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689B1 -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689B1
KR101123689B1 KR1020050089501A KR20050089501A KR101123689B1 KR 101123689 B1 KR101123689 B1 KR 101123689B1 KR 1020050089501 A KR1020050089501 A KR 1020050089501A KR 20050089501 A KR20050089501 A KR 20050089501A KR 101123689 B1 KR101123689 B1 KR 10112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ing paper
detection sensor
margin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868A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6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인쇄시 인쇄용지가 카세트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이와 정상적 위치와의 차이를 좌우마진에 반영하여 새로운 마진을 산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는, 정지된 인쇄용지의 좌우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용지 검출 센서 및 용지 검출 센서에 의하여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인쇄용지의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좌우마진 산출부를 포함한다.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 용지검출센서, 좌우마진 산출부

Description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Apparatus for calculating margin of printing paper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인쇄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하기 전 정상적 위치에 정지하여 정렬 및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인쇄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하기 전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나 정지하여 정렬 및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인쇄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도달하기 전 비틀린 상태로 정지하여 정렬 및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의 용지검출센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의 동작을 시간에 따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의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500: 인쇄용지
110, 210, 310, 510: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400: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
410, 520: 용지검출센서
420: 좌우마진 산출부
본 발명은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인쇄시 인쇄용지가 카세트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이와 정상적 위치와의 차이를 좌우마진에 반영하여 새로운 마진을 산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용지 영역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host)로부터 화상데이터가 포함된 인쇄명령을 받으면, 비디오 콘트롤러(video controller)를 통하여 인쇄언어로 화상데이터를 변환하고, 인쇄엔진으로 하여금 인쇄동작을 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인쇄엔진은 명령을 받아 먼저 용지 카세트로부터 인쇄용지를 픽업(pick-up)하여 이동시킨다. 인쇄용지가 피드센서(feed sensor)에 도달하면, 인쇄용지에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라는 신호를 비디오 콘트롤러가 받아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정확한 시기에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 보내어 노광과정을 진행하도록 한다.
용지 카세트에 적재되어 있던 인쇄용지는 픽업되어 인쇄를 위하여 이동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용지(100)는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이 방향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 및 감광드럼 등을 포함하는 현상부(미도시)를 향하고 있다. 픽업롤러에 의하여 인쇄용지는 현상을 위하여 이동하고, 이동하다가 피드 센서에 도달하면, 피드센서가 인쇄용지를 감지하였다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인쇄용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에 도달하여 용지 레지스트레이션 동작에 의하여 정지하였다가 레지스트레이션 동작이 끝나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가 회전하여 다시 이동을 개시하여 정렬되어 현상부로 이동한다.
인쇄용지는 각각 좌우 양단부가 X선 및 Y선에 위치하는 것이 정상적으로 위치한 것인데, 본 명세서에서 정상적인 위치라는 것은 인쇄용지에서 화상데이터가 인쇄되는 부분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인쇄용지가 용지 트레이 상에서 위치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는 인쇄용지의 상하 양단부가 그 진행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정렬해주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인쇄용지(200)가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될 때, 인쇄용지(200)의 좌우 양단부가 X선 및 Y선에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하여 X'선 및 Y'선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도 2). 이 경우에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0)에 의하여 정렬된다 하더라도 인쇄용지(200)의 좌우 양단부는 정렬후에도 여전히 X'선 및 Y'선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0)는 인쇄용지(200)를 정상적인 위치로 정렬 및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비틀림만을 보정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쇄용지의 상 단부 및 하단부는 용지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면서 진행하므로 상하 양단부는 정상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나 좌우 양단부는 여전히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바람직하지 못한 위치의 화상을 형성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용지(300)가 트레이상에 비틀린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0)의 작동이 의미가 있는데, 인쇄용지(300)는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후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0)에 의하여 바른 위치로 정렬되어 현상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0)를 통과한 후의 