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787B1 -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787B1
KR101124787B1 KR1020067007484A KR20067007484A KR101124787B1 KR 101124787 B1 KR101124787 B1 KR 101124787B1 KR 1020067007484 A KR1020067007484 A KR 1020067007484A KR 20067007484 A KR20067007484 A KR 20067007484A KR 101124787 B1 KR101124787 B1 KR 10112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drying
air
high temperature
electrical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639A (ko
Inventor
아포스톨로스 카테피디스
미카엘 하거
베르너 쇼보다
Original Assignee
아이젠만 앙라겐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젠만 앙라겐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아이젠만 앙라겐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7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2Vehicle bodies, e.g. after being pa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건조실(1)을 포함하며, 이곳에서 물체는 고온의 공기에 노출된다. 고온 연료 전지(10)로부터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건조실(1)로 직접 유입되어 고온의 공기로서 사용된다. 건조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열에너지에 따라 고온 연료 전지(10)가 동작된며, 이로 인해 전기 에너지가 또한 축적되며, 고온 연료 전지를 제어할 때 전기 에너지는 관계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에너지에 대한 전기 소비 기기가 항상 발견된다.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비교적 저렴하게 제공되며, 매우 높은 에너지 이용률을 갖는다.

Description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RYING OBJECTS}
본 발명은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다음을 포함한다:
- 물체를 고온의 공기에 노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갖는 건조실
-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 장치
그리고 본 발명은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에 의해 공기는 가열되며 상기 물체는 가열된 공기의 영향권에 노출된다.
환경적인 이유와 비용적인 이유 때문에, 물체를 건조시킬 때, 에너지를 관리하는 것에 주의를 더 기울여야 한다. 특히, 차체 같은 넓게 페인팅된 물체를 건조시킬 때, 상당한 양의 에너지가 사용됨이 틀림없다. 따라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의 상당한 감소를 야기한다.
앞서 설명된 종류의 건조기가 막 페인팅된 차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특별히 사용됨에 따라, 가열식 후-연소 장치(thermal post-combustion device)가 건조 공기에 대한 가열 장치로 사용된다. 이러한 가열식 후-연소 장치는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건조실로부터 방출된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연소함으로써 에너지를 추출하여,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완전하게 정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소 온도를 유지하기에, 건조실에서의 배출 공기의 에너지 함유량은 불충분하다.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건조 공기내에 포함된 유기 성분의 완전 산화를 위해, 상기 배출 공기 스트림이 필요한 온도에서 가열된다. 적정 연료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추가되어야 한다. 가열식 후-연소 장치를 빠져나온 고온의 공기가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에 공급되며, 상기 열 교환기는 자신의 가열 에너지를 건조실 내부의 순환 공기로 변환시킨다. 페인팅된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는, 배출 공기에 여전히 존재하거나 생성되는 외부 물질 때문에, 그리고 조악한 온도 제어 때문에, 가열식 후-연소 장치로부터 건조실로의 연소 공기의 직접 유입은 피해야 한다. 가열식 후-연소 장치를 빠져 나와서 열 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는 그 후, 건조실 내부의 주된 온도와 크게 다르지 않은 온도로 연통으로 유도된다. 그 온도 값은 160℃가 통상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도 상당한 에너지가 절약됨에도 불구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다른 가능한 방법들이 요구되어 왔다. 덧붙여, 앞서 언급한 이유 때문에 사용되어야만 하는 열 교환기는 높은 설치비용과 복잡도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낮은 설치비용 및 더 낮은 복잡도를 갖는, 그리고 적은 초기 에너지를 갖는 건조가 수행되도록 앞서 언급한 종류의 장치와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 장치들과 관련하여 성취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고온 연료 전지(10)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로부터 상기 건조실(1)로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고온의 공기로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에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에 관계없이,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에서 생성된 열에너지가 상기 건조실(1)에서의 요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를 구동하는 동작을 실행하며,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가 생성하는 전기 에너지를 양에 관계없이 그 밖의 다른 전기 소비 기기에 모두 공급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고온 연료 전지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에너지, 즉, 전기 에너지 및 열에너지가 획득된다.
