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108B1 -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108B1
KR101131108B1 KR1020100024191A KR20100024191A KR101131108B1 KR 101131108 B1 KR101131108 B1 KR 101131108B1 KR 1020100024191 A KR1020100024191 A KR 1020100024191A KR 20100024191 A KR20100024191 A KR 20100024191A KR 101131108 B1 KR101131108 B1 KR 10113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flower
atopic dermatitis
skin
extract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115A (ko
Inventor
김영섭
유시용
최연희
차미란
유대석
김은주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1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세포 침윤, 괴사 딱지의 발생, 조직의 두께 및 비만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혈중 IgE 함량 및 IL-4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the membrane-separated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or platycoside 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는 재발성 만성 피부염으로, 어린이의 약 10-15%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지고 있으며, 90%는 5년 내 저절로 호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성인기에는 대체로 호전되어 약 30-40%는 외관상으로 피부염이 재발되지 않으나, 나머지는 성인이 되어서도 피부 건조, 자극성 물질에 의한 피부 자극, 주부 습진 등의 피부염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민감성 피부의 경우, 수분 보유력 및 그 회복력이 낮고, 피부 각질화, 가려움증 등이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로 될 확률이 높다.
아토피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로,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피부보호기능을 담당하는 피부 보호막인 세포막의 인지질과 각질세포간의 결합물질인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필수지방산인 감마-리놀레산(γ-linoleic acid, GLA)의 부족으로 인하여 피부 보호막이 약화되고, 피부 표면의 수분이 쉽게 소실되어 외부자극에 의해 알러지가 발생하게 된다. 둘째로,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현대인의 주거환경의 변화로 아파트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생활 환경이 건조해지고, 이로 인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고 피부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적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알러지가 발생하게 된다. 셋째로,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활성산소에 의해 과산화지질이 생성되며, 상기 과산화지질로 인하여 아토피 피부가 유도되고, 또한 세균, 바이러스 또는 곰팡이의 감염이 더해서 아토피가 악화되게 된다. 현재 통설은 상기 3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아토피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세라마이드, 리놀레산, 식물유 또는 광물성 오일 등의 성분들,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등의 스테로이드(steroid) 제제 또는 이들에 항균 및 항염 기능을 강화한 물질들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스테로이드 제제는 표피의 성장억제나 부작용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우레아 퍼록사이드 등은 피부의 과다 자극을 야기할 수 있고, 항히스타민제 등의 항생물질은 균의 내성(resistance) 및 광과민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피부에 적용시 모세 혈관 확장증 및/또는 각질층의 두께 증가 내지 확장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으며, 최근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에 많이 쓰이는 감마-리놀레산(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0-0046633호)은 쉽게 산화되므로 안정성이 열등함과 아울러, 피부 자극성이 비교적 강하여 민감한 피부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아토피 피부에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표적으로, 쑥 추출물(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77262호), 영지버섯, 유근피, 감초, 백봉령, 백지마 및 백년초의 추출물(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17465호), 달맞이유, 알로에, 목초액, 제비꽃, 대추, 송이버섯, 두릅, 인삼, 녹차, 두충, 복분자, 오미자, 쑥, 포공영, 삼백초, 황기, 하고초, 해송, 황금 및 우슬의 추출물(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51444호), 청자소엽(菁紫蘇葉)과 적자소엽(紫蘇葉)의 추출물(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54752호),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의 추출물(의이인 제10-0483539호), 라벤더, 유칼립투스 및 티트리 오일(의이인 제10-0597997호) 등이 있고, 그 외에도 상기생, 합환피, 창이자, 맥아 등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천연물질들 역시 소양증상(가려움증)이 해소되지 않아 계속 손으로 긁어대므로 증세의 악화가 줄어들지 않는 등 그 효능이 미미하거나, 효과는 있더라도 민감성 피부에 있어서는 알레르기 과민반응을 보여 그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알려진 아토피성 피부 개선제에 비하여 보다 효과가 뛰어나고 안전한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는 오랫동안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의 주요 약리성분인 테르펜계 사포닌은 진해, 거담작용, 중추신경억제작용(진정, 진통, 해열효과), 염증에 대한 항염증작용, 항궤양 및 위액분비억제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콜린작용, 혈당강하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Toshiyuki Akiyama et al., Chem . Pharm . Bull., 20, 1952(1972); Akihito Tada et al., Chem . Pharm . Bull., 23, 2965(1975); Hiroshi Ishii et al., J. Chem . Soc ., Perkin trans I, 661(1984); Eun Bang Lee, J. Pharm. Soc . Kor ., 19, 164(1975)).
