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468B1 - 취반기 - Google Patents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468B1
KR101123468B1 KR1020050011654A KR20050011654A KR101123468B1 KR 101123468 B1 KR101123468 B1 KR 101123468B1 KR 1020050011654 A KR1020050011654 A KR 1020050011654A KR 20050011654 A KR20050011654 A KR 20050011654A KR 101123468 B1 KR101123468 B1 KR 10112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eight
pan
cook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922A (ko
Inventor
히로시 오야
고이치로 야마시타
모토미치 미시마
마사키 유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4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04General aspects of dyeing
    • D06P1/0012Effecting dyeing to obtain luminescent or phosphorescent dye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취반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가진 본체와, 본체 내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냄비와,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덮개와,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본체에 설치되어, 냄비와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을 검지하는 중량검지수단과, 바꾸어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가지며, 그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적어도, 냄비를 본체에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중량검지수단의 제 1 출력신호와, 냄비를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중량검지수단의 제 2 출력신호를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로서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 1 타이밍으로 입력한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기억부에 기억된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를 갱신하고, 제 2 타이밍으로 입력한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와 중량산출용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여, 조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가열수단으로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취반기{RICE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취반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취반기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취반기에 있어서의 로드셀로의 하중의 크기와 로드셀의 출력신호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취반기의 중량산출용 매개변수의 갱신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취반기의 취반개시할 때의 중량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a)는, 도 1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이다.
도 7(b)는, 도 1의 취반기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이다.
도 7(c)는,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이다.
도 7(d)는,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 선)의 온도이다.
도 8은, 도 1의 취반기의 보온할 때의 중량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실시예 4의 취반기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9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이다.
도 11(b)는, 도 9의 취반기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이다.
도 11(c)는,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이다.
도 11(d)는,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취반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취반기의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였을 때의 샤프트를 통과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취반기의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지 않을 때의 샤프트 를 통과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5의 취반기의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지 않을 때의 가이드 롤러대의 측면도이다.
도 16(b)는, 도 15의 취반기의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였을 때의 가이드 롤러대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취반기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도시를 목적으로 한 개요적 표현에 의해 그려져 있고, 반드시 거기에 표시된 요소의 실제의 상대적 크기나 위치를 충실히 묘사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음을 고려하기 바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2...냄비,
13...가열코일, 14...회로기판,
15...온도검지수단, 16...냄비검지수단,
17...지지부, 18...로드셀,
19...피조리물, 20...덮개,
21...덮개개폐검지수단, 30...수납부,
40...중량검지수단, 50...조작부,
300...제어수단, 320...기억부.
본 발명은,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자유도가열을 이용한 취반기가 시장에서 확산되고 있다. 전자유도가열을 이용한 취반기(유도가열취반기)는, 냄비 바닥의 바깥쪽에 유도가열코일을 가지며, 유도가열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냄비자체를 가열하기 때문에, 히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취반기에 비해서 부드럽게 팽창한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한편, 밥맛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냄비 속의 쌀 및 물의 양(취반량)을 판정하여, 취반량에 따라서 가열량을 제어하는 취반기가 보급되어 왔다.
일본의 특허공개공보 평성2002-10910호에, 종래예 1의 취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예 1의 취반기는, 취반량이 많은(예를 들면, 쌀 4합 이상, 주: 1합은 180cm3)경우는 강한 화력(예를 들면, 1300W)으로 가열을 하고, 취반량이 적은 경우는 약한 화력(예를 들면, 600W)으로 가열한다. 취반량의 판정방법으로서, 소정의 열량으로 가열하였을 때(예를 들면, 소정온도로 쌀에 흡수시킨 후에 비등시킬 때)의 냄비의 온도상승 속도로부터 취반량을 판정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취반 전에 취반기의 선택버튼으로 취반량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예 1의 취반기는, 밥을 보온할 때에, 사용자가 입력한 보온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보온전력을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예 1의 취반기는 가열시의 냄비의 온도상승 속도로부터 취반량을 판정하는 경우, 온도가 소정값에 도달하여 취반량이 판정될 때까지는, 화력제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취반량이 적은 경우, 흡수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전에 물이 비등하여, 쌀에 심이 남아서 밥이 딱딱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취반/보온량을 입력하는 경우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취반/보온순서가 번잡하였다.
일본의 특허공고공보 평성1-27724호에, 종래예 2의 취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예 2의 취반기는, 취반개시와 동시에 중량검지수단에 의해 안냄비의 중량(안냄비, 물 및 쌀의 총중량)을 검지하여 취반량을 판정하고, 취반시의 히터의 전력량(화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취반개시와 함께 그 취반량에 적당한 화력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는, 제품마다 차이가 나기 쉽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피조리물의 중량을 정밀도가 좋게 산출하기 위해서, 취반기의 조립 후에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를 소정의 범위 내로 모으는 기계적?전기적인 조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예 2의 취반기는, 그 제조공정에 있어서,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를 기계적?전기적으로 조정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고, 고가였다. 또한, 중량검지수단이 스프링 등의 기계적인 요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 실온 등에 의해서 검지정밀도가 저하한다. 종래예 2의 취반기는, 중량검지수단의 검지정밀도가 저하한 경우 에 취반량을 잘못 판정하여 버려,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예 2의 취반기는, 본체, 바닥틀 및 바닥틀의 안쪽에 삽입되는 바닥뚜껑을 구비하며, 본체에 냄비를 수납하면, 냄비와 본체의 합계중량에 비례하여 바닥틀 및 바닥뚜껑에 부착된 전극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구성이다. 종래예 2의 취반기는,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발진상태의 변화로서 검출함으로써 취반량을 검지한다. 종래예 2의 취반기는, 냄비에 대한 취반기 전체의 크기가 크고, 운반 및 설치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품갯수가 많아서 조립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예 2의 취반기와 같은 형태의 중량검지수단을, 유도가열취반기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겼다. 유도가열취반기에 있어서는, 취반할 때에, 냄비자체를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냄비 안에서 물을 대류시켜, 그 대류에 의한 열전도로 쌀을 가열한다. 따라서, 냄비내의 쌀과 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밥을 짓는 데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냄비와 유도가열코일의 사이의 위치관계를 최적의 상태로 고정하고, 취반량에 따라서 소정의 상태, 강한 대류를 냄비 내에 일으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유도가열코일은 3차원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가진 것이 많았다. 한편, 유도가열코일을 내장하는 수납부(상부의 윗틀과 하부의 코일베이스로 구성된다)는, 성형성 및 대량생산성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는 수지로 생산된다. 취반할 때에 냄비는 고온이 된다. 수지의 내열성이 그만큼 높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취반기는, 수납부의 상단부에, 바깥쪽으 로 튀어나온 냄비의 상단 개구부의 플랜지형상부를 수평으로 걸쳐놓고, 냄비와 수납부의 사이에 빈틈을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예 2의 취반기와 같은 형태의 중량검지수단을, 유도가열취반기에 부착할 수는 없었다.
일본의 특허공개공보 평성1-297011호에, 종래예 3의 취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예 3의 취반기는, 본체 내에 냄비(안솥)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의 중량검지수단(중량센서)의 출력을 중량검지수단의 제로점으로서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제로점은, 사용자가 취반을 위해 냄비를 본체로부터 꺼낼 때마다 보정된다. 본체 내에 피조리물을 넣어놓은 냄비가 수납되었을 때의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으로부터, 본체 내에 피조리물을 넣어놓은 냄비가 수납되기 직전에 기억부에 기억된 제로점의 값을 감산함으로써, 냄비와 피조리물의 총중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총중량으로부터 냄비의 중량을 감산함으로써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냄비의 중량은 판두께의 불균형 등에 의해 제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종래예 3의 취반기가 산출하는 피조리물의 중량에는, 냄비의 중량의 불균형이 오차로서 포함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는 제품마다 차이가 있지만, 종래예 3의 취반기는, 그 출력감도를 모든 제품에서 일정한 값으로 가정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예 3의 취반기는 정확히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의 특허공개공보 평성1-297012호에, 종래예 4의 취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예 4의 취반기는,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인 경우에 본체 내에 냄비가 없다고 판단하여, 본체 내에 냄비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의 중 량검지수단의 출력을 중량검지수단의 제로점으로서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그러나, 종래예 4의 취반기는, 냄비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해서 항상 중량검지수단을 동작시켜 둘 필요가 있어, 여분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쌀의 주성분인 전분질이 α화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단맛이 늘고, 또한 소화흡수면에서도 좋다고들 한다. 이 때문에, 비등(沸騰)유지공정에서, 냄비 내의 압력을 올려 물의 비등점을 상승시키고, 쌀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α화도를 향상시키는 압력식 취반기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압력식 취반기는, 가하는 물의 양(쌀과 물의 비율)의 변화에 의해 α화도에 차이가 나기 쉽다. 즉, 물의 가감의 불균형에 의해서, 압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맛에 차이가 나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냄비 내의 피조리물의 양을 가열개시 전에 정밀도가 좋게 추정하여, 피조리물의 양에 따른 적절한 화력제어가 가능한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량검지수단의 검출정밀도의 저하를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조할 때에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를 기계적?전기적으로 조정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소형이며 경량이고 또한 염가의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비전력이 실효적으로 적은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물을 가하는 양 등의 취급조건에 의해서 쌀의 α화도에 차이가 나지 않는 압력식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유도가열을 이용한 취반기(유도가열취반기)에 있어서는, 유도가열코일과 냄비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코일과 냄비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취반성능을 발휘하는 유도가열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한 취반기는, 윗면에 개구부를 가진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냄비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덮개와, 상기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냄비와 상기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을 검지하는 중량검지수단과, 바꾸어 쓰는 것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가지며, 그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적어도, 상기 냄비를 상기 본체에 수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제 1 출력신호와, 상기 냄비를 상기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제 2 출력신호를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로서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 1 타이밍으로 입력한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를 갱신하고, 상기 제 1 타이밍과는 다른 타이밍인 제 2 타이밍으로 입력한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중량산출용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며,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으로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제조공정 중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를 기억부에 써넣은 간단한 공정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를 기계적?전기적으로 조정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염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중량측정정밀도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취반기는,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하기 어렵고, 또한 주위온도 등의 환경의 영향도 받기 어려운, 안정된 중량측정정밀도를 가진다.
