이 최대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바(6)를 정지시킨다(S113). 또한, 메일 상세영역(R3)과 관련 정보영역(R6)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 본 발명의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메일의 내용과 함께, 메일 송신자의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14), 눌러져 있지 않으면(S114 : NO), 조그다이얼(7)이 아래쪽으로 회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5). 조그다이얼(7)이 눌러졌다고 판단되면(S115 : YES), 표시 제어부(110)는, 제 2 공정으로서, 단계 S116부터 단계 S118의 동작을 실행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먼저, 표시영역을 재편성한다(S116). 즉, 표시영역에 정보 표시영역(R1)과 조작영역(R2)을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할당한다. 또한, 정보 표시영역(R1)에 수신 화면영역(R4)과 회신 화면영역(R5)을 할당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10)는, 수신 화면영역(R4)에 수신 메일의 메일 본문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회신 화면영역(R5)에 메일 회신용 화면을 표시시킨다(S117).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조작영역(R2)에 메일 회신조작을 위해 사용하는 조작키를 표시시킨다[S118 : 도 12의 (D)를 참조].
한편, 단계 S114에서 조그다이얼(7)이 눌러졌다고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에 메일 본문이 모두 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9). 메일 본문이 모두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S119 : NO),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에 스크롤바(M2)를 표시시킨다(S12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조그다이얼(7)이 회전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이 회전에 따라, 메일 본문을 스크롤한다[S121 : 도 13의 (E)를 참조].
그 후, 조그다이얼(7)이 더 눌러졌다고 판단되면(S122 : YES), 표시 제어부(110)는, 메일 상세영역(R3)의 스크롤바(M2)의 표시를 지우고, 관련 정보영역(R6)에 스크롤바(M3)를 표시시킨다(S123).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조그다이얼(7)이 회전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이 회전에 따라, 어드레스 정보를 스크롤한다[S124 : 도 13의 (F)를 참조].
또한, 단계 S119에서 메일 본문이 모두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메일 본문의 스크롤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표시 제어부(110)는, 즉시 관련 정보영역(R6)에 스크롤바(M3)를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메일 본문 및 어드레스 정보를 제일 마지막까지 확인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더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S125), 눌러졌다고 판단되면(S125 : YES), 스크롤 조작의 모드를 해제하고, 단계 S115로 이행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관련 정보영역(R6)에, 메일 송신자의 어드레스 정보 대신,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된 수신 메일에 관련되는 메일 송수신 이력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이 예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메일 상세영역(R3)에 첨부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변형예 1이나 변형예 2에 나타낸 추가 동작을 부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변형예 3의 구성에서는, 메일의 내용뿐만 아니라, 어드레스 정보나 메일 송수신 이력 등의 메일의 송신자에게 관련되는 소정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신 메일을 작성함에 있어서, 이들 정보를 참조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 제 2 공정에서는, 메일 본문만이 표시되고, 이 메일의 송신자에 관련되는 소정 정보에 대해서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메일 회신용 화면이나 조작키를 위한 화면영역을 크게 할 수 있어, 회신 메일의 작성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 3의 구성에서는, 메일 내용이나 어드레스 정보의 스크롤(이송 조작)을 조그다이얼(7)의 기능을 변환하여, 조그다이얼(7)의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터치패널(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메일 상세영역(R3)이나 관련 정보영역(R6)에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그대로 손가락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롤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조작영역(R2)의 조작키에 의해 스크롤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7)만으로 메일 내용이나 어드레스 정보의 스크롤(이송 조작)도 할 수 있게 하면, 따로, 다른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손상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된 후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메일 내용을 스크롤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메일 상세영역(R3)이 최대가 되었을 때에 메일 내용이 모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그다이얼(7)의 아래쪽 회전에 따라, 메일 내용이 더 스크롤되고, 제일 마지막까지 스크롤되면, 다음의 조그다이얼(7)의 아래쪽 회전에 의하여 메일 회신용 화면이 표시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에 있어서,
    표시 유닛과,
    상기 표시 유닛 상에 메일 화면과 조작 화면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의 폭을 외부 조작에 따라 메일 화면과 조작 화면의 배열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영역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역 변경부는, 상기 메일 화면 상에 표시된 메일 리스트 중 하나의 메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을 확장하는 외부 조작이 이루어진 것에 따라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을 확장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영역 변경부에 의하여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확장된 것에 따라, 확장된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에 메일 내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소정 크기가 된 후, 상기 확장하는 외부 조작이 추가로 이루어지면, 상기 메일 화면에 메일 회신용 화면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 상에 표시된 메일 리스트 중 하나의 메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하는 외부 조작이 이루어지면, 당해 선택된 메일의 바로 밑에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설정하고, 당해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상기 메일 내용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리스트 중 상기 선택된 메일과 그 밑의 메일 사이에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확장하는 외부 조작에 동반하여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의 확장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에 메일 회신용 화면영역 외에, 메일 내용 표시영역을 설정하고, 당해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메일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변경부는, 