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740B1 -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740B1
KR101130740B1 KR1020080033538A KR20080033538A KR101130740B1 KR 101130740 B1 KR101130740 B1 KR 101130740B1 KR 1020080033538 A KR1020080033538 A KR 1020080033538A KR 20080033538 A KR20080033538 A KR 20080033538A KR 101130740 B1 KR101130740 B1 KR 10113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resent
obesity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230A (ko
Inventor
손동욱
권현정
이종원
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08003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74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감소를 억제하며, 렙틴 함량 증가를 억제하고 간 조직내 중성지방 감소시킴으로서 비만으로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으며, 홍삼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또는 길경추출물을 각각 복용하였을 때 보다, 본 발명의 복합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복용하였을 때 상승적(synergic)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홍삼, 길경, 흑효모, 비만, 아디포넥틴

Description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본 발명은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병하는 일반적인 질병으로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심맥질환, 고혈압 또는 당뇨병 등의 여러 가지 합병증을 수반하며,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은 현대화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였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현대화의 병(disease of civilization)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으며(배만종 등, 고려인삼학회지, 14(3):404-415(1990)), 이외에도 당뇨병과 같은 위험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인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비만을 감소시켜서 각종 성인병의 발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데, 보다 효과적인 비만해소를 위해서 운동과 함께 식이요법이 연구되었고, 특히 식사요법이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면서 다이어트와 관련된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삼과 홍삼의 항 비만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인삼분말을 투여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저하 및 HDL 콜레스테롤이 상승하고(김만욱 등, 한국농학회지, 23:173(1980)), 고지방식이를 장기투여하면서 인삼성분을 투여하면 대조군에 비해 LDL 콜레스테롤 및 VLDL 콜레스테롤의 증가율이 저하되고, HDL 콜레스테롤 감소율은 낮아진다는 보고가 있었고(배만종 등, 고려인삼학회지, 14(3):404-415(1990)), 인삼의 지방산 분획이 동맥경화증과 관련이 깊은 혈청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킨다는 보고 되었으며(최청 등, 한국식품과학회지, 17(1):(1985)), 운동을 하면서 홍삼을 복용한 20대 비만여성의 체지방이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다(김성수 등, 고려인삼학회지, 26(2):63-73(2002)).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adipokine)의 일종으로서 아디포넥틴(adiponectin)은 비만시 현저히 감소되며, 이러한 저 아디포넥틴혈증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비만과 관련된 당뇨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비만 치료 시 아디포넥틴의 함량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디포카인의 일종인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leptin)은 주로 식용조절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만 시 혈중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렙틴 수용체의 이상 시 현저한 비만이 초래된다. 따라서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감소를 억제하고, 렙틴 함량 증가를 억제하는 것은 비만으로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당업계의 상식 및 이론을 참조하면,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감소를 억제하고 렙틴 함량 증가를 억제하여 체중증가를 억제하고 간 조직 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은 비만으로 야기되는 각종 성인병 및 대사증후군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식물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복합 유효성분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면 비만과 대사질환과 관련된 체중감소, 아디포넥틴 함량 증가, 렙틴 함량 감소 및 중성지방 함량 감소에 우수한 상승적(synergic)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식물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복합 유효성분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면 비만과 대사질환과 관련된 체중감소, 아디포넥틴 함량 증가, 렙틴 함량 감소 및 중성지방 함량 감소에 우수한 상승적(synergic)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홍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증기 또는 태양-건조, 바람직하게는 증기를 통하여 인삼을 가열하여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기재의 편의상, 본 발명은 인삼 또는 홍삼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홍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외적 유해인자에 대한 비특이적인 생체 저항력을 증진시켜 주며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외적 변화에 대해 생체를 정상화시켜 주는 “범적응적 활성(adaptogen)”으로 작용하여 전체적인 신체기능을 조절해 주는 기능이 있으며, 한편 인삼의 단백질과 인삼사포닌은 지방성분들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배만종 등 : 인삼 분획성분들이 고지방식이에 의해서 유도된 비만 래트에서 혈장, 지방조직 및 변 스테로이드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Ginseng Sci , 14(3):404-415(1990)), 홍삼복합물의 체지방 감소 효능에 대해서도 보고 되었으며(오승준 등: 홍삼 복합체의 체지방 감소 작용기전의 연구. 