또한, 도라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곰팡이의 아프라톡신을 억제하며, 이눌린 분획은 식균 작용과 고형 암 및 복수 암에 대한 강력한 항종양효능이 있고, 40% 도라지 엑기스는 알코올흡수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itokoto H.S. et al., Mycopathologia, 66, 16(1979); Michinori Kubo, et al., Shoyakugaku Zasshi, 40, 367(1986); Takaharu Nagao et al., Shoyakugaku Zasshi , 40, 375(1986); JPA 60-89427(1985); JPA 3-264534(1991)).
또한 최근에 밝혀진 효능으로는 고지혈증 치료 활성(Kyung-sook Kim et al., J. Nur. Sci . Vitaminol , 41, 485(1995)), 간 기능 보호 활성(Jeong H. K., et al., CANCER LETTERS, 174, 73(2001)) 및 면역기능 조절 활성(Sang B. Han et 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 1 , 1969(2001); Jeong H. K., et al., CANCER LETTERS, 166, 17(2001); Jeong H. K., et 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1, 1141(2001))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0-0002041호는 도라지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딘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696647호는 플라티코딘 D 유도체인 플라티코딘 D 프로사포제닌 메틸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및 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플라티코딘 D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17183836-pat00001
그러나, 종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도라지로부터 분리한 사포닌 성분 중의 하나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시드 E(platycoside E)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효과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17183836-pat0000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시드 E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는 도라지 추출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물질이기는 하나, 이들은 상기 구조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핵과 연결되는 글리코시드(glycoside)의 수에 차이가 있어 서로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는 플라티코시드 E와 플라티코딘 D의 효능면에서의 차이를 유발한다. 예를 들면, “Choi JH et al., Brain Res., 1279, 197-208(2009)”에는 허혈성 손상시 플라티코딘 D가 CA1 영역의 추체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플라티코시드 E는 전혀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 않음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가 공지된 기술이라고 하더라도 이와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 플라티코시드 E의 항염효과가 유추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알려진 아토피성 피부 개선제에 비하여 보다 효과가 뛰어나고 안전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가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세포 침윤, 괴사 딱지의 발생, 조직의 두께 및 비만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혈중 IgE 함량 및 IL-4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세포 침윤, 괴사 딱지의 발생, 조직의 두께 및 비만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혈중 IgE 함량 및 IL-4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티코시드 E 의 크로마토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의 아토피 동물모델에서의 아토피 저해효과를 촬영한 사진이고((a)음성 대조군, (b)양성대조군, (c)실시예 1 500 ㎎/㎏(경구투여), (d)실시예 1 300 ㎎/㎏(경구투여), (e)실시예 1 500 ㎎/㎏(피부투여), (f)실시예 2 50 ㎎/㎏(경구투여), (g)비교예 1 50 ㎎/㎏(경구투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귀의 H&E 염색 결과이고((a)음성 대조군, (b)양성대조군, (c)실시예 1 500 ㎎/㎏(경구투여), (d)실시예 1 300 ㎎/㎏(경구투여), (e)실시예 1 500 ㎎/㎏(피부투여), (f)실시예 2 50 ㎎/㎏(경구투여), (g)비교예 1 50 ㎎/㎏(경구투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피부의 H&E 염색 결과이고((a)음성 대조군, (b)양성대조군, (c)실시예 1 500 ㎎/㎏(경구투여), (d)실시예 1 300 ㎎/㎏(경구투여), (e)실시예 1 500 ㎎/㎏(피부투여), (f)실시예 2 50 ㎎/㎏(경구투여), (g)비교예 1 50 ㎎/㎏(경구투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귀의 톨루이딘 블루 염색 결과이고((a)음성 대조군, (b)양성대조군, (c)실시예 1 500 ㎎/㎏(경구투여), (d)실시예 1 300 ㎎/㎏(경구투여), (e)실시예 1 500 ㎎/㎏(피부투여), (f)실시예 2 50 ㎎/㎏(경구투여), (g)비교예 1 50 ㎎/㎏(경구투여));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피부의 톨루이딘 블루 염색 결과이다((a)음성 대조군, (b)양성대조군, (c)실시예 1 500 ㎎/㎏(경구투여), (d)실시예 1 300 ㎎/㎏(경구투여), (e)실시예 1 500 ㎎/㎏(피부투여), (f)실시예 2 50 ㎎/㎏(경구투여), (g)비교예 1 50 ㎎/㎏(경구투여)).