인쇄용지(300)의 좌우 양단부는 인쇄용지(300)의 진행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다만 비틀린 상태에서 정렬되었기 때문에 좌우 양단부는 X'선 및 Y'선에 일치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0)의 인쇄용지(300) 정렬기능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상적 위치로의 정렬 및 이동에는 어려움이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에서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난 인쇄용지를 사용하여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는 경우, 화상을 인쇄용지상의 원하는 위치에 인쇄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인쇄된 화상을 확인하여 다시 재인쇄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사용자는 호스트에서 재인쇄 명령을 내리면서 비정상적인 위치에 인쇄된 화상을 기초로 하여 좌우 마진을 파악하여 이를 인쇄명령에 반영할 수 있으나, 용지 카세트내에서의 인쇄용지의 좌우 유동성 및 비틀림 등은 임의적이므로 그러한 반영은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인쇄시 인쇄용지가 카세트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이와 정상적 위치와의 차이를 좌우마진에 반영하여 새로운 마진을 산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용지 영역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동작에 의하여 정지된 인쇄용지의 좌우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용지 검출 센서(sensor); 및 용지 검출 센서에 의하여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인쇄용지의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좌우마진 산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인쇄용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하여 정렬하기 위하여 정지하여 좌우마진 산출을 위하여 검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검출신호는 기준 위치점으로부터 인쇄용지의 일단부가 검출되기까지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좌우마진 산출부는 시간정보로부터 인쇄용지의 좌우단부의 위치를 계산하여 좌우마진을 산출한다.
또한, 용지 검출 센서는 인쇄용지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검출전에 인쇄용지의 일단부로부터 인쇄용지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초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지 검출 센서가 레지스트레이션 동작 에 의하여 정지된 인쇄용지의 좌우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용지 검출 센서에 의하여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좌우마진 산출부가 인쇄용지의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400)는 용지검출센서(410) 및 좌우마진 산출부(420)를 포함한다.
용지검출센서(410)는 용지의 좌우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를 감지한다. 단부가 감지되면 용지검출센서(410)는 인쇄용지 검출신호를 좌우마진 산출부(420)로 전달한다. 용지검출센서(410)는 바람직하게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10)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용지검출센서(410)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10)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인쇄용지의 단부를 감지한다. 좌우마진 산출부(420)는 받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용지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의 마진을 산출한 뒤 인쇄엔진 제어부로 전달한다. 인쇄엔진 제어부는 이를 인쇄명령에 반영하여 화상데이터를 인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이 인쇄된다.
좌우마진 산출부(420)는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가 가지는 비디오 콘트롤러의 일부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좌우마진 산출부(420)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의 용지검출센서(5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쇄용지(500)는 정상적 위치인 X선 및 Y선으로부터 각각 이탈하여, 그 좌우 양단부가 X'선 및 Y'선에 일치하여 위치하고 있다.
용지검출센서(520)는 트레이의 일측면의 기준위치점에 위치하고 있다가 인쇄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10) 앞에서 정지하면 초기화에 의하여 초기화 위치점으로 이동한다. 초기화 위치점이 감지되면 다시 인쇄용지(500)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동한다. 용지 검출 센서는 인쇄용지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동을 하다가 인쇄용지(500)의 일단부를 감지하면, 다시 기준위치점으로 돌아온다. 용지검출센서(520)는 용지검출신호를 좌우마진 산출부(미도시)에 전달하여 좌우마진이 산출된다. 산출된 마진이 인쇄엔진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고, 인쇄용지(500)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10)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통과한 후에도 인쇄용지(500)는 여전히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난 X'선 및 Y'선을 따라 이동하지만 현상부에 이르면, 인쇄엔진에 의해 마진이 반영된 상태의 화상데이터가 인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좌우마진 산출장치가 구현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시간에 따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인쇄엔진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b)는 픽업롤러의 모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c)는 피드센서의 신호이고, (d)는 용지검출센서의 모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e)는 용지검출센서의 신호이고, 그리고, (f)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호스트로부터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엔진은 동작을 시작 한다. 그 후 용지검출센서도 동작을 시작하고 시간 t1에서 기준위치점의 첫번째 신호를 생성한다. 용지검출센서는 초기화에 의하여 시간 t2의 초기화위치점에 도달하면 두번째 신호를 생성한다. 같은 시기에 인쇄엔진은 픽업롤러를 동작시켜 인쇄용지를 픽업하게 한다. 픽업된 인쇄용지는 현상을 위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동하던 인쇄용지를 피드센서가 검출하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앞에서 픽업롤러의 동작을 정지시켜 인쇄용지를 정지시킨다. 용지검출센서는 인쇄용지의 일단부를 감지할 때까지 이동하여, 인쇄용지를 검출하면 t3에서 세번째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두번째 신호와 세번째 신호 사이의 시간간격(Δt23)은 용지검출센서가 초기화 위치점에 도달한 순간부터 인쇄용지의 일단부를 감지한 순간까지의 시간간격을 나타낸다.
