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563B1 -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563B1
KR100633563B1 KR1020060036536A KR20060036536A KR100633563B1 KR 100633563 B1 KR100633563 B1 KR 100633563B1 KR 1020060036536 A KR1020060036536 A KR 1020060036536A KR 20060036536 A KR20060036536 A KR 20060036536A KR 100633563 B1 KR100633563 B1 KR 10063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ing
heat
temperature
tri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길
박성호
박소영
손민영
신맹수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0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material to be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38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H05B3/0042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used in mot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3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ors on a metallic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한 온도 편차와 온도 조절 및 비상시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비철금속 또는 스테인리스 강 정밀 가공 면상발열층을 내장한 길이 3미터 이상의 트리플렉스 부착용 히팅 패드로서, 고압착 조건에서 변형이나 부러짐 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비전도성 일체형 평판층(110), 이런 평판층(110)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 단열재층(120), 이런 탄성 단열재층(120) 하부에 위치하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면상발열층(130), 및 최하부에 위치하는 소수성 합성 고무층(140)을 포함하는 히팅 패드(100)와; 케이블(210)을 통해 히팅 패드(100)에 전기전자식으로 접속되어 히팅 패드(100)의 온도를 감지 및 제어하며 히팅 패드(10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온도 제어 장치(200)와; 히팅 패드(100) 내에 내장되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온도를 온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온도 센서(190, 190b)를 포함한다.
트리플렉스, 히팅 패드, 면상발열체, 스테인리스 강, 평판층, 고무층

Description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Heating pad and triplex attaching device for using the same}
도 1a와 도 1b는 일반적인 트리플렉스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의 온도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에 의한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의 히팅 패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합성 고무층의 기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합성 고무층의 다른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 층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층의 온도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의 사시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패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평판층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10에 도시된 평판층의 다른 변형예들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탄성 단열재층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층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패드의 시공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히팅 패드 110 : 평판층
120 : 탄성 단열재층 130 : 면상발열층
132, 133 : 전원버스 134, 135 : 열선
137, 138 : 온도 단자 140, 140', 140" : 합성 고무층
141, 142 : 압착홈 150 : 보호 커버
본 발명은 히팅 패드 및 이것을 포함하는 트리플렉스(triplex)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엔지선 화물창에서 2차 방벽을 형성하고자 하는 곳에 트리플렉스를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갖는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선 화물창에 2차 방벽을 형성하기 위한 트리플렉스 부착 공정은 수작업에 의존하여 수행되고 있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플렉스 부착 공정을 수작업으로 실행하는 경우에는, 2차 단열패널 사이의 탑패널과 탑패널 사이에 해당하는 트리플렉스(6)가 부착될 화물창의 소정 위치(이하, '트리플렉스 부착위치'라 칭함)에 접착제(5 : glue)를 도포한 다음, 수동 롤러를 이용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트리플렉스(6)의 바닥면을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가접착한다.
여기서, 트리플렉스 부착위치는, 인슐레이션 패널에 해당하는 바닥 패널(1, 1')(2차 단열 패널) 및 탑 패드(2, 2' : top pad)(1차 단열 패널)가 화물창의 내표 면을 따라 설치될 때, 탑 패드(2, 2') 사이의 이격 폭과 탑 패드(2, 2')의 두께에 대응한 공간을 의미한다. 트리플렉스의 바닥면은 접착제(5)가 개재되어 바닥 패널(1, 1')의 상면과 마주한다. 또한, 바닥 패널(1, 1')의 사이에는 틈새를 없애기 위해서, 플랫 조인트(3, flat joint) 또는 조인트 필러(4, joint filler)가 개재되어 있다.
이후, 트리플렉스(6)의 상면에는 압착판(7)이 놓여지고, 그 위에 에어 프레싱 보드(8, air pressing board) 또는 에어 매트릭스가 놓여진다.
또한, 에어 프레싱 보드(8)의 위에는 합판(9)이 놓여지고, 이러한 합판(9)의 상부에는 가압대(10)가 크로스형으로 배치되는데, 이 가압대(10) 각각의 끝단은 탑 패드(2, 2')에 앵커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 프레싱 보드(8)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11~12시간 동안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 에어 프레싱 보드(8)의 정압으로24시간동안 가압하는 단계를 거치면, 트리플렉스(6)가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부착 및 고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압착판(7)은 2단의 플라이우드(ply wood) 합판 2장을 합판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는 합판의 끝단이 각각 접촉되게 연결시켜 제작한 지지판을 갖는다.
이런 지지판의 위에는 폼(form) 재질의 쿠션재가 덮여진다. 이후, 쿠션재의 상부에는 일반 PVC 계열의 고무판을 양면 테이프로 부착하거나, 일반 테이프로 고무판과 쿠션재 및 플라이우드 합판을 감아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그의 전체 표면에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덮어 압착판(7)이 완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압착판(7)은 엘엔지선 화물창 단열재 접착 공정시, 트리플렉스(6)와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의 바닥면 사이의 접착제(5)가 균일하고 신속하게 접착되지 않는 등 접착 성능이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압착판(7)은 그의 고무판 표면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제(5)에 의해 오염될 수 있고, 이때, 탈리되지 않는 접착제(5)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고무판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에 손상이 오고, 별도의 보호 필름을 다시 덧씌워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압착판(7)은 장시간 고압의 외부 압력 조건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2단의 플라이우드(plywood) 합판 2장이 연결된 지점이 파손되어 압력이 고르게 전해지지 않아, 결국 접착제(5)의 두께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압착판(7)은 합판 2장이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꺾여질 수 있어서, 내구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압착판(7)에서 고무판의 중심부위는 압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곳으로서, 장시간 사용시 중앙 부위가 볼록하게 튀어나와, 압착판(7) 전체를 교체 사용 내지 변경 수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압착판(7)은 플라이우드 합판, 쿠션재, 고무판을 양면 테이프 또는 일반 테이프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압착판(7)의 표면이 고르지 않아 압착 압력 분포가 고르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공개 제2005-15840호를 참조하면, 휴대용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제에 열을 가함으로써 단열방벽과 트리플렉스의 부착 효과를 증대시키는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장시간의 가압 시간이 불필요하며 접착제가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출원인은 접착제에 열을 가하는 단계가 추가될 경우 단열방벽과 트리플렉스의 부착 시간의 단축, 부착 효과의 증대 등의 효과를 인지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도, 접착제로의 균등한 온도 전달, 일정한 온도 제어 등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 또는 금속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접착제(5)를 가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종래에 널리 이용되는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 또는 금속 면상발열체를 단순히 트리플렉스 상에 적용하는 이러한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로, 금속 면상발열체를 트리플렉스 시공구조에 적용하였을 때, 금속 면상발열체 그 자체만으로는 전기 안정성 및 화재 위험성이 있고, 외부 노출시 전기 감전으로 인한 불안전 요소를 갖고 있다. 