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629B1 - 나사 체결용 공구 - Google Patents

나사 체결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629B1
KR101819629B1 KR1020170101164A KR20170101164A KR101819629B1 KR 101819629 B1 KR101819629 B1 KR 101819629B1 KR 1020170101164 A KR1020170101164 A KR 1020170101164A KR 20170101164 A KR20170101164 A KR 20170101164A KR 101819629 B1 KR101819629 B1 KR 10181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en space
inner body
assembled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5Screw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는, 조립공구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조립대상이 수용될 수 있는 제1 열린 공간 및 제1 닫힌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몸체; 및 상기 외부 몸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조립대상이 수용될 수 있으며 조립대상이 수용될 수 있는 제2 열린 공간 및 제2 닫힌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몸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나사 체결용 공구{TOOL FOR FASTENING SCREW}
본 발명은 나사 조립을 위한 나사 체결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방에서 사용하는 각종 기계장치의 부품은 나사에 의해 조립되며 이러한 기계장치의 부품 조립 시 조립체의 좁고 깊은 곳에 나사, 와셔 등의 체결류를 체결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손이 닿지 않는 곳에는 드라이버 끝에 나사를 올려서 작업하게 되는데 드라이버 끝에 나사를 올린 상태로 주의를 기울려 이동하더라도 흔들림이나 충격에 나사, 와셔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 끝이 위를 향하는 조립 환경일 경우는 좁은 곳을 통과하다가 드라이버 끝에 올려진 나사 또는 드라이버가 주변의 구조물에 닿으면 충격에 의해 나사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드라이버 내부에 마그넷이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충격에 의한 나사의 떨어짐을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다. 그리고 전자 부품을 조립에 자성이 있는 드라이버를 사용할 경우에 자성에 의해 전자 부품이 고장 날 수 있으므로 전자 부품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자성이 있는 드라이버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7027호는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나사가 내부 몸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조립공구로 지지함으로써, 나사의 조립 방향과 관계없으며 손이 들어갈 수 없는 협소한 조립환경에서도 나사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나사 체결용 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는 상단은 덮개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덮개에는 조립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관통공이 구비되며, 하부 외측면 둘레의 일부는 조립대상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열린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위는 제1 닫힌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제1 닫힌 측벽과 연결되며 조립대상 일부가 걸리는 제1 바닥이 구비되는 외부 몸체; 및 상기 외부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상단은 막혀 있고 상기 상단에는 조립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관통공이 구비되며 하부 외측면 둘레의 일부는 상기 제1 열린 공간과 일치되어 조립대상이 수용될 수 있는 제2 열린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위는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열린 공간을 가릴 수 있는 제2 닫힌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제2 닫힌 측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닥 위에 위치하면서 조립대상의 일부가 걸리는 제2 바닥이 구비되는 내부 몸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몸체의 덮개는 외부 몸체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탈착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내부 몸체의 상단은 내부 몸체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탈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몸체의 덮개와 내부 몸체의 상단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몸체의 상부 측면 둘레에는 가이드 공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몸체의 상부 측면에는 회전 손잡이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 손잡이는 상기 가이드 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닥에는 조립대상의 일부가 걸리는 제1 걸림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바닥에는 조립대상의 일부가 걸리는 제2 걸림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공의 폭과 제2 걸림공의 폭은 조립대상의 나사부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공은 제1 바닥의 외측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공은 제2 바닥의 외측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열린 공간 위쪽의 내부 몸체 내부는 마개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마개에는 상기 제2 관통공을 통과한 조립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린 공간은 외부 몸체의 측면 둘레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절반은 제1 닫힌 측벽이 차지하며, 상기 제2 열린 공간은 내부 몸체의 측면 둘레의 절반을 차지하며 나머지 절반은 제2 닫힌 측벽이 차지하고, 상기 가이드 공은 외부 몸체의 측면 둘레의 절반을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에 의하면, 손이 닿지 않는 깊은 곳에도 나사 조립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또는 와셔의 분실로 인한 작업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몸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몸체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대상을 제2 열린 공간으로 삽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걸림공에 조립대상의 일부가 걸리고, 드라이버의 선단 부위가 내부 몸체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대상의 머리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몸체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2 닫힘 측벽이 제1 열림 공간을 가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는, 조립공구(10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외부 몸체(300) 및 외부 몸체(3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내부 몸체(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몸체(300)는 상단을 구성하는 덮개(311), 조립대상(200)의 일부가 들어갈 수 있는 제1 열린 공간(321) 및 제1 닫힌 측벽(331)을 포함한다.
