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695B1 -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695B1
KR101129695B1 KR1020087025592A KR20087025592A KR101129695B1 KR 101129695 B1 KR101129695 B1 KR 101129695B1 KR 1020087025592 A KR1020087025592 A KR 1020087025592A KR 20087025592 A KR20087025592 A KR 20087025592A KR 101129695 B1 KR101129695 B1 KR 101129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s
glove
station
delete delete
reu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132A (ko
Inventor
패트릭 햄프
Original Assignee
티지티 엔터프라이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지티 엔터프라이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지티 엔터프라이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3/00Counting, sorting, or mar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07C3/14Quality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lov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재사용가능한 장갑을 다수의 처리 스테이션(3)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15)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스테이션은, 장갑을 컨베이어 수단에 장착하기 위한 로딩 스테이션, 장갑을 소정 기준에 대해 검사하기 위한 검사 스테이션, 장갑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스테이션, 장갑 식별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장갑 식별 수단에 문의하기 위한 문의 스테이션, 장갑의 완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스테이션, 장갑을 언로딩하기 위한 언로딩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세척 스테이션, 문의 스테이션, 테스트 스테이션, 언로딩 스테이션, 처리 사이클, 진공 수단, 추적 스테이션, 식별 수단

Description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A SYSTEM FOR THE PROCESSING OF REUSABLE GLOVES}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얇은 폴리머 장갑과 같은 장갑의 재처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갑은 위생, 식품 가공, 및 하이테크 산업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장갑을 상태조절(conditioning) 및 원상복구(reconditioning)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갑 제작자들은 소비자 및 규제 기관을 위한 품질 및 기타 인자들을 추적할 수 있는 고유 표식(marking)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일회용(single use) 장갑을 생산한다. 이들 형태의 장갑은 주로 위생, 식품 가공 체인, 및 하이테크 산업 용도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들 장갑은 품질상의 이유로 추적가능해야 하는 바, 그 이유는 이 제품에 대한 규정이 일회용일지라도 소비자 및 품질 제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제작자 및 로트(lot) 번호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마킹(프린팅)된 장갑들에서 사용자가 알 수 있는 것은 잘해야 사이즈와 방위(오른손 또는 왼손) 및 제작자에 대한 것일 뿐이고, 로트 번호나 개별 시리얼 번호는 알 수 없다. 이들 표식은, 본질적으로 장갑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이 목적에 특화된 스캐너를 통해서도 자동으로 판독하기 어려운 영숫자 이다. 더욱이, 이러한 장갑은 로트 번호만 표시되는 상자에 수동으로 담겨지지만, 장갑이 사용을 위해 그 상자에서 제거되자마자, 로트 특이성(specificity)의 모든 흔적은 사라진다. 따라서, 사용 시에 또는 재사용을 위해 장갑 흠결이 확인된 경우 추적은 불가능하다.
일부 장갑 제작자들 및 특히 통상 재생될 수 있는 두꺼운 장갑과 연관된 사람들은 자신의 장갑에 제작 로트 번호를 인쇄하거나, 또는 순차적 번호를 수동으로 교차시키고 장갑을 각각의 재처리 사이클 전후에 사이즈별로 수동으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처리 사이클 횟수를 일지기록(log)할 수 있게 해주는 연속 숫자를 인쇄한다.
오늘날, 각종 제작 분야에서 연간 소비되는 힘든 작업용 장갑 전체의 50% 이상은 원상복구되어 여러번 사용된다. 이들 장갑은 편성포(knit fabrics)로 만들어지며, 법규의 적용을 덜 받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천연 고무, 라텍스, 니트릴 폴리머, 폴리우레탄, 염화폴리비닐과 같은) 폴리머 박막으로 만들어지는 "일회용" 장갑 카테고리는 이하의 여러가지 중요한 이유로 그렇게 활용되지 못했다:
i) 보다 포괄적인 장갑 식별에 대한 필요성;
ⅱ) 높은 처리 비용 및 노동 집약적 프로세스;
ⅲ) 장갑 뒤집기(반전)의 어려움;
ⅳ) 연약한 제품에서의 비침투성 유지 확보의 어려움; 및
v) 오염 위험.
이들 마킹 시스템은 사용 횟수의 분류 및 제한된 추적을 허용하지만, 특정 장갑에 대한 재처리 단계의 연계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어서 공지된 로트 내의 장갑에 대한 추적성 및 품질 보증의 손실이 있을 것이다.
