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750B1 - 나사 홀더 - Google Patents

나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750B1
KR101124750B1 KR1020090114895A KR20090114895A KR101124750B1 KR 101124750 B1 KR101124750 B1 KR 101124750B1 KR 1020090114895 A KR1020090114895 A KR 1020090114895A KR 20090114895 A KR20090114895 A KR 20090114895A KR 101124750 B1 KR101124750 B1 KR 10112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driver
housing
pres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197A (ko
Inventor
이천수
김원일
Original Assignee
김원일
이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일, 이천수 filed Critical 김원일
Priority to KR102009011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7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5Screw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 홀더에 관한 것으로, 박히는 나사의 둘레를 안전하게 감싸도록 하면서, 가해지는 힘이 정확히 모재의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하여 박히는 나사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정확히 박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단이 개구되고 그 타단은 드라이버 삽입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부로부터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탄성대; 상기 탄성대의 말단 내측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입된 나사의 축부를 감싸는 지지돌부; 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나사가 홀더 내에 삽입된 상태로 모재에 박히기 때문에 튕겨 나갈 염려가 없어 나사의 분실 및 주울 일이 없으며, 박히는 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감싸 지지하기 때문에 모재로부터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박히므로 매우 안정되게 나사가 박히는 효과가 있다.
드라이버, 나사, 홀더, 탄성, 지지

