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575B1 -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575B1
KR101131575B1 KR1020110118786A KR20110118786A KR101131575B1 KR 101131575 B1 KR101131575 B1 KR 101131575B1 KR 1020110118786 A KR1020110118786 A KR 1020110118786A KR 20110118786 A KR20110118786 A KR 20110118786A KR 101131575 B1 KR101131575 B1 KR 10113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m
junction
unit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to KR102011011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2Supporting or driving arrangements for forwar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해진 길이의 전선을 접합부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고, 전극의 단락에 의한 스파크로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용이하게 접합되며, 다양한 길이의 건전지에 용이하게 전선을 접합할 수 있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이 권취된 릴과, 상기 릴로부터 권출된 전선을 곧게 펴는 직선화 장치와, 상기 직선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선을 접합부에 일정한 길이로 공급하는 전선 이송 장치 및 상기 전선 이송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선을 건전지의 극부에 밀착시켜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The electric wire welding device for dry cell electrode}
본 발명은, 건전지의 양 극부에 전선을 접합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해진 길이의 전선을 접합부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고, 전극의 단락에 의한 스파크로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용이하게 접합되며, 다양한 길이의 건전지에 용이하게 전선을 접합할 수 있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전지는 카세트 라디오나 리모콘 등 별도의 스프링 소켓이 구비된 소형 가전 기기에 적용되어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제품이다. 이러한 건전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소켓이 구비되고, 소켓의 내부에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건전지의 양 극부를 지속적으로 가압해 주어야 했다.
그러나 회로장치 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큰 전력이 요구되지 않고 무선 제어 등을 요하는 곳에 사용되는 제품에는 전력원으로서 건전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건전지마다 별도의 소켓을 구비하여 회로를 구현할 때에는 공간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건전지 양 극부에 전선을 접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건전지에 전선을 접합하여 연장하는 방법은 수작업으로 일일이 납땜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수작업 공정은 표면이 둥근 건전지의 양 극부에 전선을 납땜하기 위하여 건전지 및 전선을 고정하는 기구를 사용해야 했고, 건전지에 전선을 납땜한 이후에 전선을 고정기구로부터 다시 분리하여야 공정이 완료되었다. 즉, 건전지에 전선을 접합하기 위하여 전선을 자르고, 자른 전선을 고정기구에 고정하고, 전선의 끝단에 건전지를 위치시킨 후 납땜을 하고, 납땜 완료 후 전선 고정기구로부터 전선을 분리해야하는 매우 번거로운 공정을 거쳐야 건전지의 전극에 연장선을 접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전선을 수작업으로 잘라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때 전선의 길이가 불규칙하여 복수의 회로기판에 각각 적용할 때 서로 다른 길이로 인하여 균일한 작업 결과물을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균일한 길이의 전선을 건전지 양 극부에 접합할 수 있고, 또한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접합하지 않고 자동으로 접합공정을 이룰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정해진 길이의 전선을 접합부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의 단락에 의한 스파크로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용이하게 접합되도록 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의 건전지에 용이하게 전선을 접합할 수 있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이 권취된 릴과, 상기 릴로부터 권출된 전선을 곧게 펴는 직선화 장치와, 상기 직선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선을 접합부에 일정한 길이로 공급하는 전선 이송 장치 및 상기 전선 이송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선을 건전지의 극부에 밀착시켜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선 이송 장치는, 설치대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1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직선화 장치 방향에서 접합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전선을 밀착 고정하여 전선이 상기 접합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설치대 또는 상기 제 1 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가 접합부에 전선을 공급하면 전선의 중단부를 절단하는 커팅부및 상기 설치대 또는 상기 제 1 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팅부가 전선을 절단하면 전선을 밀착 고정하여 상기 이송부의 회귀시 전선이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된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전선을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합부 집게와, 상기 접합부 집게의 지근거리에 구비되는 용접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설치대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2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합부 집게와 상기 용접구에는 각각 반대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접합부 집게에 밀착 고정된 전선과 상기 용접구가 건전지의 극부에 접촉될 때 전선의 끝단부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건전지의 극부에 전선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일 위를 왕복하며 전선의 공급시 전선을 밀착 고정하고 회귀시 전선의 밀착을 해제하는 이송부(220)와, 전선의 공급시 밀착을 해제하고 이송부(220)의 회귀시 전선을 밀착 고정하는 홀딩부(230)와, 이송된 전선을 절단하는 커팅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정해진 길이의 전선이 접합부(300)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을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합부 집게(332)와, 접합부 집게(332)의 지근거리에 구비되는 용접구(3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합부(300)가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접합부 집게(332)와 용접구(336)는 각각 반대 극성의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건전지의 극부에 접합부(300)가 접촉될 때 전극의 단락에 의한 스파크로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용이하게 접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부(300)가 이동되는 거리를 결정하는 거리조절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건전지에 용이하게 전선을 접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직선화 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전선 이송 장치의 전선 공급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전선 이송 장치의 복귀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접합부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접합부 집게의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직선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전선 이송 장치의 전선 공급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전선 이송 장치의 복귀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접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의 접합부 집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을 곧게 펴는 직선화 장치(100) 및 전선을 일정 간격으로 접합부(300)에 공급하는 전선 이송 장치(200)와, 전선 이송 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선을 건전지의 전극에 접합시키는 접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전선은 구리 혹은 철 등의 도체를 길게 사출하여 제작되고, 이러한 전선이 대량으로 필요한 공정에는 릴(10)에 권취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이때, 릴(10)에 감긴 전선을 권출하여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전선이 꼬이거나, 혹은 릴(10)에 감긴 모양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전선을 곧게 펴야 공정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릴(10)과 전선 이송 장치(200)의 사이에 직선화 장치(100)를 구비하여서 릴(10)로부터 권출되는 전선이 전선 이송 장치(200)에 의해 접합부(300)에 공급될 때 곧은 전선이 공급되게 한다. 이때 릴(10)은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전선을 권출시키지 않고, 회전축에 삽입된 채로 전선 이송 장치(200)가 끌어당기는 만큼 일정 간격으로 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릴(10)과 직선화 장치(100)의 사이에는 텐션 롤러(20, 30)가 더 구비되어서 직선화 장치(100)가 회전할 때 전선이 엉키지 않도록 한다.