용지검출센서는 인쇄용지를 검출한 경우에 다시 기준위치점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기준위치점에 다다르면 시간 t4에서 기준위치점을 검출하였다는 네번째 신호를 생성한다. 도 6에서 Δt34는 인쇄용지 검출신호와 기준위치점 검출신호 간의 시간간격을 나타낸다. 용지검출센서가 기준위치점에서 정지하면 용지검출센서의 동작은 종료되고, 인쇄용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용지검출센서가 동작을 종료함에 따라, 인쇄용지를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정렬하면서 현상부 쪽으로 이동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의 좌우마진을 산 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호스트로부터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인쇄용지가 픽업된다(S700).
인쇄명령이 있는 경우에 인쇄용지의 이동과 관계없이, 기준위치점에 위치하던 용지검출센서가 초기화된다(S710). 용지검출센서는 초기화에 의하여 초기화 위치로 이동한다. 초기화는 기준위치점에 위치하던 용지검출센서가 픽업된 인쇄용지의 크기에 따라 인쇄용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최대한 인쇄용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검출 전에 인쇄용지의 일단부로부터 인쇄용지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작은 크기의 인쇄용지의 경우에는 용지검출센서가 기준위치점으로부터 많이 이동하여 인쇄용지의 일단부에 가깝게 위치하고, 보다 큰 크기의 인쇄용지의 경우에는 기준위치점에서 적게 이동하기는 하나 작은 크기의 인쇄용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쇄용지의 일단부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한다. 초기화 동작은 용지의 크기에 따라 용지검출센서의 위치를 달리하여 보다 신속하게 용지를 검출하여 마진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인쇄용지는 피드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레지스트레이션 동작에 의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앞에서 정지한다(S720). 용지검출센서는 초기화 위치점으로부터 인쇄용지의 일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고, 인쇄용지를 검출한다(S730). 용지검출센서가 용지를 검출한 후에는 다시 기준위치점으로 이동한다. 인쇄용지는 검출된 후에 이동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통과하게 되고, 진행방향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정렬된다.
용지검출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인쇄용지 검출신호 및 기준위치점 검출신호를 기초로 하여 용지의 좌측 마진 또는 우측 마진이 산출된다(S740). 인쇄용지 검출신호는 기준 위치점으로부터 인쇄용지의 일단부가 검출되기까지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좌우마진 산출부는, 시간정보로부터 인쇄용지의 좌우단부의 위치를 계산하여 좌우마진을 산출한다.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좌우마진을 좌측 a mm, 우측마진을 b mm라고 하자. 그리고 인쇄용지가 정상적 위치보다 좌측으로 Δc mm만큼 이동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좌우마진 산출부는 좌측마진을 (a-Δc)mm, 우측마진은 (b+Δc)mm로 산출할 수 있다. Δc mm는 도 6에서 나타나있는 초기화 위치점 검출신호와 인쇄용지 검출신호간의 시간간격(Δt23) 및 인쇄용지 검출신호와 기준위치점 검출신호 간의 시간간격(Δt34)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미 알고 있는 용지검출센서의 속도에 시간간격을 연산하면 각 지점의 기준위치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알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는 미리 시간간격과 마진과의 관계를 지정하여 입력될 수 있다.