이러한 금속 면상발열체를 앞서 설명한 압착판의 내부(예 : 플라이우드 합판과 쿠션재의 사이, 또는 쿠션재와 고무판의 사이)에 구비시킬 때, 역시 동일한 불안전 요소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트리플렉스 시공구조에 적용한 도 1c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를 장착한 압착판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버스(72, 73)가 금속 재질의 코일 또는 스트립(strip)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발열면(71)에서 자기장 발생에 의한 외부 노이즈가 발생되고, 금속재의 전원버스(72, 73)의 손상시 화재 위험이 발생되며, 통 상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 타입의 압착판의 길이가 길게 설계될 경우,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과 비례하게 저항값이 커짐에 따라 온도 분포의 차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통상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는 그의 두께가 0.3㎜ 이상이고, 폭(W)이 1m이며, 길이(L)는 롤 형태로서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실제 발열되는 부위는 1m이하 길이를 갖는 세그먼트 형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사이에 전원 연결 부위 및 버스를 형성하고, 세그먼트의 버스를 통해 상호 통전시키고 있으며, 각각의 세그먼트에는 세라믹 카본 발열체가 중앙에 도포되는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는 그의 양측에 전원버스(72, 73)를 배치하고 있고, 전원버스(72, 73)를 비롯하여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 전체의 길이를 3000㎜ 이상으로 제작할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버스(72, 73)의 시작 부위와 마지막 끝단 부위의 저항값에 의한 온도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는 그 자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온도 분포의 차가 크게 발생되므로, 결국, 작은 규격(예 : 15㎝ 내지 1m 정도)의 압착판에 적용할 수 있을지언정,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는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의 엘엔지선 접착 공정에 부적합하다는 결과를 실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예컨대, 큰 규격(예 : 3.5m ± 50㎝)의 압착판으로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를 제작하여 시험해본 결과, 앞서 언급한 바 있고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대별로 주기적이면서 큰 값의 온도 편차가 확인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는 어떠한 전기, 전자적 안전장치 및 온도 제어 장치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 자체의 온도 제어는 물론,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를 장착한 압착판의 온도 제어 모두 제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렇듯, 압착판은 다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히터형 압착판(예 : 벽걸이형 전기난로, 바닥난방 및 사우나용 히터 등)이 아닌, 앞서 언급한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와 같은 특수 영역에 대응한 기술규격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 등을 장착한 압착판은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의 온도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예측이 불가능한 과전류 통과시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고, 불균일한 온도 편차에 의한 국부적 온도 상승 및 저하에 따라 치명적으로 트리플렉스 부착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를 장착한 압착판은 플라이우드 합판 2장을 연결하여 만든 지지판과 고무판의 사이에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를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압착판 외부의 굽힘이나 충격 발생시, 합판 2장이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꺾여질 수 있으며, 꺾여진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의 부위에서 저항값이 커지거나 연결선이 단선될 수 있고, 결국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 또는 압착판 전체의 온도 제어가 불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를 장착한 압착판은 단순 코팅만을 하고 있으므로 단열 구조가 취약하여, 압착이 가해지는 고무판쪽으로 전면 열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플라이우드 합판쪽으로 면상발열체(70)의 열이 전달되어 플라이우드 합판의 변형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또한 에어 프레싱 보드(8)쪽으로도 면상발열체(70)의 열이 전달되어 에어 프레싱 보드 내부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켜, 에어 프레싱 보드에 바람직하지 않은 고온을 전달하게 되며, 균일한 압력 분포를 얻을 수 없게 만든다.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는 그 자체만으로 면전체가 균일하게 발열하지 않거나, 재현성이 나빠서 소정의 열량을 발생시키지 못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이를 보안하기 위해 에폭시수지를 덧씌움에 따라 두께가 1㎜ 이상 증가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압착판은 세라믹 카본 면상발열체(70)의 장기간 사용시, 열적 노화에 의해 효율이 감소되며, 목표 온도 도달시 온도 편차가 발생되어 정확한 온도 조절이 요구되는 부위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긴 길이(예컨대, 3미터 이상)를 가지면서도, 미세한 온도 편차와 온도 조절 및 비상시 전원 차단 기능을 갖고 있으며, 고압착, 고온, 또는 장시간의 사용 조건에서 변형이나 부러짐 없이 사용이 가능한 스테인리 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에 상응한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층에 다양한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차제거부를 형성함에 따라,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서 서로 근접되어 있는 양측의 바닥 패널 각각의 상면 레벨간 차이와 같은 단차 발생에도 불구하고, 트리플렉스를 양측의 바닥 패널 상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 센서를 내장함에도 불구하고 층간 들뜸이 없이 밀착된 적층구조를 갖는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역시 다른 목적은 플러그-소켓 타입의 접속구 체결구조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히팅 패드를 전기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사용되는 길이와 폭의 패드몸체를 갖는 스테인레스 강 또는 비철금속 정밀가공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고, 강화플라스틱 재질, 나무 합판 재질, 상기 강화플라스틱 재질과 나무 합판 재질을 적층시킨 비전도성 복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 일체형 평판층과; 상 기 평판층의 아래에 적층되며, 열 손실 차단을 위한 내열 및 단열 재질의 탄성 단열재층과; 상기 탄성 단열재층의 아래에 적층되며,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 방법으로 형성된 홈에 전원버스와 열선을 구비시킨 일체형 판형상의 스테인레스 강 또는 비철금속 정밀가공 면상발열층과; 상기 면상발열층의 아래에 적층되는 내열 고탄성 소수(疎水)성 재질의 합성 고무층을 일체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엘엔지 운송선의 화물창 제조 공정 중 트리플렉스를 부착하기 위해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를 갖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에 있어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비전도성 평판층, 최하부에 위치하는 소수성 합성 고무층, 상기 평판층과 합성 고무층 사이에 탄성 단열재층, 그 하부에 전원을 열로 전환하는 면상발열층이 위치하게 적층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트리플렉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하면서 상기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의 압착력을 상기 트리플렉스에 전달하는 히팅 패드와; 상기 히팅 패드에서 발생한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히팅 패드를 발열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값을 판독해 상기 전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에 의한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의 히팅 패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합성 고무층의 기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합성 고무층의 다른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층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층의 온도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의 히팅 패드(100)는 인슐레이션 패널에 해당하는 바닥 패널(1, 1') 및 탑 패드(2, 2')가, 화물창의 내표면을 따라 설치되는 패드몸체를 갖는 것으로서, 탑 패드(2, 2') 사이의 이격 폭과 탑 패드(2, 2')의 두께에 대응한 공간에 해당하는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서 사용된다. 물론, 바닥 패널(1, 1')의 사이에 틈새를 없애기 위해서, 플랫 조인트(3) 및 조인트 필러(4) 등이 더 개재되어 있다.
이런 본 발명의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상면 또는 저면에서 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떠한 연결지점도 갖고 있지 않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길이 3미터 이상(예 : 3.5m ± 50㎝)의 히팅 패드(100)와, 이런 히팅 패드(1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온도 제어 장치(도시 안됨)를 갖는다.
여기서, 온도 제어 장치는 히팅 패드(100)의 내부에 구비된 비철금속 또는 스테인리스 강 정밀 가공 면상발열체를 의미하는 면상발열층(이하, '면상발열층'이라 칭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미세한 온도 편차와 온도 조절 및 비상시 전원 차단 기능을 갖고 있다.
히팅 패드(100)는 엘엔지선 트리플렉스 부착 공정시 사용되는 일종의 탄성 압착판의 엄격한 기술 규격을 만족할 만큼 특수하게 제작되어 있고, 특히 열전달 방향을 고려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히팅 패드(100)는 통상의 트리플렉스 시공방법 또는 시공구조에 사용될 수 있다.
