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388B1 -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388B1
KR101129388B1 KR1020070042191A KR20070042191A KR101129388B1 KR 101129388 B1 KR101129388 B1 KR 101129388B1 KR 1020070042191 A KR1020070042191 A KR 1020070042191A KR 20070042191 A KR20070042191 A KR 20070042191A KR 101129388 B1 KR101129388 B1 KR 101129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witch
circuit
power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067A (ko
Inventor
김진하
권중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388B1/ko
Priority to US11/953,154 priority patent/US7852641B2/en
Priority to EP08100011.9A priority patent/EP1988625B1/en
Priority to CN2008100741041A priority patent/CN101299575B/zh
Publication of KR2008009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067A/ko
Priority to US12/662,892 priority patent/US895334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Abstract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변압기, 변압기의 2차측에 전달되는 전원에 대하여 제1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출력회로, 제1 출력 전원에 따라 변압기의 1차측에 제공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변압기의 2차측에 전달되는 전원에 대하여 제2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출력 회로 및 제 2 출력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2 출력 회로는 제2 출력 회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2 출력 제어부는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치를 차단하거나,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하여 제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압기 2차측에 복수 개의 출력 회로를 구비하되 각각의 출력 회로의 출력 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이 가능하면서 다중 출력에 따른 출력 전원의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having multiple outputs}
도 1은 종래의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중 출력을 갖는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에서 유도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출력을 갖는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에서 유 도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다중 출력 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 모니터,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들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고효율의 전원공급 시스템이 요구된다.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는 이러한 고효율의 전원공급 시스템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회로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한 종류인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라고도 알려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는 소정의 권선비를 가지는 변압기(T)와, 변압기(T)의 1차 코일 즉, 입력 측 코일에 연결된 1차 회로(10) 및 변압기(T)의 2차 코일 즉, 출력 측 코일에 연결된 2차 회로(20)를 구비한다. 이때, 1차 회로(10)와 2차 회로(20)는 변압기(T)에 의하여 절연될 수 있다.
상기 1차 회로(10)는 변압기(T)의 1차 코일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어 스위치(S)를 구비한다. 이때, 제어 스위치(S)는 출력 전압 제어부(30)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변압기(T)의 에너지 충전 또는 전달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2차 회로(20)는 변압기(T)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21)를 구비한다. 정류부(21)는 변압기(T)의 2차 코일과 직렬 연결되는 다이오드(D) 및 콘덴서(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콘덴서(C)의 양단에는 출력단이 형성된다. 즉, 외부 부하는 상기 콘덴서(C)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2차 회로(20)에는 고주파 노이즈 및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여파하기 위한 여파기 및 출력 전압 제어 회로 등이 추가될 수 있다.
1차 회로(10)에 구비된 제어 스위치(S)가 도통되면, 변압기(T)의 2차 코일에는 1차 코일과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유도되고, 이에 따라 정류부(21)의 다이오드(D)는 역 바이어스 상태가 된다. 따라서, 2차 회로(20)로의 전류 흐름은 차단되는 동시에 변압기(T)의 자화 인덕턴스에는 에너지가 충전된다. 즉, 제어 스위치(S)의 도통 상태에서는 변압기(T)에 의한 전류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1차 코일로 공급되는 에너지는 모두 변압기(T)의 자화 인덕턴스에 충전되게 된다.
반면, 제어 스위치(S)가 차단되면, 변압기(T)의 2차 코일에는 상기 도통 상태와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유도되고, 이에 따라 2차 회로(20)의 다이오드(D)가 도통된다. 따라서, 변압기(T)에 충전된 자화 인덕턴스의 전류가 2차 회로(20)로 전달 되며, 출력 단에는 정류부(21)에 의하여 정류된 직류 전압이 출력되게 된다.
한편, 2차 회로(20)의 출력단에는 출력 전압 제어부(30)가 연결된다. 출력 전압 제어부(30)는 2차 회로(20)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제어 스위치(S)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는 제어 스위치(S)의 시비율(Duty Rate)을 조절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 스위치(S)의 동작 제어를 통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20)는 변압기(T)의 자화 인덕턴스 성분을 부스트 인덕터(Boost Inductor)로 활용하여, 1차 회로(10)에 구비되는 제어 스위치(S)의 도통 시에 변압기(T)의 자화 인덕턴스를 충전하고, 제어 스위치(S)의 차단 시에 충전된 자화 인덕턴스의 전류가 변압기(T)의 2차 코일 측으로 넘어가면서 정류된 직류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원리를 갖는다.
