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960A -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960A
KR20220021960A KR1020200101874A KR20200101874A KR20220021960A KR 20220021960 A KR20220021960 A KR 20220021960A KR 1020200101874 A KR1020200101874 A KR 1020200101874A KR 20200101874 A KR20200101874 A KR 20200101874A KR 20220021960 A KR20220021960 A KR 2022002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t pad
hot
heating element
cargo 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960A/ko
Publication of KR2022002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38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Abstract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은, 현장에서 검사자가 휴대하여, 핫 패드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바코드 정보와 상기 핫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 및 온도 센서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바코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Hot pad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go hold construction}
본 발명은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송용 선박의 화물창에는 열 침입을 차단하고, 가스 누설을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의 보호하기 위해 단열 방벽이 시공된다.
단열 방벽은 선체 내측벽의 하부 단열방벽과 액화천연가스가 인접하는 상부 단열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단열방벽은 복수의 단열방벽을 연결하여 시공하는데, 열팽창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부 단열방벽들은 소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시공된다.
하부 단열방벽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상부에는 트리플렉스(triplex)가 접착제로 부착되어 적층됨으로써, 단열방벽 간의 강력한 연결이 유지되며, 이로 인해 가스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트리플렉스 부착용 접착제로는 에폭시, 우레탄 접착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접착면의 안정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해 접착제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핫 패드(Hot pad)를 이용하여 트리플렉스 상부에서 일정 압력과 열을 가한다.
압력과 열을 가함으로써, 트리플렉스의 부착 과정에서 부착면이 부분적으로 들뜨는 현상을 예방될 수 있고, 접착제가 골고루 퍼져 접착 강도가 높아지고 접착제의 신속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리플렉스의 견고한 부착을 위해 이용되는 핫 패드에 열선의 단선 등과 같은 불량이 존재하면, 화재와 같은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에 대한 검사가 요구되며, 검사자가 현장에서 쉽게 핫 패드의 정상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검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7298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86654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65181호
본 발명은 검사자가 현장에서 핫 패드의 저항값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현장에서 생성된 핫 패드의 식별 정보와 측정된 저항값 정보를 이용하여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가 쉽게 판별될 수 있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에 관한 검사 정보들이 검사 리스트로 자동 생성될 수 있으며, 검사된 핫 패드의 검사 위치가 함께 관리되어 화물창 시공시 이용할 핫 패드의 적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현장에서 검사자가 휴대하여, 핫 패드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바코드 정보와 상기 핫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 및 온도 센서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바코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 서버를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저항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연결부;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인식부;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대해 산출한 측정 저항값에 상응하는 상기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저항 측정부; 및 상기 바코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판정 서버로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저항 발열체의 기준 저항값과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장치가 위치한 현장의 대기 온도값을 기준하여 상기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로서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온도 센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정 서버는 판정 정보가 생성된 핫 패드들에 대해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검사 리스트는 핫 패드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 또는 불량에 대한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핫 패드에 대한 측정 정보가 생성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핫 패드가 적재된 위치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검사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자가 현장에서 핫 패드의 저항값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현장에서 생성된 핫 패드의 식별 정보와 측정된 저항값 정보를 이용하여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가 쉽게 판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에 관한 검사 정보들이 검사 리스트로 자동 생성될 수 있으며, 검사된 핫 패드의 검사 위치가 함께 관리되어 화물창 시공시 이용할 핫 패드의 적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로 시공되는 화물창의 단열방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다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로 시공되는 화물창의 단열방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다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20)에 의해 시공되는 화물창의 단열방벽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화물창의 선체 내측벽(1)에는 하부 단열방벽(2)이 에폭시 매스틱(epoxy mastic)(3)과 스터드 볼트(4)에 의해 부착된다. 스터드 볼트(4)의 일단은 선체의 내측 벽(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 단열방벽(2)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강판(5)을 관통하여 너트(4a)에 의해 고정된다.
복수의 하부 단열방벽(2)은 단열방벽 간의 열팽창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소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시공된다. 이격된 공간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 재질의 플랫 조인트(6)가 결합됨으로써 하부 단열방벽(2)의 조립이 완성된다.
하부 단열방벽(2)의 상부에는, 플랫 조인트(6)가 삽입된 하부 단열방벽(2)의 계면 상부를 제외하고, 상부 단열방벽(8)이 부착된다.