대한비만학회지,9(4):209-218(2000)), 홍삼성분 중 진세노사이드 Rh2는 비만억제 효능이 있다고 보고 되어 있다(Jin-Taek Hwang et al., BBRC , 364:1002-1008(2007)).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삼”은 고려삼(Panax ginseng), 회기삼(P. quiquefolius), 전칠삼(P. notoginseng), 죽절삼(P. japonicus), 삼엽삼(P. trifolium), 히말라야삼(P. pseudoginseng), 베트남삼(P. vietnamensis) 및 미국삼 (Panax quinquefolium)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삼은 고려삼(Panax ginseng)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흑효모발효”는 흑효모에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로 발효시켜 베타글루칸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성 베타글루칸 소재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길경”은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사용되어온 도라지(Platycodon granflorum A. DC)를 말린 것이며, 거담, 진해약, 편도선염 등에 사용하였고, 신농본초경에서는 감기, 기침, 천식, 폐결핵에 거담제로서 유용하고 늑막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항염증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또는 길경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 과정에서 의해 얻을 수 있는 추출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h)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은 추출물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얻은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은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 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은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을 장내 세균 또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 홍삼액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되는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12 중량%이다. 유효성분의 중량이 0.1 중량% 미만일 때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고,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홍삼 추출물 0.01-70 중량%, 흑효모발효 추출물 0.01-50 중량% 및 길경 추출물 0.01-50 중량%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홍삼 추출물 10-70 중량%, 흑효모발효 추출물 15-45 중량% 및 길경 추출물 15-45 중량%를 포함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홍삼 추출물 30-68 중량%, 흑효모발효 추출물 16-35 중량% 및 길경 추출물 16-3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량비 4:1:1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감소를 억제하며, 렙틴 함량 증가를 억제하고 간 조직내 중성지방 감소시킴으로서 비만으로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으며, 홍삼추출물, 흑효모발효추출물 또는 길경추출물을 각각 복용하였을 때 보다, 본 발명의 복합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복용하였을 때 상승적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비만개선 효과는 종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증가를 억제하고 비만을 개선하는 효과가 높아,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하는 데에 유용하며, 결국 각종 성인병 및 대사증후군으로 야기된 질환을 개선하는 데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 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예컨대, 정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1-100 ㎎/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ⅱ)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감소를 억제하며, 렙틴 함량 증가를 억제하고 간 조직내 중성지방 감소시킴으로서 비만으로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으며, 홍삼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또는 길경추출물을 각각 복용하였을 때 보다, 본 발명의 복합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복용하였을 때 상승적 효과를 가진다.
(ⅲ)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감소를 억제하며, 렙틴 함량 증가를 억제하고 간 조직내 중성지방 감소시킴으로서 비만으로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으며, 홍삼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또는 길경추출물을 각각 복용하였을 때 보다, 본 발명의 복합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복용하였을 때 상승적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 본 발명 조성물의 제조