따라서, 2차 회로(20)의 입장에서는 변압기(T)가 주기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 처럼 보이게 되므로, 이러한 원리를 갖는 전원공급 장치들을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라고 일컫는 것이다.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는 상술한 플라이백 컨버터 외에도 1차 회로의 추가적인 회로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이러한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는 다른 형태의 전원공급 장치들에 비하여 2차 회로의 정류부 구조가 간단하고 그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다중 출력 구조에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중 출력을 위해서는 각각의 출력에 대응되는 2차 회로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2차 회로의 구조가 간단하면 장치 전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류원 타 입 전원공급 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들은, 다수 개의 변압기를 사용하거나, 각각의 2차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실이 큰 레귤레이터 칩을 다수 개 설치하거나, 각 2차 회로의 출력 전압 피드백 회로가 1차 회로와 연결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앞서 언급한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변압기 2차측에 복수 개의 출력 회로를 구비하되 각각의 출력 회로의 출력 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이 가능한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전달되는 전원에 대하여 제1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출력회로, 상기 제1 출력 전원에 따라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제공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전달되는 전원에 대하여 제2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출력 회로;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회로는 상기 제2 출력 회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제어부 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차단하거나,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하여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회로는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는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변압기의 2차측과 직렬 연결되고, 상기 콘덴서의 양단에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는 게이트 단이 상기 제2 출력 제어부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er Field Effect Transis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전원을 검출하는 출력전원 검출부; 상기 출력전원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소정의 기준 전원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따른 오차값을 출력하는 오차 검출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오차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폭 변조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전원 검출부는 분압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전원은 소정의 전원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네거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보상 회로를 제공하는 보상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회로부는 상기 오차 검출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출력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오차 검출부의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호 직렬 연결된 저항 및 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회로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스위치가 포함된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는, 플라이백, 액티브 클램프 플라이백, 하프 브릿지 플라이백, 직렬 공진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를 방지하기 위한 스너버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력 회로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부는 반파 정류 회로 및 전파 정류 회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출력을 가지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는 N(N은 자연수)개의 출력 전원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출력이 N개인 경우 변압기는 N개의 2차측 코일들을 구비하며, N개의 2차측 코일들에는 각각 2차측 출력 회로들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는 1차측 코일(L1) 및 그 1차측 코일(L1)과 각각 소정의 권선비를 이루는 2개의 2차측 코일들 즉, 제1 코일(L2) 및 제2 코일(L3)을 구비하는 변압기(T)를 포함한다.
1차측 코일(L1)에는 1차측 회로(210)가 연결되어 있고, 2차측의 제1 코일(L2)에는 제1 출력회로(220)가 연결되어 있고, 2차측의 제2 코일(L3)에는 제2 출 력회로(24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1차측 회로(210)와 2차측의 제1 및 제2 출력회로(220, 240)는 변압기(T)에 의하여 서로 절연되어 있다.
여기서, 1차측 회로(210)는 변압기(T)의 1차측 코일(L1)에 연결된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211)를 구비한다. 이때,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211)는 후술하는 제 1 출력 제어부(230)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변압기(T)의 에너지 충전 또는 전달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1 제어신호는 포토 커플러(250)를 통하여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211)에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 커플러(250)는 1차측 회로(110)와 2차측의 제1 출력 회로(220)를 절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며, 발광 소자로는 발광 다이오드가, 수광 소자로는 포토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211)는 변압기(T)의 1차측 코일(L1)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치(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1)가 도통되면, 변압기(T)의 2차측 코일들(L2, L3)에는 1차 코일과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유도된다. 이에 따라, 제1 출력 회로(220)에 구비된 다이오드(D1)는 역 바이어스 상태가 되어 제1 출력 회로(220)로의 전류 흐름은 차단된다.
제1 출력 제어부(230)는 제1 출력 회로(120)에서 생성된 제1 출력 전원에 따라 변압기의 1차측에 제공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제1 출력 제어부(230)는 제1 출력 전원(Vo1)을 피드백하여 제1 스위치(S1)에 제1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제1 스위치(S1)의 시비율(duty rate)을 조절하는 신호를 의미 할 수 있다.
한편, 제2 출력 제어부(260)는,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도통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여, 제2 스위치(S2)로 인가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치(S1)가 도통되면, 제2 출력 회로(240)로의 전류 흐름은 차단된다.