두 종류의 에너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주 에너지의 90%까지 이용률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고온 연료 전지가 가능한 많은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우선점을 두고 사용되었다. 또한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열에너지에 대한 적정 소비 기기가 탐색 되어왔다. 이러한 소비 기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열에너지는 손실된다.
고온 연료 전지의 작동에 대한 개념을 전환하는 것이 본 발명이다. 건조기에서 사용되기 위해, 연료 전지는 건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 장치로 주로 간주 된다. 그러므로 고온 연료 전지는 건조실에서 요구되는 열에너지의 양에 따라 작동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얼마나 많은 전기 에너지가 획득되어야 하는지 처음에는 중요치 않다. 이러한 전기 에너지에 있어서, 이러한 전지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전기 소비 기기가 항상 존재한다는 원칙이 적용된다. 이런 경우에 더 쉽다. 왜냐하면 전기 에너지가 열에너지보다 더 고 가치의 에너지이며, 적용 예에 있어 좀 더 자유롭기 때문이다.
이렇게 획득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함에 있어, 다음의 이론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제어 시스템은 고온 연료 전지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시스템에 속해 있는 전기 소비 기기에 대해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부차적으로 시스템의 외부에 위치해 있는 전기 소비 기기에 대해 사용한다. 이런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에 관련해 시스템은 자급-자족일 수 있다. 건조기의 열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을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 내부의 소비 기기가 흡수하는 에너지보다, 더 많은 전기 에너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잉여 에너지만이 시스템의 외부에 위치한 소비 기기로 공급된다.
고온 연료 전지에서 생성된 열에너지가 불충분할 경우, 특히, 설비를 구동시킬 때 부족한 경우, 부족한 에너지를 주전력 공급 장치에서 끌어오게 된다.
시스템 내부에서 고온 연료 전지의 전기 에너지가 열을 생성하는 전기 소비 기기(가령, 적외선 복사기)에 대해 사용되며, 부차적으로 그 밖의 다른 전기 소비 기기(가령, 전기 구동 장치)에 대해 사용된다.
이러한 원칙은 다음의 사실을 반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연료 전지가 열에너지의 소스이다. 전기 에너지의 잉여분이 존재하는 한, 이는 건조될 물체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공기 가열의 필요성이 감소된다. 그 뒤, 전체 시스템에서 가능한 대부분의 자급-자족식 작동이 고려된다면, 상기 연료 전지는 더 낮은 총 결과물을 갖고 작동될 수 있다.
시스템의 발열 전기 소비 기기에 공급한 후에, 잉여 전기 에너지가 여전히 남아 있을 경우, 이러한 잉여 전기 에너지가 시스템의 내부에 있는 전기 구동 장치(가령, 팬의 모터나 운송 장치)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내부에서 소비되지 못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는 잉여 에너지일 때,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잉여 에너지는 우선적으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공급되고, 부차적으로 범용 주전력 공급 장치에 공급된다.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로서, 저장 배터리와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전기 분해 장치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너지 어큐뮬레이터는 설비의 자급-자족도를 증가 시킨다. 왜냐하면 고온 연료 전지의 전기 또는 열 결과물이 불충분한 위상에서, 에너지는 어큐뮬레이터에서 추출되기 때문이다.
