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267B1 - 히팅 패드 - Google Patents

히팅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267B1
KR101122267B1 KR1020090122057A KR20090122057A KR101122267B1 KR 101122267 B1 KR101122267 B1 KR 101122267B1 KR 1020090122057 A KR1020090122057 A KR 1020090122057A KR 20090122057 A KR20090122057 A KR 20090122057A KR 101122267 B1 KR101122267 B1 KR 101122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ing
carbon fiber
fiber fabric
tri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181A (ko
Inventor
이왕근
이철용
백경민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2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Abstract

히팅 패드가 개시된다. 이 히팅 패드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에 설치된 복수의 인슐레이션 패널 중 이웃하는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트리플렉스를 부착할 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트리플렉스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내측면이 상기 트리플렉스에 접하는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의 외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와,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상기 외부 전원과 통전되는 전극부재를 포함한 발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이 중앙 영역에 비해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의 두께가 더 두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히팅 패드는 발열층은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이 중앙 영역에 비해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의 두께가 더 두텁게 형성됨으로써, 열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트리플렉스의 좌우측부를 미리 가열하는 추가적인 작업 없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트리플렉스의 좌우측부를 가열할 수 있고, 트리플렉스의 전 영역에 걸쳐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경화되어 접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패널,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발열층

Description

히팅 패드{Heating pad}
본 발명은 히팅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2차 방벽인 트리플렉스의 접착 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트리플렉스를 가열하는 히팅 패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히팅패드를 사용하여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에는 인슐레이션 패널(10)이 설치된다.
인슐레이션 패널(10)은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20)와 대면하여 형성되는 제 1 패널(12) 및 제 1 패널(12)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고 제 1 패널(12) 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패널(14)을 포함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인슐레이션 패널(10)의 단면은 "ㅗ"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인슐레이션 패널(10)은 플레이트(20)의 표면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다. 이 때, 인접 배치된 한 쌍의 인슐레이션 패널(10) 사이에 2차 방 벽(secondary barrier)을 이루는 트리플렉스(30)가 부착된다.
트리플렉스(30)를 부착하기 위하여, 트리플렉스(30)와 제 1 패널(12) 사이에 에폭시 글루 등의 접착제(40)가 개재된다. 접착제(40)는 트리플렉스(30)의 일면에 배치되는 히팅 패드(50)에 의해 일정시간 가열되어 경화된다.
최근, 제 1 패널(12)의 상면에 서플 트리플렉스(미도시) 대신 박판 형상의 알루미늄 부재(60)가 형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부재(60)는 재질의 특성상 서플 트리플렉스에 비해 열을 쉽게 전달하고 빼앗긴다.
이와 관련하여, 히팅 패드(50)가 트리플렉스(30)의 일면에 배치되더라도, 도 1에서 볼 때 트리플렉스(30)의 좌우측부는 중앙부에 비해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알루미늄 부재(60)가 형성된 이웃하는 제 1 패널(12) 사이에 트리플렉스(30)를 부착하기 위해 히팅패드(50)를 사용하는 경우, 트리플렉스(30)의 중앙부에 비해 트리플렉스(30)의 좌우측부에서 열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히팅 패드(50)를 사용하여 트리플렉스(30)를 가열하는 경우, 트리플렉스(30)의 좌우측부에서 접착제(40)가 신뢰성 있게 경화되지 않아 접착품질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트리플렉스의 접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히팅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에 설치된 복수의 인슐레이션 패널 중 이웃하는 인슐레이션 패널 사이에 트리플렉스를 부착할 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트리플렉스를 가열하는 히팅 패드에 있어서, 내측면이 상기 트리플렉스에 접하는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의 외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와,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상기 외부 전원과 통전되는 전극부재를 포함한 발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이 중앙 영역에 비해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의 두께가 더 두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는 상기 발열층의 상기 좌우측 영역에서 포개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층은, 상기 폭방향의 중앙 영역 중 상기 발열층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부재와 통전되는 보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실리콘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층에서 발산한 열을 상기 쿠션층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쿠션층 및 상기 발열층 사이에 개재되는 전달층; 육각 중공기중의 단위 셀이 연속적으로 형성 된 벌집 모양의 하니컴 코어(honeycomb core)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층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본체층; 및 상기 발열층으로부터 발생된 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층 및 상기 발열층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이웃하는 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발열층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단열층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층은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이 중앙 영역에 비해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의 두께가 더 두텁게 형성됨으로써, 열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트리플렉스의 좌우측부를 미리 가열하는 추가적인 작업 없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트리플렉스의 좌우측부를 가열할 수 있고, 트리플렉스의 전 영역에 걸쳐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경화되어 접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발열층은 발열층의 폭방향의 중앙 영역 중 발열층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보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를 더 포함함으로써, 트리플렉스의 전 영역에 걸쳐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경화될 수 있고, 접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쿠션층은 실리콘 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발열층에 의해 쿠션 층으로 고온의 열이 전달되더라도 쿠션층은 가요성 및 탄성 등과 같은 물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100)는 쿠션층(110)과, 발열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쿠션층(110)은 내측면(도 2에서 볼 때 하측면)이 트리플렉스(미도시)에 직접 접하는 구성이다. 쿠션층(110)은 트리플렉스(미도시) 부착 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견디도록 형성될 수 있다. 쿠션층(110)은 트리플렉스(미도시)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미도시)가 트리플렉스의 면상에 고르게 퍼져 접착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0.5t ~ 3t(여기서, 0.5t = 0.5㎜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쿠션층(110)은 가요성 및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층(110)은 실리콘 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 폼은 고온에서도 물성 변화가 없기 때문에 후술하는 발열층(130)에 의해 쿠션층(110)으로 고온의 열이 전달되더라도 쿠션층(110)은 가요성 및 탄성 등과 같은 물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발열층(130)은 쿠션층(110)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발열층(130)은 쿠션층(110)의 내측면과 접하는 트리플렉스(미도시)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구성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130)은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와 전극부재(134)를 구비한다.