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335B1 -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 Google Patents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335B1
KR101434335B1 KR1020140087361A KR20140087361A KR101434335B1 KR 101434335 B1 KR101434335 B1 KR 101434335B1 KR 1020140087361 A KR1020140087361 A KR 1020140087361A KR 20140087361 A KR20140087361 A KR 20140087361A KR 101434335 B1 KR101434335 B1 KR 10143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rminal
moving block
moving
steel wir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영
Original Assignee
이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영 filed Critical 이두영
Priority to KR102014008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2Pressure but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2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에 사용되는 타이어 코드와 같은 강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맞대기 용접기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복수의 조작버튼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며, 이동 가능한 무빙블럭; 상기 고정블럭 및 무빙블럭의 상면 각각에 결합되며, 회동동작으로 상기 강선을 물어 고정할 수 있고, 전기공급이 이루어지는 열처리용 지지단자; 상기 각각의 열처리용 지지단자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회동동작되면서 상기 강선을 물어 고정시키고, 전기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무빙블럭을 움직여 상기 두 강선을 맞대어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용 지지단자; 상기 몸체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무빙블럭을 움직이도록 하는 이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이다.

Description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butt welding machine capable of welding and heat treatment}
본 발명은 타이어에 사용되는 타이어 코드와 같은 강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맞대기 용접기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전기 저항 용접기들은 피용접물간의 접촉부위에 발생하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대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열로 용접하는 것으로, 버트 용접기(butt welding)(이하, 맞대기 용접기라 한다)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타이어 코드와 같은 소구경 강선을 서로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두 강선의 끝단을 서로 맞댄 후 적당한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전기를 공급하여 용접하게 되는데, 용접 부위가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처리가 필요하다.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맞대기 용접기에 대한 사진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맞대기 용접기는 두 강선을 마주보게 고정하여 용접을 하는 용접부(1)와 용접 완료 후 연결된 강선을 용접부(1)로부터 꺼내어 열처리를 위해 용접부 앞쪽에 위치하는 열처리부(2)로 옮겨서 전기를 가해 열처리를 하도록 한다.
즉, 종래의 맞대기 용접기의 경우 두 강선을 용접 후 열처리부로 강선을 옮겨야 하므로 정확하게 용접된 부위 센터를 열처리부의 중앙에 맞추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열처리부에 올려지는 강선의 용접부의 센터가 맞지 않게 되면 가열이 좌우 동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처리된 용접부는 균일성이 떨어져 쉽게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6627호(2006.06.27 등록)
이에 본 발명은 강선을 맞대기 용접으로 연결할 때 두 강선의 끝단을 맞춘 후 용접을 실시하여 서로 연결하고, 강선을 이동시키지 않고 곧바로 그 자리에서 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품질 개선 및 작업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는, 두 강선을 맞대어 용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맞대기 용접기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버튼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며, 이동 가능한 무빙블럭; 상기 고정블럭 및 무빙블럭의 상면 각각에 결합되며, 회동동작으로 상기 강선을 물어 고정할 수 있고, 전기공급이 이루어지는 열처리용 지지단자; 상기 각각의 열처리용 지지단자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회동동작되면서 상기 강선을 물어 고정시키고, 전기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무빙블럭을 움직여 상기 두 강선을 맞대어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용 지지단자; 상기 몸체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무빙블럭을 움직이도록 하는 이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열처리용 지지단자는, ┛자 형태를 이루며, 전방측 상면에 상기 강선이 놓일 수 있는 복수개의 하부 강선홈이 형성되는 하부 지지단자; 상기 하부 지지단자와 회동되게 핀으로 연결되고, 후단은 스프링으로 상기 고정블럭 또는 무빙블럭과 연결되는 상부 지지단자; 상기 하부 지지단자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압캠이 상기 상부 지지단자의 상부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접용 지지단자는, x 자 형태로 연결되되, 전단부가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단부 상면에 복수의 강선홈이 형성되는 제1지지단자; 상기 제1지지단자와 반대형상을 이루는 제2지지단자; 상기 고정블럭 또는 무빙블럭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결합되며, 회동홀 및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유도판; 상기 회동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장자리 근처를 따라 곡선의 유도홀이 형성되고, 제1유도홀을 통해 상기 제1지지단자의 후단과 연결되고, 제2유도홀을 통해서는 상기 가이드홀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레버는, 상기 고정블럭 외측으로 일단이 돌출되되 타단에 캠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몸체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무빙블럭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접촉롤러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럭에 대해 상기 무빙블럭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무빙블럭에는 용접시 맞대어진 두 강선이 녹으면서 접합될 때 상기 고정블럭에 대해 상기 무빙블럭의 이격거리가 좁혀지면서 셋팅된 범위에 들어오면 용접용 지지단자로의 전기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는 두 강선을 마주보게 장착한 후 용접을 완료하고 그 상태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처리시 용접부위에 균일한 열이 전달되어 연결된 강선의 끊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접 후 강선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맞대기 용접기에 대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의 사시도.
