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718B1 -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718B1
KR101125718B1 KR1020090094258A KR20090094258A KR101125718B1 KR 101125718 B1 KR101125718 B1 KR 101125718B1 KR 1020090094258 A KR1020090094258 A KR 1020090094258A KR 20090094258 A KR20090094258 A KR 20090094258A KR 101125718 B1 KR101125718 B1 KR 10112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activity
ethyl acetate
showed
but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023A (ko
Inventor
강동균
손호용
권오흔
류정아
최소영
권태영
최충돈
박소득
채장희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filed Critical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Priority to KR102009009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7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항혈전활성을 개시한다.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40%는 당류 성분이며 그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분획효율은 각각 0.01%, 3.45%, 16.30% 및 80.24%로 나타났고, 지용성 성분은 매우 적었다. 폴리페놀 함량 분석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잔류물>부탄올 분획>헥산 분획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헥산 분획>부탄올 분획 순으로 나타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1.25 mg/mL의 농도에서 316.6%의 현전저해활성을 보여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항혈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3.0 mg/mL의 농도에서 아스피린 1.5 mg/mL 처리 시의 활성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aPTT 측정 결과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 아스피린과 비교할 만 하였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현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강산 처리시 트롬빈 저해 활성 소실이 나타났으나, 열처리시에는 활성을 유지하였고, 퀘르세틴(quercetin)과 같은 플라보놀(flavonol)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부탄올 분획물은 미약한 인간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었고, 내산성을 나타내었으나 고열 처리시 부분적인 활성소실이 나타났으므로 양앵두의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항혈전 활성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양앵두, 열수추출물, 유기용매 분획, 혈전억제, 항혈전, 트롬빈활성, aPTT

Description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Foo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of cherry extracts against blood clots by inhibiting thrombin activity}
본 발명은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혈전효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내산 양앵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재배된 나폴레옹 품종의 양앵두의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내의 혈전 생성에 직접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의 저해 활성 및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증가활성을 평가하였고, 활성물질의 특성을 검토하므로서 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근 레드(Red)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양앵두가 혈액 순환 장애, 혈전증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양앵두는 쌍떡잎식물 장미과 벚나무속 식물의 열매로 야앵두, 양앵두, 체리, 단체리, 단벚나무, 단버찌 등의 다양한 이름을 가지며, 원종의 자생지는 카스피해에서 발칸반도에 이르는 아시아 서부와 유럽 동부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에 일본인에 의해 경주지역 등에 처음으로 과원이 조성되어 재배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경주 지역에서 국내 양앵두의 70% 이상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과일 자체의 약한 물성, 30%에 가까운 열과 생성 및 저장성 문제 등으로 수익성이 높지 않아 재배면적의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소득 수준향상에 따른 식품소비의 고급화로 양앵두 생산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국내 양앵두 재배면적은 60 ha, 생산량은 300 톤 정도로 전체 양앵두 수요량의 9.7% 정도를 생산하여 절대량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2007. Kor. J. Intl. Agri. 19:214-223). 양앵두는 전 세계 생산량의 60~80%가 생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부가 통조림을 만들거나 소스와 파이의 반죽, 잼, 젤리, 쥬스 등의 가공용으로 이용된다. 당분 함량은 12.5~26.5%로 다양하며, 주로 포도당, 과당 등을 함유하며, 소량의 사과산 (0.37~0.87%)과 cyanidin-3-rutinoside, cyanidin-3-glucoside 등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1995. J. Agri. Food Chem. 43:343-346, 2009. J. Kor. Soc. Food Sci. Nutri. 38:574-579, 2007. Food Chem. 107:185-192). 양앵두의 생리활성으로는 폴리페놀 화합물들에 의한 항산화 활성(2001. Phytomedicine 8:362-369, 2005. J. Agri. Food Chem. 53:2741-2745), 퇴행성 뇌질환 예방 활성(2005. J. Agri. Food Chem. 53:9921-9927), 항암 활성, LDL-콜레스테롤 경감 효과(2004. J. Sci. Food Agri. 84:1013-1020), 항염증활성 및 관절염 예방 효과(2006. Scand. J. Rheumatol. 35:356-358) 등의 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며, 이러한 양앵두의 기능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빵, 떡 및 술 등의 가공식품 개발(2004. J. Food Science 69:67-72, 2009. J. Kor. Soc. Food Sci Nutr. 38:750-756, 2006. Food Chem. 99:6-14, 2001. European Food Res. Tech. 212:319-328), 및 천연 적색색소를 대체하기 위한 소재 개발 연구(1999. J. Kor. Soc. Agric. Chem. Biotech. 