상기 확장하는 외부 조작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을 확장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상기 소정 크기가 되기 전에 상기 메일 내용에 관한 모든 정보가 표시되면, 그 후, 상기 확장하는 외부 조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에 메일 회신용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상기 소정 크기가 되기 전에, 상기 영역 변경부에 의하여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이 축소되면, 상기 메일 화면의 표시영역에 메일 회신용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스크롤시키는 이송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송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 내의 정보를 스크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메일 본문과, 당해 메일에 첨부된 첨부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메일 내용 표시영역에, 메일 본문과, 당해 메일의 송신자에게 관련되는 소정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11. 삭제
KR1020107019277A 2008-01-31 2009-01-22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KR101236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2066A JP5420846B2 (ja) 2008-01-31 2008-01-31 電子メール機能付き機器および電子メール機能付き機器の制御方法
JPJP-P-2008-022066 2008-01-31
PCT/JP2009/051009 WO2009096320A1 (ja) 2008-01-31 2009-01-22 電子メール機能付き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515A KR20100107515A (ko) 2010-10-05
KR101236776B1 true KR101236776B1 (ko) 2013-02-25

Family

ID=4091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277A KR101236776B1 (ko) 2008-01-31 2009-01-22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333023A1 (ko)
JP (1) JP5420846B2 (ko)
KR (1) KR101236776B1 (ko)
WO (1) WO2009096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6289A1 (en) * 2012-01-10 2013-07-11 Asustek Computer Inc. Display switch method and portable device thereof
JP2013137827A (ja) * 2013-03-25 2013-07-11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受信メール表示方法及び受信メール表示プログラム
JP6693912B2 (ja) * 2017-06-21 2020-05-13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113A (ko) * 2003-10-24 200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키보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
JP2006235722A (ja) 2005-02-22 2006-09-07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0293B2 (en) * 2002-07-17 2009-12-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essaging between wireless mobile terminals and networked computers
US8032597B2 (en) * 2002-09-18 2011-10-04 Advenix, Corp. Enhancement of e-mail client user interfaces and e-mail message formats
JP4074530B2 (ja) * 2003-02-28 2008-04-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5157951A (ja) * 2003-11-28 2005-06-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US7912904B2 (en) * 2004-03-31 2011-03-22 Google Inc. Email system with conversation-centric user interface
JP2007025786A (ja) * 2005-07-12 2007-02-01 Ricoh Co Ltd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方法
US7752569B2 (en) * 2005-09-09 2010-07-06 Microsoft Corporation Software key labeling on software keyboards
EP1768364B1 (en) * 2005-09-23 2013-11-06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ssage display method therein
JP2007318423A (ja) * 2006-05-25 2007-12-06 Toshiba Corp 携帯端末
US8253695B2 (en) * 2006-09-06 2012-08-28 Apple Inc. Email cli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20080189647A1 (en) * 2007-02-01 2008-08-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line viewing of file content
US20080303796A1 (en) * 2007-06-08 2008-12-11 Steven Fyke Shape-changing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949954B1 (en) * 2007-08-17 2011-05-24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ynamic functionality based on window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113A (ko) * 2003-10-24 200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키보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
JP2006235722A (ja) 2005-02-22 2006-09-07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20846B2 (ja) 2014-02-19
KR20100107515A (ko) 2010-10-05
JP2009181510A (ja) 2009-08-13
US20100333023A1 (en) 2010-12-30
WO2009096320A1 (ja)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868B1 (ko)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40971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US20090051666A1 (en) Portable terminal
US77878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1790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92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hierarchically structured file in information terminal
JP5248870B2 (ja) 映像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KR101236776B1 (ko) 전자메일 기능을 가진 기기
JP595171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JP2006211266A (ja) 携帯電話機
JP5249371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2003122481A (ja) 移動体端末、そのポイン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625133B1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JP558386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
JP5545786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5781172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5743823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メール表示方法
KR200400009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페이지 이동 방법
JP2008172730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