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087B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087B1
KR101129087B1 KR1020097019231A KR20097019231A KR101129087B1 KR 101129087 B1 KR101129087 B1 KR 101129087B1 KR 1020097019231 A KR1020097019231 A KR 1020097019231A KR 20097019231 A KR20097019231 A KR 20097019231A KR 101129087 B1 KR101129087 B1 KR 10112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data
service
service descrip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351A (ko
Inventor
료따 야기
사또시 데라다
메구미 이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28Query predicate defini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menus and fo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UI 양식 선택부(20)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상기 UI 양식 선택부(20)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기술 생성부(5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양식을 이용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생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UI 양식 선택부,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단말 데이터, 서비스 기술 데이터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USER INTERFACE GENERATOR, INFORMATION TERMINAL, RECORDING MEDIUM, AND USER INTERFACE GEN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기의 기능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양식으로부터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모바일 단말기,그리고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 하드 디스크 레코더 등의 정보 가전 기기에, 사용자가 기기의 기능을 이용할 때에 사용하는, 정보의 표시 양식이나 데이터 입력 방식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왔다.
최근, 정보 가전 기기의 기능이 다양화하는데 수반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XHTML(eXtensible Hyper Text Markup Language), SVG(Scalable Vector Graphics),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등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표준 데이터 포맷을 사용해서 작성되도록 되어 왔다. 또한, 이하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성 하기 위해서 이 표준 데이터 포맷에 의해 기술된 것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줄여서 UI 기술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UI 기술을, 정보 가전 기기 간에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당해 표준 데이터 포맷에 대응한 브라우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기술이 알려지도록 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로서, UI 기술의 양식(템플릿)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에, 타이틀의 부가나 슬라이드 쇼의 작성, 레이아웃 등을 행하는 것이다. 이 기술에서는, 촬영한 화상을 원하는 배치에서 레이아웃해서 출력할 경우, 모드 절환 스위치에 의해 앨범 작성 모드로 이행한다. 미리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둔 템플릿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 템플릿에 삽입하는 화상을, 기록부에 기록된 화상 중에서 선택한다. 선택된 템플릿은, SVG로 기술되어 있으며, 그 중에 삽입되는 화상의 수인 <image> 요소를 포함한다.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이, 그 <image> 요소에 삽입되어, 기록 매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레이아웃을 행할 수 있다. 슬라이드 쇼나 타이틀에 대해서도, SVG 템플릿을 준비하고, 그것에 화상 데이터 파일명을 끼워 넣음으로써 카메라 단일 부재로 작성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템플릿에 기재된 <image> 요소의 수와 동일수의 화상까지밖에, 템플릿에 채워 넣을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템플릿의 일부분에 반복 이용되는 영역을 마련하고, 지정된 사용자 화상의 수에 따라서, 그 영역을 반복 이용하는 횟수를 변경함으로써, 화상의 수가 다른 경우라도 동일한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복수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앨범 템플릿(양식)에 사용자 화상을 삽입함으로써 앨범을 작성한다. 이 기술에서는, 복수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지정하고 있는 앨범 템플릿의 데이터 구조는, 적어도 1개의 삽입 영역을 갖는 1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지정하고 있는 페이지 템플릿이 각각 1개 기록되는 복수의 페이지 템플릿 영역과, 복수의 페이지 템플릿의 삽입 영역에 소정의 순서로 삽입되는 복수의 사용자 화상을 포괄 지정하는 링크 정보가 기록되는 링크 지정 영역과, 링크 정보에서 포괄 지정된 사용자 화상수에 따라서 표시 시에 반복 이용되는 페이지 템플릿을 지정하는 반복 정보가 기록되는 반복 지정 영역을 포함한다.
이 앨범 템플릿의 데이터 구조에 의하면, 페이지마다 사용자 화상을 지정하지 않고, 복수의 페이지 템플릿의 삽입 영역에 삽입되는 복수의 사용자 화상을 링크 정보에 의해 포괄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포괄 지정이란, 개개의 페이지 템플릿에 대해서가 아닌, 복수의 페이지 템플릿이 포함되는 섹션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 화상을 지정하는 것이다. 또한, 포괄 지정되는 사용자 화상의 수에 변경이 발생했다고 해도, 페이지 템플릿의 반복 이용 횟수는 표시 시에 지정되어 있는 사용자 화상수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페이지 템플릿에 대하여 사용자 화상을 재지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앨범 템플릿의 데이터 구조에 의하면, 앨 범 템플릿을 이용한 앨범 작성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가, 앨범 템플릿을 선택하고, 사용자 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 또는 복수의 사용자 화상을 지정함으로써 포괄 지정하면, 포괄 지정된 링크 정보가, 페이지 템플릿을 포함하는 섹션과 1 : 1로 대응시킬 수 있어, 링크 지정 영역으로 설정된다. 출력부는, 포괄 지정된 링크 정보의 사용자 화상수에 따라서, 섹션에 포함되는 페이지 템플릿을 반복 이용하여, 각각이 특정한 1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지정하는 복수의 페이지 템플릿을 복제하여, 완성형 앨범 템플릿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화상수에 따른 페이지 수의 앨범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76216호 공보(공개일 : 2005년 6월 30일)」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42836호 공보(공개일 : 2005년 9월 8일)」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사용자 화상수에 따라서, 사용하는 양식을 절환할 수는 없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1 페이지당 12개의 화상을 채워 넣는 페이지 템플릿을 사용해서 화상 13개를 표시하는 경우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2 페이지째에는, 13개째의 화상 1개만이 삽입되고, 나머지 11개분의 화상 삽입 부분은 공백으로 되어 버린다. 이러한 경우에, 공백 부분에 추가로 다른 화상을 삽입하거나, 2 페이지째의 공백 부분이 적어져, 형식이 좋아지도록 1 페이지당 8개의 화상을 채워 넣는 페이지 템플릿으로 절환하거나 함으로써,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을 행할 수는 없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사용자는, 어떠한 양식을 사용할지, 명시적으로 양식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의 레이아웃이 세로 길이인지 혹은 가로 길이인지에 따라서 자동으로 종형 또는 횡형의 레이아웃에 대응한 양식을 선택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양식을 이용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생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생성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치의 상태에 따라서 사용하는 양식을 절환하거나, 양식에 채워 넣어지는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서 사용하는 양식을 절환하거나, 양식에 채워 넣어지는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서, 양식에 더 채워 넣는 제2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한다고 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선택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제시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때의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이용하면,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단말 데이터가, 단말 장치가 세로 길이 표시의 모드인 것을 나타내고,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는,「인터넷 열람」 서비스와 「메일 열람」 서비스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 선택 수단은 세로 방향으로 아이콘을 2개 채워 넣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에,「인터넷 열람」 및 「메일 열람」이라고 하는 문자열 등을 채워 넣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의 세로 길이의 화면 위에 표시된,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된 문자열을 참조하면서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한 서비스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단말 장치 내에 포함되어도 좋고, 단말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2)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택 수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통신 수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취득된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동작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다양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3)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통신 수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4)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개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선택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제시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으로서,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때에 제시하는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사용하면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제시하는 서비스의 개수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5)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의 표시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표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선택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때의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말 데이터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의 표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이용하면,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표시 상태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화면이 가로 길이인지 혹은 세로 길이인지에 대한 정보이며, 선택 수단은 화면이 가로 길이인지 혹은 세로 길이인지에 따라서, 가장 적절한 레이아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단말 장치의 표시 상태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6)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표시 상태 정보는, 상기 화면의 종횡비 및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선택 