생산 라인을 떠날 때 자신의 장갑을 세척하고자 하는 장갑 제작자들은 각각의 단계를 수동으로 수행한다. 장갑은 생산 라인으로부터 산업용 세척기로 수동 이송된 후, 손으로 건조기로 이동되고 마지막으로 수동 포장된다. 이들 작업은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많은 노동자들을 필요로 하므로 노동 집약적이며 고비용적이다. 청정실 분야에서 사용될 장갑의 경우에, 세척, 건조 및 포장 과정은 청정실 조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는 추가로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사용된 장갑을 재처리하고자 하는 장갑 재처리 업자는 이하의 사실로 증폭되는 것과 같은 문제들에 직면한다:
i) 사용되는 장갑이 자주 양면이 오염되고, 물 흐름의 방향이 장갑의 내부에 진입하게 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통의 세척 장치가 내부와 외부를 세척하고 있다는 확신이 없으며,
ⅱ) 위생 분야에서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 미생물 오염을 제거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재처리업자는 작업자들의 피부 자극 위험을 초래하는 강력한 살균제를 사용하게 되고,
ⅲ) 사용된 장갑은 또한 대개 사람들이 통상 이를 벗는 방법에 따라 그 안에 다른 손으로부터의 다른 것을 내포하며,
ⅳ) 일부 자동 세척 기구는, 장갑 유지 수단이 정적이고 파지 기구에 봉입된 장갑 표면의 세척을 방지하여 장갑의 전체 표면을 세척, 브러싱 및 오염제거할 수 없게 되므로 장갑 표면을 완전히 세척할 수 없으며,
v) 위생 산업에서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에, FDA와 같은 규제 기관은 각각의 장갑에 대한 고유 시리얼 넘버나 기타 식별 수단이 없이 재처리되는 다른 의료 장비에 대해서처럼 개별적인 추적을 요구하는 바, 이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현재 재처리된 장갑을 이러한 분야에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품질 테스트와 관련하여, ISO 및 FDA와 같은 규제 기관에 의해 규정되는 여러가지 요건들은 수동 테스트를 포함하며, 수백만개에 달하는 제품들 중에서 랜덤한 샘플링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여러가지 산업에서, 이는 제조 균일성을 개별적이 아닌 통계적으로 보장한다.
장갑 핀홀(pinhole: 바늘구멍) 테스트는 통상, 장갑 샘플에 1 리터의 물을 채워넣는 ASTM "누수 테스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2분 후에 장갑의 표면에서 물방울이 나타나면 핀홀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의료 장비"로 분류되는 예시적 장갑에 대해 기대되는 정확도를 갖지 못한다.
이 방법의 파생 형태는 장갑 안에 부어지는 "전해질" 액체의 사용이다. 여기에서, 핀홀은 보다 쉽게 검출되는 "전자 이온"의 통과를 쉽게 한다. 외과용 장갑 테스트에는 이 방법이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추가적인 대안은, 장갑 내부의 공기 압력이 균일하지 않은 상태로 장갑을 팽창시키는 "공기" 누설 테스트이다. 지정된 시간 이후 장갑이 수축되면 핀홀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핀홀을 나타내는 누설의 존재를 입증하기 위해 이런 식으로 팽창되면, 장갑의 얇은 상측 부분은 손가락 내부에 위치하는 두꺼운 부분보다 큰 응 력하에 놓이게 된다. 이 결과 장갑의 "피부"에 걸쳐서, 장갑의 상측 부분에 보다 집중되는 식의 상이한 응력 분포가 초래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손가락 끝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하며, 따라서 통계적으로 핀홀이 다른 곳보다 손가락에 더 존재할 것 같으므로 신뢰도에 의문을 갖게 한다.
제작 중에 생기거나 나중에 사용 시에 생기는, 장갑 표면의 얼룩은 시각적 테스트를 통해서만 검출가능하고 자동적으로 검출될 수 없으며, 생산 라인에서 또는 후속 원상복구 중에 모든 장갑을 수동으로 체크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폴리머 장갑과 같은 장갑을 재처리하고 상기 장갑의 진행 및 기타 인자들을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재사용가능한 장갑을 다수의 처리 스테이션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스테이션은, 장갑을 컨베이어 수단에 장착하기 위한 로딩 스테이션, 장갑을 소정 기준에 대해 검사하기 위한 검사 스테이션, 장갑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스테이션, 장갑 식별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장갑 식별 수단에 문의하기 위한 문의 스테이션, 장갑의 완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스테이션, 장갑을 언로딩하기 위한 언로딩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장갑을 결합 및 운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보디, 제 1 결합 수단 내지 제 2 결합 수단 사이에서 연신된 상태에서 장갑의 구멍과 결합하도록 상호 이격된 관계로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신된 상태는 결합 수단과의 결합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장갑 결합 및 운송 장치를 제공한다.
