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200B1 -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200B1
KR101433200B1 KR1020140043623A KR20140043623A KR101433200B1 KR 101433200 B1 KR101433200 B1 KR 101433200B1 KR 1020140043623 A KR1020140043623 A KR 1020140043623A KR 20140043623 A KR20140043623 A KR 20140043623A KR 101433200 B1 KR101433200 B1 KR 10143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unit
cable
termin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길
Original Assignee
김부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길 filed Critical 김부길
Priority to KR102014004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16Switches actuated by the expansion of a solid element, e.g. wire or r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에 관한 것으로, 가열수단이 구비된 히팅 플레이트와,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가열수단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바이메탈과, 판재이며, 상기 히팅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을 수용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와 단자부가 유닛화되고 이를 합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센서부의 고장 또는 전선의 단선이나 단자부의 고장 시 히팅 패드를 버리지 않고도 고장 부위를 고치거나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장에도 히팅 패드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Heating pad for installing triplex having detachable sensor-terminal unit}
본 발명은 엘엔지 선박의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방벽 시공에 사용되는 트리플렉스(Triplex)의 부착 시 사용하는 히팅 패드에서 센서부와 단자부를 유닛화시켜 히팅 패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에 관한 것이다.
엘엔지(LNG, 이하 '액화천연가스'와 혼용하기로 함)는 천연가스의 정제 후 얻어진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를 영하 162도로 냉각시켜 액화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가 액화되면서 그 부피가 약 600분의 1로 감소되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원거리 해상 수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액화천연가스를 운송하는 엘엔지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도 견딜 수 있는 저장 탱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저장 탱크 주변에는 열침입 차단, 가스 누설 예방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용도로 단열 구조가 구비된다.
단열 구조는 1차 단열 방벽, 단열재 및 2차 단열 방벽으로 구성되며,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촉하는 1차 단열 방벽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멤브레인 벽으로 만들어져 극저온에 의한 수축응력과 슬로싱(선박 운항 중의 출렁임으로 엘엔지가 저장 탱크에 충격을 주는 현상)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1차 단열 방벽과 외벽의 사이에는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플라이우드(plywood) 등으로 구성된 1차 단열재가 삽입되며, 1차 단열재의 외측에 2차 단열재가 추가로 구비된다.
2차 단열 방벽은 2차 단열재 상에 구비되어 1차 단열 방벽의 기능을 보완하며, 일반적으로 트리플렉스(Triplex)가 사용된다. 트리플렉스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시트의 양면에 유리섬유 시트가 접착되어 만들어진 형태로, 알루미늄 시트의 두께나 사용되는 수지에 따라 강성이 상이하다.
트리플렉스는 에폭시 또는 우레탄 등의 접착제로 2차 단열재 상에 접착되며, 접착면의 안정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해 접착제의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트리플렉스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식 부착 장치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압식 부착 장치는 열을 가하기 위한 히팅 패드를 구비하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363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히팅 패드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용 전선이 히팅 패드 상에 설치된다. 또한, 온도센서용 전선과 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해 히터 라인을 지지하는 합판에 홈을 파고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용 전선을 삽입한 뒤 홈을 메꾸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렇게 합판의 홈을 메꾸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온도센서와 전선이 합판에 고정되기 때문에 전선 연결이 잘못되거나 단선이 되는 경우, 이를 고치거나 재작업을 할 수 없어 히팅 패드 자체를 버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93632호(등록일: 2012년 07월 0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히팅 패드의 발열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센서부와 단자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센서부의 고장 또는 전선의 단선이나 단자부의 고장 시 히팅 패드를 버리지 않고도 고장 부위를 고치거나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히팅 플레이트와,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가열수단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바이메탈과, 판재이며, 상기 히팅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을 수용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단자를 수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체유닛은 일면에 상기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을 수용하는 센서부가 요입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부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와 단자부는 상호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와, 상기 유닛 커버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단자 커버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교체유닛과 함께 볼팅 결합되는 제1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단자부가 형성된 판면으로부터 볼팅 가능한 폭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베이스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향되는 양쪽 판면에 상기 베이스 결합부 및 제1 프레임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도록 요입 형성된 유닛 안착부 및 제1 프레임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을 상기 복수의 단자 중 하나에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교체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여 상기 케이블이 노출되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케이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개구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 커버와 함께 볼팅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향되는 양쪽 판면에 상기 케이블 커버 및 제2 프레임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유닛 안착부 및 제1 프레임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결합부 