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457B1 - 배기가스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457B1
KR101126457B1 KR1020090110810A KR20090110810A KR101126457B1 KR 101126457 B1 KR101126457 B1 KR 101126457B1 KR 1020090110810 A KR1020090110810 A KR 1020090110810A KR 20090110810 A KR20090110810 A KR 20090110810A KR 101126457 B1 KR101126457 B1 KR 101126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filter
exhaust gas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237A (ko
Inventor
이헌주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457B1/ko
Priority to JP2012537828A priority patent/JP5726199B2/ja
Priority to US13/509,188 priority patent/US9127581B2/en
Priority to PCT/KR2010/007924 priority patent/WO2011059233A2/ko
Publication of KR2011005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01N3/025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adding fuel to exhaust gases
    • F01N3/0256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adding fuel to exhaust gases the fuel being ignited by electr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36Arrangements for supply of additional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temperature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로 유입되는 저온의 배기가스를 차단하여 필터의 재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유로 상에 배치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포집공간을 갖는 통 형상의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와, 필터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포집공간에 대응하는 배기가스의 연통구가 구획 형성되는 유로구획부와, 유로구획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연통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개폐부재와, 연통구가 개폐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개폐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포집공간이 형성된 필터의 적어도 일측면에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된 유로구획부 및 연통구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장착하여 각 포집공간으로 유입되는 저온의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필터에 포집된 오염물질의 산화 및 환원에 적합한 분위기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디젤, 필터, 재생, 배기가스, 저감, 개폐, 산화, 환원제

Description

배기가스 저감장치{EXHAUST GAS RE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재생 시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저온의 배기가스를 차단하여 필터의 냉각을 방지함으로써 필터의 재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은 연비 및 출력에 있어서 가솔린 엔진보다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디젤 엔진은 그 특성상 가솔린 엔진과는 달리, 배기가스 배출 시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과 같은 유해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입자상 물질은 대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한편,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대한 각국의 배출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해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입자상 물질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로는 디젤 엔진과 머플러(muffler) 사이의 배기가스 유로에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DPM)를 개재하여 입자상 물질을 포집한다.
여기서, 필터는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한다.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재생시키는 방식은 필터를 직접 가열하여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킨다. 이렇게 필터를 직접 가열하기 위해 필터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부가 연결된다.
그러나, 필터를 직접 가열하는 종래의 방식은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저온일 경우, 필터가 냉각됨으로써 필터를 가열하기 위해 과도한 에너지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필터는 일반적으로 1개의 포집공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필터의 과열 또는 과냉각에 의해 필터의 사용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로 유입되는 저온의 배기가스가 차단하여 필터의 냉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포집공간을 복수로 형성하여 필터의 포집 성능 향상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유로 상에 배치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포집공간을 갖는 통 형상의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와, 상기 필터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포집공간에 대응하는 배기가스의 연통구가 구획 형성되는 유로구획부와, 상기 유로구획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통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연통구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획된 상기 포집공간에 인가되도록 상기 포집공간들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상기 포집공간들을 가열하는 복수의 전극부와, 상기 필터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연통구가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받은 구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구는 상기 유로구획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통구는 상기 유로구획부의 면적에 대해 면적 등분할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구획부는,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제1연통구가 형성되는 제1유로구획부와, 상기 제1유로구획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동심원으로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제2연통구가 형성되는 제2유로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의 축선은 상기 유로구획부의 중심을 