제 3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그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장갑을 결합 및 운송하는 복수의 장치 및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보디, 제 1 결합 수단 내지 제 2 결합 수단 사이에서 연신된 상태에서 장갑의 구멍과 결합하도록 상호 이격된 관계로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신된 상태는 결합 수단과의 결합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복수의 장치는 연속 체인을 형성하도록 링크되고, 안내 수단을 따라서 풀어지도록 배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4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그 각각이 전자 또는 광학 판독가능한 고유 식별 수단을 갖는 다수의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진행을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장갑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각각 통신되는 다수의 추적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각각의 추적 스테이션은 각 장갑의 데이터가 각각의 추적 스테이션에 수집되도록 각 장갑의 식별 수단에 문의하기 위한 문의 수단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와 추적 스테이션의 위치는 각각의 추적 스테이션으로부터 각 장갑의 진행을 위치설정 및 추적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통신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진행 추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5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그 각각이 전자 또는 광학 판독가능한 고유 식별 수단을 갖는 다수의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진행을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고 처리할 수 있는 장갑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장갑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각각 통신되는 다수의 추적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각각의 추적 스테이션은 각 장갑 상의 데이터가 각각의 추적 스테이션에 수집되도록 각 장갑의 식별 수단을 문의하기 위한 문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추적 스테이션의 위치와 데이터는 각각의 추적 스테이션으로부터 각 장갑의 진행을 위치설정 및 추적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통신되고, 상기 장갑은, 소정 횟수의 처리 사이클 이후 소정의 유용성을 충족하기에 적합한 재료, 데이터를 부여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문의되도록 구성된 식별 수단을 포함하는 장갑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유 식별은 RFID, 바코드 또는 매트릭스 코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 수단은 LAN, WAN 및 인터넷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로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위생, 식품 가공 및 하이-테크 산업에서 사용된 장갑이 고유 식별 정보와 더불어 인쇄되거나 마킹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장갑은 사용 이후, 소정 횟수의 처리 사이클 동안 '새 것'으로 다시 원상복구되고 사이즈별로 포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별 장갑의 사용 이력이 기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원상복구에 관한 모든 데이터가 중앙 수집되고 그 결과적인 수익 소득을 제작자에서 최종 공급자에 이르는 공급 체인의 모든 요소에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새로운 경제 모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사 스테이션이 이에 근거하여 장갑을 검사하는 기결정된 기준은 얼룩, 장갑에 대한 손상, 및 장갑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추적 시스템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된 장갑이 로딩될 수 있으며, 이후 각각의 장갑의 안과 밖 양쪽을 자동으로, 세척, 헹굼, 건조, 핀홀 테스트, 시각적 청정도 평가, 살균 방사, 부적합 장갑의 불합격을 수행하는 다수의 개별 처리를 겪게 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된 장갑은 자동으로 사이즈 또는 기타 카테고리에 따라 포장될 수 있다. 각각의 장갑은 제작 시에 또는 나중에 별도로 그것에 인쇄된 고유 코드를 통해서 개별적으로 추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장갑 홀더로서도 작용할 수 있는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장갑은 그 고유 탄성을 이용하여 현수될 수 있으며, 또한 안팎이 뒤집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드는 제작 과정 중에 또는 처리 사이클 이전에 장갑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재처리 사이클 도중에 기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코드는 본질적으로, 특정한 처리된 장갑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시리얼 번호와 같은 장갑 고유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작에서 최종 사용까지의 그 이력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수명은 예를 들어 2 내지 20 횟수의 소정의 성공적인 재처리 사이클 횟수 이후 끝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품질 보증 결함의 검출이, 특정 장갑이 재처리 기계에 의해 불합격되게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개별 장갑 재처리의 양태들을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적절한 품질 체크를 하고 특정 장갑의 고객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거나 아니면 장갑 뭉치의 통계적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는 또한, 다수의 재처리 장치의 모든 추적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취합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장치의 추적 스테이션에 의해 단속적으로 통신될 수 있다.
이 중앙집중된 데이터베이스는 이후 고객의 장갑 사용 데이터를 고객 별로, 각 재처리 기계의 사용자 별로, 국가, 지역 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관계자에게 "재처리된 장갑" 단위로 비용청구를 할 수 있다.
장갑은 제작에서 최종 폐기까지의 개별 추적성에 의해 개별 장갑 사용 이력 및 품질 보증에 대한 기록을 지속할 수 있는 고유 매트릭스 코드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적 시스템과 결합될 때, 이는 잠재적으로 모든 공급 체인에 대해 가치 추출이 가능하게 하는 로열티 지불청구 방법에 매치될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용청구 방법은 고객 데이터와 장갑 식별 데이터를 매치시키기 위한 수단과, 가격결정 스케일(pricing scale)를 가지는 지불청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처리 비용은 각 장갑에 수행된 처리에 근거하며, 각 가격결정 스케일에 따라 가격결정된다.
본 발명의 경제적 이점은, 최고 품질 장갑의 사용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쓰레기 폐기 체적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배치를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추가 설명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배치가 가능하며, 따라서 첨부도면의 특수성이 본 발명의 상기 설명의 보편성을 대체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RU(Glove Reprocessing Unit: 장갑 재처리 유닛)의 입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GRU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LD(Transport Link Device: 운송 링크 장치)의 등각도이고;
도 4는 도 3의 TLD의 입면도이며;
도 5는 일련의 상호연결된 도 3의 TLD의 등각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의 입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RU의 등각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RU의 등각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RU의 등각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의 등각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의 등각도이며;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의 입면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테스트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갑 재처리에서의 전술한 개별적 및 누적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모든 절차들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단일 인클로저(1)에 봉입되는 일련의 링크된 처리 스테이지(3)들을 포함한다. 컴퓨터-제어되는 자동 기기는 수평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따라 이동하는 트랙과 결합하기 위한 휠을 구비하는 링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링크는 그 자체도 (최선의 경우에) 수평으로 전방 이동하는 장갑-홀더이며 이를 따라서 수동 장갑 교체, 자동 장갑 복귀, 세척, 헹굼, 건조, 살균, 테스트, 포장의 연속 단계가 수행된다.
컨베이어 벨트(15)는 장갑이 소정의 처리 사이클에서 상이한 '가공 스테이 션'을 통해서 처리될 수 있게 한다. 먼저, 조작자는 빈 링크(5) 상에 장갑을 건다. 그리고 장갑을 걸기 위해 핀처(pincher) 또는 돌기(도시되지 않음) 상의 커프(cuff)를 잡아당긴다. 체인(15)은 3초 내지 4초마다 하나의 링크를 전방 이동시켜 수동 로딩이 가능하게 한다.