수단은, 예를 들어 화면의 종횡비가 9 : 16, 3 : 4 또는 3 : 5이면 가로 길이의 화면이며, 화면의 종횡비가 16 : 9, 4 : 3 또는 5 : 3이면 세로 길이의 화면이라고 판단하고, 또한 화면의 기울기를 검지하고, 화면의 하부 방향을 판단하여, 가장 적절한 레이아웃이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화면의 종횡비 및 방향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화면의 종횡비와 화면의 방향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7)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입력 모드에 의해 사용자 조작의 접수 방법을 변경하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입력 모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선택 수단은 입력 수단이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 모드를 기초로 하여,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이용하면,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입력 모드의 예로서는, 저장식 키보드가 전개 상태인지 혹은 저장 상태인지를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력 모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입력 수단의 입력 모드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8)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입력 모드가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접수하는 모드일 경우,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서비스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화면 표시를 추가해서 제시하는 상기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력 모드가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접수하는 모드일 경우, 사용자가 키 입력에 의해 서비스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화면 표시(예를 들어 포커스 프레임)가 추가해서 제시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9)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더하여,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선택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제시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으로서,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때에 제시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기초로 하여,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이용하면,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종류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제시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0)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의 상기 서비스의 제시 단위가 페이지 단위일 경우,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상기 서비스를 모두 제시할 수 있는 페이지 수를 갖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의 서비스의 제시 단위가 페이지 단위일 경우, 서비스를 모두 제시할 수 있는 페이지 수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가 선택되므로, 사용자는 페이지 절환에 의해, 어떠한 서비스도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1)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하는 상기 서비스를 절환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경우,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의 상기 개수에 따른 화면 중에서의 적합한 제시 위치를 지정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서, 제시하는 상기 서비스를 절환한다고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한번에 모든 서비스에 대응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는, 커서 키의 누름에 의해, 아이콘을 순서대로 스크롤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의 개수에 의해, 제시되는 서비스의 제시 위치가 적절하게 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가 선택되므로, 사용자는 서비스의 개수가 바뀌었을 때에도, 커서 키의 누름 등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아이콘의 스크롤 등의 절환을, 적합한 위치에 표시해서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2)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의 상기 개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 상기 설명을 제시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의 빈 부분에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가 선택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빈 부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3)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의 상기 개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를 아울러 제시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빈 부분에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을 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가 선택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빈 부분을 유효하게 또한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4)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에 관한 아이콘 화상 데이터에의 참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상기 아이콘 화상 데이터의 폭 및 높이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에 관한 아이콘 화상 데이터의 폭 및 높이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아이콘 화상을 가장 적절한 사이즈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5)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길이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가장 적절한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16)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거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아이콘 데이터를 통합한 패키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패키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와 상기 아이콘 데이터를 추출하는 패키지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와 아이콘 데이터는, 패키지로서 통합하여 취급할 수 있으므로, 패키지를 제공하는 서버측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측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및 아이콘 데이터의 취급이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으로서, 선택 수단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이,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와 마찬가지로, 선택 수단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제시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때의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이용하면,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런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좋고,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실현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제어 프로그램은, 적어도 상술한 선택 수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며,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에는, 당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제어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면, 당해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입력 수단은 문자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이, 사용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과, 단말 데이터 취득 수단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취득 수단(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축적부)과, 서비스 기술 데이터 및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선택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와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인터넷 경유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인터넷 경유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되는 서비스의 수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 데이터는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표시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화면 표시 모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화면 표시 모드는, 화면 표시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입력 수단의 입력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입력 모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입력 수단은 문자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이, 사용 상태인지 비사용 상태인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이 사용 상태일 때는, 이용자가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서비스 및 기능을 선택하는 포커스 프레임을 표시시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또한 일련의 서비스 및 기능의 종류의 기술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종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는, 정보의 제시 단위인 페이지 단위로 이용자에게 제시를 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일련의 서비스 및 기능의 개수를 제시하는데 충분한 페이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는, 이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서, 서비스 및 기능의 제시 위치를 차례로 절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일련의 서비스 및 기능의 개수에 적합한 제시 위치에 있어서, 서비스 및 기능을 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이용 가능한 일련의 서비스 및 기능에 대한 설명 기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일련의 서비스 및 기능의 개수가 일정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설명 기술을 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서는,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일련의 서비스 및 기능의 개수가 일정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을 통해, 제2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일련의 서비스 및 기능을 아울러 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아이콘 데이터를 통합한 패키지 데이터를 수신해 해동하는, 패키지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단말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기능이 없는 모바일 단말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기능이 있는 모바일 단말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모바일 단말의 외관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모바일 단말이,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고, UI 기술을 생성하여 실행할 때까지의 처리 순서의 흐름도이다.
도 5는 UI 양식 데이터 및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를 패키지로 한 예의 모식도이다.
