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134A -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134A
KR20120022134A KR1020100085320A KR20100085320A KR20120022134A KR 20120022134 A KR20120022134 A KR 20120022134A KR 1020100085320 A KR1020100085320 A KR 1020100085320A KR 20100085320 A KR20100085320 A KR 20100085320A KR 20120022134 A KR20120022134 A KR 2012002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extract
activity
induced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진
Original Assignee
권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진 filed Critical 권오진
Priority to KR102010008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2134A/ko
Publication of KR2012002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1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로회복 또는 자양강장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기, 당삼, 동충하초, 당귀, 하수오, 사삼, 숙지황, 백작약, 복령, 대추, 맥아, 맥문동, 두충, 생강, 구기자 , 감초, 천연꿀등 여러 실험과 논문으로 그 효능이 밝혀진 건강 강장 약재들과 그 약재들을 일정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최고의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맛에서도 거부감 없이 누구나 편하게 음용할수 있도록 조합한 것이다. 이 발명은 음과 양 기와 혈 모두를 고려하여 각 부분별로 조화로울수 있게 고루 양생시킬수 있는 약재들을 선별하여 제조한 것으로 현대 학업에 지친 학생들, 업무에 시달리는 직장인들, 나이드신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누구나가 편하게 음용하면서 건강한 삶을 유지시킬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The food with overcome fatigue , using herbs}
본 발명은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 약재 선별 및 배합 , 가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피로증상
피로감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 중 선천적으로 타고난 체질의 약함, 정신적 육체적 노동에 의해 오장(五腸)이 손상받거나 혹은 무분별한 음식의 섭취로 인한 위장과 비장의 기능 손상 , 혹은 큰 병을 앓았거나 만성 질환을 앓으며 몸의 균형이 깨진 경우라고 한의학에서는 생각한다. 이상의 각종 원인, 몸의 허함으로 인한 증상, 질병으로 인한 피로와 허함, 만성병으로 인한 몸의 정기가 회복되지 못함, 또는 여러 가지 질병을 제때 치료하지 못한 경우, 잘못된 치료를 통한 신체의 균형 실조 등으로 자주 발생한다. 만성피로의 주요성질은 기와 , 혈, 음 , 양의 손상이다. 그 질환의 상관 장기는 오장이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비장과 신장에 관련된 경우가 많다. 또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 피로증은 장기 서로간에 영향을 미쳐 어느 한쪽이 허하면 점차 다른 장기에게 까지 영향을 미쳐 다른 장기까지 허하게 하며 그 증상은 점차 심해지게 된다. 피로감을 해소하는 주요 원칙으론 장기를 보양하면서 그 특성에 따라 기를 보하고 혈을 양생하며 음을 자양하고 양기를 돋우는 방법을 적절히 배가시켜야 한다 .
본 발명자는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피로증상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 몸의 음양기혈의 조화와 오장육부의 관계를 자세히 따져 서로 상호 보완이 될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 배합한것을 특징으로하며 , 연구한 결과 황기 , 당삼(만삼) , 당귀 , 하수오 , 사삼 , 숙지황 , 백작약 , 복령 , 대추 , 맥아 , 맥문동 , 두충 , 동충하초 , 감초 , 구기자 , 생강, 천연꿀의 조합과 그 양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피로 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한약재는 식약청에서 일반인들이 복용하기에 위험성이 없거나 적어 식품으로 사용 허가가 난 것들이며 , 그 중 대추는 한약의 약성을 부드럽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감초는 여러 약들을 조화롭게 하는 특징이 있어 적절히 배합했다. 또 안정성을 더 높이기 위해 한약 추출물과 대추추출물을 적절히 다시 섞음으로 해서 복용에 안정성을 높였으며 맛 또한 거부감이 없도록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피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기력을 회복하게하고 면역력을 증강하게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기 , 당삼(만삼) , 당귀 , 하수오 , 사삼 , 숙지황 , 백작약 , 복령 , 대추 , 맥아 , 맥문동 , 두충 , 동충하초 , 구기자 , 감초 , 생강, 천연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 피로회복용 한약 추출물을 제공한다
1.하수오
@효능
보간신 (輔肝腎) , 익정혈(益精血), 윤장통변(潤腸通便) ,해창독(解瘡毒)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하수오에서 분리한 stilbene glucoside의 하나인 (E)-2,3,5,4`-tetrahydroxy stilbene-2-O-beta-D-glucopyranoside를 이용하여 항산화 작용을 검토한 결과 중등도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 되었다(1).
한편, anthraquinone을 함유하는 하수오의 추출물은 심장의 허혈-재관류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보호 작용을 보인다(2). 하수오의 에탄올 추출물은 동맥경화 예방 효과를 나타낸다 (3). 질병의 예방뿐만 아니라 항노화 효과(4), 세포 생존 시간 연장 및 면역 조절, 내장과 신진 대사 기능이 있다(5).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하수오는 cholinergic 신경계에 대하여 보호작용이 있다고 확인 되었다 (6). 노화를 가속시킨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하수오는 인지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7). 기타 hippocampus에 미치는 영향 등을 통해 하수오가 학습능력 및 기억력 향상에 기여함이 밝혀졌다(8).
참고문헌
(1).Ryu G , Ju JH , Park YJ, Ryu SY, Choi BW , Lee BH.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tilbene glucosides from Polygonum multiflorum. Arch Pharm Res . 2002; 25:636-9.
(2).Yim TK, Wu WK ,Mak DH, Ko KM.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of an anthraquinone-containing extract of Polygonum multiflorum ex vivo . Planta Med. 1998; 64:607-11.
(3)Wang W, Zhong Xi Yi Jie He Za Zhi. Effect of alcoholic extract of prepared radix Polygoni multiflori on preventing atherosclerosis in Japanese quail, 1984; 4: 748-50.
(4)Xiao PG, Xing ST, Wang LW. Immunological aspects of Chinese medicinal plants as antiageing drugs. J Ethnopharmacol 1993; 38: 167-75.
(5)Chen K ,Li C. Recent advances in studies on traditional Chinese anti-aging materia medica J Tradit Chin Med. 1993; 13: 223-6.
(6)Li M , Du XP, Ye H . Protective effect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on the cerebral cholinergic neurofibers in rats Hunan Yi Ke Da Xue Xue Bao. 2003; 28: 361-4.
(7)Chan YC, Wang MF , Chang HC. Polygonum multiflorum extracts improve cognitive performance in senescence accelerated mice. Am J Chin Med. 2003; 31: 171-9
(8)Chan YC, Cheng FC , Wang MF. Beneficial effects of different Polygonum multiflorum Thunb. extracts on memory and hippocampus morphology. J Nutr Sci Vitaminol (Tokyo). 2002; 48: 491-7.
2.황기
@효능
보기승양(補氣升揚) ,고표지한(固表止汗), 탁독배농(托毒排膿)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 면역계에 대한 작용
수용성 부분 중 다당 Aps-11과 Aps-2는 동물실험에서 비장과 간장의 RNA합성을 증대시키는 것 등을 참작할 때 황기의 다당질은 면역부활 작용. immunomodulator로서의 활성과 대사 조절 기능이 있음이 인정된다(1). 실험적으로 황기를 쥐에 투여 시 흉선의 무게 증가, 식균 작용 및 과산화물의 생성 증가작용이 있다(2). 또한 황기는 말초 혈액 단구세포 증식을 통해 암세포에 대한 식균작용을 향상시키고 말초 혈액 B세포의 IgG 생성능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3,4). 화학요법제를 투여받는 악성종양환자에게 정맥주사로 황기를 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말초 백혈구 및 혈소판의 감소가 적고, IgG과 IgM의 레벨이 증가하였다(5). 성장기 수컷 ICR 생쥐에게 강제로 운동을 시키며 황기를 투여한 결과 경골 근육 및 흉선의 무게가 증가하고 세망내피계(reticuloendothelial)의 식기능이 강화되었으며 복강 대식세포의 인산가수분해효소(Phosphatase)활성도 증가되었다. 또한 ConA에 의해 유도된 비장세포의 증식도 촉진되었다(6). 황기추출물을 정상 쥐 또는 cyclophosphamide나 방사선, 노화 등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된 쥐에 투여했을 때 T 세포 의존성 항원에 대한 항체 반응이 증진된다 (7). 황기의 일부 분획 (F3)은 13명의 암환자로부터 얻은 단핵구를 이용한 실험에서 cycolphosphamide 투약에 의해 약화된 면역력을 복구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8).
`항암작용
쥐를 이용하여 diethylnitrosamine (DEN)에 의해 유도되는 간세포의 발암에 대한 황기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glutathione S - transferase placenta (GST-P)의 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는 황기의 간암세포 억제 효과를 암시한다(9). 신세포암종(Renca)을 이식한 BALB/c 생쥐에 황기를 포함한 혼합물을 투여했을 때 좋은 치료율을 보였다 . Renca를 처리한 생쥐의 비장세포는 IL-2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졌으나 황기 등을 처리 했을때 이들의 기능이 회복되었다(10). 말초혈액단구 (PBMC)에 황기를 처리했을 때 종양괴사인자-α
(TNF-α)의 분비가 증가되는 효과도 있다(11).
`기타작용
Herpes simplex virus 에 대한 억제작용 (12,13), HSV-1 F (14), HBV(15,16), coxsackie virus(17)등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난소가 절제된 쥐에서 황기는 뼈의 손실을 방어하는 작용이 있다 (18). 백혈구와 혈소판의 기능에 작용한 황기의 항염증 작용(19), 항염증 작용과 관련한 핵전사인자 및 접착분자에 미치는 영향 등도 보고 되었다(20).
@참고문헌
(1).Wanger H, Hikino H, Farmworth NR : Immunostimulatory drugs of Fungi and Higher Plants in Economics and Medicinal Research . , 1985; 113
(2).Sugiura H ,Nishida H , Inaba R, Iwata H : Effects of exercise in the growing stage in mice and of Astragalus membranaceus on immune functions. Nippon Eiseigaku Zasshi. 1993; 47: 1021-31.
(3).Wang RT , Shan BE , Li QX : Extracorporeal experimental study on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Astragalus memhranaceus extract.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2002; 22: 453-6.
(4).Lau BH ,Ruckle HC , Botolazzo T , Lui PD : Chinese medicinal herbs inhibit growth of murine renal cell carcinoma. Cancer Biother. 1994; 9: 153-61.
(5).Duan P, Wang ZM. Clinical study on effect of Astragalus in efficacy enhancing and toxicity reducing of chemotherapy in patients of malignant tumor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2002; 22:515-7.
(6).Sugiura H, Nishida H, Inaba R, Iwata H . Effects of exercise in the growing stage in mice and of Astragalus membranaceus on immune functions. Nippon Eiseigaku Zasshi. 1993; 47: 1021-31.
(7).Zhao KS, Mancini C, Doria G, Enhancement of the immune response in mice by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s. Immunopharmacology. 1990; 20: 225-33.