도입부에서 언급한 종류의 시스템에서, 가열식 후-연소 장치가 사용되어 요구되는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기에서 배출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가열된 건조 공기의 대부분이 어느 경우에라도 고온 연료 전지로부터 오기 때문에, 건조실에서 방출된, 탄화수소를 내포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재생식 후-연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생식 후-연소 장치는 가열식 후-연소 장치보다 에너지를 덜 소비하면서 정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이용 가능한 잉여 열에너지는 건조기를 구동하기엔 충분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식 후-연소 장치에서 추출된 고온의 공기와 대기에서 추출되어 건조실로 유입된 공기간의 열 교환이 발생하는 열 교환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열 교환기에서, 추가적인 열이 재생식 후-연소 장치에서 방출된, 현재는 낮은 온도를 갖는 가스로부터 추출되어 건조실 내부에서 사용되어 지기 위해 공급된다.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다음의 방법을 참고하여 앞서 언급한 목적이 성취된다:
- 고온 연료 전지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고온의 공기로서 사용되는 단계와
- 상기 고온 연료 전지는, 건조 프로세스 중의 열에너지의 요구에 따라 작동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작동 중에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관계가 없으며,
- 고온 연료 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획득되는 양에 관계없이 전기 소비 기기로 공급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이점은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이점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청구항 8 항 내지 12 항에서 특정되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편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의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전기 에너지로 연료 가스에 열을 가한다. 열 효율도가 그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프로세스 배출 공기의 방출 온도가 약 600℃까지 증가하게 된다.
비활성 가스층이 건조실 내부에서 요구될 경우, 특히 UV-경화 페인팅 처리를 할 때, 고온 연료 전지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직접 비활성 가스층을 조성할 수 있다. 고온 연료 전지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는 본질적으로 충분히 깨끗하며, 특히 천연 가스가 연료 가스로서 사용될 때 거의 대부분이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UV 페인트 경화 시 중요하다.
도 1은 차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도식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상의 고온 연료 전지 및 그 주변을 더 세부적으로 도식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따르는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식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차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중앙 구성요소로서의 실제 건조실(1)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실(1)은 파티션(2)에 의해 전-가열 영역(3)과 주 건조 영역(4)으로 세분된다. 막 페인팅된 차체가 운송 시스템(도면상에는 나타나지 않음)에 의해 먼저 전-가열 영역(3)에 이입되며, 상기 전-가열 영역(3)에서 차체는, 라인(5)을 통해 유입된 고온 공기와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적외선 복사기(6)의 조합 효과를 통해, 100℃보다 약간 낮은 온도로 가열된다. 이때, 용제의 대부분이 방출된다. 고 용제 함유량을 갖는 공기가 건조실에서부터 라인(7)을 통해 추출되고 다음에서 설명될 후-처리기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리 가열된 차체는 그 다음 단계에서, 순서대로 가열 영역 및 고정 영역으로 분할되는 주 건조 영역(4)로 이입된다. 전-가열 영역(3)에 비교 하여 더 긴 주 건조 영역(4)의 길이는 차체가 전-가열 영역(3)에서보다 주 건조 영역(4)에 더 길게 머문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속 운송 방법에서, 이렇게 서로 다른 취급 시간들은 서로 다른 설비의 길이로 반영된다.
주 건조 영역(4) 내부에서, 라인(5)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와, 라인(8)을 통해 공급되는 프로세스 배출 공기를 이용해 차체는 180℃의 온도까지 가열된다. 주 건조 섹션(4) 내부에서, 균질한 가열을 위해 고온의 공기가 팬(9)에 의해 순환된다. 잔존 용제가 차체상의 페인트로부터 제거되는 온도에서, 상기 페인트는 완전히 경화된다.
라인(8)을 통해 주 건조기 섹션(4)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를 생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고온 연료 전지(10)가 사용된다. 이러한 고온 연료 전지(10)는 실제 예에서는 탄화수소를 내포하는 연료 가스(특히, 천연 가스나 바이오가스, 오물 및 쓰레기 폐기장에서 나오는 가스 또는 페인팅 기술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는 그 밖의 산업 가스)를 이용해 동작될 수 있다. 라인(21)을 통해 상기 연료 가스가 고온 연료 전지(10)로 유입된다. 연료 전지(10)는 전기 가열 장치(22)에 의해 동작 온도까지 가열된다(도 2 참조). 설비를 시동하는 동안은, 가열 장치(22)에 외부에서 생성된 전류가 유입되고, 동작 온도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가열 장치(22)는 고온 연료 전지(10)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된 전류를 이용해 동작한다. 이는 왜냐하면, 고온 연료 전지(10)의 열에너지가 건조실(1)에 가능하면 완전하게 유입되어야만 하는데 비해, 전기 에너지의 잉여분이 통상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연소를 위해 필요한 공기는 대기 중으로 연결된 라인(23)을 통해 공급되며, 이때 라인(23) 내부에는 제어 가능한 플랩(24)이 위치한다.