외부 몸체(300) 상단은 덮개(311)에 의해 막혀 있다. 덮개(311)는 외부 몸체(300)와 일체형 구조이거나 탈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덮개(311)의 중심에는 제1 관통공(3111)이 구비된다. 제1 관통공(3111)을 통해 드라이버(driver) 등과 같은 조립공구(100)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관통공(3111)은 조립공구(100) 선단 삽입이 가능하도록 조립공구(100)의 외경에 부합하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외부 몸체(300)는 제1 열린 공간(321), 제1 닫힌 공간(331) 및 제1 바닥(341)을 포함한다. 외부 몸체(300) 하부의 외측면 일부는 제1 열린 공간(321)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부위는 제1 닫힌 측벽(331)으로 구성된다. 제1 열린 공간(321)은 외부 몸체(300) 둘레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절반은 제1 닫힌 측벽(331)이 차지한다.
외부 몸체(300)의 하단은 제1 바닥(341)에 의해 막혀 있다. 제1 바닥(341)은 제1 닫힌 측벽(331) 아래에 위치한다. 제1 바닥(341)의 일부는 제1 닫힌 측벽(331)과 연결된다. 제1 바닥(341)에는 제1 걸림공(3411)이 구비된다. 제1 걸림공(3411)은 외측에서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 걸림공(3411)은 조립대상(200)의 나사부(202)가 끼워진다. 제1 걸림공(3411)의 폭(T)은 조립대상(200)의 나사부(202) 외경에 부합한다.
외부 몸체(300)의 상부에는 가이드 공(301)이 형성된다. 가이드 공(301)은 외부 몸체(300) 둘레의 절반을 차지한다. 회전 손잡이(401) 일측 단부는 내부 몸체(400)에 연결된다. 회전 손잡이(401) 타측 단부는 가이드 공(30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회전 손잡이(401)의 노출 부위는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노출되어야 한다.
내부 몸체(400)는 외부 몸체(300) 내부에 수용된다. 내부 몸체(400)는 외부 몸체(3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다. 내부 몸체(400)의 상단(412)은 막혀 있다. 내부 몸체(400)의 상단(412)은 내부 몸체(400)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탈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내부 몸체(400)의 상단 중심에는 제2 관통공(4122)이 구비된다. 제2 관통공(4122)을 통해 조립공구(100) 선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관통공(4122)은 제1 관통공(3111)과 수직방향으로 일치한다.
내부 몸체(400)은 제2 열린 공간(422), 제2 닫힌 측벽(432) 및 제2 바닥(442)을 포함한다.
내부 몸체(400)의 하부 외측면 일부는 제2 열린 공간(422)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제2 닫힌 측벽(432)으로 이루어진다. 제2 열린 공간(422)은 내부 몸체(400) 둘레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절반은 제2 닫힌 측벽(432)이 차지한다.
제2 열린 공간(422)을 통해 조립대상의 머리(201)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열린 공간(422)은 제1 열린 공간(321)에 일치된 상태에서 내부 몸체(40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1 닫힌 측벽(331)에 일치될 수 있다. 제2 닫힌 측벽(432)은 제1 닫힌 측벽(331)에 일치된 상태에서 내부 몸체(40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1 열린 공간(321)에 일치되어 제1 열린 공간(321)을 가릴 수 있다.