(8).Chu DT, Sun Y ,Lin JR. Immune restoration of local xenogeneic graft-versus-host reaction in cancer patients in vitro and reversal of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e suppression in the rat in vivo by fractionated Astragalus membranaceus. Zhong Xi Yi Jie He Za Zhi. 1989; 9: 351-4.
(9).Cui R, He J, Wang B, Zhang F, Chen G, Yin S, Shen H. Suppressive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chemical hepatocarcinogenesis in rats.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3; 51: 75-80.
(10).Lau BH ,Ruckle HC, Botolazzo T ,Lui PD . Chinese medicinal herbs inhibit growth of murine renal cell carcinoma. Cancer Biother. 1994; 9:153-61.
(11).Zhao KW, Kong HY. Effect of Astragalan on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s in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1993; 13: 263-5.
(12).Di Yi Jun Yi Da Xue Xue Bao.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type 1. Sun Y , Yang J .2004; 24: 57-8.
(13).Zhang L, Liu Y , Yu Z. Study on the anti-herpes simplex virus activity of a suppository or ointment from of Astragalus membranaceus combined with interferon alpha 2b in human diploid cell culture. Zhonghua Shi Yan He Lin Chuang Bing Du Xue Za Zhi . 1998; 12: 269-71.
(14).Wang Z, Cheng Z, Fang X. Antiviral action of combined use of rhizoma Polygoni cuspidati and radix Astragali on HSV-1 strain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9; 24: 176-80, 192.
(15).Wu L, Liu H, Xue P, Lu ZG, Du KF. Influence of a triplex superimposed treatment on HBV replication and mutation during treating chronic hepatitis B Zhonghua Shi Yan He Lin Chuang Bing Du Xue Za Zhi. 2001; 15: 236-8.
(16).Xiong D ,Yang Y , Su Y. Experimental study on treatment of viral myocarditis in mice by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1998; 18: 480-2.
(17).Lu S, Zhang J ,Yang D. Effects of Astragaloside in treating myocardial injury and myocardial Sarco/Endoplasmic CA(2+)-ATPase of viral myocarditis mice.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1999; 19: 672-4.
(18).Kim C, Ha H, Lee JH, Kim JS, Song K, Park SW. Herbal extract prevents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Arch Pharm Res. 2003; 26: 917-24.
(19).Prieto JM, Recio MC, Giner RM, Manez S, Giner-Larza EM, Rios JL. Influence of traditional Chinese anti-inflammatory medicinal plants on leukocyte and platelet functions. J Pharm Pharmacol. 2003; 55: 1275-82.
(20).Prieto JM, Recio MC, Giner RM, Manez S, Giner-Larza EM, Rios JL. Influence of traditional Chinese anti-inflammatory medicinal plants on leukocyte and platelet functions. J Pharm Pharmacol. 2003; 55: 1275-82.
3.구기자
@효능
자신보간명목(滋腎補肝明目), 윤폐지해(潤肺止咳)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간 보호 작용
Betaine은 choline의 분해산물로서 S-adenosyl methionine (SAM)의 함량을 증가시켜 간보호 활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 이를 이용한 간 보호활성에 대한 연구는 동물을 이용한 연구에서부터 임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CCl4로 유도한 간손상 동물모델에서 betaine을 경구 투여한 결과 (830mg/kg,7일) 간손상이 현저히 억제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ethanol로 유도한 간손상에 대해서도 현저히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6,7). 뿐만 아니라 임상연구에서도 betaine은 비알콜성 지방성 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환자에 betaine(10g , bid)을 12개월간 투여한 결과 조직학적 소견의 개선 및 혈청 aminotransferase의 활성저하 등의 NASH가 현저히 개선된다고 보고되어 있다(8).
Kim 등은 구기자에서 분리한 zeaxanthin이 랫드의 간세포 1차 배양에서 CCl4로 유도한 간세포 독성을 현저히 억제하는데 , 이러한 효과는 silybin과 필적할 정도라고 보고 하고 있다 (2). 뿐만 아니라 cerebroside의 일종인 LCC 역시 galactosamine으로 유도한 간세포 독성을 현저히 억제하는데 이러한 작용은 lipid peroxidation의 억제 및 glutathione level 의 유지에 의해 간장보호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다(3). 또한 pyrrole 유도체들도 CCl4 로 유도한 간세포 독성을 현저히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4). 한편, 담도 폐쇄모델 랫드에서 발생하는 간섬유화는 만성적인 alcohol의 섭취로 유발되는 만성 간손상의 모델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물 모델에서 zeaxanthin di-palmitate를 25mg/kg의 용량으로 6주간 투여한 결과, 혈중에서 증가하는 aspar-tate transaminase 및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이 현저히 억제된다고 보고되어 있는데 이러한 작용은 zeaxanthin dipalmitate의 항산화 활성에 기인된 것이라고 생각된다(9).
`호흡기계에 대한 작용
기도의 점막층은 화학물질이나 먼지입자, 각종 미생물 등의 공격으로부터 방어벽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어벽으로서의 역할은 주로 끈적끈적한 당단백이나 mucin에 의한다. 따라서 mucin의 상태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다양한 호흡기계 질환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항염증 약물의 경우는 mucin분비를 증가시키는데 glucocorticoid의 경우는 mucin분비를 억제한다. 최근 Lee 등의 보고에 의하면 구기자에 많은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betaine의 경우 mucin 을 분비하는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mucin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10). 이러한 작용은 betaine이 거담약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구기자의 윤폐지해(潤肺止咳) 효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타작용
L. barbarum에서 분리한 다당체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결과 현저한 면력 증강작용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작용은 주로 IL-2수용체의 발현증가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1). 또한 세포성 면역기능 증강 작용 및 조혈기능, 특히 leukocyte의 증가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혈당 저하작용 등도 알려져 있다 (1).
구기자의 수용성 분획이 혈압저하 작용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작용은 atropine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구기자 엑스가 atropine과 유사한 부교감신경 차단작용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5).
@참고문헌
(1)Zhu YP.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pp642-646. 1998.
(2)Kim SY, Kim HP, Huh H, Kim YJ. Antihepatotoxic zeaxanthins from the fruits of Lycium chinese. Arch Pharm Res. 1997; 20: 529-532.
(3)Kim SY, Lee EJ ,Kim HP ,Lee HS, Kim YC. LCC, a cerebroside from Lycium chinense, protects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exposed to galactosamine. Phytother Res. 2000; 14: 448-51.
(4)Chin YW, Lim SW ,Kim SH, Shin DY, Suh YG, Kim YB, Kim YC, Kim J. Hepatoprotective pyrrole derivatives of Lycium chinense fruits. Bioorg Med Chem Lett. 2003; 13: 79-81.
(5)木村正康, 漢方藥理學 , 1997, 南山堂, 東京. pp324-325.
(6)Junnila M, Rahko T, Sukura A, Lindberg LA. Reduction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 effects by oral administration of betaine in made Han-Wistar rats: a morphometric histological study.Vet Pathol. 2000; 37: 231-8.
(7)Kanbak G, Inal M ,Baycu C.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and protective effect betaine. Cell Biochem Funct. 2001; 19: 281-5.
(8)Yu AS, Keeffe EB.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ev Gastroenterol Disord. 2002; 2: 11-9.
(9)Kim HP, Lee EJ, Kim YC, Kim J, Kim HK, Park JH, Kim SY , Kim YC . Zeaxanthin dipalmitate from Lycium chinense fruit reduces experimentally induced hepatic fibrosis in rats. Biol Pharm Bull. 2002; 25: 390-2.
(10)Lee CJ, Lee JH , Seok JH ,Hur GM, Park Js J, Bae S, Lim JH, Park YC. Effects of betaine, coumarin and flavonoids on much release from cultured hamster tracheal surface epithelial cells. Phytother Res. 2004; 18: 301-5.
4.사삼
@효능
자폐양음거담(滋肺養陰祛痰) 및 익위생진 (益胃生津)하는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사삼에 대한 약리작용은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사삼에 함유되어 있는 saponin은 거담 작용을 가지며 그 작용 시간은 4시간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한편 , 사삼에 함유 되어 있는 6-C-butyl-DMDP의 경우 β- glucosidase에 강력한 억제작용을 가지며 (IC50 = 68 γM), α-1-C-ethyl-fagomine의 경우도 β-galactosid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다른 연구에 의하며 사삼과 같은 속 식물의 뿌리에서 분리된 물질이 α-glucosidase에 대하여 강력한 억제 활성을 가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3). 많은 glucosidase에 억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항바이러스, 항암 및 항당뇨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α-glucosidase에 억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당뇨병 치료약물로서 개발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사삼으로부터 분리된 성분의 경우에도 이러한 효능이 있을 것으로 추측이 가능하다고 할것이다. 한편 , Lee 등은 사삼의 ethylacetate 분획이 위암에 대한 chemopreventive agent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어 사삼의 응용분야가 기대된다(4).
@참고문헌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2nd Ed). CRC Press, Boca Raton, FL , pp287, 1999.
(2).Asano N, Nishida M, Miyauchi M, Ikeda K, Yamamoto M, Kizu H, Kameda Y, Watson AA, Nash RJ, Fleet GW. Polyhydroxylated pyrrolidine and piperidine alkaloids from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Campanulaceae). Phytochemistry . 2000; 53: 379-82.
(3).Jiang P, Gao Z. Chemical constituents of Adenophora stricta Miq.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0; 15: 486-7, 512.
(4).Lee IS . Yang EJ, Kim HS, Chung SK, Furukawa F, Nishikawa A. Suppressive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s on in vitro tumor cell growth and in vivo gastric epithelial proliferation. Anticancer Res. 2000; 20: 3227-31.
5.두충
@효능
보간신강근골(補肝腎强筋骨) 및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실험관계에 대한 작용
두충의 추출물은 항고혈압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항고혈압 작용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두충에 함유되어 있는 genipin이 중등도의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두충엽의 추출물도 랫드 및 임상에서 항고혈압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특히 일본의 후생성에서는 고혈압의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두충을 인정하고 있으며 , 주작용 성분은 geniposidic acid로 보인다(2). 그런데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두충의 항고혈압 작용은 혈관 평활근에 대한 직접적인 이완 작용에 기인하며 주 활성성분은 pinoresinol diglucoside로 보고하고 있다(3).
한편, 고지방 식이 섭취 랫드에서 두충엽 추출물의 투여는 혈액 중의 총콜레스테롤 함량, 혈장 triglyceride 및 간 triacyglycerol을 저하시킨다(3). 그러나 간세포에서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는 가져오지 않는다.