본 발명은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플라티코시드 E를 주성분으로 함유한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상기 주성분 외에 데피오-플라티코시드 E (Deapio-platycoside E), 플라티코딘산 A (platycodin acid A)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도라지에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도라지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도라지 추출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분자량이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분자량이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분자량이 500 이상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인 성분들만을 포함하는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추출용매로 도라지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도라지는 생도라지, 건조도라지 또는 이의 건조물을 분쇄한 분말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추출물은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C1 내지 C4의 알코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는 도라지 중량의 2배 내지 10배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배 내지 5배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추출물은 도라지 분말을 추출용기에 넣고 추출용매를 넣고, 일정시간 방치한 다음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추출시간은 2 내지 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4 내지 8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에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도라지 추출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분자량이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리막으로는 분자량이 1,000 내지 100만이고, 공경이 0.01 내지 0.001 ㎛인 한외여과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자량이 5,000인 한외여과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막의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눌린 등을 함유하는 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분자량이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분자량이 500 이상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수득한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으로는 분자량이 500이고, 공경이 0.001 내지 0.0001 ㎛인 나노여과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막의 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에는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도라지에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수득한 도라지 추출물을 한외여과막 및 나노여과막을 사용함으로써 수득한 것으로써, 종래의 도라지 추출물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특정 분자량의 한외여과막을 사용함으로써 도라지 추출물로부터 특정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사포닌 및 당류를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분, 지방 및 이눌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특정 분자량의 나노여과막을 사용함으로써 도라지 추출물로부터 특정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사포닌 및 당류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종래 도라지 추출물에서 전분, 지방 및 이눌린 성분을 제거하고, 특정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사포닌 및 당류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종래 도라지 추출물과는 상이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은 플라티코시드 E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데피오-플라티코시드 E(Deapio-platycoside E), 플라티코딘산 A(platycodin acid A) 등을 더 포함하도록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등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경피 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등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구용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막분리 추출물을 약 0.1 내지 1,500 ㎎의 단위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임상 투여시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담체,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아토피 질환의 정도, 부위, 연령 등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지만, 0.01 내지 300 ㎎/㎝2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2이며, 하루 1 내지 4 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17183836-pat00003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시드 E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는 도라지 추출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물질이기는 하나, 이들은 상기 구조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핵과 연결되는 글리코시드(glycoside)의 수에 차이가 있어 서로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는 플라티코시드 E와 플라티코딘 D의 효능면에서의 차이를 유발한다. 예를 들면, “Choi JH et al ., Brain Res., 1279, 197-208(2009)”에는 허혈성 손상시 플라티코딘 D가 CA1 영역의 추체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플라티코시드 E는 전혀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 않음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rk 공지된 기술이라고 하더라도 이와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 플라티코시드 E의 항염효과가 유추될 수 없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17183836-pat00004
본 발명에 따른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등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경피 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등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억제 효과를 측정 결과,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DNCB에 의해 유발된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1 및 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조직염색 및 조직학적 관찰 결과, 아토피 피부염 유발에 의해 증가된 염증세포 침윤, 조직의 두께, 비만세포 수 및 괴사 딱지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2, 도 4, 도 5, 도 6, 도 7, 표 2 및 표 3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피부병변 스코어 측정 결과, 아토피를 유발한 후 아무런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의 피부병변 스코어가 3.00±0.00을 나타내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에 피부병변 스코어가 각각 0.33±0.41, 0.42±0.38, 0.50±0.45 및 0.50±0.45를 나타냄으로써 아토피 증상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3 및 표 4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혈중 IgE 함량 변화 측정 결과,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IgE 함량이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약 34.5% 감소하고,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약 30.0% 감소할 뿐만 아니라, 플라티코딘 D보다 낮은 혈중 IgE 함량을 나타내며,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의 IgE 함량(73.360±6.791 ng/㎖)은 실시예 1(300 ㎎/㎏, 경구투여)의 IgE 함량(95.634±6.639 ng/㎖)보다 낮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혈중 IgE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4 및 표 5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혈중 IL-4 함량 변화 측정 결과,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IL-4 함량이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약 75.3% 감소하고,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약 67.1% 감소할 뿐만 아니라, 플라티코딘 D보다 낮은 혈중 IL-4 함량을 나타내며,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의 IL-4 함량(210 pg/㎖)은 실시예 1(300 ㎎/㎏, 경구투여)의 IL-4 함량(510 pg/㎖)보다 낮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혈중 IL-4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5 및 표 6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세포 침윤, 괴사 딱지의 발생, 조직의 두께 및 비만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혈중 IgE 함량 및 IL-4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의 제조
단계 1: 도라지 추출물의 제조
도라지 분말 1,000 g에 메탄올 5 ℓ를 가하고 수욕 상에서 6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원심 분리(10,000 × g, 30 분)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상등액을 40 ℃에서 감압 농축하여 도라지 메탄올 추출물 360 g을 수득하였다.