도 3은 후방측에서 본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용접용 지지단자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 단면도.
도 7은 유도판의 측면도.
도 8은 고정레버의 평면도.
도 9는 접촉롤러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임을 지적해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후방측에서 본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용접용 지지단자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유도판의 측면도이고, 도 8은 고정레버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접촉롤러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는 강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주요한 구성요소로 몸체(100), 샤프트(200), 고정블럭(300), 무빙블럭(400), 열처리용 지지단자(500), 용접용 지지단자(600) 및 이동레버(700)를 포함한다.
사각 박스 형상의 몸체(100) 외면에는 복수의 조작버튼(110)들이 마련되며, 용접시 전기공급을 위한 용접용 버튼과 열처리시 전기 공급을 위한 열처리용 버튼이 형성된다.
몸체(100)의 상부에 평행한 한 쌍의 샤프트(200)가 마련되며, 각 샤프트(200)의 양단은 브라켓(210)에 의해 지지되어 샤프트(200)는 몸체(100) 상면에 대해 들뜬 상태로 고정된다.
샤프트(200)의 일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블럭(300)이 결합되며, 고정블럭(300)과 이격되게 샤프트(200)에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무빙블럭(400)이 마련된다. 고정된 고정블럭(300)에 대해 무빙블럭(400)은 샤프트(200)를 따라 이동 가능함으로써 고정블럭(300)과 무빙블럭(400)간 간격은 변할 수 있다.
고정블럭(300) 및 무빙블럭(400)의 상면에는 하나씩의 열처리용 지지단자(500)가 마련되는데, 열처리용 지지단자(500)는 회동 동작되어 강선을 물어 고정할 수 있으며,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열처리용 지지단자(50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회동동작되면서 강선을 물어 고정시키며,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무빙블럭(400)을 움직여 두 강선을 맞대게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용 지지단자(600)가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100)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무빙블럭(400)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레버(700)가 마련된다.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선의 각 끝단을 용접용 지지단자(600) 및 열처리용 지지단자(500)에 물려서 고정시키며, 강선의 끝단은 용접용 지지단자(600) 내측으로 돌출되게 고정시킨다.
고정블럭(300) 혹은 무빙블럭(400)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된 용접용 지지단자(600)에 강선을 물린 후 열처리용 지지단자(500)에 의해서도 강선이 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즉, 하나의 강선은 용접용 지지단자(600) 및 열처리용 지지단자(500)에 의해 고정된다.
실제 작업시에는 용접용 지지단자(600)를 통해 전기를 공급시켜 용접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며,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용 지지단자(600)는 강선 고정을 해제시킨 후 열처리용 지지단자(500)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규정된 조건에 맞게 열처리를 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최초 강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접으로 서로 강선을 연결한 후 이동없이 열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열처리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강선을 연결하면 용접부위가 균일하게 열처리되어 용접부위가 쉽게 끊어지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열처리용 지지단자(500)는, 하부 지지단자(510), 상부 지지단자(520), 회동암(530) 및 레버(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단자(510)는 ┛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을 이루는 하부측이 고정블럭(300) 또는 무빙블럭(400) 상면에 결합되며, 전방측 상면에 강선이 놓일 수 있는 복수개의 강선홈(511)이 형성된다. 강선홈(511)은 다양한 사이즈의 강선을 놓을 수 있도록 사이즈가 다른 2개 이상이 형성된다.