도 6은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이며, (a)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10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며, (b)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15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며, (c)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26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도 7은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이며, (a)는 단말 데이터에 화면의 종횡비가 예를 들어 9 : 16 즉 가로 길이의 화면 표시를 행하는 상태라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예이며, (b)는 단말 데이터에 화면의 종횡비가 예를 들어 16 : 9 즉 세로 길이의 화면 표시를 행하는 상태라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예이다.
도 8은 스크롤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이며, (a)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1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며, (b)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4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며, (c)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15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도 9는 추가 정보가 표시된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서, 모바일 단말이,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고, UI 기술을 생성하여 실행할 때까지의 처리 순서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의,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정보가 표시된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이다.
도 12는 모바일 단말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서버를 포함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모바일 단말(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2 : 키보드(입력 수단)
3 : 표시 방향 절환 키
4 : 화면
5 : 터치 스크린(입력 수단)
6 : 아이콘
7 : 추가 정보 표시 영역
8 : 서비스명
10, 10b :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
11 :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부(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
20 : UI 양식 선택부(선택 수단)
30 : 단말 데이터 취득부
40, 40b :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
41 : UI 양식 데이터 취득부(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취득 수단)
50 : UI 기술 생성부(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
60 : UI 기술 실행부
70, 70b : 아이콘 화상 축적부
71 : 아이콘 화상 취득부
80 : 입력부(입력 수단)
90 : 출력부
100 : 통신부(통신 수단)
120 : 모바일 단말
122 : 통신부
124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서버(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26 : 통신부
128 : 인터넷
501 : UI 양식 데이터
502 : 화상 데이터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의 일실시 형태로서, 단말 상태, 서비스 기술 데이터(후술)에 기술된 단말 기능의 개수 등에 따라서,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양식을 절환하는 모바일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UI 양식 데이터에 대해서>
UI 양식 데이터라 함은, 그 일부에 정지 화상이나 문자열을 채워 넣음으로써, SVG, HTML 등의 표준 데이터 포맷에 의한 UI 기술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서비스에 대해서>
서비스라 함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처리 결과인 것이다. 서비스의 예로서는, 모바일 단말이 내장되어 있는 각종 기능이거나, 모바일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인터넷 상의 서버 등에 요구한 처리에 대한 처리 결과인 것으로 한다.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대해서>
서비스 기술 데이터라 함은, 모바일 단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일람을 기록한 데이터이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기능에는, 모바일 단말 그 자체의 기능에다가,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도 포함된다.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는, 서비스를 식별하는 서비스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가 서비스를 지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위에 표시되는 아이콘 화상의 아이콘 화상 식별자, 서비스의 타이틀 문자열, 서비스의 상세 설명 문자열 등이 기록된다.
<단말 데이터에 대해서>
단말 데이터라 함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단말 데이터에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 모드, 화면 표시 모드, 스피커의 음량 레벨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이 갖는 하드웨어 키보드의 사용 상태(예를 들어, 키보드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 화면 표시의 방향(예를 들어, 세로 길이에서 사용하는 모드인지 가로 길이에서 사용하는 모드인지), 스피커의 음량이 뮤트 상태인지의 여부 등의 정보가, 단말 데이터에 포함된다.
<모바일 단말의 구성(데이터의 외부 취득 없음)에 대해서>
도 1에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단말(1a)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모바일 단말(1a)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지 않는 구성이다.
모바일 단말(1a)은,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 UI 양식 선택부(20)(선택 수단), 단말 데이터 취득부(30),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 UI 기술 생성부(50)(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 UI 기술 실행부(60), 아이콘 화상 축적부(70), 입력부(80)(입력 수단), 및 출력부(90)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는, 모바일 단말(1a)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기술되어 있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미리 축적하고 있으며, 그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UI 양식 선택부(20) 및 UI 기술 생성부(50)에 출력한다.
UI 양식 선택부(20)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로부터 받은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단말 데이터 취득부(30)로부터 받은 단말 데이터를 해석하고, 서비스의 종류와, 서비스 기술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개수와, 그 시점에서의 모바일 단말(1a)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데 가장 적합한 UI 양식을 선택하고, 그 UI 양식의 UI 양식 데이터를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로부터 취득하고, UI 기술 생성부(50)에 제공한다.
단말 데이터 취득부(30)는, 수시 모바일 단말(1a)의 상태를 취득하고, UI 양식 선택부(20)에 출력한다.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는, UI 양식 데이터를 미리 축적하고 있으며, UI 양식 선택부(20)에 선택된 UI 양식의 UI 양식 데이터를, UI 양식 선택부(20)에 출력한다.
UI 기술 생성부(50)는, UI 양식 선택부(20)로부터 받은 UI 양식 데이터에 대하여,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로부터 받은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열과 아이콘 화상 식별자를 채워 넣어서 UI 기술을 생성하고, UI 기술 실행부(60)에 출력한다.
UI 기술 실행부(60)는, UI 기술 생성부(50)로부터 받은 UI 기술을 해석하고, 지정된 문자열, 도형, 및 아이콘 화상 축적부(70)로부터 취득한 아이콘 화상을, 출 력부(9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또한, UI 기술 실행부(60)는 입력부(80)를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선택 지시를 받아,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UI 기술 실행부(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한다.
아이콘 화상 축적부(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화상을 미리 축적하고 있다. 아이콘 화상 축적부(70)는, UI 기술 실행부(60)에, UI 기술 실행부(60)로부터 요구된 아이콘 화상을 출력한다.
입력부(80)는,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입력을, UI 기술 실행부(60)에 출력한다. 입력부(80)는, 예를 들어 키보드, 커서 키, 터치 스크린 등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부(90)는 UI 기술 실행부(60)로부터 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출력부(9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실현된다.
<모바일 단말의 구성(데이터의 외부 취득 있음)에 대해서>
도 2에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단말(1b)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모바일 단말(1b)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1b)의 구성 중, 모바일 단말(1a)의 구성에 더 추가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1b)은, 모바일 단말(1a)의 구성에 더하여,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부(11)(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 UI 양식 데이터 취득부(41)(사용자 인 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취득 수단), 아이콘 화상 취득부(71), 및 통신부(100)(통신 수단)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부(11)는 통신부(100)를 거쳐, 서비스 기술 데이터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고,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b)에 출력한다.