단계 2 : 분자량이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도라지 메탄올 추출물 62 g을 증류수 5,000 ㎖에 녹여 잔류물이 100 ㎖가 될 때까지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 Pellicon 2 TFF system, Millipore USA, 5 KDa)을 통과시켰다. 남은 잔류물에 500 ㎖의 물을 추가하여 잔류물의 용량이 100 ㎖ 이하가 될 때까지 계속 한외여과막(Pellicon 2, 5 KDa)을 통과시킨 여과물을 모아 분자량이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 분자량이 50 내지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분자량이 5,000 이하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을 잔류물이 100 ㎖ 이하가 될 때까지 나노여과막(분자량 한계 500 : nano Filtration Process Scale, Low)을 통과시켰다. 나노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한 잔류물에 물 1,000 ㎖를 추가한 후 잔류물이 100 ㎖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나노여과막(분자량 한계 500: nano Filtration Process Scale, Low)을 통과시켰다. 잔류물을 감압, 농축하여 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23 g을 수득하였다.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상기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의 함유성분을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 기기는 NS-3000i 일체형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integrated HPLC Gradient type(Futecs. co. Ltd))에 광 산란 검출기(Evaporation light scattering detector(ELSD, USA, Softa))를 장착하여 분사구 온도(spray): 25 ℃, 이동 및 검출 온도(Drift, Detector chamber): 70 ℃, 주입 가스 압력(Gas Pressure): 질소 가스(N2 gas): 55.0 psi, 감도(Filter): 4, 역상 칼럼 4.6 × 150 ㎜, 3 ㎛ (Chemco) 으로 하고, 온도는 40 ℃를 유지하여 기기 조건을 설정하고 이동상으로는 하기 A와 B 용매를 기울기(gradient) 용리방법을 이용하였다.
A : 50 mM 아세트산 암모늄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85 : 10 : 5 v/v%)
B : 50 mM 아세트산 암모늄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55 : 40 : 5 v/v%)
유속(flow rate) : 0.5 ㎖/분,
전체 분석 시간(total run time) : 98분
< 실시예 2> 플라티코시드 E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23 g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HPLC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기기는 NS-3000i 일체형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integrated HPLC Gradient type(Futecs. co. Ltd))에 광 산란 검출기(Evaporation light scattering detector(ELSD, USA, Softa))를 장착하여 Optimapak 칼럼4.6 × 250 ㎜, 5 ㎛ (RSTech)으로 하고 온도는 40 ℃를 유지하여 기기 조건을 설정하고 이동상으로는 하기 A와 B 용매를 기울기(gradient) 용리방법을 이용하였고, 머무름 시간 20.5분에서 플라티코시드 E를 분리하였다
A : 아세트산 암모늄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85 : 10 : 5 v/v%)
B : 아세트산 암모늄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55 : 40 : 5 v/v%)
유속(flow rate) : 0.8 ㎖/분,
전체 분석 시간(total run time) : 77분
상기 플라티코시드 E의 13C-NMR 화학적 이동값(d)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용매: 피리딘-d5).
< 비교예 1> 플라티코딘 D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HPLC에서 머무름 시간 52.5분에서 플라티코딘 D를 분리하였고, 13C-NMR 화학적 이동값(d)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용매: 피리딘-d5).