장갑은 회전가능한 돌기와 연관된 핀처의 적용을 통해서 커프 또는 개구 내에 포획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 돌기는 링크 내에서 피봇 운동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장갑의 외표면을 (A)로 지칭하고 내표면을 (B)로 지칭할 것이다. 장갑은 외표면(A)의 양쪽에 설치된 수평 습윤 브러쉬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척(20)된다. 피봇 가능한 움직임 내에서 돌기/핀처의 회전, 및 반전된 커프에 대한 진공의 인가는, 장갑의 본체를 통해서 손가락을 견인하여 반전을 완성시킨다.
장갑은 다시 내표면(B)의 양쪽에 설치된 추가 세트의 회전하는 수평 습윤 브러쉬에 의해 세척(20)된다. 이어서, 장갑은 내표면(B)의 양쪽에 설치된 워터 스프레이에 의해 헹굼(25)된다. 다시 장갑은, 핀처/돌기를 원 위치로 복귀 회전시키고, 장갑의 손가락을 본체를 통해 복귀 견인하여 반전을 완성하기 위해 진공을 인가함으로써 반전된다. 마지막으로, 장갑은 외표면(A)의 양쪽에 설치된 추가 세트의 워터 스프레이에 의해 헹굼(25)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측면(A, B)의 세척 및 헹굼 단계는, 컨베이어(15)의 진행을 역전시킴으로써 또는 장갑의 적절한 반전에 이어서 장갑을 제 2 시간 동안 스테이션을 통과시키기 위해 컨베이어의 피규어(S)를 형성함으로써, 동일 세트의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장갑은 살균 처리를 적용받는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정교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이 적용을 위해 채택될 수 있는 광범위한 기술을 알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장갑은 외표면(A)의 양쪽에서 뜨거운 공기 유동(30)에 의해 건조되며, 외표면(A)의 양쪽에 설치된 C 레인지 254 나노미터의 자외선에 의해 조사된다. 다시, 장갑은 반전된다. 장갑은 다시 내표면(B)의 양쪽에서 뜨거운 공기 유동의 적용을 받으며, 이후 내표면(B)의 양쪽에 설치된 C 레인지 254 나노미터의 자외선에 의해 조사된다.
장갑은 이후 시각적 청정성의 획득 및 추적 스테이션(35)에 의한 코드 획득을 위해 양면에서 상하로 스캐닝된다. 수집된 데이터는 이후, 장갑이나 장갑 뭉치에 대한 데이터의 조회를 위해 그리고 장갑이 겪는 프로세스 사이클의 횟수뿐 아니라 고객의 장착을 추적하기 위해 저장되거나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 보내질 수 있다.
장갑은, 코드를 컴파일할 때 시스템이 이 코드가 반사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하도록 요구(40)에 따라 반전될 수 있다. 코드가 반사된다면 이는 장갑이 그 본래의 구조에 있지 않거나 제조 라인을 벗어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장갑은 보다 양호한 그립을 가능하게 하는 특수 요소를 손가락에 구비하므로, 특정 방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듯이, 이러한 정보는 장갑(95)에 인코딩(90)되고 추적 스테이션에 의해 판독(100)될 수 있는 바, 이는 데이터베이스 기록을 위해서뿐 아니라 GRU를 제어하여 이 특정 장갑을 예상된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특정 방위가 요구되면, 추적 스테이션에 의한 대응 코 드(90)의 판독이 GRU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갑은 반전될 수 있다.
장갑은 이후 컨베이어 밖으로 이송된다. 이 작업을 먼저 수행하기 위해, 진공 파이프가 장갑을 커프 영역에 흡입하며, 이후 링크 손가락이 장갑을 손가락으로부터 로크해제(de-lock), 연신해제(de-stretch)시킨다. 그 결과 장갑이 걸리는 바, 이는 진공 파이프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장갑은 이후 핀홀 제어부(43)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장갑은 다수의 핀홀 테스트 중 임의의 테스트를 겪게 된다. 이들 테스트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이하의 것들과 같은 종래의 테스트일 수 있다:
i) 장갑에 물이 채워지고 장갑을 2분과 같은 소정 시간 이후 외부 액적에 대해 테스트하는 수압 테스트;
ⅱ) 살린을 이용한 전도성 테스트로서, 이에 따르면 다시 장갑에 이번에는 살린 용액이 채워지고 장갑에 음극이 배치된다. 이후 장갑은 살린 배쓰에 양극과 함께 배치된다. 이 배치는 이후 전류가 발생하는지를 알기 위해 테스트된다;
ⅲ) 질량 유량 측정(이 방법은 나중에 보다 상세히 설명됨).
다른 테스트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것이다. 이 테스트는 장갑의 작은 경계 내에서 순환할 수 있는 비습윤 유동성 전도 재료(150)를 장갑(120)에 채우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는 수은이나 갈륨과 같은 액상 금속을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작은 금속 구체(sphere)(155)를 포함한다. 구체(155)의 크기는 장갑 형태 및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사이즈의 결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로서, 구체는 0.5㎜ 내지 2㎜의 직경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구체(155)는 임의의 허용가능한 전도성 재료일 수 있지만, 스틸,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또는 임의의 기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장갑 내의 임의의 핀홀을 통해서 "아크"에 대해 충분한 전위차를 갖기 위해 적절한 전압이 인가되는 바,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두 개의 볼 사이의 공간 갭은 전기장이 "비충진 입체 공간"에 존재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볼과 장갑 표면 사이의 "비접촉점"에 핀홀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방전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방법은 볼(155)과 같은 재료를 걸려있는 장갑(120)의 내부에 붓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볼 안에는 양극(145)이 도입되고, 양극에는 (말하자면 0 내지 12 kV 범위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후 금속 섬유(135)로 제조된 브러쉬(130)가 장갑(120)의 양면을 위에서 아래로(또는 그 반대로) 브러싱(160)한다.