및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케이블 커버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판면과 단차 없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부에는 일측에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와 단자부가 유닛화되고 이를 합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센서부의 고장 또는 전선의 단선이나 단자부의 고장 시 히팅 패드를 버리지 않고도 고장 부위를 고치거나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장에도 히팅 패드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센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단자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교체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교체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교체유닛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교체유닛과 결합되는 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D-D 선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이하에서는 편의상 가압부재가 결합된 방향을 히팅 패드의 전면 방향으로, 반대쪽 방향을 히팅 패드의 후면 방향으로 정의하고, 방향에 대한 설명인 이러한 정의를 따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센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교체유닛의 단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교체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교체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교체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팅 패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교체유닛과 결합되는 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D 선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패드(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가열수단(210)을 갖는 히팅 플레이트(200)와, 열분산과 트리플렉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한 각종 플레이트가 구비된 다중 적층 구조를 갖는다. 히팅 패드(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 쪽에 결합되어 트리플렉스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110)와,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을 더 포함한다. 온도센서는 가열수단(210)의 온도를 측정하며, 바이메탈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가열수단(2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일 땐 외부 전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온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가열수단(210)의 전원을 차단한다. 히팅 패드(10)는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이 삽입되는 교체유닛(300)을 더 포함하며, 교체유닛(300)은 제1 프레임(40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된다. 또한, 가열수단(210)에 연결된 케이블이 인출되는 부분을 커버하기 위해 케이블 커버(600)가 구비되고, 케이블 커버(600)는 제2 프레임(50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된다.
도 1,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합판 또는 비전도성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판재로서, 히팅 패드(10)의 형상을 유지하고, 히팅 패드(10)의 구성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판면에 길이 방향으로 교체유닛(300)의 결합 상태에서 교체유닛(30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히팅 플레이트(200)에 결합된 가열수단(210)과 연결된 케이블에 접근할 수 있도록 케이블 개구부(130a)가 형성된다. 개구부(110a)는 케이블 개구부(130a)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개구부(110a) 및 케이블 개구부(130a)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긴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가열수단(210)과 연결된 케이블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 두께면을 관통해 케이블 개구부(130a)로 인출되고 다시 개구부(110a) 쪽으로 인출되어 후술할 교체유닛(300)의 단자부(350)에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중 하나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일측 두께면으로 부터 케이블 개구부(130a), 개구부(110a)까지를 연통시키는 케이블홀(19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10a) 및 케이블 개구부(130a)의 가장자리를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에는 교체유닛(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유닛 안착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후술할 케이블 개구부(130a)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6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커버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에는 유닛 안착부(110) 및 커버 안착부(130)와 동일한 형상의 제1 프레임 안착부(150) 및 제2 프레임 안착부(170)가 각각 형성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유닛(300)은 센서부(330)와 단자부(350)가 형성되는 바디부(310)와, 바디부(310)를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베이스 결합부(370)로 구성된다. 또한, 후술할 단자부(350)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39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310)는 속이 꽉 차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열 기능이 있는 실리콘, 아크릴,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후 표면을 가공하여 센서부(330) 및 단자부(350)를 형성한다.
센서부(330)는 바디부(31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며, 온도센서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바디부(310)의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제1 삽입홈(332)와, 바이메탈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바디부(310)의 판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제2 삽입홈(334)으로 구성된다. 제1 삽입홈(332) 및 제2 삽입홈(334)의 내측에는 단자부(350)과 연통되도록 인출홀(354a)이 관통 형성된다.
단자부(350)는 바디부(310)의 후면에 형성되되, 센서부(330)가 위치한 부분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단자부(350)는 센서부(330)와 앞뒤로 마주보지 않도록 형성된다. 단자부(350)는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352)을 가지며, 복수의 단자는 가열수단(210)과 연결된 케이블,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에 연결된 케이블에 각각 결합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단자부(350)에는 인출홀(354a)을 통해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과 연결된 케이블이 인출되어 안착되는 케이블 인출홈(354)과, 단자부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390)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홈(356)과, 가열수단(210)과 연결된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홀(358)이 형성된다. 케이블 삽입홀(358)은 인출홀(354a)과 마주보는 단자부(350)의 두께면 상에 관통 형성된다.
