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712B1 -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 Google Patents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712B1
KR101131712B1 KR1020067003274A KR20067003274A KR101131712B1 KR 101131712 B1 KR101131712 B1 KR 101131712B1 KR 1020067003274 A KR1020067003274 A KR 1020067003274A KR 20067003274 A KR20067003274 A KR 20067003274A KR 101131712 B1 KR101131712 B1 KR 10113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voice message
messag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644A (ko
Inventor
존 월레스 나셀스키
레이몬드 타-솅 수
아룬군드람 씨. 마헨드란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6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세션이 설정되어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수반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경우에도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착신 호의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의한 패킷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 통신 매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으로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이 있다. CDMA는 확산 스펙트럼 통신에 기반한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이다.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상당수의 신호가 동일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하고, 그 결과로서 사용자 용량 증가를 제공한다. 이는 반송파를 변조하고, 이로써 전체 스펙트럼에 걸쳐 신호를 확산시키는 서로 다른 코드를 갖는 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원하는 신호를 역확산하기 위해 전송된 신호들은 수신기에서 해당 코드를 이용하여 상관기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코드들이 매치하지 않는 원치 않는 신호들은 잡음의 원인만 된다.
CDMA 변조 기법은 장비 제조업자들간 상호 운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표준화되어 왔다. 예로서, CDMA 기술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는 미국의 통신 산업 협회 TIA/EIA/IS-95-B에 "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s"이라는 명칭으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IS-95"라 한다. IS-95 표준은 원래 회선 교환망을 통한 음성 송신을 위해 최적화되었다. 이후의 표준들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다양한 비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IS-95 표준에 의거하여 설정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옵션들의 한 세트는 미국의 통신 산업 협회 TIA/EIA/IS-707-A에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옵션"이라는 명칭으로 표준화되었으며, 여기서는 "IS-707"이라 한다. IS-707 표준은 IS-95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CDMA 표준은 미국의 통신 산업 협회(TIA)에 2000년 10월 27일자 "Upper Layer(Layer3) Signaling Standard for cdma2000 Spread Spectrum Systems, Release A - Appendium 1"이라는 명칭으로 표준화되었으며, 여기서는 "cdma2000"이라 한다. 그러나 cdma2000의 초판은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동시 사용을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표준에 대해 설계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동시에 착신 회선 교환 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는 오늘날 대부분의 음성 호가 회선 교환된다는 사실에 비추어 매우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많은 사용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일시 정지하고 호를 받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착신 음성을 통보받고자 한다. 대안으로, 어떤 사용자들은 통신 디바이스 자체가 착신 음성 호를 위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일시 정지하도록 구성될 것을 원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cdma2000 무선 장치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동시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착신 회선 교환 호를 통지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이 당업계에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은 이 표준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폭넓은 해법이 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active)인 동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착신 호(incoming call)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착신 호의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착신 호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패킷 교환망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착신 회선 교환 호의 통지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통신 방법은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와 다른 홈 네트워크에 할당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 패킷 교환망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홈 네트워크 내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착신 회선 교환 호의 통지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은 예시로 도시 및 설명되는 것이 이해된다. 구현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밖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여러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관점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본래 한정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 도면에 한정이 아니라 예로서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2는 단문 서비스(SMS) 능력을 가진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소프트웨어 기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로 해석되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이 개시에 설명되는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또는 실례로만 제공되며, 다른 실시예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세목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세목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블록도에 잘 알려진 구조 및 장치들이 도시된다. 두문자나 다른 기술 용어는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개시의 목적으로, "접속된"이란 용어는 직접 접속을 의미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예를 들어 중재 또는 매개 장치나 다른 수단을 통한 간접 접속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cdma2000 표준을 지원하는 CDMA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여러 양상이 설명된다. 이들 발명의 양상은 본 출원에 사용하기 적합하지만, 당업자들은 상기 발명의 양상들이 다른 여러 표준을 지원하는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CDMA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어떤 기준 및 특별한 cdma2000 표준은 발명의 양상을 설명하는 것으로만 해석되며, 이러한 발명의 양상들은 광범위한 응용을 갖는 것으로 이해한다.
도 1은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응용을 모두 지원하도록 구성된 IS-95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106)를 통해 회선 교환망(104)에 액세스할 수 있다. 회선 교환망(104)은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일 수도 있고 다른 어떤 회선 교환망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셀룰러폰, 개인 휴대 단말(PDA), 모뎀 또는 임의의 유사한 다른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매체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여러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CDMA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흔히 "가입자국"이라 하지만, 다음 설명에서 이 용어의 사용은 어떤 식으로도 이 장치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RAN(106)은 전 지리적 영역에 분산된 많은 기지국(도시 생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리적 영역은 셀을 서비스하는 각 기지국을 가진 셀로 알려진 더 작은 지역들로 세분될 수 있다. 다수 기지국들의 액티비티(activity)들을 조정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BSC)(도시 생략)가 사용될 수 있다. RAN(106)의 지리적 도달 범위는 다수의 BSC를 이동 교환국(MSC; 108)에 접속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BSC는 다수의 기지국을 지원한다.