핀홀의 존재는 양극(볼)과 음극(브러쉬) 사이의 전류 검출을 통해서 검출된다. 이 접촉은 "결함" 신호를 유도하며, 따라서 장갑은 핀홀 존재로 인해 불합격(reject)된다. 이후, 볼은 장갑으로부터 진공 제거된다.
이 방법은 이하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i) 시험의 셋업이 매우 신속하고, 볼의 제거가 장갑을 다음 스테이지에 준비하게 만들며;
ⅱ) 프로세스에서 추가 건조 단계를 필요로 하는 장갑의 젖음을 방지하고,
ⅲ)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컨베이어 배치에 적합하다.
테스트 이후, 결과가 기록되고 데이터베이스에 보내질 뿐 아니라, GRU 제어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도록 기록된다.
누설 테스트 이후, 장갑은 수축되며, 진공 판에 의해 흡인된다. 이후 장갑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주어진 지시에 의해 그 각 사이즈의 상자에 포장(45)되거나, 불합격 처리된다. 채워져서 자동으로 폐쇄된 상자들은 로트 및 고객 정보가 인쇄된 후 적절한 판지상자(carton)를 수동 충진하기 위한 용기로 이송된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안과 밖의 전체 장갑 표면이 재처리 단계에서 처리되도록 장갑을 자동 반전시키기 위한 장갑 홀더(TLD)를 제공한다. 또한, 장갑 홀더 자체도 그 각종 처리 스테이지를 통해서 장갑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링크이도록 설계된다.
장갑 홀더는 또한 장갑 복귀부터, 세척, 건조, 테스트 및 포장까지의 다양한 장갑 재처리 순서를 가능하게 하는 컨베이어 내의 링크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장갑에 인쇄되는 암호화된 코드에는, 무엇보다도, 각각의 장갑에 대한 고유 시리얼 번호와 장갑의 사이즈 정보가 포함된다. 이 코드는 제작 과정 중에 인쇄될 수 있지만, 나중에 추가될 수도 있다.
추적 스테이션, 테스트 스테이션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추적 시스템은, 시스템이 "공인된" 장갑을 "비공인" 장갑과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암호화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공인된 장갑이란 (a) 재처리될 물리적 사양을 가지며 (b) 공인된 장갑 제작자에 의해 제조된 장갑을 의미한다.
추가로 추적 시스템은 코드를 통해서 사이즈 및 왼손 또는 오른손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재처리 이후 사이즈 및/또는 손 방위에 의한 자동 포장을 가능하게 한다. 고유 시리얼 번호는 완전한 추적성, 재처리 단계의 결과 및 세계적인 규 제 기관의 법적 요건에 부합하는 모든 개별 장갑의 시험 결과를 가능하게 한다.
코드 및 소프트웨어 정보 처리는 법적 부합과는 별도로, 장갑을 그 제작자로부터 수명 종료시까지 추적할 수 있으며, 장갑 제작자로부터 (공지의 신규 장갑 제작에 기초하여) 나오고 최종 사용자로부터 (재처리되는 장갑의 고객에 의한 지식에 기초하여) 나오는 로열티 수입이 가능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듯이, 컨베이어 부품인 링크(50) 또한 장갑 홀더이다. 이들 링크는 반전 과정 중에 장갑이 이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는 개구(53)를 갖는 중공체이고, 두 개의 관절연결된 핀처(55a, 55b; 60a, 60b)를 가지며, 각각의 핀처는 두 개의 관절연결된 손가락에 의해 형성된다. 핀처는 링크의 중공부의 각 단부에서 클리핑된다. 이들 핀처는 전동 모터에 의해 링크(50)의 개구(53) 내에서 상하로 스핀들(65) 주위로 회전된다. 각 핀처의 두 손가락은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개방/폐쇄 운동은 탄성 폴리우레탄 멤브레인 재료(75)를 클리핑(80) 또는 디클리핑함으로써 핀처 회전의 이전 또는 이후에 발생된다. 클리핑 작용은 회전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손가락의 개방 및 폐쇄는 두 가지 상이한 결과가 가능하게 한다. 먼저, 폐쇄되고 아래에서 위로(또는 그 반대로) 회전할 때, 손가락은 장갑 커프가 부분적으로 안에서 밖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장갑은 이후 진공에 의한 완전 손가락 연장에 의해 완전히 뒤집어진다. 둘째로, 개방될 때, 손가락은 장갑의 전체 표면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전체 링크는 이 작동 이후 수평으로 180도에 걸쳐서 플립(flip)되어, 손가락을 아래로 걸어서 장갑을 복귀 시킨다.
링크(50)는 컨베이어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완성된 컨베이어가 GRU 주위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링크(5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부(70)를 사용하여, 부착된 장갑을 각 스테이션으로 송출한다.
