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277B1 -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 우선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 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277B1
KR101540277B1 KR1020137007674A KR20137007674A KR101540277B1 KR 101540277 B1 KR101540277 B1 KR 101540277B1 KR 1020137007674 A KR1020137007674 A KR 1020137007674A KR 20137007674 A KR20137007674 A KR 20137007674A KR 101540277 B1 KR101540277 B1 KR 10154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alling party
incoming call
servic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426A (ko
Inventor
얀 리
루 가오
웬타오 장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특정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회선 교환(CS)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패킷 교환(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된다. CS 통신들에 비해 PS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S 우선 특징이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활성화된다.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이 설정되고, 발신 측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가 CS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이 해제된다.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사실상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 우선{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PRECEDENCE AT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들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진보들은 더 작고 더 강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창출해 왔다. 예를 들어, 작고 가벼우며 사용자들이 쉽게 휴대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및 페이징 디바이스들과 같은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여, 현재 다양한 휴대용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셀룰러 전화들과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전화들과 같은 휴대용 무선 전화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많은 무선 전화들은 그 안에 통합되는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전화는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레코더 및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인터넷에 액세스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상당한 컴퓨팅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듀얼 모드 모바일 전화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및 회선 교환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듀얼 모드 모바일 전화는 하나의 모드가 활성 접속 모드인 동안에는 다른 모드와 연관된 통신들을 보류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킷 교환 모드가 활성 상태일 때는, 사용자에게 어떠한 통보도 없이, 사용자가 착신 통화들을 놓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발신 측은 착신 측이 서비스를 이탈했다는 통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떤 듀얼 모드 모바일 전화들은 패킷보다 회선(즉, 음성) 우선(CPOP: circuit precedence over packet)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인 CPOP 서비스는 착신 통화 이벤트 시 활성 패킷 교환 서비스의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인 CPOP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수화기의 종료(hang-up) 키를 누름으로써) 착신 통화를 거부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패킷 교환 서비스까지의 연관된 지연(일반적으로 10초 또는 그 이상)은 패킷 교환 서비스와 연관된 패킷 교환 네트워크 접속의 네트워크 해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착신 통화가 수신될 때 사용자가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교환 서비스에 몰두하고 있는 경우와 같은 열악한 사용자 체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회선 교환(CS: circuit switched) 통신들(예를 들어, 음성 통신들)에 비해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ed) 통신들(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S 우선 특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packet precedence over voice) 특징은 착신 음성 통화가 수신될 때 활성 PS 서비스의 중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PPOV 특징은 사용자가 회신하도록 부재중(missed) 착신 음성 통화가 사용자에게 사실상 실시간으로 통보되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회선 교환(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패킷 교환(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PS 우선 특징은 CS 통신들에 비해 PS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PS 우선 특징은 음성 통신들에 비해 패킷 교환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특징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발신 측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가 CS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이 해제된다. 상기 방법은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예를 들어, 사실상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제 1 안테나, 제 2 안테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한다. 제 1 안테나는 PS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사용되고, 제 2 안테나는 CS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통화 처리 로직은 CS 네트워크와의 음성 통신들에 비해 PS 네트워크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POV 특징을 활성화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활성 PS 서비스가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PS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동안 제 2 안테나를 통해 CS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된다. PPOV 특징이 활성화되는 경우, 통화 처리 로직은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2 안테나를 통해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한다. 발신 측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가 제 2 안테나를 통해 CS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통화 처리 로직은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고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통보는 발신 측 번호, 발신 측 이름,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발신 측은 착신 측이 서비스를 벗어난다는 표시보다는 착신 측이 통화중이라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CS 네트워크와의 음성 통신들에 비해 PS 네트워크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POV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발신 측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상기 CS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의 특정한 이점은 착신 통화를 수신하기 위해 지연에 민감할 수 있는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교환 서비스(예를 들어, 화상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중단을 피하는 능력이다. 또한, 발신 측을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사실상 실시간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를 인지하며, 회신하는 능력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 측의 신원은 패킷 교환 서비스를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인자일 수 있다. 따라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패킷 교환 통신들의 우선순위는 특정 패킷 교환 서비스의 우선순위, 발신 측의 신원, 다른 인자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좌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 섹션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출원의 검토 후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통신들의 시퀀스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다리 도이다.