Description

나사 홀더{screw holder for Driver}
본 발명은 나사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를 모재에 고정할 때 나사가 튕겨 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면서 안정된 상태로 나사가 박히도록 하는 나사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사는 축부와 머리부로 이루어지며, 축부 둘레에는 스크루가 형성되고, 머리부에는 십자(+) 또는 일자(-)의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드라이버는 기다란 축부와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축부의 끝단에 나사의 홈에 결합되는 돌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를 모재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드라이버를 이용하게 되고, 드라이버의 돌부가 나사의 홈에 결합되어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면 나사가 회전하면서 모재에 나사산을 형성함과 동시에 박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드라이버 손잡이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나사의 머리부를 쥔 다음 나사를 드라이버의 선단에 밀착시켜 나사의 홈에 드라이버의 돌부를 끼워 고정하고자 하는 모재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드라이버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모재의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나사의 홈과 드라이버의 돌부가 결합되는 구간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힘을 가하는 방향이 조금이라도 틀어지면 나사가 튕겨 나가기 때문에 고정하는 작업이 어려웠다. 또, 나사가 튕겨 나가는 문제로 자칫 잘못하면 나사를 쥐고 있던 손을 다치거나 튕겨 나가는 나사의 의해 얼굴 및 신체가 손상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가 있으며, 작업하는 곳이 높을 경우 떨어진 나사를 줍기 위해 바닥까지 내려갔다 와야 하는 번거로움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박히는 나사의 둘레를 안전하게 감싸도록 하면서, 가해지는 힘이 정확히 모재의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하여 박히는 나사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정확히 박힐 수 있도록 하는 나사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홀더는,
일단이 개구되고 그 타단은 드라이버 삽입공(H)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부로부터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탄성대;
상기 탄성대의 말단 내측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입된 나사의 축부를 감싸는 지지돌부;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그 내부에 드라이버의 이동을 안내 및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그 후단에 하우징을 구비하여 연결수단에 의해 몸체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출몰되도록 하고,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 드라이버가 삽입되어 그 선단이 몸체 내에 위치되도록 하되 삽입된 드라이버는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이탈방지 판이 일체로 구비되며, 몸체의 배면과 이탈방지 판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 스프링과 이탈방지 판 사이에는 부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몸체의 둘레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주연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선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홀더.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몸체의 둘레에 걸림 턱을 돌출 형성하고, 하우징에는 몸체의 걸림 턱이 끼워지는 걸림 홈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하여 조립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각각의 걸림 홈 일측에 안내홈이 길게 형성되어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나사 홀더는 나사가 홀더 내에 삽입된 상태로 모재에 박히기 때문에 튕겨 나갈 염려가 없어 나사의 분실 및 주울 일이 없으며, 박히는 나사의 축부와 머리부를 감싸 지지하기 때문에 모재로부터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박히므로 매우 안정되게 나사가 박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 내에 삽입된 나사는 박히기 전까지 홀더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분실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홀더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나사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나사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사 홀더는 원통형의 몸체(10)와, 몸체(1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탄성대(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일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으며 막힌 타단은 그 중앙에 드라이버 삽입공(H1)이 형성되어 드라이버(1)가 삽입되면 드라이버(1)의 선단이 몸체(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대(11)는 몸체(10)의 개구부로부터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것으로 원주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동일간격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대(11)는 길게 형성됨으로써 자체 탄성력을 갖게 되어 그 내경이 확장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탄성대(11)의 말단 내주면에는 중심 방향으로 지지돌부(12)가 돌출 형성되는데, 돌출된 지지돌부(12)는 탄성대가 원주 상에 형성됨에 따라 원형의 배열을 갖게 되고 삽입되는 나사(2)의 축부(2a) 지름에 해당된다. 아울러 지지돌부(12)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나사(2)의 머리부(2b)가 삽입될 때 지지돌부(12)의 경사면과 접하면서 탄성대(11)가 휘어지며 벌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그 내부에 드라이버(1)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지지하여 동일 축선 상으로 곧게 지지하는 가이드(1c)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1c)는 삽입된 드라이버(1c)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드라이버(1)는 나사(2)의 머리부(2b)에 정확히 안내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나사 홀더를 이용하여 나사(2)를 모재(3)에 박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몸체(10)의 개구부로 나사(2)를 삽입한다. 여 기서 나사(2)의 머리부(2b)가 몸체(10)의 탄성대(11)로부터 삽입이 이루어지는데, 나사(2)를 강제 삽입하면 지지돌부(12)보다 나사(2)의 머리부(2b)가 크므로 지지돌부(12)의 경사면과 접하면서 탄성대(11)가 벌어지며 확장되고 머리부(2b)의 삽입이 완료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탄성대(11)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나사(2)의 머리부(2b)는 몸체(10) 내에 삽입되고 축부(2a)는 그 선단만 돌출된 채 지지돌부(12)에 의해 감싸진 형태를 갖는다. 