하부 지지단자(510)와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연결되며, 후단은 스프링(521)으로 고정블럭(300) 또는 무빙블럭(400)과 연결되는 상부 지지단자(520)가 마련된다. 상부 지지단자(520)가 회동되어 강선홈(511)에 올려진 강선을 물어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하부 지지단자(510)의 상단에 회동암(53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암(530)에는 가압캠(531)이 형성되어 가압캠(531)이 상부 지지단자(520)의 상부를 눌러주게 되면 상부 지지단자(520)가 회동되어 강선홈(511)에 올려진 강선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동암(530)에는 조작의 편의성을 고려한 레버(540)가 결합되며, 레버(540)를 잡고 당기거나 밀게 되면 회동암(530)이 회동되면서 상부 지지단자(520)를 눌러주거나 눌림 해제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접용 지지단자(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용접용 지지단자(600)는 x 자 형태로 연결되는 제1지지단자(610)와 제2지지단자(620), 유도판(630) 및 고정레버(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접용 지지단자(600)는 고정블럭(300) 및 무빙블럭(40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특히 무빙블럭(400)에 장착된 용접용 지지단자(600)는 무빙블럭(400)의 이동시 함께 이동된다.
제1지지단자(610)와 제2지지단자(620)는 회동가능하게 x자 형태로 결합되는데, 제1지지단자(610)의 경우 전단부가 하부에 위치되며 전단부 상면에 복수의 강선홈(6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지지단자(620)는 제1지지단자(610)와 반대형상을 이루고 x 자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제1지지단자(610) 및 제2지지단자(620)의 설치 및 회동동작을 위해 고정블럭(300) 또는 무빙블럭(4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유도판(630)이 마련되며, 유도판(630)에는 회동홀(631) 및 가이드홀(6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유도판(630)에는 제1지지단자(610) 및 제2지지단자(620)의 연결을 위한 회동핀홀(633)이 형성되어 회동핀홀(633)을 통해 제1지지단자(610)와 제2지지단자(620)가 구속되어 회동 동작되도록 한다.
제1지지단자(610)와 제2지지단자(620)의 회동동작을 통해 강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레버(640)가 마련되는데, 고정레버(640)는 원판 형태의 플레이트(641)와 플레이트(641)의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642)가 결합되고, 플레이트(641)의 중심부가 회동홀(631)과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가장자리 근처를 따라 곡선의 유도홀(643)이 형성된다.
2개의 유도홀(643)이 마련되는데, 제1유도홀(643a)을 통해 제1지지단자(610)의 후단과 연결되고 제2유도홀(643b)을 통해서는 가이드홀(632) 및 제2지지단자(620)의 후단과 연결된다. 손잡이(642)를 잡고 고정레버(640)를 회전시키면 제1지지단자(610)와 제2지지단자(620)는 열리거나 닫히도록 동작된다.
즉, 고정레버(640)를 전방으로 당기면 제1지지단자(610)와 제2지지단자(620)는 닫히게 되는데, 이때 강선홈(611)에 올려진 강선은 고정되게 물리는 상태가 된다.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블럭(300)에 대해 무빙블럭(400)은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무빙블럭(400)은 고정블럭(300)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다. 즉, 아무런 외력이 무빙블럭(400)에 작용하지 않으면 무빙블럭(400)은 고정블럭(300)과 거의 접촉될 정도로 가깝게 붙게 된다.
무빙블럭(4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레버(700)가 마련되는데, 이동레버(700)는 고정블럭(300) 외측으로 일단이 돌출되며, 타단에 캠플레이트(710)가 결합되고, 캠플레이트(710)가 몸체(100)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캠플레이트(710)는 도면과 같이 캠 작용을 하는 형상을 이루고 특히 규칙적인 요철을 이루고 있어 위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캠플레이트(710)에 대응하여 무빙블럭(400)의 내측면에 접촉롤러부(720)가 결합되는데, 접촉롤러부(720)가 캠플레이트(710)의 요철에 물리게 되면 위치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레버(700)를 적절히 조정하여 고정블럭(300)에 대해 무빙블럭(400)의 이격거리를 조정하도록 한다.