`항산화 작용
Free radical은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peroxide를 생성시키며 결과적으로 세포막의 fluidity 저하를 초래하며 , 효소나 수용체의 활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free radical이 DNA를 공격하여 암화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항산화 약물의 free radical 소거 작용은 peroxide로 야기되는 많은 질환들 , 예를 들면 심장질환, 뇌질환 및 암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두충엽과 수피 및 초 (炒)한 수피의 물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작용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항산화 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4). 항산화 작용은 상기의 두충에 함유되어 있는 protocatechuic acid에 의한 것인데, 그 함량은 두충엽에 가장 많고 다음으로 초(炒)한 수피, 초(炒)하지 않은 수피 순으로 함유되어 있다. 유사한 연구 결과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사실로부터 두충차 또는 두충엽차의 경우 암의 예방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5).
`항피로 및 스트레스 완화 작용
두충의 스트레스 완화 작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두충에서 분리한 geniposidic acid가 구속수침 스트레스에서 나타나는 위궤양 작용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2). 한편, 운동시에 나타나는 피로 작용에 대해 두충엽 추출물의 투여시 근육세포에서 관찰되는 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어 있으며 , 이 효소의 활성 증가는 운동시에 생성되는 피로물질인 lactate의 분해를 촉진시킨다(6). 따라서 두충의 경우 항피로 및 스트레스 완화 작용이 있다고 생각된다.
`피부에 대한 작용
노화의 진행으로 피부의 collagen 합성은 감소된다. 저단백 식이 랫드의 경우 collagen 합성이 감소되는데 collagen 합성이 감소된 랫드 모델에서 두충엽 추출물의 투여는 collagen 합성을 개선시킨다고 알려져 있다(1). 두충엽 중에는 geniposidic acid, aucubin 및 geniposide가 주 활성성분으로 보고 있다. 또한 상처 치유과정에서 필수적인 granulation을 두충엽이 활성화시킨다.
`기타 작용
두충은 임상에서 주로 포제(製)하여 사용하며 포제의 방법으로는 초탄법(炒炭法), 염자법(鹽炙法) 및 염수반윤증법(鹽水半潤蒸法)등이 알려져 있다(7). 포제의 방법에 따라 약리작용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임신한 마우스에서 분리한 자궁 조직에 acetylcholine의 투여로 나타나는 경련성 수축을 염두충(鹽杜)이 길항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8). 즉, 동물의 이체 자궁에 두충을 투여하면 수축이 억제되고 자궁 수축제의 작용을 억제시키는 해경(解痙) 작용이 있으며 , 염제품은 생품(生品)보다 그 작용이 강하다. 이것은 임상에서 두충, 특히 염두충(鹽杜)을 태동불안(胎動不安)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과 일치한다고 알려져 있다(7).
두충의 장기투여는 부신 및 정소 중량을 증가시키며, 간에서 vitamin B1 및 E 의 증가 작용 및 glycogen 함량 증가작용이 있다. 또한 두충 수피는 학습행동의 저하 및 성행동의 저하를 억제한다(9).
최근 두충의 수피로부터 항곰팡이 작용이 있는 peptide가 분리 보고되어 있다(10). 이외에도 두충은 이뇨작용, 면역증강 작용, 진정 및 진통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9).
@참고문헌
(1).Li Y, Kamo S, Metori K, Koike K , Che QM, Takahashi S. The promoting effect of eucommiol from Eucommiae cortex on collagen synthesis. Biol Pharm Bull. 2000 ; 23 : 54-9.
(2).Deyama T, Nishibe S, Nakazawa Y.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Eucommia and Siberian ginseng. Acta Pharmacol Sin. 2001; 22: 1057-70.
(3).Zhu YP.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pp459-463, 1998.
(4).Yen GC , Hsieh CL.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and its active compounds. J Agric Food Chem. 2000 ; 48 : 3431-6.
(5).Hsieh CL , Yen GC. Antioxidant action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toward oxidative damage in biomolecules. Life Sci. 2000 ; 66 : 1387-400.
(6).Li Y , Koike K , Che Q , Yamaguchi M , Takahashi S. Changs in lactate dehydrogenase and 3-hydroxyacetyl-CoA dehydrogenase activies in rat skeletal muscle by the administration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with spontaneous running-training. Biol Pharm Bull. 1999 ; 22 : 941-6.
(7).김기준, 송호준. 한약포제학, 신일상사, 서울. 2002. pp324-329
(8).Wang Q, Li XP, Liu ST, Guan XJ.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ignificance of processing Eucommia ulmoides Oliv. Zhongguo Zhong Yao Za Zhi. 1989 ; 14 :661-3 , 702.
(9).木村正康 , 心血管血液系疾患 生藥 , 漢方藥理學 , 木村正康 편 , 1997, 南山堂 , 東京. pp248.
(10).Huang RH , Xiang Y, Liu XZ, Zhang Y, Hu Z, Wang DC. Two novel antifungal peptides distinct with a five-disulfide motif from the bark of Eucommia ulmoides Oliv. FEBS Lett. 2002 ; 521 : 87-90.
6.숙지황
@효능
자음보혈(滋陰補血), 익정전수(益精塡水)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항염증 효과
쥐의 뇌에 있는 성상세포를 분리해 substance P 와 lipopolysaccharide를 투여해 세포를 자극한 후 숙지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염증 유도 물질인 종양괴사인자 - α와 (TNF-α), 인터루킨 -1의 생성을 억제시켰다(1).
`항 알레르기 효과
숙지황 추출물을 투여 후 compound 48/80으로 전신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했을 때 숙지황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였다. 또한 혈중 his-tamine의 농도도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nti-dinitrophenyl (DNP) IgE로 피부 알레르기를 유발했을 때에도 숙지황은 이를 억제하였다(2).
@참고문헌
(1).Kim HM, An CS, Jung KY, Choo YK, Park JK, Nam SY. Rehmannia glutinosa inhibits tumou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 secretion from mouse astrocytes. Pharmacol Res. 1999 Aug;40(2): 171-6.
(2).Kim HM, Lee EH, Lee S, Shin TY ,Kim Y, Kim J. Effect of Rehmannia glutinosa on immediate type allergic reaction. Int J Immunopharmacol. 1998 Apr-May;20(4-5):231-40.
7.맥문동
@효능
양음윤폐(養陰潤肺), 청심제번(淸心除煩), 익위생진(益胃生津) 및 윤장통변(潤腸通便)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호흡기계에 대한 작용
기관지 세척액에서 단백질의 양과 fucose의 양이 증가되는 경우 호흡곤란 등이 야기되는데 human neutrophil elastase의 처리에 의해 증가된 단백질의 양이 맥문동의 처리로 유의적으로 감소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 맥문동의 물 추출물이 기관지 점액의 분비 촉진 및 기관지 섬모운동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 (2). 이러한 현상은 맥문동탕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된다. 뿐만 아니라 SO2로 야기된 기도상피조직 손상모델에서 감소하는 섬모운동을 맥문동의 물추출물이 완전히 개선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3). 이러한 사실들은 맥문동의 양음윤폐(養陰潤肺)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심장에 대한 작용
Chloroform-epinephrine이나 BaCl2 또는 aconitine으로 유도된 심부정맥을 맥문동으로부터 분리한 총 saponin이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4). 이러한 작용은 생맥산(生脈散)의 심기능 개선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신경계에 대한 작용
맥문동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나눈 부탄올 분획이 신경교세포 (astrocyte)에서의 nerve growth factor (NGF) 분비증가 작용을 나타낸다(5). NGF는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 관여하고 있는데 문제는 단백질인 관계로 작용부위로의 이동이 문제가 된다. 만약 NGF를 분비시키는 약물이 있다면 신경계 질환에 효과적일 수 있다.
`항균작용
Gram-positive 박테리아에는 sortase라는 transpeptidase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sortase의 억제는 Gram-positive 박테리아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약물로는 vancomycin이나 moenomycin이 있지만 그 활성의 정도는 약하다 (6) . 따라서 sortase를 억제 할 수 있는 항생물질이 향후 새로운 항생 물질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맥문동의 sortase 억제활성을 검토한 결과 IC50 가 7.96 μg/ml 정도로 활성이 우수하다(7).
`기타작용
면역증강 작용 및 혈당저하 작용 등이 알려져 있는데 모두 polysaccharide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1).
@참고문헌
(1).Zhu YP .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pp629-632. 1998.
(2).Tai S, Sun F, O'Brien DW, Lee MS ,Zayas JG, King M. Evaluation of a mucoactive herbal drug, radix ophiopogonis, in a pathogenic quail model. J Herb Pharmcother. 2002; 2: 49-56.
(3).O'Brien DW ,Morri MI, Lee MS, Tai S, King M. Ophiopogon root (Radix Ophiopogonis) prevents ultra-structural damage by SO2 in an epithelial injury model for studies of mucociliary transport. Life Sci. 2004; 74: 2413-22.
(4).Chen M, Yang ZW ,Zhu JT, Xiao ZY , Xiao R. Anti-arrhythmic effects and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Ophiopogon total saponins. Zhongguo Yao Li Xue Bao. 1990; 11:161-5.
(5).Hur J, Lee P, Kim J , Kim AJ, Kim H, Kim SY. Induction of nerve growth factor by butanol fraction of Liriope platyphylla in C6 and primary astrocyte cells. Biol Pharm BUull. 2004; 27: 1257-60.
(6).Supuran CT,Scozzafava A, Clare BW. Bacterial protease inhibitors. Med Res Rev. 2002; 22:329-72.
(7).Kim SW, Chang IM, Oh KB. Inhibition of the bacterial surface protein anchoring transpeptidase sortase by medicinal plant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2; 66: 2751-4.
8.대추
@효능
보중익기(補中益氣), 양혈안신(養血安神), 및 완화약성(緩和藥性)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항염증 및 항알러지 작용
대추의 50% methanol 냉침 추출물이 항궤양 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물 추출물이 IgE 항체에 의한 psssive cutaneous anaphylaxis 및 접촉성 피부염을 억제하며 ,IgE 항체 자극에 의한 LTD4의 유리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1).
`신경계에 대한 작용
대추에서도 산조인보다는 약하지만 진정작용이 있는데, 이는 산조인에서 단리한 물질인 nuciferine 의 가열로 생성되는 물질인 aprophine형 알칼로이드인 lysicamine에 의한 작용이다(4).
최근 Hoe 등은 50여종의 한약물에 대하여 cholinergic 신경계에 대한 활성을 검토한 결과 대추의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 주 활성성분은 oleamide임이 확인되어 있다 (3).
`기타작용
대추에 많은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betulinic acid는 항 HIV작용, 강력한 종양억제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5,6). 그러나 최근에 보고에 의하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의 측면에서 3-O-cis-p-coumaroylalphitolic acid나 3-O-trans-p-coumar-oylalphitolic acid가 오히려 betulinic acid보다 더 강력하다고 보고되어 있다(2).
@참고문헌
(1).木村正康, 漢方藥理學 硏究動向, 漢方藥理學, 木村正康 편,1997 , 南山堂, 東京. pp136-137.
(2).Lee SM , Min BS ,Lee CG, Kim KS, Kho YH. Cytotoxic triterpenoids from the fruits of Zizyphus jujuba. Planta Med. 2003; 69:1051-4.