UI 양식 데이터 취득부(41)는 통신부(100)를 거쳐, UI 양식 데이터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UI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고,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b)에 출력한다.
아이콘 화상 취득부(71)는 통신부(100)를 거쳐, 아이콘 화상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아이콘 화상을 취득하고, 아이콘 화상 축적부(70b)에 출력한다.
통신부(100)는 네트워크를 거쳐, UI 양식 데이터를 제공하는 UI 양식 데이터 서버,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 서버, 및 아이콘 화상을 제공하는 아이콘 화상 서버와 통신을 행하고, 각각의 서버로부터, UI 양식 데이터, 서비스 기술 데이터, 및 아이콘 화상을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의 외관에 대해서>
도 3에서, 모바일 단말의 외관의 예를, 모식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3(a)는, 저장식의 키보드(2)(입력 수단)가 전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의 외관예이다. 키보드(2)는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문자 입력 및 커서 입력)을 접수한다. 키보드(2)와는 독립하여, 화면의 표시 방향을 절환하는 표시 방향 절환 키(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 방향 절환 키(3)를 이용 하여, 사용자는 화면(4)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세로 길이 화면 또는 가로 길이 화면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절환한다. 화면(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출력을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 스크린(5)(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도 접수한다.
도 3(b)는, 키보드(2)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의 외관예이다. 키보드(2)는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키보드 입력은 행할 수 없고, 터치 스크린(5)을 통한 입력만을 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동작 순서에 대해서>
도 4에서, 모바일 단말이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고, UI 기술을 생성하여 실행할 때까지의 처리 순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UI 양식 선택부(20)가,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응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 이하 S1이라 약칭).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는, 미리 축적해 둔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제공해도 좋고,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부(11)를 통해서 서비스 기술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제공해도 좋다.
다음에, UI 양식 선택부(20)는, 취득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해석하고,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개수 및 종류를 파악한다(S2).
다음에, UI 양식 선택부(20)는 단말 데이터 취득부(30)로부터, 그 시점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상태를 기록한 단말 데이터를 취득한다(S3).
다음에, UI 양식 선택부(20)는 서비스의 개수 및 종류와, 단말 데이터를 기 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가장 적절한 UI 양식을 선택하고,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로부터, 그 UI 양식의 UI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고, UI 기술 생성부(50)에 출력한다(S4).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는, 미리 축적해 둔 UI 양식 데이터를 제공해도 좋고, UI 양식 데이터 취득부(41)를 통해 UI 양식 데이터 서버로부터 취득한 UI 양식 데이터를 제공해도 좋다.
다음에, UI 기술 생성부(50)가, UI 양식 선택부(20)로부터 받은 UI 양식 데이터에 대하여,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로부터 취득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문자열 및 아이콘 화상의 취득처를 나타내는 아이콘 화상 식별자를 채워 넣어서, UI 기술을 생성하고, UI 기술 실행부(60)에 출력한다(S5).
다음에, UI 기술 실행부(60)가, 수취한 UI 기술을 해석 및 실행하고, 아이콘 화상 식별자에 의거하여 필요한 아이콘 화상을 아이콘 화상 축적부(70)로부터 취득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채워 넣음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한다(S6).
<UI 기술을 보존하는 구성에 대해서>
또한, 상기 설명에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 UI 기술을 생성하는 순서를 나타냈지만, 이외에, 예를 들어 서비스를 최초로 이용할 때에 생성된 UI 기술을 보존해 두고, 다음번 이후에 그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보존해 둔 UI 기술을 재이용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UI 양식 데이터 및 아이콘 화상의 패키지화에 대해서>
또한, 상기 설명에는, UI 양식 데이터 취득부(41) 및 아이콘 화상 취득부(71)가, 각각 독립적으로, UI 양식 데이터 서버 및 아이콘 화상 서버로부터, UI 양식 데이터 및 아이콘 화상을 취득하는 구성을 나타냈다.
이 이외에, UI 양식 데이터와, 그 UI 양식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UI 기술에 참조되는 아이콘 화상을, 한 묶음의 패키지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b)은 통신부(100)를 통해, 패키지를 제공하는 패키지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패키지를 취득하고, 그 패키지로부터 UI 양식 데이터 및 아이콘 화상을 추출하고, 각각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b) 및 아이콘 화상 축적부(70b)에 출력하는 패키지 취득부(패키지 취득 수단,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즉, 패키지는 UI 양식 데이터와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하나의 아카이브 데이터이다. 모바일 단말(1b)에는, 패키지 취득부가 아카이브 데이터를 해동하고, UI 양식 데이터와 아이콘 화상을 추출하여, 각각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b) 및 아이콘 화상 축적부(70b)에 출력한다.
도 5에서, UI 양식 데이터(501) 및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502)를 패키지로 한 예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뉴에의 적용>
본 실시 형태를,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뉴에 적용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서비스의 개수에 의한 UI 양식 데이터의 절환에 대해서>
이하에서는, 그리드 형상, 즉 바둑판의 눈 형상으로, 서비스인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배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페이지 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6에서,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양식 데이터는, 키보드가 저장되어 있으며, 가로 길이 화면에 의한 표시인 경우에 선택되는 것이다.