즉, 나사(2)의 머리부(2b)는 몸체(10)의 내주연이 잡아주고 축부(2a)는 지지돌부(12)가 지지함으로써 삽입된 나사(2)는 몸체(10)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나사(2)는 확장되었던 탄성대(11)가 원상태로 복원되었기 때문에 큰 지름의 머리부(2b)로 인해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2)가 몸체(10)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드라이버(1)를 몸체(10)의 드라이버 삽입공(H1)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삽입된 드라이버(1)는 몸체(10) 내의 가이드(1c)를 관통하여 나사(2)의 머리부(2b)와 밀착하고 드라이버(1)를 좌우로 살짝 회전시키면 나사(2)의 머리부(2b) 홈에 드라이버(1)의 돌부가 일치하면서 끼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나사(2)의 선단을 몸체(10)의 말단으로부터 살짝 돌출시킨 후 박고자 하는 모재(3)에 나사(2)의 선단을 위치시키고 드라이버(1)를 잡지 않은 한 손으로는 몸체(10)를 견고히 잡고 드라이버(1)를 밀면서 회전시키면 나사(2)가 모재(3)에 회전되면서 박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나사(2)의 축부(2a)는 지지돌부(12)가 잡고 머리부(2b)는 몸체(10) 내주연이 잡아줌으로써 나사(2)는 요동 없이 박히게 되고 드라이버(1) 또한 몸체(10)의 드라이버 삽입공(H1)과 가이드(1c)에서 잡아주기 때문에 나사(2)는 흔들림 없이 안정된 상태로 모재(3)에 박힌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사 홀더는 제 1 실시 예에 설명된 몸체(10)의 후단에 하우징(20)을 구비하여 연결수단(30)에 의해 몸체(10)가 하우징(20) 내에 삽입되어 출몰되도록 하면서 하우징(20)의 배면으로부터 드라이버(1)가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20)은 원통 형상을 갖되, 전방으로부터 몸체(10)가 삽입되어 출몰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몸체(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0)의 후단에는 드라이버(1)가 삽입되는 드라이버 삽입공(H2)이 형성되어 삽입된 드라이버(1)는 몸체(10)와 하우징(20)의 양 드라이버 삽입공(H1)(H2)에 의해 정확히 중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30)은 몸체(10)의 후방 둘레에는 수나사산(31)을 형성하고 하우징(20)의 내주연에는 암나사산(32)을 형성하여 나선 결합에 의해 출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몸체(10)가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20)으로부터 출몰된다.
한편, 하우징(20)의 배면으로부터 드라이버(1)가 삽입되어 그 선단이 몸체(10) 내에 위치되는데, 삽입된 드라이버(1)는 하우징(20)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이탈방지 판(1a)이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탈방지 판(1a)과 몸체(10)의 후면 사이에 압축 스프링(SP)이 설치된다. 이러한 이탈방지 판(1a)은 드라이버(1)가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몸체(10) 내에 위치된 드라이버(1)의 선단이 최대한 뒤로 후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1)가 회전되면 일체로 구비된 이탈방지 판(1a)도 같이 회전되는데 이 과정에서 압축 스프링(SP)의 말단이 이탈방지 판(1a)과 마찰을 일으켜 압축 스프링(SP)의 떨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 판(1a)과 압축 스프링(SP) 사이에는 구멍이 형성된 부싱(1b)이 구비된다. 따라서 드라이버(1)가 회전되더라도 이탈방지 판(1a)은 부싱(1b)과 마찰이 이루어지고, 압축 스프링(SP)은 회전하지 않는 부싱(1b)에 단순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압축 스프링(SP)의 울림이 발생하지 않아 결국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후단에 커버(16)가 일체로 결합되며, 커버(16)의 중앙에 드라이버 삽입공(H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6)는 몸체(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가이드(1c)가 드라이버(1)에 일체로 성형 될 경우 몸체(10) 내의 조립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나사 홀더는 그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길이가 긴 나사 또는 길이가 짧은 나사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즉, 길이가 긴 나사를 이용할 경우 몸체(10)를 회전시켜 하우징(2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면 드라이버(1)의 선단이 몸체(10)의 뒤쪽에 위치함으로써 기다란 나사의 삽입이 가능 하다. 이때, 나사(2)의 선단이 몸체(10)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몸체(10)의 길이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길이가 짧은 나사인 경우 몸체(10)를 회전시켜 하우징(20) 내로 삽입되도록 하여 드라이버(1)의 선단이 몸체 앞쪽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사 홀더는 상기 연결수단(30)이 또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걸림 홈(34)에 걸림 턱(33)이 걸림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0)는 후방 둘레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걸림 턱(18)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걸림 턱(33)은 기다란 '⊃'모양의 절취홈(35)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자체 복원력을 갖게 된다. 또한, 걸림 턱(33)의 선단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우징(20) 삽입시 걸림 턱(33)의 경사면이 하우징(20)과 접하면서 몸체(10) 내측 방향으로 휘었다가 원상태로 돌출하며 복원된다.
상기 하우징(20)은 그 둘레에 몸체(10)의 걸림 턱(33)이 끼워지는 걸림 홈(34)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 홈(34)은 그 일 측으로 안내홈(36)이 길게 형성되어 걸림 홈(34)에 끼워진 걸림 턱(33)이 안내홈(36)을 따라 각각의 걸림 홈(34)으로 이동하여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몸체(10)와 하우징(20)을 양손에 각각 잡고 살짝 회전시켜 몸체(10)의 걸림 턱(33)이 안내홈(36)으로 위치되도록 하면 몸체(10)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하우징(20)으로부터 출몰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몸체(10)를 살짝 돌리면 걸림 턱(33)이 걸림 홈(34)에 삽입 및 걸림 되어 길이 조절이 완료된다. 따라서 나사(2)의 길이가 짧더라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a, 4b, 4c, 4d, 4e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나사 홀더의 사용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선단으로부터 나사(2)의 머리부(2b)를 삽입하면, 머리부(2b)가 크기 때문에 지지돌부(12)와 접하면서 지지돌부(12)의 경사면에 의해 탄성대(11)가 외측으로 휘어져 벌어짐과 함께 나사(2)의 머리부(2b)가 몸체(10) 내에 삽입된다. 이때, 나사(2)의 머리부(2b)가 통과되면 탄성대(11)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좁혀지게 되어 삽입된 나사(2)는 머리부(2b)가 지지돌부(12)에 걸려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근래에 사용되는 드라이버(1) 선단의 돌부는 대부분 자성을 지니고 있어 삽입된 나사(2)의 머리부(2b)가 돌부에 자동으로 끼워져 달라붙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3)에 부착물(4)을 위치시킨 후 부착물(4)에 몸체(10)를 밀착시킴과 동시에 드라이버(1)를 밀면서 회전시킨다. 그러면 나사(2)가 회전하면서 부착물(4) 및 모재(3)를 뚫으며 박힌다. 이 과정에서 몸체(10)의 지지돌부(12)가 나사(2)의 축부(2a)를 감싸 지지하고 나사(2)의 머리부(2b)는 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박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박히며, 드라이버(1) 또한 선단에서는 가이드(1c)가 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중간 후단에서는 드라이버 홈(17)(21)이 잡아줌으로써 흔들림 없이 수평 상태로 회전하며 이동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된 상태로 나사(2)를 박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2)가 박힐 때 도 4c와 같이 머리부(2b)가 전진하면서 경사진 지지돌부(12)와 접하게 되고 탄성대(11)는 다시 외측으로 휘어지며 벌어졌다가 나사(2)의 머리부(2b)가 통과하면 도 4d와 같이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나사(2)의 박힘이 멈추면 도 4e와 드라이버(1)를 후퇴시켜 작업을 완료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를 도시한 구조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를 도시한 구조도.
도 3a, 3b, 3c, 3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도 4a, 4b, 4c, 4d, 4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나사 홀더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드라이버 1a - 이탈방지 판 1b - 부싱
1c - 가이드 2 - 나사 2a - 축부
2b - 머리부 3 - 모재 4 - 부착물
10 - 몸체 11 - 탄지대 12 - 지지돌부
16 - 커버 20 - 하우징 30 - 연결수단
31 - 수나사산 32 - 암나사산 33 - 걸림 턱
34 - 걸림 홈 35 - 절취홈 36 - 안내 홈
H1, H2 - 드라이버 삽입공 SP - 압축 스프링