히팅 패드(100)가 적용 또는 이용된 시공구조는, 트리플렉스(6)를 부착시키기 위한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도포된 접착제(5)와; 그 위에 놓여질 트리플렉스(6)와; 그 위에 놓여질 히팅 패드(100)와; 그 위에 놓여질 에어 프레싱 보드(8)와; 그 위에 놓여질 합판(9) 및; 그 합판(9)의 상부에서 크로스 배치되며 각각의 끝단을 탑 패드(2, 2')에 앵커볼트로 고정한 가압대(1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단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패드(100)는 표준 합판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평판층(110)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적층'은 상하 배치 후 접착제 등에 의해 상하 두께 방향으로 상호 합체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평판층(110)의 아래에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프레싱 보드(8) 쪽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열전달 방향을 에어 프레싱 보드(8)의 반대쪽 방향에 위치한 합성 고무층(140) 쪽으로만 방출 내지 발산시키기 위한 내열 및 단열 재질의 탄성 단열재층(120)이 적층된다.
이런 탄성 단열재층(120)의 아래에는 상기 히팅 패드(100)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한 일체형 판형상을 갖는 면상발열층(130)이 적층된다.
마지막으로 면상발열층(130)의 아래에는 내열 고탄성 소수(疎水)성 재질의 합성 고무층(140)이 적층된다.
이런 히팅 패드(100)의 구성품에 해당하는 평판층(110), 탄성 단열재층(120), 면상발열층(130), 합성 고무층(140) 각각은 고온 조건에서 노화에 의해 각각의 구성품이 이탈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접착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예컨대, 각각의 구성품의 접착은 폭 300㎜ 이상으로 접착시 굴곡이 발생되지 않는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 또는, 균일한 두께로 도포된 내열 접착제(예 : 에폭시 또는 우레탄계열)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있다.
또한, 히팅 패드(100)의 측면 테두리 부위에는 평판층(110), 내열 단열의 탄성 단열재층(120), 면상발열층(130), 합성 고무층(140) 각각의 측면을 감싸도록, 보호 테이프인 접착식 측면 보호 커버(150, 예컨대, 제조사명 3M사의 내열 테이프)로 마감처리 되어 있다.
이하, 히팅 패드(100)의 구성품 각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평판층(110)은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서 엘엔지선 접착 공정시 에어 프레싱 보드와 접촉하여 압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예컨대, 길이 3.5m ± 50㎝과,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삽입 가능한 폭 300∼450㎜과, 강성 확보를 위하여 설계된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판부재이다.
평판층(110)의 재질은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며 견고한 구조적 강성과 지지력 발생을 위해서, 유리섬유, 탄소섬유, 케블라(kevlar)와 같은 강화플라스틱 재질 일체형으로 상기 전장 및 두께를 갖도록 맞춤 제작된 나무 합판 재질 상기 강화플라스틱 재질과 나무 합판 재질을 각각 1/2 두께로 재작한 후 상기 평판층(110)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시킨 비전도성 복합 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모든 재질로 평판층(110)을 제작하여 인장 또는 압축 시험을 해본 결과, 모두 소정의 고압착 조건에서 변형이나 부러짐 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였다.
탄성 단열재층(120)은 면상발열층(130)의 열이 평판층(110)에서 발산되지 못하게 하여 열 손실을 차단하는 역할과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시공구조에서 에어 프레싱 보드(8) 쪽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 및 합성 고무층(140) 쪽으로만 면상발열층(130)의 열이 발산되게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내열 및 단열 재질로 형성된다.
탄성 단열재층(120)은 120 ± 30℃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장시간 사용하고, 70℃, 24시간, 300mbar 이상 연속 조건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런 설계 기준을 만족하는 탄성 단열재층(120)의 내열 및 단열 재질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탄성체 재질,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 단열 고탄성 합성고무 재질 및 내열 폴리머 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 여, 상기 평판층(110)의 평면적에 대응한 장폭을 갖는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탄성체 재질은 열가소성(선형)과 열경화성(가교형)으로 구분되며, 선형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TDI(Toluene Di Isocyanate), MDI(Methylene Di Isocyanate)와 반응으로 제조하고, 황 또는 과산화물 개시 가교반응에 의하여 경화시킨 것이다.
면상발열층(130)은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자체만으로도 내구성이 뛰어나며, 면상발열층(130)의 외표면에 별도의 코팅막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면상발열층(130)은 15℃이상, 특히 15℃ 내지 60℃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설정온도 ± 0.5∼1℃ 이내의 정밀하고 균일한 온도 오차 범위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다. 또한, 저항값이 매우 적어 미터당 1마이크로 오옴 이하의 저항값을 가지며, 따라서 면상 발열체 부위별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면상발열층(130)은 소정의 온도 제어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도시 안됨)를 면상발열층(130)의 온도 단자에 연결하여 온도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온도 제어, 온도 제어 장치 내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바이메탈에 의한 온도 제어, 면상 발열체 자체의 퓨즈(fuse) 작용에 의한 온도 제어, 이렇게 3단계에 걸쳐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면상발열층(130)의 상세한 기술 내용은 하기의 도 5를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합성 고무층(140)은 엘엔지선 화물창 단열방벽 접착 공정시 트리플렉스 부착 위치의 바닥면과 직접 맞닿아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온 조건에서 이물질(예 : 실리콘, 왁스, 탄화 수소 계열 화합물 등)이 표면으로 전사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고, 또한 트리플렉스를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부착시키는 접착제가 합성 고무층(140)의 표면에 묻었을 경우, 쉽게 제거될 수 있어야 하는 설계 사양을 만족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합성 고무층(140)은 내열 고탄성 소수(疎水)성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내열 고탄성 소수성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발수성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고체 표면에 유체가 잘 젖지 않는 특성과 함께 내열 및 고탄성 특성을 갖고 있는 다기능 폴리머를 의미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고무층(140)은 면상발열층(130)과 면접촉하며, 앞서 설명한 평판층(110)의 레이아웃과 대등하게 X축방향(폭방향), Y축방향(길이방향)을 갖고, Z축방향(두께방향) 기준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합성 고무층(140)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있고, 합성 고무층(140)의 저면은 평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b,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고무층(140', 140")은 앞서 설명한 합성 고무층(140)과 동일한 재질과 규격을 갖는다.
다만, 도 4b의 합성 고무층(140')은 그의 저면 중심부에서 합성 고무층(140')의 길이방향(Y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일직선 채널형상, '
Figure 112006028261650-pat00001
'자 형상, 'ㄷ'자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적 어도 하나의 제1압착홈(141)을 갖는다.
합성 고무층(140')의 제1압착홈(141)은 하기에 설명할 도 7, 도 8, 도 9, 도 10의 평판층(110)의 단차제거부(112a)와 대등하게, 단수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공 형상, 장공형 홈 형상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제1압착홈(141)은 에어 프레싱 보드로부터 전달된 압착력에 의해 합성 고무층(140)이 통상의 압착에 의한 고무가 좌, 우측으로 팽출되는 통상의 고무 팽창 특성에 대응하여, 압착력이 합성 고무층(140')의 압착면에 해당하는 저면에서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완충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도 4c의 합성 고무층(140")은 그의 재질 변경에 대응하게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서 일자 형상을 갖는 제2압착홈(142)을 갖는다.