42:134-139)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양앵두의 인간 트롬빈 효소의 저해를 통한 혈전 생성 저해 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앵두 열수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분획별 수율, 항혈전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 평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환원당 함량, 총당 함량, 조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여 양앵두가 열수추출물 나아가 그 유기용매 분획물이 항산화, 항혈전 활성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국내에서 재배된 양앵두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 용매 분획물이 혈액내 혈전 생성에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 저해활성 및 aPP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증가활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혈관투과성 증대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알려진 quercetin, rutin, myricetin, keampferol이 분획물내에 존재함을 확인평가하여 이들의 상승작용에 의해 인간의 혈액순환 장애, 혈전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앵두 열수추출물을 유기용매 분획하여 분획별 수율, 항혈전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 평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환원당 함량, 총당 함량, 조단백질 함량을 분석평가한 결과, 항산화, 항혈전 활성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앵두 열수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 조제단계, 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분말화하는 단계, 분말화 분획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당과 조단백질을 정량하는 단계, 물분획 분말은 물로 희석하고 유기용매분획 분말을 DMSO에 희석하여 TT(Thrombin time)를 이용한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는 단계, 항혈전 활성이 있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을 대상으로 aPTT 측정하는 단계, 인간 적혈구을 대상으로 용혈현상을 분석하는 단계,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열 및 산 안정성을 평가하는 단계,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열수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플라보노이드 함유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국내산 양앵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양앵두의 열수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였다(실시예 1). 양앵두 추출물의 40%는 당류 성분이었으며, 이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분획효율은 각각 0.01%, 3.45%, 16.30% 및 80.24%로 나타나,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대부분이 부탄올 분획 및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으며, 지용성 성분은 매우 적었다(실시예 2). 폴리페놀 함량 분석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잔류물>부탄올 분획>헥산 분획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헥산 분획>부탄올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실험 1). 조제된 열수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1.25 mg/mL의 농도에서 316.6%의 저해활성을 보여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혈전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3.0 mg/mL의 농도에서 아스피린 1.5 mg/mL 처리 시의 활성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실험 2). aPTT 측정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은 아스피린과 비교할 만 하였다(실험 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현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며(실험 4), 강산 처리시 트롬빈 저해 활성 소실이 나타났으나, 열처리시에는 활성을 유지하였고(실험 5), 퀘르세틴(quercetin)과 같은 플라보놀(flavonol)을 함유하고 있었 다(실험 6). 한편 부탄올 분획은 미약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었고(실험 4), 내산성을 나타내었으나 고열 처리시 부분적인 활성소실이 나타났다(실험 5). 본 발명은 양앵두가 항산화, 항염증, 항혈전 활성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유용한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매의 변경, 추출방법의 변경 등에 의하여 당 업자가 얼마든지 모방할 수 있으며 이와같은 정도의 기술구성의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양앵두 열수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 조제
양앵두를 수세한 후 건조하고 물기를 제거하였으며, 이를 열수추출물 조제에 사용하였다. 양앵두 5 kg 을 흐르는 물에 수세 후, 정제수 1 리터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100℃에서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추출액 1리터를 회수하였으며, 사용 전까지 4℃에서 밀봉 보관하였다. 열수추출물은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부탄올(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물 잔류물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2: 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 분말화
양앵두 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을 filter paper (Whatsman No. 2)로 여과한 후 감압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열수추출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분획효율은 각각 0.01%, 3.45%, 16.30% 및 80.24%로 나타나,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대부분이 부탄올 분획 및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으며, 지용성 성분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표 1).
Figure 112009060837513-pat00001
실험 1 :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조단백질 정량
총 flavonoid의 함량 측정은 Davis 방법의 변법(2007. Kor. J. Life Sci. 17:535-539, 2006. J. Kor. Soc. Food Sci. Nutr. 34:132-138)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검액 400 ㎕에 90% diethylene glycol 4 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 ㎕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Singleton 등의 방법(1999. Methods Enzymol. 299:152-178)에 따라 추출검액 400 ㎕에 50 ㎕의 Folin-ciocalteau, 100 ㎕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당 정량의 경우에는 phenol-sulfuric acid법을, 환원당 정량의 경우에는 DNS 변법을 이용하였다(2007. Kor. J. Life Sci. 17:535-539). 조단백질 정량은 Bradford법을 수정하여 측정하였으며, 96-well plate에 각각의 시료 20 ㎕ 와 40 ㎕의 Bradford reagent (Bio-Rad Inc. USA)를 반응 시킨 후 3차 멸균수로 최종 부피가 200 ㎕ 되도록 조정 후,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였다.