음성 메일과 같은 각종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음성 메시지 서버(VMS; 110)가 사용될 수 있지만, VMS(110)는 착신 팩스를 저장할 필요가 있을 경우와 같 이 다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소는 개별 메일함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메일함은 개별 가입자국에 지정된다. 메일함은 사용자 정보와 같은 사용자 파일 및 발신 메시지 파일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의도한 가입자국이 호를 받기에 유효하지 않을 때 여러 호출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다른 데이터 메시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가입자국(102)에 접속된 개인용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원격 네트워크 노드(도시 생략)가 RAN(106)을 통해 패킷 교환망(112)에 액세스할 수 있다. 혹은, 원격 네트워크 노드가 웹 브라우저의 경우와 같이 가입자국(102)에 통합될 수도 있다. RAN(106) 내의 각 BSC(도시 생략)는 RAN(106) 외부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통신할 수도 있다. "PDSN"이란 용어는 임의의 CDMA 표준의 문맥 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도 있지만, 본 개시를 위해 "PDSN"이란 용어는 가입자국(102)과 패킷 교환망(112)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형성, 유지 및 종료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입자국(102)은 우선 RAN(106)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패킷 교환망(112)에 액세스할 수 있다. 무선 링크가 설정되면, RAN(106)과 PDSN(114) 사이에 논리적 자원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공지된 링크 계층 점-대-점 프로토콜(PPP)에 따라 가입자국(102)과 PDSN(114) 사이에 데이터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교섭하여 가입자국(102)에 할당하는데 PPP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IP 주소가 할당되면, 가입자국(102)은 네트워크 접속에 의해 패킷 교환망(112)과 통신할 수 있다.
cdma2000을 포함하는 많은 패킷 교환 응용에서, 네트워크 접속은 통신을 지원하는데 사용되고 있든 아니든 그대로 유지된다. 예로서, 가입자국(102)은 패킷 교환망(112)에 액세스하여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웹 페이지가 다운로드된 후 사용자가 콘텐츠를 읽는 동안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비활성 기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화 기간 동안, 가입자국(102)과 RAN(106) 사이의 무선 링크가 해제되어 귀중한 무선 자원들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IP 주소 및 PPP 상태가 유지되어, 통신이 다시 시작할 때 네트워크의 레이턴시(latency)를 줄일 수도 있다. 무선 링크가 없을 경우에 가입자국(102)과 PDSN(114) 사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접속은 "휴지" 접속이라 한다. 네트워크 통신이 다시 시작할 준비가 되면, 가입자국(102)과 RAN(106) 사이의 새로운 무선 링크로 "활성" 네트워크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IP 주소 및 PPP 상태가 유지되는 "패킷 데이터 세션"이 여러 휴지 기간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은 네트워크 접속을 처음 설정할 때 PDSN(114)과의 기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사용하여 VMS(110)에 등록함으로써 회선 교환 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은 VMS(110)에 대한 IP 주소나 FQDN(Fully-Qualified Domain Name)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FQDM의 경우, 가입자국(102)은 VMS(110)에 질의하여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어떤 식으로든, VMS(110)의 IP 주소를 알게 되면, 가입자국(102)은 역방향 링크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RAN(106)에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는 가입자국(102)에서 RAN(106)으로의 무선 전송을 말하고, 순방향 링크는 RAN(106)에서 가입자국(102)으로의 무선 전송을 말한다. RNA(106)은 PDSN(114)에 등록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등록 요청에 포함된 VMS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PDSN(114)은 VMS(110)에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등록 요청은 가입자국(102)의 IP 주소를 포함하여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VMS(110)는 인증, 승인, 계정 관리(AAA)와 같은 독립 소스를 이용하여 등록 요청의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이는 여러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등록 요청은 AAA 센터(116)에서 공유 비밀 데이터(SSD)로부터 연산된 가입자국(102)의 자격 증명(credential)을 포함할 수 있다. VMS(110)는 AAA 센터(116)와 협의하여 가입자국의 자격 증명을 인증할 수 있다. 혹은, VMS(110)는 등록 요청에 응하여 가입자국(102)에 신청을 전송할 수 있다. 신청에 응답하여, 가입자국(102)은 VMS(110)에 신청 응답을 돌려보낼 수 있다. 이후 VMS(110)는 AAA 센터(116)와 협의하여 신청 응답을 인증할 수 있다. AAA 센터(116)가 가입자국(102)을 인증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AAA 센터(116)는 내부적으로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서비스 품질(QoS) 정보에 액세스하여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AAA 센터(116)가 등록을 승인하면, 가입자국(102) 및 VMS(110)는 등록 메시지의 확실한 전달 및 이어지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들 등록 메시지 및 이어지는 통신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암호화될 수도 있다. 예로서, AAA 센터(116) 및 가입자국(102)은 신청 응답 및 SSD로부터 마스터 세션 키를 생성할 수 있다. AAA 센터(116)는 인증 메시지와 함께 VMS(110)에 마스터 세션 키를 제공하여 가입자국(102)을 등록할 수 있다. VMS(110)는 마스터 세션 키 및 로컬로 생성된 난수를 기초로 세션 키를 연산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과 PDSN(114) 사이의 패킷 데이터 세션을 이용하여, VMS(110)는 가입자국(102)에 난수를 포함하는 등록 확인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은 등록 확인 응답을 수신하면, 등록 확인 응답의 마스터 세션 키 및 난수로부터 동일 세션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세션 키는 가입자국(102)과 PDSN(114) 사이의 패킷 데이터 세션을 이용하여 가입자국(102)로부터 VMS(110)로 새로운 등록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리프레시될 수 있다. 이 요청은 VMS(110)에 의해 마스터 세션 키 및 새로운 난수로부터의 새로운 세션 키 생성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VMS(110)는 난수를 포함하는 새로운 등록 확인 응답을 패킷 데이터 세션에 의해 가입자국(102)에 돌려보낼 수 있다. 가입자국(102)은 새로운 등록 확인 응답을 사용하여 새로운 세션 키를 연산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가입자국(102)은 활성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패킷 데이터 세션 동안 착신 회선 교환 호를 수신할 수 있다. MSC(108)에 착신 회선 교환 호가 전달되면, MSC(108)는 RAN(106)에서 적절한 BSC에 가입자국(102)의 페이징을 지시할 수 있다. BSC에 통합된 패킷 제어 기능(PCF)이 사용되어 네트워크 접속이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휴지 기간 동안, PCF가 사용되어 RAN(106)과 가입자국(102) 사이의 무선 링크가 재설정될 때까지 PDSN(114)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경우, BSC는 가입자국(102)이 호를 받기에 유효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통화중 신호를 MSC(108)에 라우팅할 수 있다.