아이콘(6)은,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시켜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사용자는, 이들의 아이콘(6)에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도 6(a)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 즉 서비스인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수가, 10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12개 이하인 경우에는, 1 페이지당 4열x3줄의 위치에 아이콘을 채워 넣는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도 6(b)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15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13개 이상 22개 이하인 경우에는, 1 페이지당 4열x3줄(단 우측 하단부에 1개분이 비어 있음)의 위치에 아이콘을 채워 넣는 UI 양식 데이터를, 2 페이지분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도 6(b)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이들 2 페이지 중, 1 페이지째를 나타내고 있다. 페이지의 우측 하단부의 영역에는, 페이지 이동용 아이콘(601)과, 페이지 번호(602)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페이지 이동용 아이콘(601)에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2 페이지째로 이동하고, 12개째로부터 15개째까지의 아이콘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12개째로부터 15개째까지의 아이콘에 대응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도 6(c)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26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23개 이상 33개 이하인 경우에는, 1 페이지당 4열x3줄(단 우측 하단부에 1개분이 비어 있음)의 위치에 아이콘을 채워 넣는 UI 양식 데이터를, 3 페이지분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도 6(c)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이들 3페이지 중, 2 페이지째를 나타내고 있다. 페이지의 우측 하단부의 영역에는, 페이지 이동용 아이콘(601, 603)과, 페이지 번호(602)가 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되는 서비스의 개수에 따라서, 전체 페이지 수, 페이지 번호, 및 페이지 이동용 아이콘의 표시가 다른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의 개수에 따른 쓰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의 개수에 의해, 제시되는 서비스의 제시 위치가 적절하게 조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가 선택되므로, 사용자는 서비스의 개수가 바뀌었을 때에도, 커서 키의 누름 등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아이콘의 스크롤 등의 절환을, 적합한 위치에 표시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을 표시할 때 애니메이션에 의한 움직임을 부가할 경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에 따라서, 아이콘의 애니메이션이 다른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의 개수에 따른, 훨씬 쓰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 이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화면의 종횡비에 의한 UI 양식 데이터의 절환에 대해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는, 단말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면의 종횡비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을 조정하는 것이다.
도 7에서,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양식 데이터는, 키보드가 저장되고,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10개인 경우에 선택되는 것이다.
도 7(a)는, 단말 데이터에 있어서, 화면(4)의 종횡비가 예를 들어 9 : 16, 즉 가로 길이의 화면 표시를 행하는 상태라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예이다.
가로 길이의 화면 표시인 경우는, 4열x3줄의 UI 양식 데이터에, 아이콘(6)을 채워 넣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도 7(b)는, 단말 데이터에, 화면(4)의 종횡비가 예를 들어 16 : 9, 즉 세로 길이의 화면 표시를 행하는 상태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예이다.
세로 길이의 화면 표시인 경우에는, 3열x4줄의 UI 양식 데이터에, 아이콘(6)을 채워 넣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4)의 종횡비를 기초로 하여, 아이콘을 배치하는 레이아웃이 다른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화면의 종횡비에 따른 쓰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면의 종횡비가 9 : 16, 3 : 4 또는 3 : 5이면 가로 길이의 화면이며, 화면의 종횡비가 16 : 9, 4 : 3 또는 5 : 3이면 세로 길이의 화면이 라고 판단하고, 또한 화면의 기울기를 검지하고, 화면의 하부 방향을 판단하여, 가장 적절한 레이아웃이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다. 이 경우, 화면의 종횡비 및 방향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화면의 종횡비와 화면의 방향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키보드의 전개/저장 상태에 의한 UI 양식 데이터의 절환에 대해서>
이하에서는, 스크롤형, 즉 사용자 지시를 기초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순서대로 스크롤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는, 키보드의 저장/전개 상태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키보드 입력을 이용하는지의 여부를 절환하는 것이다.
도 8에서, 스크롤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양식 데이터는, 키보드가 전개되어 있으며, 가로 길이 화면에 의한 표시인 경우에 선택되는 것이다.
아이콘(6)은,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시켜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또한, 서비스명(8)은 화면(4) 위, 중앙에 표시되어 있는, 즉 포커스 프레임에 들어 있는 아이콘에 대응한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이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키보드(2)의 상하 커서 키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각 아이콘(6)을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 이동시킨다. 그리고 결정 키의 누름에 의해, 그 시점에, 포커스 프레임에 들어 있는 아이콘에 대응한 애플리케이 션이 기동된다.
도 8(a)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1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본 예에서는, 유일한 아이콘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키보드 상의 상하 커서가 조작된 경우도, 아이콘의 표시는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에, 상하 커서의 조작이 검지된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변형해서 표시하는 애니메이션이 실행된다.
도 8(b)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4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본 예에서는, 화면 중앙의 포커스 프레임에 들어간 아이콘을 사이에 두고, 그 상측에 2개의 아이콘, 하측에 1개의 아이콘, 합계 4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키보드 상의 상하 커서 키가 조작된 경우, 중앙의 포커스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측에 3개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태로부터, 하측에 3개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태까지의 범위에, 4개의 아이콘이 상하로 스크롤 이동한다.
도 8(c)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15개인 경우의 표시예이다. 본 예에서는, 화면 중앙의 포커스 프레임에 들어간 아이콘을 사이에 두고, 그 상측에 3개의 아이콘, 하측에 3개의 아이콘, 합계 7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8개의 아이콘은 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키보드 상의 상하 커서 키가 조작된 경우, 중앙의 포커스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측에 3개, 하측에 3개, 합계 7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 범위에, 15개의 아이콘이 상하로 스크롤 이동한다. 즉, 하부 방향으로의 스크롤의 경우, 비표시였던 아이콘이 가장 위의 아이콘으로서 표시되는 동시에, 표시되어 있던 가장 밑 의 아이콘이 비표시된다. 상부 방향으로의 스크롤의 경우에는, 이 반대이다.
커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비표시였던 아이콘이 순서대로 표시되므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화면 위에 표시시켜, 선택하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키보드 사용 시에는, 키보드 입력을 이용할 수 있는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키보드의 저장/전개 상태에 따라서, 훨씬 쓰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 정보의 유무에 의한 UI 양식 데이터의 절환에 대해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추가 정보의 유무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절환하는 것이다.
도 9에서, 추가 정보가 표시된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양식 데이터는, 키보드가 전개되어 있으며, 가로 길이 화면에 의한 표시이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1개인 경우에 선택되는 것이다.
아이콘(6)은, 아이콘에 대응시켜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사용자는, 이 아이콘(6)에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정보 표시 영역(7)은,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서비스의 상세한 설명인 문자열이 채워 넣어지는 영역이다.