(3).Heo HJ, Park YJ, Suh YM, Choi SJ, Kim MJ, Cho HY , Chang YJ, Hong B, Kim HK, Kim E, Kim CJ, Kim BG, Shin DH. Effects of oleamide on choline acetyltransferase and cognitive activitie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3; 67: 1284-91.
(4).한병훈, 박명환, 한용남. 산조인 및 대추 , 대추나무로부터 단리한 아포르핀과 환상 펩티드 알칼로이드의 생쥐에 대한 진정작용, 약학회지. 1993; 37 : 143-148.
(5).Eiznhamer DA, Xu ZQ. Betulinic acid : a promising anticancer candidate. IDrugs. 2004; 7: 359-73.
(6).Kai H, Koine T, Baba M, Okuyama T. Pharmacological effects of Daphne genkwa and Chinese medical prescription, " Jyu-So-To". Yakugaku Zasshi. 2004; 124: 349-54.
9.맥아
@효능
소식화중(消食和中) , 하기(下氣) 등의 효능이 있다 .
@약리작용
`소화작용
이 약에는 당분해 효소 등 음식물을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식이의 소화를 돕는다 . 이 약의 amylase는 열에 불안정하므로 이 약의 추출물이나 가온하는 것은 약효를 감소시킨다. 이 약의 물추출물은 위산 및 , pepsin의 분비를 촉진한다.
`혈당강하효과
이 약의 물추출물은 토끼 및 정상인의 혈당을 감소시킨다. 이 작용은 7시간동안 지속되었다. Hordenine은 epineprine과 유사한 교감신경흥분효과를 갖고 있다. 이 약은 혈관을 수축하고 기관지를 이완시키며 장관운동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 약에는 이 hordenine 이 극미량 들어 있어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참고문헌
1. Wang, Y.S.,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pp.473-476,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er (1983).
2.Namba T., The Encylopedia of Wakan-Yaku With color pictures, 1995; (1) 226 Hoikusha press .
10.당삼
@효능
보중익기(補中益氣), 생진양혈(生津養血)등의 효능이 있다. 보기(補氣)작용이 인삼과 비슷하여 일반적으로 보기(補氣)와 건비(健脾)의 방제(方劑)에 인삼의 대체 약물로 많이 사용된다. 다만 보(補)하는 작용이 인삼과 비교하여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1).
@약리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당삼은 polysaccharide의 함량이 매우 높은 약물이다. 당삼으로부터 분리한 poly-saccharide를 이용한 연구에서 초기에는 비장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지만 장기간 투여에 의해 분화가 촉진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3). 또한 당삼은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 두 가지를 모두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2). 세포성 면역의 측면에서 보면 cytotoxic T-cell을 활성화시키지만 natural killer-cell의 활성화에는 영향이 없다는 보고도 있다(4).
`위장관에 대한 작용
Stress로 유도한 위궤양 모델, acetic acid로 유도한 위궤양 모델, indomethacin으로 유도한 위궤양 모델, 0.2N NaOH로 유도한 위궤양 모델 등 다양한 위궤양 모델에서 당삼의 추출물이 위궤양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5). 특히 스트레스 및 acetic acid로 유도한 위궤양 모델에서 이러한 효과는 더욱 현저한데, 이러한 궤양은 사람에서 관찰되는 궤양과 매우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 PGE2가 위산의 분비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당삼의 항궤양 효과가 PGE2의 분비 증가와 관련되어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어 있지 않다.
한편 , 당삼의 추출물이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당삼을 비위허한 (脾胃虛寒)에 사용한다는 전통적인 지식와 일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 이러한 당삼의 효과는 muscarinic receptor 또는 nicotinic receptor를 경유한 것으로 보인다.
`신경계에 대한 작용
당삼과 은행엽의 혼합물(당삼의 total glycosides 75mg 과 은행엽 추출물 40mg으로 구성)을 60명의 환자에게 시험한 경과 (이중 맹검시험), 은행엽 단독보다는 복합물이 유의적으로 인지 개선능력을 보인다고 보고되어 있다(7).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당삼의 총 alkaloid가 PC12 cell에서 NGF(nerve growth factor)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성장에 대하여 증강작용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 뇌신경 활성화에 대한 당삼의 작용이 기대된다(8).
`기타작용
마우스에 경구 투여시 산소 소비량의 감소를 유도하여 저산소 상태에서 마우스의 생존 연장의 효과를 나타낸다(2). 또한 부탄올 분획에서 약물이나 스트레스에 의한 궤양의 형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2).
한편, peroxy radical에 의해 적혈구의 용혈이 발생되는데, 당삼 추출물이 적혈구의 용혈을 현저히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9).
@참고문헌
(1).서부일,최호영. 임상한방본초학. 영림사, 서울 , 한국 , pp767-770, 2004.
(2).Zhu YP.Chinese Me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ocation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pp557-560. 1998.
(3).Wang ZT, Ng TB, Yeung HW, Xu GJ. Immunomodulatory effect of a polysaccharide-enriched preparation of Codonopsis pilosula roots. Gen Pharmacol. 1996; 27:1347-50.
(4).Shan BE , Yoshida Y, Sugiura T , Yamashita U. Stimulating activity of Chinese medicinal herbs on human lymphocytes in vitro. Int J Immunopharmacol. 1999; 21:149-59.
(5).Wang ZT, Du Q, Xu GJ, Wang RJ ,Fu DZ, Ng TB. Investigations on the protective action of Condonopsis pilosula (Dangshen) extract on experimentally-induced gastric ulcer in rats. Gen Pharmacol. 1997; 28: 469-73.
(6).Zheng TZ, Li W, Qu SY, Ma YM, Ding YH, Wei YL .Effects of Dangshen on isolated gastic muscle strips in rats. World J Gastroenterol. 1998; 4:354-356.
(7).Singh B, Song H, Liu XD, Hardy M, Liu GZ, Vinjamury SP, Martirosian CD. Dangshen( Condonopsis pilosula) and Bai guo (Gingko biloba) enhance learning and memory. Altern Ther Health Med. 2004; 10: 52-6.
(8).Liu JH, Bao YM, Song JJ , An LJ. Condonopsis pilosula(Franch) Nannf total alkaloids potentiate neurite outgrowth induced by nerve growth factor in PC12 cells. Acta Pharmacol Sin. 2003; 24: 913-7.
(9). Ng TB, Liu F ,Wang HX. The antioxidant effects of aqueous and organic extracts of Panax quinquefolium, Panax notoginseng, Codonopsis pilosula,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and Glehnia littoralis. J Ethnopharmacol. 2004; 93: 285-8.
11.당귀
@효능
보혈(補血), 활혈조경(活血調經) 및 윤장통변(潤腸通便)하는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혈액에 대한 작용
예로부터 당귀의 사용은 보혈제로 또는 활혈조경 하는 약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Wang 등은 당귀가 미소순환의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3). 정상 RBC에 당귀의 추출물을 60분간 가한 후 응집과 변형 및 삼투압에 의한 용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당귀 추출물이 RBC의 응집속도를 감소시키고 적혈구의 변형능 감소를 억제하며, 삼투압에 의한 용혈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당귀가 적혈구의 유동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심혈관계에도 유효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등의 연구에 의해서도 이러한 사실은 뒷받침된다(4).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당귀에 함유되어 있는 ferulic acid가 혈소판 응집 및 serotonin의 유리를 억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2).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당귀의 추출물 및 정유성분은 적출 심장에 대하여 수축력을 저하시키며, 항부정맥 효과도 있다 (2). 한편, 관상동맥의 저항성을 감소시키며 순환량을 증가시킨다. 뿐만 아니라 총말초 저항을 감소시키며 심근의 산소 소비량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심근의 순환을 촉진시키며 혈압을 저하시킨다고 볼 수 있다 (2). 그런데 이러한 심박수 감소, 혈관확장 및 혈압강하 작용은 심장에 직접적인 작용이 아니라 당귀의 중추 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론된다(1). 뿐만 아니라 토끼를 이용한 동맥경화증 모델에서 경동맥의 비후 정도가 당귀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 혈장의 lipid 및 trigly-ceride 함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총콜레스테롤 함량 및 HDL 및 LDL의 함량에는 영향이 없었다(5).
`기억력 개선작용
Kang 등의 보고에 의하면 당귀에 함유되어 있는 decursin이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건망증 동물모델에서 유의적으로 기억력 개선의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6). 이러한 작용은 acetylcholine esterase(ACh E) 활성의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ACh E의 저해 정도의 연구에 의하면 decursin 보다는 de-cursinol이 더 효과적으로 ACh E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7).
`면역계에 대한 작용
10 kDa의 폴리다당체인 angelan은 macrophage를 활설화시켜 IL-2, IL-4, IL-6 및 interferone-감마 등의 cytokine 유리를 증가시킨다(8). 이러한 비특이적 면역활성이 일차적으로 일어나고 이차적으로 helper T- cell의 활성화와 B cell의 생성 증가를 가져온다. 이러한 angelan 의 효능으로부터 항암제 또는 항암의 보조요법제로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중국당귀와 ferulic acid 는 macrophage의 식작용에 대한 증강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9).
`위장관에 대한 작용
위장관에 대한 작용은 주로 중국당귀를 이용한 연구 결과이다. 최근 Ye 등은 중국당귀에서 분리한 polysaccharide가 정상적인 위상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킨다로 보고하고 있다. (10). Acetic acid 로 유발된 위궤양 모델에서 주로 polysaccharide로 구성된 당귀의 추출물을 25 또는 50 mg/kg으로 투여한 결과 대조군보다 현저한 궤양 면적의 감소와 위점막 두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중국당귀에서 분리한 poly-saccharide와 참당귀에서 분리한 angelan이 동일한지의 여부는 확인되어 있지 않다.
`자궁근에 대한 작용
홍화와 당귀 및 익모초로 구성된 처방의 추출물이 마우스의 자궁근을 자극한다고 알려져 있다 (11). 홍화와 익모초의 경우는 H1 및 α-adrenergic receptor에 작용하며 당귀의 경우는 H1 수용체에 작용하여 자궁근을 자극한다. 그러나 ferulic acid의 경우는 자궁근 수축억제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2). 그런데 다른 보고에 의하면 정유성분은 자궁근에 대하여 억제적으로 작용하며 비휘발성 성분의 경우는 자궁근을 수축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2).
`기타 작용
당귀의 진통 및 항염증 작용이 알려져 있는데, 당귀 및 성분 중의 하나인 ferulic acid는 carrageenin으로 유도된 부종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며 acetic acid로 유도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대를 억제한다 (13).