이처럼 제1 스위치(S1)가 도통되면 2차측 출력 회로들(220, 240)로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는 동시에 변압기(T)의 자화 인덕턴스에는 에너지가 충전된다. 즉, 제1 스위치(S1)의 도통 상태에서는 변압기(T)에 의한 전류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1차측 코일로 공급되는 에너지는 변압기(T)의 자화 인덕턴스에 충전된다.
반면, 제1 스위치(S1)가 차단되면, 변압기(T)의 2차측 코일들에는 상기 도통 상태와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유도된다. 이에 따라 제1 출력 회로(220)의 다이오드(D1)는 도통되어 변압기(T)에 충전된 자화 인덕턴스 전류가 제1 출력 회로(220)로 전달된다.
제1 출력 회로(220)는 변압기(T)의 2차측에 전달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제1 출력 전원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1 출력 회로(220)는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221)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정류부(221)는 변압기(T)의 2차측 제 1 코일(L2)에 직렬 연결되는 다이오드(D1) 및 제 1 콘덴서(C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콘덴서(C1)의 양단에는 제1 출력 전원(Vo1)을 위한 제 1 출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정류부(221)는 반파 정류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출력 회로(220)로서 반파 정류기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파 정류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출력 회로(240)는 변압기(T)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정류하여 제2 출력 전원(Vo2)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출력 회로(140)는 제2 스위치(S2)와 제2 콘덴서(C2)를 구비하고, 제 2 스위치(S2)는 제2 출력 제어부(260)에 의하여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Ctrl)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출력 제어부(260)는,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도통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여, 제2 스위치(S2)로 인가한다. 그러나 제1 스위치(S1)가 차단되는 경우, 즉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차단을 의미하는 경우, 제2 출력 제어부(260)는 제2 출력 전원(Vo2)을 피드백하여 제2 스위치(S2)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한 뒤, 제 2 스위치(S2)로 인가함으로써, 제2 출력 전원(Vo2)를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제2 스위치(S2)는 게이트 단이 제2 출력 제어부(16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er Field Effect Transistor)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MOSFET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 제2 스위치(S2)는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게이트 단을 통해 입력받아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도통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 즉 제1 스위치(S1)이 도통되어 1차측 코일로 공급되는 에너지가 변압기(T)의 자화 인덕턴스에 충전되면서 2차측 코일(L3)에 1차측 코일과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유도되는 경우, 제2 스위치(S2)를 차단함으로써, 변압기(T)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정류하여 제2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S1)가 차단되어 2차측 코일(L3)에 상기 도통 상태와 반대 극성의 전압이 유도되는 경우에는 제2 스위치(S2)가 제2 출력 전원(Vo2)을 피드백하여 생성되는 스위칭 제어신호(Ctrl)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제2 출력 전원(Vo2)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 제어부(260)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제2 출력 전원의 오프를 의미하는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제어신호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시스템,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의 대기 상태를 의미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제2 출력 회로(240)가 주전원을 공급하고, 제1 출력 회로(220)가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일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슬립 모드 시에 주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처럼 슬립 모드 시에, 주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회로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차단하여 주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회로에서 전력이 소모되지 않게 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출력 제어부(260)가,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도통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에 제2 스위치(S2)를 차 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고,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차단을 의미하는 경우에 제2 출력 전원(Vo2)을 피드백하여 제2 스위치(S2)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1차측 회로(210)에 구비되는 전류원 타입 회로부의 형태에 따라서, 제 2 출력 제어부(230)가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신호(Ctrl)는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에너지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제2 스위치(S2)에 역 바이어스가 걸리는 경우,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도록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고, 제1 출력 제어부(230)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에 따라 1차측 코일에 공급되는 에너지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제2 스위치(S2)에 정 바이어스가 걸리는 경우, 제2 출력 전원(Vo2)을 피드백하여 제2 스위치(S2)를 제어하도록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면 될 것이다.