제2압착홈(142)은 합성 고무층(140")의 저면 중심부에서 합성 고무층(140')의 길이방향(Y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압착홈(142)은 상기 제1압착홈(141)에 비해 얇은 폭의 일자 형상 또는 슬릿(slit) 형상을 갖고 있다. 제2압착홈(142)의 폭의 크기는 상기 합성 고무층(140")이 상하방향으로 압착될 때, 상기 합성 고무층(140")이 좌우방향으로 팽출되는 변형량에 대응하게 정해진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제2압착홈(141, 142)은 합성 고무층(140, 140', 140")의 표면에서 복수개로 다양한 방향(예 : X, Y, Z축 중에서 선택된 방향 또는 이들 축방향의 사시방향 등)을 따라 합성 고무층(140, 140', 140")의 길이만큼 길 거나, 또는 합성 고무층(140, 140', 140")의 길이보다 짧게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층(130)은 탄소, 크롬, 니켈을 포함한 비철금속 또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서 정밀 가공된 면상발열체로서,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사용될 압착판의 규격에 맞는 길이(L)(예 : 3,300㎜) 및 폭(W)(예 : 300∼450㎜)과, 내구성 유지를 위한 두께(예 : 0.3∼0.7㎜)와, 전기 저항력 0.5∼1.0 mirto ohm/m을 갖는다.
면상발열층(130)은 통상의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 방법을 이용하여, 면상발열층(130)의 평면 또는 저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131)에서 상기 두께보다 얇은 복수개의 홈을 가공하거나, 면상발열층(130)의 두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홈을 가공하고, 가공된 홈의 형상 및 배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면상발열층(130)의 길이방향의 양측변에 전원버스(132, 133)용 홈이 형성되고, 전원버스(132, 133)용 홈으로부터 각각 지그재그 배열을 갖도록 연장된 열선(134, 135)용 홈이 형성된다.
전원버스(132, 133)용 홈과 열선(134, 135)용 홈에는 통상의 전원버스용 재질 또는 열선 재질의 전원버스(132, 133)와 열선(134, 135)이 채워진다.
여기서, 전원버스(132, 133)는 외부의 온도 조절 장치로부터 작동전원을 공급받도록 직렬로 통전 가능하게 전원 단자(136, 139)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열선(134, 135)은 상기 전원버스(132, 13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을 갖도록 연장되어 상기 전원버스(132, 133)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면상발열층(130)은 종래와 달리 어떠한 전극 전원버스(132, 133), 열선(134, 135) 등이 표면에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면상발열층(130)은 가로 세로의 두께가 동일하므로,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압착 사용 환경에서도 고른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면상발열층(130)을 위한 온도 제어 장치는 전원 단자(136, 139)에 설정 온도값에 대응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온도 단자(137, 138)를 통해 온도 제어 장치 내부의 온도 센서로 감지된 면상발열층(130)의 온도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 설정된 설정 온도값과 비교 체크하여, 면상발열층(130)의 온도를 제어하는 회로 구성을 갖는다.
예컨대, 온도 제어 장치는 제어하고자 설정된 어느 온도값 사이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설정온도에서 ± 0.5∼1℃ 이내의 온도 오차 범위를 갖고 있으므로, 면상발열층(130)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면상발열층(130)의 온도 제어 장치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 자체가 제작시 설계된 값에 따라 온도가 목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제 퓨즈 작용으로 인해 전기를 자동으로 단선할 수 있는 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바이메탈에 연동되는 바이메탈회로를 갖고 있는 통상의 전기회로 기술에 의해 구현하고 있다.
이때, 온도 제어 장치는 면상발열층(130)의 자체 저항 온도를 초기 설정값으 로 인식하도록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원 출력시 초기 설정값 및 그의 작동 허용 값 이상으로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바이메탈회로가 작동하여 전원을 일시적으로 단속시킬 수 있고, 유사시에 과전류가 발생될 경우 퓨즈에 의해 면상발열층(130)으로의 작동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제어 장치 및 면상발열층(130)은 지그재그 배열의 열선(134, 135) 및 전원버스(132, 133)와, 앞서 언급한 3단계에 걸친 온도 제어에 의해서, 면상발열층(130)의 온도를 목표 온도(예 : 초기 설정값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까지 균일하게 펄스를 거의 형성하지 않고 도달시킬 수 있고, 이후 온도 편차 없이 균일하게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열선(134, 135)의 두께는 0.1∼0.3㎜이고, 각 열선(134, 135) 사이 간격은 1∼2㎜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열선(134, 135)은 면상발열층(130)의 열선(134, 135)용 홈에 채워져 있음에 따라, 내산, 내알카리성, 내충격성, 내인장성, 외부 충격 및 연신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열선(134, 135)의 온도 승온 속도는 요구 조건에 따라 목표 온도까지5분에서 12시간까지 승온 온도를 자체 인식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사용한 면상발열층(130)은 온도차를 최소로 유지하고 저항값 또한 작게 발생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도 균일성 평가 결과에 의해 입증된다.
도 6에서는 목표 온도에 이르기 까지 천이 과정이 발생되나, 천이 과정 이후 거의 목표 온도에서 온도 편차가 거의 없이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트리플렉스 부착용 히팅 패드는,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패드(100)와 동일한 길이와 폭의 히팅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단차제거부(112a)를 갖는 평판층(110)과; 상기 평판층(110)의 아래에 적층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선안착부(121a, 122a)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안착부(121b, 122b)를 형성한 탄성 단열재층(120)과; 상기 탄성 단열재층(120)의 아래에 적층되며, 플러그-소켓 타입의 접속구 체결구조로 온도 제어 장치(200)에 복수개로 동시 접속이 가능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의 면상발열층(130)과; 상기 면상발열층(130)의 아래에 적층되는 합성 고무층(140)과; 상기 평판층(110)의 상면 및 테두리 측면, 상기 탄성 단열재층(120)의 테두리 측면, 상기 면상발열층(130)의 테두리 측면, 상기 합성 고무층(140)의 테두리 측면을 포함한 표면 부위를 감싸도록 마감 처리된 접착식 전면 보호 커버(1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패드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 패드는 플러그-소켓 타입의 접속구 체결구조와; 단차제거부를 갖는 평판부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의 내열 및 단열 재질의 탄성 단열재층에 센서 안착홈을 더 형성한 것 등을 제외하고는 제1실 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13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의 사시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분을 절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패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평판층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10에 도시된 평판층의 다른 변형예들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들이고,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탄성 단열재층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층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패드의 시공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인슐레이션 패널 설치 작업시, 경계 지점에서 소정의 허용 범위 내의 단차가 실제로 존재하는 바닥 패널의 현장 상황에 적극 대응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최적의 밀착 효율을 갖도록 제작되고 길이 3미터 이상으로서 적어도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부분 연결이 없는 일체형 히팅 패드(100) 및, 하기에 설명할 멀티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온도 제어 장치(200)를 구비한다.
히팅 패드(100)는 평판층(110), 탄성 단열재층(120), 면상발열층(130), 합성 고무층(140)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고, 각각의 층 사이에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161, 162, 163)를 개재시켜 상호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제1접속구(170)와 합성 고무층(140)의 저면(예 : 바닥면)을 제외한 평판층(110)의 상면 및 테두리 측면, 탄성 단열재층(120)의 테두리 측면, 면상발열층(130)의 테두리 측면, 합성 고무층(140)의 테두리 측면 등과 같은 표면 부위를 감싸도록 접착식 전면 보호 커버(150)로 마감 처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였지만, 각 층의 전체 면적을 서로 단단히 고착시킬 수 있는 임의의 고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보호 커버(150)는 앞서 종래 기술 등에서 언급한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에 평판층(110)의 상면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히팅 패드(10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호 커버(150)는 폴리에스테르 재질 등으로 제작되어 있고, 평면 형상, 매시(mesh) 형상 등을 갖는다.
평판층(110)은 일측 끝단부에 제1접속구(170)의 안정적이고 외부로 돌출이 없으며 견고한 설치를 위한 'T'자 형상, 'U'자 형상, 요홈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속구 수용부(111a)를 형성하고 있다.