좌우마진 산출부는 산출된 마진을 인쇄엔진에 전달하고, 인쇄엔진은 마진 정보를 반영하여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S75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에 따르면, 화상인쇄시 인쇄용지가 카세트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위 치하는 경우에, 이와 정상적 위치와의 차이를 좌우마진에 반영하여 새로운 마진을 산출하여 인쇄에 반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위치했던 인쇄용지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용지 영역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재인쇄 등의 불필요한 작업 및 인쇄용지 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동작에 의하여 정지된 인쇄용지의 좌우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용지 검출 센서(sensor); 및
    상기 용지 검출 센서에 의하여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용지의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좌우마진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 검출 센서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인입 구간 앞의 트레이에 배치되고,
    상기 용지 검출 센서는 자체적으로 상기 인쇄 용지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검출전에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인쇄용지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하여 정렬하기 위하여 정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는 기준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일단부가 검출되기까지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마진 산출부는, 상기 시간정보로부터 상기 인쇄용지의 좌우단부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4. 삭제
  5. 용지 검출 센서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동작에 의하여 정지된 인쇄용지의 좌우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용지 검출 센서에 의하여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좌우마진 산출부가 상기 인쇄용지의 좌우마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 검출 센서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인입 구간 앞의 트레이에 배치되고,
    상기 용지 검출 센서는 자체적으로 상기 인쇄 용지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검출전에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인쇄용지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방법.
KR1020050089501A 2005-09-26 2005-09-26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 KR10112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01A KR101123689B1 (ko) 2005-09-26 2005-09-26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01A KR101123689B1 (ko) 2005-09-26 2005-09-26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868A KR20070034868A (ko) 2007-03-29
KR101123689B1 true KR101123689B1 (ko) 2012-03-15

Family

ID=4762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501A KR101123689B1 (ko) 2005-09-26 2005-09-26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6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31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여백없는 인쇄를 위한 용지에지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50022647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용지의 단부 검출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여백없는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31A (ko) *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여백없는 인쇄를 위한 용지에지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50022647A (ko) * 2003-08-2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용지의 단부 검출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여백없는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868A (ko)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875B2 (en) Sheet carry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arrying control method for double feed detecting of accepted sheets
US7703766B2 (en) Method for sensing paper skew and method for correcting paper skew
JP2007167975A (ja) 印刷機の断裁制御装置及び断裁制御方法
US6511239B1 (en) Flyer determination and elimination for side edge electronic registration
JP2008120562A (ja) シート搬送装置
KR101123689B1 (ko) 인쇄용지의 좌우마진 산출장치 및 좌우마진 산출방법
CN101236371A (zh) 可确定纸张宽度的成像设备及其成像方法
US71648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default media size for an imaging device
JP2007060516A (ja) 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98859A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20190346803A1 (en) Image forming system
JP2008055782A (ja) 印刷機
KR0135170B1 (ko) Lbp의 기록지 마진 자동조절장치 및 그 방법
US20230097720A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method
US20230406658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that guides document from common transport route to one of curved transport route and linear transport route, by controlling action of switc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35616A (ja) 搬送装置、記録装置及び制御方法
JP6996223B2 (ja) 画像形成装置
JP4152220B2 (ja) データ記録装置
JP4529324B2 (ja) 連続紙用印刷装置
US8894057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detecting lateral position deviation amount of sheet,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1717736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44097A (ja) 印刷装置
KR100238584B1 (ko) 화상기록장치의 인쇄속도 향상 방법
JP6405896B2 (ja) 画像形成装置
JP4038754B2 (ja) 印刷用紙終端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