고온 연료 전지(10)의 내부의 온도는 대략 650℃이다. 프로세스 배출 공기는 약 600℃의 온도에서 고온 연료 전지(10)에서 생성되고 방출된다. 상기 프로세스 배출 공기는, 중간에 열 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라인(8)을 통해 건조실(1)로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건조실(1)에서 UV-경화 페인트가 처리될 경우, 이러한 처리를 위해 필요한 비활성 가스층이 프로세스 배출 공기로부터 바로 조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 배출 공기의 대부분은, 특히, 천연 가스가 연료 가스로서 사용될 때, 이산화탄소로 구성된다.
총 에너지의 거의 60%가 전기에너지로서, 40%가 열에너지로서 획득된다.
서로 다른 종류의 에너지와 고온 연료 전지(10)의 제어 시스템의 사용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전체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먼저 이뤄질 것이다.
라인(7)을 통해 건조실(1)에서 방출된 고 용제 함유량을 갖는 배출 공기(waste air)가 재-생산가능한 후-연소 장치(11)로 먼저 공급되며, 이곳에서 유기 불순물이 태워지고, 그에 따라 배출 공기가 정화된다. 약 230℃의 온도를 갖는 이러한 정화된 공기가 팬(12)에 의해 직접 연통(13)으로 유입되거나, 열 교환기(14)를 통해 연통(13)으로 유입된다. 열 교환기(14) 내부에서, 고온의 정화된 공기가 자신의 열의 일부분을 약 20℃의 대기 공기로 소산시키고, 외부 공기는 추가 팬(15)에 의해 흡수되며, 열 교환기(14)를 통해 가속되어, 약 180℃의 건조실(1)로 유입된다. 라인(5)은 제어 가능한 플랩(flap, 25)까지로 뻗어 있고, 플랩(24)과 고온 연료 전지(10) 사이의 라인(23)으로 뻗어 있다. 고온 연료 전지(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온도는 플랩(24, 25)을 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가, 이하에서 기재될 방식으로 전자 제어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주요 제어 값은 주 건조 영역(4)에서 필요한 열에너지의 양이다. 연료 전지(10)가 동작하여 필요한 열에너지가 생성되고, 그에 따른 다량의 가열된 배출 공기가 주 건조 영역(4)으로 라인(8)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동시에 획득된 전기 에너지는 무시되며, 이러한 전기 에너지에 대해 다음의 프로세스가 적용된다. 열을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기 소모 부분(특히 적외선 복사기(6)와 전기 가열 강치(22))에 라인(18)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우선 공급된다. 잉여 전기 에너지가 라인(17)을 통해 시스템 내부의 팬(12, 15)에게 공급된다. 종래의 건조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잉여 전기 에너지가 존재하면, 전기 에너지가 차체를 운송하는 컨베이어를 위한 전기 구동 장치에 라인(19)을 통해 공급된다. 전기에너지가 여전히 남아 있을 경우, 라인(20)을 통해 메인 전기 회로로 방전되거나, 전해질 수소 발생의 형태로 임시 저장된다.