도 3a은 패킷 우선 특징이 활성화된 경우에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b는 패킷 우선 특징이 활성화된 경우에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c는 패킷 우선 특징이 활성화된 경우에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착신 통화를 처리하는 방법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착신 통화를 처리하는 방법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착신 통화를 처리하는 방법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은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스마트폰들의 수의 폭발적인 증가로, 패킷 교환 통신들의 증가가 있어왔다. 사업 및 화상 전화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어떤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은 높은 우선순위로 여겨질 수 있고 지연에 민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는, 중대하거나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데이터 서비스를 지속시키기 위해,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특징이 바람직할 수 있다. PPOV 특징은 회선 교환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 통화)에 의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의 중단을 막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에 회신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부재중 음성 통화를 통보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성공률은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중요한 성능 지표이기 때문에, 운영자가 음성 통화와 연관된 페이지를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가 PPOV 특징을 활성화시킬 경우, 발신 측은 서비스 이탈 표시보다는 운영자로부터의 통화중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현재 통화 처리 기술은 PS보다 음성 우선(즉, "CPOP" 또는 "VPOP(voice precedence over PS)") 또는 동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처리 기술은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1x), 에볼루션 데이터 최적화(EVDO: Evolution-Data Optimized), 광대역(Wideband)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및 LTE-A와 관련되거나 이들로 정의된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하이브리드 1x/DO 동작들은 PPOV에 부재중 음성 통화 통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수화기들은 PPOV의 특징에 부재중 음성 통화들의 실시간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디바이스들은 단일 활성 송신(Tx: transmission) 용량으로 인해 또는 디바이스 내 상호 간섭으로 인해 동시 음성 및 데이터를 지원할 수 없다. 이러한 하나의 디바이스는 단일 활성 Tx 체인을 갖는 1x/DO 하이브리드 듀얼 모드 듀얼 대기 단말이다. 다른 예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 및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GSM900/EVDO 듀얼 모드 전화이다. 본 개시의 PPOV 특징은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서비스들을 보호하기 위한 이러한 전화들의 유용한 능력일 수 있다. 본 개시의 PPOV 특징은 또한 2개의 서로 다른 기술들과 연관된 동시 송신들에 대한 필요성을 없앰으로써 일부 동시 듀얼 모드 전화들에 대한 디바이스 내 상호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100으로 표기된다. 패킷 우선 특징(예를 들어, PPOV 특징)은 착신 통화를 수신하기 위한, 지연에 민감할 수 있는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교환 서비스(예를 들어, 화상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중단을 피하는 능력을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적어도 제 1 안테나(104) 및 제 2 안테나(106)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임의의 수의 안테나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와 패킷 교환(PS) 네트워크(110) 간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108)은 제 1 안테나(104)를 이용할 수 있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와 CS 네트워크(114) 간의 회선 교환(CS) 통신들(예를 들어, 음성 통신들(112))은 제 2 안테나(106)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의 제 1 모드는 제 1 안테나(104)를 통해 PS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EVDO 모드를 포함하고,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의 제 2 모드는 제 2 안테나(106)를 통해 CS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GSM 모드를 포함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또한 통화 처리 로직(116)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8)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화 처리 로직(116)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포함한다. 통화 처리 로직(116)은 CS 네트워크(114)와의 음성 통신들(112)에 비해 PS 네트워크(110)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108)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특징을 활성화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a - 도 3c를 참조)를 통해 발신 측(120)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동작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즉, 발신 측(120)으로부터의 착신 음성 통화와 연관된 페이지)를 수신한다. PS 서비스는 제 1 안테나(104)를 이용하여 PS 네트워크(110)와 통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GSM/EVDO 듀얼 모드 디바이스이고, PS 네트워크(110)는 EVDO 네트워크이며, CS 네트워크(114)는 GSM 네트워크이다. GSM/EVDO 듀얼 모드 디바이스는 실례가 되는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가 GSM/EVDO 듀얼 모드 디바이스인 경우, CS 페이징 메시지는 GSM 페이징 메시지이다. 이 경우,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듀얼 모드 디바이스는 EVDO 활성 모드이며 GSM 페이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PPOV 특징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PS 서비스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지 않는 경우), 발신 측(120)으로부터의 착신 통화가 수신될 수 있다. PPOV 특징이 활성화되는 경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제 2 안테나(106)를 이용하는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PS 서비스와 CS 서비스 모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PS 서비스가 중단되지는 않는다. 대안으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가 PS 서비스와 CS 서비스 모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없는 경우,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PS 서비스가 보류될 수 있다. CS 네트워크(114)가 GSM 네트워크일 때, CS 베어러 접속의 설정은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와 GSM 네트워크 간의 무선 베어러 셋업을 수반한다.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한 후,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CS 네트워크(114)로부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수신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예를 들어, 발신 측 번호를 통해) 발신 측(120)을 식별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예를 들어, 발신 측(120)의 전화 번호 수신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한다.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PS 서비스가 보류되는 경우,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시 PS 서비스가 재활성화된다. 따라서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한 PS 서비스의 보류와 연관된 지연이 PS 서비스의 종료를 초래하지 않을 수 있다.