통화중 신호에 응하여, MSC(108)는 의도한 가입자국(102)의 전화번호와 함께 VMS(110)에 통화중 신호 표시를 전달할 수 있다. VMS(110)는 패킷 데이터 세션 동안 회선 교환 호를 수신하도록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전화번호를 체크할 수 있다. 전화번호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VMS(110)는 종래의 방식으로 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로서, 회선 교환 호가 음성 호라면, VMS(110)는 의도한 가입자국(102)의 메일함으로부터 그리팅(greeting)을 검색하여 회선 교환망(104)을 통해 MSC(108)를 거쳐 호출자에게 라우팅할 수 있다. 그리팅은 호출자에게 무응답 호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남길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호출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기로 결정하면, 그 메시지는 MSC(108)를 통해 다시 VMS(110)로 라우팅되어 의도한 가입자국(102)의 메일함에 녹음될 수 있다.
반대로,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다면, VMS(110)는 가입자국(102)에 회선 교환 호를 통지할 수 있다. 통지는 VMS(110)에 의해 세션 키로 암호화되어 등록시 설정된 TCP 세션에 의해 가입자국(102)에 전송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의 IP 주소는 VMS(110)에 의해 통지에 첨부되어 PDSN(114)은 기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사용하여 의도한 가입자국(102)에 통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은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응답하는 진동자 또는 신호기(ringer) 회로(도시 생략)를 가질 수 있다. 통지는 가입자국(102)의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제시될 수 있는 호출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보고 착신 호를 수락(accept)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혹은, 모든 착신 회선 교환 호를 수락하도록 가입자국(102)이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가입자국(102)은 세션 키로 암호화된 응답을 TCP 세션을 통해 VMS(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응답에 VMS의 IP 주소를 첨부하고 패킷 데이터 세션을 이용하여 PDSN(114)에 전송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첨부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PDSN(114)은 VMS(110)에 응답을 라우팅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에 의해 생성되어 VMS(11)에 전송된 응답은 사용자가 착신 호를 수락하는지 거부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착신 호를 거부하면, VMS(110)는 응답에 응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착신 호를 수락하면, 응답에 응하여 호 전달 신호가 VMS(110)에서 MSC(108)로 전송될 수 있다. 가입자국(102)과 PDSN(114) 사이의 PPP 세션은 해제되고 RAN(106)과 MSC(108) 사이의 논리적 자원 접속이 설정되어 호를 지원할 수 있다. MSC(108)는 시그널링 메시지의 교환을 트리거링하는 가입자국(102)을 페이징하여 호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호가 설정되면, 가입자국(102)의 사용자는 회선 교환망(104)을 통해 호출자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활성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세션 동안 회선 교환 호를 가능하게 하는데 단문 서비스(SMS)가 사용될 수 있다. SMS는 가입자국이 단문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잘 알려진 서비스이다. 도 2는 SMS를 이용하는 IS-95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에서, VMS(110)는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착신 회선 교환 호를 가입자국(102)에 통지할 수 있으므로, VMS(110)에 가입자국(102)을 등록할 필요가 없어진다.
회선 교환망(104)으로부터의 착신 호가 MSC(108)에 도착하면, MSC(108)는 RAN(106)의 적절한 BSC에 가입자국(102)의 페이징을 지시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이 활성 네트워크 접속을 갖는 경우에, BSC는 가입자국(102)이 호를 받기에 유효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통화중 신호를 MSC(108)에 전송할 수 있다.