한편, 제2 스위치(S2) 대신에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치로 대체하고, 상기 다이오드 및 제2 콘덴서(C2)가 변압기(T)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위치가 제2 출력 전원(Vo2)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에 의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전체 전원회로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다이오드가 추가됨으로써 비용이 추가되는 면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출력 제어부(26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치(S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변압기(T)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정류함과 함께 제2 출력 전원(Vo2)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출력 회로(140)에서의 전력 손실을 감소시켜 효율을 증가시키고, 단순한 회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26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출력 제어부(260)는 출력 전원 검출부(261), 오차 검출부(262), 보상 회로부(263), 주파수 동기화부(264) 및 펄스폭변조부(Pulse Width Modulator : PWM)(265)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전원 검출부(261)는 제2 출력 전원(Vo2)을 일정 전압비로 검출하여 오차 검출부(262)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 전원 검출부(261)는 출력단에 연결된 2개의 저항 즉,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분압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오차 검출부(262)는 출력 전원 검출부(261)에 의하여 제공되는 검출 전원을 소정의 기준 전원(Vref)과 비교하여 그 오차값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차 검출부(262)는 비교기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오차 검출부(262)의 제1 입력단에는 원하는 기준 전원(Vref), 예를 들면 2.5V의 전원이 입력된다. 이때, 기준 전원(Vref)은 전원전압 Vc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저항(R3)과 제너 다이오드(DZ)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오차 검출부(262)의 제2 입력단에는 출력 전원 검출부(261)에 의하여 제공되는 검출 전원이 입력된다.
보상 회로부(263)는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을 이용한 보상회로를 제공하여 제2 출력 제어부(260)의 회로를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상 회로부(263)는 오차 검출부(262)의 출력단과 제2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며, 상호 직렬 연결된 제4 저항(R4) 및 커패시터(Cp)로 구성될 수 있다.
펄스폭변조부(264)는 제1 출력 제어부로부터의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거나, 또는 오차 검출부(262)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제2 스위치(S2)의 도통 및 차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시켜 제2 스위치(S2)로 인가한다. 예를 들면, 펄스폭변조부(265)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도통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에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고, 제1 제어신호가 제1 스위치(S1)의 차단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에 오차 검출부(262)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제2 스위치(S2)의 도통 및 차단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한다.
오차 검출부(262)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제2 스위치(S2)의 도통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는 경우, 스위칭 제어신호(Ctrl)는 오차 검출부(262)에 의하여 제공되는 오차값의 정도에 따라 도통 구간과 차단 구간의 폭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제2 출력 전원(Vo2)을 피드백하고, 검출된 제2 출력 전원(Vo2)의 크기에 따라 제2 스위치(S2)에 흐르는 전류의 도통을 제어함으로써, 제2 출력 회로단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제2 출력 전원(Vo2)을 원하는 크기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출력 제어부(260)가,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제2 출력 전원의 오프를 의미하는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펄스폭변조부(265)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스위치(S2)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Ctrl)를 생성하도록 구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를 액티브 클램프 플라이백 형태로 구성하였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610)의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611)는 변압기(T)의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에 의한 스위칭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능동 스너버(Active Snubber) 회로가 추가된 형태를 갖는다.
즉,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611)는 변압기(T)의 1차측 코일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호 직렬 연결된 콘덴서(Cc) 및 제2 스위치(S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스위치(S2)와 제1 스위치(S1)는 상보적으로 구동되며, 짧은 데드타임(Dead Time)을 갖는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 2 출력 제어부(260)는 전술한 도 2에서 설명한 제 2 출력 제어부(260)와 같다.
제1 스위치(S1)가 도통되면, 변압기(T)에 에너지가 저장되고, 제1 스위치(S1)가 차단되면 변압기(T)에 저장된 에너지가 2차 회로들(120, 140) 측으로 전 달된다. 변압기(T)의 누설 인덕턴스와 자화 인덕턴스에 저장된 에너지는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가 영전압 스위칭(Zero Voltage Switching)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스위치(S2)와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Cc)는 변압기(T)의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변압기(T)의 누설 인덕턴스와 공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를 하프 브릿지 플라이백 형태로 구성하였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 2 출력 제어부(260)는 전술한 도 2에서 설명한 제 2 출력 제어부(260)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510)의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511)는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는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하며, 짧은 데드 타임을 갖는다. 제1 스위치(S1)가 도통되면 변압기(T)에 에너지가 저장되고, 제1 스위치(S1)가 차단되었을 때는 변압기(T)에 저장된 에너지가 2차측 회로들(120, 140)로 전달된다.
또한, 변압기(T)의 1차측 코일과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Cb)는 변압기(T)의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 또는 방전하며, 변압기(T)의 2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에는 변압기(T)의 누설 인덕턴스와 공진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중 출력을 갖는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에서 유도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1차측 회로(510′)의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511′)는 도 5에 도시된 전류원 타입 스위 칭 회로부(511)와 그 동작이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직렬 공진형의 형태로 구성하였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1차측 회로(710)의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711)는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는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하며, 짧은 데드 타임을 갖는다. 또한, 콘덴서(Ce)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r)는 변압기(T)의 누설 인덕턴스 또는 변압기(T) 외부의 추가 인덕터이다.