한편 , 정유성분의 하나인 ligustilide는 guinea pig 에서 acetylcholine 및 hista-mine으로 야기된 천식을 억제하며, in vitro에서 ligustilide는 진경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약물상호작용
토끼에서 warfarin의 대사 등에 미치는 당귀의 효능을 확인한 결과, 당귀 그자체에 의해서는 혈액응고의 지표인 prothrombin time (PT)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Warfarin 투여 후 당귀의 투여에 의해서는 PT가 연장 된다 (14). 그러나 당귀 투여는 Warfarin의 steady 상태에서의 농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만성적으로 warfarin을 투여하는 경우 당귀의 사용에는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Kang SY, Lee KY, Sung SH, Park MJ, Kim YC. Coumarin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inhibit acetylcholinesteras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at Prod. 2001; 64: 683-5.
(2).木村正康, 漢方藥理學 硏究動向, 漢方藥理學, 木村正康 편,1997 , 南山堂, 東京. pp370-372.
(3).Wang X, Wei L, Ouyang JP, Muller S, Gentils M, Cauchois G, Stoltz JF. Effects of an angelica extract on human erythrocyte aggregation, deformation and osmotic fragility. Clin Hemorheol Microcirc. 2001; 24: 201-5.
(4).Ryu JH ,Yook CS .The effects of Sa-Mul-Tang (Si-Wu-Tang),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on phenylhydrazine-induced anemic rats. J. Appl. Pharmacol., 2001; 9:1-6.
(5).Zhui Y, Jing-Ping OY, Yongming L, Lei W, Shuzheng T, Hailu Y, Hanqiao Z, Xiaohong Y. Experimental study of the antiatherogenesis effect of Chinese medicine angelica and its mechanisms. Clin Hemorheol Microcirc. 2000; 22: 305-10.
(6).Kang SY, Lee KY , Park MJ , Kim YC, Markelonis GJ, Oh TH, Kim YC.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mitigates amnesia induced by scopolamine in mice. Neurobiol Learn Mem. 2003; 79: 11-8.
(7).Kang SY ,Lee KY , SUNG sh , Park MJ , Kim YC. Coumarin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inhibit acetylcholinesteras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at Prod. 2001; 64: 683-5.
(8).Han SB, Kim YH, Lee CW, Park SM, Lee HY, Ahn KS, Kim IH, Kim HM. Characteristic immunostimulation by angelan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Immunopharmacology.1998; 40: 39-48.
(9).Xu LN, Ouyang R, Yin ZZ, Zhang LY, Ji LX. The effect of Dang-Gui(Angelica sinensis) and its constituent ferulic acid on phagocytosis in mice (author's transl). Yao Xue Xue Bao. 1981; 16: 411-4.
(10).Ye YN, So HL, Liu ES, Shin VY, Cho CH.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Angelica sinensis on gastric ulcer healing. Life Sci. 2003; 72: 925-32.
(11).Shi M, Chang L, He G. Stimulating action of Carthamus tinctoriusL.,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and Leonurus sibiricus L. on the uterus.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5; 20: 173-5, 192.
(12).Ozaki Y, Ma JP. Inhibitory effects of tetramethylpyrazine and ferulic acid on spontaneous movement of rat uterus in situ.Chem Pharm Bull(Tokyo). 1990; 38: 1620-3.
(13).Ozaki Y. Antiinflammatory effect of tetramethylpyrazine and ferulic acid.Chem Pharm Bull (Tokyo). 1992; 40: 954-6.
(14).Lo AC, Chan K, Yeung JH , Woo KS. Danggui (Angelica sinensis) affects the pharmacodynamics but not the pharmacokinetics of warfarin in rabbits. Eur J Drug Metab Pharmacokinet. 1995; 20: 55-60.
12.백작약
@효능
유간지통(柔肝止痛), 양혈염음(養血斂陰), 평억간양(平抑肝陽)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내분비계에 대한 작용
Paeoniflorin과 8-debenzoylpaeoniflorin은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쥐에서 혈당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혈당 억제 효과는 1mg/kg 농도로 투여한 정상혈당 쥐에서도 확인하였다. 8-debenzoylpaeoniflorin은 작약보다 혈당 억제 효과가 낮다. 혈장 인슐린의 농도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인슐린 비의존적 효과인것으로 보이며 paeoniflorin에 의한 글루코스 사용능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1).
Prolyl endopeptidase (PEP)는 vasopressin, substance P, thyrotropin 분비 호르몬 (TRH)과 같은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proline을 함유하는 뉴런단백질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PEP특이적인 억제제는 기억력 개선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작약의 메탄올 추출물은 PEP를 억제하며 IC50은 2.4 μg/ml이었다(2).
`혈관 확장 작용
Prostaglandin F2a로 수축시킨 쥐 대동맥에 작약을 처리했을 때 혈관이 확장되었으며 내피세포를 제거했을 때는 혈관확장 효과가 없었다. NG-nitro-1-arginine methyl ester 처리로 인해 혈관 확장 작용이 억제되었다. 주성분인 Paeoniflorin 과 paeonol에서는 혈관확장 효과가 없었다. 작약 추출물인 Pentagalloylglucose, hex-agalloylglucose, heptagalloylglucose, octagalloylglucose은 내피세포가 있을 경우 혈관 확장을 보였으나 내피세포가 없을 때에는 이러한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작약의 gallotannin이 내피세포 의존적인 혈관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3).
`동맥경화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을 식이시킨 토끼에게 nifedipine, diltiazem(칼슘 길항제) 또는 작약을 투여하고 혈중 지질 과산화물 (LPO), TXB2, 6-keto-PGF1a를 측정하였다. ni-fedipine (15mg/kg/day), diltiazem(30 mg/kg/day), 작약(5g/kg/day)은 각각 동맥 경화를 60.8%, 45.2%, 74.2%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혈중 LPO, TXB2, cholesterol, phospholipid, calcium은 약물을 복용시킨 군에서 모두 대조군 (콜레스테롤 단독 투여군) 에 비해 낮았지만 6-keto-PGF1a는 증가하였다(4). 이러한 결과는 작약이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설명한다.
`혈압상승효과
Guanethidine으로 유도한 저혈압 생쥐에 paeoniflorin을 혈관주사 하였을 때 저혈압 증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Adenosine A1 수용체 억제제 8-cyclo-pentyl-1,3-dipropylxanthine을 전처리 했을 때 이러한 효과를 억제하였다. 즉 작약 주성분의 하나인 paeoniflorin은 guanethidine으로 생쥐 뇌에 있는 adenosine A1 수용체의 활성을 경유한 저혈압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5).
`고콜레스테롤혈증 억제 효과
고지방 식이를 시킨 쥐에 작약을 투여한 후 내피세포 기능과 적혈구의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능을 측정하였다. 작약을 투여한 군은 내피세포에 의한 혈관 확장과 SOD의 활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내피세포의 기능 저하를 초래하는데 작약은 내피세포를 보호해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항산화효과
Fenton-type 반응으로 수산화 지질을 발생시켜 2-deoxyribose의 분해와 쥐 간의 마이크로솜 지질 과산화를 유도한 후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백작약의 씨에 있는 stilbene계열 중 trans-3-viniferin과 gnetin H은 2-deoxyribose의 분해와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Cis-3-Viniferin, suffruticosol A,B도 완만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7).
`항암효과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G2와 Hep3B에 백작약 물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HepG2와 Hep3B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DNA의 절편현상과 염색체의 응집 , 세포주기가 sub-G1 단계에 머무는 세포사멸 (apoptosis)현상을 확인하였다. Hep3B 세포는 p53이 결여된 세포이므로 백작약에 의한 세포사멸은 p52경로와 독립된 경로로 보인다(8).
5종의 암세포에서 항암성과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의 돌연변이성을 확인하였다. 백작약의 씨에 있는 6종의 stilbene 계열 물질은 농도의존적인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생쥐 신경 교종 암세포인 C6는 IC50 이 8.2에서 20.5 ug/ml으로 가장 강력한 독성을 보였다.
Trans-Resveratrol는 간암세포주인 HepG2와 대장암세포주인 HT-29세포에서 가장 강력한 독성을 보였다. 반대로 trans-3-viniferin, cis-vinifrin 및 gnetin H는 경부암세포주인 Hela와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서 가장 강한 독성을 보였다. Suffruticosol A와 B는 C6를 제외하고는 약한 독성을 나타내었다. 6종의 stilbene계열 물질은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다. 특히 trans-resveratrol은 가장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다(9).
`관절염 치료효과
관절염 생쥐에 작약 , 부자 ,작약과 부자 혼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작약과 부자 혼합 추출물에서 관절염 예방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10).
@참고문헌
(1) Hsu FL ,Lai CW, Cheng JT.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paeoniflorin and 8-debenzoylpaeoniflorin, glucosides from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Planta Med. 1997 Aug; 63(4): 323-5.
(2) Tezuka Y , Fan W, Kasimu R,Kadota S. Screening of crude drug extracts for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y activity. Phytomedicine. 1999 Jul; 6(3) : 197-203.
(3) Goto H, Shimada Y,Akechi Y, Kohta K, Hattori M, Terasawa K.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or effect of extract prepared from the roots of Paeonia lactiflora on isolated rat aorta. Planta Med. 1996 Oct; 62(5): 436-9.
(4) Zhang Y .The effects of nifedipine, diltiazem, and Paeonia lactiflora Pall. on atherogenesis in rabbits. Zhonghua Xin Xue Guan Bing Za Zhi. 1991 Apr; 19(2): 100-3.
(5) Cheng JT, Wang CJ, Hsu FL. Paeoniflorin reverses guanethidine-induced hypotension via activation of central adenosine A1receptors in Wistar rats. Clin Exp Pharmacol Physiol. 1999 Oct; 26(10): 815-6.
(6) Goto H, Shimada Y, Tanaka N, Tanigawa K, Itoh T, Terasawa K, Effect of extract prepared from the roots of Paeonia lactiflora on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rats administered high-fat diet. Phytother Res. 1999 Sep; 13(6): 526-8.
(7) Kim HJ, Chang EJ, Cho SH,Chung SK, Park HD, Choi SW . Antioxida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isolated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2 Sep; 66(9): 1990-3.
(8) Lee SM, Li ML, Tse YC, Leung SC , Lee MM, Tsui SK, Fung KP, Lee CY, Waye MM. Paeoniae independent pathway. Life Sci. 2002 Sep 27;71(19): 2267-77.
(9) Kim HJ, Chang EJ, Bae SJ, Shim SM, Park HD, Rhee CH, Park JH, Choi SW. Cytotoxic and antimutagenic stilbenes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Arch Pharm Res. 2002 Jun; 25(3): 293-9.
(10)Xue L, Zhang HY , Qin L, Wang XC, Wang L. Effect of chuanwu and baishao us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on adjuvant arthritis in rats. Zhongguo Zhong Yao Za ZHI. 2000 Mar;25(3): 175-8.
13. 복령
@효능
이수삼습(利水渗濕), 건비(健脾) 및 영심안신(寧心安神)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복령은 이뇨, 진정효과 및 강장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약물이다.
`진정수면 작용
Caffeine으로 유도된 흥분을 억제하며 , hexobarbital로 유도된 수면을 연장시키는 작용이 있다(2).