도 3에 도시된 건조기 시스템의 실시예는, 후-연소 장치를 제공하지 않으며, 재생시키는 후-연소 장치에서 방출된 공기로부터의 열을 대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로 이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후-연소 장치의 하향에 연결된 열 교환기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설명한 것과 구별된다. 대신, 라인(5)이 제어 가능한 플랩(28)을 거쳐, 라인(26)에 도달하며, 상기 라인(26)은 연통(13)으로 뻗어 있다.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라인(27)은 제어 가능한 플랩(29)을 또한 내포하며 팬(15)과 라인(26) 사이의 라인(5)으로 뻗어 있다. 명백히 보이는 바와 같이, 건조실(1)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과 온도는 플랩(28, 29)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4)

  1.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 물체가 고온의 공기에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건조실(1),
    - 상기 건조실(1)로 고온의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고온 연료 전지(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로부터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상기 고온의 공기로서, 상기 건조실(1)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에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에 관계없이,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에 의해 생성되는 열에너지가 상기 건조실(1)에서의 요건을 충족하도록,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를 구동시키며,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가 생성하는 전기 에너지를 양에 관계없이 전기 소비 기기로 모두 공급하며,
    고온 연료 전지(10)로부터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건조실(1) 내부에서 비활성 가스층을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의 전기 에너지를 시스템에 속해 있는 전기 소비 기기(6, 12, 15)를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부차적으로는 시스템 외부에 위치해 있는 전기 소비 기기를 위해 사용함을 특 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의 전기 에너지를 시스템에 속해 있는, 열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전기 소비 기기인 적외선 복사기(6)를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부차적으로는 전기 구동 장치를 위해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이 시스템 내부에서 소비되지 않는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의 잉여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우선적으로 공급하며, 부차적으로는 범용 주전력 공급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재생식 후-연소 장치(11)가 제공되고, 상기 건조실(1)로부터 추출된 탄화수소가 함유된 공기가, 정화되기 위해, 상기 재생식 후-연소 장치(1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재생식 후-연소 장치(11)에서 추출된 고온의 공기와, 대기에서 추출되어 건조실로 유입된 공기 간의 열 교환이 발생하는 열 교환기(1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7. 공기가 가열되고, 물체가 건조실(1)에서 가열된 공기의 영향권 내에 있을 때,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고온 연료 전지(10)로부터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고온의 공기로서 사용되는 단계,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가, 건조 프로세스의 열에너지 요구에 따라 작동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에는 관계없이 작동되는 단계,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가, 획득된 양에 관계없이, 전기 소비 기기로 공급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고온 연료 전지(10)로부터의 프로세스 배출 공기가 건조실 내부에서 비활성 가스층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의 전기 에너지는 시스템에 속하는 전기 소비 기기(6, 12, 15)를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되며, 부차적으로는 시스템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기 소비 기기를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7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의 전기 에너지는 시스템에 속해 있는, 열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전기 소비 기기인 적외선 복사기(6)를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되며, 부차적으로는 전기 구동 장치를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시스템 내부에서 소비되지 않는 상기 고온 연료 전지(10)의 잉여 전기 에너지가 에너지 어큐뮬레이터에 우선적으로 공급되며, 부차적으로는 범용 주전력 공급 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건조 중에 발생한, 탄화수소를 내포하는 공기가 재생되도록 후-연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대기 중으로부터 추출되어 건조 프로세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후-연소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10)의 동작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연료 전지(10) 자체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연료 가스가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방법.