내부 몸체(400)의 하단은 제2 바닥(442)에 의해 막혀있다. 제2 바닥(442)은 제2 닫힌 측벽(432) 아래에 위치한다. 제2 바닥(442)은 제2 닫힌 측벽(432)과 연결된다. 제2 바닥(442)은 제1 바닥(341) 위에 위치한다. 제2 바닥(442)에는 제2 걸림공(4422)이 구비된다. 제2 걸림공(4422)은 외측에서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2 걸림공(4422)에는 조립대상(200)의 나사부(202)가 끼워진다. 제2 걸림공(4422)의 폭(T)은 조립대상(200)의 나사부(202) 외경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제2 걸림공(4422)의 폭(T)은 조립대상의 머리(20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마개(450)는 제2 열린 공간(422) 위쪽 내부 몸체(400) 내부에 위치한다. 마개(450)의 중심에는 홀(451)이 구비된다. 조립공구(100) 선단은 외측 몸체(300)의 제1 관통공(3111), 내부 몸체(400)의 제2 관통공(4122) 및 홀(4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제1 관통공(3111), 제2 관통공(4122) 및 홀(451)은 수직방향으로 일치한다.
내부 몸체(400)에는 회전 손잡이(401)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손잡이(401)를 외부 몸체(3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손잡이(401)가 가이드 공(301)을 따라 회전하고 이에 내부 몸체(400)가 회전한다. 내부 몸체(400)의 회전에 따른 제2 닫힌 측벽(432)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1 열린 공간(321)을 개폐할 수 있다.
외부 몸체(300)의 덮개(311)와 내부 몸체(400)의 상단(412) 사이에는 탄성부재(500)가 개재된다. 탄성부재(500)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500)의 일측 단부는 외부 몸체(300)의 덮개(311)에 긴밀히 밀착된다. 탄성부재(500)의 타측 단부는 내부 몸체(400)의 상단(412)에 긴밀히 밀착된다. 탄성부재(500)는 외부 몸체(300)의 덮개(311)와 내부 몸체(400)의 상단(412) 사이의 간격 유지 역할을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체결용 공구의 나사 체결 과정을 설명한다.
도 6, 7과 같이 십자 홈이 구비되어 있는 조립대상의 머리(201) 부위가 제2 바닥(442)에 놓이도록 제1 관통공(3111)을 통해 조립대상(200)의 나사부(202)를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조립공구(100) 선단의 십자 부위가 제1 관통공(3111), 제2 관통공(4122) 및 홀(4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조립대상의 머리(201)의 십자 홈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제2 열린 공간(422)은 제1 열린 공간(321)에 일치된 열린 상태이다. 제2 닫힌 측벽(432)은 제1 닫힌 측벽(331)에 일치된 상태이다.
회전 손잡이(401)의 노출 부위를 잡고 외부 몸체(3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손잡이(401)가 가이드 공(30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내부 몸체(400)가 회전한다. 내부 몸체(40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1 닫힌 측벽(331)에 일치되어 있던 제2 닫힌 측벽(432)이 회전하면서 제1 열린 공간(321)에 일치되어 제1 열린 공간(321)을 가린다. 반대로 제2 열린 공간(422)은 제1 닫힌 측벽(331)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조립대상인 나사를 조립부에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나사 체결용 공구를 손이 닿지 않는 나사 체결 장소에 위치시켜 나사 체결 작업을 진행한다. 조립대상의 머리(201) 부위가 내부 몸체(400) 내부에 있기 때문에 나사를 잃어버릴 염려 전혀 없으며 나사 체결작업 또한 매우 수월하다. 특히, 조립공구의 끝이 위를 향하는 나사 조립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열린 공간(321)이 제2 닫힌 측벽(432)에 의해 닫혀 있기 때문에 조립대상(200)이 밖으로 떨어질 염려가 전혀 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조립공구
200:조립대상
201:조립대상의 머리
202:나사부
300:외부 몸체
301:가이드 공
311:덮개
321:제1 열린 공간
331:제1 닫힌 측벽
341:제1 바닥
400:내부 몸체
401:회전 손잡이
412:상단
422:제2 열린 공간
432:제2 닫힌 측벽
442:제2 바닥
450:마개
451:홀
500:탄성부재
3111:제1 관통공
3411:제1 걸림공
4122:제2 관통공
4422:제2 걸림공
T:폭

Claims (10)

  1. 상단은 덮개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덮개에는 조립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관통공이 구비되며, 하부 외측면 둘레의 일부는 조립대상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열린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위는 제1 닫힌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제1 닫힌 측벽과 연결되며 조립대상 일부가 걸리는 제1 바닥이 구비되는 외부 몸체; 및