상부 단열방벽(8)이 부착된 후, 하부 단열방벽(2)의 계면 상부에 트리플렉스(triplex)(7)가 부착된다. 트리플렉스(7)는 하부 단열방벽(2) 들의 계면을 통한 액화천연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단열방벽(2)들의 계면 상부에 부착되는 시트이다.
트리플렉스(7)는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열경화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에폭시수지(epoxy resin), 폴리우레탄수지(polyurethane resin), 페놀수지(phenolic Resin), 폴리에스테르수지(polyester Resin)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접착제는 70~150℃의 온도로 열에너지가 가해지면 액상으로 융융되었다가 가교반응(crosslinking)에 의하여 경화되어 트리플렉스(7)를 하부 단열방벽(2)에 접합시킨다.
트리플렉스(7)의 부착이 끝나면 에폭시 글루 등을 이용하여 탑 브리지 패널(9)이 트리플렉스(7)의 상면에 부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단열방벽(8)과 탑 브리지 패널(9)이 형성하는 동일평면 상에 플라이우드(10)와 코러게이트 멤브레인(corrugated membrane)(11)을 차례로 부착함으로써 화물창의 단열방벽이 완성된다.
핫 패드(20)는 전술한 과정들 중, 트리플렉스(7)를 하부 단열방벽(2)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일정한 압력과 열을 트리플렉스(7)와 트리플렉스(7)에 부착된 열경화성 접착제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핫 패드(20)의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핫 패드(20)는 유체 수용백(21) 등을 구비하는 형상(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7298호 참조), 목재 샌드위치 패널층 등을 구비하는 형상(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86654호 참조) 등으로 다양하다.
다만, 각 형상의 핫 패드들이 저항 발열체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이 공통되므로, 여기서는 도 2에 예시된 유체 수용백(21) 등을 구비하는 핫 패드(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핫 패드(20)는, 화물창의 트리플렉스(7) 상부에 밀착되는 유체 수용백(21)과, 유체 수용백(21)에 수용되어 트리플렉스(7)에 압력과 열을 전달하는 유체(22)와, 유체 수용백(21)에 삽입되어 유체(22)에 열을 공급하는 저항 발열체(23)를 포함한다.
유체 수용백(21)은 하부 단열방벽(2)에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트리플렉스(7)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뷰틸고무(IIR) 등)로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22)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된다.
유체 수용백(21)에는 유체(22)가 수용되어, 저항 발열체(23)에 의해 공급되는 열과 가압판(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한 가압력을 트리플렉스(7)에 전달한다. 유체(22)는 예를 들어 물에 글리콜을 희석한 것일 수 있다.
유체 수용백(21) 내부에는 유체(22)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저항 발열체(23)가 삽입된다. 저항 발열체(23)는 저항열선(23a)을 절연성 피복재(23b)로 피복한 것으로, 유체 수용백(21) 내부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저항 발열체(23)는 유체 수용백(21)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24)을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선(24)의 노출된 단부에는 커플러(30,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저항 발열체(23)에 의해 가열되는 유체(2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5)가 유체 수용백(21) 내부에 구비된다. 온도 센서(25)의 신호 라인 역시 유체 수용백(21)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24)을 따라 커플러(30)까지 외부로 인출된다.