직선화 장치(100)는, 양 측면에 회전축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링홀더 회전장치(120)와, 링홀더 회전장치(120)의 회전축이 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장치 지지대(110)와, 링홀더 회전장치(120)의 회전축이 형성되지 않은 양 측면을 각각 관통하여 고정되되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쌍을 이루며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제 2 링홀더(140) 및 제 1 링홀더(130)와 제 2 링홀더(1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링홀더(130) 및 제 2 링홀더(140)의 단부에 의해 밀착 고정되되 내부로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링홀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서로 서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 1 링홀더(130) 및 제 2 링홀더(140)는 인접한 제 1 링홀더(130) 및 제 2 링홀더(140)의 쌍과 그 대향점이 서로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링홀더 회전장치(120)의 회전축으로부터 투입된 전선이 첫번째 제 1 링홀더(130) 및 제 2 링홀더(140)의 쌍에 의해 밀착 고정된 링홀더(150) 내부를 통과하여 그 다음 링홀더(150)를 연속해서 통과할 때 전선의 형상이 지그재그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만곡된 형상의 철사 등을 수작업으로 직선으로 펼 때, 철사를 굽어진 반대 방향으로 꺾었다가 다시 반대로 꺾는 동작을 연속해서 수행하는 과정과 같은 원리이다. 링홀더(150)의 내주연과 전선은 밀착되지 않고 어느 정도 유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링홀더 회전장치(120)가 회전할 때 전선이 따라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링홀더 회전장치(120)의 양측 회전축 중 하나에는 풀리(160)가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벨트 등을 통해 전달받아 링홀더 회전장치(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력 전달장치는 벨트 체인 기어 등 공지의 회전동력 전달장치 중 어느 것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링홀더 회전장치(120)의 회전축의 중심은 홀이 형성되어서 전선이 회전축의 홀을 통과하여 내부의 링홀더(150)에 삽입되고, 마지막 링홀더(150)를 빠져나온 전선이 다시 회전축의 홀을 통과하여 전선 이송 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선화 장치(100)는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 안전 및 기기 보호를 위하여 상부에 경첩 등으로 결합되는 별도의 커버(17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선 이송 장치(200)는, 선반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설치대(40)의 전면에 설치되며, 직선화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선을 접합부(300)에 이송하는 이송부(220)와, 이송부(220)로부터 이송된 전선이 접합부(300)에 공급된 후 전선의 일부를 자르는 커팅부및 이송부(220)가 전선을 접합부(300)에 이송시킨 후 복귀할 때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홀딩부(230)를 포함하며, 제 1 캠장치(210)에 의해 이송부(220)가 왕복운동을 하고, 제 3 캠장치(250)에 의해 각부가 전선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풀어서 전선을 일정길이로 반복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제 1 캠(211) 장치를 상세히 살명하면, 설치대(40)의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캠축(201)이 구비되고, 캠축(201)과 같이 동심회전을 하되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깎여 들어온 형태의 제 1 캠(211)이 캠축(201)에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캠(211)의 깎인 면, 즉, 제 1 캠(211)의 측면 단부에 밀착되게 위치되어서 제 1 캠(211)이 회전함에 따라 제 1 캠(211)의 원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 1 캠롤러(212)가 구비된다. 제 1 캠롤러(212)는 또한 제 1 후면 회동축(213)의 일단에 결합되는데, 제 1 후면 회동축(213)의 타단은 설치대(4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므로, 결국 제 1 캠(211)이 회전함에 따라 제 1 캠롤러(212)가 제 1 캠(211)의 측면 단부의 형상대로 왕복하게 되고, 타단이 힌지결합된 제 1 후면 회동축(213)의 일단에 제 1 캠롤러(21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 후면 회동축(213)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부채꼴모양의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 캠롤러(212)가 제 1 캠(211)의 측면 단부에 밀착되어 운동할 수 있도록 제 1 후면 회동축(213)의 일측에는 스프링 등의 제 1 탄성부재(217)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탄성부재(217)는 제 1 회동축을 제 1 캠(211)의 측면 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하였으나, 제 1 탄성부재(217)를 반대로 설치하여 제 1 회동축을 제 1 캠(211)의 측면 방향으로 미는 방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1 후면 회동축(213)의 힌지결합부는 제 1 회동축 링크(214)와 설치대(4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데, 제 1 회동축 링크(214)는 설치대(4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축으로서, 일단이 제 1 후면 회동축(213)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제 1 후면 회동축(213)이 호형 왕복운동을 할 때 제 1 회동축 링크(214)도 제 1 후면 회동축(213)에 따라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회동축 링크(214)와 설치대(40)의 마찰면에는 별도의 베어링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1 회동축 링크(214)의 타단은 제 1 전면 회동축(215)의 일단과 결합되어서 제 1 회동축 링크(214)가 회동할 때 제 1 전면 회동축(215)이 따라서 회동하여 부채꼴 모양의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 1 전면 회동축(215)은 제 1 후면 회동축(213)과 제 1 회동축 링크(214)로서 서로 연결되어서 같은 타이밍에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 1 전면 회동축(215)의 타단은 제 1 종동축(216)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종동축(216)은 가로방향, 즉, 전선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제 1 전면 회동축(215)이 회동운동을 할 때 제 1 종동축(216)은 가로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제 1 종동축(216)의 타단은 이송부(220)의 이송부 몸체(222) 일측에 결합되어서 이송부(220)가 제 1 레일(202)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게 한다.