이상과 같이,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화면(4) 위가 비어 있는 영역에, 서비스의 추가 정보를 표시시키는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더욱 쓰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보충 사항>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UI 양식 선택부(20)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나타냈다. 이 이외에, UI 양식 선택부(20)가,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규칙이 기술된 선택 규칙 스크립트를 별도로 취득하고, 그 선택 규칙 스크립트에 기술된 선택 규칙을 따라서,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일없이, 복수의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각각의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나타냈다. 이외에, UI 양식 선택부(20)가,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아이콘 화상 식별을 기초로 하여 취득된 아이콘 화상의 화상 표시 사이즈를 기초로 하여,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예를 들어,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서비스에 관한 아이콘 화상 데이터에의 참조를 더 포함하고, UI 양식 선택부(20)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아이콘 화상 데이터의 폭 및 높이에 따라서,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해도 좋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a)은 아이콘 화상을 가장 적절한 사이즈로 표 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I 양식 선택부(20)가,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문자열의 길이를 기초로 하여,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a)은,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가장 적절한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의 일실시 형태로서,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에,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바일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의 구성 및 외관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모바일 단말의 동작 순서에 대해서>
도 10에서, 모바일 단말이,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고, UI 기술을 생성하여 실행할 때까지의 처리 순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우선, UI 양식 선택부(20)가,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응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한다(S1).
다음에, UI 양식 선택부(20)는, 취득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해석하고,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개수 및 종류를 파악한다(S2).
다음에, UI 양식 선택부(20)는,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경우에는, S3의 처리로 진행한다.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의 수 미만인 경우에는, S12의 처리로 진행한다.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의 수 미만인 경우, UI 양식 선택부(20)는,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로부터 취득한다(S12).
다음에, UI 양식 선택부(20)는 단말 데이터 취득부(30)로부터, 그 시점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상태를 기록한 단말 데이터를 취득한다(S3).
다음에, UI 양식 선택부(20)는 서비스의 개수 및 종류와,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가장 적절한 UI 양식을 선택하고,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로부터, 그 UI 양식의 UI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고, UI 기술 생성부(50)에 출력한다(S4).
다음에, UI 기술 생성부(50)가, UI 양식 선택부(20)로부터 받은 UI 양식 데이터에 대하여,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로부터 취득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문자열 및 아이콘 화상의 취득처를 나타내는 아이콘 화상 식별자와,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문자열 및 아이콘 화상 식별자를 채워 넣어서, UI 기술을 생성하고, UI 기술 실행부(60)에 출력한다(S5b).
다음에, UI 기술 실행부(60)가, 수취한 UI 기술을 해석 및 실행하고, 아이콘 화상 식별자를 기초로 하여 필요한 아이콘 화상을 아이콘 화상 축적부(70)로부터 취득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채워 넣음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한다(S6).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뉴에의 적용>
본 실시 형태를, 애플리케이션 기동 메뉴에 적용한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서비스의 개수에 의한 UI 양식 데이터의 절환에 대해서>
이하에서는, 그리드 형상으로 아이콘을 배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소정의 수 이하일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에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11에서,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정보가 표시된 그리드형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양식 데이터는, 키보드가 전개되어 있으며, 가로 길이 화면에 의한 표시이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수가 1개일 경우에 선택되는 것이다.
아이콘(6)은, 아이콘에 대응시켜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사용자는, 이 아이콘(6)에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7)은,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가 1개이므로 추가로 취득된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상세 설명 문자열과,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아이콘 화상 식별자로부터 참조되는 아이콘이, 채워 넣어지는 영역이다.
이상과 같이,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의 개수가 소정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화면 위가 비어 있는 영역에,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정보 를 추가해서 표시하는 UI 양식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추가의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보충 사항>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를 모바일 단말로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냈다.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를,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디지털 가전 기기로서, 실현해도 좋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반드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기기 그 자체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가,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서, 모바일 단말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기능을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을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의 모바일 단말(120)은 도시하지 않은 휴대 전화망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터넷(128)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서버(124)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는 구성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서버(124)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 축적부(10), UI 양식 선택부(20)(선택 수단), 단말 데이터 취득부(30), UI 양식 데이터 축적부(40), UI 기술 생성부(50)(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 아이콘 화상 축적부(70), 및 통신부(126)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120)은 UI 기술 실행부(60), 입력부(80)(입력 수단), 출력부(90), 및 통신부(122)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모바일 단말(120)의 통신부(122)는, 단말 데이터를 인터넷(128)을 통해 사용 자 인터페이스 생성 서버(124)에 송신한다. 이 단말 데이터를 통신부(126)가 수신하고, 단말 데이터 취득부(30)에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단말 데이터 취득부(30)는, 단말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취득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서버(124)의 통신부(126)는, 아이콘 데이터를 아이콘 화상 축적부(70)로부터 취득하고, 또한 UI 기술을 UI 기술 생성부(50)로부터 취득한다. 취득한 아이콘 데이터 및 UI 기술을, 인터넷(128)을 통해 모바일 단말(120)에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120)에서는, 송신된 아이콘 데이터 및 UI 기술을 통신부(122)가 수신하고, UI 기술 실행부(60)에 출력한다.