접속구 수용부(111a)는 제1접속구(170)의 본체의 후방쪽 끝단을 삽입시킬 수 있는 단폭의 홈과; 제1접속구(170)의 양측의 날개부를 안치시켜서 고정 나사 등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접속구(170)의 날개부를 각각 지지하는 장폭의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속구(170)는 상술한 접속구 수용부(111a)에 구조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온도 단자 및 전원 단자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런 제1접속구(170)는 온도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면상발열층(130)의 전원버스 및 열선에 공급하거나, 온도 센서(190, 190b)(도 12참조)의 온도 변화 신호를 온도 제어 장치(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접속장치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온도 단자 및 전원 단자는 제1접속구(170)의 단자삽입홈(174)(도 8참조)에 각각 안치되어 있다.
이런 히팅 패드(100)의 제1접속구(170)는 플러그-소켓 타입의 접속구 체결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에 설명할 온도 제어 장치(200) 연결용 케이블(210) 각각의 양단에 연결된 제2접속구(180)(도 13 병행 참조)와 삽입 및 결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패드(100)에는 단차제거부(112a)를 형성한 평판층(110)이 사용된다.
상기 평판층(110)은 단차제거부(112a)를 포함하여, 이웃하는 상기 2차 단열 패널(도시 안됨) 사이의 단차의 영향 없이 트리플렉스 전면을 균일하게 압착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평판층(110)은 인접하는 화물창의 단열 패널 사이의 단차에 의한 불균일한 압착을 상쇄시키는 단차제거부(112a)를 갖고 있다.
이런 평판층(110)의 아래에는 앞서 설명한 도 2에 도시된 에어 프레싱 보 드(8) 쪽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열전달 방향을 에어 프레싱 보드(8)의 반대쪽 방향에 위치한 합성 고무층(140) 쪽으로만 방출 내지 발산시키기 위한 내열 및 단열 재질의 탄성 단열재층(120)이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161)에 의해 적층 및 부착된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제1접속구(17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 가공되어 평판층(110)의 접속구 수용부(111a)에 일부분 삽입될 수 있는 레이아웃을 갖는 본체(171)와; 접속구 수용부(111a) 쪽을 향하는 본체(17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전선 삽입구멍과; 본체(171)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172)와; 접속구 수용부(111a) 반대쪽을 향하는 본체(171)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제2접속구(180) 삽입돌기용 한 쌍의 돌기삽입홈(173)과; 상기 돌기삽입홈(173)의 사이에서 적어도 4개, 즉 복수개로 형성된 단자삽입홈(174)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접속구(170)의 양측의 날개부(172) 각각에는 고정 나사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속구(170)의 돌기삽입홈(173)과 단자삽입홈(174)에는 도 13에 도시된 온도 제어 장치(200)와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210)의 제2접속구(180)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삽입홈(174)에는 각각 도전바를 이용한 온도 단자 및 전원 단자가 각각 구비 및 고정되어 있다. 즉, 제1접속구(170)의 중앙측에 배치된 온도 단자에 해당하는 각각의 도전바에는 온도 센서(190)로부터 연장된 결속 전선(191)의 일측 끝단이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접속구(170)의 외부측에 배 치된 복수개의 나머지 도전바는 전원버스(132. 133)의 일측 끝단에 해당하는 전원 단자(136, 139)에서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장된 결속 전선(136a, 139a) 각각의 끝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접속구(170)는 복수 개의 도전바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온도 단자 및 전원 단자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 8 또는 도 12에 언급된 모든 온도 센서(190, 190b)는 통상의 A4용지의 두께이거나 그 이하로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상용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단열재층(12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재질상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단열재층(120)은 120 ± 30℃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장시간 사용하고, 70℃, 24시간, 300mbar 이상 연속 조건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탄성 단열재층(120)은 60∼70℃, 12∼24시간, 250∼300mbar 등과 같은 연속 조건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재질 등이 사용 가능하고, 탄성 단열재층(120)의 중량에 대한 최적의 열차단 성능 발휘하고 작업을 위해 히팅 패드(100)를 이동 및 운반하여야 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탄성 단열재층(120)의 두께는 5t(여기서, 1t = 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탄성 단열재층(120)은 그의 저면(예 : 도 11) 또는 바닥면에 온도 센서(190, 190b)(도 8, 도 12 참조) 및 그의 결속 전선(191)이 탄성 단열재층(120)의 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소정 깊이를 갖고 또한 탄성 단열재층(120)의 길이(L)를 기준으로 소정 위치, 예컨대 상기 길이(L)의 1/3에 해당하는 제1위치(L1)까지 연장된 전선안착부(12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안착부(121a)의 일측 단부에는 접속구 수용부(111a)와 관통하게 전선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해당 온도 센서(190, 190b)가 안착될 수 있게 센서안착부(121b, 122b)(도 11 참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해당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161, 162)에는 온도 센서(190, 190b)의 결속 전선(191) 및 전원버스(132. 133)의 일측 끝단에 해당하는 전원 단자(136, 139)의 결속 전선(136a, 139a)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탄성 단열재층(120)의 아래에는 해당 양면 내열 접착 테이프(162)를 개재한 상태로 면상발열층(130)이 적층된다.
하기의 도 12를 통해 설명할 바와 같이, 면상발열층(130)은 패턴을 이용한 통상의 에칭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 9를 통해 평판층(11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판층(110)에는 평판층(110)의 중앙 부위에서 평판층(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슬릿 또는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통된 장공은, 상기 평판층(110)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긴 투과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차제거부(112a)로 호칭된다.
이때, 단차제거부(112a)를 제외한 평판층(110)은 길이 방향 또는 좌, 우 폭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단차제거부(112a)는 도 10과 도 10a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예컨대, 단차제거부(112a)는 도 10과 같이 평판층(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공 형상, 도 10a와 같이 평판층(110)의 저면에 형성된 장공형 홈 형상부(112b), 도 10b와 같이 평판층(110)의 상면에 형성된 장공형 홈 형상부(112c), 도 10c와 같이 평판층(110)의 상면과 연직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형 홈 형상부(112d), 도 10d와 같이 평판층(110)의 상면과 연직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형 홈 형상부(112e)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 또는 형상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차제거부를 평판층에 형성함에 따라,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서 서로 근접되어 있는 양측의 바닥 패널 각각의 상면 레벨간 차이와 같은 단차 발생에도 불구하고, 트리플렉스를 양측의 바닥 패널 상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단열재층(120)은 그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전선안착부(121a)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탄성 단열재층(120)의 일측 끝단에서부터 타측 끝단까지를 탄성 단열재층(120) 또는 히팅 패드의 길이(L)이라고 정의한다.