즉, 제 1 캠장치(210)는 이송부(220)를 정해진 길이만큼 왕복운동하게 함으로써 이송부(220)가 전선을 일정 간격으로 접합부(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 3 캠장치(250)는 끝단에 이송 장치 캠축(203)이 결합되어 이송장치가 전선을 접합부(300)에 반복적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선을 동일한 길이로 공급할 수 있고, 전선의 공급 후 복귀 과정에서 전선이 도로 회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각 이송부 캠(2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3 캠장치(250)는 제 1 캠장치(210)와 동일한 캠축(201)이 구비되고, 캠축(201)과 같이 회전을 하되 외주연 일측이 볼록하게 솟은 달걀형의 제 3 캠(251)이 캠축(201)에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제 3 캠(251)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위치되어서 제 3 캠(251)이 편심 회전함에 따라 제 3 캠(251)의 원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 3 캠롤러(252)가 구비된다. 제 3 캠롤러(252)는 또한 제 3 후면 회동축(253)의 중단부에 결합되는데, 제 3 후면 회동축(253)의 일단은 선반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므로, 결국 제 3 캠(251)이 회전함에 따라 제 3 캠롤러(252)가 제 3 캠(251)의 외주연 형상대로 왕복하게 되고,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 3 후면 회동축(253)의 중단에 제 3 캠롤러(25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3 후면 회동축(253)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의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3 캠롤러(252)가 제 3 캠(251)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운동할 수 있도록 제 3 후면 회동축(253)의 일측에는 스프링 등의 제 3 탄성부재(257)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 1 탄성부재(217)와 마찬가지로 제 3 캠롤러(252)를 제 3 캠(251)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는 조건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제 3 후면 회동축(253)의 타단은 제 3 회동축 링크(254)의 일단과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 3 회동축 링크(254)는 설치대(40)를 가로질러 전면으로 돌출되므로, 제 3 후면 회동축(253)의 호형 왕복운동은 제 3 회동축 링크(254)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제 3 회동축 링크(254)의 타단은 제 3 전면 회동축(255)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제 3 전면 회동축(255)의 타단은 전선 이송 장치(200)의 홀딩부(230), 이송부(220), 커팅부(240)를 꿰는 형상으로 삽입된 이송 장치 캠축(203)에 고정 결합된다. 즉, 제 3 회동축 링크(254)의 직선 왕복운동은 제 3 전면 회동축(255)의 일단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제 3 전면 회동축(255)의 타단은 이송 장치 캠축(203)에 고정 결합되어있으므로, 결국 제 3 전면 회동축(255)은 이송 장치 캠축(203)을 기준으로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 3 캠장치(250)는 이송장치의 각부를 관통하는 이송 장치 캠축(203)을 왕복회전시킴으로써 전선 이송 장치(200)가 전선을 접합부(300)에 공급할 때 이송장치의 각부가 전선 가압하거나 풀어주도록 함으로써 정해진 길이의 전선이 접합부(300)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부(220)는, 설치대(40)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1 레일(202) 위를 제 1 캠장치(210)에 의해 왕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직선화 장치(100) 방향에서 접합부(300)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전선을 밀착 고정하여 전선이 접합부(3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접합부(300) 방향에서 직선화 장치(100) 방향으로 되돌아올때에는 전선이 고정되지 않도록 풀어줌으로써 줄다리기 하듯이 전선을 반복적으로 접합부(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부(220)는 설치대(40)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1 레일(202) 위에 이송부 슬라이드(221)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송부 슬라이드(221)에는 이송부 몸체(222)가 고정 결합된다. 이송부 몸체(222)는 가로방향, 즉 전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송 장치 캠축(203)이 관통 삽입되고, 이송부 몸체(222) 일측에 제 1 캠장치(210)의 제 1 종동축(216)의 타단이 결합되어서 제 1 캠장치(210)가 구동함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이송 장치 캠축(203)은 왕복하지 않고 이송부(220)가 이송 장치 캠축(203)의 외주연을 미끌어지면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 몸체(222)의 내부에는 이송 장치 캠축(203)에 결합되어 이송 장치 캠축(20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 캠(223)이 구비되고, 편심회전하는 이송부 캠(223)의 회전에 따라 힌지운동을 하는 'ㄱ'자 모양의 이송부 집게(224)가 구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부 집게(224)는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서 'ㄱ'자 모양의 모서리 부분이 이송부 몸체(222)에 힌지결합되고, 'ㄱ'자 모양의 세로축에 해당하는 이송부 집게 몸체(227)가 이송부 캠(223)의 외주연에 인접된다. 