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369B1 -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 Google Patents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369B1
KR101128369B1 KR1020090112862A KR20090112862A KR101128369B1 KR 101128369 B1 KR101128369 B1 KR 101128369B1 KR 1020090112862 A KR1020090112862 A KR 1020090112862A KR 20090112862 A KR20090112862 A KR 20090112862A KR 101128369 B1 KR101128369 B1 KR 10112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plate
length member
bracke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154A (ko
Inventor
권철진
Original Assignee
권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철진 filed Critical 권철진
Priority to KR102009011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3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은,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의 강재 기둥과, 상기 각 기둥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보가 포함되어 구성된 육면체 형태의 조립식 건축물에 있어서, 두 개의 기둥과, 두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보로 구성된 외장설치부와; 상기 외장설치부의 기둥과 보에 외장설치부 중앙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고정부와, 일측이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외장설치부 중앙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제1볼트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로 구성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외장설치부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 관 형태의 다수 개의 길이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부재에 의해 둘러쌓인 다수 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장설치부의 기둥 또는 보에 연결되는 측의 길이부재 끝단에는 배면 및 양 측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장골격과; 상기 길이부재의 절개부 상부 양 측벽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부재연결부와, 상기 길이부재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부재 내측을 향해 꺾여 형성된 판 형상의 절곡부와, 절곡부 선단으로부터 길이부재연결부와 평행하면서 길이부재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2볼트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브라켓연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길이부재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격된 채 설치되어 이격된 틈 사이로 연결브라켓의 돌출부가 끼워진 채 제1볼트삽입홀과 제2볼트삽입홀에 볼트가 체결되어 연결브라켓과 고정되도록 된 한 쌍의 브라켓고정장치와; 상기 외장골격의 개구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연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 둘레연결부와 외장골격의 길이부재가 맞닿은 채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고, 전면에 외장판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외장베이스판과; 상기 외장베이스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상기 외장판연결구와 체결되는 체결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외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조각 맞추기 놀이와 같은 퍼즐 형태로 외장판을 다수 설치하여 외벽을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다수 개의 외장판이 설치된 외장골격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외장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외장골격에 외장베이스판을 설치한 후 외장베이스판에 외장판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외장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이 제공된다.
조립, 건축물, 외장, 교체, 분리, 브라켓

Description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PREFABRICATED HOUSE WITH SEPARABLE EXTERIOR PLATE}
본 발명은, 조각 맞추기 놀이와 같은 퍼즐 형태로 외장판을 다수 설치하여 외벽을 형성하되, 외장골격 및 외장판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외벽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은 구조벽체의 외측으로 미장을 바른 후 마감으로 페인트 칠을 하거나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때, 마감재의 종류로 타일이나 대리석 등을 브라켓과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시공 방법들은 외장을 구현하는 데 시공이 복잡하고 공비가 높아 건축주들에게 외장의 교체는 적게는 10년에서 길게는 몇 십년에 한번 정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외장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외장을 교체할 수 있는 조립판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065호)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판넬본체와 상기 판넬본체의 전방에 부착되는 외장벽체로 이루어져 조립식건물의 벽체 및 지붕을 구성하는 통상의 조립판넬에 있어서, 판넬본체와 하나 이상의 외장벽체는 연속된 하나 이상의 더브테일 형상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가이드홈이 결합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조적식 판넬 등에 적용되는 기술로 다양한 외관의 형태가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게는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종래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조각 맞추기 놀이와 같은 퍼즐 형태로 외장판을 다수 설치하여 외벽을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다수 개의 외장판이 설치된 외장골격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외장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외장골격에 외장베이스판을 설치한 후 외장베이스판에 외장판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외장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은,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의 강재 기둥과, 상기 각 기둥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보가 포함되어 구성된 육면체 형태의 조립식 건축물에 있어서, 두 개의 기둥과, 두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보로 구성된 외장설치부와; 상기 외장설치부의 기둥과 보에 외장설치부 중앙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고정부와, 일측이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외장설치 부 중앙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제1볼트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로 구성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외장설치부 내측에 설치되며, 사각 관 형태의 다수 개의 길이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부재에 의해 둘러쌓인 다수 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장설치부의 기둥 또는 보에 연결되는 측의 