이 경우, 전선안착부(121a)는 온도 센서(190, 190b)의 결속 전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121c)으로부터 탄성 단열재층(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탄성 단열재층(120)의 길이(L)의 1/3에 해당하는 제1위치(L1)의 센서안착부(121b)와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기에 설명할 면상발열층(130)은 일측 끝단의 온도와 타측 끝단의 온도간의 차이, 즉 길이 기준 온도 편차가 1~2℃가 넘지 않기 때문에, 온도 편차에 따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온도 편차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온도 센서(190, 190b)가 더 설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전선안착부(121a, 122a) 및 하나 이상의 센서안착부(121b, 122b)가 탄성 단열재층(1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먼저 기본적으로 설치된 전선안착부(121a) 및 센서안착부(121b)에 추가로 다른 전선안착부(122a) 및 센서안착부(122b)가 탄성 단열재층(120)의 저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전선안착부(122a)에 관한 센서안착부(122b)는 탄성 단열재층(120)의 길이(L)의 2/3에 해당하는 제2위치(L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듯, 전선안착부(121a, 122a) 및 센서안착부(121b, 122b)는 각각의 온도 센서(190, 190b) 및 각각의 온도 센서용 결속 전선(191)을 내장하는데 사용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단열재층(120)과 면상발열층(130)간에 들뜸이 없이 밀착된 적층구조를 실현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온도 센서(190) 및 결속 전선(191)은 앞서 도 11을 통해 설명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전선안착부(121a, 122a) 및 센서안착부(121b, 122b)에 각각 안착 및 설치되며, 이때, 탄성 단열재층(120)의 길이(L)가 면상발열층(130)의 길이와 동일하기 때문에, 결국 센서안착부(121b, 122b)에 형성된 일측 온도 센서(190) 또는 타측 온도 센서(190b)가 면상발열층(130)의 길이의 1/3에 해당하는 제1위치 또는 2/3에 해당하는 제2위치에서 면상발열층(130)의 온도 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 히팅 패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면상발열층(130)과 같은 면상발열체 전체적으로, 온도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온도 센서(190, 190b)는 면상발열체 어느 위치에 위치하여도 사용이 가능하고, 해당 트리플렉스 부착 부위에서 온도를 측정한다.
비철금속 또는 스테인리스 강의 면상발열층(13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턴을 이용한 통상의 에칭 방법에 의해 열선(134, 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이 적용된 부위는 부식이 일어나지 않고, 패턴이 적용되지 않는 부위가 부식이 일어남에 따라, 결국 부분 부식을 이용하는 방식에 대응하게, 패턴이 적용된 부위가 열선(134, 135) 및 전원버스(132, 133)로 가공된다.
이후, 열선(134, 135) 및 전원버스(132, 133)를 감싸면서 도 11의 탄성 단열재층(120)의 폭과 길이(L)와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면상발열층(130)의 상면과 저면은 내열 성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134, 135)은 지그재그 배열뿐만 아니라, 에칭 장치의 에칭 가공판이 허용하는 범위(예 : 대략 800∼1000㎜)만큼 세그먼트(segment)식으로 분할 에칭 제작될 수 있으나, 전체적인 에칭 결과물, 즉 열선(134, 135) 및 전원버스(132, 133)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열선(134, 135)의 두께는 본 발명에 사용한 면상발열층(130)용 박판 스테인리스 강 또는 비철금속 재질의 시트의 두께와 동일하되, 해당 열선(134, 135)의 각각의 폭은 0.1∼0.3㎜이고, 각 열선(134, 135)의 사이 간격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선(134, 135)은 면상발열층(130)의 길이를 따라서 제1연결부위(134b) 및 제2연결부위(135b)를 주기적으로 형성하여 전원버스(132, 133)와 통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열선(134, 135)은 제1연결부위(134b)와 제2연결부위(135b)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S'자 형상을 형성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제1연결부위(134b)와 제2연결부위(135b)는 지그재그 배열에 대응하게 좌측의 전원버스(132) 또는 우측의 전원버스(133)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히팅 패드(100)는 상기 면상발열층(130)의 전원버스(132, 133)에 연결된 제1접속구(170)와; 온도 제어 장치(200)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케이블(210)과; 상기 케이블(210) 각각의 양단에 연결된 제2접속구(180)에 의해 상기 온도 제어 장치(200)에 멀티 접속 방식으로 접속된다.
먼저, 케이블(210)은 복수 가닥의 온도 센서용 전선과 하기에 설명할 온도 제어 장치(200)의 전원 장치용 전선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210) 내부의 온도 센서용 전선들은 제2접속구(180)에 구비된 온도 신호 전달용 도전바에 각각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210) 내부의 온도 제어 장치(200)의 전원 장치용 전선들은 제2접속구(180)에 구비된 전원 전달용 도전바에 각각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런 케이블(210)의 양단에 연결된 제2접속구(180) 중 어느 하나는 앞서 설명한 히팅 패드(100)의 제1접속구(170)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접속구(180) 중 다른 하나는 하기에 설명할 온도 제어 장치(200)의 멀티 접속 포트에 연결된다.
온도 제어 장치(200)는 외부 작동 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멀티 온도 조절 기능을 통해서 복수의 히팅 패드(100)들, 즉 각각의 히팅 패드(100)에 내장된 면상발열층(130)들을 동시 제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온도 제어 장치(200)는, 면상발열층인 면상발열체 또는 그 주변에서 측정된 온도에 대응한 온도측정값을 입력 받아 설정 온도에 대응하게 온도 설정값을 출력하는 온도 입출력 장치(도시 안됨), 및 상기 온도 입출력 장치와 전자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도 입출력 장치로부터 지시 받은 온도 설정값에 대응한 전원을 상기 히팅 패드에 공급하는 전원 장치(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이런 온도 제어 장치(200)는 복수 개의 히팅 패드(100) 및 복수개(예 : 2개)의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에 연결된 에어 압력 레귤레이터(301, 302)에 동시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온도 제어 장치(200)는 엘엔지선 화물창에서 2차 방벽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 영역만큼 미리 구획한 작업 공간에 필요한 개수(예 : 10개)의 히팅 패드(100)와 복수개(예 : 2개)의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에 연결된 에어 압력 레귤레이터(301, 302)를 동시에 접속시켜 각각의 히팅 패드(100)의 온도 센서들로부터 복수개의 온도값을 입력 받고, 에어 압력 레귤레이터(301, 302)들로부터 복수개의 압력작동 상태값을 입력 받도록 복수 채널(예 : 12∼30채널)의 멀티 입력 회로를 갖고, 각각의 온도값과 각각의 압력작동 상태값에 대응하게 상기 히팅 패드(100)별로 해당 면상발열층(130)에 공급할 전원 크기를 개별적으로 연산하여 각각 공급하도록 복수 채널의 멀티 출력 회로를 갖는다.
여기서, 온도 제어 장치(200)는 멀티 접속 방식을 실현하고, 상기 복수 채널의 멀티 출력 회로 또는 상기 복수 채널의 멀티 입력 회로에 전기 회로적으로 구성된 멀티 접속 포트를 더 구비한다.