따라서 이송부 캠(223)이 편심회전함에 따라 이송부 집게 몸체(227)의 외측면을 밀게 되고 이송부 집게 몸체(227)가 힌지를 중심으로 호형 회동을 하며, 결국 'ㄱ'자 형태의 가로축에 해당하는 이송부 집게 머리(226) 역시 힌지를 중심으로 호형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이송부 집게 머리(226)의 하측에는 이송부 집게 받침(225)이 구비되는데, 이송부 집게 머리(226)의 하단부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의 상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이송부 집게 머리(226)의 하단부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의 상단부 사이로는 전선이 통과하여 지나가며, 이송부 캠(223)이 회전하여 이송부 집게 몸체(227)를 밀어올렸을 때에는 이송부 집게 머리(226)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 사이의 틈이 벌어져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부 캠(223)이 반대로 회전하여 이송부 집게 몸체(227)가 정위치했을 경우에는 이송부 집게 머리(226)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 사이의 틈이 좁아져 전선이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부(22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 1 캠장치(210)에 의해 직선화 장치(100) 방향으로 레일을 따라 이송부(220)가 최대한 이동하면 제 3 캠장치(250)에 의해 이송 장치 캠축(203)이 반회전하여 이송부 캠(223)의 낮은 부분과 이송부 집게 몸체(227)가 밀착된다. 즉 이송부 집게 몸체(227)가 세로로 곧게 위치함으로써 이송부 집게 머리(226)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 사이의 틈이 좁아져 전선이 이송부(220)에 가압 고정된다. 이렇게 전선이 고정된 상태로 제 1 캠장치(210)에 의해 이송부(220)가 접합부(30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접합부(300)의 접합부 집게(332)가 전선을 가압 고정하게 되고, 이때 하술할 커팅부(240)에 의해 전선이 절단된 후 제 3 캠장치(250)에 의해 이송 장치 캠축(203)이 반대 방향으로 반회전하여 이송부 캠(223)의 높은 부분과 이송부 집게 몸체(227)가 밀착된다. 즉 이송부 집게 몸체(227)가 사선으로 위치함으로써 이송부 집게 머리(226)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 사이의 틈이 벌어져 전선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전선을 놓아둔 상태로 제 1 캠장치(210)에 의해 이송부(220)는 다시 직선화 장치(100) 방향으로 회귀하게 된다. 한편, 이송부(220)가 회귀할 때 하술할 홀딩부(230)에 의해 전선이 송부에 이끌려 되돌아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딩부(230)는, 설치대(40)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1 레일(202)의 직선화 장치(100)쪽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이송부(220)가 직선화 장치(100) 방향에서 접합부(300)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선을 접합부(300)에 공급할때 전선을 풀어줌으로써 전선이 이송부(2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부(220)가 접합부(300) 방향에서 직선화 장치(100) 방향으로 회귀할 때 전선을 밀착 고정함으로써 회귀하는 이송부(220)에 전선이 휩쓸려 되돌아오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홀딩부(230)는 설치대(40) 또는 레일 위에 홀딩부 몸체(232)가 고정 설치되고, 홀딩부 몸체(232)는 가로방향, 즉 전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송 장치 캠축(203)이 관통 삽입된다. 홀딩부 몸체(232)의 내부에는 이송 장치 캠축(203)에 결합되어 이송 장치 캠축(20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홀딩부 캠(233)이 구비되고, 편심회전하는 홀딩부 캠(233)의 회전에 따라 힌지운동을 하는 'ㄱ'자 모양의 홀딩부 집게(234)가 구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홀딩부 집게(234)는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서 'ㄱ'자 모양의 모서리 부분이 홀딩부 몸체(232)에 힌지결합되고, 'ㄱ'자 모양의 세로축에 해당하는 홀딩부 집게 몸체(237)가 홀딩부 캠(233)의 외주연에 인접된다. 따라서 홀딩부 캠(233)이 편심회전함에 따라 홀딩부 집게 몸체(237)의 외측면 밀게 되고 홀딩부 집게 몸체(237)가 힌지를 중심으로 호형 회동을 하며, 결국 'ㄱ'자 모양의 가로축에 해당하는 홀딩부 집게 머리(236) 역시 힌지를 중심으로 호형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홀딩부 집게 머리(236)의 하측에는 홀딩부 집게 받침(235)이 구비되는데, 홀딩부 집게 머리(236)의 하단부와 홀딩부 집게 받침(235)의 상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홀딩부 집게 머리(236)의 하단부와 홀딩부 집게 받침(235)의 상단부 사이로는 전선이 통과하여 지나가며, 홀딩부 캠(233)이 회전하여 홀딩부 집게 몸체(237)를 밀어올렸을 때에는 홀딩부 집게 머리(236)와 홀딩부 집게 받침(235) 사이의 틈이 벌어져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홀딩부 캠(233)이 반대로 회전하여 홀딩부 집게 몸체(237)가 정위치했을 경우에는 홀딩부 집게 머리(236)와 홀딩부 집게 받침(235) 사이의 틈이 좁아져 전선이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홀딩부(230)의 주요 구성 및 작동은 이송부(220)와 유사하게 적용되는데, 홀딩부 캠(233)과 이송부 캠(223)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하여 이송부 집게(224)와 홀딩부 집게(234)가 서로 반대로 작동하도록 한다. 즉, 이송부 집게 머리(226)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이 서로 밀착되어 전선을 가압 고정한 채 직선화 장치(100) 방향에서 접합부(300) 방향으로 이송부(220)가 이동될 때, 홀딩부(230)는 홀딩부 집게 머리(236)와 홀딩부 집게 받침(235) 사이의 틈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선이 무난히 접합부(30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이송부 집게 머리(226)와 이송부 집게 받침(225)이 서로 이격되어 전선을 풀어둔 채 접합부(300) 방향에서 직선화 장치(100) 방향으로 회귀될 때, 홀딩부(230)는 홀딩부 집게 머리(236)와 홀딩부 집게 받침(235) 사이의 틈이 좁아져 전선을 가압 고정함으로써 회귀하는 이송부(220)에 이끌려 전선이 되돌아오지 않도록 한다.