또,「중량산출용 매개변수」란,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와 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다. 「냄비를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냄비는 비어 있어도 된고, 이미 알고 있는 무게의 추가 냄비에 들어가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중량산출 매개변수로서, 냄비를 본체에 수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제 1 출력신호뿐만 아니라, 냄비를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제 2 출력신호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있기 때문에, 중량검지수단의 출력감도 및 냄비의 중량이 제품마다 불규칙하더라도 정확하게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취반개시 전에 냄비 속의 피조리물(쌀과 물)의 중량(취반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취반량에 따른 화력제어가 취반을 시작했을 때부터 가능하여,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중량산출용 매개변수가, 적어도, 상기 제 1 출력신호와, 비어 있거나 또는 제 1 하중을 포함한 상기 냄비를 상기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제 2 출력신호와, 상기 냄비와 제 2 하중을 상기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제 3 출력신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 냄비의 중량과,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는, 제품마다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의 전형적인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번거로운 중량검지수단의 감도조정작업을 하지 않고(또는 극히 간단한 확인, 조정작업만으로), 제 2 출력신호 및 제 3 출력신호를 각 취반기의 기억부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가열물의 중량을 산출하는 식(전형적으로는 1차식)의 개개의 취반기의 특성에 따른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취반기의 여러 가지 특성이 불규칙적이더라도, 피가열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의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로서, 바람직하게는, 냄비가 수납부에 없는 상태, 빈 냄비를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 및 냄비에 피조리물의 최대량에 해당하는 추를 넣은 상태에서의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이 좋다.
냄비를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중량검지수단의 제 2 출력신호는,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이다. 그러나, 그 측정값은, 예를 들면 약간의 잔반이 냄비에 달라붙어 있거나 또는 냄비 내에 주걱이 들어가 있는 등의 예측할 수 없는 조건도 포함하는 값이다. 그 때문에, 보정을 위한 측정값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반대로, 냄비를 본체에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중량검지수단의 제 1 출력신호는, 예측이 불가능한 조건이 거의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보정을 위한 측정값으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반기에 의하면, 제 1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로점 보정값을 산출하고, 제 2 출력신호 및 제 3 출력신호를 제로점 보정값에 의해 보정함으 로써, 안정적이고 높은 정밀도로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는 취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바꾸어 쓰는 것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기억부와 상기 제어부 대신에, 적어도 비어 있거나 또는 제 1 하중을 포함한 상기 냄비를 상기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제 1 출력신호와, 상기 냄비와 제 2 하중을 상기 본체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제 2 출력신호를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로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중량산출용 매개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으로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빈 냄비(또는 제 1 하중을 포함한 냄비)를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제 1 출력신호와, 냄비와 제 2 하중(바람직하게는 취반기가 취반이 가능한 최대량의 피조리물의 중량에 해당하는 하중으로, 제 1 하중과 다른 하중)을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제 2 출력신호를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냄비의 중량과,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가 제품마다 불규칙하더라도 정확하게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취반개시 전에 냄비 속의 피조리물(쌀과 물)의 중량(취반량)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취반량에 따른 화력제어가 취반을 시작할 때부터 가능하여,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를 기억부에 써넣는다고 하는 간단한 공정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 취반기는,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를 기계적?전기적으로 조정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염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중량측정정밀도를 가진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본체 내의 상기 냄비의 유무를 검지하는 냄비검지수단을 더욱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비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냄비가 상기 본체에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없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되면, 상기 중량검지수단을 소정시간만큼 동작시켜, 그 때의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 1 출력신호와의 차이값인 제로점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를 상기 제로점 보정값에 기초하여 보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사용자가 냄비를 수납부로부터 꺼낼때마다, 중량검지수단의 제로점 보정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일반적으로 취반기의 사용자는, 취반 전에 냄비를 수납부로부터 꺼내어, 피조리물을 냄비에 넣고, 그 냄비를 수납부에 되돌려, 뚜껑을 닫는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취반의 직전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는, 자동적으로 갱신된다(제로점 보정이 행하여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각 중량산출용 매개변수에 제로점 보정값을 가산(또는 감산)하여, 보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만 상기 중량검지수단에 통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이 실효적으로 적고, 안정적이고 높은 정밀도로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는 취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덮개개폐검지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개폐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상기 덮개가 닫혀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되면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종료 전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덮개가 닫히기 직전의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피조리물의 양을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반개시할 때 또는 보온개시할 때에 자동적으로 취반량 또는 보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특수한 조작을 강제로 시키지 않고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여, 그 중량에 따른 가열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덮개개폐검지수단을 더욱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개폐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덮개가 닫혀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상기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되면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을 시작하게 하여, 그 후 상기 덮개개폐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상기 덮개가 닫혀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되면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종료 전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덮개가 열렸을 때부터, 그 후 처음으로 덮개가 닫혔을 때까지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밥을 담기 위해서 덮개를 열었을 때부터, 밥을 다 담고 덮개를 닫았을 때까지, 보온량을 산출한다. 따라서, 덮개를 닫기 직전의 보온량을 사용하여 적절한 보온제어를 할 수 있다. 필요이상으로 중량검지수단에 통전되지 않고,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덮개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덮개개폐검지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비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냄비가 상기 본체에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없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될 때 및 상기 냄비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냄비가 상기 본체에 없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될 때의 적어도 어느 한 때에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을 시작하게 하여, 그 후 처음으로 상기 덮개개폐검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상기 덮개가 닫혀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되면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동작종료 전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를 꺼냈을 때 또는 냄비를 수납하였을 때부터, 그 후 처음으로 덮개가 닫혔을 때까지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쌀과 물을 냄비에 넣기 위해서 냄비를 꺼내어 냄비를 취반기에 되돌렸을 때부터, 취반을 시작하기 위해서 덮개를 닫았을 때까지, 중량을 검지한다. 이에 따라, 필요이상으로 중량검지수단에 통전되지 않고, 쓸데없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상기 하나의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중량검지수단 의 출력신호의 크기가 정상적인 값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또는 일정한 순서로 취반을 실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취반기가 동요가 심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등의 원인에 의해,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한정값 이상으로 불규칙하거나, 이상(異常)한 값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취반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취반량 또는 가열할 때의 냄비의 온도상승 속도로부터 피조리물의 중량을 추정하여 취반을 실행하기 때문에, 최적의 조건이 아니라도 밥을 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취반기는, 윗면이 개구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냄비와, 상기 수납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덮개와, 상기 냄비를 유도가열하는 유도가열수단과, 상기 수납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중량검지소자와 상기 중량검지소자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 접촉하는 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검지체를 통해 상기 중량검지소자에 의해 상기 냄비와 상기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의 총중량을 검지하는 중량검지수단과,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상기 유도가열수단으로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가열조리를 개시하기 전에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여, 그 중량에 따라서 화력제어(유도가열수단으로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의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취반량에 관계없이,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적은 부품개수로 중량검지수단을 구성하기 때문에,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염가인 취반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서 중량을 검지하기 때문에, 수납부에 수납된 냄비의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중량측정값의 오차는 작다.
냄비를 유도가열하는 유도가열수단은, 전형적으로는 수납부의 바닥(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부착되는 유도가열코일이다. 유도가열코일은, 냄비의 바닥부의 중심의 대략 바로 아래에 중심이 있는 권선이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중량검지수단은 냄비의 중량을 그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서 지지하여 계측한다. 따라서, 중량검지수단을 유도가열코일과 간섭하지 않고 부착할 수 있다. 검지체로 냄비의 바닥의 대략 중심부에서 지지되는 냄비는, 냄비와 유도가열코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수납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도가열코일은 적절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냄비를 가열할 수 있고, 뛰어난 취반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냄비와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이란, 적어도 냄비와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을 포함하는 물건의 총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냄비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끼워맞춤수단과, 상기 냄비의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더욱 구비하더라도 좋다.
압력식 취반기의 경우, 냄비에 압력을 가하면, 냄비를 냄비의 바닥의 대략 중앙부에서 지지하는 중량검지수단에 압력향상분의 하중이 걸리고, 중량검지수단이 깨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식 취반기에 있어서도, 상기 냄비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끼워맞춤수단 및 상기 냄비의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중량검지수단에 압력향상분의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중량검지수단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식 취반기에 있어서도, 중량검지수단을 구비하여, 항상 적정한 물 대중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물 대중을 조정할 수 있고, 쌀의 α화도의 차를 없앨 수 있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는, 상기 중량검지소자와 상기 검지체의 사이에, 상기 중량검지소자와 상기 검지체에 접속된 절연부재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기가 약전회로에 침입하는 것을 절연부재에 의해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안전한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절연부재는, 유도가열코일의 누설자속에 의해 가열될 우려가 없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 상기 수납부에 상기 냄비가 수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냄비검지수단을 더욱 구비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 냄비와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의 측정과, 냄비의 유무의 검지를 어느 것이나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검지체가 통모양의 형상을 가지며, 그 안쪽에 상기 냄비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을 구비하 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염가의 구성으로, 냄비의 온도의 검지와, 냄비와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의 측정(또는 더욱 냄비의 유무의 검지와)를 어느 것이나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서 행할 수 있다. 수납부에 수납된 냄비의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검지온도 및 중량측정치의 오차는 작다. 또 더욱이 냄비의 유무를 잘못 검지할 우려가 없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온도검지수단이, 그 윗면이 상기 검지체의 윗면보다 위로 돌출하도록, 탄성체에 의해 윗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예를 들면 용수철) 및 검지체에 의해 온도검지수단에는 과대한 응력이 걸리지 않는다. 탄성체에 의해, 온도검지수단은 확실하게 냄비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그 온도를 정확히 검출한다. 중량검지수단은, 검지체를 통해 냄비와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중량검지수단은, 상기 냄비와 상기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을 검지하는 대신에, 상기 냄비, 상기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 및 상기 온도검지수단과의 총중량을 검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온도검지수단과 중량검지수단의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검지한 온도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리드선을 연결하거나 한 경우, 스프링정수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나 리드선의 돌려서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서는, 중량검지정밀 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냄비와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 함께 온도검지수단의 중량도 총중량으로서 예상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정수나 리드선의 돌려서 연결하는 방법 등에 불균형이 있더라도, 중량검지정밀도는 저하하지 않는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중량검지소자가 로드셀 또는 압전소자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피가열물의 중량에 의해, 냄비와 유도가열코일과의 거리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유도가열코일은 비가열물의 중량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냄비를 가열할 수 있다. 이들 소자는, 유도가열코일의 누설자속에 의해 와전류가 흘러 온도가 상승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고, 정확하게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냄비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는 축받이부를 유지하는 가이드 롤러부착부를,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적어도 3개 구비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가 상하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부드럽게 냄비가 수납된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가 검지체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부터도 가이드 롤러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냄비의 자세가 한층 더 안정적이며, 중량검지정밀도가 향상한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유도가열수단과 냄비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유도가열수단은 적절히 또 한 안정적으로 냄비를 가열할 수 있고, 우수한 취반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는 원주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밥을 냄비로부터 담을 때에, 냄비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냄비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냄비의 측면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한 축받이부를 구비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부재를 변위가 가능하게 유지하는 적어도 3개의 가이드 롤러부착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가 상하방향으로만 회전하고, 또한 냄비의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냄비의 크기에 불균형이 있더라도, 부드럽게 냄비를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가 검지체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부터도 가이드 롤러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냄비의 자세가 한층 더 안정적이고, 중량검지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취반기는, 유도가열수단과 냄비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유도가열수단은 적절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냄비를 가열할 수 있고, 뛰어난 취반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관점에 의한 발명의 취반기에 있어서 더욱, 상기 가이드 롤러는, 그 바깥둘레부에,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방향으로 평행하고 단면이 V자형상인 홈부를 가진 고무제의 냄비회전방지기구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취반기에 의하면, 냄비회전방지기구는, 냄비가 수납되면, 열리면 서 냄비에 접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냄비로부터 밥을 담을 때에 냄비가 회전하지 않는다.