길이부재 끝단에는 배면 및 양 측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장골격과; 상기 길이부재의 절개부 상부 양 측벽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부재연결부와, 상기 길이부재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부재 내측을 향해 꺾여 형성된 판 형상의 절곡부와, 절곡부 선단으로부터 길이부재연결부와 평행하면서 길이부재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2볼트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브라켓연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길이부재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격된 채 설치되어 이격된 틈 사이로 연결브라켓의 돌출부가 끼워진 채 제1볼트삽입홀과 제2볼트삽입홀에 볼트가 체결되어 연결브라켓과 고정되도록 된 한 쌍의 브라켓고정장치와; 상기 외장골격의 개구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연결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 둘레연결부와 외장골격의 길이부재가 맞닿은 채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고, 전면에 외장판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외장베이스판과; 상기 외장베이스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상기 외장판연결구와 체결되는 체결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외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볼트삽입홀 및 제2볼트삽입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유격을 갖는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브라켓의 돌출부는 고정부와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장판연결구는 일측이 상기 외장베이스판 전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외장베이스판 전면으로 돌출된 채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장치는 외장판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외장판과의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장판연결구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베이스판의 둘레연결부 선단에 중앙측으로 꺾여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조각 맞추기 놀이와 같은 퍼즐 형태로 외장판을 다수 설치하여 외벽을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이 제공된다.
특히, 다수 개의 외장판이 설치된 외장골격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외장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이 제공된다.
아울러, 외장골격에 외장베이스판을 설치한 후 외장베이스판에 외장판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외장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은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의 강재 기둥(11)과, 상기 각 기둥(11)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보(12)가 포함되어 구성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육면체 형상에 기둥(11)과 보(12)를 추가로 연결하여 도면과 같이 보다 복합적인 형태의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기둥(11)과, 두 기둥(11)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보(12)를 하나의 외장설치부(10)로 규정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은, 외장설치부(10)를 포함하여 연결브라켓(20), 외장골격(30), 브라켓고정장치(40), 외장베이스판(50), 외장판(6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결브라켓(20)은 고정부(21)와 돌출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취하며, 외장설치부(10)를 구성하고 있는 기둥(11)과 보(12)에 외장설치부(10) 중앙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기둥(11)이나 보(12)에 고정부(21)가 고정되는 방식은 용접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돌출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고정부(2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외장설치부(10) 중앙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제1볼트삽입홀(22a)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2)는 외장골격(30)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재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외장골격(30)은 사각 관 형태의 다수 개의 길이부재가 서로 연결된 채 구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설치부(10)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외장골격(30)을 구성하는 길이부재들은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길이부재들은 도시된 것처럼 직선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원형, 스플라인 등 다양한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다수 개의 길이부재가 서로 연결됨으로 인해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부재들 또는 외장설치부(10)를 구성하는 기둥(11), 보(12)와 길이부재 사이에 다수 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외장골격(30)을 형성하는 길이부재들은 기둥(11) 또는 보(12)와 연결되는 측 끝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배면 및 양 측면이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골격(30)을 구성하는 각 길이부재는 볼트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으나 용접으로 상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외장골격(30)을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로 형성할 경우에는 금형을 이 용하여 일체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브라켓고정장치(40)는 외장골격(30)을 구성하는 길이부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외장설치부(10)를 구성하고 있는 기둥(11)과 보(12)에 설치된 연결브라켓(20)에 고정되되,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치되며, 특히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밀어넣기 식으로 삽입한 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고정장치(40)는 길이부재연결부(41), 절곡부(42) 및 브라켓연결부(43)의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길이부재연결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부재의 절개부(31) 상부 양 측벽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길이부재 양 측벽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절곡부(42)는 길이부재연결부(4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부재 내측 공간을 향해 꺾여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연결부(43)는 절곡부(42) 선단으로부터 길이부재연결부(41)와 평행하면서 길이부재연결부(41)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2볼트삽입홀(43a)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두 브라켓연결부(43)는 서로 맞닿아 있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며, 이격된 거리는 연결브라켓(20)의 돌출부(22)가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거리가 바람직하다.