최초 강선을 고정할 때에는 무빙블럭(400)을 최대한 고정블럭(300)에 대해 이격되도록 이동레버(700)를 조작하고, 용접용 지지단자(600)의 내측보다 돌출된 두 강선이 맞닿도록 이동레버(700)를 반대로 조작한다.
두 강선이 고정된 상태로 맞닿게 되면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용접이 이루어지면 맞닿은 강선이 녹으면서 무빙블럭(400)과 고정블럭(300)의 거리는 좀더 가까워진다.
한편, 무빙블럭(400)에는 용접시 맞대어진 두 강선이 녹으면서 접합될 때 고정블럭(300)에 대해 무빙블럭(400)의 이격거리가 좁혀지게 되는데, 규정된 범위가 되면 용접용 지지단자(600)로의 전기공급을 차단해야 한다. 이를 위한 리미트 스위치(800)가 마련되며, 용접이 진행되어 무빙블럭(400)과 고정블럭(300)간 거리가 셋팅된 범위에 들어오면 리미트 스위치(800)가 작동되어 전기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즉, 용접 작업이 종료된다.
리미트 스위치(800)는 공지의 다양한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무빙블럭(400)의 하방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는 고정블럭에 대해 무빙블럭을 최대한 이격시킨 상태에서 강선을 용접용 지지단자 및 열처리용 지지단자에 물려 고정시키도록 한 후 용접용 지지단자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연결된 강선을 이동시키지 않고 용접용 지지단자만 고정을 해제하고, 열처리용 지지단자에만 전기를 공급하여 용접부위에 대한 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최초 강선을 장착한 상태에서 용접 및 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처리시 용접부위에 보다 균일한 열을 가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을 달성하며,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강선을 용접으로 연결한 후 열처리까지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몸체 110 : 조작버튼
200 : 샤프트 210 : 브라켓
300 : 고정블럭 400 : 무빙블럭
500 : 열처리용 지지단자 510 : 하부 지지단자
511 : 강선홈 520 : 상부 지지단자
521 : 스프링
530 : 회동암 531 : 가압캠
540 : 레버 600 : 용접용 지지단자
610 : 제1지지단자 611 : 강선홈
620 : 제2지지단자
630 : 유도판 631 : 회동홀
632 : 가이드홀 633 : 회동핀홀
640 : 고정레버 641 : 플레이트
642 : 손잡이 643 : 유도홀
643a:제1유도홀 643b: 제2유도홀
700 : 이동레버 710 : 캠플레이트
720 : 접촉롤러부 800 : 리미트 스위치

Claims (5)

  1. 두 강선을 맞대어 용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맞대기 용접기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버튼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며, 이동 가능한 무빙블럭;
    상기 고정블럭 및 무빙블럭의 상면 각각에 결합되며, 회동동작으로 상기 강선을 물어 고정할 수 있고, 전기공급이 이루어지는 열처리용 지지단자;
    상기 각각의 열처리용 지지단자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회동동작되면서 상기 강선을 물어 고정시키고, 전기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무빙블럭을 움직여 상기 두 강선을 맞대어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접용 지지단자;
    상기 몸체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무빙블럭을 움직이도록 하는 이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용 지지단자는,
    ┛자 형태를 이루며, 전방측 상면에 상기 강선이 놓일 수 있는 복수개의 강선홈이 형성되는 하부 지지단자;
    상기 하부 지지단자와 회동되게 핀으로 연결되고, 후단은 스프링으로 상기 고정블럭 또는 무빙블럭과 연결되는 상부 지지단자;
    상기 하부 지지단자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압캠이 상기 상부 지지단자의 상부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지지단자는, x 자 형태로 연결되되,
    전단부가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단부 상면에 복수의 강선홈이 형성되는 제1지지단자;
    상기 제1지지단자와 반대형상을 이루는 제2지지단자;
    상기 고정블럭 또는 무빙블럭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결합되며, 회동홀 및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유도판;
    상기 회동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장자리 근처를 따라 곡선의 유도홀이 형성되고, 제1유도홀을 통해 상기 제1지지단자의 후단과 연결되고, 제2유도홀을 통해서는 상기 가이드홀 및 제2지지단자의 후단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는,