제1 스위치(S1)가 도통 또는 차단 상태인 동안 콘덴서(Ce)와 인덕터(Lr)는 서로 공진하며, 전류원으로 동작하는 변압기(T)에 의하여 2차측 회로들 측으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출력을 갖는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에서 유도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1차측 회로(710′)의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711′)는 도 7에 도시된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711)와 그 동작이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제1 출력회로(920)가 전파 정류를 수행할 수 있는 전파 정류부(911)를 구비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910)의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 부(911)는 도 2 및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출력회로(920)는 변압기(T)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전파 정류하기 위한 2개의 전류 패스(Path)가 마련되며, 각 패스에는 다이오드(D1, D1′)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911)에 의하여 수행되는 스위칭에 따라 두 패스 중 어느 하나가 반복적으로 도통되어 교대로 정류를 수행함으로써 전파 정류된 제1 출력 전원(Vo1′)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 장치는 간단한 구성의 제2 내지 제N 출력 제어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2차측의 출력회로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보다 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인이 실제로 이러한 전류원 타입 전원공급 장치를 구성한 결과 회로의 크기가 대폭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출력 전원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2차측의 출력회로가 2개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다수개의 2차측의 다중 출력회로가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압기 2차측에 복수 개의 출력 회로를 구비하되 각각의 출력 회로의 출력 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전력 손실을 감소시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이 가능하면서 다중 출력에 따른 출력 전원의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15)

  1.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전달되는 전원에 대하여 제1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제1 출력회로, 상기 제1 출력 전원에 따라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제공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상기 1차측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전달되는 전원에 대하여 제2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제2 출력 회로;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회로는 상기 제2 출력 회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 2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제어신호가 상기 제 1 스위치의 온(ON) 상태에 대응될 때 상기 제 2 스위치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 2 스위치에 상기 제 2 출력 전압이 피드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회로는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는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변압기의 2차측과 직렬 연결되고, 상기 콘덴서의 양단에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게이트 단이 상기 제2 출력 제어부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er Field Effect Transis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전원을 검출하는 출력전원 검출부;
    상기 출력전원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소정의 기준 전원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따른 오차값을 출력하는 오차 검출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오차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원 검출부는 분압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원은 소정의 전원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네거티브 피드백을 이용한 보상 회로를 제공하는 보상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회로부는 상기 오차 검출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출력전원이 인가 되는 상기 오차 검출부의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호 직렬 연결된 저항 및 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회로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스위치가 포함된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는, 플라이백, 액티브 클램프 플라이백, 하프 브릿지 플라이백, 직렬 공진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 타입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를 방지하기 위한 스너버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회로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반파 정류 회로 및 전파 정류 회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0070042191A 2007-04-30 2007-04-30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KR101129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191A KR101129388B1 (ko) 2007-04-30 2007-04-30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US11/953,154 US7852641B2 (en) 2007-04-30 2007-12-10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multiple outputs
EP08100011.9A EP1988625B1 (en) 2007-04-30 2008-01-02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multiple outputs
CN2008100741041A CN101299575B (zh) 2007-04-30 2008-02-14 具有多个输出的电源设备
US12/662,892 US8953343B2 (en) 2007-04-30 2010-05-10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multiple outpu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191A KR101129388B1 (ko) 2007-04-30 2007-04-30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067A KR20080097067A (ko) 2008-11-04
KR101129388B1 true KR101129388B1 (ko) 2012-03-26

Family

ID=3968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191A KR101129388B1 (ko) 2007-04-30 2007-04-30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52641B2 (ko)
EP (1) EP1988625B1 (ko)
KR (1) KR101129388B1 (ko)
CN (1) CN1012995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64Y1 (ko) 2012-06-29 2013-01-21 김효종 매트형 자동온열마사져의 다출력 전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1631A2 (en) * 2004-04-13 2005-10-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yback converter
DE102007029767B3 (de) * 2007-06-22 2008-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echselrichter
US8378695B2 (en) * 2009-06-17 2013-02-19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Determining the dead time in driving a half-bridge