즉, 연결브라켓(20)이 기둥(11) 또는 보(12)에 설치되어 있고, 브라켓고정장 치(40)가 길이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브라켓고정장치(40)의 두 브라켓연결부(43) 사이로 연결브라켓(20)의 돌출부(22)를 끼운 상태에서 연결브라켓(20)의 제1볼트삽입홀(22a)과 브라켓연결부(43)의 제2볼트삽입홀(43a)을 볼트(44)로 관통시킨 후 너트(45)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너트(45)를 길이부재에 미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조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외장베이스판(50)은 외장골격(30)에 형성되어 있는 각 개구부(3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연결부(52)가 형성되어 있어 둘레연결부(52)는 외장골격(30)의 길이부재 또는 외장설치부(10)의 기둥(11)이나 보(12)에 맞닿은 채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외장베이스판(50)의 전면에는 외장판연결구(51)가 설치되어 외장판(6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외장판(60)은 외장베이스판(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외장판연결구(51)와 체결되는 체결장치(6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외장판(60)의 크기는 외장베이스판(50)의 크기보다 0.5 ~ 3 cm 정도 작게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골격(30)을 구성하는 각 길이부 재는 다양한 형태로 경사지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기둥(11)이나 보(12)에 길이부재가 경사지게 맞닿게 되므로 연결브라켓(20)의 돌출부(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볼트삽입홀(22a)과, 브라켓고정장치(40)의 브라켓연결부(43)에 형성되어 있는 제2볼트삽입홀(43a)이 정확히 일직선상으로 일치되기 힘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트삽입홀(22a) 및 제2볼트삽입홀(43a)은 길이 방향을 따라 유격을 갖는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장방형이라 함은 사각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 방향측이 길이가 긴 튜브 형태도 포함된다 할 것이다.
아울러, 길이부재가 기둥(11)이나 보(12)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점을 고려할 때 연결브라켓(20)의 돌출부(22)가 브라켓고정장치(40)의 두 브라켓연결부(43)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오차가 발생했을 때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20)의 돌출부(22)는 고정부(21)와 경첩(7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장판연결구(51)와 체결장치(61)의 예로, 외장판연결구(51)는 일측이 외장베이스판(50) 전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외장베이스판(50) 전면으로 돌출된 채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장치(61)는 외장판(60)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외장판(60)과의 사이에 삽입홈(61a)이 형성되어 있고, 외장판연결구(51)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외장판(60)을 외장베이스판(50) 전면에 맞댄 상태에서 일측으 로 밀게 되면 삽입홈(61a)에 외장판연결구(51)의 절곡 부분이 끼워져 고정되게 되어 간편하게 외장판(6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장판(60)의 설치가 용이한 관계로 다양한 디자인의 외장판(6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설치한 외장판(60)이 바람 등에 의해 움직여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베이스판(50)의 둘레연결부(52) 선단에 중앙측으로 꺾여 돌출된 걸림부(53)를 형성하여 외장판(60)의 유동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과 브라켓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과 브라켓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외장골격에 외장베이스판 및 외장판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외장베이스판에 걸림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과 브라켓고정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외장설치부 11 : 기둥
12 : 보 20 : 연결브라켓
21 : 고정부 22 : 돌출부
22a : 제1볼트삽입홀 30 : 외장골격
31 : 절개부 32 : 개구부
40 : 브라켓고정장치 41 : 길이부재연결부
42 : 절곡부 43 : 브라켓연결부
43a : 제2볼트삽입홀 44 : 볼트
45 : 너트 50 : 외장베이스판
51 : 외장판연결구 52 : 둘레연결부
53 : 걸림부 60 : 외장판
61 : 체결장치 61a : 삽입홈
70 : 경첩

Claims (5)

  1.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의 강재 기둥(11)과, 상기 각 기둥(11)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보(12)가 포함되어 구성된 육면체 형태의 조립식 건축물에 있어서,
    두 개의 기둥(11)과, 두 기둥(11)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보(12)로 구성된 외장설치부(10)와;
    상기 외장설치부(10)의 기둥(11)과 보(12)에 설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고정부(21)와, 일측이 고정부(2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고정부(21)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볼트삽입홀(22a)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2)로 구성된 연결브라켓(20)과;
    상기 외장설치부(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기둥(11)과 보(1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사각 관 형태의 다수 개의 길이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부재에 의해 둘러쌓인 다수 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외장설치부(10)의 기둥(11) 또는 보(12)에 연결되는 측의 길이부재 끝단에는 배면 및 양 측면이 절개된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외장골격(30)과;