발명의 신규의 특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특별히 기재한 것이 틀림이 없지만, 구성 및 내용의 쌍방에 대하여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이나 특징과 함께, 도면과 함께 이해되는 바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되어 평가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취반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실시예 1에서부터 실시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도 8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를 설명한다.
제일 먼저,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취반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파단부분에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전기적접속을 위한 리드선 등은 생략되어 있다.
도 1에서, 부호 10은 취반기의 상자형의 몸체(본체)이다. 몸체(10)에는, 그 윗면을 덮는 덮개(20)가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몸체(10)의 수납부(30)는, 위쪽의 윗틀(32)과 아래쪽의 코일베이스(코일지지체)(31)로 구성된다. 냄비(12)는, 스테인레스,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서 형성된다. 수납부(30)는, 자성체제의 냄비(12)를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한다. 코일베이스(31)의 냄비(12)바닥부에 대 향하는 부분에, 냄비(12)를 유도가열하는 가열코일(13)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4)은, 몸체(10)와 수납부(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기판(1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컴퓨터, 입력회로, 출력회로, 바꾸어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플래쉬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취반기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냄비(12)를 유도가열하여, 냄비(12) 내의 피조리물(19)을 가열조리한다. 피조리물(19)은, 취반 전의 쌀과 물 또는 다 지은 밥 등이다. 실시예 1의 취반기는 전원코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전원코드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전원 ON」의 상태가 된다.
실시예 1의 취반기에 설치되는, 각 검지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일베이스(31)의 바닥부에는, 냄비(1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15)이 설치되어 있다. 온도검지수단(15)은, 스프링에 의해서 위로 밀어서 올려져,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면 냄비(12)의 바닥의 중앙부에 접촉하여, 냄비(12)의 온도를 검지한다.
몸체(10)의 바닥부에는,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냄비검지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냄비검지수단(16)은, 몸체(10)에 강체(剛體) 접속된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된다.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면, 온도검지수단(15)의 바닥에 설치한 돌기부가 마이크로스위치를 밀어 내리기 때문에, 냄비검지수단(16)은 ON 신호를 출력한다.
덮개(20)의 개폐를 검지하는 덮개개폐검지수단(21)이 몸체(10)에 설치되어 있다. 덮개개폐검지수단(21)은,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된다. 덮개(20)가 닫히면 덮개(20)의 힌지부가 마이크로스위치를 밀어 내리기 때문에, 덮개개폐검지수단(21)은 ON 신호를 출력한다.
냄비검지수단(16) 및 덮개개폐검지수단(21)은, 각각 취반기의 전원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항상 동작하고 있으며, ON 신호 또는 OFF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출력하고 있다.
중량검지수단(40)은, 냄비(12)의 중량을 검지하는 중량검지수단이다. 중량검지수단(40)은, 지지부(17) 및 로드셀(18)로 구성된다.
로드셀(18)은, 로버벌형의 로드셀(하중변환기)이고, 몸체(10)에 강체접속된다. 로드셀(18)에는, 저항선 왜곡게이지(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로드셀(18)은, 하중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저항선 왜곡게이지의 저항변화를, 브리지회로에서 전기신호로서 집어낼 수 있다.
지지부(17)는, 얇은 판에 3개의 돌기부를 형성한 형상을 갖는다. 지지부(17)(얇은 판)는 로드셀(18)의 일끝단부에 나사로 고정된다. 지지부(17)의 돌기부는, 코일베이스(31)의 바닥부에 형성한 3개의 구멍을 각각 관통한다.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드셀(18)은 지지부(17)의 중량을 검지한다.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면, 지지부(17)의 돌기부 선단부가 냄비(12)의 바닥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로드셀(18)은 왜곡되고, 지지부(17), 냄비(12) 및 냄비(12) 속의 피조리물(19)의 총중량을 검지한다. 로드셀(18)에 부착되어 있는 저항선 왜곡게이지는, 후술하는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로부터 동작지령을 수신하였을 때만 통전된다(동작한다). 저항선 왜곡게이지의 출 력은, 통전후 0.5초 정도에서 안정된다. 중량검지수단(40)은, 냄비의 바닥면을 3점 지지하는 지지부(17)를 통하여, 정확하게 냄비 및 피가열물의 중량을 측정한다.
온도검지수단(15), 냄비검지수단(16), 덮개개폐검지수단(21) 및 중량검지수단(40)으로부터의 전기신호는, 각각 회로기판(14)에 입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 1의 취반기의 본체(10)의 앞면에는, 조작부(50)가 설치되어 있다(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조작부(50)는, 표시부(58) 및 키입력수단(59)을 갖는다. 키입력수단(59)으로서, 취반스위치(51), 보온스위치(52), 취소스위치(53), 타이머예약을 행하기 위한 예약스위치(54), 예약시간(시와 분)을 맞추기 위한 시(時)스위치(55) 및 분(分)스위치(56), 중량검지수단(40){로드셀(18)}을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계측스위치(57)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각 스위치를 조작하여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58)에는, 밥을 짓는 상황 등이 표시된다.
다음에, 도 3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제어수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제어계는, 조작부(50), 중량검지수단(40), 냄비검지수단(16), 덮개개폐검지수단(21), 온도검지수단(15), 제어수단(300), 가열코일구동수단(311), 가열코일(13), 기억부(320), 냄비(12), 덮개(20)를 갖는다.
기억부(320)는, 회로기판(14)에 탑재된 바꾸어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피조리물(19)의 중량을 산출하기 위한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기억한다. 제어수단(300)은, 회로기판(14)에 탑재된 마이크로컴퓨터를 갖는다. 가열코일구동수단(311)은, 회로기판(14)에 탑재된다.
제어수단(300)(마이크로컴퓨터)은, 기억수단 속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부(50)를 통해 입력하는 조작지령, 각 검지수단{중량검지수단(40), 냄비검지수단(16), 덮개개폐검지수단(21) 및 온도검지수단(15)}으로부터 입력되는 각 신호 및 기억부(320)로부터 읽어낸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에 기초하여, 가열코일구동수단(311)의 제어, 표시부(58)에의 표시, 로드셀(18)의 ON/OFF 제어 및 기억부(320)의 바꾸어 쓰기를 행한다.
가열코일구동수단(311)은, 제어수단(300)의 제어에 따라서, 가열코일(13)을 구동한다. 가열코일(13)의 가열량은, 가열코일(13)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수단(300)은, 중량산출부(301), 로드셀 ON/0FF 제어부(302), 제로점보정부(303), 가열제어부(304) 및 가열프로그램기억부(305)를 갖는다. 중량산출부(301)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 및 기억부(320)로부터 읽어낸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에 기초하여, 냄비(12) 속의 피조리물(19)의 중량(취반량 또는 보온량)을 산출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계측스위치(57)가 조작되어 후술하는 소정의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에, 로드셀(18)로의 통전을 ON/OFF 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소정의 조건(후술)으로, 로드셀(18)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바꾸어 쓰기한다. 가열프로그램기억부(305)는, 피조리물(19)의 중량에 따른 가열프로그램(취반공정 및 보온공정)을 기억한다. 가열제어부(304) 는, 중량산출부(301)가 산출한 피조리물(19)의 중량, 및 온도검지수단(15)이 검지한 냄비(12)의 온도에 기초하여, 피조리물(19)의 중량에 따른 가열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가열코일구동수단(311)을 제어한다.
도 4~도 8을 사용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공장에서 출하하기 전의 취반기의 동작〕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를 공장에서 조립한 후에, 출하하기 전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립한 후, 전원을 넣는다(취반기에 상용전원을 공급한다). 냄비(12)를 수납부(30)로부터 꺼내어진 상태{로드셀(18)에 지지부(17)만이 실려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50)의 계측스위치(57)와 취반스위치(51)를 동시에 누른다. 이 때의 로드셀(18)에 걸리는 하중의 크기를 W1으로 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저항선 왜곡게이지의 저항변화에 기초한 브리지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한다. 소정시간(예를 들면 3초) 경과한 후,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할 때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S1)를 기억부(320)에 써넣는다. 이하, 냄비(12)를 수납부(30)로부터 꺼내어진 상태에서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를,「제로점측정값」이라고 한다. 제로점측정값은, 냄비(12) 및 취반기 중량의 제조불균형 등에 의해서, 여러 가지 값을 취한다.
다음에, 빈 냄비(12)를 수납부(30)에 수납한 상태{로드셀(18)에 지지부(17)와 빈 냄비(12)가 실려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50)의 계측스위치(57)와 보온스위치(52)를 동시에 누른다. 이 때의 로드셀(18)에 걸리는 하중의 크기를 W2로 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를 입력한다. 소정시간(예를 들면 3초) 경과한 후,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할 때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S2)를 기억부(320)에 써넣는다.