    상기 외부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상단은 막혀 있고 상기 상단에는 조립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관통공이 구비되며 하부 외측면 둘레의 일부는 상기 제1 열린 공간과 일치되어 조립대상이 수용될 수 있는 제2 열린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위는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열린 공간을 가릴 수 있는 제2 닫힌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제2 닫힌 측벽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닥 위에 위치하면서 조립대상의 일부가 걸리는 제2 바닥이 구비되는 내부 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몸체의 상부 측면 둘레에는 가이드 공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몸체의 상부 측면에는 회전 손잡이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 손잡이는 상기 가이드 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의 덮개는 외부 몸체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탈착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내부 몸체의 상단은 내부 몸체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탈착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의 덮개와 내부 몸체의 상단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에는 조립대상의 일부가 걸리는 제1 걸림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바닥에는 조립대상의 일부가 걸리는 제2 걸림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공의 폭과 제2 걸림공의 폭은 조립대상의 나사부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공은 제1 바닥의 외측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공은 제2 바닥의 외측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열린 공간 위쪽의 내부 몸체 내부는 마개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마개에는 조립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린 공간은 외부 몸체 측면 둘레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절반은 제1 닫힌 측벽이 차지하며,
    상기 제2 열린 공간은 내부 몸체 측면 둘레의 절반을 차지하며 나머지 절반은 제2 닫힌 측벽이 차지하고,
    상기 가이드 공은 외부 몸체 측면 둘레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체결용 공구.
KR1020170101164A 2017-08-09 2017-08-09 나사 체결용 공구 KR10181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64A KR101819629B1 (ko) 2017-08-09 2017-08-09 나사 체결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64A KR101819629B1 (ko) 2017-08-09 2017-08-09 나사 체결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629B1 true KR101819629B1 (ko) 2018-01-17

Family

ID=6102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164A KR101819629B1 (ko) 2017-08-09 2017-08-09 나사 체결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6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979A (ja) * 2010-05-11 2011-11-24 Disco Corp ねじ落下防止具
KR101124750B1 (ko) * 2009-11-26 2012-03-23 김원일 나사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750B1 (ko) * 2009-11-26 2012-03-23 김원일 나사 홀더
JP2011236979A (ja) * 2010-05-11 2011-11-24 Disco Corp ねじ落下防止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10450T3 (es) Cerrojo de compresión con un saliente reducido
US10823211B2 (en) Floating fastener
KR101819629B1 (ko) 나사 체결용 공구
KR20190002040U (ko) 커버를 갖는 래치
KR101086989B1 (ko) 버튼형 토잉 후크 캡
RU2349821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00393B1 (ko) 밸브핸들의 부정한 조작을 방지하는 밸브핸들용 보호캡
US3005227A (en) Hinge structure
US20130306366A1 (en) Electric control or signaling device
JP2007513788A (ja) 打撃破壊器械の工具のためのコッターの保持装置
EP3563975B1 (en) Multifunctional screwdriver provided with screw finder
JP2007329144A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JP2012255260A (ja) 保護キャップ
KR200200382Y1 (ko) 도어 스톱퍼
JP3189037U (ja) 蓋体の取付構造
CN219291442U (zh) 一种生物安全门手套口防抓组件及生物安全操作装置
JP2019053651A (ja) 感知器カバー
EP4315538A1 (de) Dosengehäuse;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dosengehäuses
RU2229006C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207451Y1 (ko) 가이드부를 갖는 볼트
JPH088221Y2 (ja) 開閉部の軸支構造
TW202104742A (zh) 具有磁吸式帽蓋的鉸鏈
KR940004917Y1 (ko) 반도체 소자용 슬리브의 개폐장치
ZA200802472B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130072742A (ko) 후드 랫치 폴 스프링 튜브 유동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