CS 네트워크(114)가 GSM 네트워크이고 PS 네트워크(110)가 EVDO 네트워크일 때,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는 GSM 접속을 해제하고 EVDO 활성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수반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짧은 지연을 갖고 EVDO 활성 모드가 중단되어,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가 일시적으로 GSM 활성 모드로 동작하게 한다. 발신 측은 GSM 무선 베어러 셋업의 초기 스테이지들에서 식별될 수 있기 때문에, EVDO 활성 모드의 중단이 감소되어 PS 데이터 서비스의 종료를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PPOV 특징은 일반적인 패킷보다 회선 우선(CPOP)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하는 PS 서비스의 중단을 막을 수 있다. 일반적인 CPOP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수화기의 종료 키를 누름으로써) 착신 통화를 거부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PS 서비스까지의 연관된 지연(일반적으로 10초 또는 그 이상)은 PS 접속의 네트워크 해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반면, 본 개시의 PPOV 특징에서는, 착신 음성 통화로 튜닝하기 위해 PS 네트워크(110)와의 PS 접속이 무조건 끊어지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PPOV 특징은 기존 시그널링 메시지들 및 통화 처리 방법들을 이용한다. 본 개시에서, PPOV 특징은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 저장된 통화 처리 로직(116)을 통해 구현된다. 따라서 PPOV 특징은 네트워크 측에서의 변경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즉, PS 네트워크(110)에서도 CS 네트워크(114)에서도 아무것도 변경되지 않음)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들 간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POV 특징은 GSM/EVDO 콘텍스트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보다, PPOV 특징은 다양한 기술들 및 연관된 조합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POV 특징은 다른 가능성들 중에서도, CDMA2000 1x, WCDMA, GSM, 1x, GPRS, CDMA2000, TD-SCDMA 및 LTE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화 처리 로직(116)은 CS 네트워크(114)와의 음성 통신들에 비해 PS 네트워크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POV 특징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화 처리 로직(116)은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화 처리 로직(116)은 발신 측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CS 네트워크(114)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 처리 로직(116)은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처리 로직(116)은 사용자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 및 사용자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PS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처리 로직(116)은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PS 서비스를 보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통화 처리 로직(116)은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시 PS 서비스를 재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 처리 로직(116)은 위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한 세트 또는 다수 세트들의 명령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시스템들 또는 서브시스템들의 임의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처리 로직(116)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도 7 참고)에 전체적으로 상주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세트들의 명령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이용한다. 대안으로, 통화 처리 로직(116)은 주문형 집적 회로들,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어레이들,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3a, 도 3b 및 도 3c 참고)를 통해 발신 측(120)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에게 부재중 착신 통화를 사실상 실시간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 착신 통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일 없이 PS 서비스에 대한 중단을 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부재중 착신 통화에 응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PPOV 특징은 PS 서비스에 관한 개선된 사용자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8)는 다른 대안들 중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고체 상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통신들의 시퀀스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200으로 표기된다. 도 2는 다중 모드 단말이 PS 서비스와 CS 서비스 모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없는 경우의 통화 처리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2의 통화 처리 시퀀스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한 PS 서비스의 보류와 연관된 지연을 줄임으로써 PS 서비스의 종료를 막을 수 있다.
도 2는 다중 모드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과 CS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1의 CS 네트워크(114)) 간의 통신들을 나타낸다. 202에서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이지만,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CS 네트워크(114)로부터의 CS 페이징 메시지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204에서는, CS 네트워크(114)로부터의 모바일 착신 CS 페이징 메시지가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 도착한다. CS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여, 206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가 CS 네트워크(114)에 페이징 응답을 전송한다.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PS 서비스와 착신 음성 통화를 동시에 지원할 수 없다. 따라서 208에서는,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PS 서비스가 보류된다. 무선 베어러 셋업 후,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210에서 CS 네트워크(114)로부터 착신 통화 통보를 수신한다.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착신 통화 통보는 발신 측 번호로 발신 측을 식별한다.