다음에, 냄비(12)에 피조리물(19)의 최대중량(예를 들면, 5합의 쌀과, 5합의 쌀을 끓이기 위한 물의 총중량)에 해당하는 추를 넣어, 그 냄비(12)를 수납부(30)에 수납한 상태{로드셀(18)에 지지부(17), 빈 냄비(12) 및 추가 실려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50)의 계측스위치(57)와 예약스위치(54)를 동시에 누른다. 이 때의 로드셀(18)에의 하중의 크기를 W3으로 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를 입력한다. 소정시간(예를 들면 3초) 경과한 후,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할 때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S3)를 기억부(320)에 써넣는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기억부(320)에는, 공장에서 출하되기 전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로서, 3개의 상태(하중이 W1, W2, W3)에 대한 로드셀(18)의 출력신호(S1, S2, S3)가 써넣어진다.
도 4는, 로드셀에의 하중의 크기와 로드셀의 출력신호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는, 로드셀(18)에의 하중의 일차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401은, 실시예 1의 취반기를 출하하기 전에 얻어진, 로드셀(18)에의 하중의 크기와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직선이다.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가 S일 때, 냄비(12) 속의 피조리물(19)의 중량(W)는,
W = Wmax ×(S-S2)/(S3-S2) ‥‥ (1)
가 된다. 단, Wmax는, 피조리물(19)의 최대중량(=W3-W2)이고, 이미 알고 있는 양이다. 통상적으로, 냄비(12)의 중량(=W2-W1)은 제품마다 차이가 있지만, 식(1)은, 냄비(12)의 중량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피조리물(19)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로드셀(18)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는 제품(취반기)마다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로부터 피조리물의 중량을 정밀도 좋게 산출하기 위해서, 취반기를 조립한 후에, 로드셀(18)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를 소정의 범위 내로 모이게 하는 기계적?전기적인 조정공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제조공정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기억부(320)에 써넣는 간단한 공정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피조리물의 중량의 산출정밀도가 높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기억부(320)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써넣기 때문에, 로드셀(18)의 출력신호(S)로부터 식(1)만을 사용하여 피조리물(19)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출하하기 전에, 제로점 측정값을 소정의 범위 내로 모으기 위한 회로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S2-S1는 냄비(12)의 중량이 되기 때문에, 냄비(12)의 중량불균형을 기록하게 되어, 측정정밀도가 향상한다.
〔냄비를 수납부에서 꺼냈을 때의 취반기의 동작〕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냄비를, 수납부에서 꺼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중량검지수단(40)은 기계적인 요소에 의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 실온, 취반기의 설치장소의 경사 등에 의해서 검지정밀도가 저하한다. 즉,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가 변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수납부(30)로부터 냄비(12)를 꺼냈을 때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중량산출용 매개변수의 갱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취반기의 전원을 켠다(단계 501). 취반기의 전원이 들어오면, 냄비검지수단(16)이 동작을 시작하여, 수납부(30)에 냄비(12)가 있는지 여부의 신호를, 제어수단(300)에 출력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냄비(12)가 수납부(30)에 있는 상태로부터 없는 상태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냄비(12)가 수납부(30)로부터 꺼내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02). 냄비(12)가 수납부(30)로부터 꺼내어졌을 때,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 ON/OFF 제어부(302)에, 로드셀(18)로의 통전지령을 송신한 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한다(단계 503).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ST0)를 입력한다(단계 504). 소정시간(수초정도) 경과하여 로드셀(18)의 출력신호가 안정되면, 제로점보정부(303)는 로드셀 ON/OFF 제어부(302)에, 로드셀(18)로의 통전종료지령을 송신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한다(단계 505).
제로점보정부(303)에는, 최신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ST0)가 기억되어 있다. 이 ST0란, 최신의 제로점측정값이다. 로드셀(18)의 출력신호는,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 실온, 취반기의 설치상황 등에 따라서 변동한다. 따라서 ST0는, 공장에서 출하할 때에 측정한, 수납부(30)에 냄비(12)가 없을 때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S1)와는, 일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제로점이 드리프트한다).
제로점보정부(303)는, 제로점 보정값 SE(=ST0-S1)를 계산한다(단계 506). 제로점보정부(303)는,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S1, S2 및 S3)를 읽어 내어, 각각의 값으로 제로점 보정값 SE를 가산하여, ST1, ST2 및 ST3로 한다(단계 507).
도 4에 있어서 402는, 스텝 506에서 얻어진, 로드셀(18)에의 하중의 크기와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직선이다. 직선402는, 공장에서 출하할 때의 직선(401)을 세로축방향으로 SE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이다.
제로점보정부(303)는, 기억부(320)의 중량산출용 매개변수(S1, S2 및 S30을, ST1, ST2 및 ST3로 각각 갱신한다(단계 508).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수납부(30)로부터 냄비(12)가 꺼내어질 때마다,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갱신한다(제로점 보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로드셀(18)을 소정의 시간밖에(스텝 503~스텝 505의 사이) 통전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에서는, 냄비(12)가 꺼내어지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한 후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로부터 제로점 보정값(SE)을 산출한다(단계 506). 이것에 대신하여, 냄비(12)가 꺼내어지고 나서 로드셀(18)의 출력신호가 안정된 후의, 일정시간 내의 출력신호를 사용하여(예를 들면, 평균하여) 제로점 보정값을(SE)을 산출하더라도 좋다.
〔밥을 지을 때의 취반기의 동작〕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밥을 지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밥을 짓기 시작할 때의 중량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취반기의 전원을 켠다(단계 601). 취반기의 전원이 들어오면, 냄비검지수단(16) 및 덮개개폐검지수단(21)은 동작을 시작한다. 냄비검지수단(16)은, 수납부(30)에 냄비(12)가 있는지의 여부의 신호를 제어수단(300)에 출력한다. 중량산출부(301)는, 냄비(12)가 수납부(30)에 없는 상태로부터 있는 상태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2).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었을 때, 중량산출부(301)는 로드셀 ON/OFF 제어부(302)에, 로드셀(18)로의 통전지령을 송신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한다(단계 603). 중량산출부(301)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Sc)를 입력한다(단계 604). 중량산출부(301)는, 덮개개폐검지수단(21)의 신 호로부터, 덮개(20)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닫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5). 덮개(20)가 닫힌 것을 검지하면, 중량산출부(301)는 로드셀 ON/OFF 제어부(302)에, 로드셀(18)로의 통전종료지령을 송신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한다(단계 606).
이 시점에서, 중량산출부(301)에는, 최신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의 크기(Sc)가 기억되어 있다. 중량산출부(301)는, 식(1)에서 Sc를 사용하여, 냄비(12) 속의 피조리물(19)의 중량(취반량)(Wc)을 산출한다(단계 607). 가열제어부(304)는, 취반스위치(51){키입력수단(59)에 포함된다}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8). 취반스위치(51)가 조작되면, 가열제어부(304)는 가열프로그램기억부(305)로부터, 피조리물(19)의 중량(Wc)에 대응하는 가열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취반공정을 실행한다(단계 609).
일반적으로 취반기의 사용자는, 밥을 짓기 전에 냄비(12)를 수납부(30)로부터 꺼내어, 피조리물(19)을 냄비(12)에 넣고, 그 냄비(12)를 수납부(30)에 다시 넣어, 덮개(20)을 닫는 동작을 한다. 따라서, 밥을 짓기 직전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가 [밥을 지을 때의 취반기의 동작]에서 설명한 방법(도 5의 순서도)에서 자동적으로 갱신된다(제로점 보정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갱신된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사용하여, 밥을 짓기 전에 자동적으로 취반량(Wc)을 산출하기 때문에, 취반량(Wc)의 추정정밀도가 높다. 더구나 사용자는, 제로점 보정 및 취반량 산출을 위해, 특수한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취반을 개시하기 전에 중량검지수단(40)에 의해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방법의 취반공정(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취반공정)과, 종래예 1과 같은 취반 중의 온도검지수단(15)의 온도상승 속도에 의해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방법에서의 취반공정의 차이를 설명한다.