    상기 길이부재의 절개부(31) 상부 양 측벽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부재연결부(41)와, 상기 길이부재연결부(4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부재 내측을 향해 꺾여 형성된 판 형상의 절곡부(42)와, 절곡부(42) 선단으로부터 길이부재연결부(41)와 평행하면서 길이부재연결부(41)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2볼트삽입홀(43a)이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의 브라켓연결부(43)로 구성되어 있고, 길이부재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격된 채 설치되어 이격된 틈 사이로 연결브라켓(20)의 돌출부(22)가 끼워진 채 제1볼트삽입홀(22a)과 제2볼트삽입홀(43a)에 볼트가 체결되어 연결브라켓(20)과 고정되도록 된 한 쌍의 브라켓고정장치(40)와;
    상기 외장골격(30)의 개구부(32) 형상에 대응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연결부(52)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 둘레연결부(52)와 외장골격(30)의 길이부재가 맞닿은 채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고, 전면에 외장판연결구(51)가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외장베이스판(50)과;
    상기 외장베이스판(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상기 외장판연결구(51)와 체결되는 체결장치(61)가 설치되어 있는 외장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삽입홀(22a) 및 제2볼트삽입홀(43a)은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의 돌출부(22)는 고정부(21)와 경첩(7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연결구(51)는 일측이 상기 외장베이스판(50) 전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외장베이스판(50) 전면으로 돌출된 채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장치(61)는 외장판(60)의 후면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외장판(60)과의 사이에 삽입홈(61a)이 형성되어 있고, 외장판연결구(51)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베이스판(50)의 둘레연결부(52) 선단에 중앙측으로 꺾여 돌출된 걸림부(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KR1020090112862A 2009-11-20 2009-11-20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KR101128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862A KR101128369B1 (ko) 2009-11-20 2009-11-20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862A KR101128369B1 (ko) 2009-11-20 2009-11-20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54A KR20110056154A (ko) 2011-05-26
KR101128369B1 true KR101128369B1 (ko) 2012-03-23

Family

ID=4436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862A KR101128369B1 (ko) 2009-11-20 2009-11-20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3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05A (ko) * 2006-05-29 2006-06-16 김종성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80082223A (ko) * 2007-03-08 2008-09-11 도준호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05A (ko) * 2006-05-29 2006-06-16 김종성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80082223A (ko) * 2007-03-08 2008-09-11 도준호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54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6938B1 (en) Steel floor structure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US20110107696A1 (en) Item of wall-like standing furniture
KR101128369B1 (ko) 분리식 외장판이 구비된 조립식 건축물
KR200456347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20180010685A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99160A (ko) 넉다운 파티션 결합장치
KR20100007098U (ko) 가로바를 이용한 판넬 설치 유닛
JP5686722B2 (ja) 枠材の連結構造
CN108678246B (zh) 一种石材格栅玻璃幕墙立柱、安装架及安装架的搭建方法
EP3158137B1 (en) A modular building system and a method of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to construct such building system
JP5437758B2 (ja) パネル取付構造及びパネル取付方法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101734087B1 (ko) 비정형 조립식 트러스 지붕 구조물 시스템
JP3162329U (ja) グレーチングの連結構造
KR20100011591U (ko)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CN204180440U (zh) 一种立柱型材及使用该立柱型材的机柜
JP3534335B2 (ja) 間仕切り壁ランナーの支持構造
KR101197608B1 (ko) 강화 차폐펜스
KR20090009275U (ko) 벽체 구조
KR200347889Y1 (ko) 조립식 울타리
JP4421363B2 (ja) バルコニー
JP3118953U (ja) 型枠用開き止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