KR101663834B1 (ko) * 2010-07-23 2016-10-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d 전원 장치
KR20120030742A (ko) * 2010-09-20 201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회로장치
US8427848B2 (en) 2010-12-22 2013-04-23 Power Integrations, Inc. Variable time clamp for a power supply controller
US8587152B2 (en) * 2011-03-27 2013-11-19 The Boeing Company Sequential shunt regulator with analog fill control
JP2012216766A (ja) * 2011-03-30 2012-11-08 Sanken Electric Co Ltd Led駆動装置及びled照明装置
KR20130046196A (ko) * 2011-10-27 2013-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3116392A (zh) * 2011-11-16 2013-05-22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多显示器集中供电系统
US20130214607A1 (en) * 2012-02-17 2013-08-22 Enphase Energy, In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ancelling during power conversion
KR101388766B1 (ko) * 2012-12-10 2014-04-25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 출력 전원 공급 장치
CN104410278B (zh) * 2014-12-26 2017-02-2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dcdc变换器
EP3076550A1 (en) * 2015-03-30 2016-10-05 ALSTOM Technology Ltd Circuit and a method for the galvanically isolated control of a semiconductor switch
JP6902155B2 (ja) * 2017-09-22 2021-07-14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電源回路及びアダプター
CN108237943B (zh) * 2018-01-17 2019-05-17 深圳威迈斯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双输出端口充电电路及其控制方法
CN108683339B (zh) * 2018-06-14 2020-01-1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提高llc谐振电路电压输入范围的方法
CN108768178B (zh) * 2018-06-14 2020-01-1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宽电压输入的llc谐振半桥电路
TWI666674B (zh) * 2018-07-12 2019-07-21 康舒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電子斷路器的電源供應設備及其控制方法
CN113726174B (zh) * 2021-07-29 2024-03-22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控制电路及应用其的谐振变换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356A (ja) * 1999-01-25 200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多出力dc/dcコンバ―タ
JP2002136141A (ja) * 2000-10-24 2002-05-10 Sanken Electric Co Ltd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70014012A (ko) * 2005-07-26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9403A (en) * 1992-07-24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Multi-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JP3563816B2 (ja) * 1995-03-08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069804A (en) * 1998-07-28 2000-05-30 Condor D.C. Power Supplies, Inc. Bi-directional dc-to-dc power converter
US6330169B2 (en) * 2000-02-25 2001-12-11 Condor D.C. Power Supplies Inc. Converter output regulation via channel resistance modulation of synchronous rectifiers
US6950950B2 (en) * 2001-12-28 2005-09-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chnique for conveying overload conditions from an AC adapter to a load powered by the adapter
JP2003319649A (ja) * 2002-02-22 2003-11-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電源回路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電源制御方法
ITTO20020545A1 (it) * 2002-06-21 2003-12-22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di controllo in modalita' pwm per la post-regolazione di alimentatori a commutazione a molte uscite
CN1262061C (zh) * 2003-07-09 2006-06-28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多路输出电路
US7515442B2 (en) * 2005-05-27 2009-04-0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econdary side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356A (ja) * 1999-01-25 200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多出力dc/dcコンバ―タ
JP2002136141A (ja) * 2000-10-24 2002-05-10 Sanken Electric Co Ltd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70014012A (ko) * 2005-07-26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64Y1 (ko) 2012-06-29 2013-01-21 김효종 매트형 자동온열마사져의 다출력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8625A2 (en) 2008-11-05
EP1988625A3 (en) 2015-12-30
CN101299575B (zh) 2013-03-20
US20080266910A1 (en) 2008-10-30
US7852641B2 (en) 2010-12-14
CN101299575A (zh) 2008-11-05
EP1988625B1 (en) 2018-07-18
KR20080097067A (ko)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388B1 (ko)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KR100813979B1 (ko)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US752243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9099927B2 (en) Multi-voltage power supply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385089B2 (en) Multiple-output switching power supply unit
US874999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6671193B1 (en) Power source and arrangement for restricting the short-circuit current or rectifier
KR101214172B1 (ko) 동기 정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출력을 갖는 전원공급장치
US8488343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passive clamp circuit
KR20150098430A (ko) 전원 공급 장치
JPWO2011132275A1 (ja) 電流共振電源
US10483860B1 (en) Primary side constant current regulation
US10483864B1 (en) Method for detecting short circuit conditions in frequency control loop components
US895334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multiple outputs
KR20150050119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2195566B1 (ko) 무선 전력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20150006932A1 (en) Power supply apparatus
JP200432883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100840638B1 (ko) 대기전력 저감용 다출력 스위칭 전원 회로
JPH11341805A (ja) 安定化電源回路
KR100629518B1 (ko) 다출력 스위칭 전원장치
JP2004248414A (ja) 直流電源装置
JPS63136958A (ja) 画像形成装置用の電源装置
JP200121847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50116915A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