착신 통화 통보의 수신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212에서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CS 네트워크(114)는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를 페이지 실패와 연관시키지 않는다. 또한, CS 베어러 접속이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가 통화중임이 CS 네트워크(114)를 통해 발신 측에 통보될 수 있다. 214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가 PS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1의 PS 네트워크(110))로 튜닝하여 PS 서비스를 재개한다. 착신 통화 통보는 사용자에게 착신 통화가 통보되게 하지만, 발신 측을 식별하기 위한 PS 서비스의 보류와 연관된 지연이 PS 서비스의 중단(열악한 사용자 체험을 초래하는 중단)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도 3a를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이 활성화된 경우에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302로 표기된다. 도 3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2)는 활성 PS 서비스의 종료 없이, 부재중 착신 통화와 연관된 발신 측 번호를 사실상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 수신된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04)에 응답하여 도 3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2)가 생성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04)는 발신 측 번호(306)로 발신 측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통보(308)는 발신 측 번호(306) 및 부재중 통화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선택 가능한 표시자들(예를 들어, 버튼들 또는 소프트 키들)을 통해, 통보(308)를 받았음을 알리거나(acknowledge) 통화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K 버튼(310)은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를 받았음을 알리게 할 수 있는 한편, 회신(return call) 버튼(312)은 사용자가 자동으로 발신 측 번호(306)를 다이얼하게 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이 활성화된 경우에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314로 표기된다. 도 3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는 활성 PS 서비스의 종료 없이, 부재중 착신 통화와 연관된 발신 측의 이름을 사실상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 수신된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16)에 응답하여 도 3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4)가 생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통보(318)는 발신 측 이름 및 부재중 통화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선택 가능한 표시자들을 통해, 통보(318)를 받았음을 알리거나 통화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K 버튼(310)은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를 받았음을 알리게 할 수 있는 한편, 회신 버튼(312)은 사용자가 자동으로 부재중 통화에 회신하게 할 수 있다. 도 3b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16)를 기초로 발신 측 이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 측 이름은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16)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으로, 발신 측 이름은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예를 들어, 연락 목록을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이 활성화된 경우에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320으로 표기된다. 도 3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활성 PS 서비스의 종료 없이, 부재중 착신 통화와 연관된 발신 측의 이미지를 사실상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 수신된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19)에 응답하여 도 3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0)가 생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통보(322)는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 및 부재중 통화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선택 가능한 표시자들을 통해, 통보(322)를 받았음을 알리거나 통화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K 버튼(310)은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를 받았음을 알리게 할 수 있는 한편, 회신 버튼(312)은 사용자가 자동으로 부재중 통화에 회신하게 할 수 있다. 도 3c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19)를 기초로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예를 들어, 이미지를 발신 측과 연관시키는 연락 목록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착신 통화를 처리하는 방법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400으로 표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화 처리 로직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도 4에 예시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패킷 우선 특징(예를 들어, PPOV 특징)은 착신 통화를 수신하기 위해 지연에 민감할 수 있는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교환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을 피하는 능력을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402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S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될 때, CS 통신들에 비해 PS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S 우선 특징이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제 2 안테나(106)를 통해 CS 네트워크(114)로부터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CS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될 때, 제 1 안테나(104)를 이용하여 PS 네트워크(110)와 통신하는 PS 서비스는 활성 상태이다.
이 방법은 404에서,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제 2 안테나(106)를 이용하는 CS 네트워크(114)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406에서 CS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가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 수신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을 식별한다. 이 방법은 408에서,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는 CS 네트워크(114)로부터 발신 측(120)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410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보는 도 3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도 3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통해 또는 도 3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04)에 포함된 발신 측 번호(306)로 발신 측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름으로 발신 측을 식별할 수도 있다. 추가 예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발신 측을 식별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착신 통화를 처리하는 방법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500으로 표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화 처리 로직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도 5에 예시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도 5는 사용자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PPOV 특징이 활성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연에 민감할 수 있는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교환 서비스에 대한 PPOV 특징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방법은 502에서 사용자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또는 사용자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504에서 CS 네트워크와의 음성 통신들에 비해 PS 네트워크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POV 특징이 활성화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활성화 요청은 음성 통신들 이외의 회선 교환 서비스들에 비해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패킷 선호 특징과 연관될 수 있다.