그 밖에, 각 실시 형태에 설명이 끝난 부재가 실행하는 각 처리는, 상술한 것과 본질적으로 차이는 없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모바일 단말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서버가 물리적으로 일체화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본 발명에 의한 이점을, 양자가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유사한 기술이, 국제 공개 특허 공보(WO2007/026845)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양식 데이터에 입력 데이터를 채워 넣음으로써, 기기의 기능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또한, 양식 데이터에 대한, 편집 조작을 정의하는 생성 규제를 기초로 하여, 예를 들어 아이콘 화상 등의 입력 데이터 개수를 기초로 하여 양식 데이터의 일부를 복사해서 치환 대상 부위를 늘리고, 그 후 치환 대상 부위를 입력 데이터로 치환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입력 데이터의 개 수가 변화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연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 종래 기술과 본 발명과의 사이에는 유사점이 있지만, 명확한 차이점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양식 데이터의 일부를 치환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기술을 생성하는 점에 있어서, 상기한 종래 기술에 유사하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템플릿을, 입력 데이터의 개수, 단말의 화면 종횡비, 및 단말의 입력 모드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하는 점에 있어서, 상기 종래 기술과 명확하게 차이가 있다. 이 차이점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비해 훨씬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의 각 블록, 특히 UI 양식 선택부(20), UI 기술 생성부(50), 및 UI 기술 실행부(60)는,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구성해도 좋고, 다음과 같이 CPU를 이용해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read only memory),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사용자 인 터페이스 생성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실행 형식 프로그램, 중간 코드 프로그램, 소스 프로그램)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한 기록 매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 공급하고, 그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달성 가능하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CD-R 등의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함)/광 카드 등의 카드계, 혹은 마스크 ROM/EPROM/EEPROM/플래시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를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공급해도 좋다. 이 통신 네트워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LAN, ISDN, VAN, CATV 통신망, 가상 전용망(virtual private network), 전화 회선망, 이동체 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 매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IEEE1394, USB, 전력선 반송, 케이블 TV 회선, 전화선, ADSL 회선 등의 유선이라도, IrDA나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적외선, Bluetooth(등록 상표), 802.11무선, HDR, 휴대 전화망, 위성 회선, 지상파 디지털망 등의 무선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전자적인 전송으로 구현화된, 반송파에 채워 넣어진 컴퓨터 데이터 신호의 형태라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이상과 같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은, 이상과 같이, 선택 수단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이,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로 인해,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이며, 그러한 구체예에만 한정해서 좁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므로, 서비스 기술 데이터의 내용과 단말 장치의 상태에 가장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휴대 단말 및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정보 가전 기기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로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개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는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 취득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의 표시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표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태 정보는,
    상기 화면의 종횡비 및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입력 모드에 따라 상이한 방법으로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 데이터는,
    상기 입력 모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입력 모드가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접수하는 모드일 경우,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서비스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화면 표시를 추가해서 제시하는 상기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의 상기 서비스의 제시 단위가 페이지 단위일 경우,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기술된 상기 서비스를 모두 제시할 수 있는 페이지 수를 갖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하는 상기 서비스를 절환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경우,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의 개수에 따라 상기 서비스가 화면 중에서 제시되어야 할 위치를 지정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의 상기 개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
    상기 설명을 제시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의 상기 개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서비스를 합해서 제시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에 관한 아이콘 화상 데이터에의 참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상기 아이콘 화상 데이터의 폭 및 높이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아이콘 데이터를 통합한 패키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패키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와,
    상기 아이콘 데이터를 추출하는 패키지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7. 제1항에 기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를 구비한 정보 단말.
  18. 제1항에 기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삭제
  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으로서,
    선택 수단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말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수단이,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기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의 개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서비스의 개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양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KR1020097019231A 2007-02-16 2008-02-08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KR101129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7174 2007-02-16
JPJP-P-2007-037174 2007-02-16
PCT/JP2008/052114 WO2008099776A1 (ja) 2007-02-16 2008-02-08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情報端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351A KR20090111351A (ko) 2009-10-26
KR101129087B1 true KR101129087B1 (ko) 2012-03-23

Family

ID=3969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231A KR101129087B1 (ko) 2007-02-16 2008-02-08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15434A1 (ko)
EP (1) EP2124142A4 (ko)
JP (1) JP5254812B2 (ko)
KR (1) KR101129087B1 (ko)
CN (1) CN101606125A (ko)
WO (1) WO2008099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164B1 (ko) * 2008-08-12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렉터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0061296A (ja) * 2008-09-02 2010-03-18 Sharp Corp データ作成装置、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供給システム、データ作成方法、データ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876895A (zh) * 2009-04-28 2010-11-03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网格计算环境下应用软件的封装集成方法
KR20110068550A (ko) * 2009-12-16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로컬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CN101833418B (zh) 2010-04-28 2014-12-3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在界面中添加图标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536651B (zh) * 2010-04-28 2019-01-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在界面中添加图标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8730269B2 (en) * 2010-05-14 2014-05-20 Citrix Systems, Inc. Interpreting a gesture-based instruction to selectively display a frame of an application user interface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10302516A1 (en) * 2010-06-02 2011-12-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obile design patterns
US10445113B2 (en) * 2011-03-01 2019-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the user interface to suit the display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USD817979S1 (en) * 2011-04-25 2018-05-15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104441B2 (en) * 2011-09-30 2015-08-11 Avaya Inc. Context and application aware selectors
JP2013114424A (ja) * 2011-11-28 2013-06-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装置、情報処理装置、画面設定ファイル生成方法、画面表示方法、および画面設定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USD712918S1 (en) 2012-09-11 2014-09-0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772682B1 (en) * 2012-11-21 2017-09-26 Open Tex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election of application dialog layout design
TWI501137B (zh) * 2012-12-11 2015-09-21 Inst Information Industry 互動頁面樣版的編輯系統、方法及其記錄媒體
AU349995S (en) 2013-01-09 2013-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72253S1 (en) * 2013-02-19 2016-11-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0860S1 (en) * 2013-02-22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40325400A1 (en) * 2013-04-30 2014-10-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panel view interface for a browser operating on a computing device
TWD166921S (zh) * 2013-08-14 2015-04-01 新力電腦娛樂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之圖形化使用者介面
USD752079S1 (en) * 2013-10-15 2016-03-22 Deere & Company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1593S1 (en) * 2013-10-25 2016-03-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679410A (zh) * 2013-12-03 2015-06-03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对用户事件的响应方法
CN104142787B (zh) * 2014-08-08 2017-08-25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终端中生成和使用向导界面的设备和方法
CN105629908B (zh) * 2014-10-31 2019-02-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物联网设备控制方法和装置
CN104572084B (zh) * 2014-12-22 2018-01-1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卡片业务中用户界面生成及数据下发方法、装置