단자 삽입홈(352)은 바디부(310)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며, 복수의 단자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케이블 인출홈(354)은 단자 삽입홈(352)과 단차를 가지며 단자 삽입홈(352)보다 크게 형성되고, 일측면에 인출홀(354a)이 형성되어 제1 삽입홈(332) 및 제2 삽입홈(334)과 연통된다. 커버 안착홈(356)은 케이블 인출홈(354)과 단차를 가지며 케이블 인출홈(354)보다 크게 형성되며, 단자 커버(39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커버 안착홈(356)이 바디부(310)의 후면으로부터 단자 커버(390)의 크기와 두께만큼 요입되고, 커버 안착홈(356)의 표면으로부터 커버 안착홈(356) 보다 작은 크기로 케이블 인출홈(354)이 다시 요입 형성되며, 케이블 인출홈(354)의 표면으로부터 케이블 인출홈(354) 보다 작은 크기로 단자 삽입홈(352)이 다시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단자부(350)는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계단 형상의 단면을 갖게 된다. 단자 삽입홈(352)과 케이블 인출홈(354), 커버 안착홈(356)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은 복수의 단자가 설치된 후 단자에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자 삽입홈(352)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은 단자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고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전술한 단차 구조 없이 하나의 요입된 수용 공간에 단자 삽입홈(352)을 고정하는 돌기나 홈 등이 구비되어 복수의 단자와 케이블이 수용되어도 무방하며, 복수의 단자와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태에 제안 없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단자부(350)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390)가 볼팅 결합된 상태에서 교체유닛(300)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결합된다.
베이스 결합부(370)는 바디부(310)의 후면으로부터 볼팅 가능한 폭으로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 결합부(370)의 후면은 바디부(310)의 후면과 단차 없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베이스 결합부(37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형성된 유닛 안착부(110)에 안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제1 프레임(400)이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제1 프레임(400)과 상호 결합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00)을 사이에 두고 교체유닛(300)과 제1 프레임(400)이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결합부(370)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400)은 베이스 결합부(37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베이스 결합부(37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링 형상이다. 제1 프레임(400)은 베이스 결합부(37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00)에도 베이스 결합부(370)에 형성된 볼트 결합을 위한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400)이 직사각형의 링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개구부(110a)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제2 프레임(500)은 케이블 커버(6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사각형의 링 형상이다. 또는, 케이블 커버(600)과 동일하게 개구된 부분이 없는 사각형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프레임(400)과 제2 프레임(500)은 교체유닛(300)과 가열수단(210)에 연결된 케이블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막혀있는 구조 보다는 링 형상으로 개구된 부분이 있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케이블 개구부(130a)가 생략되고 케이블 커버(600) 및 제2 프레임(500) 역시 생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결합부(370)와 제1 프레임(400)의 결합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유닛 안착부(110)와 제1 프레임 안착부(150)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블 커버(600)의 결합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커버 안착부(130)와 제2 프레임 안착부(170)이 형성됨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구성 및 교체유닛(300)과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결합관계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유닛 안착부(110) 및 제1 프레임 안착부(150)는 각각 베이스 결합부(370) 및 제1 프레임(400)의 형상에 대응하며, 개구부(110a)와 케이블 개구부(130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유닛 안착부(110) 및 제1 프레임 안착부(150)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요입 형성되되, 베이스 결합부(370) 및 제1 프레임(400)의 두께만큼 함몰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교체유닛(300)과 제1 프레임(4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결합부(370)와 제1 프레임(400)의 판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판면과 단차 없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케이블 개구부(130a)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커버 안착부(130)와 제2 프레임 안착부(170)가 형성된다. 커버 안착부(130) 및 제2 프레임 안착부(170)는 케이블 커버(600) 및 제2 프레임(50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며,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요입 형성되되, 케이블 커버(600) 및 제2 프레임(500)의 두께만큼 함몰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케이블 커버(600) 및 제2 프레임(5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결합부(370)와 케이블 커버(600) 및 제2 프레임(500)의 판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판면과 단차 없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케이블 커버(600)와 제2 프레임(5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교체유닛(300)이 안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제1 프레임(400)을 안착시키고 볼팅 결합함으로써 교체유닛(300)의 설치가 완료된다. 가열수단(210)에 연결된 케이블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 두께면으로부터 개구부(110a)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된 케이블홀(190)을 통해 케이블 개구부(130a)를 거쳐 개구부(110a)까지 인출되고, 개구부(110a)와 연통되는 교체유닛(300)의 케이블 삽입홀(358)로 삽입되어 단자에 결합된다. 가열수단(210)에 연결된 케이블이 단자에 결합된 후 케이블 커버(600)와 제2 프레임(500)을 볼팅 결합하여 가열수단(210)에 연결된 케이블이 히팅 패드(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체유닛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볼팅 결합되어 탈착이 가능하므로, 온도센서나 바이메탈 등의 고장, 또는 가열수단이나 온도센서, 바이메탈에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히팅 패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교체유닛이나 케이블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체유닛이 탈착 가능하고 온도센서와 바이메탈을 교체유닛 상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때보다 사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히팅 패드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유닛 안착부 130: 커버 안착부