커팅부(240)는, 설치대(40)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1 레일(202)의 접합부(300)쪽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이송부(220)가 접합부(300) 방향으로 전선을 공급한 후 접합부(300)의 접합부 집게(332)가 공급된 전선을 가압 고정하면 전선의 중단부를 절단함으로써 일정한 길이의 전선이 건전지에 접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팅부(240)는 설치대(40) 또는 제 1 레일(202) 위에 커팅부 슬라이드(241)가 고정 설치되며, 커팅부 슬라이드(241)에 커팅부 몸체(242)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커팅부 슬라이드(241)가 제 1 레일(202) 위에 설치되는 경우 커팅부(240)를 제 1 레일(202)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고정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건전지에 접합되는 전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커팅부 몸체(242)는 가로방향, 즉 전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송 장치 캠축(203)이 관통 삽입된다. 커팅부 몸체(242)의 내부에는 이송 장치 캠축(203)에 결합되어 이송 장치 캠축(203)의 회전에 따라 편심회전하는 커팅부 캠(243)이 구비되고, 커팅부 캠(243)의 회전에 따라 힌지운동을 하는 'ㄱ'자 모양의 커팅부 회동몸체(244)가 구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팅부 회동몸체(244)는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서 'ㄱ'자 모양의 가로축 중단부가 커팅부 몸체(242)에 힌지 결합되고, 'ㄱ'자 모양의 모서리 부분에 원통형의 커팅부 안내홀(245)이 커팅부 회동몸체(244)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ㄱ'자 모양의 세로축은 커팅부 캠(243)의 외주연에 인접되는데, 커팅부 캠(243)이 편심회전함에 따라 커팅부회동 몸체의 세로축 내측면을 밀면 커팅부회동 몸체의 세로축이 힌지에 의해 사선으로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커팅부 안내홀(245)이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커팅부 캠(243)이 반대로 회전하여 커팅부회동 몸체의 세로축이 정위치 했을 경우에는 커팅부 안내홀(245)이 하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커팅부 안내홀(245)의 하부 회동 방향상에 커팅날이 구비됨으로써 커팅부 안내홀(245)의 내부로 안내되어 이송된 전선이 커팅날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팅부(240)의 동작을 살펴보면, 커팅부(240)의 커팅부 캠(243)은 이송부(220)의 이송부 캠(223)과 엇갈리게 배치되었기 때문에, 이송부(220)가 직선화 장치(100) 방향에서 접합부(300)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 이송부(220)의 이송부 집게(224)가 제 3 캠장치(250)에 의해 전선을 가압 고정할 때, 커팅부(240)의 커팅부 회동몸체(244)는 커팅부 캠(243)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게 되고, 커팅부 안내홀(245)은 전선이 내부에 인입된 채로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상태로 이송부(220)가 전선을 끌고 접합부(300) 방향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접합부(300)의 접합부 집게(332)가 이송된 전선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여 접합 준비단계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제 3 캠장치(250)에 의해 이송 장치 캠축(203)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3 캠장치(250)에 의해 커팅부 캠(243)이 회전하여 커팅부 캠(243)의 낮은 부분과 커팅부 회동몸체(244)의 내측면이 인접하게 되면서 커팅부 회동몸체(244)가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커팅부 회동몸체(244)가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힌지결합에 의해 커팅부 안내홀(245)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커팅부 안내홀(245)의 회동 방향에 커팅날(246)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전선은 커팅부 안내홀(245)에 의해 커팅날(246)에 가압되어 절단되게 된다. 이러한 절단 과정과 동시에 이송 장치 캠축(203)에 의해 이송부(220)의 이송부 집게(224)는 전선의 고정을 풀게 되고, 홀딩부(230)의 홀딩부 집게(234)는 전선을 가압 고정하게 되며, 커팅부(240)의 커팅과정과 이송부(220)의 전선의 고정을 푸는 과정 및 홀딩부(230)의 전선 가압 고정 과정이 동시에 완료된 후 이송부(220)는 제 1 캠장치(210)에 의해 직선화 장치(100) 방향으로 회귀된다.
건전지 접합수단은, 전선이 접합되지 않은 건전지를 접합구역에 이송하는 건전지 이송부(400)와, 접합구역에 수납된 건전지에 전선을 공급하여 접합하는 접합부(300) 및 전선이 접합된 건전지를 배출하는 건전지 배출부를 포함하며,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접합부(300)가 왕복운동을 하고, 제 4 캠 장치(350)에 의해 접합부(300)가 전선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풀어서 건전지에 전선을 접합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제 2 캠장치(31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제 1 캠장치(210) 및 제 3 캠장치(250)와 캠축(201)을 공유하며, 제 1 캠장치(210)와 유사한 형태로서, 캠축(201)과 같이 동심회전을 하되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깎여 들어온 형태의 제 2 캠(311)이 캠축(201)에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캠(311)의 깎인 면, 즉, 제 2 캠(311)의 측면 단부에 밀착되게 위치되어서 제 2 캠(311)이 회전함에 따라 제 2 캠(311)의 원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 2 캠롤러(312)가 구비된다. 제 2 캠롤러(312)는 또한 제 2 후면 회동축(313)의 일단에 결합되는데, 제 2 후면 회동축(313)의 타단은 설치대(4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므로, 결국 제 2 캠(311)이 회전함에 따라 제 2 캠롤러(312)가 제 2 캠(311)의 측면 단부의 형상대로 왕복하게 되고, 타단이 힌지결합된 제 2 후면 회동축(313)의 일단에 제 2 캠롤러(31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2 후면 회동축(313)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부채꼴모양의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2 캠롤러(312)가 제 2 캠(311)의 측면 단부에 밀착되어 운동할 수 있도록 제 2 후면 회동축(313)의 일측에는 스프링 등의 제 2 탄성부재(317)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탄성부재(317)는 제 2 회동축을 제 2 캠(311)의 측면 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하였으나, 제 2 탄성부재(317)를 반대로 설치하여 제 2 회동축을 제 2 캠(311)의 측면 방향으로 미는 방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2 후면 회동축(313)의 힌지결합부는 제 2 회동축 링크(314)와 설치대(4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데, 제 2 회동축 링크(314)는 설치대(4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축으로서, 일단이 제 2 후면 회동축(313)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제 2 후면 회동축(313)이 호형 왕복운동을 할 때 제 2 회동축 링크(314)도 제 2 후면 회동축(313)에 따라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2 회동축 링크(314)와 설치대(40)의 마찰면에는 별도의 베어링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 회동축 링크(314)의 타단은 제 2 전면 회동축(315)의 일단과 결합되어서 제 2 회동축 링크(314)가 회동할 때 제 2 전면 회동축(315)이 따라서 회동하여 부채꼴 모양의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 2 전면 회동축(315)은 제 2 후면 회동축(313)과 제 2 회동축 링크(314)로서 서로 연결되어서 같은 타이밍에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 2 전면 회동축(315)의 타단은 제 2 종동축(316)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제 2 종동축(316)은 가로방향, 즉, 전선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제 2 전면 회동축(315)이 회동운동을 할 때 제 2 종동축(316)은 가로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제 2 종동축(316)의 타단은 접합부(300)의 접합부 몸체(321, 322) 일측에 결합되어서 접합부(300)가 제 2 레일(204)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게 한다.