피크순서 실시예 2 비교예 1 탄소위치 실시예 2 비교예 1
1 45.2 45.1 Glc(inner) -1 106.0 105.9
2 68.6 69.2 2 74.8 75.2
3 88.8 86.4 3 78.3 78.6
4 48.1 48.0 4 72.3 72.0
5 47.5 48.0 5 76.5 78.2
6 19.5 19.6 6 70.8 62.9
7 33.5 33.7 Glc(center) -1 104.9 -
8 40.5 40.7 2 75.3 -
9 45.0 48.0 3 78.4 -
10 37.9 37.6 4 71.3 -
11 24.0 24.2 5 77.1 -
12 123.1 123.2 6 70.2 -
13 144.3 144.4 Glc(terminal) -1 105.6 -
14 42.4 42.5 2 75.2 -
15 36.1 36.2 3 78.6 -
16 73.9 74.1 4 71.0 -
17 49.7 50.1 5 77.7 -
18 41.6 41.8 6 62.7 -
19 47.1 47.1 Arabinose -1 93.6 93.7
20 30.9 30.8 2 75.2 75.6
21 36.0 36.2 3 71.3 70.4
22 32.1 31.3 4 66.4 65.9
23 63.6 63.8 5 63.1 62.9
24 67.1 66.3 Rhamnose -1 101.1 101.0
25 19.1 18.2 2 71.9 72.0
26 17.6 17.6 3 72.7 72.4
27 27.0 27.3 4 83.9 83.7
28 176.0 175.8 5 68.5 68.6
29 33.2 33.1 6 18.3 18.1
30 24.7 25.2 Xylose -1 106.8 106.6
- - - 2 76.0 75.0
- - - 3 84.8 85.6
- - - 4 69.4 69.5
- - - 5 66.9 66.8
- - - Apinose -1 111.2 111.2
- - - 2 77.8 77.9
- - - 3 80.4 80.0
- - - 4 75.2 75.0
- - - 5 65.4 65.7
< 실험예 1> 아토피성 피부염의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자발적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 모델로 잘 알려진 Nc/Nga 마우스를 (주)중앙실험동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입수시 주령은 6주령이었고, 아토피 유발은 8주령에 실시하였다. 동물은 1주일 순화 후 실험에 사용하였고,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PMI Nutriction International, USA)를 무제한 공급하였다.
Nc/Nga 마우스를 SPF 조건에서 2주일 동안 순화한 후, 일반사육 (conventional) 환경에서 Nc/Nga 마우스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하고 미세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아토피 유발 물질인 1% DNCB(1-chloro-2,4-dinitro benzene)를 마우스의 등과 귀 부위에 도포하고 3일 후 1주일에 3번씩 2주 동안 0.3% DNCB를 도포하여 아토피 증상을 유발하였다. DNCB 처리 후 3주 후(11주령)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300 ㎎/㎏ 및 500 ㎎/㎏을 경구투여 또는 피부투여 또는 실시예 2의 플라티코시드 E 50 ㎎/㎏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상기 투여는 매일 1회씩 2주 동안 수행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아토피를 유발한 후 아무런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아토피를 유발하지 않은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비교예 1의 플라티코딘 D 50 ㎎/㎏을 경구투여한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투여를 종료한 후, 이소플루란(Isoflurane, 중외제약)으로 호흡마취를 실시하고 복대정맥에서 혈액 0.5 ㎖를 채취한 후 양쪽 귀와 피부(등 주변의 환부를 중심으로 2.0×2.0 ㎝2)를 적출하였다.