`항산화 , 항염증 작용
적혈구 세포막에 free radical의 생성을 야기하는 물질인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AAPH)을 사용하여 적혈구 세포막의 용혈을 유도한 다음 복령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적혈구의 용혈을 억제하는데, pachymic acid, polyporenic acid등의 triterpene carboxylic acid가 활성성분이다 (3). 아울러 free radical 생성 시스템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도 활성산소 소거 작용이 매우 우수하였다 (4).
한편 , triterpene 유도체인 3-β-hydroxybenzoyldehydrotumulosic acid의 경우 TPA로 유발시킨 염증반응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5).
`면역증강작용
복령의 50% 에탄올 추출물은 단핵구 세포 배양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e)에서 IL-1베타 , IL-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이러한 작용은 용량 의존적이다 (6). 한편,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의 분비는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로부터 복령은 면역 증강작용이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항당뇨 효과
Sato 등은 고혈당 마우스인 db/db마우스에 복령에서 분비된 dehydrotrametenolic acid를 투여한 결과 현저한 혈당저하 작용을 관찰하였다 (7).
`이뇨작용
25% 알코올 추출물을 5일 동안 0.5g/kg의 용량으로 투여했을 때 (i.p.). 토끼에서 현저한 이뇨 작용이 관찰되었다. 이뇨 작용은 0.1mg/kg salyrgan 의 근육투여와 유사했다. 알코올 추출물을 랫드에 투여했을 때도 (p.o.) 이뇨 작용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토끼의 경우 경구 투여시 이뇨 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orginal-type anti-GBM( glomerular basement membrane)으로 유도한 신염 랫드에 복령에서 분리한 pachyman을 투여하여 조직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 현저한 신염 억제 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pachyman의 항신염 효과는 사구체에 C3의 침착 저해에 의한 작용이라고 제안하고 있다(8).
@참고문헌
(2).Chung KF, Lee CK. Over-the-counter sleeping pills: a survey of use in Hong Kong and a review of their constituents. Gen Hosp Psychiatry. 2002; 24: 430-5.
(3).Sekiya N, Goto H, Shimada Y, Endo Y, Sakakibara I, Terasawa K. Inhibitory effects of triterpenes isolated from Hoelen on free radical-induced lysis of red blood cells. Phytother Res. 2003; 17: 160-2.
(4).Schinella GR, Tournier HA, Prieto JM, Mordujovich D, Rios JL. Antioxidant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Life Sci. 2002; 70: 1023-33.
(5)Yasukawa K, Kaminaga T, Kitanaka S, Tai T, Nunoura Y, Natori S, Takido M. 3beta-p-hydroxybenzoyldehydrotumulosic acid from Poria cocos,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 Phytochemistry. 1998; 48: 1357-60.
(6).Yu SH, Tseng J. Fu-Ling, a Chinese herbal drug, modulates cytokine secretion by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es. Int J Immunopharmacol. 1996; 18: 37-44.
(7).Sato M, Tai T, Nunoura Y, Yajima Y, Kawashima S, Tanaka K. Dehydrotrametenolic acid induces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sensitizes animal models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o insulin. Biol Pharm Bull. 2002; 25: 81-6.
(8).Hattori T, Hayashi K, Nagao T, Furuta K, Ito M, Suzuki Y. Studies on antinephritic effects of plant components(3): Effect of pachyman, a main component of Poria cocos Wolf on original-type anti-GBM nephritis in rats and its mechanisms. Jpn J Pharmacol. 1992; 59: 89-96.

14.감초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 윤폐지해(潤肺止咳), 보비익기(補脾益氣), 조화제약(調和諸藥)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항염증 작용
감초에서 분리한 18α-glycyrrhetinic acid 는 일반 쥐 및 부신을 제거한 쥐에서 항육아종성 작용을 보이며 당질코르티코이드와 유사한 항염증성 작용을 나타낸다. 반면 입체이성체인 18β-glycyrrhetinic acid 정상쥐에서는 비슷한 효과를 보이지만 부신을 제거한 쥐에서는 작용을 나타내지 못한다(1). Percolation 방법에 의한 감초 추출물을 gel 형태로 제형화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효과가 확인되었다 (2). 신장염 등의 신장질환에 대한 감초의 작용이 알려져 있다.
Glycyrrhiza glabra에서 분리된 pyranoisoflavan 인 glabridin, Glycyrrhiza ur-alensis에서 분리한 licochalcone A 등은 신장염(nephritis)에 대한 개선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3,4). 사염화탄소로 유도한 간 손상에 대해 감초의 성분 중 18β-glycyrrhetinic acid는 cytochrome P450 2E1의 발현억제를 통하여 간 보호효과를 나타낸다(5).
`항암작용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감초는 자궁에서 estradiol-17베타에 의해 유도된 c-fos/jun의 발현을 억제하며 N-methyl-N-nitrosourea 및 estradiol-17베타에 의한 자궁내막의 발암을 억제한다(6,7). Ames bioassay를 통한 실험에서 감초 조추출물은 항돌연변이원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8). Glycyrrhizic acid는 aflatoxin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이 효과는 항발암원성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하게 한다 (9).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성분인 isoliquiritigenin은 전립선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0). Glycyrrhiza uralensis의 추출물은 위암세포주인 MGC-803 세포에서 세포고사를 유도한다 (11).
감초에서 분리된 licocoumarone은 인간단핵구 백혈병 세포주인 U937세포에 대해 세포고사를 유도한다 (12). 감초의 chalcone 계열 화합물인 isoliquiritigenin은 신장암의 폐 전이를 억제하는 작용이 알려졌다(13).
`해독에 미치는 작용
Acetaminophen의 대사에 미치는 감초의 영향이 밝혀졌다. Acetaminophen을 투여한 수컷 Sprague-Dawley 쥐에 감초 methanol 추출물을 6일간 전처리한 결과 acetaminophen-glucuronide 포합체의 담즙과 소변을 통한 누적 배설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초 또는 glycyrrhizin이 글루쿠론산화를 촉진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작용은 실험쥐의 간에서 이물질에 대한 해독에 감초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14). 부자와 생강 등의 혼합물에 감초의 배합비율을 바꾸며 전탕했을 때 감초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aconitin의 양이 감호한다(15).
`항산화작용
감초는 심근 세포막에서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고 산소 라디칼을 소거하는 기능이 있다(16,17). 감초의 메탄올 추출물은 쉽게 산화가 일어나는 물질에 대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효과가 기대된다(18).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는 다른 예로서 감초를 구강 투여한 토끼에게 진동 스트레스를 부가할 때 말초 혈중 catalase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진동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19).
`순환기계에 대한 작용
감초에서 분리한 aldose 환원효소 억제제인 isoliquiritigenin은 in vitro에서 아스피린과 유사한 수준의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를 나타낸다(20,21).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병 쥐의 좌골신경에서 증가된 sorbitol의 함량은 isoliquirigenin과 같은 aldose reductase 억제제에 의해 유의성있게 억제된다. 그리고 당뇨병 쥐에서 현저하게 저하된 PGI2의 합성은 aldose reductase 억제제에 의해 회복된다(22).
`항미생물 작용
Glycyrrizic acid는 in vitro에서 Epstein- Barr virus의 복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23). 감초의 성분인 glycyrrhizin을 SARS환자로부터 채취한 코로나바이러스인 FFM-1과 FFM-2에 처리했을 때 이 바이러스들의 복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24). 한편 HIV양성 환자에서 얻은 말초혈액단구세포를 배양할 때 gly-cyrrhizin은 HIV의 복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25).
`기타작용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 분획 중 liquilitin apioside는 말초 및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진해작용을 나타낸다(26). 감초의 물추출물과 glycyrrhizin 그리고 3-glycyrrhetinic monodesmoside는 허혈에 의한 손상 개선 및 신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27). 감초는 쥐에서 표면 mucin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에탄올에 의한 위점막 손상을 방지한다(28). 면역계에 대한 작용으로서 감초는 면역억제 생쥐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다 . 대식세포의 수, 대식세포의 화학주성, 그리고 림프구 세포의 배 생성 반응을 회복시키거나 증진시킨다(29). 감초성분 glycyrrhizin의 aglycon인 glycyrrhetinic acid는 puromycin aminonucleoside 신증(nephrosis)에 효과가 있다. 이 물질은 소변 중 단백질의 양을 감소시키고 혈청 콜레스테롤 증가 및 단백질 감소를 억제한다 (30). Estrogen과 progestin 같은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세로토닌 re-uptake를 억제하여 세로토닌 신경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감초의 성분 중 isoflavans 계열 화합물의 일부는 estradiol과 유사하게 세로토닌 re-uptake를 억제하고 세로토닌 신경계 기능을 조절하는 작용이 있다. 이러한 작용은 월경 전후 여성의 우울증을 완화하는 데 유효할것으로 기대된다(31). 감초의 주요성분인 glycyrin 및 에탄올 추출물은 유전적으로 당뇨를 유발한 KK-Ay mouse에서 혈당치를 유의성있게 저하시킨다(32).
@참고문헌
(1).Amagaya S ,Sugishita E, Ogihara Y ,Ogawa S ,Okada K , Aizawa T. Comparative studies of the stereoisomers of glycyrrhetinic acid on anti-inflammatory activities. J Pharmacobiodyn. 1984; 7: 923-8.
(2).Saeedi M, Morteza-Semnani K ,Ghoreishi M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with licorice gel. J Dermatolog Treat. 2003; 14:153-7.
(3).Fukai T, Satoh K , Nomura T, Sakagami H. Preliminary evaluation of antinephriti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labridin from Glycyrrhiza glabra. Fitoterapia. 2003; 74: 624-9.
(4).Fukai T, Satoh K , Nomura T, Sakagami H. Antinephriti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enylflavonoids. Fitoterapia. 2003; 74: 720-4.
(5).Jeong HG, You HJ , Park SJ, Moon AR, Chung YC , Kang SK , Chun HK. Hepatoprotective effects of 18 beta-glycyrrhetinic acid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hibition of cytochrome P450 2E1 expression. Pharmacol Res. 2002; 46: 221-7.
(6).Mori H, Niwa K, Zheng Q ,Yamada Y , Sakata K ,Yoshimi N. Cell proliferation in cancer prevention: effects of preventive agents on estrogen-related endometrial carcinogenesis model and on an in vitro model in human colorectal cells. Mutat Res. 2001; 480-481 : 201-7.
(7).Niwa K , Hashimoto M, Morishita S, Yokoyama Y, Mori H, Tamaya T. Preventive effects of Glycyrrhizae radix extract on estrogen-related endometrial carcinogenesis in mice. Jpn J Cancer Res. 1999; 90: 726-32.
(8).Sakai Y, Nagase H, Ose Y, Sato T, Yamada A, Hibi M , Yamada F. Anitimutagenicity of extracts from crude drugs in Chinese medicines. Mutat Res. 1986; 174: 1-4.