따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연통구의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폐쇄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진과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터의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가스, 산화제, 연료와 공기 또는 환원제의 공급로가 형성된 급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축과 상기 개폐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면적 등분할 된 상기 연통구들을 각각 플랩(flap) 방식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의 축선은 상기 유로구획부의 중심을 따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통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왕복 회전 이동되는 제1개폐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통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왕복 회전 이동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2개폐부재는 별도의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각각 상기 제1연통구와 상기 제2연통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독립적으로 왕복 회전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구획부와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필터의 양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의 양측면에 배치된 상기 개폐부재가 연동되어 상기 연통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는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에는 산화촉매 또는 흡장환원 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급기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온의 연소가스 발생을 위한 연소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재에는 연료와 공기가 공급될 때, 연소의 개시를 위한 점화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재에는 전면적이 개폐부재의 1 내지 25%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복수의 포집공간이 형성된 필터의 적어도 일측면에 복수의 포집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된 유로구획부를 배치하고, 복수의 연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장착하여 각 포집공간으로 유입되는 저온의 배기가스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배기가스 저감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산소가 다량 포함된 배기가스를 차단함으로써, 흡장환원 촉매의 환원 분위기를 쉽게 조성하여 효과적인 환원반응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실시 예를 포함한다. 각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실시 예는 동일 명칭에 동일 도면부호로 기재되었으나, 제3실시 예는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 명칭이기는 하나 그 실시 예의 구분을 위해 유로구획부 및 개폐부재에 대해서 상이한 도면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 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하였으나, 급기부는 상이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선박 등과 같이 디젤 엔진이 사용되는 장치에서는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개략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1)는 하우징(10), 필터(20), 유로구획부(40), 개폐부재(60), 구동유닛(80), 전원공급부(100), 전극부(120), 온도감지부(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하우징몸체(12), 유입구(14) 및 유출구(16)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12)는 기본적으로 필터(20), 유로구획부(40) 및 개폐부재(60)를 수용한다. 하우징몸체(12)는 내부에 유동되는 배기가스의 유동 저항을 고려하여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물론, 하우징몸체(12)는 본 발명과 달리, 원통 형상이외에도 사각통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유입구(14)는 디젤 엔진(미도시)과 필터(20) 사이에 형성되어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필터(20)로 안내하는 유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출구(16)는 필터(20)와 머플러(muffler)(미도시) 사이에 형성되어 필터(2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머플러로 안내하는 유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유입구(14) 및 유출구(16)는 하우징몸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몸체(12)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그러나, 유입구(14) 및 유출구(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하우징몸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었을 뿐, 유입구(14) 및 유출구(16)는 하우징몸체(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개폐부재가 장착된 유로구획부 및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폐부재가 장착된 유로구획부 및 필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필터(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유로 상에 배치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통 형상의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DPM)(20)이다.
필터(20)는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몸체(22)를 갖는다. 여기서, 필터몸체(22) 내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격벽에 의해 4개의 포집공간(24)으로 구획된다. 즉, 필터(20)의 포집공간(24)은 90도로 분할된 격벽에 의해 4개의 포집공간(24)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필터(20)의 포집공간(24)은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유로 역할과 더불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필터몸체(22)는 관련된 다른 구성들의 도시를 위해 빈 공간으로 도시되었으나, 필터몸체(22)의 내부는 허니컴(honeycomb)구조와 같은 복수의 셀로 구성된다. 이렇게 필터몸체(22)의 내부는 복수의 셀로 구성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의 포집 성능을 향상시킨다.
유로구획부(40)는 구획부몸체(42) 및 구획부몸체(42)에 형성된 연통구(44)를 포함한다. 유로구획부(4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유입구(14)에 인접한 필터(20)의 일측면에 배치된다.
구획부몸체(42)는 필터(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구획부몸체(42)는 원통 형상의 필터(20)에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을 갖는다. 구획부몸체(42)는 필터(2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구획부몸체(42)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필터(20)의 포집공간(24)과 연통되는 연통구(44)가 형성된다.