JP6263282B2 (ja) * 2015-01-16 2018-01-17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開発支援システム
KR101622872B1 (ko) * 2015-02-11 2016-05-1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공식계정의 리치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D776151S1 (en) 2015-04-27 2017-01-10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s
USD771072S1 (en) 2015-04-27 2016-11-08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815007A (zh) * 2015-12-02 2017-06-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应用程序的处理方法和装置
CN105867931B (zh) * 2016-04-07 2019-05-07 北京橙鑫数据科技有限公司 信息展示界面的变更方法和装置
US11816459B2 (en) * 2016-11-16 2023-11-14 Native Ui,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programming system
US10838699B2 (en) 2017-01-18 2020-11-1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Generating data mappings for user interface screens and screen components for an application
US10733754B2 (en) 2017-01-18 2020-08-0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model from an image
IL271255B2 (en) 2017-06-16 2023-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reating a rule-based user interface
GB2568586B (en) * 2017-10-02 2022-11-23 Fisher Rosemou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nd presenting a display navigation hierachy in a process plant
US10788972B2 (en) 2017-10-02 2020-09-2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populating a display area with historized process parameters
US10489126B2 (en) 2018-02-12 2019-11-2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utomated code generation
CN108551556A (zh) * 2018-03-20 2018-09-18 厦门星罗网络科技有限公司 视频相册的图像复用方法及装置
US10901593B2 (en) * 2018-09-21 2021-01-26 Salesforce.Com, Inc. Configuring components in a display template based on a user interface type
JP2021027555A (ja) * 2019-08-08 2021-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57110A1 (en) * 2020-05-13 2021-11-18 Cbs Interacti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nsistent user interfaces across multiple computing platfor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02A (ko) * 2001-10-12 2003-04-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77A (ja) * 1992-06-23 1994-01-14 Hitachi Ltd Gui制御プログラム自動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H08101759A (ja) * 1994-09-30 1996-04-16 Ricoh Co Ltd 複数種類の入力手段を有する電子機器
US6029182A (en) * 1996-10-04 2000-02-22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for generating a custom formatted hypertext document by using a personal profile to retrieve hierarchical documents
US6185587B1 (en) * 1997-06-19 2001-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web site with automated help
JP3657424B2 (ja) * 1998-03-20 200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情報を放送するセンター装置と端末装置
US6597384B1 (en) * 1999-12-22 2003-07-22 Intel Corporation Automatic reorienting of screen orientation using touch sensitive system
JP3879350B2 (ja) * 2000-01-25 2007-0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構造化文書処理システム及び構造化文書処理方法
US7190976B2 (en) * 2000-10-02 2007-03-13 Microsoft Corporation Customizing the display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US7263668B1 (en) * 2000-11-09 2007-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interface to a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with variable comprehensiveness levels of menu items dependent upon size of variable display screen available for menu item display
US20030037311A1 (en) * 2001-08-09 2003-02-20 Busfield John David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computer scripting languages in multimedia deployment platforms
US20030128239A1 (en) * 2001-12-27 2003-07-10 Full Degre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XML schema publishing into a user interface
US20030156132A1 (en) * 2002-02-21 2003-08-21 Nandakumar G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graphical interface to enable local or remote access to an application having a command line interface
US20030172193A1 (en) * 2002-03-07 2003-09-11 Olsen Jesse Dale User interface generato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user interface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7148990B2 (en) * 2002-08-15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hotobook
JP4039191B2 (ja) * 2002-09-20 2008-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操作画面表示装置、操作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12658B2 (en) * 2002-11-14 2008-08-12 Sap Ag Modeling system for graphic user interface
JP4079087B2 (ja) * 2003-03-12 2008-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レイアウトシステム
US20040243973A1 (en) * 2003-06-02 2004-12-02 Kwong Man K.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40249849A1 (en) * 2003-06-05 2004-12-09 Michael Mordkovich Conversion system
US7339598B2 (en) * 2003-07-11 2008-03-04 Vistaprint Technolog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duct design
JP2005086382A (ja) * 2003-09-08 2005-03-31 Seiko Epson Corp 画像のレイアウトに用いるテンプレートの選択処理
DE10351351B4 (de) * 2003-11-04 2007-03-22 Siemens Ag Verfahren und System zur dynamischen Generierung von User Interfaces
JP4235541B2 (ja) * 2003-12-15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32652B2 (ja) 2004-02-27 2009-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334426B2 (ja) * 2004-07-09 2009-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Uiコンテンツ生成方法、ui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ui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
US7721219B2 (en) * 2004-08-02 2010-05-18 Microsoft Corporation Explicitly defining user interface through class definition
US8799800B2 (en) * 2005-05-13 2014-08-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user interface generation
US7392473B2 (en) * 2005-05-26 2008-06-2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gical document structure
US8072427B2 (en) * 2006-05-31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JP4800104B2 (ja) * 2005-06-13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ルバム作成装置、アルバ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36966A (ja) * 2005-07-29 2007-02-08 Seiko Epson Corp 電子番組情報受信装置、電子番組表生成方法、電子番組表生成プログラム、電子番組表生成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EP1930814A4 (en) * 2005-08-31 2013-11-06 Sharp Kk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AND SYSTEM
JP4555197B2 (ja) * 2005-09-16 2010-09-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レイアウト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730422B2 (en) * 2006-01-25 2010-06-0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icon placement across desktop size changes
JP4950074B2 (ja) * 2006-01-30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102847B2 (ja) * 2006-06-30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139026B2 (en) * 2006-08-02 2012-03-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resentation of text and images o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orientation of the device
US9001047B2 (en) * 2007-01-07 2015-04-07 Apple Inc. Modal change based on orientation of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02A (ko) * 2001-10-12 2003-04-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컴퓨터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4142A1 (en) 2009-11-25
WO2008099776A1 (ja) 2008-08-21
JPWO2008099776A1 (ja) 2010-05-27
JP5254812B2 (ja) 2013-08-07
KR20090111351A (ko) 2009-10-26
EP2124142A4 (en) 2010-08-04
US20100115434A1 (en) 2010-05-06
CN101606125A (zh)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08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정보 단말,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US8347224B2 (en) Content viewing method, content view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in which a content viewing program is stored
US107474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using a cursor
US8543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media content and executing functions related to media content
JP5406176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US8806380B2 (en) Digital device and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59572B1 (ko) 전자 장치의 대기 화면 재구성
TWI570580B (zh) 巡覽一瀏覽器中之複數個內容項目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程式產品
KR101450640B1 (ko) 유저인터페이스생성장치
JP6223405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EP192631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in cross shape
US20100299606A1 (en) Multimedia reproduction apparatus, menu screen display method, menu screen display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menu screen display program
EP24053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6164261A (ja) 改良型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を有するデータ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US9418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tems
JP5840722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4757785B2 (ja) 選択装置、制御方法、選択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4519154A (zh) 页面内容的显示方法和装置
EP2330822A1 (en) Moving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moving image reproduction method
JP4381216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携帯電話、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CN107025306A (zh) 网页加载方法和装置、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34805B1 (ko) 시간형 작업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CN103106079B (zh) 数字内容阅读器及其显示方法
JP4796985B2 (ja) 合成方法、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02173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