150: 제1 프레임 안착부 170: 제2 프레임 안착부
300: 교체유닛 330: 센서부
350: 단자부 352: 단자 삽입부
354: 케이블 인출부 356: 커버 결합부
370: 베이스 결합부 390: 유닛 커버
400: 제1 프레임 500: 제2 프레임
600: 케이블 커버

Claims (15)

  1. 가열수단이 구비된 히팅 플레이트와,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가열수단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바이메탈과,
    판재이며, 상기 히팅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을 수용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단자를 수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유닛은 일면에 상기 온도센서 및 바이메탈을 수용하는 센서부가 요입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부가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단자부는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와, 상기 유닛 커버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단자 커버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교체유닛과 함께 볼팅 결합되는 제1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유닛은 상기 단자부가 형성된 판면으로부터 볼팅 가능한 폭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베이스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향되는 양쪽 판면에 상기 베이스 결합부 및 제1 프레임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도록 요입 형성된 유닛 안착부 및 제1 프레임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을 상기 복수의 단자 중 하나에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교체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여 상기 케이블이 노출되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케이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개구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 커버와 함께 볼팅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향되는 양쪽 판면에 상기 케이블 커버 및 제2 프레임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유닛 안착부 및 제1 프레임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14.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결합부 및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케이블 커버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판면과 단차 없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에는 일측에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교체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KR1020140043623A 2014-04-11 2014-04-11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KR101433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23A KR101433200B1 (ko) 2014-04-11 2014-04-11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23A KR101433200B1 (ko) 2014-04-11 2014-04-11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200B1 true KR101433200B1 (ko) 2014-08-26

Family

ID=5175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623A KR101433200B1 (ko) 2014-04-11 2014-04-11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294B1 (ko) 2018-07-10 2019-10-30 주식회사 예원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024A (ko) * 2001-05-04 2002-11-16 지창현 단열 히터 재킷 장치
KR100633563B1 (ko) * 2006-03-06 2006-10-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JP2008531941A (ja) * 2005-11-03 2008-08-14 株式会社 韓国ファイバー ヒーティングパッドを用いた2次ガスバリヤ接着方法
US20110056955A1 (en) * 2008-06-19 2011-03-10 Samsung Heavy Ind. Co., Ltd. Insulation structure of lng carrier cargo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122267B1 (ko) * 2009-12-09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024A (ko) * 2001-05-04 2002-11-16 지창현 단열 히터 재킷 장치
JP2008531941A (ja) * 2005-11-03 2008-08-14 株式会社 韓国ファイバー ヒーティングパッドを用いた2次ガスバリヤ接着方法
KR100633563B1 (ko) * 2006-03-06 2006-10-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US20110056955A1 (en) * 2008-06-19 2011-03-10 Samsung Heavy Ind. Co., Ltd. Insulation structure of lng carrier cargo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122267B1 (ko) * 2009-12-09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294B1 (ko) 2018-07-10 2019-10-30 주식회사 예원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2289B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automobile
EP3088940B1 (en) Display modul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US11749853B2 (en) Battery module
KR101505798B1 (ko)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US20150330421A1 (en)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and housing component
JP2008275059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20130181443A1 (en) Rapid leakage-proof structure for tubes
CN103547098A (zh) 电子装置壳体锁持结构及其拆卸方法
KR101433200B1 (ko)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US8991437B2 (en) Composite protective element for a thermally insulated pipe
JP2010230165A (ja) 配管の断熱保護要素
US9083165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20180292107A1 (en) Insulating Shell for 2.1 Gallon Thermal Expansion Tanks for Potable Water Systems
KR20200074320A (ko) 배터리 팩
ITMI20092346A1 (it) Metodo di manutenzione di una camera di combustione di un impianto a turbina a gas e telaio di montaggio di una piastrella di una camera di combustione
CN211373855U (zh) 一种热电偶固定用安装座
KR200173843Y1 (ko) 고온 고압용 수면 게이지의 밀봉구조
KR20120020715A (ko) 관의 연결구조
KR20170044315A (ko) 누유방지장치
CN210351954U (zh) 变频器及其微通道散热器
KR101458385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납되는 보온덮개 고정구조
US20190032839A1 (en) Fixing system for panels and turbomachine enclosure comprising such system
JP2013504173A (ja) 安定器のためのケーシング
US20140202568A1 (en) Modular Switching Valve Arrangement and Switch Cabinet with Such Switching Valve Arrangement
WO2019011137A1 (zh) 一种低频辐射单元垫片和双极化基站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