도 7 및 도 12에 도시하듯이, 추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핀홀로 지칭되는 장갑 내의 누설(115)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따라서 설치되는 이 방법은, 하나는 장갑이고 다른 하나는 기준 체적인 두 개의 체적 사이에서의 질량 유량 측정(120)을 사용할 수 있다.
핀홀 테스트(누설 테스트)는 대량 추출 기술에 기초하고 있다. 제품으로부터의 소량의 가스 누설(115)은 낮은 가스 밀도로 인해 진공 하에 팽창하며, 그 결과 기압 조건에 비해 높은 체적 유량(120)이 얻어진다. 따라서, 매우 작은 유량이 측정되어 중요한 질량 유량으로 변환되며, 고감도 검출을 달성한다.
테스트 중에, 장갑(110)은 클램프(113) 상에 놓이고, 장갑(110)의 손가락과 보디를 진공 챔버(117) 내로 이송하기 위해 커프(112)에 의해 고정된다. 이 진공 챔버(117)는 자체가, 고감도의 MAMF(Mass Air Flow Meter; 질량 공기 유량계)를 가로지르는 최소 모세관 유동 경로 채널을 통해서 다른 챔버(118)에 연결된다. 신속-소기(evacuation) 밸브는 두 챔버 내에 진공을 발생시킨다. 장갑(110)은 실린더 내부에 흡인된다. 진공은 커프 영역(112)과 실린더 클램프(113) 사이에 매우 타이트한 시일을 생성한다. 진공 압축에 의해 생성되는 급격한 공기유동은 두 챔버의 평형(P1 = P2)에 의해 일정 기간후 제로가 될 것이다.
장갑에 구멍이 전혀 없으면, 공기유동(120)은 제로로 유지될 것이다. 누설(115)이 있으면, 채널 내의 일정 유동(마이크로그램 또는 10-6 표준 입방센티미터로 측정)은 핀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압력 불균형을 보상할 것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인쇄된 코드가 매트릭스 타입 코드임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드(90)는 매트릭스 타입 코드이며, 이는 작은 면적에 많은 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데이터는 '비상 안전(fail-safe)' 모드로 할당되며, "도트"가 소거되거나 스캐닝 하드웨어에 의해 "보이지" 않을 경우 특정 소프트웨어에 의한 코드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코드 구조는 모든 방향으로 15%까지 변형하더라도 데이터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합할 수 있는 장갑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임의의 고유 문자의 일부가 지워지거나 늘어날 경우, 영숫자로 인쇄된 문자에 기초한 코드는, 코드 인식의 어려움 또는 불가능으로 인해 프로세스 중에 스캐닝될 수 없다. 장갑 제작 중에 또는 원상복구 과정 전에 인쇄된 코드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구체화할 수 있으며, 한정적인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i) 암호화 알고리즘;
ⅱ) 장갑의 시리얼 번호;
ⅲ) 글러브 취급: 왼손 또는 오른손;
ⅳ) 장갑 시장 지정: 위생, 식품 가공, 하이테크;
v) 장갑 사이즈;
ⅵ) 고객 식별;
ⅶ) 장갑 제작자 코드;
ⅷ) 제작 라인 코드; 및
ⅸ) 제작 로트 번호.
프로세스 중에, 시스템은 추적 스테이션으로부터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독한 후, 스캐닝된 화상을 장갑 청정도에 대해 처리한다. 시스템은 이후 작동 중에 수집된 데이터 및 처리 작업 중에 수신된 처리 데이터의 결과를 분석하고, 제어 시스템에 대해 장갑을 포장하거나 불합격시키도록 판정 및 지령한다. 해독 불능의 경우, 소프트웨어는 장갑을 불합격 수취인에게 돌려보내도록 포장 시스템에 지령을 내린다. 성공적인 해독의 경우, 소프트웨어는 이하의 작업들을 수행한다;
1. 장갑이 처음으로 판독되면, 소프트웨어는,
i) 코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갑 파일을 생성하고,
ⅱ) 장갑 파일 내의 기계 처리 데이터를 연산하며,
ⅲ) 그 개별 파일의 단계 14 및 17에서 수행되는 장갑 테스트 데이터를 연산하고,
ⅳ) 수용된 값과 소정 기준값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장갑을 포장 및 추가 재사용에 대해 승인하거나 불합격시킨다.
2. 장갑이 사전에 처리되면, 소프트웨어는 장갑 고유 시리얼 번호에 기초하여 그 전자 파일을 위치시키고 선행 단락에 기재된 임무를 수행한다.
3. 이후, 소프트웨어는 장갑이 가졌던 (재)처리 사이클의 횟수를 연산하고, 예정된 사이클 횟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는 장갑을 포장 및 추가-재사용에 대해 승인하거나 불합격시킨다. 소프트웨어는 모든 파일 및 결과를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고유 시리얼 번호, 그 위치 및 소유자에 의해 식별되는 모든 GRU는 그 데이터를 중앙 컴퓨터에 업로드하며, 이 중앙 컴퓨터는 상이한 데이터베이스를 필수 TCP/IP 커넥션(다이얼-업, 일정 또는 고정 IP)을 통해서 고유 데이터베이스에 통합시킨다. 이 중앙집중된 데이터베이스는 하기 사항의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1. 기계 소유자에 의해서 및 서비스받는 고객에 의해서 재처리된 장갑의 개수. 이는 기계 소유자가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그 고객에게 청구할 수 있게 하며, 기술 소유자가 기계 소유자에게 "처리된 또는 (재)처리된 장갑"에 기초한 비용 또는 로열티를 청구할 수 있게 해준다.