홍삼추출물, 흑효모발효추출물 및 길경추출물은 각각의 시료 1 kg에 중량 대 비 10 배의 물(10 L)을 첨가하고, 85℃에서 6시간씩 2회 추출하며, 120메쉬 체망으로 여과하여 농축한 다음,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표 1의 조성비대로 혼합하여 비만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 조성물의 조성비
시료명 함량(중량비)
조성물 A 투여군 흑효모발효 추출물:길경 추출물= 1:1
조성물 B 투여군 흑효모발효 추출물:길경 추출물:홍삼추출물= 1:1:1
조성물 C 투여군 흑효모발효 추출물:길경 추출물:홍삼추출물= 1:1:2
조성물 D 투여군 흑효모발효 추출물:길경 추출물:홍삼추출물= 1:1:4
상기 표 1의 비만 개선용 조성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액상제품 기호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및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 및 제형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1: 비만유도 마우스에서의 체중 변화
유전적으로 렙틴 수용체(leptin receptor)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사료섭취 및 체중 조절 기능이 억제되어 나타나는 랩틴(leptin) 저항성으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C57BL/KsJ-db/db 마우스(샘타코, 한국)를 음성 대조군으로, 유전적으로 비만을 유발하지 않은 마우스(샘타코, 한국)를 정상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당 웅성 7마리로 실험하였다. 시료는 홍삼추출물의 단독 투여군 및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으로 하여, 4주간 100 mg/kg의 농도로 상기 마우스에 경구투여 한 다음 투여 28일 후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한편, 현재 비만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는 메트포르민(metformin)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단독 투여군 및 본 발명 조성물 투여에 의한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의 체중 변화는 다음 표 2a-2b 및 도 1에 정리된 바와 같다:
시료명 초기 1일 7일 14일 21일
정상군 22.09 ± 1.06 24.03 ± 1.39 24.33 ± 1.05 26.07 ± 1.03 27.97 ± 0.98
음성 대조군 40.26 ± 1.10 42.66 ± 0.82 44.01 ± 1.07 45.93 ± 1.01 48.41 ± 1.38
홍삼추출물 투여군 40.14 ± 1.04 42.39 ± 1.12 44.30 ± 1.29 46.29 ± 0.89 47.91 ± 1.25
조성물 A 투여군 40.30 ± 0.99 42.10 ± 1.00 44.11 ± 1.34 46.01 ± 1.52 46.53 ± 1.74
조성물 B 투여군 40.51 ± 1.60 42.39 ± 1.46 44.39 ± 1.61 46.11 ± 1.68 46.49 ± 1.67
조성물 C 투여군 40.29 ± 1.22 42.44 ± 1.20 43.91 ± 0.98 45.06 ± 1.28 45.73 ± 1.26
조성물 D 투여군 40.36 ± 1.51 42.41 ± 1.49 44.06 ± 0.95 45.26 ± 1.11 45.29 ± 1.36
메트포르민
250 mg/kg
(양성 대조군)
40.19 ± 1.04 6.00 ± 1.09 43.80 ± 1.13 45.23 ± 1.23 45.60 ± 1.36
시료명 27일 희생 시 음성대조군 대비
최종 체중변화율(%)
정상군 30.44 ± 1.05 27.56 ± 1.19 -
음성 대조군 51.41± 1.54 49.23 ± 1.77 63.97 % 증가
홍삼추출물 투여군 48.60 ± 1.31 46.14 ± 1.34 33.1 % 감소
조성물 A 투여군 47.04 ± 1.82 45.21 ± 1.49 45.2 % 감소
조성물 B 투여군 46.84 ± 0.77 44.66 ± 0.98 53.8 % 감소
조성물 C 투여군 46.70 ± 1.2 44.16 ± 1.72 56.9 % 감소
조성물 D 투여군 45.80 ± 0.82 43.73 ± 0.88 62.4 % 감소
메트포르민
250 mg/kg
(양성 대조군)
46.30 ± 1.3 44.20 ± 1.09 55.3 % 감소
음성 대조군의 경우‘음성 대조군 대비 최종 최종 변화율(%)’은‘정상군 대비 최종 체중 변화율(%)’이다
도 1 및 상기 표 2a-2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군이 유의적인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나, 복합 유효성분으로 홍삼, 흑효모 발효 및 길경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 비해 보다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 조성물의 복합 유효성분은 비만유도 마우스에 대한 체중 감소에 있어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흑효모발효추출물, 길경 추출물 및 홍삼추출물을 1:1:2 (본 발명의 조성물 C)또는 1:1:4(본 발명의 조성물 D)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2: 비만유도 마우스에서의 지방내 아디포넥틴 함량 변화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의 일종으로 저아디포넥틴혈증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비만과 관련된 당뇨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비만 및 당뇨병 치료 시 아디포넥틴의 함량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료를 비만 유도 마우스 및 정상 마우스에 경구투여 한 다음 투여 28일 후 지방 내 아디포넥틴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쥐를 1일간 금식 시킨 후 희생시켜 튜브에 혈액을 받은 다음, ELISA 키트(Otsuka Pharm,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독 투여군 및 본 발명 조성물 투여에 의한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의 지방내 아디포넥틴 함량 변화는 다음 표 3에 정리된 바와 같다:
시료명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변화 (㎍/㎖) 음성 대조군 대비
아디포넥틴 변화율(%)
정상군 27.95 ± 2.86 -
음성 대조군 14.09 ± 2.80 49.58 % 감소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군 16.92 ± 1.38 20.10 % 증가
조성물 A 투여군 19.42 ± 0.72 37.84 % 증가
조성물 B 투여군 19.59 ± 0.72 39.01 % 증가
조성물 C 투여군 20.01 ± 0.88 42.01 % 증가