    상기 고정블럭 외측으로 일단이 돌출되되 타단에 캠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몸체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캠플레이트가 상기 무빙블럭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접촉롤러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럭에 대해 상기 무빙블럭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블럭에는 용접시 맞대어진 두 강선이 녹으면서 접합될 때 상기 고정블럭에 대해 상기 무빙블럭의 이격거리가 좁혀지면서 셋팅된 범위에 들어오면 용접용 지지단자로의 전기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KR1020140087361A 2014-07-11 2014-07-11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KR101434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61A KR101434335B1 (ko) 2014-07-11 2014-07-11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61A KR101434335B1 (ko) 2014-07-11 2014-07-11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335B1 true KR101434335B1 (ko) 2014-08-27

Family

ID=5175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361A KR101434335B1 (ko) 2014-07-11 2014-07-11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1198A1 (en) 2018-05-04 2019-11-07 Nv Bekaert Sa Electrode for welding steel cord with one or more elongated flat areas and associated welding apparatus
CN114346530A (zh) * 2021-12-28 2022-04-15 北京航星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中碳钢细长壳体零件焊接工装及焊接和维形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515B1 (ko) * 1988-08-26 1993-03-02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파이프 단부와 그 상대부재의 납땜방법
KR100596627B1 (ko) * 2006-03-06 2006-07-05 중앙선재산업(주) 매트리스용 링구 용접장치
KR100739101B1 (ko) * 2006-12-20 2007-07-12 웰텍 주식회사 강관의 맞대기 용접 장치
KR101152088B1 (ko) * 2006-07-04 2012-06-11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 파이프용 고강도 강관 및 라인 파이프용 고강도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515B1 (ko) * 1988-08-26 1993-03-02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파이프 단부와 그 상대부재의 납땜방법
KR100596627B1 (ko) * 2006-03-06 2006-07-05 중앙선재산업(주) 매트리스용 링구 용접장치
KR101152088B1 (ko) * 2006-07-04 2012-06-11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 파이프용 고강도 강관 및 라인 파이프용 고강도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0739101B1 (ko) * 2006-12-20 2007-07-12 웰텍 주식회사 강관의 맞대기 용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1198A1 (en) 2018-05-04 2019-11-07 Nv Bekaert Sa Electrode for welding steel cord with one or more elongated flat areas and associated welding apparatus
CN114346530A (zh) * 2021-12-28 2022-04-15 北京航星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中碳钢细长壳体零件焊接工装及焊接和维形方法
CN114346530B (zh) * 2021-12-28 2023-11-07 北京航星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中碳钢细长壳体零件焊接工装及焊接和维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0430B2 (ja) 加工用エンドレスベルトを使用するロボット式工作機械
KR101256803B1 (ko) 탄산가스 용접장치용 용접 와이어 접합장치
KR101434335B1 (ko) 용접 및 열처리가 가능한 맞대기 용접기
US9505078B2 (en) Spot welding method and spot welding apparatus
KR20150042980A (ko) 스폿 용접장치
KR101131575B1 (ko) 건전지 전극 연장선 접합 장치
WO2013002068A1 (ja) トーチ調整装置
KR200449772Y1 (ko) 휴대용 용접 와이어의 이음장치
JP2010247191A (ja) 多打点スポット溶接機
KR101526275B1 (ko) 용접와이어 재생장치
US4786779A (en) Saw blade segment welding apparatus
JP2013010125A (ja) 線材の接合装置
KR101256199B1 (ko) 듀얼 토치 어셈블리가 구비된 자동용접주행장치
WO2015136566A1 (en) Machine to cut profiled elements of plastic material
WO2015078110A1 (zh) 合金焊片用线切割机
JP2020203300A (ja) 棒状部材の溶接装置
KR101865501B1 (ko) 표면마찰가열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CN214640967U (zh) 一种可视化加工点焊机
KR101430163B1 (ko) 용접 장치
KR101672914B1 (ko) 퓨징 머신
US1045911A (en) Electric metal-working machine.
CN218533391U (zh) 一种热电偶端子定位焊接机
CN211638616U (zh) 一种点火枪自动焊接机
JPH10235475A (ja) 電気溶接機のアース構造
KR100249903B1 (ko) 작업 각도 조정장치가 부설된 용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