취반공정은, 시간순으로 쌀에 흡수(吸水), 밥을 지음, 비등유지, 지어진 밥의 보온, 뜸들이기로 크게 구별된다.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 냄비(12)의 온도가 쌀의 흡수에 알맞은 온도(50℃)가 될 때까지 냄비 내의 쌀과 물을 가열하여, 쌀에 흡수시킨다. 다음에, 밥을 짓는 공정에서, 냄비(12)의 온도가 소정값(100℃)이 될 때까지 냄비(12)를 소정의 열량으로 가열한다. 종래예에서는, 이 때의 온도상승 속도에 의해서, 취반량을 판정하였다. 비등유지공정에서, 냄비(12)의 물이 없어져, 냄비(12)의 온도가 100℃를 넘는 소정값이 될 때까지, 쌀과 물을 가열한다. 마지막으로 뜸들임 공정에서, 일정시간의 사이에 복수회, 취반량에 따른 가열(지어진 밥의 보온)과 가열의 정지를 반복한다.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 대하여, 도 7(a)~(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 도 7(b)는, 마찬가지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는,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 도 7(d)는, 마찬가지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바닥(실선) 및 피조리물중 심부(파선)의 온도를 도시하고 있다. 냄비 바닥의 온도는, 온도검지수단(15)에 의해서 검지된다.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는, 도 7(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조리물(19)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온도검지수단(15)이 검지한 온도가 흡수에 알맞은 온도(50℃)가 될 때까지 가열을 행한다. 그 후, 소정시간(Ta), 냄비(12)의 온도를 50℃로 유지하여, 쌀에 흡수시킨다. 그러나, 취반량이 많은 경우(도 7(d)), 피조리물(19)전체의 온도가 50℃가 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흡수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밥에 심이 남아 버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도 7(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조리물(19)의 양에 따라서, 흡수시의 온도{온도검지수단(15)에 의해서 검지되는 온도}를 바꾼다. 예를 들면, 취반량이 1합일 때에는, 온도검지수단(15)이 검지한 온도가 50℃가 될 때까지 가열을 행한다. 그리고, 소정시간(Ta), 냄비(12)의 온도를 50℃로 유지하여, 쌀을 흡수시킨다(도 7 (a)). 예를 들면, 취반량이 5합일 때에는, 온도검지수단(15)이 검지한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열을 한다. 그리고, 소정시간(Ta), 냄비(12)의 온도를 60℃로 유지하여, 쌀을 흡수시킨다(도 7(b)). 피조리물(19)의 중심부의 온도는, 바깥쪽의 온도보다 늦게 상승하여 50℃ 정도가 되기 때문에, 쌀은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밥을 짓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는, 피조리물(19)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소정의 화력{가열코일(13)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으로 냄비(12)를 소정온도(100℃)까지 가열한다. 따라서, 취반량이 적은 경우에는, 너무 빨리 비등하여 쌀의 표면만이 끈끈하게 되어, 심이 남은 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취반량에 따라서, 밥을 짓는 공정에서의 화력{가열코일(13)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을 바꾼다. 즉, 취반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밥을 짓는 공정의 소요시간이 일정하게 되도록, 취반량이 적을수록 화력을 약하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가열을 개시하기 전에 정확하게 취반량을 산출하여, 취반량에 따른 화력제어를 하기 때문에, 취반량에 상관없이 항상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 취반량에 따라서, 쌀을 흡수할 때의 온도가 아니라, 쌀을 흡수하는 시간을 바꾸는 제어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로드셀(18)을 소정의 시간밖에(단계 603~단계 606의 사이) 통전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에서는,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었을 때(단계 602)에,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하는 제어방법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신하여, 냄비(12)가 수납부(30)로부터 꺼내어 졌을 때에,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하는 제어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에서는, 덮개(20)가 닫히기 직전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Sc)로부터 피조리물(19)의 중량(Wc)을 산출(단계 607)하는 제어방법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신하여, 덮개(20)가 닫히기 전의 소정시간 내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를 사용하여(예를 들면, 평균값을 계산하여) 피조리물(19)의 중량(Wc)을 산출하는 제어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만약에 소정시간 내의 중량(Wc)의 값이 소정의 한정값을 넘어서 변화한 경우는, 측정에 외란이 가해지고 있다고 판단하 여, 그 측정값을 채용하지 않고, 종래예의 취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취반량을 판정한다.
〔보온시의 취반기의 동작〕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보온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의 보온할 때의 중량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취반공정의 종료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밥을 보온한다. 보온 중, 덮개개폐검지수단(21)은 덮개(20)가 열려 있느냐 닫혀 있느냐의 신호를, 제어수단(300)에 출력한다. 중량산출부(301)는, 덮개(20)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801). 덮개(20)가 열렸을 때{예를 들면, 사용자가 밥을 담기 위해서 덮개(20)를 열었을 때}, 중량산출부(301)는 로드셀 ON/OFF 제어부(302)에, 로드셀(18)로의 통전지령을 송신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시작한다(단계 802). 중량산출부(301)는, 로드셀(18)의 출력신호(Sh)를 입력한다(단계 803). 중량산출부(301)는,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를 읽어내어, 로드셀(18)의 출력신호(Sh)로부터 보온량(Wh)을 산출한다(단계 804). 중량산출부(301)는, 덮개개폐검지수단(21)의 신호로부터, 덮개(20)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닫혔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805). 덮개(20)가 닫힌 것을 검지하면(예를 들면, 사용자가 밥을 담는 것을 멈추고 덮개(20)를 닫았을 때), 중량산출부(301)는 로드셀 ON/OFF 제어부(302)에, 로드셀(18)로의 통전종료지령을 송신한다. 로드셀 ON/OFF 제어부(302)는 로드셀(18)로의 통전을 종료한다(단계 806). 제어부(300)는, 보온스위치(52)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807). 보온스위치(52)가 조작되면, 가열제어부(304)는, 가열프로그램기억부(305)로부터 보온량(Wh)에 대응하는 가열프로그램을 읽어내어, 보온공정을 실행한다(단계 808).
보온공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온도검지수단(15)이 검출한 냄비(12)의 온도를 60℃로 제어하여 밥이 노래지는 것을 방지하는 저온가열제어와, 75℃로 제어하여 밥을 살균하는 고온가열제어를 소정의 시간씩 반복한다. 보온하는 밥의 양(Wh)이 적을수록, 고온가열제어를 하는 시간을 짧게 하여, 밥을 지나치게 가열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보온량에 상관없이 밥의 음식 맛을 유지한 보온을 할 수 있다. 또한, 보온량(Wh)의 산출을 위해, 사용자는 특수한 조작을 하는 필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로드셀(18)을 소정의 시간밖에(단계 802~단계 806의 사이) 통전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에서는, 덮개(20)가 닫히기 직전에 산출한 보온량(Wh)을, 보온량으로서 가열제어에 사용하는 제어방법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덮개(20)가 닫히기 전의 소정시간 내의 보온량(Wh)의 값을 사용하여(예를 들면, 평균값을 계산하여) 가열제어에 사용하는 제어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만일 소정시간 내의 보온량(Wh)의 값이 소정의 한정값을 넘어서 변화한 경우는, 측정에 외란이 가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그 측정값을 채용하지 않는다.
또, 온도검지수단(15), 냄비검지수단(16), 덮개개폐검지수단(21) 및 중량검지수단(4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를 들면, 중량검지수단(40)으로서 압전소자, 정전용량검출소자, 스프링만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는, 냄비(12)가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 중량검지수단(40)이 검지하는 중량에, 적어도 냄비(12){피조리물(19)이 있으면, 냄비(12) 및 피조리물(19))의 중량이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취반기에서는, 기억부(320)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로서, 이미 알고 있는 하중(W1, W2, W3)에 대한 로드셀(18)의 출력신호(Sl, S2, S3)를 기억한다. 이것에 대신하여 (S1, S2) 또는 (S1, S3)를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제로점 측정값(S1)을 포함한,적어도 2개의 데이터를 기억하면 좋다. 냄비(12)를 수납부(30)에 수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로드셀(18)의 출력신호(S1)에 더하여, 냄비(12)를 수납부(30)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출력신호(S2)(또는 S3)도 기억부(320)에 기억함으로써, 중량검지수단(40)의 출력감도 및 냄비(12)의 중량이 제품마다 불규칙하더라도 정확하게 피조리물(19)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억부(320)에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로서, 이미 알고 있는 하중(W2, W3)에 대한 로드셀(18)의 출력신호(S2, S3)를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빈 냄비(12) 또는 제 1 하중을 포함한 냄비(12)를 수납부(30)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출력신호(S2)와, 냄비(12)와 제 2 하중(바람직하게는 취반기가 취반이 가능한 최대량의 피조리물의 중량에 해당하는 하중. 제 2 하중은 제 1 하중과 다른 값이다)을 수납부(30)에 수납한 상태에서의 출력신호(S3)를 기억부(320)에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냄비(12)의 중량과, 중량검지수단(40)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가 제품마다 불규칙하더라도 정확하게 피조리물(19)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빈 냄비(12)를 수납부(30)에 넣어, 계측스위치(57)와 보온스위치(52)를 동시에 조작하면, 중량산출용 매개변수(321)의 하나인 S2를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취반량의 산출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어수단(300)은, 냄비검지수단(16)으로부터의 신호가, 냄비(12)가 본체(10)에 없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될 때에 중량검지수단(40)의 동작을 시작하게 하여, 그 후 처음으로 덮개개폐검지수단(21)으부터의 신호가, 덮개(20)가 열려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닫혀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되면, 중량검지수단(40)의 동작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중량검지수단(40)의 동작종료 전의 출력신호로부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어수단(300)은, 냄비검지수단(16)으로부터의 신호가, 냄비(12)가 본체(10)에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없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될 때에, 중량검지수단(40)의 동작을 시작하게 하여, 그 후 처음으로 덮개개폐검지수단(21)으로부터의 신호가, 덮개(20)가 열려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닫혀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되면 중량검지수단(40)의 동작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중량검지수단(40)의 동작종료 전의 출력신호로부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더라도 좋다. 또는, 제어수단(300)은, 냄비검지수단(16)으로부터의 신호가, 냄비(12)가 본체(10)에 없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있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될 때, 및 냄비(12)가 본체(10)에 있는 상태의 신호로부터 없는 상태의 신호로 전환될 때의 양쪽의 때에, 중량검지수단(40)의 동작을 시작하게 하여도 좋다.
실시예 2
도 9~도 1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파단부분에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전기적 접속을 위한 리드선 등은 생략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10a는 취반기의 상자형의 몸체(본체)이다. 몸체(10a)에는, 그 윗면을 덮는 덮개(20a)가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몸체(10a)의 수납부(30a)는, 윗쪽의 윗틀(32a)과 아래쪽의 코일베이스(코일지지체)(31a)로 구성된다. 냄비(12a)는, 스텐레스,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서 형성된다. 냄비(12a)는, 그 상단의 개구부에,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플랜지(121)를 가지며, 플랜지(121)를 윗틀(32a)의 상단부에서 떠오른 상태로 얹어 둠으로써, 수납부(30a)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된다. 냄비(12a)는 수납할 때에, 수납부(30a)와의 사이에 빈틈을 갖는다. 코일베이스(31a)의 냄비(12a) 바닥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냄비(12a)를 유도가열하는 유도가열코일(13a)이 배치된다. 유도가열코일(13a)은, 코일베이스(31a)의 바닥면 바깥쪽에 배치된 바깥코일과, 바닥면 안쪽에 배치된 안코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유도가열코일은, 냄비(12a)의 바닥부의 중심의 대략 바로 아래에 중심을 갖는 코일이다. 회로기판(14a)은, 몸체(10a)와 수납부(30a)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기판(14a)에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기억수단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유도가열코일(13a)에 교번자계(交番磁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를 제어한다.
실시예 2의 취반기는, 냄비(12a)를 유도가열하여, 냄비(12a)내의 피조리물 (19a)을 가열조리한다. 피조리물(19)은, 밥을 짓기 전의 쌀과 물 또는 다 지어진 밥 등이다. 기대(22)는 코일베이스(31a)의 바닥부에 빈틈을 두고 고정된다. 기대(22)에는, 냄비(12a)의 중량을 검지하는 중량검지수단(40a), 냄비(12a)의 유무를 검지하는 냄비검지수단(16a) 및 냄비(12a)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45)이 설치된다.