즉, 제 2 캠장치(310)는 접합부(300)를 정해진 길이만큼 왕복운동하게 함으로써 접합부(300)가 전선을 일정 간격으로 전선 이송 장치(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선의 끝단을 접합구역에 수납된 건전지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접합부(300)에 이동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 4 캠장치(350)는 끝단에 레버 구동 프레임(355)이 결합되어 접합부(300)가 전선을 건전지에 반복적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접합부 집게(332)가 전선을 밀착 가압하여 건전지에 인접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건전지에 전선이 접합되면 접합부 집게(332)를 벌려 접합과정이 완료된 건전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접합부(300)의 레버(333)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 4 캠장치(350)는 제 1, 2 및 제3 캠장치(210, 310, 250)와 동일한 캠축(201)이 구비되고, 캠축(201)과 같이 회전을 하되 외주연 일측이 볼록하게 솟은 달걀형의 제 4 캠(351)이 캠축(201)에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제 4 캠(351)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위치되어서 제 4 캠(351)이 편심 회전함에 따라 제 4 캠(351)의 원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 4 캠롤러(352)가 구비된다. 제 4 캠롤러(352)는 또한 제 4 후면 회동축(353)의 중단부에 결합되는데, 제 4 후면 회동축(353)의 일단은 선반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므로, 결국 제 4 캠(351)이 회전함에 따라 제 4 캠롤러(352)가 제 4 캠(351)의 외주연 형상대로 왕복하게 되고,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 4 후면 회동축(353)의 중단에 제 4 캠롤러(35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4 후면 회동축(353)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의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4 캠롤러(352)가 제 4 캠(351)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운동할 수 있도록 제 4 후면 회동축(353)의 일측에는 스프링 등의 제 4 탄성부재(357)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 3 탄성부재(257)와 마찬가지로 제 4 캠롤러(352)를 제 4 캠(351)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는 조건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제 4 후면 회동축(353)의 타단은 제 4 회동축 링크(354)의 일단과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 4 회동축 링크(354)는 설치대(40)를 가로질러 전면으로 돌출되므로, 제 4 후면 회동축(353)의 호형 왕복운동은 제 4 회동축 링크(354)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제 4 회동축 링크(354)의 타단은 레버 구동 프레임(355)에결합되고, 레버 구동 프레임(355)의 끝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레버 홈(356)이 형성되어 레버(333)의 일단이 삽입된다. 그리고 레버(333)의 타단은 접합부 집게(332)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레버(333)는 제 4 회동축 링크(354)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접합부 집게(332)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호형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 4 캠장치(350)는 전선 이송 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전선을 접합부 집게(332)를 이용하여 가압 고정하거나, 접합 과정이 완료된 건전지를 배출할 때 접합부 집게(332)를 벌려 고정된 전선을 풀어줄 때 이용되는 레버(3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접합부(300)는, 설치대(40)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2 레일(204) 위를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왕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전선 이송 장치(200) 방향에서 접합구역에 수납된 건전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전선을 밀착 고정하여 전선의 끝단부가 건전지의 극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전지의 극부에 전선이 접합된 후 전선의 고정을 풀어줌으로써 전선이 접합된 건전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접합부(300)는 설치대(40)에 가로로 즉 전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제 2 레일(204) 위에 접합부(300) 슬라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접합부(300) 슬라이드에는 접합부 몸체(321, 322)가 고정 결합된다. 접합부 몸체(321, 322) 일측에는 제 2 캠장치(310)의 제 2 종동축(316)의 타단이 결합되어서 제 2 캠장치(310)가 구동함에 따라 레일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접합부 몸체(321, 322)의 상면에는 돌출부(324)가 연장 형성되어서 하술할 접합부 스토퍼(343)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접합부 몸체(321, 322)의 전면에는 집게 고정구(331)가 고정 결합된다. 이는 전술한 전선 이송 장치(200)로부터 이송되는 전선이 접합부 집게(332)에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며, 접합부 몸체(321, 322)의 두께가 충분히 두껍다면 접합부 몸체(321, 322)가 집게 고정구(331)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집게 고정구(331)는 접합부 몸체(321, 322)에 고정 결합되므로 접합부 몸체(321, 322)가 제 2 슬라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될 때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접합부 집게(332)는 두 개의 집게판(332)이 쌍으로 구성되며 두 판의 일측면이 서로 인접한 형태로 구비되어서 둘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일측이 집게 고정구(331)의 측면에 힌지결합된다. 집게판(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의 일부는 각각 절개되어서 집게 고정구(331)에 고정된 집게판(332)의 절개부에는 레버 캠(334)이 수용되고, 집게 고정구(331)에 힌지 결합된 집게판(332)의 절개부에는 레버 캠롤러(335)가 각각 수용되는데, 이때 레버 캠(334)에는 레버(333)가 고정 결합되어서 레버(333)를 레버 캠(334)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레버 캠(334)의 높은 부분이 레버 캠롤러(335)를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되고, 따라서 집게 고정구(331)에 힌지결합된 집게판(332)이 외측으로 회동함으로써 두 집게판(332)이 서로 이루는 틈이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레버(333)를 조작하여 레버 캠(334)의 낮은 부분과 레버 캠롤러(335)가 밀착되면 집게판(332)이 이루는 틈이 좁아져 전선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고, 레버(333)를 반대로 회동시키면 레버 캠(334)의 높은 부분과 레버 캠롤러(335)가 밀착되어 집게판(332)이 이루는 틈이 넓어져 전선을 풀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접합부 집게(332)의 집게판(332) 일측에는 용접선(337)이 연결되는데, 이때 접합부 집게(332)의 하측으로는 집게 고정구(3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용접구(336)가 지근거리상에 구비되는데, 이 용접구(336)에도 용접선(337)이 연결되어서 두 용접선(337)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접합부 집게(332)가 전선을 가압 고정한 채로 접합부(300)가 건전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선과 건전지의 극부가 맞닿을 때 하측의 용접구(336)도 건전지의 극부와 맞닿게 되고,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두 부분이 건전지의 극부에 의해 통전되어 단락이 되고, 이때 전선의 끝단부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며 전선이 녹아 건전지의 극부에 접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접합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접합부 집게(332)의 두 집게판(332)의 틈이 벌어진 상태로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접합부(300)가 전선 이송 장치(20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전선 이송 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전선이 접합부 집게(332)의 틈 사이로 통과되고, 이때 제 4 캠장치(350)에 의해 레버(333)가 회동되면 접합부 집게(332)의 틈이 좁아져 전선이 가압 고정된다. 접합부 집게(332)에 전선이 가압 고정된 직후 제 3 캠장치(250)에 의해 전선 이송 장치(200)의 커팅부(240)가 구동되어 전선을 자르는 과정이 진행되고, 전선이 절단되면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접합부(300)는 건전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선을 건전지의 극부에 밀착시키게 된다.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밀착되는 순간 위에서 언급한것 처럼 전기 스파크가 발생되어서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접합된다.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접합되면 제 4 캠장치(350)에 의해 레버(333)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접합부 집게(332)의 틈이 벌어져 전선을 풀어주게 된다.