2. 불합격된 장갑의 개수, 및 사이즈에 의해 분할되는, 필요한 신규 장갑 체적의 보급을 위한 정확하고 자동적인 돌출을 가능하게 하는 그 크기. 이 보급 지식 역시 기계 소유자 레벨에서 이용가능하다. 기계 소유자는 또한 중앙 컴퓨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서 갖는다. 이 로컬 또는 중앙 데이터베이스는 규제 기관이 재처리 조건 및 장갑 승인 및 해제 기준을 감사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중앙집중된 데이터베이스는 고객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재처리된 장갑의 품질 보증 결과를 장갑 시리얼 번호를 패스워드 보호 웹사이트에 "타이핑"함으로써 열람할 수 있게 해준다.

Claims (30)

  1.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재사용가능한 장갑을 다수의 처리 스테이션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스테이션은,
    장갑을 컨베이어 수단에 장착하기 위한 로딩 스테이션,
    장갑을 기준에 대해 검사하기 위한 검사 스테이션,
    장갑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스테이션,
    장갑 식별 수단으로부터 적어도 각각의 장갑의 고유 시리얼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장갑 식별 수단에 문의하기 위한 문의 스테이션,
    장갑의 완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스테이션,
    장갑을 언로딩하기 위한 언로딩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얼룩, 장갑에 대한 손상, 및 장갑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스테이션은 핀홀 테스트 또는 질량 유동 검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스테이션은 처리된 장갑을 포장 스테이션으로 직행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스테이션은 상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장갑을 불합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87025592A 2006-03-21 2007-03-20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KR101129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601745-3A SG135992A1 (en) 2006-03-21 2006-03-21 A system for the processing of reusable gloves
SG200601745-3 2006-03-21
PCT/SG2007/000076 WO2007108777A1 (en) 2006-03-21 2007-03-20 A system for the processing of reusable glov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004A Division KR20110043794A (ko) 2006-03-21 2007-03-20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132A KR20080108132A (ko) 2008-12-11
KR101129695B1 true KR101129695B1 (ko) 2012-04-12

Family

ID=385227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592A KR101129695B1 (ko) 2006-03-21 2007-03-20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KR1020117008004A KR20110043794A (ko) 2006-03-21 2007-03-20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KR1020127031343A KR20120136429A (ko) 2006-03-21 2007-03-20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004A KR20110043794A (ko) 2006-03-21 2007-03-20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KR1020127031343A KR20120136429A (ko) 2006-03-21 2007-03-20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00263695A1 (ko)
EP (3) EP2460930A3 (ko)
JP (1) JP5258746B2 (ko)
KR (3) KR101129695B1 (ko)
CN (2) CN101437627A (ko)
AU (1) AU2007227788B2 (ko)
BR (1) BRPI0708954A2 (ko)
CA (1) CA2646834A1 (ko)
EA (1) EA012823B1 (ko)
MX (1) MX2008012025A (ko)
MY (1) MY148990A (ko)
SG (1) SG135992A1 (ko)
WO (1) WO2007108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59426A1 (en) * 2008-09-02 2010-03-30 Tgt Entpr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ct detection
KR102263539B1 (ko) 2010-01-22 2021-06-10 얼리젼스 코포레이션 엘라스토머성 물품의 패키징 및 멸균 방법과 그에 의해 생산된 패키징된 엘라스토머성 물품
GB201012692D0 (en) * 2010-07-29 2010-09-15 Bm Polyco Ltd Forensic glove
FR2976510B1 (fr) * 2011-06-20 2015-04-03 Glovea Dispositif de fixation d'un gant, systeme de reconditionnement de gants utilis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de reconditionnement de gants
MY164966A (en) * 2012-06-05 2018-02-28 Pentamaster Eng M Sdn Bh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gloves
CN104438206A (zh) * 2014-12-26 2015-03-25 朱冠宇 一种用于中药的洗药机
US9925015B2 (en) * 2015-07-17 2018-03-27 Thincubus, LLC Wearable protective articles donning system
US10098699B1 (en) * 2015-11-16 2018-10-16 James Buck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sterile medical gloves
US10143529B2 (en) * 2015-12-17 2018-12-04 Glove First, Llc Glove donning system
CN106733836B (zh) * 2016-12-20 2023-05-23 重庆科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工艺及清洗系统
CN110153061B (zh) * 2019-04-23 2021-01-05 苏州天华超净科技股份有限公司 手套自动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IL272406B (en) * 2020-02-02 2020-07-30 Matan Shalom Avshalom Shlomo A machine for putting on a glove on the palm of the hand
CN111358564B (zh) * 2020-04-02 2021-06-01 解涛 一种无间断医用塑胶手套取用设备
CN112317355A (zh) * 2020-09-25 2021-02-05 广州市仪美医用家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品分拣装置的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17023087B (zh) * 2023-10-09 2023-12-22 成都普什制药有限公司 一种检测包装密封性的检漏bfs生产线用翻转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26A (ja) * 1997-12-22 1999-09-07 Canon Inc 部品の再利用システム及び分解を容易にした製品及び分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4666A (en) * 1959-07-10 1962-11-20 Rotary Hospital Equipment Corp Washing machine, particularly for surgical gloves
US3166439A (en) * 1960-03-17 1965-01-19 Dennhofer Heinrich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surgical gloves
DE1541168A1 (de) * 1966-09-08 1970-03-12 Sachtleben Lotte Lor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Gummihandschuhen fuer medizinischen Gebrauch
US3820383A (en) * 1973-06-04 1974-06-28 Dart Ind Inc Glove inspection apparatus
JPS5245100U (ko) * 1975-09-18 1977-03-30
FR2709434B1 (fr) * 1993-09-03 1995-10-27 Seroba Laveuse industrielle pour le nettoyage automatique des outils et équipements utilisés dans les laboratoires agro-alimentaires.