연통구(44)는 구획부몸체(42)에 배치된 격벽에 의해 복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통구(44)는 필터(20)의 포집공간(24)에 대응하여 4개가 형성된다. 각각의 연통구(44)는 필터(20)의 포집공간(24)과 연통되어 배기가스의 통기성을 확보한다. 즉, 연통구(44)는 유로구획부(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개폐부재(60)는 유로구획부(40)에 배치되어 연통구(44)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개폐부재(6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유로구획부(40)에 1개가 배치된다. 개폐부재(60)는 구동유닛(80)에 연결되어 구동유닛(80)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연통구(44)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한다. 개폐부재(60)는 유로구획부(40)의 중심을 따라 관통된 구동 축(84) 연결되어, 구동축(84)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 이동된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60)는 4개의 연통구(44)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즉, 개폐부재(60)에 의해 4개의 연통구(44) 중 1개가 폐쇄되면 나머지 3개의 연통구(44)는 개방된다. 개폐부재(60)는 구동유닛(80)으로부터 제공받은 구동력에 의해 구획부몸체(42)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개폐부재(6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1개가 개시되었으나, 2개가 개시될 수도 있다. 이 때, 개폐부재(60)는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80)은 모터(82) 및 구동축(84)을 포함한다. 구동유닛(80)은 연통구(44)가 개폐부재(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개폐부재(6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82)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모터(82)는 일반적인 DC 모터 및 AC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82)는 구동축(84)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텝핑(stepping)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84)은 제1구동축(84a) 및 제2구동축(84b)을 포함한다. 제1구동축(84a)은 모터(82)에 연결되어 모터(82)로부터의 구동력에 연동한다. 그리고, 제2구동축(84b)은 개폐부재(60)에 연결되어 개폐부재(6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구동축(84a) 및 제2구동축(84b)은 일 실시 예로서, 공지된 기술은 베벨기 어(bevel gear)에 의해 치합된다. 물론, 모터(82)와 구동축(84)이 유로구획부(40) 내부에 수용되어 직접적으로 개폐부재(6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동유닛(80)은 개폐부재(6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00)는 12V 또는 24V의 전압을 발생하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00)는 후술할 전극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부(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극부(120)는 필터(20)에 연결되어 필터(20)를 가열한다. 전극부(120)는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필터(20)를 가열한다. 전극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필터(20)의 양측부, 즉 각 포집공간(24)에 2개씩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전극부(120)는 각 포집공간(24)에 1개씩만 연결될 수도 있다. 각 포집공간(24)에 연결된 전극부(120)는 해당 포집공간(24)만 가열한다. 물론, 각 포집공간(24)의 단열을 위해 격벽은 단열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1)는 전원공급부(100)로부터의 전원을 증폭하여 전극부(120)에 공급하는 전원증폭부(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00), 전극부(120) 및 전원증폭부(140)에 의한 필터(20)를 가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부(100)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필터(20)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필터(20)의 저항은 낮아지므로, 필터(20)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전압을 높이고 필터(20)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전압을 낮추는 것이 효율적 이다. 이때, 전원증폭부(140)는 증폭률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전원증폭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증폭률이 제어될 수 있고,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에 의해 통전 시간이 조정될 수 있다.
온도감지부(160)는 필터(20)에 마련되어 필터(20)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온도감지부(160)는 필터(20)의 각 포집공간(24)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포집공간(24)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포집공간(24)에 배치된 온도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80)로 전송되며, 이러한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부(180)는 개폐부재(60)의 작동을 제어한다. 물론, 개폐부재(60)의 작동 제어는 구동유닛(80)의 제어에 연동된다.
제어부(180)는 온도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연통구(44)가 선택적으로 개폐부재(60)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도록 개폐부재(6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8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복수의 포집공간(2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온도감지부(160)로부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되는 포집공간(24)의 연통구(44)가 폐쇄되도록 개폐부재(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개폐부재(60)의 작동 제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른 구동유닛(80)의 작동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필터 양측면에 유로구획부 및 개폐부재가 배치된 개략 단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구획부(40)는 필터(2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물론, 2개의 유로구획부(40)에 대응하여 개폐부재(60) 또한 2개가 배치된다. 제어부(180)는 2개의 개폐부재(60)가 필터(20)의 양측면에 마련된 유로구획부(40)의 연통구(44)를 동시에 개폐 및 폐쇄하도록 2개의 개폐부재(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1개의 포집공간(24)을 폐쇄할 때, 포집공간(24)의 양측면에 인접한 연통구(44)를 2개의 개폐부재(60)로 폐쇄하여 배기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20)를 통해 배기가스가 통과될 때는 양측의 연통구(44)를 개방하여 배기가스의 통기성을 확보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유로구획부와 개폐부재의 작동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a)는 유로구획부(40)의 정면도로서, 유로구획부(40)는 유로구획부(40)의 면적에 대해 면적 등분할 된 복수의 연통구(44)를 형성한다. (b)는 유로구획부(40)의 평면도로서, 복수의 연통구(44)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부재(60)가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개폐부재(60)는 복수의 연통구(44)를 각각 플랩(flap) 방식으로 개방 및 폐쇄한다. 이러한 플랩 방식의 개폐부재(60)는 각각 구동축(84)에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연통구(44)를 개폐한다. 4개로 배치된 개폐부재(6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3개의 연통구(44)를 폐쇄할 수도 있고, 3개의 연통구(44)를 개방할 수도 있다. 개폐부재(60)의 개폐 작동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유로구 획부와 개폐부재의 작동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1)의 유로구획부(340)는 제1유로구획부(342) 및 제2유로구획부(34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1)의 개폐부재(360)는 제1개폐부재(362) 및 제2개폐부재(364)를 포함한다.