통화중 신호에 응답하여, MSC(108)는 가입자국의 전화번호와 함께 VMS(110)에 통화중 신호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VMS(110)에 의해 가입자국(102)에 대한 SMS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에 액세스하는데 전화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SMS 프로파일이 가입자국(102)의 패킷 데이터 세션시 회선 교환 호가 인에이블됨을 나타낸다면, VMS(110)는 호출자 식별 정보와 함께 착신 호의 통지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가입자국(102)에 전송할 수 있다. SMS 메시지는 메시지 센터(MC; 202)를 통해 가입자국(102)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SMS 프로파일이 가입자국(102)이 패킷 데이터 세션시 회선 교환 호를 수락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면, VMS(110)는 적절한 사용자 메일함에 착신 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호출자 정보가 가입자국(102)의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제시되어 사용자가 착신 호를 수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든 착신 회선 교환 호를 수락하도록 가입자국(102)이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어느 방식으로든, 가입자국(102)은 사용자가 호를 수락하는지 거부하는지를 나타내는 응답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VMS(11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신 호를 거부하면, VMS(110)는 응답에 응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착신 음성 호를 수락하면, 호 전달 신호가 VMS(110)에서 MSC(108)로 전송될 수 있다. 가입자국(102)과 PDSN(114) 사이의 PPP 세션이 해제되고 RAN(106)과 MSC(108) 사이의 논리적 자원 접속이 설정되어 호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후 MSC(108)는 시그널링 메시지의 교환을 트리거링하는 가입자국(102)을 페이징하여 호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호가 설정되면, 가입자국(102)의 사용자는 회선 교환망(104)을 통해 호출자와 통신할 수 있다.
활성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세션 도중 회선 교환 호 통지의 개념은 네트워크 경계에 걸쳐 확장될 수 있다. 도 3은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IS-95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 블록도이다. IS-95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네트워크로 도시된다. 가입자국(102)은 일련의 파선에 의해 다른 네트워크를 거쳐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가입자국(102)은 처음에 홈 네트워크(302a)에 도시되며, 우선 홈 RAN(106a) 내에 등록함으로써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망에 액세스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는 순방향 링크 오버헤드 채널을 통한 홈 RAN(106)으로부터 가입자국(102)으로의 시스템 식별 코드(SID)의 전송을 포함한다. 가입자국(102)이 SID를 수신하면, 이를 가입자국(102)에 프로그래밍된 SID와 비교한다. SID가 매치하면, 가입자국(102)은 홈 네트워크(302a)로부터 RAN(106a)과 통신중임을 알게 된다.
가입자국(102)이 SID를 수신하면, 홈 RAN(106a)에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등록 요청은 홈 네트워크(302a) 내의 가입자국(102)의 위치를 홈 MSC(108a)에 보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홈 MSC(108a)는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홈 네트워크(302a) 전반에 걸쳐 가입자국을 페이징할 필요없이 MSC(108a)가 가입자국(102)에 호를 지능적으로(intelligently) 라우팅할 수 있게 한다.
가입자국(102)이 홈 네트워크(302a) 밖에서 새로운 서비스 네트워크(302b)로 이동할 때, 가입자국(102)은 일반적으로 그 네트워크에 등록할 필요가 있다. 등록 프로세스에서, 가입자국(102)은 서비스 RAN(106b)으로부터 SID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입자국의 홈 네트워크(302a)에서의 등록 프로세스와 달리, 서비스 RAN(106b)으로부터의 SID는 가입자국(102)에 프로그래밍된 SID와 매치하지 않을 것이다. SID가 매치하지 않기 때문에 가입자국(102)은 홈 네트워크(302a) 밖에서 로밍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가입자국(102)은 서비스 RAN(106b)을 통해 등록 요청을 서비스 MSC(108b)에 전송할 수 있다. 등록 요청은 가입자국(102)에 프로그래밍된 SID를 포함할 수 있다. SID는 가입자국(102)이 로밍하고 있는 서비스 MSC(108b)에 표시를 제공한다. 서비스 MSC(108b)는 SID를 사용하여 가입자국(102)의 홈 네트워크(302a)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MSC(108b)는 홈 MSC(108a)에 접촉하여 가입자국(102)의 위치를 보고하고 가입자국(102)이 서비스 네트워크(302b) 내에서 동작하도록 승인되었음을 검증한다. 가입자국(102)의 위치는 홈 MSC(108a)에 의해 홈 위치 등록기(HLR; 304)에 기록될 수 있다. HLR(304)은 다른 네트워크를 거쳐 이동할 때 가입자국(102)을 추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이 서비스 MSC(108b)에 등록되면, 우선 서비스 RAN(106b)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패킷 교환망(112)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서비스 RAN(106b)과 서비스 PDSN(114b) 사이의 논리적 자원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PPP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 따라 가입자국(102)과 서비스 PDSN(114) 사이에 데이터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교섭하여 가입자국(102)에 할당하는데 PPP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IP 주소가 할당되면, 가입자국(102)은 네트워크 접속에 의해 패킷 교환망(112)과 통신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이 회선 교환 호 통지를 위한 SMS 메시지에 의지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의 여러 실시예에서, 가입자국(102)은 이러한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홈 VMS(110a)에 등록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국(102)은 홈 VMS(110a)에 대한 IP 주소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혹은, 가입자국(102)은 홈 VMS(110a)에 대한 FQDN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VMS의 IP 주소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느 방식으로든, 홈 VMS(110a)의 IP 주소를 알게 되면, 가입자국(102)은 가입자국(102)과 서비스 PDSN(114a) 사이의 기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이용하여 홈 VMS(110a)에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PDSN(114b)은 가입자국의 홈 네트워크에서 PDSN(114a)에 등록 요청을 전달하는 라우터 역할을 한다. 홈 PDSN(114a)은 홈 VMS(110a)에 등록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홈 VMS(110a)는 홈 네트워크(302a)의 AAA 센터(116)와 같이, 독립 소스를 이용하여 등록 요청의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AAA 센터(116)가 가입자국(102)을 인증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AAA 센터(116)는 내부적으로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및 QoS 정보에 액세스하여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AAA 센터(116)가 등록을 승인하면, 등록 확인 응답이 서비스 PDSN(114b)으로 다시 라우팅되고, 기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이용하여 가입자국(102)에 포워딩될 수 있다. 세션 키 또는 임의의 다른 암호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입자국(102)과 홈 VMS(110a) 사이에 보안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등록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가입자국(102) 및 홈 VMS(110a)는 등록 메시지의 확실한 전달 및 이어지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TC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에 대한 착신 회선 교환 호는 처음에 가입자국의 홈 네트워크에 있는 MSC(108a)에 전달될 수 있다. 호가 수신되면, 홈 MSC(108a)는 의도한 가입자국(102)이 그 홈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하고, HLR(304)과 협의하여 가입자국(102)의 위치를 결정한다. HLR(304)은 홈 MSC(108a)에 가입자국(102)이 서비스 네트워크(302b) 내에 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홈 MSC(108a)가 이 정보를 수신하면, 서비스 네트워크(302b)의 MSC(108b)에 착신 호를 다시 라우팅할 수 있다.