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는 쿠션층의 외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는 탄소 재료 내에 순면을 함침(impregnation)시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함침(impregnation)이란 탄소 재료의 원래 존재하는 기공 내에 다른 물질을 충진 또는 침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전극부재(134)는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외부 전원과 통전될 수 있다. 전극부재(134)는 예를 들어 동판(copper plate)일 수 있다. 전극부재(134)는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극부재(134)는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열층(130)의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130a)은 중앙 영역(130b)에 비해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의 두께가 더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는 발열층(130)의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130a) 에서 포개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132)의 두께와 발열량은 비례한다. 이에 따라, 발열층(130)의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130a)은 중앙 영역(130b)에 비해 고온으로 발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100)는 열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트리플렉스(미도시)의 폭방향의 좌우측부를 미리 가열하는 추가적인 작업 없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트리플렉스의 좌우측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측부를 포함한 트리플렉스의 전 영역에 걸쳐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경화되어 접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발열층(130)은 기존의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 정밀가공 면상발열층 또는 선상발열체(예, 전기온돌패널) 내지 면상발열체(예, 필름히터)의 단점을 보완한 섬유 재질의 특성을 활용하여 부식이나 깨짐현상이 없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저항 특성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100)는 전달층(120), 단열층(140) 및 본체층(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달층(120)은 발열층(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쿠션층(11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층(110)과 발열층(130) 사이에 전달층(120)이 개재된다. 전달층(120)은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내부 심재의 외측면을 알루미늄 호일 등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달층(120)은 열전달 뿐만 아니라 쿠션층(1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상으로부터 발열층(130)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체층(150)은 히팅 패드(100)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층(150)은 발열층(130)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체층(150)은 육각 중공기둥의 단위 셀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벌집모양의 구조체인 하니컴 코어(honeycomb core)(1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서 볼 때 하니컴 코어(152)의 상하단면 및 측면에는 상판(154), 하판(156) 및 측판(158)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니컴 코어(152)는 바람직하게 경량이고 내습성이 뛰어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니컴 코어(152)의 상하단면 및 측면에 위치하는 상판, 하판 및 측판(154, 156, 158)은 알루미늄 또는 단열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층(150)과 발열층(130) 사이에 단열층(140)이 개재될 수 있다. 단열층(140)은 발열층(13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열층(140)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polyes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터는 합판 재질에 비해 단열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가볍다.
도 2를 참조하면, 쿠션층(110), 전달층(120), 발열층(130), 단열층(140) 및 본체층(150) 각각의 연결 부위에는 접착층(161, 162, 163, 16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접착층(161, 162, 163, 164)은 상호 이웃한 층을 상호 접착시킨다.
접착층(161, 162, 163, 164)은 도포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고온에 변형이 되지 않고 면상 평탄도가 유지되는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 등의 내열 접착 재질을 갖는다.
접착층(161, 162, 163, 164)은 제작상의 용이성, 재료 사용의 저감, 가요성 증가 등의 목적으로, 상호 이웃한 층의 테두리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이웃한 층의 접촉면 상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이웃한 층의 내측에는 접착층(161, 162, 163, 164)의 두께에 대응한 공극(171, 172, 173, 174)(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접착층은 상호 이웃하는 층의 테두리 외에 중앙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보다 강력한 접착 성능만을 고려한다면, 접착층은 상호 이웃하는 층의 접촉면 전체를 모두 접착할 수 있는 전면적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 또는 임의의 전면적 도포 접착제 등과 같은 고착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100)는 발열층(130)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온도 센서(142)는 단열층(14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단열층(140)에는 온도 센서(14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44)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100)는 외부 전원(미도시)과 온도 센서(142) 및 전극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80)는 온도 센서(142)로부터 연장된 센서 라인(146)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센서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80)는 전극 부재(134)로부터 연장된 전원 라인(136)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180)는 히팅 패드(10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커넥터는 히팅 패드에 함몰 안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와 비교할 때, 발열층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200)의 쿠션층(210)과 발열층(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쿠션층(210)은 내측면이 트리플렉스(미도시)에 접할 수 있다.
발열층(230)은 쿠션층(210)의 외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232)와,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232)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외부 전원(미도시)과 통전되는 전극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층(230)은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230a)이 중앙 영역(230b)에 비해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232)의 두께가 더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층(230)은 탄소섬유 직물 발명체(232) 상에 배치되고 전극부재(234)와 통전되는 보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2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236)는 폭방향의 중앙 영역(230b) 중 발열층(230)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인슐레이션 패널(280) 사이에 히팅 패드(200)가 배치될 수 있다.
히팅 패드(200)의 길이가 인슐레이션 패널(280) 사이 공간의 길이보다 큰 경우,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팅 패드(20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A)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히팅 패드(20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A)에 대응하는 트리플렉스(미도시)의 일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236)는 발열층(230)의 폭방향의 중앙 영역(230b)(도 5 참조) 중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층(230)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A)에서 길이방향의 다른 부분에 비해 더 큰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발열층(23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대응하는 트리플렉스(30)를 미리 가열하는 추가적인 작업 없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트리플렉스를 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플렉스의 전 영역에 걸쳐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경화되어 접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보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의 위치와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팅 패드(30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아닌 길이방향의 중앙부(B)에 배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히팅패드를 사용하여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을 제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쿠션층
120 : 전달층
130 : 발열층
140 : 단열층
150 : 본체층
152 : 하니컴 코어