온도 제어 장치(200)는 장치 1대로 히팅 패드(100) 1개 이상을 동시에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멀티 접속 방식의 온도 제어 장치(200)는 1개 이상의 히팅 패드(100)에서 측정된 온도 센서별 온도를 온도 제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장치(230)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별도의 USB(Universal Serial Bus) 저장장치와 같은 데이터저장장치(220)를 통해 히팅 패드(100)의 온도 센서별로 측정된 온도값 및 그의 변화값을 온도 측정 주기 마다 기록 저장하고, 에어 압력 레귤레이터(301, 302)의 압력작동 상태값을 압력작동 상태 체크 주기 마다 기록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230)에는 접속된 복수개의 히팅 패드(100)의 연결 순서에 따라, 해당 히팅 패드(100)의 온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온도값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제어 장치(200)는 통상의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온도 제어 장치(200)의 내부에 상기 데이터저장장치(220)와 연동할 수 있는 별도의 네트워크 회로(도시 안됨)를 더 구비하여, 상기 기록 저장된 값을 외부의 중앙 관제 시스템(도시 안됨)으로 전송하여, 포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 및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온도 제어 장치(200)는 온도를 작업에 필요한 목표 온도까지 올릴 것인지, 몇 시간 내에서 목표 온도에 도달하게 할 것인지, 지속적으로 몇 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할 것인지, 몇 시간동안 온도를 하강시켜 작업 종료 온도로 맞출 것인지 등과 같이, 복수개(예 : 40개)의 온도 제어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해당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온도와 시간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설정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온도 제어 장치(200)는 작업 완료 내지 작업 이상 발생(예 : 설정된 시간 내에서 목표 온도까지 도달하지 않을 경우 등)시 경보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는 알람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온도 제어 장치(200)는 복수개의 히팅 패드(100)의 온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멀티 채널 기술, 예컨대 멀티 입력 회로부 및 멀티 출력 회로부를 갖는 통상의 디지털 제어회로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길이 3.5m ± 50㎝을 갖는 일체형의 나무 합판 재질, 강화플라스틱 재질, 나무 및 강화플라스틱을 합한 비전도성 복합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평판층을 사용함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꺾여지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균일한 압력 전달이 가능한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의 히팅 패드는 면상발열층의 열이 평판층에서 발산되지 못하게 하여 열 손실을 차단하는 역할과, 트리플렉스 시공구조에서 에어 프레싱 보드 쪽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 및 합성 고무층 쪽으로만 면상발열층의 열이 발산되게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가로 세로의 두께가 동일한 일체형 판형상을 갖고 있고,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전원버스용 홈 및 지그재그 배열의 열선용 홈에 각각 전원버스 및 열선을 배치시키고 있는 비철금속 또는 스테인리스 강 정밀 가공 면상발열층을 구비함에 따라,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압착 사용 환경에서도 고른 압력이 전달될 수 있게 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정밀하고 균일하고 미세한 온도 오차 범위를 갖고 있으므로, 균일한 온도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120 ± 30℃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장시간 사용하고, 70℃, 24시간, 300mbar 이상 연속 조건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내열 고탄성 소수(疎水)성 재질의 합성 고무층을 구 비함에 따라, 접착제, 이물질 들을 합성 고무층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합성 고무층의 저면 중심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압착홈 또는 제2압착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합성 고무층의 상하방향 압착에 따라, 합성 고무층의 좌우방향 또는 중심방향으로 팽출되는 부위가 제1홈 또는 제2홈의 공간에서 흡수됨에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 중앙 부위가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밀착도를 갖게 되어서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의 접착제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히팅 패드의 측면 테두리 부위에서 보호 커버로 마감처리 되어 있음에 따라,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평판층에 형성된 단차제거부에 의해서, 허용 범위 내의 단차를 갖는 바닥 패널에 트리플렉스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를 내장함에도 불구하고, 탄성 단열재층의 전선안착부 및 센서안착부를 형성시켜 온도 센서 및 결속 전선을 안착시킴에 따라, 탄성 단열재층 및 면상발열층 사이의 층간 들뜸이 없이 밀착된 적층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플러그- 소켓 타입의 접속구 체결구조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히팅 패드를 전기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는 보호 커버를 구비하여,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과 평판층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를 보호하고, 히팅 패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4)

  1.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사용되는 길이와 폭의 패드몸체를 갖는 스테인레스 강 또는 비철금속 정밀가공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고, 강화플라스틱 재질, 나무 합판 재질, 상기 강화플라스틱 재질과 나무 합판 재질을 적층시킨 비전도성 복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된 일체형 평판층과;
    상기 평판층의 아래에 적층되며, 열 손실 차단을 위한 내열 및 단열 재질의 탄성 단열재층과;
    상기 탄성 단열재층의 아래에 적층되며,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 방법으로 형성된 홈에 전원버스와 열선을 구비시킨 일체형 판형상의 스테인레스 강 또는 비철금속 정밀가공 면상발열층과;
    상기 면상발열층의 아래에 적층되는 내열 고탄성 소수(疎水)성 재질의 합성 고무층을 일체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층은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서 엘엔지선 접착 공정시 에어 프레싱 보드와 접촉하여 압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길이 3.5m± 50㎝과, 트리플렉스 부착위치에 삽입 가능한 폭 300∼450㎜을 갖는 사각 판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단열재층은 상기 평판층의 평면적에 대응한 장폭을 갖고, 120± 30℃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장시간 사용하고, 70℃, 24시간, 300mbar 이상 연속 조건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폴리우레탄 탄성체 재질,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 단열 고탄성 합성고무 재질, 내열 폴리머 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층은 외부의 온도 조절 장치로부터 작동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전원버스를 직렬로 통전가능하게 전원 단자에 연결시키고 있고, 상기 열선을 지그재그 배열을 갖도록 상기 전원버스와 병렬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상기 열선의 두께가 0.1∼0.3㎜이고, 상기 열선 사이 간격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발수성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성형한 것으로서, 저면 중심부에서 상기 합성 고무층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채널형상, '
    Figure 112006028261650-pat00002
    '자 형상, 'ㄷ'자 형상, 일자 형상, 슬릿(slit)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패드의 테두리 부위는 접착식 측면 보호 커버인 보호테이프로 마감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패드.
  7. 엘엔지 운송선의 화물창 제조 공정 중 트리플렉스를 부착하기 위해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를 갖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에 있어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비전도성 평판층, 최하부에 위치하는 소수성 합성 고무층, 상기 평판층과 합성 고무층 사이에 탄성 단열재층, 그 하부에 전원을 열로 전환하는 면상발열층이 위치하게 적층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트리플렉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하면서 상기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의 압착력을 상기 트리플렉스에 전달하는 히팅 패드와;
    상기 히팅 패드에서 발생한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히팅 패드를 발열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값을 판독해 상기 전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층은 강화플라스틱 재질, 나무 합판 재질, 강화플라스틱 재질과 나무 합판 재질이 적층된 복합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층은 인접하는 상기 화물창의 단열 패널 사이의 단차에 의한 불균일한 압착을 상쇄시키는 단차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제거부에는, 상기 평판층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긴 투과공이 형성되거나, 상기 평판층의 상면, 저면 중 한 곳 또는 상면과 저면 모두에 길이 방 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층은 상기 온도 제어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의 접속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접속구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전원 단자와 온도 단자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온도 센서용 전선과 상기 전원 장치의 전선을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접속구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히팅 패드의 온도를 감지, 수신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층에는 전원버스가 통전 가능하게 전원 단자에 연결되고 열선이 상기 전원버스와 연결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단열재층은 상기 평판층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120 ± 30℃ 이상에서 내열성을 갖고 있고, 70℃, 24시간, 300mbar 이상 연속 조건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단열재층의 재질은 내열 및 단열 재질로서, 폴리우레탄 탄성체 재질,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 단열 고탄성 합성고무 재질 및 내열 폴리머 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단열재층은,