각 검지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중량검지수단(40a)은, 로드셀(41), 센서대(절연부재)(42) 및 맞댐통(검지체)(43)으로 구성된다. 로드셀(41)은, 로버벌형의 하중변환기(중량검지소자)이다. 로드셀(41)은, 일끝단부에 나사 구멍(411), 다른 끝단부에 나사 구멍(412)을 갖는다. 기대(22)에는 나사 구멍(212)을 갖는 얇은 판(211)이 부착되어 있다. 로드셀(41)의 일끝단부는 기대(22)에, 나사 구멍(212) 및 나사 구멍(411)을 통해 나사로 고정된다. 로드셀(41)의 다른 끝단부는, 기대(22)에 대하여 빈틈을 갖는다. 로드셀(41)에는, 저항선 왜곡 이지(413)가 부착되어 있다. 로드셀(41)은, 하중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저항선 왜곡게이지(413)의 저항변화를, 브리지회로에서 전기신호로서 집어낼 수 있다. 부호 42는 수지제의 센서대이다. 센서대(42)의 오목부(421)에, 로드셀(41)이 끼워 넣어진다. 센서대(42)는, 로드셀(41)의 일끝단부에 나사구멍(422) 및 나사구멍(412)을 통해 나사로 고정된다. 부호 43은 두께 2mm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맞댐통(검지체)이다. 맞댐통(43)은, 그 하부에, 대향하는 2개의 돌출부(431)를 갖는다. 맞댐통(43)은, 돌출부(431)를 센서대(42)의 맞댐통 고정구 멍(423)에 통과시켜, 구부리는 것에 의해, 센서대(42)에 고정된다. 맞댐통(43)은, 그 상단부에, 안쪽으로 튀어나온 플랜지(432)를 가진다. 코일베이스(31a)의 바닥면 바깥쪽에는, 유도가열코일(13a)이 배치되어 있다. 맞댐통(43)은, 코일베이스(31a)의 바닥의 중앙부{유도가열코일(13a)의 중심부로서, 여기에는 유도가열코일(13a)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에 설치된 1개의 관통구멍으로 통과된다. 맞댐통(43)의 상단부는, 코일베이스(31a)의 안쪽 바닥부보다 높다(도 9). 중량검지수단(40a)은, 냄비(12a)의 중량을, 그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서만 지지하여 계측한다. 따라서, 중량검지수단(40a)을 유도가열코일(13a)과 간섭하지 않고 부착할 수 있다. 냄비(12a)가 바닥의 중심부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수납부(30a)에 배치되기 때문에, 유도가열코일(13a)은 적절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냄비(12a)를 가열할 수 있다. 악
온도검지수단(45)은, 플랜지(432)에 대향하는 2개의 날밑(451)을 가지며, 맞댐통(43)의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된다. 날밑(451)의 바깥지름은 맞댐통(43)의 안지름과 대략 동일하고, 온도검지수단(45)은 맞댐통(43)으로부터 위로 빠지지 않는다. 또한, 맞댐통(43)과 온도검지수단(45)의 사이에 스프링(44)이 삽입된다. 스프링(44)은, 날밑(451)의 아랫면과 센서대(42)에 접촉하여, 온도검지수단(45)이 냄비(12a)에 밀접하도록, 온도검지수단(45)에 힘을 더한다. 온도검지수단(45)이 검출하는 냄비(12a)의 온도에 대응한 전기신호는, 리드선(46) 및 코넥터(47)를 통해 회로기판(14a)에 입력된다. 리드선(46)은, 센서대(42)의 홈(424)으로부터 인출된다.
수납부(30a)에 냄비(12a)가 없을 때, 온도검지수단(45)의 날밑(451)의 윗면 은, 맞댐통(43)의 플랜지(432)의 아랫면에 접촉하고 있다. 온도검지수단(45)의 윗면은, 플랜지(432)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수납부(30a)에 냄비(12a)가 수납될 때, 냄비(12a)의 바닥부는, 처음에 온도검지수단(45)에 접촉하고, 마지막으로 온도검지수단(45)과 접촉한 상태로, 맞댐통(43)에 접촉한다(도 9). 따라서, 맞댐통(43)이 냄비(12a)의 중심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냄비(12a)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로드셀(41)은, 냄비(12a), 피조리물(19a), 센서대(42), 스프링(44), 온도검지수단(45) 및 맞댐통(43)의 총중량을 검지하여 출력한다. 온도검지수단(45)은, 스프링(44)에 의해 맞댐통(43) 속에 가라앉으며 들어가, 그 윗면이 플랜지(432)의 윗면과 같은 높이로 냄비(12)의 바닥과 접촉한다. 온도검지수단(45)은, 과대한 힘이 걸리지 않고, 스프링(44)에 의해 규정되는 적절한 압력으로 냄비(12a)의 바닥과 접촉한다.
냄비검지수단(16a)은, 기대(22)에 고정된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된다(도 9). 냄비(12a)가 수납부(30a)에 수납되면, 센서대(42)의 바닥부가 마이크로스위치에 접촉하여, 냄비검지수단(16a)은 ON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스위치의 동작스트로크는, 냄비(12a)를 실은 센서대(42)의 변위량보다 크다. 따라서, 센서대(42)에 냄비(12a)가 실려 마이크로스위치가 동작한 경우에도, 마이크로스위치가 지지하는 냄비(12a)의 무게는 매우 작기 때문에, 중량검지수단(40a)의 측정값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마이크로스위치를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스프링성을 가진 인청동의 판)를 통해 구동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가 일정이상의 냄비(12a)의 무게를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온도검지수단(45), 냄비검지수단(16a) 및 중량검지수단(40a){로드셀(41}으로부터의 전기신호는, 각각 회로기판(14a)에 입력된다. 회로기판(14a)에 탑재된 마이크로컴퓨터는, 미리 소정의 상태{냄비(12a)가 없을 때, 빈 냄비(12a)를 수납하고 있을 때, 최대의 취반량의 쌀과 물을 넣은 냄비(12a)를 수납하고 있을 때}에서의 로드셀(41)의 출력신호데이터(Sa1, Sa2, Sa3)를 기억하고 있다. 로드셀(41)의 출력신호의 크기가 Sa일 때, 냄비(12a) 속의 피조리물(19a)의 중량(Wa)은,
Wa= Wamax ×(Sa-Sa2)/(Sa3-Sa2) ‥‥ (2)
가 된다. 단, Wamax는, 피조리물(19a)의 최대중량이고, 이미 알고 있는 양{최대의 취반량의 쌀과 물(피조리물(19a)을 넣은 냄비(12a), 센서대(42), 스프링(44), 온도검지수단(45) 및 맞댐통(43)의 총중량으로서, 로드셀(41)의 출력신호데이터(Sa3)에 대응하는 값}이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식(2)로부터, 피조리물(19a)의 중량을 산출하여, 취반량을 추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의 취반공정에서의 동작을, 취반 중의 온도검지수단(45)의 온도상승 속도에 의해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의 취반기의 동작과의 차이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취반공정은, 시간순으로 쌀에 흡수(吸水), 밥을 지음, 비등유지, 지어진 밥의 보온, 뜸들이기로 크게 구별된다.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 냄비(12)의 온도가 쌀의 흡수에 알맞은 온도(50℃)가 되도록 냄비 내의 쌀과 물을 가열한다. 다음에, 밥을 짓는 공정에서, 냄비(12)의 온도가 소정치(100℃)가 될 때까지 냄비(12)를 소정의 열량으로 가열한다. 종래의 취반기에 있어서는, 이 때의 온도상승 속 도에 의해서, 취반량을 판정한다. 비등유지공정에서, 냄비(12)의 물이 없어져, 냄비(12)의 온도가 100℃를 넘은 소정값이 될 때까지, 쌀과 물을 가열한다. 마지막으로 뜸들임 공정에서, 일정시간 동안 복수회, 취반량에 따른 가열(지어진 밥의 보온)과 가열의 정지를 반복한다.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 대하여, 도 11(a)~(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 도 11(b)는, 마찬가지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 바닥(실선) 및 피조리물 중심부(파선)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c)는,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로 1합 취반할 때, 도 11(d)는, 마찬가지로 5합 취반할 때의, 쌀에 흡수시키는 공정에서의 냄비 바닥(실선) 및 피조리물중심부(파선)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냄비 바닥의 온도는, 온도검지수단(45)에 의해서 검지된다.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는, 피조리물(19)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온도검지수단(45)이 검지한 온도가 흡수에 알맞은 온도(50℃)가 될 때까지 가열을 한다. 그 후, 소정시간(Ta), 냄비(12a)의 온도를 50℃로 유지하여, 쌀을 흡수시킨다. 그러나, 취반량이 많은 경우(도 11(d)), 피조리물(19a) 전체의 온도가 50℃가 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적정온도에서의 흡수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밥에 심이 남아 버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는, 피조리물(19)의 양에 따라서, 흡수할 때의 온도{온도검지수단(45)에 의해서 검지되는 온도}를 바꾼다. 예를 들면, 취반량이 1합일 때에는, 온도검지수단(45)이 검지한 온도가 50℃가 될 때까지 가열을 한다. 그리고, 소정시간(Ta), 냄비(12)의 온도를 50℃로 유지하여, 쌀을 흡수시킨다(도 11(a)). 예를 들면, 취반량이 5합일 때에는, 온도검지수단(45)이 검지한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열을 한다. 그리고, 소정시간(Ta), 냄비(12)의 온도를 60℃로 유지하여, 쌀을 흡수시킨다. 피조리물(19)의 중심부의 온도는, 바깥쪽의 온도보다 늦게 상승하여 50℃ 정도가 되기 때문에, 쌀은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밥을 짓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밥을 짓는 공정에서 취반량을 판정하는 종래예의 취반기는, 피조리물(19a)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소정의 화력{유도가열코일(13a)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으로 냄비(12a)를 소정온도(100℃)까지 가열한다. 따라서, 취반량이 적은 경우에는, 너무 빨리 비등하여 쌀의 표면만이 끈끈해지고, 심이 남은 밥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는, 취반량에 따라서, 밥을 짓는 공정에서의 화력{유도가열코일(13a)의 통전율 및/또는 통전량}을 바꾼다. 즉, 취반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밥을 짓는 공정의 소요시간이 일정하게 되도록, 취반량이 적을 때일수록 화력을 약하게 하는 제어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는, 가열을 개시하기 전에 정확하게 취반량을 산출하여, 취반량에 따른 화력제어를 한다. 따라서, 취반량에 상관없이 항상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 취반량에 따라서, 쌀에 흡수시킬 때의 온도가 아니라 쌀에 흡수시키는 시간을 바꾸는 제어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는, 맞댐통(43)과 로드셀(41)의 사이에 수지제의 센서대(42)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냄비(12a), 맞댐통(43) 및 온 도검지수단(45)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생기는 정전기가 약전회로에 침입하지 않는다. 또,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센서대(42)를 수지로 작성하였지만, 절연성을 가진 재료이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검지수단(40)의 부품개수가 적고,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염가인 취반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22)와 몸체(10a)의 사이에 맞댐(48)을 설치하면, 몸체(10a)의 충격에 대한 강도를 올릴 수 있다. 맞댐통(43)의 형상은, 도 10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냄비(12a)가 수납부(30a)에 수납되었을 때에, 냄비(12a)의 바닥부에 접촉하는 형상이면 좋다. 