Claims (9)

  1.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에 설치된 복수의 인슐레이션 패널 중 이웃하는 인슐레이션패널 사이에 트리플렉스를 부착할 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트리플렉스를 가열하는 히팅 패드에 있어서,
    내측면이 상기 트리플렉스에 접하고, 실리콘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외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와,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에 전기를 인가하도록 상기 외부 전원과 통전되는 전극부재를 포함한 발열층;
    상기 발열층에서 발산한 열을 상기 쿠션층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쿠션층 및 상기 발열층 사이에 개재되는 전달층;
    육각 중공기중의 단위 셀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벌집 모양의 하니컴 코어(honeycomb core)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층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본체층; 및
    상기 발열층으로부터 발생된 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층 및 상기 발열층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폭방향의 좌우측 영역이 중앙 영역에 비해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의 두께가 더 두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는 상기 발열층의 상기 좌우측 영역에서 접힌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폭방향의 중앙 영역 중 상기 발열층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부재와 통전되는 보조 탄소섬유 직물 발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이웃하는 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단열층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KR1020090122057A 2009-12-09 2009-12-09 히팅 패드 KR10112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57A KR101122267B1 (ko) 2009-12-09 2009-12-09 히팅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57A KR101122267B1 (ko) 2009-12-09 2009-12-09 히팅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81A KR20110065181A (ko) 2011-06-15
KR101122267B1 true KR101122267B1 (ko) 2012-03-21

Family

ID=4439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057A KR101122267B1 (ko) 2009-12-09 2009-12-09 히팅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00B1 (ko) * 2014-04-11 2014-08-26 김부길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960A (ko) 2020-08-13 2022-0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4333A (ko) 2020-09-11 2022-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0088A (ko) 2021-10-07 2023-04-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핫 패드 제어기의 검사를 위한 핫 패드 대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836A (ja) * 2005-09-08 2007-03-22 Eisuke Ishida 電磁調理器用食器
JP2008531941A (ja) * 2005-11-03 2008-08-14 株式会社 韓国ファイバー ヒーティングパッドを用いた2次ガスバリヤ接着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836A (ja) * 2005-09-08 2007-03-22 Eisuke Ishida 電磁調理器用食器
JP2008531941A (ja) * 2005-11-03 2008-08-14 株式会社 韓国ファイバー ヒーティングパッドを用いた2次ガスバリヤ接着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00B1 (ko) * 2014-04-11 2014-08-26 김부길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81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267B1 (ko) 히팅 패드
JP5134579B2 (ja) 発熱体及び発熱体を備えた暖房装置
RU2737048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3769841B2 (ja) 加熱定着装置
KR20200072317A (ko) 면상발열체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의 암레스트
JP2015216184A (ja) 熱輸送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放熱構造
KR100847060B1 (ko) 가요성 히팅 패드
JP2018193058A (ja) 電気ヒータ
KR101078430B1 (ko) 히팅 패드
KR100558982B1 (ko) 원적외선 방사용 침구
KR100468651B1 (ko) 필름 히터 전기 보일러
JPH08185959A (ja) 発熱床材
JPH06302374A (ja) 木質面状発熱体
KR930004235Y1 (ko) 전기온돌 매트리스
JP6987995B2 (ja) ヒータ
JP7207272B2 (ja) ヒータ装置
KR20230110506A (ko) 가열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92720A (ja) ヒータ
KR101426472B1 (ko) 엘엔지 선박의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JP3744443B2 (ja) 暖房機能付き防音床材
JP2001202839A (ja) 絶縁板の積層接着方法
JP2023127711A (ja) ヒータ装置
US20100047540A1 (en) Actuator using a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EP3711939A1 (en) Heated plate for heated plate presses
KR200276305Y1 (ko) 원적외선 방사용 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