각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잔류물>부탄올 분획>헥산 분획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헥산 분획>부탄올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표 1).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 잔류물의 경우 플라보노이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약 90%가 당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양앵두 대부분의 성분이 glucose, fructose, sucrose 및 sorbitol이라는 보고(2005. J. Agri. Food Chem. 53:2741-2745, 2007. Food Chem. 107:185-192)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다양한 분획들은 neochlorogenic acid, ρ-coumaroylquinic acid, hydroxycinamic acids, 및 epicatechin 등의 페놀 화합물(2005. J. Agri. Food Chem. 53:9921-9927, 2007. Food Chem. 107:185-192)과 quercetin, rutin 및 myri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보고(2005. J. Am. Soc. Hort. Sci. 130:527-5330)되어 있어 항산화력이 우수하다(2006. J. Kor. Soc. Food Sci. Nutri. 35:132-138, 2005. J. Kor. Soc. Food Sci. Nutri. 34:593-598).
실험 2 : TT(Thrombin time)를 이용한 항혈전 활성 평가
트롬빈 저해 활성은 기존의 보고한 Amelung coagulometer KC-1A (Japan)를 이용하여 혈액 응고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2004. J. Life Sci. 14:509-513, 2008. Kor. J. Life Sci. 18:363-368). 37℃에서 0.5 U 트롬빈 (Sigma Co., USA) 50 ㎕와 20 mM CaCl₂50 ㎕,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 ㎕를 coagulometer의 튜브에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 100 ㎕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시료 대조군으로는 아스피린(국산화학, Japan)을, 용매 대조군으로는 DMSO를 사용하였다. 트롬빈 저해 활성은 3회 이상 반복한 TT 실험의 평균치를 용매 대조구인 DMSO의 TT 평균치의 백분율 비로 나타내었다(2008. Kor. J. Life Sci. 18:363-368, 2005. J. Kor. Soc. Food Sci. Nutr. 34:593-598).
인간 트롬빈에 대한 저해활성은 TT를 측정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대조구로는 혈소판 응집 저해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아스피린을 사용하였으며, 아스피린은 1.5 mg/mL 농도에서 273.7%의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양앵두 열수추출물 및 물 잔류물의 경우, 5.0 mg/mL 농도까지 트롬빈 저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미미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1.25 mg/mL의 농도에서 316.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5 mg/mL에서는 1,000% 이상의 높은 트롬빈 저해활성을 보여, 대조구인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혈전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3.0 mg/mL의 농도에서 아 스피린 1.5 mg/mL 처리시의 활성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0 mg/mL에서는 1,00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앵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강력한 인간 트롬빈 저해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양앵두의 항혈전 활성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표 2).
Figure 112009060837513-pat00002
실험 3 : aPTT 연장 활성 측정
TT 측정 결과 항혈전 활성이 인정되는 경우 aPTT를 측정하였으며, aPTT 측정의 경우에는, 혈장 100 ㎕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액 10 ㎕를 Amelung coagulometer KC-1A (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 ℃에서 3분간 가온한 후, 50 ㎕의 aPTT reagent (Sigma, ALEXINTM)를 첨가하고 다시 37 ℃에서 3 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50 ㎕ CaCl2 (35 mM)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aPTT 연장 활성은 3회 이상 반복한 aPTT 실험의 평균치를 용매 대조구인 DMSO의 aPTT 평균치의 백분율 비로 나타내었다(2004, J. Life Sci. 14:509-513, 2008. Kor. J. Life Sci. 18:363-368).
TT 활성이 우수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aPTT를 측정한 결과, 2.0 mg/mL 농도에서 138.3%의 aPTT 연장효과를, 2.5 mg/mL 농도에서는 60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에는 2.5 mg/mL 농도에서 161.2%, 3.0 mg/mL 농도에서 324.8%, 4.0 mg/mL의 농도에서 60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대조구로 이용된 아스피린과 비교할 만하였다(표 2). 이러한 결과들은,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이 다양한 항혈전 활성물질을 함유하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주요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양앵두의 cyanidin-3-rutinoside 및 cyanidin-3-glucosylruinoside와 같은 안토시아닌 물질의 보고와, 이들이 강력한 항산화 활성과 COX-1, COX-2 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내다는 보고(2001. Phytomedicine 8:362-369, 1999. J. Nat. Prod. 6:294-296)를 고려할 때, 양앵두는 항산화, 항염증, 항혈전 활성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유용 한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4 : 인간 적혈구 대상 용혈현상 분석
체리 열수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용혈 활성은 인간 적혈구(4%)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2007. Biochem. Biophys. Res. Comm. 363:806-810).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Welgene Inc, Korea)으로 3회 수세한 인간 적혈구 100 ㎕를 96-well microtiter plate에 첨가하고 다양한 농도의 시료용액 100 ㎕를 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액을 10분간 원심분리(1,500 rpm)하여 상등액 100 ㎕를 새로운 microtiter plate로 옮긴 후, 용혈에 따른 헤모글로빈 유출 정도를 414 nm에서 측정하였다. 시료의 용매 대조구로는 DMSO (2%)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구로는 triton X-100 (0.1%)을 사용하였다. 용혈활성은 다음의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hemolysis = [(Abs S - Abs C)/(Abs T - Abs C)] × 100.