제1유로구획부(342)는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제1연통구(342a)를 갖는다. 제1연통구(34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격벽에 의해 4개로 구획된다.
제2유로구획부(344)는 제1유로구획부(342)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동심원으로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제2연통구(344a)를 갖는다. 제2연통구(344a)는 격벽에 의해 4개로 구획된다. 물론, 필터(20)의 포집공간(24)은 제1유로구획부(342) 및 제2유로구획부(344)에 각각 형성된 제1연통구(342a) 및 제2연통구(344a)에 대응하여 이중으로 구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360)는 제1유로구획부(342)의 제1연통구(342a)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362)와, 제2유로구획부(344)의 제2연통구(344a)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3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개폐부재(362) 및 제2개폐부재(364)는 각각 독립적으로 왕복 회전된다.
제1개폐부재(362) 및 제2개폐부재(364)는 제1유로구획부(342) 및 제2유로구획부(344)의 중심을 따라 관통된 구동축(84)에 의해 왕복 회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1개폐부재(362) 및 제2개폐부재(364)는 동일 구동축(84)에 연결되며, 구동축(84)은 이중으로 마련되어 결합 및 해제에 따라 제1개폐부재(362) 및 제2개폐부재(364)를 각각 독립적으로 왕복 회전 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1)는 필터(20)의 포집공간(24)을 이중으로 세분화하여 각 포집공간(24)에 유입되는 저온의 배기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개폐부재, 유로구획부, 필터 및 급기부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1)는 하우징(10), 필터(20), 유로구획부(40), 개폐부재(60), 구동유닛(80), 전원공급부(100), 전극부(120), 온도감지부(160), 제어부(180) 및 급기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 필터(20), 유로구획부(40), 개폐부재(60), 구동유닛(80), 전원공급부(100), 전극부(120), 온도감지부(160) 및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급기부(400)는 엔진과 개폐부재(60) 사이에 개폐부재(60)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급기부(400)는 필터(20)의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가스, 산화제 또는 환원제의 공급로가 형성된다. 급기부(400)는 급기관(420), 주입관(440) 및 회전연결부(460)를 포함한다.
급기관(420)은 개폐부재(60)에 연통되도록 개폐부재(60)에 연결된다. 급기관(420)은 회전연결부(460)의 회전축선에 편심을 이루고 개폐부재(60)에 연결된다. 급기관(420)은 개폐부재(6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주입관(440)으로부터 주 입된 연소가스, 산화제 또는 환원제가 필터(20) 내부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주입관(440)은 엔진으로부터의 연소가스, 그리고 산화제 또는 환원제가 필터(20) 내부로 안내되도록 엔진에 연통된다. 주입관(440)으로 주입된 연소가스, 산화제, 연료와 공기 또는 환원제는 전술한 급기관(420)으로 안내되어 필터(20) 내부로 공급된다.
회전연결부(460)는 급기관(420)과 주입관(440) 사이에 개재된다. 회전연결부(460)는 개폐부재(6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급기관(420)이 연동되도록 급기관(420)과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연결부(460)에 대해 급기관(420)은 편심되어 회전 운동되도록 회전연결부(460)에 회전 운동된다. 회전연결부(460)는 회전조인트(rotable joint) 등과 같이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급기관(420)과 연결될 수 있다. 연료와 공기가 투입될 경우에는 연소의 개시를 위해 개폐부재에 점화장치가 부가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포집공간이 형성된 필터의 적어도 일측면에 복수의 포집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된 유로구획부를 배치하고, 복수의 연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장착하여 각 포집공간으로 유입되는 저온의 배기가스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환원에 필요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흡장환원 촉매에 흡장된 질소산화물의 환원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더불어, 급기부를 통하여 고온의 배기가스나 산화제를 투여하여 필터의 재생을 손쉽게 이룰 수 있다.