  14. 삭제
KR1020067007484A 2003-10-22 2004-10-02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24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9090A DE10349090A1 (de) 2003-10-22 2003-10-22 Anlage und Verfahren zum Trocknen von Gegenständen
DE10349090.6 2003-10-22
PCT/EP2004/011036 WO2005047794A1 (de) 2003-10-22 2004-10-02 Anlage und verfahren zum trocknen von gegenstän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639A KR20060073639A (ko) 2006-06-28
KR101124787B1 true KR101124787B1 (ko) 2012-03-27

Family

ID=3458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484A KR101124787B1 (ko) 2003-10-22 2004-10-02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101607A1 (ko)
EP (1) EP1676082B1 (ko)
JP (1) JP4773357B2 (ko)
KR (1) KR101124787B1 (ko)
CN (1) CN100445677C (ko)
AT (1) ATE520941T1 (ko)
CA (1) CA2542463A1 (ko)
DE (1) DE10349090A1 (ko)
ES (1) ES2371466T3 (ko)
WO (1) WO2005047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3757B1 (de) * 2006-05-22 2008-06-15 Dirk Peter Dipl Ing Claassen Verfahren zur nutzung von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n um haushaltsgeräte zu betreiben
JP5323333B2 (ja) * 2007-08-28 201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DE102010001234A1 (de) * 2010-01-26 2011-07-28 Dürr Systems GmbH, 74321 Anlage zum Trocknen von Karossen mit Gasturbine
JP5298041B2 (ja) * 2010-02-03 2013-09-25 株式会社カワタ 乾燥装置および不活性ガス置換方法
CN102398303B (zh) * 2010-09-07 2013-10-09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石膏板生产线
US9088018B2 (en) * 2010-12-15 2015-07-21 The Boeing Company Water harvesting system
RU2489657C1 (ru) * 2012-01-11 2013-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рат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Гагарина Ю.А." (СГТУ имени Гагарина Ю.А.) Сушилка для сыпучих термочувств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103868342B (zh) * 2014-02-15 2016-02-10 马军 无气味散发干燥装置
JP6425574B2 (ja) * 2015-02-09 2018-11-21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設備
US20180298544A1 (en) * 2017-04-17 2018-10-18 Greg O'Rourke High-Efficiency Washer-Dryer System
DE102019004484A1 (de) 2019-06-27 2020-12-31 Wenker Gmbh & Co. Kg Modulares Kammertrocknersystem
DE102020201095A1 (de) * 2020-01-30 2021-08-0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insatz von Festoxidbrennstoffzellen bei Prozesswärmegenerierung
CN112944860A (zh) * 2021-02-09 2021-06-11 嘉兴知途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面料烘干方法
CN114061274A (zh) * 2021-10-22 2022-02-18 佛山市瑞丰恒业机械有限公司 一种烘炉自动节能控制系统
DE102022203217A1 (de) * 2022-03-31 2023-10-05 K&L Automation-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ocknung von oberflächenbeschichteten Werkteil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160A (ja) * 1998-11-13 2000-05-26 Osaka Gas Co Ltd ごみ固形燃料化装置
JP2003164063A (ja) * 2001-11-27 2003-06-06 Osaka Gas Co Ltd 電源装置
JP2003282082A (ja) * 2002-03-25 2003-10-03 Mitsubishi Materials Corp 厨房用発電給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37045A (en) * 1969-08-18 1973-11-20 Dominion Engineering Works Integrated drying processes and apparatus
US4233914A (en) * 1978-10-02 1980-11-18 Wellons, Inc. Pressurized waste wood furnace system
JPS6150671A (ja) * 1984-08-20 1986-03-12 Mazda Motor Corp 塗装用乾燥炉
JPS6361721A (ja) * 1986-09-02 1988-03-17 Takuma Co Ltd 廃熱利用ドライヤ−システム
JP2888717B2 (ja) * 1992-04-06 1999-05-10 公生 石丸 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
JP3173696B2 (ja) * 1993-12-10 2001-06-0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乾燥炉