    상기 온도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안착부; 및
    상기 온도 센서용 결속 전선이 내장 가능한 전선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층의 저면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압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층, 상기 탄성 단열재층, 상기 면상발열층, 상기 합성 고무층은 측면 보호 커버 또는 전면(全面) 보호 커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층, 상기 탄성 단열재층, 상기 면상발열층 및 상기 합성 고무층은 양면 내열 접착재 또는 고착수단에 의해 상호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트리플렉스의 부착 부위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면상발열층의 길이의 1/3에 해당하는 제1위치 또는 상기 면상발열층의 길이의 2/3에 해당하는 제2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장치 1대로 상기 히팅 패드 1개 이상을 동시에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 매트릭스의 압력작동 상태값을 입력받도록, 상기 복수의 히팅 패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에어 프레싱 보드 또는 에어매트릭스에 연결된 에어 압력 레귤레이터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히팅 패드 내의 상기 온도 센서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온도값을 입력 받고 상기 에어 압력 레귤레이터로부터 복수의 압력작동 상태값을 입력 받는 복수 채널의 멀티 입력 회로; 및
    각각의 온도값과 각각의 압력작동 상태값에 대응하게 상기 복수의 히팅 패드 각각의 면상발열층에 공급할 전원 크기를 개별적으로 연산하여 각각 공급하도록 복수 채널의 멀티 출력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KR1020060036536A 2006-03-06 2006-04-24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KR100633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0827 2006-03-06
KR1020060020827 2006-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563B1 true KR100633563B1 (ko) 2006-10-16

Family

ID=3762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536A KR100633563B1 (ko) 2006-03-06 2006-04-24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563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24B1 (ko) 2006-05-18 2007-10-08 천성관 엘엔지 선박의 단열 방벽 연결용 열패드의 온도 컨트롤러
KR100818150B1 (ko) 2007-06-20 2008-03-31 유신단열 주식회사 유리섬유 단열재 측면 필름부착장치
KR100836632B1 (ko) 2007-09-21 2008-06-10 천성관 엘엔지 선박의 단열 방벽 연결을 위한 접착제의 경화시기를알리는 타이머가 장착된 글루 보드
KR100847060B1 (ko) 2007-07-18 2008-07-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요성 히팅 패드
KR100886654B1 (ko) 2008-02-26 2009-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성 히팅 패드
KR100909381B1 (ko) * 2007-07-16 2009-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엘엔지 선박의 단열 방벽 연결용 열패드
KR100945882B1 (ko) * 2007-10-23 2010-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제어기 및 제어방법
KR100972162B1 (ko) 2008-05-16 2010-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9144B1 (ko) 2008-03-28 2010-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온도제어기 및 방법
KR101007697B1 (ko) 2008-05-30 2011-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내부의 화물창 2차 방벽 압착 장치
KR101078430B1 (ko) 2009-02-13 2011-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KR101108632B1 (ko) * 2009-12-04 2012-02-06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2차 방벽 시공용 경화장치
KR101110835B1 (ko) * 2010-06-04 2012-02-28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2차 방벽 시공용 경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차 방벽 시공방법
KR101120538B1 (ko) * 2011-05-04 2012-03-09 한국아트콘텐츠(주) 전시용 다기능 친환경 패널 및 그의 조립체
KR101163631B1 (ko) * 2012-02-07 2012-07-09 주식회사 화인텍 가열 패드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방법
KR101163632B1 (ko) 2012-02-07 2012-07-09 주식회사 화인텍 트리플렉스 부착용 가열 패드
KR101215613B1 (ko) 2011-03-16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2차 방벽 압착 장치
KR101325707B1 (ko) * 2011-12-16 2013-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압착 장치
KR101416874B1 (ko) * 2012-02-01 2014-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선의 트리플렉스 가열 접착장치 및 접착방법
KR101433200B1 (ko) * 2014-04-11 2014-08-26 김부길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KR101617633B1 (ko) 2013-11-20 2016-05-03 에이원시스템즈 주식회사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히팅 패널, 히팅 패널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24B1 (ko) 2006-05-18 2007-10-08 천성관 엘엔지 선박의 단열 방벽 연결용 열패드의 온도 컨트롤러
KR100818150B1 (ko) 2007-06-20 2008-03-31 유신단열 주식회사 유리섬유 단열재 측면 필름부착장치
KR100909381B1 (ko) * 2007-07-16 2009-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엘엔지 선박의 단열 방벽 연결용 열패드
KR100847060B1 (ko) 2007-07-18 2008-07-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요성 히팅 패드
KR100836632B1 (ko) 2007-09-21 2008-06-10 천성관 엘엔지 선박의 단열 방벽 연결을 위한 접착제의 경화시기를알리는 타이머가 장착된 글루 보드
KR100945882B1 (ko) * 2007-10-23 2010-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제어기 및 제어방법
KR100886654B1 (ko) 2008-02-26 2009-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성 히팅 패드
KR100979144B1 (ko) 2008-03-28 2010-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온도제어기 및 방법
KR100972162B1 (ko) 2008-05-16 2010-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07697B1 (ko) 2008-05-30 2011-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내부의 화물창 2차 방벽 압착 장치
KR101078430B1 (ko) 2009-02-13 2011-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KR101108632B1 (ko) * 2009-12-04 2012-02-06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2차 방벽 시공용 경화장치
KR101110835B1 (ko) * 2010-06-04 2012-02-28 한국과학기술원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2차 방벽 시공용 경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차 방벽 시공방법
KR101215613B1 (ko) 2011-03-16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2차 방벽 압착 장치
KR101120538B1 (ko) * 2011-05-04 2012-03-09 한국아트콘텐츠(주) 전시용 다기능 친환경 패널 및 그의 조립체
KR101325707B1 (ko) * 2011-12-16 2013-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압착 장치
KR101416874B1 (ko) * 2012-02-01 2014-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선의 트리플렉스 가열 접착장치 및 접착방법
KR101163631B1 (ko) * 2012-02-07 2012-07-09 주식회사 화인텍 가열 패드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방법
KR101163632B1 (ko) 2012-02-07 2012-07-09 주식회사 화인텍 트리플렉스 부착용 가열 패드
KR101617633B1 (ko) 2013-11-20 2016-05-03 에이원시스템즈 주식회사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히팅 패널, 히팅 패널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1433200B1 (ko) * 2014-04-11 2014-08-26 김부길 탈착 가능한 센서단자유닛을 갖는 트리플렉스 설치용 히팅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563B1 (ko) 히팅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트리플렉스 부착 장치
US9932060B2 (en) Heater unit and steering wheel
CN109390537B (zh) 导体模块
US20150367875A1 (en) Heater element and steering wheel
EP2318221B1 (en) 1 -d tire patch apparatus
KR101383666B1 (ko) 발열 층을 갖는 패널
CN109390538B (zh) 导体模块
US20030141983A1 (en) Combined sensor and heating element
KR20210030904A (ko) 스프링 접촉 요소를 구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지용 장치
KR20090057275A (ko) 점유자 센서를 가진 좌석 히터
CN111301247A (zh) 片型加热元件和包括该片型加热元件的车门的扶手
US20220214235A1 (en) Additive manufactured strain gauge on component surfaces for predictive failure monitoring
CN111554811B (zh) 边缘仿形单元及贴合治具
US46970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seats electrically
KR100847060B1 (ko) 가요성 히팅 패드
US9178265B2 (en) Anti-crack means for wire antenna in transponder
EP1429080A1 (en) LOW TEMPERATURE BURN PREVENTING ELECTRIC FLOOR HEATING SYSTEM&amp;comma; ELECTRIC FLOOR HEATING PANEL&amp;comma; FLOOR HEATING FLOOR MATERIAL&amp;comma; AND ELECTRIC FLOOR HEATING DEVICE
CN115084884A (zh) 具有传感线的复合构件
KR100886654B1 (ko) 단열성 히팅 패드
WO2006107896A1 (en)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3361825B1 (en) Trimmable heat blanket and heating method
KR20090021446A (ko) 열 가압식 트리플렉스 부착장치
KR20110065181A (ko) 히팅 패드
WO200605884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mat
US5565121A (en) Arrangement for relieving stress on electric elements in seat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