이 방법은 506에서,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510에서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508에서 활성 PS 서비스가 보류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활성 PS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가 동시 패킷 교환 및 회선 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가 CS 네트워크와 통신하게 하기 위한 활성 PS 서비스의 중단은 없다.
512에서, 발신 측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가 CS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 번호로 발신 측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 번호(306)를 포함하는 도 3a의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304)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법은 514에서,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16에서는,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시 PS 서비스가 재활성화된다.
상기 방법은 518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발신 측 번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2)가 발신 측 번호로부터의 부재중 통화의 통보(308)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CS 베어러 접속의 설정,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 및 베어러 접속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PS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보류된다. 따라서 PPOV 특징은 지연에 민감할 수 있는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교환 서비스의 중단을 막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착신 통화를 처리하는 방법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600으로 표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화 처리 로직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도 6에 예시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도 6은 PS 서비스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될 때 PPOV 특징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602에서, PS 서비스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화상 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결정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 PS 서비스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지 여부의 결정은 실질적으로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시 수행될 수도 있다. PS 서비스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연관된 경우, 상기 방법은 604에서 PPOV 특징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S 서비스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지 않는 경우에는, 606에서 PPOV 특징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는다. 도 5에 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POV 특징은 (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언제든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608에서,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응답으로, 상기 방법은 610에서, PPOV 특징이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POV 특징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방법은 612에서 착신 통화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POV 특징이 활성화되는 경우, 614에서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이 설정된다. 616에서는, 발신 측을 식별하는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가 CS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618에서 CS 베어러 접속이 해제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발신 측이 특정 발신 측(예를 들어, 높은 우선순위의 발신 측)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신 측이 높은 우선순위의 발신 측이라면, 상기 방법은 착신 통화를 수신하기 위해 PPOV 특징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CS 베어러 접속이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신 측의 신원, 다른 인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기초로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PPOV 특징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PS 서비스의 우선순위 레벨은 발신 측의 신원을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PS 서비스들은 서로 다른 발신 측들에 대해 서로 다른 우선순위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높은 우선순위 발신 측들의 한 계층(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들)에 대해서는 화상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중단될 수 있으면서, 높은 우선순위 발신 측들의 다른 계층(예를 들어, 직장 동료들)에 대해서는 PPOV 특징이 계속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높은 우선순위 발신 측들의 다수의 계층들(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들과 직장 동료들 모두)에 대해서는 더 낮은 우선순위의 PS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으면서, 높은 우선순위의 발신 측들로서 지정되지 않은 발신 측들에 대해서는 PPOV 특징이 계속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발신 측 번호가 장거리 번호인지 아니면 시내 번호인지와 같은 다른 인자들이 PPOV 특징이 계속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62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신 측 번호,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신 측 이름,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의 이름 또는 다른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발신 측 이름은 발신 측 번호를 기초로 또는 다른 발신 측 식별자를 기초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리트리브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발신 측의 이미지는 발신 측 번호를 기초로 또는 발신 측과 연관된 다른 정보를 기초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리트리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은 PS 서비스의 중단을 막기 위해 특정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된 PS 서비스들(예를 들어, 지연에 민감할 수 있는 높은 우선순위의 패킷 교환 서비스)에 대해 PPOV 특징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화상 전화 서비스의 시작시, 착신 음성 통화의 결과로서 화상 전화 서비스의 중단을 막기 위해 PPOV 특징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S 서비스가 더 이상 활성 상태가 아닌 경우, PPOV 특징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킷 우선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가 도시되며 일반적으로 700으로 표기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700)는 도 1 또는 도 2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102)를 포함한다. 또한, 도 4 - 도 6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도 7의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7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700)는 메모리(732)에 연결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710)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732)는 패킷 우선 특징(예를 들어, PPOV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통화 처리 로직(7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또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710) 및 디스플레이(728)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726)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728)는 도 1 -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코더/디코더(코덱(CODEC))(734) 또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71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736) 및 마이크로폰(738)이 코덱(7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또한 무선 제어기(740)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710) 및 다수의 무선 안테나들에 연결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700)는 제 1 안테나(742) 및 제 2 안테나(743)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700)는 2개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안테나(742)는 도 1의 제 1 안테나(104)에(즉, PS 네트워크(110)와 통신하도록) 대응할 수 있고, 제 2 안테나(743)는 도 1의 제 2 안테나(106)에(즉, CS 네트워크(114)와 통신하도록) 대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DSP(710), 디스플레이 제어기(726), 메모리(732), 코덱(734) 및 무선 제어기(740)는 시스템-인-패키지(system-in-package) 또는 시스템-온-칩(system-on-chip) 디바이스(722)에 포함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730) 및 전원(744)이 시스템-온-칩 디바이스(722)에 연결된다. 