1-1. 아토피 증상 관찰
귀 및 등 부위에서의 아토피 증상을 약물투여 전, 약물투여 종료 후에 관찰하였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에는 마우스의 아토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군인 플라티코딘 D를 투여한 경우에도 마우스의 아토피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DNCB에 의해 유발된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2. 조직염색 및 조직학적 관찰
채취된 피부조직과 우측 귀 조직을 10% 포르말린 용액으로 약 3 내지 4일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이 완료된 조직표본을 적당한 크기고 자르고(삭정과정), 그후 처리기(processor)를 이용하여 파라핀 침투된 조직을 몰드에 포매하였다(embedding 과정). 마이크로톤(microtone)을 이용하여 블록(block)의 단면이 잘 나오도록 박절(cutting)하여 슬라이드에 리본을 부착시켰다. 리본이 부착된 슬라이드를 헤마톡실린과 에오진(Hematoxylin and Eosin, H&E) 및 톨루이딘 블루(toludine blue) 염색을 2일 동안 수행하여 조직을 염색하였다. 이를 광학 현미경 상에서 100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또한, 조직관찰은 상기 슬라이드 표본을 100배 배율의 광학현미경 사진으로 평가하였으며, 측정값은 군당 평균으로 하였다. 염증 세포의 침윤을 등급(0, 1:minimal, 2:slight, 3:moderate, 4:marked, 5:severe)으로 점수화하였고, 조직의 두께 및 비만세포 수는 톨루이딘 블루 염색을 통하여 얻어진 슬라이드에 대하여 200배 배율의 사진에서 0.37 ㎜2에 해당하는 조직에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다중비교검정법을 실시하였다. 평균치에 대하여는 Battlett 검정으로 동질성(homogenicity)을 검사하여 균질성이 있는 경우에 부형제 대조군, 양성물질 대조군과 투여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다중비교법인 Dunnett's t-test를 실시하였다. Battlett 검정결과 균질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순위화한 데이터를 이용한 비보수적 방법인 Kruskal-Wallis's H test를 실시하고 P<0.05인 경우 Dunnett's test를 이용하여 군간의 유의차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GraphPad InStat(V305, Graph Pad Software, Inc, San diego, Califoni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정의 위험율은 5% 및 1%로 정하였고, 유의성 판별은 p 값으로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H&E 염색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고, 톨루이딘 블루 염색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귀의 H&E 염색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고, 피부의 H&E 염색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귀의 톨루이딘 블루 염색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고, 피부의 톨루이딘 블루 염색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도 7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성대조군의 경우에는 심각한 염증세포 침윤과 괴사 딱지(eschar)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의 (c), (e) 및 (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500 ㎎/㎏을 경구투여 또는 피부투여한 경우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50 ㎎/㎏을 경구투여한 경우에는 염증세포 침윤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300 ㎎/㎏을 경구투여한 경우에는 염증세포 침윤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의 (g)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을 투여한 경우에는 심각한 염증세포 침윤 및 괴사 딱지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동물모델의 귀 부위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피부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및 표 3에서 *는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p 값이 0.05 미만임을 나타내며, **는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p 값이 0.01 미만임을 나타낸다.
구분 투여량
(㎎/㎏)
동물의 수 투여방식
염증세포 침윤 귀의 두께 비만세포 수
음성대조군 0 4 경구투여 0.0±0.0 19.995±2.677 32±9
양성대조군 0 5 경구투여 4.4±0.5 106.501±18.485 102±31
실시예 1 500 5 경구투여 **2.2±1.1 **61.610±14.072 **61±7
실시예 1 300 5 경구투여 **2.2±1.1 **53.870±15.082 **62±14
실시예 1 500 5 피부투여 *2.8±0.8 *60.575±12.509 *71±8
실시예 2 50 5 경구투여 **2.0±0.7 **65.478±11.419 **58±16
비교예 1 50 5 경구투여 3.5±0.9 80.400±17.220 93.7±11
구분 투여량
(㎎/㎏)
동물의 수 투여방식 피부
염증세포 침윤 피부의 두께 비만세포 수
음성대조군 0 4 경구투여 0.0±0.0 28.258±4.015 43±11
양성대조군 0 5 경구투여 4.6±0.5 100.238±18.292 103±28
실시예 1 500 5 경구투여 *2.6±1.1 **58.627±13.951 84±33
실시예 1 300 5 경구투여 3.2±0.8 *66.873±15.046 93±30
실시예 1 500 5 피부투여 *2.4±1.5 **59.030±8.452 71±32
실시예 2 50 5 경구투여 3.2±1.6 *68.318±20.139 89±24
비교예 1 50 5 경구투여 3.3±1.3 84.423±16.224 94±35
상기 표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에는 모두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염증세포 침윤, 두께 및 비만세포 수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에는 비교예 1을 투여한 경우에 비하여 염증세포 침윤, 두께 및 비만세포 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피부염 유발에 의해 증가된 염증세포 침윤, 조직의 두께, 비만세포 수 및 괴사딱지의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3. 피부병변 스코어의 측정
동물의 피부에 나타나는 발진, 비듬, 딱지, 태선화 등의 증상을 없음(0). 약함(1), 중등도(2). 심함(3)으로 구분하여 점수화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투여량