(9).Chan HT, Chan C, Ho JW. Inhibition of glycyrrhizic acid on aflatoxin B1-induced cytotoxicity in hepatoma cells. Toxicology. 2003; 188: 211-7.
(10).Kanazawa M, Satomi Y, Mizutani Y, Ukimura O , Kawauchi A, Sakai T, Baba M, Okuyama T, Nishino H, Miki T, Isoliquiritigenin inhibits the growth of prostate cancer. Eur Urol. 2003 May; 43(5): 580-6.
(11).Ma J, Fu NY, Pang DB, Wu WY , Xu AL. Apoptosis induced by isoliquiritigenin in human gastric cancer MGC-803 cells. Planta Med. 2001; 67: 754-7.
(12).Watanabe M, Hayakawa S, Isemura M, Kumazawa S, Nakayama T, Mori C, Kawakami T. dentification of licocoumarone as an apoptosis-inducing component in licorice. Biol Pharm Bull. 2002; 25: 1388-90.
(13).Yamazaki S, Morita T, Endo H, Hamamoto T, Baba M, Joichi Y, Kaneko S, Okada Y, Okuyama T, Nishino H, Tokue A. Isoliquiritigenin suppresses pulmonary metastasis of mouse renal cell carcinoma. Cancer Lett. 2002; 183: 23-30.
(14).Moon A, Kim SH. Effect of Glycyrrhiza glabra roots and glycyrrhizin on the glucuronidation in rats. Planta Med. 1997; 63: 115-9.
(15).Pei M, Wang S, Li J. Correlativity analysis of detoxicating effect of radix Glycyrrhizae on radix Aconiti preparata in sini decoction.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6; 21: 50-2, inside back cover.
(16).Wu W, Luo H, Hou C. In vitro experiment on scavenging oxy-radical and suppressing myocardial lipid peroxidation with sini decoction.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5; 20: 690-1, 701, inside backcover.
(17).Wu W, Hou C, Luo H, Jin W, Luo C. Anti-lipid peroxidation effects of sini decoction and its components on ischemic myocardium and the dose- and time-effects.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5; 20: 235-7, 254.
(18).Morteza-Semnani K, Saeedi M, Shahnavaz B,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roots of licorice (Glycyrrhiza glabra L.) to commercial antioxidants in 2% hydroquinone cream. J Cosmet Sci. 2003; 54: 551-8.
(19).Oganesyan KR. Antioxidant effect of licorice root on blood catalase activity in vibration stress. Bull Exp Biol Med. 2002; 134: 135-6.
(20).Tawata M, Aida K, Noguchi T, Ozaki Y, Kume S, Sasaki H, Chin M, Onaya T. Anti-platelet action of isoliquiritigenin, an aldose reductase inhibitor in licorice. Eur J Pharmacol. 1992; 212: 87-92.
(21).Tawata M, Yoda Y, Aida K, Shindo H, Sasaki H, Chin M, Onaya T. Anti-platelet action of GU-7, a 3-arylcoumarin derivative, purified from glycyrrhizae radix. Planta Med. 1990; 56: 259-63.
(22).Wakasugi M, Noguchi T, Inoue M, Tawata M , Shindo H, Onaya T. Effects of aldose reductase inhibitors on prostacyclin (PGI2)synthesis by aortic rings from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1991; 44: 233-6.
(23).Lin JC . Mechanism of action of glycyrrhizic acid in inhibition of Epstein-Barr virus replication in vitro. Antiviral Res. 2003 Jun; 59(1): 41-7.
(24).Cinatl J, Morgenstern B, Bauer G, Chandra P, Rabenau H, Doerr HW. Glycyrrhizin, an active component of liquorice roots, and replication of SARS-associated coronavirus. Lancet. 2003; 361: 2045-6.
(25).Sasaki H, Takei M, Kobayashi M, Pollard RB, Suzuki F, Effect of glycyrrhizin , an active component of licorice roots, on HIV replication in cultures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rom HIV-seropositive patients. Pathobiology. 2002-2003; 70:229-36.
(26).Kamei J, Nakamura R,Ichiki H, Kubo M. Antitussive principles of Glycyrrhizae radix, a main component of the Kampo preparations Bakumondo-to (Mai-men-dong-tang). Eur J Pharmacol. 2003;469:159-63.
(27).Yokozawa T, Liu ZW ,Chen CP. Protective effrcts of Glycyrrhizae radix extract and its compounds in a renal hypoxia (ischemia)-reoxygenation (reperfusion) model. Phytomedicine. 2000; 6: 439-45.
(28).Goso Y, Ogata Y , Ishihara K, Hotta K. Effect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on gastric musin against ethanol-induced gastric injury in rats. Comp Biochem Physiol C Pharmacol Toxicol Endocrinol. 1996; 113: 17-21.
(29).Jin R, Wan LL, Mitsuishi T, Kodama K, Kurashige S. Immunomodulative effects of Chinese herbs in mice treated with anti-tumor agent cyclophosphamide. Yakugaku Zasshi. 1994; 114: 533-8.
(30).Guoji Y, Orita M, Tashiro K, Abe H. Effects of glycyrrhetinic acid on aminonucleoside nephrosis in rats. 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1994; 349: 318-23.
(31).Ofir R, Tamir S, Khatib S, Vaya J. Inhibition of serotonin re-uptake by licorice constisuents. J Mol Neurosci. 2003; 20: 135-40.
(32).Kuroda M, Mimaki Y, Sashida Y, Mae T, Kishida H, Nishiyama T, Tsukagawa M, Konishi E, Takahashi K, Kawada T, Nakagawa K, Kitahara M. Phenolics with PPAR-gamma ligand-binding activity obtained from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roots) and ameliorative effects of glycyrin on genetically diabetic KK-A(y) mice. Bioorg Med Chem Lett. 2003; 13: 4267-72.
15.생강
@효능
생강은 해표산한(解表散寒), 온중지구(溫中止嘔)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 소화작용
이 약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위산과 위액의 분비가 처음에는 억제 되었으나 나중에는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 근육주사를 했을 때 24시간 동안 위액분비가 촉진되었다. 개실험에서도 이 약의 추출물은 위액 및 위산 분비는 촉진하였으며, lipase 활성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pepsin 활성은 감소하였다. 6-shogaol 과 6-gingerol 은 위수축운동을 저해하였다. Gingerol 과 shogaol 들은 사염화탄소 또는 갈락토사민에 의한 간장해를 보호하였다.(1).
`항구토효과
이 약의 추출물은 황산동으로 유도한 개에서 구토증상을 억제하였으나, 중추신경을 통한 구토유도물질인 apomorphine 이나 디기탈리스로 유도한 동물에서는 구토를 억제하지는 못했다. Shogaol 과 zingerone 은 항구토물질이다. 이 약의 가루는 동요병에 dimenhydrinate 보다 우수하며 , 특히 구토와 배멀미에 유효하다 (2).
`중추신경계효과
6-shogaol 과 6-gingerol 를 경구 혹은 정맥투여시 자발적 동요병을 억제한다. 그리고 진경 진통작용이 있으며 hexobarbital 수면 효과를 증강시킨다. 6-shogaol 은 6-gingerol 보다 강하다. 6-shogaol 은 dihydrocodeine phosphate 에 필적할만한 진해작용을 갖고 있다. 생강으로 만든 주상액은 알부민이나 포르말린으로 유도한 흰쥐의 관절염에 유효했다.
`심혈과효과
건강한 사람에게 생강을 씹게 하면 혈압이 상승하였으며, 수축기혈압 뿐만 아니라 이완기 혈압도 상승시켰다. 생강과 이 약의 주성분인 gingerol 은 기니아피그의 적출동맥의 근수축력을 보였다. 강심효과는 8-gingerol 이 가장 강하고 10-generol, 6-gingerol 순이였다 (3).
`항균활성 및 항염작용
생강은 항균력이 있으며 prostaglandin 의 생합성과정을 억제하여 항염효과를 나타낸다 (4).
@참고문헌
(1).Hikino, H., Kino, Y., Kato, N., Hamada, Y., Shioiri, T., Aiyama, R., Antihepatotoxic actions of gingerols and diaryhepatanoids, Journal of Ethnophamacology, 1985; 14, 31-39 .
(2).Kawai, T., Kinoshita, K oyama, K., Takahashi, K., Anti-rmrtic principles of Magnololia obovata bark and Zingiber officinala rhizome, Planta Medica, 1984; 60, 17-20.
(3).Shoji, N., Iwasa, A., Takemoto, T .,Ishida, Y., Ohizumi, Y., Cardiotonic principles of gingiber, Journal of Phamaceutical Sciences, 1982; 71, 1174-1175.
(4).Kiuchi F., Shibuya, M., Sankawa, U., Inhibitors of prostaglandin biosynthesis from gingiber,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82; 30, 754-757.
16.동충하초
동충하초란 곤충을 기주로 자실체를 형성하는 곤충기생균의 일종으로 전세계적으로 300여종이 보고 되고 있다. 동충하초는 거의 모든 곤충의 유충, 번데기, 성충등 전 생육 단계에 걸쳐 기주의 외비를 통하여 침입하며 균사는 춘체내의 모든 기관이 소비될 때까지 생장을 지속한 후 단단하게 응축되는데 자실체를 형성하는 대표적인 동충하초속으로는 자냥균류의 맥각균목, 동충하초과에 속하는 코디셉스속이 있으며 이밖에도 불완전균류의 페실로마이세스속 등 여러가지 속이 있다.
@효능
동충하초는 보폐(保肺) , 익신(益腎), 보정수(補精髓) , 지혈화담(止血化痰)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 남성의 강정효과(면역력 증강작용)
-면역기능을 강화 , 기력 촉진, 감기 , 폐결핵, 만성기침, 천식, 빈혈, 발작
-자양강장효과를 증진시켜 남성의 성기능장애 , 고혈압 등에 좋은 치료약
`당뇨병과 동충하초
-1993년 pharmaceutical bulletin 학술지에 의하면 동충하초 추출물을 당뇨병에 걸린 쥐의 복강내에 투여한 결과 3~6시간 후 혈당치가 40% 저하됨
`항암작용 및 항피로
-종양억제율 83%의 높은 항암성분으로 항암효과가 높고 특히 폐암, 간암, 유방암의 치료와 예방에 뛰어난 효과가 있어서 환자들이 상황버섯과 더불어 병용하여 복용하고 있다.
`항균작용
-결핵균, 폐렴구균, 저출혈성 패혈증간균 등에 대한 억제 작용
`중추신경계통 작용
-효율적인 수면 유도 , 중추신경의 흥분을 억제하는 진정 작용
-항경련작용, 체온저하 작용
17.천연꿀
@.천연꿀의 효능
`피로회복, 숙취제거'에 아주 좋은 효과가 있다.