서비스 MSC(108b)는 서비스 RAN(106b)에서 적절한 BSC에 가입자국(102)의 페이징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BSC에 통합된 PCF가 사용되어 네트워크 접속이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경우, 가입자국(102)이 호를 받기에 유효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통화중 신호를 서비스 MSC(108b)에 돌려보낼 수 있다.
통화중 신호에 응하여, 서비스 MSC(108b)는 홈 MSC(108a)에 통화중 신호 표시를 전달할 수 있다. 홈 MSC(108a)는 가입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홈 VMS(110a)에 통화중 신호 표시를 전달할 수 있다. 홈 VMS(110a)가 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은 가입자국(102)에 착신 호를 통지하기 위해 SMS 메시지가 사용되는지 여부 또는 가입자국(102)과 서비스 PDSN(114b) 사이의 기존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통지가 전 송되는지 여부에 좌우될 수 있다.
SMS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홈 VMS(110a)는 가입자국(102)의 SMS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에 액세스할 수 있다. SMS 프로파일은 가입자국(102)에 대해 회선 교환 호가 가능함을 지시한다면, 홈 VMS(110a)가 가입자국(102)에 호출자 식별 정보와 함께 착신 호에 대한 통지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통지는 홈 VMS(110a)로부터 가입자국의 홈 네트워크(302a)의 MC(도시 생략)로 라우팅될 수 있다. MC는 HLR(304)과 협의하여 가입자국(102)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서비스하는 MSC(108b)에 SMS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서비스 MSC(108b)는 서비스 RAN(106)을 통해 가입자국(102)에 SMS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통지 메시지는 서비스 네트워크(302a)의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가입자국(102)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VMS(110a)는 가입자국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활성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패킷 데이터 세션 동안 회선 교환 호를 수신하도록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화번호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홈 MSC(108a)는 종래의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호를 다시 홈 VMS(110a)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반대로,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다면, 세션 키를 사용하여 회선 교환 호 통지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통지 메시지를 등록시 설정된 TCP 세션을 통해 가입자국(102)에 전달하는데 홈 VMS(110a)가 사용될 수 있다. 가입자국의 IP 주소는 홈 VMS(110b)에 의해 통지 메시지에 첨부되어 서비스 PDSN(114b)으로 라우팅되고 기존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가입자국(102)에 전달될 수 있다.
SMS 메시지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호 통보에 응답하여 가입자국(102)으로부터 홈 VMS(110a)로 응답이 전송될 수 있다. 가입자국(102)에 의해 발생한 응답은 사용자가 착신 호를 수락할지 거부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이 착신 호를 거부하면, 홈 VMS(110a)는 응답에 응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착신 호를 수락하면, 가입자국(102)과 서비스 PDSN(114a) 사이의 PPP 세션이 해제되고 서비스 RAN(106b)과 서비스 MSC(108b) 사이에 논리적 자원 접속이 설정되어 호를 지원할 수 있다. 홈 VMS(110a)로부터 홈 MSC(108a)를 통해 서비스 MSC(108b)로 호 전달 신호가 라우팅될 수 있다. 호 전달 신호에 응하여, 서비스 MSC(108b)는 시그널링 메시지의 교환을 트리거링하는 가입자국(102)을 페이징하여 호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호가 설정되면, 가입자국(102)의 사용자는 회선 교환망(104)에서 서비스 MSC(108b)를 통해 호출자와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가입자국(102)의 가능한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 블록도이다. 당업자들이 인지하는 바와 같이, 가입자국(102)의 정확한 구성은 특정 응용 및 전체 설계 구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간결함 및 완전함을 위해, CDMA 가입자국과 관련하여 여러 발명 개념들이 설명되지만, 이러한 발명 개념들은 다른 여러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도 마찬가지로 적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DMA 가입자국에 대한 어떤 기준은 발명의 양상을 설명하는 것으로만 해석되며, 이러한 발명의 양상들은 광범위한 응용을 갖는 것으로 이해한다.