거리조절부(340)는 접합부(300)의 접합부 몸체(321, 322) 상측에 구비되어서 접합부(300)가 전선을 고정하여 건전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건전지와 전선이 인접하는 거리를 결정한다.
거리조절부(340)의 구성을 살펴보면, 'ㄷ'자 형태의 거리조절부 몸체(341)가 개방부가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대(40)에 고정 설치되고, 스토퍼 레일(342)이 거리조절부 몸체(341)의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거리조절부 몸체(341)의 내측으로 접합부 스토퍼(343)가 스토퍼 레일(342)에 고정 결합되는데, 접합부 스토퍼(343)의 하단부는 하부 방향에 구비된 접합부 몸체(322)의 돌출부(324)가 이동되다 걸릴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접합부 몸체(321, 322)가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건전지 이송부(400)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접합부 몸체(322)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324)가 접합부 스토퍼(343)의 측면에 밀착되면 더이상의 이동이 제한되어서 건전지와 전선의 인접 거리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거리조절부 몸체(341)의 건전지 이송부(400)쪽 측면에는 거리조절 노브(344)가 구비되어서 스토퍼 레일(342)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스토퍼 레일(342)에는 접합부 스토퍼(343)가 고정 장착되어 있으므로 거리조절 노브(344)가 스토퍼 레일(342)의 길이를 신장시키면 스토퍼 레일(342)에 결합된 접합부 스토퍼(343)는 전선 이송 장치(200) 방향으로 이동되어 접합부 몸체(321, 322)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키게 되고, 스토퍼 레일(342)의 길이를 단축시키면 스토퍼 레일(342)에 결합된 접합부 스토퍼(343)는 건전지 이송부(400)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접합부 몸체(321, 322)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거리조절부(340)의 구성은 접합부(300)가 전선을 고정하여 건전지에 접근시킬 때 건전지에 접근되는 전선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공할 건전지의 길이에 맞게 전선을 위치시켜 전선이 휘어지거나 또는 접합가능 거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거리조절부(340)에 의해 접합부 몸체(321, 322)의 이동이 제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제 2 캠장치(310)의 회동이 끝나지 않아 접합부 몸체(321, 322)는 계속 이동하려하고 거리조절부(340)는 이동을 제한하려 하는 고착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접합부 몸체(321, 322)는 두 개의 접합부 몸체(321, 322)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탄성부재 등으로 결합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제 2 레일(204)상에 제 1 접합부 몸체(322)와 제 2 접합부 몸체(321)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 1 접합부 몸체(322) 상부의 돌출부로부터 접합부 몸체 레일(326)이 연장 형성되어서 제 2 접합부 몸체(321) 상부의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두 돌출부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제 1 접합부 몸체(322)와 제 2 접합부 몸체(321)가 상호 이격된 채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 2 캠장치(310)의 제 2 종동축(316)은 제 2 접합부 몸체(321)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제 2 접합부 몸체(321)가 건전지 이송부(400)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합부(300) 레일과 탄성부재에 의해 제 1 접합부 몸체(322)도 건전지 이송부(4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과정 중에 제 1 접합부 몸체(322) 상부의 돌출부가 거리조절부(340)의 접합부 스토퍼(343)에 밀착되어 이동이 제한되면 제 2 접합부 몸체(321)가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아직 이동되고 있다 하더라도 제 1 접합부 몸체(322)와의 이격거리만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고착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접합부 몸체(321)가 제 2 캠장치(310)에 의해 전선 이송 장치(200)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제 1 접합부 몸체(322)가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접합부(300) 레일이 제 1 접합부 몸체(32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 2 접합부 몸체(321)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므로, 접합부(300) 레일의 끝단부를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제 2 접합부 몸체(321)가 전선 이송 장치(200)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접합부(300) 레일의 끝단부가 제 2 접합부 몸체(32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 2 접합부 몸체(321)가 제 1 접합부 몸체(322)를 견인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공급 장치(500)는, 접합부(300)의 접합부 집게(332)와 용접구(336)에 각각 반대극성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어장치(600)는 캠축(201)의 회전속도 및 모터의 회전속도, 전원 공급 장치(500)의 전원 인가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즉, 접합부(300)가 건전지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구(336) 및 전선이 건전지의 극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500)로 하여금 전원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접합 과정을 진행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는 건전지 이송부(400)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 방향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이 양쪽으로부터 공급되어 동시에 건전지의 양 극부에 접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설명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한쪽 방향의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대칭되어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작동되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직선화 장치 200 : 전선 이송 장치
220 : 이송부 230 : 홀딩부
240 : 커팅부 300 : 접합부

Claims (7)

  1. 전선이 권취된 릴과;
    상기 릴로부터 권출된 전선을 곧게 펴는 직선화 장치와;
    상기 직선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선을 접합부에 일정한 길이로 공급하는 전선 이송 장치; 및
    상기 전선 이송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선을 건전지의 극부에 밀착시켜 접합하는 접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선 이송 장치는,