설탕은 분해과정에서 비타민이나 무기질류를 필요로 하지만 꿀에 들어 있는 당분(포도당, 과당)은 체내에서 더 이상 분해될 필요가 없는 단당체로 되어 있어 체내흡수가 빠르고 아주 빨리 그리고 완벽하게 되며 영양의 밸러스를 깨트리지 않고 곧바로 에너지로 활용된다. 그래서 좋은 꿀을 먹음으로 해서 피로회복과 숙취제거 효과를 얻을수 있다.
`꿀은 위를 편안하게 해주고 특히 변비에 효과적이다.
벌꿀은 장의 연동운동을 도와 정장작용을 해주고 비피더스균을 증식시키고 창자속에 장균을 억제 하기때문이다.
`꿀에 들어 있는 철분은 빈혈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꿀에는 각종 비타민(B,C군)류와 미네랄(칼륨 , 아연 ,칼슘)등도 흡수되기 쉬운상태로 함유되어 있어 피부미용에 좋으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꿀속의 칼륨성분은 체내의 콜레스테롤 및 혈관속의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해주고 혈액을 알칼리성으로 유지하고 혈관을 튼튼히 하며 내장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고혈압 , 심장병, 변비에 좋다.
`꿀은 살균력이 뛰어나며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항균력을 가진 비피더스균의 증식을 돕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인체에 가장 악성인 이질병이나 장티푸스균도 꿀속에서는 몇시간 생존하지 못한다고 한다. 입안이 헐었거나 물집이 생겼을때 꿀을 바르면서 먹으면 빨리 치료되며, 꿀을 복용함으로써 감기증상이나 이질환자의 증상이 호전되는것이 이때문이다.
`꿀속의 마그네슘 성분은 진정작용이 있어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다.
꿀에 포함된 프로폴리스
프로폴리스는 천연의 항생물질로 알려져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온갖 질병에 사용되어 왔다.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현대에도 세계의 의학계에서 주목하여 연구를 꾸준히 진행시켜 옴에 따라 프로폴리스의 약효가 점차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집을 만들 때에 수목의 싹이나 껍질에서 채취한 수액과 꿀벌 자신이 분비하는 타액을 섞어서 만들어낸 물질로, 벌집의 빈 틈에 발라 집을 보호하는 것이다.
벌집의 빈 틈이나 내부의 벽에 발라두면 벌집에 침입하는 벌레나 박테리아 , 바이러스 또는 빗물등으로부터 벌집의 내부를 지킬 뿐 아니라, 내부가 거의 무균상태로 되기 때문에 그 안의 유충이 안전하게 자란다. 벌집의 내부가 완전한 무균상태로 되는 것은 프로폴리스에는 강력한 살균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프로폴리스 효능의 원천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수지(樹脂)50%, 밀랍(蜜蠟)30%이고 정유 등의 유성(油性)성분 10%,화분(花粉)5%,유기물 및 미네랄 물질이 5%들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 중에서 세포의 대사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네랄이나 비타민류, 아미노산, 지방 외에 후라보노이드의 함유율이 매우 높다.
프로폴리스의 의학적인 효과의 원천은 후라보노이드라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어 있다.
후라보노이드는 식물 및 기타의 생물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의 일종으로 , 프로폴리스에는 다른 식물에서는 볼 수 없는 항균력이 극히 높은 몇 가지 종류의 후라보노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후라보노이드의 약효
프로폴리스에 포함되어 있는 후라보노이드의 약효로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혈액을 깨끗하게 하여 세포막을 강화시키며 세포의 작용을 활발하게 한다.
둘째, 바이러스 등이 침입하기 어려운 튼튼한 결합조직을 만든다.
셋째, 좋지 않은 효소를 억제하며 발암물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넷째, 항알레르기 작용, 진통 작용, 지혈 작용 , 소염 작용을 한다.
다섯째, 생체의 면역기능을 높여주며 그 성과로 방위력을 높인다.
이 외에도 암을 비롯하여 당뇨병 , 고혈압, 위궤양, 심장질환 등 순환기계의 질병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피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몸의 기와 혈, 음과 양을 양생하는데 도움을 주고 몸 전체를 조화롭게 하여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 그 목적을 위해 한약재를 정선하여 최적의 배합비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피로 회복제이다
한약재를 이용한 한방 피로회복제
황기 , 당삼(만삼) , 당귀 , 하수오 , 사삼 , 숙지황 , 백작약 , 복령 , 대추 , 맥아 , 맥문동 , 두충 , 동충하초 , 감초 , 구기자 , 생강, 천연꿀
1공정
황기 , 당삼(만삼) , 당귀 , 하수오 , 사삼 , 숙지황 , 백작약 , 복령 , 맥아 , 맥문동 , 두충 , 동충하초 , 구기자 , 감초를 깨끗이 씻어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정제수에 30분 가량 침지 시킨다
2공정
-황기 , 당삼(만삼) , 당귀 , 하수오 , 사삼 , 숙지황 , 감초
황기 12 중량비를 천연꿀과 정제수를 섞은 (1:2) 혼합물에 20분간 재워둔다 . 그 후 100~120도 정도 온도에 1~2분간 노릇노릇하게 볶아 낸다
당귀 9 중량비, 감초 3 중량비를 온도 100~120도 정도에 2분간 볶는다 그 후 당삼 6 , 하수오 9 , 사삼 6 , 숙지황 9 중량비를 각각 섞은 후 0.5 mm 크기로 분쇄하여 여과 백에 담고 물 770 중량비를 넣고 70~100도 온도로 5~10시간에 걸쳐 환류냉각 추출한다.
3공정
-백작약 , 복령 , 대추 , 맥아 , 맥문동 , 두충 , 동충하초 , 구기자 , 감초
백작약 9 중량비와 감초 3 중량비를 100~120도 온도로 2분간 볶아낸다. 그 후 복령 9, 대추 5, 맥아 15, 맥문동 9, 구기자 9 ,두충 9, 동충하초 6, 감초 3 중량비를 각각 넣고 0.5 mm 크기로 분쇄하여 여과백에 넣은 다음 물 870중량비를 넣고 70~100도 온도로 3~5시간에 걸쳐 환류냉각 추출한다.
4공정
2, 3공정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기로 여과한 후 1:1비율로 혼합한다
5공정
생강을 깨끗히 씻어 껍질을 제거하고 갈아서 여과백에 넣은후 정제수와 1:5 비율로 넣고 100도 온도로 30분간 열을 가해 천연 생강향과 추출물을 얻어낸다.
대추를 정제수와 1:6 비율로 넣고 100도 온도로 1시간가량 추출해낸 다음 씨와 껍질을 제외하고 과육을 포함한 추출물을 얻어 낸다 .brix 16 유지
6공정
4공정에서 얻어낸 추출물과 5공정에서 얻은 생강추출물 , 대추추출물 , 정제수 , 천연꿀을 3:1:3:1:0.5 중량비로 혼합한다. brix 15유지
그 후 혼합물을 80~100도 온도로 20분간 유지시켜 배합 가열단계를 거친후 최종적으로 여과기로 여과한 다음 천연 건강 피로 회복 차를 얻어낸다

Claims (2)

  1. 황기, 당삼, 동충하초, 당귀, 하수오, 사삼, 숙지황, 백작약, 복령, 대추, 맥아, 맥문동, 두충, 생강, 구기자 , 감초, 천연꿀로 부터 추출한 한방 피로 회복용 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음료 , 제환(丸) , 현탁액 , 유제품 , 주사제 , 갤 , 크림 , 로션 , 비누 , 파운데이션 , 클렌징,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한약추출조성물.
KR1020100085320A 2010-09-01 2010-09-01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KR20120022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20A KR20120022134A (ko) 2010-09-01 2010-09-01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20A KR20120022134A (ko) 2010-09-01 2010-09-01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134A true KR20120022134A (ko) 2012-03-12

Family

ID=4613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320A KR20120022134A (ko) 2010-09-01 2010-09-01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21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8748A (zh) * 2012-11-02 2013-03-06 江苏吉贝尔药业有限公司 一种抗疲劳的保健品
CN103110766A (zh) * 2013-03-23 2013-05-22 徐姝一 一种用于产后尿潴留的中药组合物
CN103301245A (zh) * 2013-06-03 2013-09-18 安徽华佗国药股份有限公司 一种益气养血、滋补肝肾的药物
CN104474265A (zh) * 2014-12-02 2015-04-01 成都锦汇科技有限公司 促黑发生长试剂
KR20230081078A (ko) * 2021-11-30 2023-06-07 박성심 한방매실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8748A (zh) * 2012-11-02 2013-03-06 江苏吉贝尔药业有限公司 一种抗疲劳的保健品
CN103110766A (zh) * 2013-03-23 2013-05-22 徐姝一 一种用于产后尿潴留的中药组合物
CN103301245A (zh) * 2013-06-03 2013-09-18 安徽华佗国药股份有限公司 一种益气养血、滋补肝肾的药物
CN104474265A (zh) * 2014-12-02 2015-04-01 成都锦汇科技有限公司 促黑发生长试剂
KR20230081078A (ko) * 2021-11-30 2023-06-07 박성심 한방매실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Chenpi): Botany,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 frequently us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Yang et al. Radix Bupleuri: a review of traditional uses, botan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Wang et al. Traditional uses, botan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Panax notoginseng (Burk.) FH Chen: a review
Li et al. Physalis alkekengi L. var. franchetii (Mast.) Makino: An ethnomed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Shikov et al. Aralia elata var. mandshurica (Rupr. & Maxim.) J. Wen: An overview of pharmacological studies
Fu et al. Review of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stragalus membranaceus (Huangqi)
Sham et al. A review on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and formulae with hypolipidemic effect
WO2009125964A2 (en) Composition comprising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panax ginseng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s
Wang et al. Research progress in the treatment of slow transit constipation by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KR20120022134A (ko) 한약재를 이용한 피로 회복 식품
Xiaoying et al. Glycyrrhiza glabra (Licorice): ethnobotany and health benefits
Xin et al. Belamcanda chinensis (l.) Dc: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and pharmacology of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uang et al. The traditional uses, secondary metabolites, and pharmacology of Eleutherococcus species
Luo et al. Advance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liver disease therapy in 2021
Jalili et al. An overview of therapeutic potentials of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A traditionally valuable herb with a reach historical background
Li et al. Amelioration of alcohol-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C57BL/6 mice by a mixture of TCM phytochemicals and probiotics with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JP6712056B2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Mittal et al. A Critical Review on Ethnobotan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Euryale Ferox Salisb.
CN104095912B (zh) 治疗风湿骨病的中成药的制备方法
CN100411642C (zh) 一种治疗慢性肝炎的药物
Ng et al. TCM “medicine and food homology” in the management of post-COVID disorders
Chen et al. “Qingfei Paidu Decoction”—A Possible Choice of Phytotherapy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Infection Caused by Coronavirus Disease-19
CN114848764B (zh) 一种防治肝损伤的中药复方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n et al. Polygonati Rhizoma: A review on the extraction, purificatio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biosynthesis of the main secondary metabolites and anti-aging effects
Wu et al. Chinese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yslipidem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