가입자국(102)은 소프트웨어 기반 프로세서 또는 공지된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기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프로세서는 그 코어에 메모리(404)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402)를 갖는다.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무엇보다도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망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패킷 교환 응용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적절한 PDSN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세션의 생성,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은 오디오 회로, 키패드, 디스플레이, 신호기, 진동기 등의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일반적으로 회선 교환망에 걸쳐 음성 및 저속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통합 웹 브라우저의 경우와 같이, 패킷 교환망에 대한 고속 접속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로컬 인터페이스(도시 생략)가 제공되어 원격 네트워크 노트와 패킷 교환망 사이의 고속 접속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408)는 주문형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임베디드 통신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구현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402)에 대한 처리 요구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로서, 활성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세션 동안, DSP(408)는 키패드(도시 생략)로부터의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이 데이터를 역방향 링크에서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FE; 410)를 통한 전송 전에 여러 제어 채널과 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SP(408)는 AFE(410)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데이터를 복호화 및 복조하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나타내기 전에 여러 제어 채널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계층은 DSP 하드웨어를 마이크로프로세서(402)에 인터페이스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고 레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게 하는 자원의 할당과 같은 저 레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입자국에 처음 전력이 인가될 때, RAN(도시 생략)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위한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402)가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402)가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면, 필수 타이밍 정보를 취득하여 RAN에 등록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은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망(도시 생략)에 액세스할 수 있다.
가입자국(102)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그 홈 네트워크에 있는 VMS(도시 생략)에 등록하여 패킷 데이터 세션이 시작하면 음성 교환 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용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VMS와 세션 키를 협상하고 TCP 접속을 설정하여, 등록 메시지의 확실한 전달 및 이어지는 VMS와의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암호화 기능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4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DSP(408)에 오프-로드(off-load)될 수 있다.
전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 전송으로부터 제어 채널을 추출하고 이들을 마이크로프로세서(402)에 제공하는데 DSP(408)가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착신 회선 교환 호가 도착했다는 통지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지는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또는 대안으로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가입자국(102)에 전송될 수 있다. 통지는 호출자 정보 식별자를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호가 수락되어야 하는지 거부되어야 하는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402)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대안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회선 교환 호를 자동으로 수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떻든, 마이크로프로세서(402)에 의해 응답이 생성되어 VMS에 전송될 수 있다. 응답은 마이크로프로세서(402) 또는 DSP(408)에 의해 암호화되고 TCP 세션을 통해 VMS로 라우팅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응답은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VMS로 돌려보내질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402)가 호를 수락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또는 키패드 입력에 응답하여 호를 수락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패킷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고 MSC와 신호를 교환하여 호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각종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는 본원에 기재된 기능들을 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 장치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의 임의의 다른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하여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가입자국이나 다른 곳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가입자국의 개별 컴포넌트로서,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곳에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제작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나타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새로운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39)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착신 호(incoming call)의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패킷 교환망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active)인 동안 상기 접속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은 세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 세션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의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상기 착신 호를 수락(accep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호를 수락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호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 교환국과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 교환국과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착신 호의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패킷 교환망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접속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삭제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세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에 등록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세션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에 등록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고, 상기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상기 착신 호를 수락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신 호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 교환국과의 접속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착신 호를 수락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9. 삭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에 응답을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응답을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고, 상기 착신 호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 교환국과의 접속을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3.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착신 호의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패킷 교환망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접속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4.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패킷 교환망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착신 호의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패킷 교환망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착신 회선 교환 호의 통지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의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삭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의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이동 교환국 사이에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착신 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이용 불가능함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에서의 상기 신호의 수신은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통지의 라우팅을 일으키고(prompt),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응답을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교환국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통신 방법으로서,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와 다른 홈 네트워크에 할당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
    패킷 교환망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착신 호의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착신 회선 교환 호의 통지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0. 삭제
  31. 삭제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의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이동 교환국 사이에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홈 네트워크의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착신 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이용 불가능함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에서의 상기 신호의 수신은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착신 호의 통지의 라우팅을 일으키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응답을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상기 이동 교환국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4.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메모리로서, 상기 명령들은,
    패킷 교환망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 및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착신 호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등록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 세션을 통해 음성 메시지 서버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코드 -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접속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패킷 교환망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접속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메모리.