커플러(30)가 외부의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면, 제어 장치는 온도센서(25)로부터 수신된 온도정보와 미리 설정된 유체(22)의 온도를 비교하여 필요한 전력을 전선(24)을 통해 저항 발열체(23)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은 측정 장치(110)와 판정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장치(110)는 연결부(111), 바코드 인식부(113), 저항 측정부(115), GPS부(117), 입력부(119) 및 장치 통신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1)는 핫 패드(20)의 커플러(30)와 체결되어, 핫 패드(20)의 저항 발열체(23), 온도 센서(25) 등과 측정 장치(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바코드 인식부(113)는 핫 패드(20)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다. 바코드는 예를 들어 핫 패드(20)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및 기준 저항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상응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바코드 인식부(113)는 예를 들어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인식부(113)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 정보는 측정 장치(110)에 구비된 장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저항 측정부(115)는 핫 패드(20)에 구비된 저항 발열체(23)와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에 대한 측정 정보를 생성한다. 측정 정보는 장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저항 측정부(115)는 예를 들어, 커플러(30)와 연결부(111)의 체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 발열체(23)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흐르는 전류를 각각 측정한 후, 주지의 저항에 관한 공식을 이용하여 측정 저항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항 측정부()는 저항 발열체(23)의 저항값에 대한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25)는 예를 들어 PT100 온도 센서 등인 열저항 센서일 수 있으며, 산출된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이 산출될 수 있다.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온도값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GPS부(117)는 GPS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측정 장치(110)의 GPS 위치 좌표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임의의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핫 패드(20)가 검사되는 위치 정보가 생성되어 관리됨으로써, 추후 시공을 위해 해당 핫 패드(20)가 필요시되는 경우 해당 핫 패드(20)의 적재 위치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입력부(119)는 측정 장치(110)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입력부(119)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9)를 이용하여 측정 장치(110)의 온/오프, 저항 측정, 측정 장치(110)에서 생성된 정보의 전송 등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121)는 측정 장치(110)에서 생성된 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정보, 측정 정보, 위치 정보 등)를 판정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121)는 판정 서버(130)로부터 전송한 정보에 기반한 판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판정 정보는 측정 장치(1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는 판정 정보뿐 아니라, 측정 장치(110)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측정 장치(110)에는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현장 위치, 즉 측정 장치(110)가 위치한 지점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대기 온도값은 전술한 측정 정보에 포함되어 장치 통신부(121)에 의해 판정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판정 서버(130)는 서버 통신부(131) 및 판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31)는 현장에서 핫 패드(20)의 정상 상태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측정 장치(110)로부터 바코드 정보, 측정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바코드 정보 등은 서버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판정부(133)는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서버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저항 발열체(23)의 기준 저항값과 수신된 측정 정보에 따른 저항 발열체(23)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핫 패드(20) 내의 저항 발열체(23)가 정상 또는 불량인지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저항 발열체(23)에서 국부적인 단선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준 저항값에 비해 현저히 큰 측정 저항값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때 판정부(133)는 해당 핫 패드(20)가 불량이라는 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판정 정보에는 예를 들어 정상 또는 불량이라는 상태 정보뿐 아니라 기준 저항값과 측정 저항값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판정부(133)는 측정 정보에 포함된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측정 정보에 포함된 대기 온도값을 기준할 때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대응되는지 여부로서 핫 패드(20) 내의 온도 센서(25)가 정상 또는 불량인지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대기 온도값이 섭씨 25도인 경우, 핫패드 온도값이 섭씨 21도 내지 29도의 범위 내에 해당하여야 정상으로 판정되도록 하는 등, 대기 온도값을 기준하여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판정부(133)는 정상 또는 불량인지 여부가 검사된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여 서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검사 리스트는 검사된 핫 패드(20)들 각각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불량인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판정부(133)는 핫 패드(20)에 대한 저항값 측정이 실시된 위치로서 해당 핫 패드의 적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검사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검사 리스트에 각각의 핫 패드(20)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추후 시공 과정에서 필요로하는 핫 패드(20)의 적재 위치를 쉽게 확인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판정 서버(130)의 서버 저장부에는 각 자재 저장소에 적재된 핫 패드(20)에 관한 정보, 즉 재고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재고 정보는 측정 장치(1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장치 통신부(121)와 서버 통신부(131)의 통신에 의해 측정 장치(1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측정 장치(110)는 구비된 바코드 인식부(113)를 이용하여 핫 패드(20)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410이 후술될 단계 420 내지 단계 430에 앞서 실시되도록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단계 420에서, 측정 장치(110)의 연결부(111)는 핫 패드(20)의 커플러(30)와 체결되어, 측정 장치(110)가 핫 패드(20)의 저항 발열체(23)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계 430에서, 측정 장치(110)는 핫 패드(20)의 저항 발열체(23)와 온도 센서(25) 각각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주지의 저항 산출 공식에 따른 측정 저항값을 각각 산출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한다. 