Abs S: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Abs C: DMSO 첨가구의 흡광도,
Abs T: triton X-100 첨가구의 흡광도
대조구로 사용한 triton X-100은 0.1% 농도에서 100% 용혈현상이 나타났으며, amphotericin B의 경우에는 125 ㎍/mL 농도에서 75.3%, 250㎍/mL 농도에서 85.3%, 500 ㎍/mL 농도에서 89.5%의 용혈을 나타내었다. 반면 양앵두의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미미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500 ㎍/mL 농도 에서 12.66%의 미미한 용혈 현상이 나타났으며, 다른 시료의 경우 동일농도에서 1.43%~4.76%의 용혈이 나타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표 3).
Figure 112009060837513-pat00003
실험 5 : 열 및 산 안정성 평가
양앵두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물질의 열 안정성 평가의 경우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5 ㎎/㎖, 부탄올 분획물 3.3 ㎎/㎖을 100 ℃에서 30분 동안 각각 열처리한 후 상온에서 방냉하여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산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0.2 N HCl 용액에 일정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0.2 N NaOH 용액으로 pH 7로 보정하여 잔존 활성을 측정하였다. 잔존 트롬빈 저해 활성은 3회 이상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100℃, 30분 열처리시 활성소실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0.2 N HCl, 30분 처리의 경우 급격한 활성 소실이 나타나 강산 처리시 활성이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동일한 산 처리시 활성감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열처리에 의해서 일부 트롬빈 저해 활성의 감소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표 4). 따라서, 양앵두의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가공을 위해서는 산 처리 공정을 제외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9060837513-pat00004
실험 6 : 박층크로마토그래피 이용 플라보노이드 함유 여부 분석
silica gel plate (Silica gel 60F254, Merck, Darmstadt. Germany)를 사용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였으며, 클로로포름:메탄올:물(52:28:8 v/v/v)을 전개용매로 하여 전개 후, 10% 황산용액을 분무하여 확인하였다.
양앵두는 혈관 투과성 증대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효과가 알려진 quercetin, rutin 및 myri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05. J. Am. Soc. Hort. Sci. 130:527-5330).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양앵두 열 수추출물 또는 그 유기용매 분획물을 대상으로 이들 플라보노이드 물질들의 함유 여부를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quercetin, myricetin, rutin 및 kaempferol에 상응하는 물질이 확인 되었다(도 1). 비록 이들은 트롬빈 저해 활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2006. J. Kor Soc. Food Sci. Nutr. 35:132-138)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은 항산화, 항혈전활성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양앵두 유기용매 분획의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플라보노이드 물질의 함유 여부를 확인한 사진도이다.

Claims (4)

  1.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혈전 활성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양앵두 열수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하는 항산화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090094258A 2009-10-05 2009-10-05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 KR10112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58A KR101125718B1 (ko) 2009-10-05 2009-10-05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58A KR101125718B1 (ko) 2009-10-05 2009-10-05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23A KR20110037023A (ko) 2011-04-13
KR101125718B1 true KR101125718B1 (ko) 2012-03-27

Family

ID=4404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258A KR101125718B1 (ko) 2009-10-05 2009-10-05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5350A1 (en) * 1998-04-24 1999-11-04 Rowett Research Services Limited Antithrombotic ag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5350A1 (en) * 1998-04-24 1999-11-04 Rowett Research Services Limited Antithrombotic age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FOOD CHEMIS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023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4084B2 (ja) コケモモ抽出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Hogervorst et al.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grape processing by-products
JP4782104B2 (ja) アセロラ果実由来ペクチンおよびその用途
JP2009013159A6 (ja) コケモモ抽出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KR102398484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74161B1 (ko)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5897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고구마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구마 추출물
KR101259791B1 (ko) 감귤류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101812319B1 (ko) 아이리린 b를 포함하는 혈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Venskutonis Natural antioxidants in food systems
Khatib et al. Mesocarp and Exocarp of Laffan and Wonderful Pomegranate Cultivars: by products as a Source of Ellagitannins
KR101125718B1 (ko) 양앵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저해에 의한 혈전예방 및 치료용 식품조성물
JP2011178730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AGEs生成抑制剤
KR20100088851A (ko) 단호박 식혜의 제조방법
KR102216222B1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16342B1 (ko) 수수로부터 안토시아니딘의 추출방법
KR101813200B1 (ko) 솔잎이 첨가된 고함량 s-아릴시스테인을 함유하는 흑마늘 타블렛의 제조방법
JP6201598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1629102B1 (ko) 여주 주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여주 주스
KR20190090097A (ko) 안동참마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RU2553521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лково-углеводных продуктов
SG194004A1 (en) Protein-contai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09369B1 (ko)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KR102216218B1 (ko) 연자방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