US5402809A (en) * 1994-01-11 1995-04-04 Smith; Jeffrey P. Apparatus for cleaning industrial safety apparel
JPH07218377A (ja) * 1994-02-04 1995-08-18 M Ii C:Kk 薄手の合成樹脂又はゴム膜から成る袋状の製品のピンホールの有無を検査する方法及び装置
JP3015653U (ja) * 1995-03-10 1995-09-05 株式会社アトックス 薄手ゴム手袋装着装置
JPH0979810A (ja) * 1995-09-13 1997-03-28 G C:Kk 薄膜状手袋のピンホール検査装置
JPH10107707A (ja) * 1996-10-03 1998-04-24 Omron Corp 書込/読出制御ユニット及び物品識別システム
GB2337921B (en) * 1998-06-02 2002-01-23 Stuart Thompson Lomas Washing apparatus
DE29820344U1 (de) * 1998-11-13 1999-03-04 Skidata Ag Datenträger zur berührungslosen Kontrolle in Skigebieten
FR2791911B1 (fr) * 1999-04-09 2001-05-25 D P S S A M Procede de tri semi-automatique par taille, de gants jetables a partir d'un ensemble de gants melanges en taille et machin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GB2366430B (en) * 2000-09-01 2004-05-26 Ferroda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ycling
JP2003027317A (ja) * 2001-07-19 2003-01-29 Tanaka Sangyo:Kk 作業用のゴム・ビニールゴム手袋洗浄方法
JP2003170129A (ja) * 2001-12-04 2003-06-17 Clean Techno Service Kk 手袋洗浄乾燥装置及び手袋の洗浄乾燥方法
US20070094303A1 (en) * 2003-11-05 2007-04-26 Arthur Zwingenberger System for management of processed instruments
MC200078A1 (fr) * 2004-05-03 2005-05-18 Scp P M T B Gant, à usage multiples, encode, en polymères naturels ou synthétiques, avec son dispositif physiquede lavage et son suivi informatique individu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26A (ja) * 1997-12-22 1999-09-07 Canon Inc 部品の再利用システム及び分解を容易にした製品及び分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27788B2 (en) 2013-05-30
MY148990A (en) 2013-06-28
AU2007227788A1 (en) 2007-09-27
CA2646834A1 (en) 2007-09-27
EP2460930A3 (en) 2013-05-15
EP2399678A2 (en) 2011-12-28
EA012823B1 (ru) 2009-12-30
JP2009530509A (ja) 2009-08-27
SG135992A1 (en) 2007-10-29
KR20080108132A (ko) 2008-12-11
KR20110043794A (ko) 2011-04-27
WO2007108777A1 (en) 2007-09-27
CN102578731A (zh) 2012-07-18
EP2007531A1 (en) 2008-12-31
KR20120136429A (ko) 2012-12-18
EP2460930A2 (en) 2012-06-06
CN101437627A (zh) 2009-05-20
EP2399678A3 (en) 2013-05-15
US20100263695A1 (en) 2010-10-21
EP2007531A4 (en) 2009-12-09
EA200802021A1 (ru) 2009-04-28
MX2008012025A (es) 2009-01-27
BRPI0708954A2 (pt) 2011-06-14
JP5258746B2 (ja)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695B1 (ko) 재사용가능한 장갑의 처리 시스템
US7997847B2 (en) Automated robotic system for handling surgical instruments
US66309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game ball inspection
JP3455458B2 (ja) 塗布、現像装置及び塗布現像処理における基板再生システム
US7402178B2 (en) Garment processing with biological sanitization and inspection procedures
US6575290B2 (en) Automatic empty container return machine equipped with self-cleaning arrangement
EP2859318B1 (en) Multistage container leak testing
US10890536B2 (en) Gemstone handling and analysis system
US6695145B2 (en) Unique sequencing and sorting system for garments in the uniform rental business
CN108354818B (zh) 鼻腔污物实时检测器
US11721572B2 (en) Integrated semiconductor die vessel processing workstations
US11738241B2 (en) Automatic application of finish to sports ball
BE1027371B1 (nl) Methode voor het reinigen en/of decontamineren van technisch textiel en cleanroom-faciliteit voor de toepassing van een dergelijke methode
US20240149499A1 (en) Mold manufacturing system
JP2024510832A (ja) 滅菌可能な医療製品の作業サイクルを把握し記録する方法
BE1025516A1 (fr) Méthode et système de production automatisée d’un dispositif médical
Borionetti et al. Surface Microdefects Control dur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of Silicon Wafers: an Example of in line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JPH09189607A (ja) 自動測色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搬送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