(㎎/㎏)
동물의 수 투여방식 피부
염증세포 침윤 피부의 두께 비만세포 수
음성대조군 0 4 경구투여 0.0±0.0 28.258±4.015 43±11
양성대조군 0 5 경구투여 4.6±0.5 100.238±18.292 103±28
실시예 1 500 5 경구투여 *2.6±1.1 **58.627±13.951 84±33
실시예 1 300 5 경구투여 3.2±0.8 *66.873±15.046 93±30
실시예 1 500 5 피부투여 *2.4±1.5 **59.030±8.452 71±32
실시예 2 50 5 경구투여 3.2±1.6 *68.318±20.139 89±24
비교예 1 50 5 경구투여 3.3±1.3 84.423±16.224 94±35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아토피를 유발한 후 아무런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의 피부병변 스코어가 3.00±0.00을 나타내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에 피부병변 스코어가 각각 0.33±0.41, 0.42±0.38, 0.50±0.45 및 0.50±0.45를 나타냄으로써 아토피 증상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DNCB에 의해 유발된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킴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4. 혈중 IgE 함량 변화 측정
아토피성 피부염은 IgE 항체 반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혈중 IgE 함량 변화는 염증반응의 정도를 예표할 뿐만 아니라, 알러지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험동물의 혈중 IgE 함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에 약물을 투여한 후, 이소플루란(isoflurane, 중외제약)으로 마취하고 복대 정액에서 혈액 1 ㎖를 채혈하였다. 혈중 IgE 함량을 KIT(Shigayageico.Ltd code No. AKRIE-01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다중비교검정법을 실시하였다. 평균치에 대하여는 Battlett 검정으로 동질성(homogenicity)을 검사하여 균질성이 있는 경우에 부형제 대조군, 양성물질 대조군과 투여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다중비교법인 Dunnett's t-test를 실시하였다. Battlett 검정결과 균질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순위화한 데이터를 이용한 비보수적 방법인 Kruskal-Wallis's H test를 실시하고 P<0.05인 경우 Dunnett's test를 이용하여 군간의 유의차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GraphPad InStat(V305, Graph Pad Software, Inc, San diego, Califoni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정의 위험율은 5% 및 1%로 정하였고, 유의성 판별은 p 값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서 *는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p 값이 0.05 미만임을 나타내며, **는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p 값이 0.01 미만임을 나타낸다.
구분 투여량(㎎/㎏) 동물의 수 투여방식 IgE 함량(ng/㎖)
음성대조군 0 3 경구투여 17.303±2.815
양성대조군 0 5 경구투여 112.026±10.571
실시예 1 500 5 경구투여 **73.360±6.791
실시예 1 300 5 경구투여 95.634±6.639
실시예 1 500 5 피부투여 100.340±15.576
실시예 2 50 5 경구투여 *86.288±7.497
비교예 1 50 5 경구투여 96.864±18.108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에 모두 IgE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양성대조군에 비해 IgE 함량이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약 34.5% 감소하고,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약 30.0% 감소함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IgE 함량(86.288±7.497 ng/㎖)은 비교예 1의 IgE 함량(96.864±18.108 ng/㎖)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의 IgE 함량(73.360±6.791 ng/㎖)은 실시예 1(300 ㎎/㎏, 경구투여)의 IgE 함량(95.634±6.639 ng/㎖)보다 낮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용량의존적으로 IgE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피부염 유발에 의해 증가된 혈중 IgE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플라티코딘 D보다 낮은 혈중 IgE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5. 혈중 IL-4 함량 변화 측정
아토피성 피부염에서는 혈중 IL-4의 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혈중 IL-4 함량 변화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험동물의 혈중 IL-4 함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에 약물을 투여한 후, 이소플루란(isoflurane, 중외제약)으로 마취하고 복대 정액에서 혈액 1 ㎖를 채혈하였다. 혈중 IL-4 함량을 KIT(ebuiscuebcem cat No. 88-7944-29)을 이용하여 ELIS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투여량(㎎/㎏) 동물의 수 투여방식 IL-4함량(pg/㎖)
음성대조군 0 6 경구투여 400
양성대조군 0 6 경구투여 850
실시예 1 500 6 경구투여 210
실시예 1 300 6 경구투여 510
실시예 1 500 6 피부투여 640
실시예 2 50 6 경구투여 280
비교예 1 50 6 경구투여 500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에 모두 IL-4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양성대조군에 비해 IL-4 함량이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약 75.3% 감소하고,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약 67.1%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IL-4 함량(280 pg/㎖)은 비교예 1의 IL-4 함량(500 pg/㎖)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500 ㎎/㎏, 경구투여)의 경우의 IL-4 함량(210 pg/㎖)은 실시예 1(300 ㎎/㎏, 경구투여)의 IL-4 함량(510 pg/㎖)보다 낮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용량의존적으로 IL-4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피부염 유발에 의해 증가된 혈중 IL-4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플라티코딘 D보다 낮은 혈중 IL-4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는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세포 침윤, 괴사 딱지의 발생, 조직의 두께 및 비만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혈중 IgE 함량 및 IL-4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Deapio-platycoside E