더욱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728), 입력 디바이스(730), 스피커(736), 마이크로폰(738), 무선 안테나들(742, 743) 및 전원(744)은 시스템-온-칩 디바이스(722) 외부에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728), 입력 디바이스(730), 스피커(736), 마이크로폰(738), 무선 안테나들(742, 743) 및 전원(744) 각각은 인터페이스나 제어기와 같은 시스템-온-칩 디바이스(722)의 컴포넌트에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위에서 일반적으로 그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좌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나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개시된 실시예들을 실시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능한 한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23)

  1. 다중 모드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ed)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회선 교환(CS: circuit switched)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CS 통신들에 비해 PS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PS 우선 특징이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활성화됨 ―;
    상기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CS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을 식별함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missed)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S 페이징 메시지는 음성 통화와 연관되고,
    상기 PS 우선 특징은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packet precedence over voice) 특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상기 PS 서비스가 보류되고,
    상기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시 상기 PS 서비스가 재활성화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PS 서비스의 보류와 연관된 지연은 상기 PS 서비스의 종료를 초래하지 않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 활성 상태인 상기 PS 서비스는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가 동시 CS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중단되지 않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제 1 모드는 PS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에볼루션 데이터 최적화(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의 제 2 모드는 CS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모드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 번호로 상기 발신 측을 식별하고,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상기 발신 측 번호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S 베어러 접속이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가 통화중임이 상기 CS 네트워크를 통해 발신 측에 통보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S 네트워크는 상기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를 페이지 실패와 연관시키지 않는,
    방법.
  10. 다중 모드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패킷 교환(PS)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회선 교환(CS)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통화 처리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통화 처리 로직은,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음성 통신들에 비해 상기 PS 네트워크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특징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PS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상기 CS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을 식별함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고;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처리 로직은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상기 PS 서비스를 보류하고 상기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시 상기 PS 서비스를 재활성화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처리 로직은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상기 PS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는,
    장치.
  13. 다중 모드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회선 교환(CS) 네트워크와의 음성 통신들에 비해 패킷 교환(PS) 네트워크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특징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
    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CS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CS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을 식별함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상기 PS 서비스를 보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시 상기 PS 서비스를 재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PPOV 특징이 활성화되는,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발신 측의 이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상기 발신 측의 이름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되는 통보는 상기 발신 측과 연관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장치.
  18. 다중 모드 통신을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패킷 교환(PS) 서비스가 활성 상태일 때 회선 교환(CS)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고;
    음성보다 패킷 우선(PPOV) 특징이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 상기 PPOV 특징은 CS 네트워크와의 음성 통신들에 비해 PS 네트워크와의 패킷화된 데이터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함 ―;
    상기 PPOV 특징이 활성화된다는 결정시,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게 하고;
    상기 CS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고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는 발신 측을 식별함 ―;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게 하고;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으로부터의 부재중 착신 통화의 통보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상기 PS 서비스를 보류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CS 베어러 접속의 해제시 상기 PS 서비스를 재활성화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PS 서비스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PS 서비스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경우에 상기 PPOV 특징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화상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발신 측이 특정 발신 측인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발신 측이 상기 특정 발신 측인 경우에 상기 PPOV 특징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착신 통화 통보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CS 네트워크와의 CS 베어러 접속을 해제하지 않으면서 상기 특정 발신 측으로부터 착신 통화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유형 매체.