JPH0814104A (ja) * 1994-06-27 1996-01-16 Tokyo Gas Co Ltd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3640686B2 (ja) * 1994-06-27 2005-04-20 東京瓦斯株式会社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ATE161622T1 (de) * 1994-11-24 1998-01-15 Kunz Drytec Ag W Verfahren zum trocknen einer substanz, insbesondere von holzspänen
DE4442859C2 (de) * 1994-12-02 2000-07-13 Manfred Klemm Verdampfungssystem
JP3251157B2 (ja) * 1995-10-03 2002-01-28 株式会社大氣社 塗装乾燥炉
JP3133659B2 (ja) * 1995-10-04 2001-02-13 株式会社大氣社 塗装乾燥炉
JPH09103730A (ja) * 1995-10-06 1997-04-22 Nissan Motor Co Ltd 塗装用乾燥炉及び被塗物の乾燥方法
US5983521A (en) * 1997-10-10 1999-11-16 Beloit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splitting recycled combustion gases in a drying system
JP2002030289A (ja) * 2000-05-11 2002-01-31 Mitsubishi Heavy Ind Ltd 廃棄物のガス化処理設備及びこれを利用したガス化発電設備
US6541141B1 (en) * 2000-06-13 2003-04-01 Hydrogenics Corporation Water recovery in the anode sid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JP2002130951A (ja) * 2000-10-27 2002-05-09 Tokyo Gas Co Ltd 乾燥処理システム
US20020112479A1 (en) * 2001-01-09 2002-08-22 Keefer Bowie G. Power plant with energy recovery from fuel storage
JP2002276915A (ja) * 2001-03-22 2002-09-25 Ngk Insulators Ltd 廃棄物の乾燥処理方法
DE10142125A1 (de) * 2001-08-30 2003-03-20 Eutech Scient Engineering Gmbh Verfahren zur Wasserversorgung und Klimatisierung von Cockpit und Kabine von Flugzeugen
JP3948928B2 (ja) * 2001-10-22 2007-07-25 大阪瓦斯株式会社 コジェネレーション設備と消費機器との運転制御方法、及び運転制御システム
WO2003042520A1 (en) * 2001-11-06 2003-05-22 Abb Oy Energy economical compact drying system
DE10242155A1 (de) * 2002-09-11 2004-03-25 Wella Ag Stromnetzunabhängige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Warmluftstroms
US7158116B2 (en) * 2003-04-04 2007-01-02 Drb Institute Llc Rechargeable cordless input and poi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160A (ja) * 1998-11-13 2000-05-26 Osaka Gas Co Ltd ごみ固形燃料化装置
JP2003164063A (ja) * 2001-11-27 2003-06-06 Osaka Gas Co Ltd 電源装置
JP2003282082A (ja) * 2002-03-25 2003-10-03 Mitsubishi Materials Corp 厨房用発電給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20941T1 (de) 2011-09-15
CA2542463A1 (en) 2005-05-26
EP1676082B1 (de) 2011-08-17
EP1676082A1 (de) 2006-07-05
CN1871486A (zh) 2006-11-29
ES2371466T3 (es) 2012-01-03
KR20060073639A (ko) 2006-06-28
CN100445677C (zh) 2008-12-24
DE10349090A1 (de) 2005-06-16
JP2007510120A (ja) 2007-04-19
US20070101607A1 (en) 2007-05-10
WO2005047794A1 (de) 2005-05-26
JP4773357B2 (ja)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87B1 (ko) 물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955746B2 (en) Storage of fuel cell energy during startup and shutdown or other power transitions
US11407693B2 (en) Integration of carbon dioxide absorption and water electrolysis into methanation
US9366477B2 (en) Process for drying sludge
CN100502994C (zh) 印刷和涂布生产过程中有机废气的回收方法
KR20200091102A (ko) 하수처리장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시스템
CN201625505U (zh) 臭氧分解装置
CN103319062A (zh) 一种新型复合型太阳能污泥干化设备
CN103084043A (zh) 一种高效喷涂溶剂回收系统及其工艺
CN105074336A (zh) 燃烧机组、工件处理机组和用于运行燃烧机组的方法
KR101198085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잉여 전기 처리장치
KR20060095273A (ko) 하수 처리 시스템과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연계하는 통합에너지 순환 이용 시스템
JP2677141B2 (ja) 可燃物の乾燥装置
KR20100024271A (ko) 태양열과 실리카겔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CN204159068U (zh) 从彩涂铝生产废气中回收有机溶剂的装置
JP2022178265A (ja) 水素供給システム及び水素供給方法
JP2005270778A (ja) 消化ガスの利用方法と利用装置
CN220116414U (zh) 一种风光互补的污泥处理系统
JP2654178B2 (ja) 汚泥処理装置の運転方法
CN220110753U (zh) 一种能发电的无热吸附式干燥机
KR102498125B1 (ko) 하수처리장 수처리장치와 외부플랜트간의 친환경 열 교환 시스템
JP2000042471A (ja) 熱処理炉
CN212315874U (zh) 一种污泥回用生产装置
CN215112628U (zh) 一种固体废弃物热解系统
CN210089327U (zh) 一种新型的节能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