온도 센서(25)는 예를 들어 열저항 센서일 수 있으며, 온도 센서(25)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이 산출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측정 장치(110)는 생성한 바코드 정보와 측정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판정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측정 장치(110)는 측정 장치(110)가 위치한 지점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대기 온도값을 측정 정보에 더 포함하여 판정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장치(110)가 GPS부(117)를 구비하여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가 실시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더 생성하는 경우, 측정 장치(110)는 위치 정보를 판정 서버(13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판정 서버(130)는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서버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저항 발열체(23)의 기준 저항값과 수신된 측정 정보에 따른 저항 발열체(23)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핫 패드(20)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판정 서버(130)는 측정 정보에 포함된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측정 정보에 포함된 대기 온도값을 기준할 때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대응되는지 여부로서 핫 패드(20) 내의 온도 센서(25)가 정상 또는 불량인지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판정 정보는 측정 장치(110)로 전송되어, 측정 장치(1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460에서, 판정 서버(130)는 검사된 핫 패드(20)들에 대한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여 서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검사 리스트는 검사된 핫 패드(20)들 각각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불량인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장치(110)로부터 핫 패드(20)에 대한 저항값 측정이 실시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수신되는 경우, 판정 서버(130)는 검사 리스트에 해당 핫 패드(20)에 대한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핫 패드 24 : 전선
30 : 커플러 110 : 측정 장치
111 : 연결부 113 : 바코드 인식부
115 : 저항 측정부 117 : GPS부
119 : 입력부 121 : 장치 통신부
130 : 판정 서버 131 : 서버 통신부
133 : 판정부

Claims (5)

  1. 현장에서 검사자가 휴대하여, 핫 패드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바코드 정보와 상기 핫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 및 온도 센서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바코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 서버를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저항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연결부;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인식부;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대해 산출한 측정 저항값에 상응하는 상기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저항 측정부; 및
    상기 바코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판정 서버로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저항 발열체의 기준 저항값과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장치가 위치한 현장의 대기 온도값을 기준하여 상기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로서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온도 센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서버는 판정 정보가 생성된 핫 패드들에 대해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검사 리스트는 핫 패드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 또는 불량에 대한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핫 패드에 대한 측정 정보가 생성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핫 패드가 적재된 위치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검사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KR1020200101874A 2020-08-13 2020-08-13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1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74A KR20220021960A (ko) 2020-08-13 2020-08-13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74A KR20220021960A (ko) 2020-08-13 2020-08-13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60A true KR20220021960A (ko) 2022-02-23

Family

ID=8049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874A KR20220021960A (ko) 2020-08-13 2020-08-13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196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54B1 (ko) 2008-02-26 2009-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성 히팅 패드
KR20110065181A (ko) 2009-12-09 2011-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KR20120117298A (ko) 2011-04-15 2012-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54B1 (ko) 2008-02-26 2009-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성 히팅 패드
KR20110065181A (ko) 2009-12-09 2011-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KR20120117298A (ko) 2011-04-15 2012-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940A (en) Structural failure detection method
US5969260A (en) Remotely interroga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structural members
US8136408B2 (en) Strain sensor mounted with light curable adhesive
US3967256A (en) Integrity monitoring system for storage tank insulation
KR100955035B1 (ko) 2차 방벽의 결함부 검사방법
GB2421952A (en) Fibre-reinforced polymer composite with damage detection system
JP5675665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を備えたハニカムサンドイッチ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53504A (en) Intrumented patch for repair of fatigue damaged or sensitive structure
KR20220021960A (ko)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017488B1 (ko) 가스감지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lngc 화물창 누설검사방법
TWI711536B (zh) 液體儲存容器及其製造方法
KR20220034333A (ko)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US41076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racks in the heat-insulating lining of a container for cold liquids
KR101258945B1 (ko)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CN114072652B (zh) 用于对密封膜的密封性进行测试的方法
KR20100088437A (ko) 열영상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lngc 화물창 누설검사 방법
CN112762357B (zh) 压力罐、用于监控压力罐的系统以及机动车
JP2002031563A (ja) 液面検出装置、給液制御装置及び液体配送システム
KR20240048840A (ko) 화물창 시공을 위한 핫 패드 제어기의 테스트 장치 및 제어기 테스트 방법
Johnson et al. Mechanical performance of composite production risers
KR20230050088A (ko) 핫 패드 제어기의 검사를 위한 핫 패드 대체 장치
JP6486761B2 (ja) 絶縁構造体、絶縁構造体のリーク検査方法及びシーズヒータ
JPH0926060A (ja) 配管施工情報管理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樹脂配管融着用コントローラー
KR101743942B1 (ko) 극저온 밀봉 배리어의 접착 파라미터를 점검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5143568A (en) Method for leak detection and non-destructive quality control testing for roofing seams