KR1020137007674A 2010-08-27 2010-08-27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 우선 KR10154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76416 WO2012024844A1 (en) 2010-08-27 2010-08-27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precedence at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426A KR20130059426A (ko) 2013-06-05
KR101540277B1 true KR101540277B1 (ko) 2015-07-29

Family

ID=45722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674A KR101540277B1 (ko) 2010-08-27 2010-08-27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 우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09783A4 (ko)
JP (1) JP5745057B2 (ko)
KR (1) KR101540277B1 (ko)
CN (1) CN103098535B (ko)
BR (1) BR112013004695A2 (ko)
WO (1) WO2012024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6203B2 (en) 2012-04-11 2015-12-29 Apple Inc. Method for implementing autonomous management of radio resources across dual networks
CN103648022A (zh) * 2013-12-20 2014-03-19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中显示连接设备的名称的方法和装置
KR102367213B1 (ko) * 2015-02-13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954200B (zh) * 2017-03-24 2020-12-18 日照市睿翅电子商务产业有限公司 一种附加业务的处理方法及系统
US20190253551A1 (en) * 2018-02-13 2019-08-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To Reduce Mobile Telephone Charges By Immediate Disconnect And Redial
WO2019183818A1 (zh) * 2018-03-27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258897B2 (en) * 2018-10-25 2022-02-22 Mediatek Inc.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ing method
CN116935870A (zh) * 2022-04-08 2023-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语音传输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0515A1 (en) * 2004-10-13 2006-04-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95643A1 (en) 2008-12-04 2010-08-05 Pradeep Kodali Domain Specific PLMN Selection
US20100208624A1 (en) 2007-06-22 2010-08-19 Jari Tapio Vikberg Response To CS Paging Reques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713A (ja) * 1997-12-11 1999-07-02 Casio Comput Co Ltd 通信端末装置
JPH11225165A (ja) * 1998-02-05 1999-08-17 Ntt Mobil Commun Network Inc 通信ネットワー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0349924A (ja) * 1999-06-03 2000-12-15 Three Da:Kk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網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信端末装置
US7983242B2 (en) * 2003-08-18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US7924811B2 (en) * 2004-03-30 2011-04-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spending packet-switched sessions to a wireless terminal
JP2007019999A (ja) * 2005-07-08 2007-01-25 Ntt Docomo Inc 着信処理選択システム、ユーザ端末、交換機、及び、着信処理選択方法
EP1959656A1 (en) * 2005-12-07 2008-08-20 Fujitsu Limited Mobil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power and electric power control program
KR100753366B1 (ko) * 2005-12-22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콜 착신 실패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7792277B2 (en) * 2006-07-11 2010-09-07 Cisco Technology, Inc. Call centers with image or video based priority
JP4719643B2 (ja) * 2006-08-11 2011-07-06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EP2070271A1 (en) * 2006-09-28 2009-06-17 Nxp B.V. Improved process for transferring data in a dual transfer mode between a mobile network and mobile stations, and corresponding circuit mobility management ent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0515A1 (en) * 2004-10-13 2006-04-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08624A1 (en) 2007-06-22 2010-08-19 Jari Tapio Vikberg Response To CS Paging Request
US20100195643A1 (en) 2008-12-04 2010-08-05 Pradeep Kodali Domain Specific PLMN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6658A (ja) 2013-09-19
WO2012024844A1 (en) 2012-03-01
CN103098535A (zh) 2013-05-08
CN103098535B (zh) 2017-03-22
EP2609783A1 (en) 2013-07-03
JP5745057B2 (ja) 2015-07-08
BR112013004695A2 (pt) 2016-05-10
EP2609783A4 (en) 2016-10-26
KR20130059426A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277B1 (ko)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패킷 교환 통신 우선
US9319853B2 (en)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precedence at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JP5752808B2 (ja) 呼を受信することに応答してビジーステータスメッセージを送るマルチsim−ue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297898B1 (ko) 통신 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CN105979067B (zh) 控制方法和电子设备
US20210282059A1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KR20140023082A (ko) 수신 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JP5295147B2 (ja) 通信端末
CA2762392C (en) Handling emergency calls on an electronic device
CN116320152B (zh) 一种会议中接收来电的处理方法、终端及芯片系统
CN104602214A (zh) 一种扩展手机无线语音和短信业务的方法
KR101146702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
WO2008131806A1 (en) Caller screening and routing to voicemail
JP2006129020A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機
JP2008527796A5 (ko)
US20160191701A1 (en) Smart Telephony Systems and Methods
JP2015136125A (ja) マルチモード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パケット交換通信優先
JP2006180088A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の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制御方法
CN112565522A (zh) 即时通讯应用来电接听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JP2019220898A (ja) 無線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11029812A (ja) 電話システム
CA2746060C (en)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mobile terminated mobile initiated calling
JP2004040217A (ja) 携帯電話における圏外時着信履歴通知システム
JP2008092385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緊急呼呼び返し着信動作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8245198A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による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