2 : Platycoside E
3 : Deapio-platycodin D3
4 : Platycodin D3
5 : polygalacin D2
6 : platycodin acid A
7 : platycodin D2
8 : platycodin D
9 : 2〃-O-Acetylpolygalacin D2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티코시드 E는 혈중 IgE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티코시드 E는 혈중 IL-4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제, 에멀젼 및 시럽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경피 전달성 패치 및 약물 함유 붕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00024191A 2010-03-18 2010-03-18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1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191A KR101131108B1 (ko) 2010-03-18 2010-03-18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191A KR101131108B1 (ko) 2010-03-18 2010-03-18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15A KR20110105115A (ko) 2011-09-26
KR101131108B1 true KR101131108B1 (ko) 2012-04-03

Family

ID=4495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191A KR101131108B1 (ko) 2010-03-18 2010-03-18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156B1 (ko) * 2018-12-14 2020-10-22 대한민국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를 이용하여 도라지의 플라티코시드 E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9500A (ja) 1998-01-07 1999-07-27 Nissin Food Prod Co Ltd アトピー性皮膚炎治療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9500A (ja) 1998-01-07 1999-07-27 Nissin Food Prod Co Ltd アトピー性皮膚炎治療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Science, 2004-02, Study on the Separation of Saponin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by Membrane Technolog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15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7604B2 (en) Method for preparing Plectranthus amboinicus fraction having anti-arthritis activity
CN112716989B (zh) 一种芹菜籽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10967030B2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psoriasi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2150263B1 (en) Plant extract and its therapeutic use
EP356670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or atopy, comprising baicalein as active ingredient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704021A (zh) 用于皮肤过敏及皮肤屏障受损的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131108B1 (ko) 도라지 막분리 추출물 또는 플라티코시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iu et al. In vitro and in vivo exploration of the anti-atopic dermatitis mechanism of action of Tibetan medicine Qi-Sai-Er-Sang-Dang-Song decoction
EP2845624B1 (en) Mucoadhesive devil&#39;s claw extracts (harpagophytum procumbens) and uses thereof
CN106074588A (zh) 长柱重楼单体皂苷组合及其药物组合物和其在制药中的应用
CN113069516B (zh) 一种防治皮肤瘙痒症的中药复方组合物及其用途
Zhao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eczema effect of Artemisia annua aqueous extract and its component profiling
CN114209756A (zh) 一种抗炎止痒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880654B (zh) 竹节参提取物在制备治疗鼻炎药物中的应用及组合物
CN102526387B (zh) 一种治疗早期糖尿病足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KR20090052088A (ko) 화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치료용 조성물
JP2004352680A (ja) アレルギー性疾患治療用組成物
CN114588187B (zh) 一种治疗白内障的中药总黄酮提取物及其组合物、制备方法和医药用途
Bahaeddin et al. Effect of topical marshmallow (-scp--Althaea officinalis--/scp-) on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A pilot double? blind active? c
RO132539B1 (ro) Extract selectiv de morus alba l. pentru tratamentul dermatitei atopice, şi procedeu de obţinere a acestuia
Awang Gotu kola
CN114796318A (zh) 桑叶总生物碱在制备防治脑缺血损伤作用药物中的应用
CN102539596A (zh) 返魂草浸膏的质量检测方法
KR20070071350A (ko) 피부질환 치료에 유용한 은행잎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