Claims (7)

  1. 일단이 개구되고 그 타단은 드라이버 삽입공(H1)이 형성되며 내부에 드라이버(1)의 이동을 안내 및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1c)가 구비된 원통형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개구부로부터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탄성대(11); 상기 탄성대(11)의 말단 내측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입된 나사(2)의 축부(2a)를 감싸는 지지돌부(12);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10)는 그 후단에 하우징(20)을 구비하여 연결수단(30)에 의해 몸체(10)가 하우징(20) 내에 삽입되어 출몰되도록 하고 하우징(20)의 배면으로부터 드라이버(1)가 삽입되어 그 선단이 몸체(10) 내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삽입된 드라이버(1)는 하우징(20)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이탈방지 판(1a)이 일체로 구비되며 몸체(10)의 배면과 이탈방지 판(1a) 사이에 압축 스프링(SP)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수단(30)은 몸체(10)의 둘레에 걸림 턱(33)을 돌출 형성하고 하우징(20)에는 몸체(10)의 걸림 턱(33)이 끼워지는 걸림 홈(34)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며 각각의 걸림 홈(34) 일측에 안내홈(36)을 길게 형성하여 걸림 턱(33)이 안내홈(36)을 통해 걸림 홈(34)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14895A 2009-11-26 2009-11-26 나사 홀더 KR10112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895A KR101124750B1 (ko) 2009-11-26 2009-11-26 나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895A KR101124750B1 (ko) 2009-11-26 2009-11-26 나사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197A KR20110058197A (ko) 2011-06-01
KR101124750B1 true KR101124750B1 (ko) 2012-03-23

Family

ID=4439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895A KR101124750B1 (ko) 2009-11-26 2009-11-26 나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29B1 (ko) * 2017-08-09 2018-01-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나사 체결용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949B1 (ko) * 2014-06-12 2016-10-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나사못 용 가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473U (ko) * 1985-10-03 1987-04-16
JPH0539869U (ja) * 1991-10-31 1993-05-28 日新電機株式会社 ドライ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473U (ko) * 1985-10-03 1987-04-16
JPH0539869U (ja) * 1991-10-31 1993-05-28 日新電機株式会社 ドライ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29B1 (ko) * 2017-08-09 2018-01-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나사 체결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197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3582B1 (en) Usb stick
US20070234856A1 (en) Magnetic connecting tube for a screwdriver head
US20070142135A1 (en) Extendable bat
US7921753B2 (en) Screw locking tool
KR100820243B1 (ko) 너트 조립체
US20080184853A1 (en) Screw Positioning Sleeve Assembly
KR101124750B1 (ko) 나사 홀더
US20120315593A1 (en) Adjustable orthodontic bracket
KR100926891B1 (ko) 나사지지수단을 구비하는 나사드라이버 및 나사드라이버 비트
KR101679255B1 (ko) 클램핑 장치
DE50302567D1 (de) Knochenschraube
JP2006153257A5 (ko)
KR200438571Y1 (ko) 안전샤프펜슬
JP2019155495A (ja) ソケット型工具
JP2018148652A (ja) 電線用巻付けグリップの巻付け装置
US8356381B2 (e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rotating a spiral rod
TW201307693A (zh) 鎖固裝置
JP2009000334A (ja) 内視鏡のコネクタ装置
JP3189981U7 (ko)
JP2009017958A (ja) 清掃具
JP3189981U (ja) 回転工具用ソケット
KR102005419B1 (ko) 수형부를 암형부 내에 고정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동물 식별 장치의 암형부
JP2009267586A (ja) アーム装置
JP2009153494A (ja) 釣り竿
KR101468186B1 (ko) 줄넘기 운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