  35.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패킷 교환망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착신 회선 교환 호의 통지를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착신 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이용 불가능함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에서의 상기 신호의 수신은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통지의 라우팅을 일으키고(prompt),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응답을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교환국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통신 방법으로서,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와 다른 홈 네트워크에 할당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
    패킷 교환망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홈 네트워크의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착신 회선 교환 호의 통지를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이 활성 상태인 동안 상기 홈 네트워크의 이동 교환국에서 착신 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이용 불가능함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에서의 상기 신호의 수신은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착신 호의 통지의 라우팅을 일으키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응답을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의 상기 이동 교환국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67003274A 2003-08-18 2004-08-02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KR101131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43,604 2003-08-18
US10/643,604 US7983242B2 (en) 2003-08-18 2003-08-18 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PCT/US2004/025150 WO2005020620A2 (en) 2003-08-18 2004-08-02 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644A KR20060064644A (ko) 2006-06-13
KR101131712B1 true KR101131712B1 (ko) 2012-04-03

Family

ID=3419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274A KR101131712B1 (ko) 2003-08-18 2004-08-02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7983242B2 (ko)
EP (1) EP1656813B1 (ko)
JP (1) JP4668907B2 (ko)
KR (1) KR101131712B1 (ko)
CN (1) CN1902969B (ko)
BR (1) BRPI0413665A (ko)
CA (1) CA2535840A1 (ko)
DK (1) DK1656813T3 (ko)
ES (1) ES2612566T3 (ko)
HU (1) HUE030949T2 (ko)
MX (1) MXPA06001906A (ko)
PL (1) PL1656813T3 (ko)
PT (1) PT1656813T (ko)
TW (1) TW200520482A (ko)
WO (1) WO20050206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6715B2 (en) * 2002-12-18 2011-03-29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protocol to support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networks
US7983242B2 (en) 2003-08-18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JP2005113721A (ja) * 2003-10-06 2005-04-28 Hitachi Ltd 蒸気タービン
US7924811B2 (en) * 2004-03-30 2011-04-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spending packet-switched sessions to a wireless terminal
US7664495B1 (en) * 2005-04-21 2010-02-16 At&T Mobility Ii Llc Voice call redirection for enterprise hosted dual mode service
US7688760B2 (en) * 2005-05-16 2010-03-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xchange of packet data between a wireless access terminal and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system via a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system
US7844037B2 (en) * 2005-08-08 2010-11-30 Palm, Inc.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message responses to incoming phone calls
US7836294B2 (en) * 2005-08-08 2010-11-16 Motorola Mobility, Inc. Mobile station security mode method
EP1935118A4 (en) * 2005-09-22 2012-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PERSON SEARCH INFORMATION / RESPONSE TO PERSON SEARCH INFORMATION FOR BIMODAL ACCESS TERMINAL AND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SWITCHING BASED ON NETWORK INDICATIONS
US8948163B2 (en) * 2005-09-30 2015-02-03 Telecom Italia S.P.A. Method for managing voice calls during packet-switched sessions, and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mplementing the method
WO2007126029A1 (ja) * 2006-04-27 2007-11-08 Kyocera Corporation 携帯電話端末、サーバ及びグループ通話システム
ATE553626T1 (de) * 2006-04-28 2012-04-15 Motorola Mobility Inc Fähigkeitsaktualisierung während eines anrufs
JP2007318681A (ja) * 2006-05-29 2007-12-06 Ntt Docomo Inc 携帯電話システム、テレビ電話制御装置、携帯電話機及びテレビ電話制御方法
US7818336B1 (en) * 2006-08-30 2010-10-19 Qurio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searching social networks
US20080089325A1 (en) * 2006-10-14 2008-04-17 E28 Limited Audio quality-based continuity switching system and method
WO2008066536A2 (en) 2006-11-29 2008-06-05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longing battery charge lif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text messaging type protocol for calls
ES2401504T3 (es) * 2007-01-02 2013-04-22 Deutsche Telekom Ag Método para la detección de datos característicos de la red por parte de usuarios regulares para la sustentación de procesos de planificación y optimización en redes de telefonía móvil
CN101222420B (zh) * 2007-01-09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高速分组数据网传递1x寻呼被拒绝的方法
US7995562B2 (en) * 2007-02-26 2011-08-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to trigger a mobile device in different domains based on unsuccessful initialization or handover
US9055517B2 (en) * 2007-02-26 2015-06-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user-directed dynamic domain selection
US8059592B2 (en) * 2007-05-14 2011-11-15 Via Telecom Co., Ltd. Access terminal which handles multiple user connections
KR101398908B1 (ko) *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553623B2 (en) * 2007-07-20 2013-10-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standardized interface in a wireless device to discover and use local and remote resources
US20090040951A1 (en) * 2007-08-10 2009-02-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fining Multi-Domain Wireless Device Behavior for Two or More Calls
JP5118417B2 (ja) * 2007-08-28 2013-0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9066316B2 (en) 2007-11-19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Diagnostic monitoring by a wireless device
US7912969B2 (en) 2008-01-09 2011-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ization of periodic behavior in communication network
US8649810B2 (en) * 2009-04-21 2014-02-11 Agere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longing battery charge lif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text messaging type protocol for calls
US8804661B2 (en) * 2009-05-21 2014-08-12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call in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CN102170709B (zh) * 2010-02-26 2014-10-0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同步维持封包数据通讯协议上下文状态的方法及移动装置
US20110217969A1 (en) * 2010-03-05 2011-09-0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with multiple subscriptions that utilize a single baseband-radio frequency resource chain
US8825018B2 (en) * 2010-06-01 2014-09-02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voice call performance through controlled interruption of data transfer in a relay network
US8693396B2 (en) * 2010-06-08 2014-04-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subscriber to view the calling party number for a circuit switched voice call page while attached to a packet data network