온도검지수단(45)은, 맞댐통(43) 외부에{예를 들면, 냄비(12a)의 바닥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로드셀(중량검지소자)(41)은,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전용량검출소자, 스프링 정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제의 로드셀, 또는 압전소자를 사용하면, 냄비(12a)의 중량에 의한 변위량이 매우 적고{피가열물의 중량에 의해, 냄비(12a)와 유도가열코일(13a)의 거리가 변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가열코일(13a)의 누설자속에 의해 와전류가 흐르더라도 온도가 상승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에 있어서는, 냄비(12a)가 수납부(30a)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 로드셀(중량검지소자)(41)이 검지하는 중량은, 적어도 냄비(12a){냄비(12a)에 피조리물(19a)이 있으면, 냄비(12a) 및 피조리물(19a)}의 중량을 포함 하고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에 있어서는, 냄비(12a)가 수납부(30a)에 수납되어 있을 때, 냄비(12a)와 수납부(30a)와의 사이에 빈틈을 갖기 때문에, 냄비(12a)에서 수납부(30a)로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 따라서, 수납부(30a){코일베이스(31a) 및 윗틀(32a}를 수지성형에 의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는, 바람직하게는, 취반기의 중심근방으로부터 위에서 차례로, 온도검지수단(45), 로드셀(41)의 액츄에이터, 냄비검지수단(16a)(또는 그 액츄에이터)으로 배치한다. 이 경우, 온도검지수단(45)은, 직접 냄비(12a)의 바닥의 중심부와 접촉하고, 높은 정밀도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로드셀(41){또는 그 액츄에이터인 센서대(42)}은, 냄비(12a)와, 온도검지수단(45)과, 온도검지수단(45)의 유지구조물{실시예 2에 있어서는 스프링(44) 및 검지체(43)}을 포함하는 중량을 받는 구조가 된다. 중량검지소자(41)는, 높은 정밀도로 냄비(12a) 및 피조리물(19a)의 중량을 검지할 수 있다. 냄비검지수단(16a)은, 센서대(42)의 변위에 기초하여 냄비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대(42){로드셀(41)의 액츄에이터가 역할을 완수한다}를 사용하여,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로드셀(중량검지소자)(41)의 위치를 냄비의 바닥의 중심에서 약간 어긋나게 하여, 센서대(42)의 아래에 냄비검지수단(마이크로스위치)(16a)을 배치하고, 로드셀(중량검지소자)(41)과 냄비검지수단(마이크로스위치)(16a)을 기대(22) 상에 나란히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로드셀(중량검지소자)(41)과 냄비검지수단(마이크로스위치) (16a)의 부착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취반기 전체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취반기에 의하면,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염가인 구성으로, 냄비(12a)와 냄비(12a)에 받아들인 피조리물(19)과의 총중량의 측정과, 냄비(12a)의 유무의 검지를 모두 냄비(12a)의 바깥쪽 바닥부의 대략 중심부에서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2~도 1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취반기를 설명한다. 실시예 3의 취반기는, 실시예 2의 취반기의 위틀(32a)을 위틀(61)로 바꾸어서, 위틀(61)의 상단 개구부에 가이드 롤러(70)를 덧붙인 것이다. 위틀(61)의 상단 개구부의 구성 이외에는, 실시예 2의 취반기(도 9~도 1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취반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위틀(61)은 상단 개구부에 균등하게 배치된 3개의 가이드 롤러부착부(63)를 부착한다. 가이드 롤러부착부(63)의 축받이부(62)에, 가이드 롤러(70)가 샤프트(축부)(73)를 통해 상하방향으로{수평으로 유지되는 샤프트(73)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13). 가이드 롤러부착부(63)에, 내열성수지로 형성한 위틀 캡(64)이 갈고리부(65)에 의해서 끼워 맞춰진다. 가이드 롤러(70)는 미끄럼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되어, 샤프트(73)에 대하여 회전한다. 부호 71은, 가이드 롤러(70)의 바깥둘레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실리콘고무제의 냄비회전방지기구이다. 냄비회전방지기구(71)는, 가이드 롤러(70)의 회전방향에 평행하게 단면이 V자 형상인 홈부(72)를 가진다. V자 형상의 홈부(72)는 안쪽으로 열려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취반기의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였을 때의 샤프트를 통과하는 주요부단면도, 도 14(b)는,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고 있지 않을 때의 샤프트를 통과하는 주요부단면도이다.
냄비(12a)를 수납부(30a)에 수납할 때, 3개의 냄비회전방지기구(71)가 열리면서 냄비(12a)에 접촉한다(도 14(a)). 가이드 롤러(70)가 상하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부드럽게 냄비(12a)가 수납된다.
유도가열취반기는, 냄비(12a)를 고온으로 가열한다. 유도가열취반기에 있어서는, 냄비(12a)와 수납부(30a)의 사이에 빈틈을 형성하여, 수납부(30a)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수납부(30a)는, 그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로 유지되기 때문에, 가볍고 염가인 수지로 성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냄비(12a)는 플랜지(121)를 가지며, 냄비(12a)의 플랜지(121)를 수납부(30a)의 윗면 원둘레 상에 얹어 둠으로써, 냄비(12a)의 위치를 안정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취반기는, 3개의 냄비회전방지기구(71)에 의해서 냄비(12a)의 위치를 규제하여 수평방향의 자세를 안정시켜, 중량검지수단(40a)의 검지체(43)가 냄비(12a)의 전체중량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플랜지(121)가 냄비(12a)의 중량을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중량검지수단(40a)은 높은 정밀도로 냄비(12a)의 중량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코일(13a)과 냄비(12a)의 사 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가열코일(13a)은 적절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냄비(12a)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취반기는, 뛰어난 취반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밥을 냄비(12)로부터 담을 때에, 냄비(12)가 회전하지 않는다.
또, 가이드 롤러(70)는, 윗틀(61)의 상단 개구부에 적어도 3개 설치하면 좋다.
실시예 4
도 15, 도 16(a) 및 (b)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취반기를 설명한다. 실시예 4의 취반기는, 가이드 롤러(70)가 위틀(61)의 가이드 롤러부착부(63)에 축으로 지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실시예 4의 취반기는, 가이드 롤러(70)가 가이드 롤러부착부(63)에 유지된 가이드 롤러대(스프링부재)(80)에 축으로 지지되는 구성을 갖는다{위틀(61)의 축받이부(62)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3의 취반기(도 9~도14)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취반기의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고 있지 않을 때의 가이드 롤러대의 측면도, 도 16(b)는, 수납부에 냄비를 수납하였을 때의 가이드 롤러대의 측면도이다.
가이드 롤러대(80)는, 탄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는 스프링부재이다. 가이드 롤러대(80)는, 위틀 캡(64)과 위틀(61)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고정되는 가이드 롤러대 고정부(81) 및 가이드 롤러(70)를 회전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82)를 구비한다. 샤프트(73)는 축받이부(82)에 끼워 넣어진다.
냄비(12a)를 수납부(30a)에 수납할 때, 3개의 냄비회전방지기구(71)가 열리면서 냄비(12a)에 접촉함과 동시에, 가이드 롤러대(80)가 탄성변형하여 냄비(12a)의 바깥쪽의 방향으로 밀어내어진다(도 16(b)). 가이드 롤러(7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부드럽게 냄비(12a)가 수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취반기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냄비(12a)의 크기에 차이가 있더라도, 가이드 롤러대(80)가 탄성변형하여, 가이드 롤러(70)가 냄비(12a)의 요철에 맞추어 변위하기 때문에, 냄비(12a)를 부드럽게 수납할 수 있다. 냄비(12a)는, 3개의 냄비회전방지기구(71)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위치가 규제되어,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중량검지수단(40a)은 높은 정밀도로 냄비(12a)의 중량을 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유도가열코일(13a)과 냄비(12a)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유도가열코일(13a)은 적절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냄비(12a)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취반기는, 뛰어난 취반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밥을 냄비(12)로부터 담을 때에, 냄비(12)가 회전하지 않는다.
또, 가이드 롤러(70) 및 가이드 롤러대(80)는, 위틀(61)의 상단개구부에 적어도 3개 설치하면 좋다.
실시예 5
도 17, 도 18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취반기를 설명한다. 실시예 5의 취반기는, 냄비 내를 고압상태로 조정함으로써 바람직한 취반조건을 만들어내는 압력식 취반기이다. 실시예 5의 취반기는, 실시예 2의 취반기의 냄비(12a), 덮개(20a)대신에, 냄비(12b), 덮개(20b)을 가지며, 실시예 2의 취반기보다 더욱, 패킹(91), 안덮개(92), 중간덮개(93), 압력조정밸브(94) 및 손잡이(95)를 가진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의 취반기(도 9~도 10)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취반기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취반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냄비(12b)는, 스테인레스,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서 형성된다. 냄비(12b)는, 그 상단 개구부에,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플랜지(121b)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121b)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121c) 및 볼록부(121d)를 구비하고 있다. 냄비(12b)는, 플랜지(121b)를 위틀(32a)의 상단부에서 떠오른 상태로 얹어 둠으로써, 수납부(30a)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된다. 냄비(12b)는 수납할 때에, 수납부(30a)와의 사이에 빈틈을 갖는다.