필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배기가스의 일부만을 통과시켜 산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것을 위해 개폐부재에는 전면적이 개폐부재의 1 내지 25%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재생을 도울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개략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개폐부재가 장착된 유로구획부 및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폐부재가 장착된 유로구획부 및 필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필터 양측면에 유로구획부 및 개폐부재가 배치된 개략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유로구획부와 개폐부재의 작동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유로구획부와 개폐부재의 작동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개폐부재, 유로구획부, 필터 및 급기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필터 24: 포집공간
40: 유로구획부 44: 연통구
60: 개폐부재 80: 구동유닛
100: 전원공급부 120: 전극부
160: 온도감지부 180: 제어부
340: 유로구획부 342: 제1유로구획부
342a: 제1연통구 344: 제2유로구획부
344a: 제2연통구 360: 개폐부재
362: 제1개폐부재 364: 제2개폐부재
400: 급기부 420: 급기관
460: 회전연결부

Claims (17)

  1.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유로 상에 배치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포집공간을 갖는 통 형상의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와;
    상기 필터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포집공간에 대응하는 배기가스의 연통구가 구획 형성되는 유로구획부와;
    상기 유로구획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통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연통구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획된 상기 포집공간에 인가되도록 상기 포집공간들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상기 포집공간들을 가열하는 복수의 전극부와;
    상기 필터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연통구가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받은 구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유로구획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유로구획부의 면적에 대해 면적 등분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구획부는,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제1연통구가 형성되는 제1유로구획부와;
    상기 제1유로구획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동심원으로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균등 분할된 제2연통구가 형성되는 제2유로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축선은 상기 유로구획부의 중심을 따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연통구의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폐쇄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터의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가스, 산화제, 연료와 공기 또는 환원제의 공급로가 형성된 급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개폐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면적 등분할 된 상기 연 통구들을 각각 플랩(flap) 방식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축선은 상기 유로구획부의 중심을 따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통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왕복 회전 이동되는 제1개폐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통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왕복 회전 이동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11. 삭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구획부와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필터의 양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의 양측면에 배치된 상기 개폐부재가 연동되어 상기 연통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저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는 산화촉매 또는 흡장환원 촉매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급기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온의 연소가스 발생을 위한 연소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16.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는 연료와 공기가 공급될 때, 연소의 개시를 위한 점화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17.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는 전면적이 개폐부재의 1 내지 25%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 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KR1020090110810A 2009-11-10 2009-11-17 배기가스 저감장치 KR10112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10A KR101126457B1 (ko) 2009-11-17 2009-11-17 배기가스 저감장치
JP2012537828A JP5726199B2 (ja) 2009-11-10 2010-11-10 フィルタ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排気ガス低減装置
US13/509,188 US9127581B2 (en) 2009-11-10 2010-11-10 Filter assembly and exhaust gas reducing device including same
PCT/KR2010/007924 WO2011059233A2 (ko) 2009-11-10 2010-11-10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10A KR101126457B1 (ko) 2009-11-17 2009-11-17 배기가스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37A KR20110054237A (ko) 2011-05-25
KR101126457B1 true KR101126457B1 (ko) 2012-03-29

Family

ID=4436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810A KR101126457B1 (ko) 2009-11-10 2009-11-17 배기가스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50B1 (ko) * 2013-07-19 2014-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255A (ja) 2002-09-18 2004-04-0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255A (ja) 2002-09-18 2004-04-0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50B1 (ko) * 2013-07-19 2014-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37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313B2 (en) Exhaust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516152A (ja) 燃料改質装置を作動させて改質ガスを燃料電池と排出物低減装置との両方に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5516154A (ja) 組合せ排出物低減アセンブリ及びその作動方法
JP2005516154A6 (ja) 組合せ排出物低減アセンブリ及びその作動方法
CN113227547B (zh) 废气后处理系统以及内燃机的废气后处理方法
US20110239630A1 (en) Closely coupled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twin turbochargers
JP2005516153A (ja) 燃料改質装置を作動させて多数の改質ガス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JP5726199B2 (ja) フィルタ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排気ガス低減装置
CN104033290B (zh) 在内燃发动机内选择地引导废气和空气的排放系统和方法
JP2005256727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EP2460986B1 (en) Particle reduction in a gasoline engine exhaust system
JP2003269223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126457B1 (ko) 배기가스 저감장치
CN113669136A (zh) 发动组件及方法
KR101126458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CN111255597B (zh) 废气再循环冷却器组件
US20200400053A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286820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080054818A (ko) 차량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그 방법
WO2023166828A1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3531518B2 (ja)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JP6608167B2 (ja) エンジン装置
JP2023091395A (ja) Co2吸着装置、及び内燃機関のco2吸着装置
JPH11210443A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H0821229A (ja) エンジンの2次空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