US9319853B2 (en) * 2010-07-26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precedence at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KR101540277B1 (ko) * 2010-08-27 2015-07-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 우선
CN102882588B (zh) * 2011-09-07 2016-04-27 开曼群岛威睿电通股份有限公司 通信传输方法和系统
US8565160B2 (en) 2011-11-02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ccess terminal registrations
US10271274B2 (en) 2012-02-03 2019-04-23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xtended time periods for maintaining PPP sessions
CN103428664B (zh) * 2012-05-15 2016-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融合的方法、设备及通信系统
US9288649B2 (en) * 2013-01-11 2016-03-15 Richard C. Fuisz Smart telephony systems and methods
US9374151B2 (en) 2013-08-08 2016-06-21 Intel IP Corporation Coverage extension level for coverage limited device
US9258747B2 (en) 2013-09-17 2016-02-09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fast handover failure recovery in 3GPP LTE network
US9876903B2 (en) 2013-09-30 2018-01-23 Apple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mobile station of an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 during a packet switched session
US9572171B2 (en) 2013-10-31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hannel contention
CN105657729A (zh) * 2014-12-01 2016-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的处理方法和终端
JP2015136125A (ja) * 2015-02-13 2015-07-2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マルチモード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パケット交換通信優先
US9557139B1 (en) * 2015-05-08 2017-01-31 Berne Apparel Company Article of apparel including concealed weapon pocket
US10075588B2 (en) 2015-10-15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communication events
US10433154B2 (en) * 2017-09-28 2019-10-0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ttribute indicating a home component of a subscri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029A1 (en) * 2000-11-28 2002-06-27 Azeem Ahmad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brid mobile terminal
US20030112977A1 (en) * 2001-12-18 2003-06-19 Dipankar Ray Communicating data securely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147537A1 (en) * 2002-02-07 2003-08-07 Dongfeng Jing Secure key distribution protocol in AAA for mobile IP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2905A (en) * 1994-09-19 1998-04-21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Personal communications internetworking
US5974044A (en) * 1995-01-05 1999-10-26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5805587A (en) * 1995-11-27 1998-09-08 At&T Corp. Call notification feature for a telephone line connected to the internet
FI102234B1 (fi) 1996-01-16 1998-10-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igitaal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iä päättyvän puhelun käsittelemiseksi
US6230009B1 (en) * 1996-12-27 2001-05-08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a station in one network of a requested communication from a second network
JP2959627B2 (ja) 1997-04-25 1999-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パケット音声着信装置
JPH11225165A (ja) 1998-02-05 1999-08-17 Ntt Mobil Commun Network Inc 通信ネットワー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6473422B2 (en) * 1998-04-27 2002-10-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screen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WO1999056478A1 (en) 1998-04-27 1999-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announcing system and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hold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US7142857B1 (en) * 2000-04-26 2006-11-28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call control at a 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 utilizing a packet network
JP3822555B2 (ja) * 2001-11-09 2006-09-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安全な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
US7286671B2 (en) * 2001-11-09 2007-10-23 Ntt Docomo Inc. Secure network access method
US6940952B1 (en) * 2002-07-25 2005-09-06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provision of a voicemail message indicator signal over a computer data network
US7218709B2 (en) * 2002-07-29 2007-05-15 At&T Corp. Intelligent voicemail message waiting system and method
US7983242B2 (en) 2003-08-18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029A1 (en) * 2000-11-28 2002-06-27 Azeem Ahmad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brid mobile terminal
US20030112977A1 (en) * 2001-12-18 2003-06-19 Dipankar Ray Communicating data securely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147537A1 (en) * 2002-02-07 2003-08-07 Dongfeng Jing Secure key distribution protocol in AAA for mobile 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35840A1 (en) 2005-03-03
DK1656813T3 (en) 2017-01-09
MXPA06001906A (es) 2006-05-31
US8837464B2 (en) 2014-09-16
PT1656813T (pt) 2017-02-17
JP2007503164A (ja) 2007-02-15
TW200520482A (en) 2005-06-16
HUE030949T2 (en) 2017-06-28
US20050041640A1 (en) 2005-02-24
PL1656813T3 (pl) 2017-04-28
CN1902969A (zh) 2007-01-24
JP4668907B2 (ja) 2011-04-13
EP1656813A2 (en) 2006-05-17
BRPI0413665A (pt) 2006-10-24
US7983242B2 (en) 2011-07-19
US20120020291A1 (en) 2012-01-26
WO2005020620A3 (en) 2005-05-12
CN1902969B (zh) 2010-05-12
ES2612566T3 (es) 2017-05-17
KR20060064644A (ko) 2006-06-13
EP1656813B1 (en) 2016-11-30
WO2005020620A2 (en)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712B1 (ko) 회선 교환 호 통지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US7099291B2 (en) Dispatch call origination and set up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33750B1 (ko) 하프-듀플렉스 음성 네트워크 채널에서의 고속 보안 세션
KR100845729B1 (ko) 호출 설정의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들
US7330720B2 (en) Time zone based phone services
CA2510505C (en) Hybrid protocol to support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networks
JP5509345B2 (ja) アクセス端末が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内の通信セッションに関与するときにおけるアクセス端末のページ管理
US67922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tching dispatch calling parties together
EP2723137B1 (en) Apparatus for setting up network for ip communication in mobile terminal
JP4708473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JP2008522510A (ja) 効率的なプッシュ・トゥ・トーク(ptt)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M321179U (en)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configured for dual mode paging
US7756097B2 (en) Rapid push-to-send data exchange method and apparatus
US761343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protected paging indication mechanism within wireless networks including multiple access points
KR20050035049A (ko)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위한호 설정 방법
JP2005130481A (ja) 低待ち時間サービス用のベアラ・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信号搬送
KR100542948B1 (ko)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EP4353029A1 (en) Managing paging for a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