패킹(91)은, 탄력성이 있는 재료, 예컨대 고무 등으로 형성된다. 패킹(91)은, 덮개(20b)가 닫혔을 때, 그 바깥둘레부(91a)가 플랜지(121b)에 접촉하고, 휘어서 일정압력 이상으로 플랜지(121b) 및 안덮개(92)의 바깥둘레부(92a)와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패킹(91)은, 취반공정 때에, 냄비(12b)내의 수밀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빠져나가지 않는 밀봉의 기능을 완수한다.
안덮개(92)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에, 냄비 (12b)의 내부와 취반기의 외부를 계속해서 통하게 하기 위한 증기통(92b)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덮개(93)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샤프트(93a)를 구비하여, 그 바깥둘레부(93b)의 하부에, 냄비(12b)의 오목부(121c) 또는 볼록부(121d)에 대응하는 수의 후크(93c)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93a)의 선단부에는, D커트부(931a)를 설치하고 있다. 후크(93c)의 한쪽 끝에는, 회전방지기구(931c)를 설치하고 있다. 중간덮개(93)는, 그 바깥둘레부(93b)와 회전방지기구(931c)와의 빈틈(932c)에서, 패킹(91)의 바깥둘레부(91a) 및 안덮개(92)의 바깥둘레부(92a)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중간덮개(93)에는, 증기통(92b)이 관통할 수 있도록 개구부(93d)를 설치하고 있다.
덮개(20b)는, 몸체(10a)의 윗면을 덮도록, 몸체(10a)에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20b)에는, 증기통(92a)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201b)과, 중간덮개(93)의 샤프트(93a)가 회동이 자유롭게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202b)(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조정밸브(94)는, 중간덮개(93)의 개구부(93d) 및 덮개(20b)의 구멍(202b)을 관통하는 증기통(92a)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압력조정밸브(94)는, 취반공정의 때, 냄비(12b) 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이 되었을 때에, 증기통(92a)을 통하여 이동하여 온 냄비(12b)내의 증기를 취반기의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냄비(12b) 내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손잡이(95)는, 그 중심부에 샤프트(93a)의 D커트부(931a)에 대응하는 구멍 또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다. 손잡이(95)는, 그 구멍 또는 오목부로, 구멍(202b)을 회동이 자유롭게 관통하고 있는 샤프트(93a)의 D커트부(931a)와 끼워 맞춤하고 있다. 즉, 손잡이(95)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중간덮개(93)도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샤프트(93a)의 끝단부를 D커트한 것을 일례로 들었지만, 예를 들면 기어 형상이나 다각기둥 형상으로서, 손잡이(95)에 그에 대응하는 구멍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끼워 맞춤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5의 취반기에 있어서는, 냄비(12b)의 플랜지(121b), 패킹(91), 안덮개(92) 및 중간덮개(93)에 의해, 끼워 맞춤수단을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끼워 맞춤수단은, 냄비(12b)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안덮개(92)가 패킹(91)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5의 취반기에 있어서는, 압력조정밸브(94)에 의해, 압력조정수단을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냄비(12b) 내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별도로 압력검지수단을 설치하여, 그 압력검지수단이, 냄비(12b)내가 소정의 압력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였을 때에, 유도가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냄비(12b) 내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형태 5의 취반기에 있어서, 취반공정을 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조리물(19a)을 넣은 냄비(12b)를 수납부 (30a)에 넣고, 덮개(20b)를 닫는다. 이 때, 중간덮개(93)의 후크(93b)가 플랜지(121b)의 오목부(121c)를 관통한다. 이 상태로, 손잡이(95)를 회전시켜, 중간덮개(93)의 후크(93c)가 냄비(12b)의 볼록부(121d), 패킹(91)의 바깥둘레부(91a) 및 안덮개(92)의 바깥둘레부(92a)를 유지한 상태로 미끄럼 동작시킨다. 그리고, 냄비(12b)의 볼록부(121d)가 중간덮개(93)의 회전방지기구(931c)에 접촉할 때까지 중간덮개(93)를 회전시킨다(도 18의 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후크(93c)의 사이에, 냄비(12b)의 볼록부(121d), 패킹(91)의 바깥둘레부(91a) 및 안덮개(92)의 바깥둘레부(92a)가 확실하게 끼워 맞춤한다. 이 상태로 취반공정을 행한다.
취반공정을 시작하면, 냄비(12b) 내가 밀봉상태이기 때문에, 냄비(12b)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냄비(12b)내가 소정의 압력이 되면, 압력조정밸브(94)가 증기통(92b)을 통하여 이동하여 온 냄비(12b)내의 증기를 방출 등을 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한다.
취반공정이 종료하여, 덮개(20b)를 열 때에는, 냄비(12b)의 볼록부(121d)가 중간덮개(93)의 회전방지기구(931c)의 상기와 반대쪽 면에 접촉할 때까지, 손잡이(95)와 중간덮개(93)를 상기와 반대로 회전시키고 나서, 덮개(20b)을 연다(도 18의 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취반기는, 중간덮개(93)를 패킹(91) 및 안덮개(92)를 끼워 냄비(12b)에 끼워 맞춤함으로써, 냄비(12b)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있다. 또한, 압력조정밸브(94)에 의해, 냄비(12b)내의 압력을 소정의 압 력으로 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취반공정에서의 압력향상분을 중량검지수단(40a)에 걸지 않고, 로드셀(41)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검지수단(40a)이, 항상 적정한 물대중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물대중으로 조정할 수 있어, 쌀의 α화도의 차를 없앨 수 있다. 즉,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을 어느 정도 상세하게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바람직한 형태의 현재의 개시내용은 구성의 세부에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각 요소의 조합이나 순서의 변화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냄비 내의 피조리물의 양을 가열개시 전에 정밀도가 좋게 추정하여, 피조리물의 양에 따른 적절한 화력제어가 가능한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중량검지수단의 검출정밀도의 저하를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제조할 때에 중량검지수단의 출력레벨 및 출력감도를 기계적?전기적으로 조정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량생산에 알맞은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염가인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소비전력이 실효적으로 적은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취반기는, 물을 가하는 양 등의 취급조건에 의해서 쌀의 α화도에 차이가 나지 않는 압력식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취반기는, 유도가열코일과 냄비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뛰어난 취반성능을 발휘하는 유도가열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상면이 개구한 본체(10a)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냄비(12a, 12b)와,
    상기 수납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덮개(20a, 20b)와,
    상기 냄비를 유도가열하는 유도가열수단과,
    상기 수납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중량검지소자(41)와, 상기 중량검지소자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중심부에 접촉하는 검지체(43)를 구비하여, 상기 검지체를 통해 상기 중량검지소자에 의해 상기 냄비와 상기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19a)과의 총중량을 검지하는 중량검지수단(40a)과,
    상기 중량검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피조리물의 중량에 따라서 상기 유도가열수단으로의 통전율 또는 통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끼워 맞춤수단과, 상기 냄비의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검지소자와 상기 검지체의 사이에, 상기 중량검지소자와 상기 검지체에 접속된 절연부재(4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검지소자와 상기 검지체의 사이에, 상기 중량검지소자와 상기 검지체에 접속된 절연부재(4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중심부에, 상기 수납부에 상기 냄비가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냄비검지수단(16a)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바깥쪽 바닥부의 중심부에, 상기 수납부에 상기 냄비가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냄비검지수단(16a)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체가 통형상의 형상을 가지며, 그 안쪽에 상기 냄비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검지수단(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검지수단이, 그 윗면이 상기 검지체의 윗면보다 위로 돌출하도록, 탄성체에 의해 윗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검지수단은, 상기 냄비와 상기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과의 총중량을 검지하는 대신에, 상기 냄비, 상기 냄비에 넣어진 피조리물 및 상기 온도검지수단의 총중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19.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70)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는 축받이부(62)를 유지하는 가이드 롤러부착부(63)를,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적어도 3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70)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는 축받이부(62)를 유지하는 가이드 롤러부착부(63)를,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적어도 3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측면에 접촉하는 가이드 롤러(70)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는 축받이부(62)를 유지하는 가이드 롤러부착부(63)를,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적어도 3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KR1020050011654A 2005-02-11 2005-02-11 취반기 KR10112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54A KR101123468B1 (ko) 2005-02-11 2005-02-11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54A KR101123468B1 (ko) 2005-02-11 2005-02-11 취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158A Division KR101113540B1 (ko) 2011-08-05 2011-08-05 취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22A KR20060090922A (ko) 2006-08-17
KR101123468B1 true KR101123468B1 (ko) 2012-03-26

Family

ID=3759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654A KR101123468B1 (ko) 2005-02-11 2005-02-11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512B1 (ko) * 2006-12-13 2008-03-3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밥솥의 안전 장치
CN114631735A (zh) * 2022-03-02 2022-06-17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控制方法及装置、烹饪电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380A (ja) 2002-10-24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炊飯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380A (ja) 2002-10-24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22A (ko)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4333B2 (ja) 炊飯器
KR101113540B1 (ko) 취반기
KR101123468B1 (ko) 취반기
JP5071891B2 (ja) 炊飯器
JP5174089B2 (ja) 加熱調理器
JP4314301B2 (ja) 圧力炊飯器
JP2010178945A (ja) 炊飯器
JP4258419B2 (ja) 炊飯器
JP4201029B2 (ja) 炊飯器
JP2005124719A (ja) 炊飯器
JP2006346059A (ja) 炊飯器
JP4074647B2 (ja) 圧力炊飯器
JP3954922B2 (ja) 圧力炊飯器
JP4385828B2 (ja) 炊飯器
JP4171692B2 (ja) 炊飯器
JP4258417B2 (ja) 電気ジャー炊飯器
JP5072786B2 (ja) 炊飯器
JP2006346058A (ja) 炊飯器
JP3954921B2 (ja) 圧力炊飯器
JP4258543B2 (ja) 炊飯器
JP4258418B2 (ja) 炊飯器
JP5195645B2 (ja) 調理器
JP5447607B2 (ja) 調理器
JP5294784B2 (ja) 炊飯器
JP4389825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