조성물 D 투여군 21.20 ± 1.57 50.42 % 증가
메트포르민 250mg/kg
(양성 대조군)
20.05 ± 1.22 42.26 % 증가
음성 대조군의 경우‘음성 대조군 대비 아디포넥틴 변화율(%)’은‘정상군 대비 아디포넥틴 변화율(%)’이다.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군이 유의적인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증가 효과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 조성물이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 및 비만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비만유도 마우스에서의 혈중 렙틴 함량 변화
렙틴 역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의 일종으로 주로 식용조절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비만 시 혈중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렙틴 수용체의 이상 시 현저한 비만이 초래된다.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료를 비만 유도 마우스 및 정상 마우스에 경구투여 한 다음 투여 28일 후 혈중 렙틴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혈중 렙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쥐를 1일간 금식 시킨 후 희생시켜 튜브에 혈액을 받은 후, 라디오이뮤토어세이 키드(radioimmunoassay kit, Linco Research,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독 투여군 및 본 발명 조성물 투여에 의한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의 혈중 렙틴 함량 변화는 다음 표 4에 정리된 바와 같다:
시료명 혈중 렙틴 함량
(ng/㎖)
음성 대조군 대비
혈중 렙틴 변화율(%)
정상군 2.81 ± 0.43 -
음성 대조군 22.53 ± 2.47 700.51 % 증가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군 18.19 ± 1.16 19.28 % 감소
조성물 A 투여군 15.71 ± 2.94 30.25 % 감소
조성물 B 투여군 15.10 ± 1.33 32.97 % 감소
조성물 C 투여군 12.43 ± 0.62 44.83 % 감소
조성물 D 투여군 11.47 ± 1.33 49.08 % 감소
메트포르민 250mg/kg
(양성 대조군)
12.56 ± 1.39 44.26 % 감소
음성 대조군의 경우‘음성 대조군 대비 혈중 렉틴 변화율(%)’은‘정상군 대비 혈중 렉틴 변화율(%)’이다.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홍삼출출물 단독 투여군이 유의적인 혈중 렙틴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혈중 렙틴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 조성물이 비만 치료에 있어 단독 투여군에 비해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4: 비만유도 마우스에서의 간 조직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료를 비만 유도 마우스 및 정상 마우스에 경구투여 한 다음 투여 28일 후 간 조직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간 조직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쥐를 1일간 금식 시킨 후 희생시키고, 간 조직 50-70 ㎎을 50 mM tris-HCl 버퍼(pH 7.4, 150 mM NaCl, 1 mM EDTA 및 1 uM PMSF)에서 분쇄한 다음, 스펙트로포토메트릭 키트(spectrophotometric kit, Thermo DMA,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독 투여군 및 본 발명 조성물 투여에 의한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의 간 조직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변화는 다음 표 5에 정리된 바와 같다:
시료명 간 조직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g liver)
음성 대조군 대비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변화율
(%)
정상군 30.97 ± 1.44 -
음성 대조군 49.81 ± 6.79 60.84 % 증가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군 42.23 ± 4.52 15.23 % 감소
조성물A 투여군 37.59 ± 2.83 24.55 % 감소
조성물 B 투여군 36.84 ± 3.25 26.04 % 감소
조성물 C 투여군 35.61 ± 3.43 28.51 % 감소
조성물 D 투여군 34.70 ± 3.05 30.34 % 감소
메트포르민 250mg/kg
(양성 대조군)
65.40 ± 3.02 28.54 % 감소
음성 대조군의 경우‘음성 대조군 대비 트리글리세리드 변화율(%)’은‘정상군 대비 트리글리세리드 변화율(%)’이다.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홍삼추출물 단독 투여군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적인 간 조직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 조성물이 보다 우수한 간조직내 트라이글리세리드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 조성물이 중성지방과 관련된 고지혈증 및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 및 비만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만인자감소에 대한 개선 효과는 상당히 높으며, 각 추출물의 단독 투여 시 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가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비만에 대한 개선효과는 본 발병의 조성물이 비만개선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의 체중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효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홍삼 추출물 30-68 중량%, 흑효모발효 추출물 16-35 중량% 및 길경 추출물 16-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렙틴(leptin) 저항성으로 유발된 비만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흑효모발효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중량비 4:1:1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0033538A 2008-04-11 2008-04-11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538A KR101130740B1 (ko) 2008-04-11 2008-04-11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538A KR101130740B1 (ko) 2008-04-11 2008-04-11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230A KR20090108230A (ko) 2009-10-15