    설치대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1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직선화 장치 방향에서 접합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전선을 밀착 고정하여 전선이 상기 접합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설치대 또는 상기 제 1 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가 접합부에 전선을 공급하면 전선의 중단부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설치대 또는 상기 제 1 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팅부가 전선을 절단하면 전선을 밀착 고정하여 상기 이송부의 회귀시 전선이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된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화 장치는, 양 측면에 회전축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링홀더 회전장치와, 상기 링홀더 회전장치의 회전축이 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장치 지지대와, 상기 링홀더 회전장치의 회전축이 형성되지 않은 양 측면을 각각 관통하여 고정되되,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쌍을 이루며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링홀더와, 상기 제 1 링홀더와 상기 제 2 링홀더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 1 링홀더 및 상기 제 2 링홀더의 단부에 의해 밀착 고정되되 내부로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링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부가 상기 제 1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캠장치; 및
    상기 이송부가 상기 제 1 캠장치에 의해 왕복할 때 상기 전선 이송 장치의 각부가 전선을 가압하거나 풀어주도록 상기 전선 이송 장치의 각부를 관통하는 이송 장치 캠축을 왕복 회전시키는 제 3 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전선을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합부 집게와, 상기 접합부 집게의 지근거리에 구비되는 용접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설치대에 가로로 고정되는 제 2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합부 집게와 상기 용접구에는 각각 반대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상기 접합부 집게에 밀착 고정된 전선과 상기 용접구가 건전지의 극부에 접촉된 후 전선의 끝단부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건전지의 극부에 전선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접합부 집게가 상기 제 2 레일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캠장치; 및
    상기 접합부 집게가 상기 제 2 캠장치에 의해 왕복할 때 상기 접합부 집게가 전선을 가압하거나 풀어주도록 레버를 회동시키는 제 4 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설치대에 고정 설치되는 거리조절부 몸체와, 상기 거리조절부 몸체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 레일과, 상기 스토퍼 레일에 고정 결합되는 접합부 스토퍼 및 상기 접합부 스토퍼의 상기 거리조절부 몸체 내부에서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상기 스토퍼 레일의 길이를 조절하는 거리조절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제 2 레일위를 왕복할 때 상기 접합부가 상기 건전지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결정하는 거리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KR1020110118786A 2011-11-15 2011-11-15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KR101131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86A KR101131575B1 (ko) 2011-11-15 2011-11-15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86A KR101131575B1 (ko) 2011-11-15 2011-11-15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575B1 true KR101131575B1 (ko) 2012-03-30

Family

ID=4614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786A KR101131575B1 (ko) 2011-11-15 2011-11-15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5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93B1 (ko) 2013-01-30 2014-05-16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자동 디릴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2002B1 (ko) 2013-06-11 2015-01-14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자동 리릴러 시스템
KR20150042426A (ko)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에스엔티 셀 공급 장치
KR102049525B1 (ko) * 2019-08-05 2020-01-08 (주)신화에프이원 지중전력케이블 고장검출 및 복구장치
CN114700580A (zh) * 2022-05-10 2022-07-05 湖南竣能科技有限公司 一种路由器pcb板辅助焊接装置
CN116001304A (zh) * 2023-02-07 2023-04-25 河北广艺高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线电极片生产工艺及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93B1 (ko) 2013-01-30 2014-05-16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자동 디릴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2002B1 (ko) 2013-06-11 2015-01-14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자동 리릴러 시스템
KR20150042426A (ko)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에스엔티 셀 공급 장치
KR102049525B1 (ko) * 2019-08-05 2020-01-08 (주)신화에프이원 지중전력케이블 고장검출 및 복구장치
CN114700580A (zh) * 2022-05-10 2022-07-05 湖南竣能科技有限公司 一种路由器pcb板辅助焊接装置
CN114700580B (zh) * 2022-05-10 2023-12-01 湖南竣能科技有限公司 一种路由器pcb板辅助焊接装置
CN116001304A (zh) * 2023-02-07 2023-04-25 河北广艺高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带线电极片生产工艺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575B1 (ko)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WO2016065607A1 (zh) 一种电热丝绕线装置及电热丝组件的制造方法
JP2005141909A (ja) コンタクトフィード付き圧着プレス
US5911354A (en) Soldering device for terminal components with multiple legs
CN209117910U (zh) 一种单模光纤的熔接装置
KR101467333B1 (ko)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절곡 장치
CN213080366U (zh) 一种带有自动上料功能的焊接装置
KR101434335B1 (ko)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KR100825063B1 (ko) 권선기
KR102187978B1 (ko) 솔더 바 공급장치
CN211027876U (zh) 一种发热体绕线机
US11870196B2 (en) Battery powered portable crimp tool with C-head
CN113245657A (zh) 铜环定位装置、铜环焊接装置及焊接系统
JP2007123189A (ja) 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方法
EP0467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wire leads
KR100269030B1 (ko) 전구용 필라멘트리드에 슬리브를 장착하는 장치
JPH0745352A (ja) 異種端子付テープおよび端子圧着機
KR100399723B1 (ko) 전지 극판의 터미널 절연을 위한 절연테이프 접합장치
CN219900047U (zh) 一种线缆定长切割装置
CN211034212U (zh) 松紧带传送机构
US4790062A (en) Apparatus for stripping an electrical conductor
US2760892A (en) Machines for the manufacture of multiple strand conductor leads
KR200403517Y1 (ko) 전선 처리기기의 전선 탈피부 솔더링 장치
JPS6120085B2 (ko)
JPH04519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