KR101130740B1 true KR101130740B1 (ko) 2012-03-28

Family

ID=4155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538A KR101130740B1 (ko) 2008-04-11 2008-04-11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90B1 (ko) * 2010-08-30 2012-06-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비만 치료 대상을 선별하는 방법 및 조성물
JP6380968B2 (ja) * 2013-10-22 2018-08-29 株式会社アウレオ 脂肪蓄積抑制剤
KR101685876B1 (ko) * 2015-09-14 2016-12-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길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33218B1 (ko) * 2017-09-19 2020-07-13 (주)큐젠바이오텍 체지방 감소 보조제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3470B1 (ko) * 2018-06-14 2020-03-02 주식회사 글루칸 흑효모 발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 및 비만 예방, 치료용 조성물
KR102346790B1 (ko) 2021-04-29 2022-01-04 주식회사 에이스바이오메드 콜히친과 메트포르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치료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13A (ko) * 2001-06-14 2002-12-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억제용 길경 조성물
KR20030075441A (ko) * 2002-03-19 2003-09-26 심인섭 비만억제 및 치료용 파낙사디올계 홍삼 사포닌
KR20040008291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더멋진 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의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 분해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13A (ko) * 2001-06-14 2002-12-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억제용 길경 조성물
KR20030075441A (ko) * 2002-03-19 2003-09-26 심인섭 비만억제 및 치료용 파낙사디올계 홍삼 사포닌
KR20040008291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더멋진 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의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 분해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230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740B1 (ko)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77604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90103985A (ko)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4071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ku ding cha and ginseng for managing blood glucose levels
KR20150054439A (ko)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54442B1 (ko) 하엽 추출물 또는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60291B1 (ko) 꾸지뽕 추출물 또는 꾸지뽕 추출물 및 마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 호르몬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TWI694831B (zh) 用於改善卵巢老化的包含人參果萃取物的組成物
Tang et al. Current progress in the hypoglycemic mechanisms of natural polysaccharides
CN110604773B (zh) 调节脂代谢紊乱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02572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j. poiss. ex franch extract or fraction thereof
KR101625474B1 (ko) 진세노사이드 알에이치4의 대량 제조방법
KR20200045982A (ko) 도라지 사포닌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도라지 추출물 또는 막분리 도라지 사포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20022134A (ko)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KR102258590B1 (ko) 다시마 및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0815277B1 (ko)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고지혈증제
CN110652590B (zh)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85607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62094A (ko) 인삼열매, 인삼화 및 인삼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3116955B (zh) 一种含植物提取物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0355440C (zh) 治疗ⅱ型糖尿病、降低血糖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00083598A (ko) 인삼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857395A (zh) 治疗心脑血管疾病的中药复方组合物
KR102232163B1 (ko) Oreopanax costaricensis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18

Effective date: 20111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